KR20080004562U - 휴대폰 착용기기 - Google Patents

휴대폰 착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562U
KR20080004562U KR2020070005768U KR20070005768U KR20080004562U KR 20080004562 U KR20080004562 U KR 20080004562U KR 2020070005768 U KR2020070005768 U KR 2020070005768U KR 20070005768 U KR20070005768 U KR 20070005768U KR 20080004562 U KR20080004562 U KR 200800045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ring
main body
earphone
connect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3486Y1 (ko
Inventor
송영길
Original Assignee
송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길 filed Critical 송영길
Priority to KR2020070005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486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5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5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4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을 팔목, 발목, 허리 등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폰을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의 분실이나 떨어뜨려 고장날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마이크나 스피커를 구비하여 사무중이나 야외 또는 작업장, 레저활동 중에도 인체에 착용한 채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폰 착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휴대폰 착용기기는 가압에 의해 휴대폰에 진공압착되는 압착고무판과, 상부면에 상기 압착고무판이 장착되는 오목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팔목이나 발목 또는 허리벨트를 감싸는 한 쌍의 연결고리로 구성된 연결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휴대폰, 팔목착용, 압착고무판, 안전고리, 마이크, 스피커

Description

휴대폰 착용기기{MOBILE PHONE HOLDE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긱의 압착고무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의 안전고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의 안전고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의 이어폰 꽂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의 라디오 수신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이어폰꽂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의 방수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4a는 방수부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a는 방수부를 전개한 단면도이다.
도 15은 본 고안에 의한 증폭회로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폰 착용기기 2 : 휴대폰
10 : 압착고무판 11 : 베이스부
12 : 날개부
13 : 제 1 수동탈착부 14 : 제 2 수동탈착부
20 : 본체부 21 : 오목부
22 : 탄성지지부 23 : 안전고리부
24 : 안전고리 25 : 휴대폰 연결부
26 : 통화스위치 27 : 증폭회로부
28 : 전원공급부
30 : 연결고리부 31 : 스피커
32 : 마이크로폰 33 : 볼펜꽂이부
34 : 이어폰 꽂이부 35 : 라디오수신부
36 : 연결고리 37 : 연결핀 걸이부
38 : 잠금장치 39 : 연결고리홈
40 : 방수보호커버
본 고안은 휴대폰 착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팔목, 발목 또는 허리 등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사용자가 휴대폰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폰이 부착되는 휴대폰 부착판을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의 분실이나 떨어뜨려 고장날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마이크나 스피커를 구비하여 사무중이나 야외, 작업장, 운전 및 레저활동 중에도 인체에 착용한 채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폰 착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체부에 형성된 증폭회로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고 별도의 전원공급부를 마련하여 단순한 휴대폰 착용기기에 머무르지 않고 라디오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연결고리부를 분리가능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선택가능하도록 구성한 휴대폰 착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생활에 있어서 휴대폰은 없어서는 안 될 정도의 필수품이 되어 가고 있고, 현재 대부분의 일반인이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휴대폰 사용자의 대부분은 휴대폰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거나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 넣고 다니거나 손에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통화시에 손에 쥐고 통화하며, 통화하지 않을 때에는 휴대폰을 사무실이나 가정에서는 손에 닿는 위치에 놓아두고, 이동시에는 차량의 내부나 의복이나 가방에 넣고 다닌다.
그러나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의복의 주머니나 가방 속을 뒤져서 휴대폰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급하게 찾아 통화하다 보면 휴대폰을 떨어뜨리거나 하여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야외에서 작업하거나 레저, 스포츠 등을 즐기고 있는 경우에, 전화가 오면 야외작업이나 레제 스포츠를 잠시 중단하고 전화통화를 해야 하거나, 사무중인 경우 양손으로 컴퓨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화통화하기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로서 휴대폰을 팔목에 착용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나 허리띠나 벨트에 착용할 수 있는 휴대폰 고정체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휴대폰 케이스는 단지 휴대폰을 상기 케이스에 휴대폰을 넣어 사용하는 것이거나 벨트 등에 고정된 휴대폰 고정체에 휴대폰을 고정하는 것일 뿐이기 때문에, 야외작업시나 스포츠 도중인 경우에, 여전히 상기 휴대폰 케이스로부터 빼내거나 상기 휴대폰 고정체로부터 빼내어 통화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의 상하부 폴더를 각각 별도로 끼워넣는 등 휴대폰 케이스에 결합시키기 불편함이 있었고,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경우에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벨트 등에 착용하는 휴대폰 고정체의 경우에는 통화시에 상기 고정체 로부터 휴대폰을 빼내어 통화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전화가 걸려올 경우 바로 통화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통화시에 상기 휴대폰을 손에 쥐고 통화하여야 하기 때문에, 통화하려고 할 때 휴대폰을 떨어뜨릴 위험이 여전히 있고, 통화시에는 야외작업이나 스포츠 등을 중단하고 작업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여전히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을 휴대폰 압착고무판에 가압하는 것만으로 휴대폰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휴대폰 착용이 간단한 휴대폰 착용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폰 압착고무판이 설치된 본체부를 착용기기 본체와 안전고리선으로 연결하여 휴대폰을 손에서 놓치더라도 바닥에 떨어뜨려 고장이 날 염려가 없는 휴대폰 착용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착용기기에 별도의 마이크나 스피커를 구비하여 야외에서나 작업장에서도 인체에 착용한 채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나 스피커를 위한 배터리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스피커나 마이크를 통하여 통화하더라도 휴대폰 자체의 전원을 소비하지 않고 통화를 오래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폰 착용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착용기기에 이어폰을 착용하거나 라디오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이 가능한 휴대폰 착용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날개부와, 휴대폰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수동탈착부를 가지며, 가압에 의해 휴대폰에 진공압착되는 압착고무판과; 상부면에 상기 압착고무판이 장착되는 오목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팔목이나 발목 또는 허리벨트를 감싸는 한 쌍의 연결고리로 구성된 연결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고무판은, 일끝단이 상기 제 1 수동탈착부의 일끝단에 연결되며, 타끝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가느다란 실형상의 제 2 수동탈착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의 양끝단에 볼록하게 돌출하여 설치되는 탄성지지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휴대폰에 형성된 휴대폰 고리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는 안전고리가 일끝단에 형성된 와이어를 수납하는 안전고리부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안전고리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끼워넣 어지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감겨지는 와이어와, 상기 보빈에 설치되며 자동으로 상기 와이어를 되감는 판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출입구와, 상기 와이어출입구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고, 휴대폰의 음성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휴대폰 연결부와, 상기 휴대폰 연결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회로부와, 증폭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송신하는 스피커연결부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상기 휴대폰에 송신하는 마이크로폰 연결부와, 상기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증폭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휴대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폰과의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개시하는 통화스위치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부는, 일측에 끼워맞춤 돌기부를 구비한 중공 원통형상의 볼펜꽂이부와, 상기 볼펜꽂이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연결고리 홈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부는, 양끝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이어폰 수납홈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상의 이어폰꽂이 본체부와, 상기 이어폰꽂이 본체부의 일측에 돌출하여 형성된 이어폰꽂이 돌기부를 구비한 이어폰꽂이부와, 상기 연결고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연결고리 홈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고무판은 NBR(Nitril Butadiene Rubber)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부는, 상부면에 다수의 스위치와 채널표시부가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라디오주파수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라디오수신회로부와, 상기 패널과 상기 라디오수신회로부가 수납되는 라디오수신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돌출하여 형성된 라디오수신 돌기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증폭회로부와 연결되는 증폭회로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라디오수신부와, 상기 연결고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연결고리 홈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부는 방수보호커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수보호커버는, 일끝단이 연결고리의 일측에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는 방수보호비닐과; 타측의 연결고리에 형성되고 상기 타측의 연결고리를 둘러싸는 고리형상의 제 1 체결부와; 타측의 연결고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일끝단이 상기 타측의 연결고리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이 상기 타측의 연결고리로부터 이격하여 타측의 연결고리와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리형상의 제 1 체결부에 상기 방수보호비닐을 끼워넣고 접은 후 상기 제 1 체결부를 상기 공간에 끼워넣음으로써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 2 체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압착고무판의 단면도, 도 3은 휴대폰 착용기기의 정면단면도, 도 6은 휴대폰 착용기기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1)는, 압착고무판(10)과, 상기 압착고무판(10)이 장착되는 본체부(20)과,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팔목, 발목, 허리 등에 체결되는 연결고리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착고무판(10)은, 가압에 의해 휴대폰의 하부면과 진공압착에 의해 휴대폰과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상기 압착고무판(10)은 예를 들면, NBR(Nitril Butadiene Rubber)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평면이 대략 원형상이고 직경이 대략 3.5mm 정도의 것으로, 휴대폰과 압착고무판을 눌러 가압함으로써 진공압착에 의해 휴대폰을 고정하여, 1kg 정도의 무게에도 견딜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상기 압착고무판(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날개부(1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착고무판(10)은, 수동으로 상기 압착고무판(10)을 휴대폰(2)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날개부(1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수동탈착부(13)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11)와 상기 날개부(12)와, 상기 제 1 수동탈착부(13)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수동탈착부(13)에는 사용자가 떼어내기 용이하도록 제 2 수 동탈착부(14)를 더욱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수동탈착부(14)는 일끝단이 상기 제 1 수동탈착부의 끝단을 관통하거나 상기 제 1 수동탈착부의 끝단을 휘감아 연결될 수 있으며, 타끝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수동탈착부(14)는 가느다란 실형상의 합성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고무판(10)은, 후술하는 본체부(20)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21)에 장착된다. 상기 압착고무판(10)은 상기 압착고무판(10)의 상기 베이스부(11)를 상기 오목부(21)에 끼워넣어서 장착되는데, 상기 베이스부(11)를 성형제작할 때에 고정비스를 장착하여 성형한 후, 상기 본체부(20)에 고정비스를 박아 넣은 후 MC본드 및/또는 순간접착제로 더욱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그 상부면에 상기 압착고무판(10)이 장착되는 오목부(21)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21)의 깊이는 상기 베이스부(11)의 두께를 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20)에는 그 상부면의 양 끝단에 상기 본체부(20)의 짧은 변을 따라 미세하게 돌출하여 형성된 탄성지지부(22)가 더욱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22)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이면 좋고,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부(22)의 높이는, 상기 휴대폰(2)이 상기 압착고무판(10)에 가압된 후에, 상기 휴대폰의 하부면과 미세한 거리를 둘 수 있는 정도이면 좋다. 상기 탄성지지부(22)는, 상기 휴대폰(2)을 상기 압 착고무판(10)에 가압하여 압착할 때에, 야외작업이나 운동시에 상기 휴대폰(2)이 흔들리거나 충격을 받아 상기 압착고무판(10)으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상기 휴대폰(2)이 제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20)의 양끝단에 마련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22)를 마련함으로써, 휴대폰(2)이 상기 압착고무판(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더욱 방지하여 휴대폰을 떨어뜨리거나 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내부에는 안전고리부(23)와, 증폭회로부(27)와, 전원공급부(28)가 마련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의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안전고리부(23)는, 케이스(23a)와, 상기 케이스(23a)에 설치되는 고정축(23b)과, 상기 고정축(23b)에 끼워넣어지는 보빈(23d)과, 상기 보빈(23d)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23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3a)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23e)가 통과하는 와이어 출입구(23f)가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출입구(23f) 근방에는 상기 보빈(23d)에 감겨진 와이어가 풀릴 때에 상기 와이어(23e)가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가이드(23g)가 더욱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보빈(23d)에 감겨진 상기 와이어(23e)는, 상기 와이어가이드(23g)와 상기 와이어출입구(23f)를 지나, 상기 본체부(20)에 마련된 와이어구멍을 통하여 본 체부(20)의 외부로 나아가며, 상기 와이어(23e)의 끝단에는 안전고리(2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안전고리(24)는 벌리거나 오므려서 탈착이 가능하며, 각종 휴대폰에 마련된 휴대폰 고리(2a)에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휴대폰(2)이 상기 본체부(20)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더라도, 휴대폰을 떨어뜨려 고장이 나거나 하지 않도록 휴대폰을 본체부와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23d)에는 판스프링 압연재(23h)가 마련되어, 휴대폰(2)을 상기 본체부(2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에 다시 상기 본체부(20)에 끼워넣을 때에, 상기 와이어(23e)가 다시 원위치로 자동으로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외부면의 일측에는 휴대폰 연결부(25)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폰 연결부(25)는 USB 잭 등에 의해 상기 휴대폰과 음성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의 외부면 일측에는 통화스위치(26)가 마련되어 휴대폰(2)과 상기 휴대폰 연결부(25)에 USB잭을 연결하고, 상기 통화스위치(26)를 ON시킨 다음, 상기 휴대폰(2)과 음성신호를 주고 받는다.
상기 증폭회로부(27)는, 상기 휴대폰 연결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27a)와, 증폭된 음성신호를 스피커에 송신하는 스피커연결부(27b)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상기 휴대폰에 송신하는 마이크로폰 연결부(27c)와, 상기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증폭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부 연결부(27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의 일측에는 전원공급부(28)를 더욱 마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28)는 상기 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하여 건전지 등을 수납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충전기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증폭회로부도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착용기기를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할 때, 팔 안쪽에 해당되는 일측에 스피커(31)와 마이크로폰(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피커(31)는 상기 스피커연결부(27b)와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폰(32)은 상기 마이크로폰 연결부(27c)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리부(30)는 상기 본체부(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고리부(30)는 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 형상이고, 하부끝단은 외향으로 경사져 착용하기에 편리하도록 구성되며, 일끝단으로부터 다른 끝단을 향하여 단면의 크기가 점점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착용기기(1)를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할 때에 팔목의 굵기가 손목으로부터 팔꿈치를 향하여 점차 굵어지는 형상에 맞게 구성되어 보다 착용감이 좋게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고리부(30)의 타측에는, 연결고리 홈(3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고리홈(39)에 볼펜꽂이부(33)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볼펜꽂이부(33)는 대략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볼펜꽂이 돌기(33a)가 마련되어, 상기 돌기(33a)를 상기 연결고리홈(39)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연결고리부(30)에 볼펜꽂이부(33)를 탈착가능하게 연결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에 자유로이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볼펜꽂이부(33)를 대체하여 이어폰꽂이부(34)를 마련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꽂이부(34)는 양끝단이 막혀있는 중공원통형상의 이어폰꽂이 본체부(34a)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어폰꽂이 본체부(34a)에는 양끝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일정길이 이어폰 수납홈(34b)이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홈(34b)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나, 양끝단의 홈보다 중앙쪽의 홈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34b)이 형성된 측의 반대측에는 상기 이어폰꽂이 본체부의 일측에 돌출하여 이어폰꽂이 돌기부(34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34c)는 상기 연결고리부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고리홈(39)에 끼워넣어진다.
또한, 상기 볼펜꽂이부(33)를 대체하여 라디오수신부(35)를 마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라디오수신부(35)는, 대략 직방체로 형성된 케이스(35a)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되는 패널(35b)과, 라디오수신회로부(35c)와, 라디오수신 돌기부(35d)와, 증폭회로연결부(35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35b)은 상부면에 다수의 스위치와 채널표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디오수신회로부(35c)는 상기 패널(35b)의 다수의 스위치와 채널표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라디오주파수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35b)과 상기 라디오수신회로부(35c)의 구성은 공지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라디오수신부(35)는 상기 케이스(35a)의 일측에 돌출하여 형성된 라디오수신 돌기부(35d)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35d)는 상기 연결고리홈(39)에 끼워맞추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35a)의 일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라디오수신회로부(35c)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는 증폭회로연결부(35e)가 상기 증폭회로부(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라디오수신회로부(35c)로부터 수신한 라디오신호를 상기 증폭회로연결부(35e)를 통하여 상기 증폭회로부(27)를 거쳐 상기 스피커(31)에 보내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고리부의 연결고리(36)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연결고리의 일끝단에는 연결핀(37a)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37a)을 상기 연결고리부(30)에 마련된 연결핀 걸이부(37)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연결고리를 상기 연결고리부(30)에 부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의 다른 끝단에는 잠금장치(38)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팔목의 굵기에 따라 연결고리의 잠금장치를 원하는 위치에서 잠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는, 착용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굵기로, 예를 들면 사용자의 몸체에 가까운 측의 연결고리는 굵게 형성하고, 손목에 가까운 측의 연결고리는 얇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는, 다양한 형상으로, 예를 들면 한 쌍의 띠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T자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허리띠나 벨트에 착용할 수 있도록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인 연결고리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연결고리부(30)의 일정부위에 큐빅 등의 장식재를 부착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에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수보호커버(40)를 더욱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방수보호커버(40)는, 방수보호비닐(41)과, 체결부(43, 4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수보호비닐(41)는 투명하고 얇은 재질로 구성되면 좋고,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등 특수재질로 구성되어 접었다 펼 수 있는 재질이면 좋다. 상기 방수보호비닐(41)은 상기 연결고리(36a, 36b)의 일측에서 상기 연결고리에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는 열융착고정부(42)를 가지며,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고리를 둘러싸도록 고리(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수보호비닐(41)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방수보호비닐(41)의 다른 끝단을 손으로 잡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휴대폰 부착판과 상기 휴대폰 부착판에 부착된 휴대폰을 둘러싸도록 펼친 후, 타측의 연결고리에 마련된 체결부에서 체결한다. 상기 체결부는, 제 1 체결부(44)와 제 2 체결부(43)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체결부(44)는 타측의 연결고리에 상기 타측의 연결고리를 둘러싸는 고리(環)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부(43)는 타측의 연결고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일끝단이 상기 타측의 연결고리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이 상기 타측의 연결고리로부터 이격하여 타측의 연결고리와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상의 상기 제 1 체결부(44)에 상기 방수보호비닐(41)의 다른 끝단을 끼워넣고 뒤쪽으로 접은 후, 상기 제 1 체결부(44)를 상기 공간에 끼워넣음으로써 체결된다.
또한, 상기 방수보호비닐(41)은,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더형 휴대폰인 경우, 휴대폰의 폴더부분이 끼워넣어질 수 있도록 폴더수납부(45)를 더욱 마련하여, 상기 방수보호비닐(41)을 상기 폴더수납부(45)에 폴더형 휴대폰의 폴더부분 을 집어넣어, 방수보호비닐을 씌운 채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의 제 2 실시예를 도 10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는 제 1 실시예의 압착고무판에 대체하여 휴대폰 부착판(210)을 구비하며, 본체부(220)는 상기 휴대폰 부착판(210)이 부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휴대폰 부착판(210)은, 대략 직방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폰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휴대폰 부착판(20)의 길이방향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의 제 1 고정돌기(211)가 양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본체부(220)의 제 1 고정홈(223)에 끼워맞추어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휴대폰 부착판(210)의 단변방향의 일측끝단에는 본체부의 제 2 고정홈(224)에 끼워넣어지는 제 2 고정돌기(2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 부착판(210)의 상부에는 얇은 판 형상의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213)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 부착판(210)과 휴대폰과를 접착시킨다.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의 본체부(220)는 대략 중앙부분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221)에는 상기 휴대폰 부착판(210)이 착탈가 능하게 끼워넣어진다.
상기 본체부(220)의 양측, 즉 상기 오목부(221)의 상하 양측에는 후술하는 이어폰 케이스부(123)와 안전고리부와 증폭회로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20)의 길이방향의 양측 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걸림돌기(222)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걸림돌기(222)의 돌출형성에 따라 상기 제 1 걸림돌기(222)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고정돌기(211)가 끼워맞추어지는 제 1 고정홈(22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걸림돌기(222)에는 판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고, 상부에는 완만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휴대폰이 부착된 상기 휴대폰 부착판을 눌러 고정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220)의 오목부(221)의 상하 양측, 즉 이어폰 케이스와 안전고리부와 증폭회로부 등이 설치된 측에는 제 2 고정홈(224)과 제 2 걸림돌기(2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고정홈(224)은 상기 본체부의 수직벽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 부착판의 제 2 고정돌기(212)가 끼워넣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걸림돌기(225)는 상기 제 1 걸림돌기(222)와 동일하게 판 스프링이 내장되어 탄성력에 의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걸림돌기(225)의 상부는 상기 제 1 걸림돌기(222)와 동일하게 완만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휴대폰 부착판(210)의 보다 안전한 고정을 위하여 상부에 파지용 오목홈(225a)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21)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착용기기에 있어서는, 이어폰 꽂이부가 제 1 실시예의 안전고리부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어폰 꽂이부(123)은, 케이스(123a)와, 상기 케이스(123a)에 설치되는 고정축(123b)과, 상기 고정축에 끼워넣어지는 보빈(123d)과, 상기 보빈(123d)에 감겨지는 이어폰 연결선(123e)과, 상기 보빈에 설치되며 자동으로 상기 이어폰 연결선(123e)를 되감는 판스프링(123h)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이어폰 연결선이 통과하는 연결선출입구(123f)와, 상기 연결선출입구(123f)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이어폰 연결선(123e)를 지지하는 연결선가이드(123g)로 구성되며, 이어폰 연결선은 본체부에 마련된 증폭회로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꽂이부(123)는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두겹으로 형성된 연결고리의 한 겹을 떼어내고 연결고리의 두겹 사이에 배선을 하여 연결고리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어폰의 일측끝단이 상기 증폭회로부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마이크로폰 또는 스피커는 두겹으로 형성된 연결고리의 한 겹을 떼어내고 연결고리의 두겹 사이에 배선을 하여 연결고리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 인 실시예는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휴대폰 착용기기에 의하면, 휴대폰 압착고무판에 휴대폰을 가압하는 것만으로 휴대폰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폰 착용이 보다 간편하다. 또한, 휴대폰 압착고무판이 설치된 본체부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을 본체부로부터 분리하여 통화가 가능하고 휴대폰고리에 안전고리부의 와이어와 연결된 안전고리를 체결함으로써, 실수로 휴대폰을 손에서 놓치거나 야외작업이나 운동시 휴대폰을 떨어뜨리더라도 바닥에 휴대폰을 부딪치거나 하여 휴대폰이 고장날 염려가 없어 보다 안전한 휴대폰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폰 착용기기에 별도의 마이크나 스피커를 구성하여 사무중이나 야외에서나 작업장에서도 팔목 등에 착용한 채로 통화가 가능하며, 상기 마이크나 스피커를 위한 배터리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스피커나 마이크를 통하여 통화하더라도 휴대폰 자체의 전원을 소비하지 않고 통화를 오래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폰 착용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볼펜이나 이어폰을 꽂거나 라디오를 수신할 수 있도록 볼펜꽂이부나 이어폰꽂이부 또는 라디오수신부를 분리하여 선택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고, 방수보호커버를 마련하여 야외에서나 작업장, 레저스포츠활동 중에도 비가 오거나 수중작업에서도 휴대폰이 물에 젖어 고장나거나 할 염려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 착용기기의 연결고리부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함으로써, 착용기기의 미감을 향상시켜 착용기기를 액세서리화하여 야외나 스포츠 활동에도 적합한 착용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휴대폰 착용기기에 있어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날개부(12)와, 휴대폰(2)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날개부(1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수동탈착부(13)를 가지며, 가압에 의해 휴대폰(2)에 진공압착되는 압착고무판(10)과;
    상부면에 상기 압착고무판(10)이 장착되는 오목부(21)를 가지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팔목이나 발목 또는 허리벨트를 감싸는 한 쌍의 연결고리(36)로 구성된 연결고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고무판(10)은, 일끝단이 상기 제 1 수동탈착부(13)의 일끝단에 연결되며, 타끝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가느다란 실형상의 제 2 수동탈착부(14)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의 양끝단에 볼록하게 돌출하여 설치되는 탄성지지부(22)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휴대폰(2)에 형성된 휴대폰 고리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는 안전고리(24)가 일끝단에 형성된 와이어(23e)를 수납하는 안전고리부(23)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안전고리부(23)는, 케이스(23a)와, 상기 케이스(23a)에 설치되는 고정축(23b)과, 상기 고정축에 끼워넣어지는 보빈(23d)과, 상기 보빈(23d)에 감겨지는 와이어(23e)와, 상기 보빈에 설치되며 자동으로 상기 와이어(23e)를 되감는 판스프링(23h)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출입구(23f)와, 상기 와이어출입구(23f)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23e)를 지지하는 와이어가이드(23g)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스피커(31)와 마이크로폰(32)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고,
    휴대폰의 음성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휴대폰 연결부(25)와,
    상기 휴대폰 연결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회로부(27)와,
    증폭된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31)에 송신하는 스피커연결부(27b)와,
    상기 마이크로폰(32)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상기 휴대폰(2)에 송신하는 마이크로폰 연결부(27c)와,
    상기 스피커(31)와 상기 마이크로폰(32)과 상기 증폭회로부(27)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8)와,
    상기 휴대폰 연결부(25)를 통하여 상기 휴대폰(2)과의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개시하는 통화스위치(26)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부(30)는,
    일측에 끼워맞춤 돌기부(33a)를 구비한 중공 원통형상의 볼펜꽂이부(33)와,
    상기 볼펜꽂이부(33)를 끼워넣을 수 있는 연결고리 홈(39)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부는,
    양끝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이어폰 수납홈(34b)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상의 이어폰꽂이 본체부(34a)와, 상기 이어폰꽂이 본체부(34a)의 일측에 돌출하여 형성 된 이어폰꽂이 돌기부(34c)를 구비한 이어폰꽂이부(34)와,
    상기 연결고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34c)를 끼워넣을 수 있는 연결고리 홈(39)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부는,
    상부면에 다수의 스위치와 채널표시부가 형성된 패널(35b)과, 상기 패널(35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라디오주파수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라디오수신회로부(35c)와, 상기 패널(35b)과 상기 라디오수신회로부(35c)가 수납되는 라디오수신케이스(35a)와, 상기 케이스(35a)의 일측에 돌출하여 형성된 라디오수신 돌기부(35d)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증폭회로부와 연결되는 증폭회로연결부(35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라디오수신부(35)와,
    상기 연결고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35d)를 끼워넣을 수 있는 연결고리 홈(39)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부(30)는 방수보호커버(4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수보호커버(40)는,
    일끝단이 연결고리의 일측에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는 방수보호비닐(41)과;
    타측의 연결고리에 형성되고 상기 타측의 연결고리를 둘러싸는 고리형상의 제 1 체결부(44)와;
    타측의 연결고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일끝단이 상기 타측의 연결고리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이 상기 타측의 연결고리로부터 이격하여 타측의 연결고리와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리형상의 제 1 체결부(44)에 상기 방수보호비닐(41)을 끼워넣고 접은 후 상기 제 1 체결부(44)를 상기 공간에 끼워넣음으로써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 2 체결부(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28)는,
    상기 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하여 건전지 등을 수납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거나,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충전기기에 의해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11. 휴대폰 착용기기에 있어서,
    상부에 얇은 판 형상의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213)과, 길이방향의 하부의 양측에 형성된 제 1 고정돌기(211)와, 단변방향의 일측끝단에 형성된 제 2 고정돌기(212)를 구비하는 휴대폰 부착판(210)과,
    상기 휴대폰 부착판(210)이 착탈가능하게 끼워넣어지는 오목부(221)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양측 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판 스프링이 내장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한제 1 걸림돌기(222)와, 상기 제 1 고정돌기(211)가 끼워맞추어지는 제 1 고정홈(223)과, 상기 오목부의 상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판 스프링이 내장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한 제 2 걸림돌기(225)와, 상기 오목부의 상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고정돌기가 끼워넣어지는 제 2 고정홈(224)를 구비하는 본체부(220)와,
    상기 본체부(220)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팔목이나 발목 또는 허리벨트를 감싸는 한 쌍의 연결고리(36)로 구성된 연결고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돌기(222)는 상부가 완만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돌기(225)는 상부에 파지용 오목홈(225a)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21)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이어폰 꽂이부와, 스피커는 두겹으로 형성된 연결고리의 한 겹을 떼어내고 연결고리의 두겹 사이에 배선을 하여 연결고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이어폰 꽂이부(123)은, 케이스(123a)와, 상기 케이스(123a)에 설치되는 고정축(123b)과, 상기 고정축에 끼워넣어지는 보빈(123d)과, 상기 보빈(123d)에 감겨지는 이어폰 연결선(123e)과, 상기 보빈에 설치되며 자동으로 상기 이어폰 연결선(123e)를 되감는 판스프링(123h)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이어폰 연결선이 통과하는 연결선출입구(123f)와, 상기 연결선출입구(123f)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이어폰 연결선(123e)를 지지하는 연결선가이드(123g)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기기.
KR2020070005768U 2007-04-09 2007-04-09 휴대폰 착용기기 KR200443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768U KR200443486Y1 (ko) 2007-04-09 2007-04-09 휴대폰 착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768U KR200443486Y1 (ko) 2007-04-09 2007-04-09 휴대폰 착용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562U true KR20080004562U (ko) 2008-10-14
KR200443486Y1 KR200443486Y1 (ko) 2009-02-18

Family

ID=4134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768U KR200443486Y1 (ko) 2007-04-09 2007-04-09 휴대폰 착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4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048B1 (ko) * 2011-01-05 2014-02-14 송민기 휴대폰 장치가 장착된 벨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571B1 (ko) 2009-02-23 2011-03-09 송민기 손목 착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048B1 (ko) * 2011-01-05 2014-02-14 송민기 휴대폰 장치가 장착된 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486Y1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9640B2 (en) Mobile accessory system
KR100642310B1 (ko)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US5793865A (en) Cordless headset telephone
US5721775A (en) Cordless headset telephone
JP4231525B2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US20090069060A1 (en) Clip-on wireless device with retractable ear piece
US201303311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arable wireless speakerphone
WO2006031320A1 (en) Adapter for a modula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643528B1 (en) Integrated radiotelephone holster and audio appliance
KR20060097686A (ko) 휴대용 무선 헤드셋
KR100795156B1 (ko) 휴대폰 착용기기
KR200443486Y1 (ko) 휴대폰 착용기기
CN208940193U (zh) 一种利用手机耳机接口携带的充电蓝牙耳机
KR200342564Y1 (ko) 버클폰
CN100518200C (zh) 便携式通信终端
US20030032461A1 (en) Earpiec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N210670185U (zh) 单手操作装置、自拍杆、手机支架、车载支架和移动电源
KR100317903B1 (ko) 벨트와일체로결합된핸드폰
KR101363048B1 (ko) 휴대폰 장치가 장착된 벨트
KR200282058Y1 (ko) 이어폰형 핸즈프리가 내장된 핸드폰 휴대장치
CN210745135U (zh) 一种颈环对讲机
KR200414159Y1 (ko) 휴대전화 핸즈프리 기능이 내장된 파우치
JPH1168904A (ja) マイク・イヤホン分離型携帯電話機
KR200233030Y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목걸이형 이어폰
KR20090000629U (ko) 블루투스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