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990A -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 및 여기에 사용된 오방향 밸브 - Google Patents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 및 여기에 사용된 오방향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990A
KR20080003990A KR1020060062392A KR20060062392A KR20080003990A KR 20080003990 A KR20080003990 A KR 20080003990A KR 1020060062392 A KR1020060062392 A KR 1020060062392A KR 20060062392 A KR20060062392 A KR 20060062392A KR 20080003990 A KR20080003990 A KR 20080003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ste water
way valve
wastewater
filt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3803B1 (ko
Inventor
정방균
Original Assignee
정방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방균 filed Critical 정방균
Priority to KR102006006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803B1/ko
Publication of KR2008000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1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s from heat-exchange fluids, e.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2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water or from condens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 및 역세의 동시 진행형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여재가 충전되고 폐수가 유동하는 독립된 여과기로 이루어진 자동 여과 장치와; 상기 여과 장치의 각 여과기에 각각 연결되어 여과기에 폐수를 공급하고 공급받으며 그 내부를 유동하는 폐수의 유로를 제어할 수 있는 제 1,2 오방향 밸브와; 상기 제 2 오방향 밸브와 연결되어 제 2 오방향 밸브에서 배출된 폐수와 열교환되는 폐수열 회수기와; 상기 물를 제 1 오방향 밸브와 제 1여과기, 제 2 오방향 밸브를 거쳐 폐수열 회수기에서 열교환시키고 다시 제 2 오방향 밸브와 제 2여과기, 제 1 오방향 밸브로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자동 여과 장치를 통해서 여과와 역세가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폐수열 회수 시스템의 중단없이 지속적인 폐수열을 회수할 수 있다. 역세척과정에서 별도의 물 소비가 발생하지 않아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과, 세척, 동시, 폐수열 회수 시스템, 여과기, 폐수열 회수기, 여재

Description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System for recovering heat of waste water using auto-filte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제 1여과기가 여과하고 제 2여과기가 역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제 1여과기가 역세하고 제 2여과기가 여과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열 회수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열 회수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회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 여과 장치 110 : 제 1 여과기
111,112 : 도관 113 : 관
114 : 여재 120 : 제 2 여과기
121,122 : 도관 123 : 관
124 : 여재 200 : 제 1 오방향 밸브
210 : 실린더 220 : 피스톤
222,224 : 격판 300 : 제 2 오방향 밸브
310 : 실린더 320 : 피스톤
322,324 : 격판 400 : 폐수열 회수기
410 : 펌프 420 : 진공압력센서
A1∼A5 : 제 1 오방향 밸브의 각 도관
B1∼B5 : 제 2 오방향 밸브의 각 도관
본 발명은 여과 및 역세의 동시 진행형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폐수열 회수 시스템로서 여과와 역세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여과 및 역세의 동시 진행형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자동 여과 장치의 운전은 여과공정과 세척공정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자동 여과 장치의 여과공정이란 부유물질을 함유한 원수를 폐수열 회수 시스템에 유입시켜 부유물질(이하 '슬러지'라 칭함)이 제거된 깨끗한 원수를 배출시키는 공정으로, 원수중의 슬러지를 여과기의 여과층 내의 공극에 체분리, 침전, 관성충돌, 차단, 흡착, 응집 등의 복잡한 메카니즘으로 억류 및 포획시키고, 깨끗한 물만 원수로서 배출시키는 과정이다.
여과공정을 계속하게 되면, 여과층 내의 공극은 점점 슬러지로 채워지고 여과저항이 증가하여 더 이상 여과공정을 계속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때, 깨끗한 세척수와 공기 등을 여과공정과 반대방향으로 주입하여 공극에 포획된 슬러지를 배제시키기 위한 세척공정이 필요하다. 이때, 세척수의 흐름이 원수의 흐름과 반대방향이므로 이 세척공정을 역세공정이라 한다.
따라서, 여과기의 성능은 슬러지의 제거효율, 여과속도, 여과지속시간, 세척수 사용량, 세척빈도 및 세척시간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러므로, 폐수열 회수 시스템의 성능은 여과기의 성능에 크게 의존한다.
여과층에 충전하는 여재는 모래, 안스라사이트, 무연탄 등과 같은 무기 입상의 재질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여재는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과 이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극의 크기보다 작은 입자도 제거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재로 형성된 여과층은 슬러지를 포획할 수 있는 공간이 표층 부근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극의 폐색으로 인한 여과저항의 급속한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역세척을 자주 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는데, 이와 같은 역세척은 통상적으로 하루에 3∼4회에 걸쳐 폐수열 회수 시스템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1분 내지 2분 동안 세척수로서 여재를 깨끗하게 세척하여 슬러지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역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는 통상적으로 하루에 3톤정도가 사용되므로 인해 많은 양의 물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과와 역세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여과기를 이용함으로써 폐수열 회수 시스템의 중단없이 사용할 수 있고 역세척과정에서 별도의 물 소비가 발생하지 않아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여과 및 역세의 동시 진행형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과 및 역세의 동시 진행형 여과기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은, 내부에 여재가 충전되고 폐수가 유동하는 독립된 두 개의 여과기로 이루어진 자동 여과 장치와; 상기 자동 여과 장치의 각 여과기에 각각 연결되어 자동 여과 장치에 폐수를 공급하고 공급받으며 그 내부를 유동하는 폐수의 유로를 제어할 수 있는 제 1,2 오방향 밸브와; 상기 제 2 오방향 밸브와 연결되어 제 2 오방향 밸브에서 배출된 폐수와 열교환되는 폐수열 회수기와; 상기 폐수를 제 1 오방향 밸브와 자동 여과 장치, 제 2 오방향 밸브를 거쳐 폐수열 회수기에서 열교환시키고 다시 제 2 오방향 밸브와 자동 여과 장치, 제 1 오방향 밸브로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여과기의 진공압을 감지하는 진공압력센서가 제 2여과기와 펌프 사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방향 밸브는 진공압력센서의 압력에 따라서 작동되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어지며, 상기 오방향 밸브에는 실린더내에서 이동되면서 오방향 밸브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격판이 피스톤에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 여과 장치의 각 여과기에는 오방향 밸브를 통한 폐수를 여과기의 하면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여과기 하부의 폐수를 오방향 밸브로 배출시키는 관이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제 1여과기가 여과하고 제 2여과기가 역세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제 1여과기가 역세하고 제 2여과기가 여과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열 회수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열 회수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 및 역세의 동시 진행형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여과 장치(100) 및 제 1 오방향 밸브(200) 및 제 2 오방향 밸브(300)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 여과 장치(100)는 제 1,2 오방향 밸브(200)(300)와 연결되어 그 내부로 원수 및 세척수가 유입되고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 여과 장치(100)는 그 내부가 각각 독립된 여과기(110)(120)로 형성되어 있고, 각 여과기(110)(120)에는 여재(모래)(114)(124)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각 여과기(110)(120)에는 복수개의 도관(111)(112)(121)(122)이 설치되고, 이 도관 중 하나의 도관(이하 '긴 도관'이라 한다)(112)(122)에는 그 하부가 여재(114)(124)에 묻히도록 설치된 관(113)(123)이 연결되어, 오방향 밸브(200)(300)를 통한 원수나 세척수를 여과기(110)(120)의 하면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여과기(110)(120) 하부의 폐수를 오방향 밸브(200)(300)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여과기(110)(120)의 나머지 도관(이하 '짧은 도관'이라 한다)(111)(121)은 여과기(110)(120)의 상면에만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짧은 도관(111)(121)의 하부가 여과기(110)(120)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 2오방향 밸브(100)와 펌프(410)사이에는 여과기의 진공압을 감지하는 진공압력센서(420)가 설치된다.
상기 제 1,2 오방향 밸브(200)(300)는 에어 실린더(210)(310)에 피스톤(220)(320)이 관통되어 이동된다.
상기 실린더(210)(310)내에 위치된 피스톤(220)(320)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격판(222)(224)(322)(324)이 설치되어 후술하는 실린더(210)(310)의 각 도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오방향 밸브(200)(300)의 유로를 전환시킨다.
상기 제 1 오방향 밸브(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에 3개의 도관이 설치되고, 하부측에는 2개의 도관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 1오방향 밸브의 상부측의 도관은 중앙의 제 1 도관(A1)과 양편의 제 4,5 도관(A4)(A5)으로 구성되고, 하부측의 도관은 각각 제 2 도관(A2)과 제 3 도관(A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도관(A1)은 외부의 원수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되어 원수가 공급되고, 상기 제 4,5 도관(A4)(A5)은 세척한 폐수를 방류하기 위한 도관이다.
상기 제 2 도관(A2)은 자동 여과 장치(100)의 제 1 여과기의 짧은 도관(111)과 연결되고, 상기 제 3 도관(A3)은 제 2 여과기(120)의 짧은 도관(121)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각 도관(A1)(A2)(A3)(A4)(A5)은 상기 피스톤(220)의 격판(222)(224)에 의해 제 1,2 도관(A1)(A2), 제 3,4 도관(A3)(A4)이 연통되고, 상기 격판(222)(224)의 조정시에는 제 1,3 도관(A1)(A3), 제 2,5 도관(A2)(A5)이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 2 오방향 밸브(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에 2개의 도관이 설치되고, 하부측에는 3개의 도관이 설치된다.
상기 제 2 오방향 밸브의 상부측의 도관은 각각 제 1 도관(B1)과 제 5 도 관(B5)으로 구성되고, 하부측의 도관은 중앙의 제 4 도관(B4)과 양편의 제 1,3 도관(B1)(B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도관(B1)은 자동 여과 장치(100)의 제 1 자동 여과 장치(110)의 긴 도관(112)과 연결되고, 상기 제 5 도관(B5)은 제 2 여과기(120)의 긴 도관(122)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각 도관(B1)(B2)(B3)(B4)(B5)은 상기 피스톤(320)의 격판(322)(324)에 의해 제 1,2 도관(B1)(B2), 제 4,5 도관(B4)(B5)이 연통되고, 상기 격판(322)(324)의 조정시에는 제 1,4 도관(B1)(B4)과, 제 3,5 도관(B3)(B5)이 연통된다.
상기 폐수열 회수기(400; 열교환기)는 제 2 오방향 밸브(300)와 관으로 연결되어 원수와 열교환되되, 상기 폐수열 회수기(400)의 입구측에는 제 2,3 도관(B2)(B3)이 연결되고, 출구측에는 제 4 도관(B4)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폐수열 회수기(400)의 입구 전방측 즉 제 2 오방향 밸브(300)와 폐수열 회수기(400)의 입구 사이에는 폐수를 압송하여 순환시키는 펌프(41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펌프(410)와 제 2 오방향 밸브(300) 사이의 배출라인상에 하나의 진공압력센서(420)를 설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진공압력센서(420)는 위에서 각 여과기(110)(120)에 대응한 개수로 자동 여과 장치(100)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제 1여과기를 연속사용시 이물질, 즉 슬러지의 영향으로 제 1여과기와 펌 프(410)사이에 진공압이 증가한다. 이 진공압이 소정치를 초과하는지 진공압력센서가 감지하여, 소정치를 초과하면 오방향 밸브의 에어실린더를 작동시켜서 제 1여과기가 역세하고 제 2여과기가 여과하도록 오방향 밸브의 동작을 전환한다. 제 2여과기의 여과 과정에서 슬러지가 차면 상술한 방식대로 제 2여과기가 역세하고 제 1여과기가 여과하도록 오방향 밸브의 동작을 전환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및 역세의 동시 진행형 폐수열 회수 시스템의 작동을 폐수의 흐름을 따라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자동 여과 장치(100)의 제 1 여과기(110)가 여과작동을 하고 제 2 여과기(120)가 역세척작동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본 과정에 따른 폐수의 흐름은 도 4에서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펌프(410)에 의해 외부의 원수공급원으로부터 원수 즉 폐수가 제 1 오방향 밸브(200)의 제 1 도관(A1)으로 공급된다.
이때, 제 1 오방향 밸브(200)는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20)의 격판(222)(224)에 의해서 제 1,2 도관(A1)(A2)과 제 3,4 도관(A3)(A4)이 각각 연통되고, 제 2 오방향 밸브(300)도 피스톤(320)의 격판(322)(324)에 의해서 제 1,2 도관(B1)(B2), 제 4,5 도관(B4)(B5)이 각각 연통된다.
한편, 제 1 오방향 밸브(200)의 제 1 도관(A1)으로 공급된 폐수는 제 2 도관(A2)을 통해 제 1 오방향 밸브(200)로부터 배출되고, 제 2 도관(A2)을 통해 배출된 폐수는 제 2 도관(A2)에 연결된 자동 여과 장치(100)의 제 1 여과기(110)의 짧은 포트(111)를 통해 제 1 여과기(110)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 1 여과기(110)내로 공급된 폐수는 여재(114)를 지나면서 폐수 속에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부유물질)가 걸러지고, 여재(114)에 의해 여과된 폐수는 제 1 여과기(110)의 관(113)으로 유입되어 긴 도관(112)을 통해 자동 여과 장치(100) 외부로 배출된다.
제 1 여과기(110)의 긴 도관(112)을 통해 배출된 폐수는 긴 도관(112)에 연결된 제 2 오방향 밸브(300)의 제 1 도관(B1)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폐수는 제 2 도관(B2)을 통해 제 2 오방향 밸브(300)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 2 오방향 밸브(300)에서 배출된 폐수는 펌프(410)를 지나 폐수열 회수기(400)로 공급되어 열교환된 후 배출된다.
폐수열 회수기(400)에서 배출된 폐수는 다시 제 2 오방향 밸브(300)의 제 4 도관(B4)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폐수는 제 5 도관(B5)을 통해 제 2 오방향 밸브(300)로부터 다시 배출된다.
그리고, 제 2 오방향 밸브(300)의 제 5 도관(B5)을 통해 배출된 폐수는 자동 여과 장치(100)의 제 2 여과기(120)의 긴 도관(122)으로 공급되고, 긴 도관(122)에 연결된 관(123)을 통해 제 2 여과기(120)의 하부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된 폐수는 제 2 여과기(120)의 여재(124)를 지나면서 여재(124)에 섞여 있는 슬러지를 여재(124)로부터 분리시켜 제 2 여과기(120)의 상부로 부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부상된 슬러지와 폐수는 제 1 오방향 밸브(200)의 제 3 도관(A3)으로 공급되어 제 4 도관(A4)을 통해 제 1 오방향 밸브(200)로부터 배출되 어 방류된다.
따라서, 자동 여과 장치(100)는 제 1 여과기(110)에서 공급된 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작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 2 여과기(120)에서는 여재(124)에 섞여 있는 슬러지를 분리시켜 배출하는 여재 세척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한편, 본 작동에 따른 폐수의 흐름을 정리해 보면 하기와 같다.
A1 → A2 → 제 1 여과기의 짧은 도관 → 제 1 여과기의 긴 도관 → B1 → B2 → 펌프 → 폐수열 회수기 → B4 → B5 → 제 2 여과기의 긴 도관 → 제 2 여과기의 짧은 도관 → A3 → A4 → 외부로 방류
그리고, 이하는 자동 여과 장치(100)의 제 1 여과기(110)가 역세척작동을 하고 제 2 여과기(120)가 여과작동을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여과기(110)의 여과작동 중에 여재(114)에 의해 걸리진 슬러지가 제 1 여과기(110)내에 쌓이게 되면, 폐수의 흐름이 저해되어 제 1 여과기(110)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여과기(110)내의 압력이 상승되면 진공압력센서(420)가 이를 감지하고 콘트롤러(미도시)가 에어 실린더를 작동시켜 1,2 오방향 밸브(200)(300)의 유로를 전환시켜 주므로써 제 1,2 여과기(110)(120)의 기능을 변경하게 된다.
이때, 제 1 오방향 밸브(200)는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된 피스톤(220)의 격판(222)(224)에 의해서 제 1,3 도관(A1)(A3)과 제 2,5 도 관(A2)(A5)이 각각 연통되고, 제 2 오방향 밸브(300)도 조정된 피스톤(320)의 격판(322)(324)에 의해서 제 1,4 도관(B1)(B4), 제 3,5 도관(B3)(B5)이 각각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펌프(410)에 의해 외부의 원수공급원으로부터 원수 즉 폐수가 제 1 오방향 밸브(200)의 제 1 도관(A1)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본 과정에 따른 폐수의 흐름은 도 2에서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제 1 오방향 밸브(200)의 제 1 도관(A1)으로 공급된 폐수는 제 3 도관(A3)을 통해 제 1 오방향 밸브(200)로부터 배출되고, 제 3 도관(A3)을 통해 배출된 폐수는 제 3 도관(A3)에 연결된 자동 여과 장치(100)의 제 2 여과기(120)의 짧은 포트(121)를 통해 제 2 여과기(120)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 2 여과기(120)내로 공급된 폐수는 여재(124)를 지나면서 폐수 속에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부유물질)가 걸러지고, 여재(124)에 의해 여과된 폐수는 제 2 여과기(120)의 관(123)으로 유입되어 긴 도관(122)을 통해 자동 여과 장치(100) 외부로 배출된다.
제 2 여과기(120)의 긴 도관(122)을 통해 배출된 폐수는 긴 도관(122)에 연결된 제 2 오방향 밸브(300)의 제 5 도관(B5)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폐수는 제 3 도관(B3)을 통해 제 2 오방향 밸브(300)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 2 오방향 밸브(300)에서 배출된 폐수는 펌프(410)를 지나 폐수열 회수기(400)로 공급되어 열교환된 후 배출된다.
폐수열 회수기(400)에서 배출된 폐수는 다시 제 2 오방향 밸브(300)의 제 4 도관(B4)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폐수는 제 1 도관(B1)을 통해 제 2 오방향 밸브(300)로부터 다시 배출된다.
그리고, 제 2 오방향 밸브(300)의 제 1 도관(B1)을 통해 배출된 폐수는 자동 여과 장치(100)의 제 1 여과기(110)의 긴 도관(112)으로 공급되고, 긴 도관(112)에 연결된 관(113)을 통해 제 1 여과기(110)의 하부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된 폐수는 제 1 여과기(110)의 여재(114)를 지나면서 여재(114)에 섞여 있는 슬러지를 여재(114)로부터 분리시켜 제 1 여과기(110)의 상부로 부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부상된 슬러지와 폐수는 제 1 오방향 밸브(200)의 제 2 도관(A2)으로 공급되어 제 5 도관(A5)을 통해 제 1 오방향 밸브(200)로부터 배출되어 방류된다.
따라서, 자동 여과 장치(100)는 제 1 여과기(110)에서 여재(114)에 섞여 있는 슬러지를 분리시켜 배출하는 여재 세척작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 2 여과기(120)에서는 공급된 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한편, 본 작동에 따른 폐수의 흐름을 정리해 보면 하기와 같다.
A1 → A3 → 제 2 여과기의 짧은 도관 → 제 2 여과기의 긴 도관 → B5 → B3 → 펌프 → 폐수열 회수기 → B4 → B1 → 제 1 여과기의 긴 도관 → 제 1 여과기의 짧은 도관 → A2 → A5 → 외부로 방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과 및 역세의 동시 진행형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에 따르면, 여과와 역세가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폐수열 회수 시스템의 중단없이 지속적인 폐수열을 회수할 수 있다. 역세척과정에서 별도의 물 소비가 발생하지 않아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여재가 충전되고 폐수가 유동하는 독립된 두 개의 여과기로 이루어지고, 번갈아 가면서 여과 및 역세하는 자동 여과 장치와;
    상기 자동 여과 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자동 여과 장치에 폐수를 공급하고 공급받으며 그 내부를 유동하는 폐수의 유로를 제어하여, 각 여과기가 번갈아 가면서 여과 또는 역세기능을 할 수 있게 작동하는 에어 실린더가 장착된 제 1,2 오방향 밸브와;
    상기 폐수를 제 1 오방향 밸브와 자동 여과 장치, 제 2 오방향 밸브를 거쳐 폐수열 회수기에서 열교환시키고 다시 제 2 오방향 밸브와 자동 여과 장치, 제 1 오방향 밸브로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방향 밸브의 에어 실린더는 진공 압력계 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여과 장치의 각 여과기에는 오방향 밸브를 통한 폐수를 여과기의 하면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여과기 하부의 폐수를 오방향 밸브로 배출시키는 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
  4. 제 1 및 제 2 여과기중 어느 하나에 폐수를 공급하여 폐수를 여과하고 나머지 여과기를 동시에 역세시키는 폐수열 회수 시스템에 사용되는 한쌍의 오 방향밸브로서,
    여과기의 진공압을 감지하는 진공압력센서에 따라서 각 여과기가 번갈아 가면서 여과 또는 역세기능을 할 수 있게 작동하는 에어 실린더와,
    실린더내에서 이동되면서 오방향 밸브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격판이 이격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한쌍의 오방향 밸브중 하나가 폐수 입구 및 출구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자동 여과 장치와 폐수열 회수기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한쌍의 오방향 밸브.
KR1020060062392A 2006-07-04 2006-07-04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 및 여기에 사용된 오방향 밸브 KR100843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392A KR100843803B1 (ko) 2006-07-04 2006-07-04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 및 여기에 사용된 오방향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392A KR100843803B1 (ko) 2006-07-04 2006-07-04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 및 여기에 사용된 오방향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990A true KR20080003990A (ko) 2008-01-09
KR100843803B1 KR100843803B1 (ko) 2008-07-03

Family

ID=3921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392A KR100843803B1 (ko) 2006-07-04 2006-07-04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 및 여기에 사용된 오방향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7999A (ja) * 2009-05-27 2012-11-12 ソン ギュン ムン, 廃水の熱回収装置及び方法
KR101080258B1 (ko) * 2009-06-05 2011-11-08 문성균 폐수의 열회수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91733B1 (ko) 2009-09-11 2010-11-03 김기석 자동입자여과시스템이 구현된 폐수열회수설비
KR101458022B1 (ko) 2014-04-24 2014-11-12 주식회사 세기 고저차 이용 자동 세정 방식을 채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0297B1 (ko) * 1995-03-17 1999-05-01 김광호 5방형 유로변환밸브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튜브 클리닝시스템
KR100330371B1 (ko) 2000-10-09 2002-04-03 김기석 셸튜브형 필터 및 자동제어 폐열회수 시스템
KR200260034Y1 (ko) 2001-07-20 2002-01-10 정방균 자동 역세수밸브
KR200262473Y1 (ko) * 2001-09-05 2002-03-18 정방균 자동 역세수밸브
KR200374157Y1 (ko) 2004-11-11 2005-01-24 임선식 폐수열 회수 장치의 역세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803B1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6818B2 (en) Syphon filtration system
CN203494253U (zh) 多滤筒全自动过滤器
KR100843803B1 (ko) 자동 여과 장치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 시스템 및 여기에 사용된 오방향 밸브
US6638422B1 (en) Liquid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embodying filtration particles having specific gravity less than liquid being filtered
KR101199434B1 (ko) 폐수의 열회수장치
KR101446273B1 (ko) 수두차를 이용한 상향류 모래 여과장치의 운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N201304291Y (zh) 自动反冲洗过滤装置
RU2527216C1 (ru) Двухступенчатый напорный фильтр
US5252230A (en) Granulated filter for the filtration of fine graded suspensions
KR101631385B1 (ko) 펌프 가압수의 압착력에의한 하,폐수 방류수 내의 부유물질 여과장치
KR101109014B1 (ko)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배관연결체
KR200392652Y1 (ko) 쾌속 이중 세척식 수질정화장치
KR20010044678A (ko) 수중 부유물질 여과장치
KR100733691B1 (ko) 여과장치
JP2003190713A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および夾雑物分離除塵システム
KR20110109387A (ko) 연속운전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세척 방법
CN105664551A (zh) 超高速过滤滤池及其自清洗操作方法
CN220245657U (zh) 一种精细化学品废水处理装置
CN212594177U (zh) 一种带有旁通减压装置的浅层砂过滤器
JP3429111B2 (ja) 固液分離装置
WO2006031086A2 (en) System for automatically filtering floating material from wastewater
KR0142996B1 (ko) 역 세척이 가능한 폐수의 여과 처리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KR200383103Y1 (ko) 하수의 고도처리용 가변식 모래여과장치
CN211813780U (zh) 一种高压树脂膜洗模水的超滤系统
KR200355755Y1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