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493U - 집진기 - Google Patents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493U
KR20080004493U KR2020070005636U KR20070005636U KR20080004493U KR 20080004493 U KR20080004493 U KR 20080004493U KR 2020070005636 U KR2020070005636 U KR 2020070005636U KR 20070005636 U KR20070005636 U KR 20070005636U KR 20080004493 U KR20080004493 U KR 200800044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or
filter
dust
filter assembly
filt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3514Y1 (ko
Inventor
강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Priority to KR2020070005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514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4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4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5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하는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집진기 본체상에 필터 어셈블리를 설치할 때 가이드 레일을 이용하여 삽입하는 새로운 설치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필터 어셈블리의 설치 및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필터 어셈블리의 필터백 교환시 필터를 슬라이드 삽입식으로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는 새로운 필터 어셈블리 조합 형태를 구현함으로써, 필터백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 필터백의 분진 탈리를 위한 에어분사수단의 솔레노이드를 집진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한 새로운 집진기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솔레노이드 점검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집진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건강이나 작업공간을 분진 등의 환경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집진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작업현장, 분진, 여과, 집진기, 필터 어셈블리, 필터백, 경사가이드레일

Description

집진기{Dust collecto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에서 필터 어셈블리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진기 본체 11 : 프레임
12 : 경사가이드레일 13 : 필터백
14 : 필터 어셈블리 15 :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
16 : 체결용 볼트 17 : 받침턱
18 : 홀 19 : 플랜지
20 : 에어분사장치 21 : 솔레노이드
22 : 필터실 23 : 집진실
24 : 에어분사노즐 25 : 블로워실
26 : 흡입구 27 : 배출구
본 고안은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하는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백 및 필터 어셈블리의 설치 및 교체 작업성이 매우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부유하는 먼지를 포집하고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정화장치이다.
보통 집진기는 먼지와 이물질 등의 각종 분진을 유입구를 통하여 흡입한 후, 집진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필터백에서 걸러서 분진이 제거된 청정 공기를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편, 필터백에 집진된 분진은 콤프레서를 작동시켜 압축공기를 분사노즐관으로 일정한 시간과 간격으로 필터백에 역분사시킴으로써, 필터백의 외부 표면에 집착된 분진을 탈리시켜 하부의 분진 배출기를 통하여 포집된 분진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집진기는 작업과정에서 먼지 등의 분진을 다량으로 발생시키는 산업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의류, 제사, 면방, 제분, 황토제품, 연마, 시멘트 등의 많은 공장이나 제철소와 같이 공기중에 많은 먼지와 분진이 떠다니는 곳에서는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집진기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각종 부유 먼지나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로서, 필터의 교체 및 청소, 세척이 집진기의 수명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집진기의 경우 집진기 본체에 필터 어셈블리를 설치함에 있어 대부분이 필터 어셈블리의 프레임 사방 또는 더 많은 부위에 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구멍과 일치하는 집진기 본체에도 구멍을 천공하여 볼트와 너트 등으로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필터 에셈블리의 설치나 교체시 집진기 본체상에 필터 어셈블리를 드라이버나 기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체결 또는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대부분의 사용자가 필터의 교체나 점검 등을 자주하지 아니하여 집진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필터 어셈블리 설치시 작업자가 손으로 필터 어셈블리를 지지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작업 또는 노브 조작작업 등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고, 또 필터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필터 어셈블리 프레임에 볼트가 부착된 필터를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야 하므로, 필터 장착작업 또한 시간적으로나 노동력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집진기 본체상에 필터 어셈블리를 설치할 때 가이드 레일을 이용하여 삽입하는 새로운 설치방 식을 구현함으로써,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필터 어셈블리의 설치 및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집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필터 어셈블리의 필터백 교환시 필터를 슬라이드 삽입식으로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는 새로운 필터 어셈블리 조합 형태를 구현함으로써, 필터백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집진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필터백의 분진 탈리를 위한 에어분사수단의 솔레노이드를 집진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한 새로운 집진기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솔레노이드 점검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집진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하는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기 본체의 프레임 저면부에는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태의 경사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집진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다수의 필터백을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는 그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경사가이드레일을 따라 삽입된 후 플레이트 선단부가 수평으로 들려진 상태에서 프레임상에 체결용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경사가이드레일의 하단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받침턱에 얹혀지는 상태로 안내를 받으면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필터백은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홀 내에 끼워지는 동시에 그 상단 주연부에 있는 플랜지를 이용하여 홀 주변에 얹혀져 지지되는 형태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나의 단위 필터 어셈블리가 포함하는 필터백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원통형 필터백 또는 적어도 2개의 원통형 필터백에 상응하는 여과면적을 가지는 하나의 장원형 필터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진기 본체는 필터백의 분진 탈리를 위한 에어분사장치의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솔레노이드는 집진기 본체)의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점검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기의 본체(10)는 분진 등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상부의 블로워실(25), 실질적으로 분진을 여과하기 위한 다수 개의 필터 어셈블리(14)가 배치되어 있는 하부의 필터실(22), 아래로 떨어지는 분진의 수집을 위한 아래쪽의 집진실(23), 필터백(13)에 달라붙어 있는 분진을 털어주기 위하여 필터실(22)의 상부에 배치되는 에어분사장치(20)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집진기 본체(10)에는 분진 등을 포함하는 공기의 흡입과 정화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아래쪽의 흡입구(26)와 윗쪽의 배출구(27)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로워실(25)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팬(미도시)가 작동하게 되면, 흡입구(26)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본체 안으로 흡입되고, 이렇게 흡입된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14)의 필터백(13)을 거쳐 여과된 후, 계속해서 배출구(2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여과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장치(20)의 경우에는 컴프레서 등과 같은 외부의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받는 고압의 에어를 역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분출시키는 에어분사노즐(24)이 구비되고, 이 에어분사노즐(24)에서 분출되는 고압의 에어는 솔레노이드(21)의 작동을 통해 제어되면서 아래쪽의 필터 어셈블리(14)측으로 보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솔레노이드(21)는 집진기 본체(10)의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집진기 본체(10)의 전면 커버를 제거한 후 내부를 개방하면 바로 앞쪽에 솔레노이드(21)가 위치되기 때문에 점검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종전과 같이 솔레노이드가 본체 내부의 뒷쪽으로 위치됨으로 인한 작업상의 불편함없이 점검 등의 작업을 매우 수월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필터 어셈블리(14)의 설치나 교체를 위한 분리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집진기 본체(10)의 내부 중간 위치에서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11)의 저면부에는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태, 즉 본체 앞쪽이 낮고 뒷쪽이 높게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가이드레일(12)이 형 성된다.
이때의 경사가이드레일(12)은 하단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받침턱(17)을 가지는 2개의 플레이트를 그 받침턱(17)을 안쪽으로 하는 동시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부를 이용하여 프레임(11)의 저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체 좌우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3개의 경사가이드레일(12)을 적용한 집진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가이드레일(12)을 이용하여 필터 어셈블리(14)를 집진기 본체(10)에 설치하는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14)의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15)를 경사가이드레일(12)을 따라 앞쪽에서 뒷쪽으로 삽입한 후,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15)의 선단부, 즉 앞부분을 들어 올려 플레이트 전체가 수평이 되도록 한 다음,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15)의 앞부분을 프레임(11)상에 체결용 볼트(16)를 체결하면, 필터 어셈블리(14)의 설치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교체 등을 위해 필터 어셈블리(14)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체결용 볼트(16)만 풀고 앞쪽으로 당기기만 하면 손쉽게 필터 어셈블리(14)를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14)의 삽입시 경사가이드레일(12)의 하단에 있는 받침턱(17)에 얹혀지는 상태로 안내를 받으면서 삽입되므로, 작업자는 삽입부터 체결까지의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집진기 본체(10)의 프레임(11)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가이드레일(12)을 이용하여 필터 어셈블리(14)를 밀어넣는 방식으로 삽입한 다음, 앞쪽에 있는 체결용 볼트(16)를 프레임(11)에 체결하면 필터 어셈블리(14)의 설치를 마칠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필터 어셈블리를 떨어지지 않도록 한손으로 잡고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힘들게 볼트 및 너트를 일일이 체결하는 것과 비교할 때, 작업성 측면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필터 어셈블리(14)의 필터백(13)을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종전과 같이 볼트 및 너트로 다수 곳을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홀 내에집어 넣거나 빼내는 방식으로 손쉽게 필터백(13)을 장착 또는 탈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14)는 필터백(13)을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홀(18)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 판체 형태로 이루어진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15)와, 상기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15)를 지지수단으로 하여 장착되는 다수의 필터백(1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백은 통형상의 외부 여과포 및 이것의 내측에 장착되는 내부 여과포로 이루어진 공지의 이중 여과포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내부 여과포의 내측 공간부는 아래로 개방되고, 외부 여과포와 내부 여과포 사이의 공간부는 위로 개구되도록 구성되어서, 블로워실의 구동팬 작동에 의해 진공 흡입되는 공기는 외부 여과포의 둘레부와 내부 여과포의 내측 공간부를 통해 흡입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필터백(13)은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15)에 있는 홀(18)을 통해 끼워지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백(13)은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15)에 형성되어 있는 홀(18) 내에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끼워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그 상단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9)를 통해 홀(18)의 주변에 얹혀져 지지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또한, 필터백(13)을 윗쪽으로 잡아 빼내면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15)로부터 필터백(13)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이렇게 필터백(13)을 종전과 같이 볼트 및 너트 체결하지 않고 삽입하는 방식으로 장착함으로써, 필터백 장착 및 탈거 작업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나의 단위 필터 어셈블리(14)의 경우(본 고안에서는 3개의 단위 필터 어셈블리가 하나의 집진기에 적용된다), 다수 개의 필터백(13)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원통형 필터백의 경우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장원형 필터백의 경우에는 1개 정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원형 필터백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원통형 필터백에 상응하는 여과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렇게 장원형 필터백을 사용하는 경우, 한정된 공간 내에서 필터수를 줄임과 동시에 여과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 풍량에서 여과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본체 자체를 크게 하고 필터의 수량을 늘려야 하는데, 이 경우 비용이 높아짐으로 인해 경제적인 부담이 높게 된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장원형 필터백을 적용함에 따라 필터의 수량은 줄이면서 여과면적을 극대화시켜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집진기에 대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집진기 본체(10)의 상부에 조성되어 있는 블로워실(25)의 구동팬 작동에 따라 분진이 혼합된 공기가 유입구(26)를 통해 진공 흡입되면, 이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 등의 이물질은 필터 어셈블리(14)의 각 필터백(13)을 통과하면서 걸러지게 된다.
계속해서, 필터백(13)을 빠져나온 공기는 프레임(11)상의 개구공간을 통해 상부로 유도되면서 최종적으로 배출구(2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집진기는 일정 주기마다 에어분사장치(20)의 에어분사노즐(24)을 통해 고압의 에어를 역분출시켜서 필터백(13)의 둘레면에 달라붙은 분진을 털어내어 집진기 본체(10)의 하측의 마련되어 있는 집진실(23)로 낙하되도록 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 유사하다.
한편, 필터 어셈블리(14)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는 앞쪽의 체결용 볼트(16)를 해제한 후, 경사가이드레일(12)을 따라 필터 어셈블리(14) 전체를 그대로 빼내면 손쉽게 필터 어셈블리(14)를 분리할 수 있고, 또 새것으로 재차 설치하는 경우에도 경사가이드레일(12)을 이용하여 필터 어셈블리(14)를 그대로 밀어 넣은 후, 앞쪽의 체결용 볼트(16)만 프레임(11)에 체결하면 필터 어셈블리(14)의 설치 또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어셈블리(14)로부터 필터백(13)을 탈거 또는 장착하는 경우,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15)의 홀(18)로부터 필터백(13)만 잡아 빼내거나 홀(18) 내 에 집어 넣어 끼우는 삽입방식으로 용이하게 필터백(13)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에어분사장치(20)의 솔레노이드(21)를 조작하거나 점검하는 경우, 종전에는 솔레노이드가 집진기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조작 및 수리가 용이하지 않았으나, 본 고안에서는 솔레노이드(21)가 집진기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조작이나 점검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경사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끼운 후 체결하는 방식으로 필터 어셈블리를 설치 및 교체함으로써, 필터 어셈블리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을 손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필터 어셈블리의 조립시 필터만 그대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쉽게 필터를 장착할 수 있어 필터 교환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 집진기 본체의 후면에 있던 솔레노이드를 전면으로 전진 배치하여 솔레노이드 점검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하는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기 본체(10)의 프레임(11) 저면부에는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태의 경사가이드레일(12)이 형성되고, 집진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다수의 필터백(13)을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14)는 그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15)를 이용하여 경사가이드레일(12)을 따라 삽입된 후 플레이트(15) 선단부가 수평으로 들려진 상태에서 프레임(11) 상에 체결용 볼트(16)에 의해 체결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14)는 경사가이드레일(12)의 하단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받침턱(17)에 얹혀지는 상태로 안내를 받으면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14)의 필터백(13)은 필터백 고정용 플레이트(15)에 형성되어 있는 홀(18) 내에 끼워지는 동시에 그 상단 주연부에 형성된 플랜지(19)에 의 해 홀(18) 주변에 얹혀져 지지되는 형태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위 필터 어셈블리(14)가 포함하는 필터백(13)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원통형 필터백 또는 적어도 2개의 원통형 필터백에 상응하는 여과면적을 가지는 하나의 장원형 필터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 본체(10)는 필터백의 분진 탈리를 위한 에어분사장치(20)의 솔레노이드(21)를 포함하되, 상기 솔레노이드(21)는 집진기 본체(10)의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점검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KR2020070005636U 2007-04-05 2007-04-05 집진기 KR200443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636U KR200443514Y1 (ko) 2007-04-05 2007-04-05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636U KR200443514Y1 (ko) 2007-04-05 2007-04-05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493U true KR20080004493U (ko) 2008-10-09
KR200443514Y1 KR200443514Y1 (ko) 2009-02-19

Family

ID=4132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636U KR200443514Y1 (ko) 2007-04-05 2007-04-05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51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147B1 (ko) * 2010-11-23 2011-09-22 허영숙 오일 미스트 집진장치
KR101450304B1 (ko) * 2012-06-08 2014-10-21 (주) 동명에스티 집진기
KR102618253B1 (ko) 2023-07-11 2023-12-27 주식회사 오토링크 집진기용 분진 배출장치
CN117563335A (zh) * 2024-01-15 2024-02-20 山东承泽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锌烟处理回收装置以及紧固机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147B1 (ko) * 2010-11-23 2011-09-22 허영숙 오일 미스트 집진장치
KR101450304B1 (ko) * 2012-06-08 2014-10-21 (주) 동명에스티 집진기
KR102618253B1 (ko) 2023-07-11 2023-12-27 주식회사 오토링크 집진기용 분진 배출장치
CN117563335A (zh) * 2024-01-15 2024-02-20 山东承泽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锌烟处理回收装置以及紧固机构
CN117563335B (zh) * 2024-01-15 2024-04-05 山东承泽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锌烟处理回收装置以及紧固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514Y1 (ko)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242B1 (ko) 집진기용 백필터의 분진 탈진장치
CN210255603U (zh) 一种机械加工用钢板表面除锈装置
KR101044658B1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KR200443514Y1 (ko) 집진기
KR20140032245A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KR101082309B1 (ko) 운전중에도 필터의 클리닝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집진기
KR20100009691U (ko) 사이크론 전기집진기
CN110975492A (zh) 一种自动除尘设备
KR101416563B1 (ko) 공기정화장치
CN213611937U (zh) 一种破碎机除尘设备
KR100645845B1 (ko) 서랍형 백 필터 집진장치
KR100845958B1 (ko) 집진기의 필터고정구조
KR101254924B1 (ko) 필터교환이 용이한 집진기
KR101149615B1 (ko) 휴대용 집진장치
CN217220635U (zh) 一种环保型光氧废气处理设备
KR100761318B1 (ko) 원통형 여과포를 이용한 집진장치
KR20040047086A (ko) 개별 분리형 백 필터 유닛을 구비하는 집진기
KR100815456B1 (ko) 양방향에 탈진부가 구비된 집진장치
KR200331097Y1 (ko) 작업대가 부설된 집진장치
KR200473251Y1 (ko) 필터 교체의 편리성과 분진 흡입 및 필터링의 동선 단축으로 인한 효율성이 있는 이동형 집진기
KR200310134Y1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실내 집진장치
CN102794287B (zh) 多工位节能低噪除尘系统
KR20040056194A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이동형 집진장치
KR20030067262A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착구조
KR200310131Y1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