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906A - 대피 시스템 및 대피 방법 - Google Patents

대피 시스템 및 대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906A
KR20080003906A KR1020077026938A KR20077026938A KR20080003906A KR 20080003906 A KR20080003906 A KR 20080003906A KR 1020077026938 A KR1020077026938 A KR 1020077026938A KR 20077026938 A KR20077026938 A KR 20077026938A KR 20080003906 A KR20080003906 A KR 20080003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platforms
evacuation
platform
evacu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얄 모세스
탈 고든
안드레이 보흐카리오프
Original Assignee
이스케이프 레스큐 시스템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케이프 레스큐 시스템즈 엘티디. filed Critical 이스케이프 레스큐 시스템즈 엘티디.
Priority to KR102007702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906A/ko
Publication of KR2008000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빌딩(102)용 대피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는 다수의 플랫폼(106)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방향의 수송장치(108)를 포함하고 있고, 복수의 층으로부터 사람들을 안전한 탈출을 위한 높이로 내려보내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를 동작시킨다.
Figure 112007083082620-PCT00001
윈치/브레이크 조립체, 주위 폐쇄 요소, 가이드 레일, 접철식 지지 요소, 플랫폼, 케이블, 수송장치, 바닥부 지지면

Description

대피 시스템 및 대피 방법{EVACUATION SYSTEMS AND METHODS}
본 발명은 빌딩 대피 시스템 및 대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빌딩 대피 시스템 및 대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미국 특허가 당해 기술분야의 현재의 기술상태를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3,945,469; 4,018,306; 4,037,685; 4,042,066; 4,406,351; 4,424,884; 4,469,198; 4,531,611; 4,538,704; 4,569,418; 4,650,036; 4,664,226; 4,830,141; 4,865,155; 4,919,228; 5,065,839; 5,127,491; 5,377,778; 5,392,877; 5,497,855; 5,620,058 및 6,318,503.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빌딩 대피 시스템 및 대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빌딩용 대피 시스템으로서, 상기 빌딩의 복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와 사람들을 상기 복수의 층으로부터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의 상이한 층에 배치시키는 진입 모드 동작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재배치시켜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탈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나란히 놓이도록 하는 탈출 직전 모드 동작으로 작동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빌딩용 대피 시스템으로서, 상기 빌딩의 복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와 사람들을 상기 복수의 층으로부터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의 상이한 층에 배치시키는 제 1 선택 진입 모드 동작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하나의 층에 배치시키는 제 2 선택 진입 모드 동작으로 작동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또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재배치시켜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탈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나란히 놓이도록 하는 탈출 직전 모드 동작으로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대체로 서로 나란히 하강시키는 제 1 선택 하강 모드 동작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서로 나란하지 않게 하강시키는 제 2 선택 하강 모드 동작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플랫폼은, 상기 복수의 플랫폼이 대체로 서로 나란히 배치될 때 사람들이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가로질러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동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서로 힌지로 연결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서로 피벗가능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로 피벗가능한 복수의 플랫폼은 수직방향의 축에 대하여 서로 피벗가능하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상기 서로 피벗가능한 복수의 플랫폼은 수평방향의 축에 대하여 서로 피벗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나란히 배치된 서로 수직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은 사용하지 않을 때 서로 접혀지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지지부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지지부는 강성의 지지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플랫폼은 각각 바닥부 지지면과 주위 폐쇄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위 폐쇄 요소는 내열성 재료, 내화성 재료와 연기 불침투성 재료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송장치를 측방향의 힘에 대해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수송장치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수송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상이한 수송장치의 상기 플랫폼의 복수개가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이한 그룹의 복수의 층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러는 동시 대피를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랫폼이 복수의 탈출 위치와 동시에 연통되게 배치되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상기 탈출 위치로부터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으로 사람들을 들어올리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송장치가 빌딩 장착식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가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탈출 위치로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 각각은 연기 및 유독 가스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되는 폐쇄 가압기 및 공기 필터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 각각은 탈출 모드 동작에서만 개방될 수 있는 탈출 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플랫폼이 인접하지 않은 상기 빌딩의 복수의 층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빌딩용 대피 시스템으로서,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빌딩의 외측면과 마주 대하고 있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있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빌딩의 지정된 층에 배치된 복수의 비상 출구를 통하여 상기 플랫폼으로 동시에 진입할 수 있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와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사람들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빌딩용 대피 시스템으로서, 빌딩 단면을 가지고 있는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빌딩 단면의 비직선 부분과 합치되는 비직선 형상을 가지고 있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와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사람들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랫폼은 바닥부 지지면과 주위 폐쇄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피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측방향의 힘에 대해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수송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 각각의 상기 플랫폼이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이한 층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작동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상기 탈출 높이로부터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사람들을 들어올리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송장치는 빌딩 장착식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는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탈출 위치로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랫폼은 연기 및 유독 가스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되는 폐쇄 가압기 및 공기 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빌딩용 대피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빌딩 단벽을 가지고 있는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와 상기 수송장치를 측방향의 힘에 대해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수송장치와 협력하고, 상기 빌딩 단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비수직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상기 빌딩 단벽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직선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따라서 사람들을 하강시키도록 작동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빌딩용 대피 시스템으로서,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바닥부 지지면, 주위 폐쇄 요소와 연기 및 유독 가스가 들어오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작동되는 폐쇄 가압기 및 공기 필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와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사람들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은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의 상이한 층에 배치시키는 진입 모드 동작으로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서로 힌지로 연결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서로 피벗가능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로 피벗가능한 복수의 플랫폼은 수평방향의 축에 대하여 서로 피벗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은 사용하지 않을 때 서로 접혀지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복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지지부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지지부는 강성의 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은 바닥부 지지면과 주위 폐쇄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위 폐쇄 요소는 내열성 재료, 내화성 재료와 연기 불침투성 재료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수송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상이한 수송장치의 상기 플랫폼의 복수개가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이한 그룹의 복수의 층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동시 대피를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랫폼이 복수의 탈출 위치와 동시에 연통되게 배치되도록 작동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탈출 위치로부터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으로 사람들을 들어올리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가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탈출 높이로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빌딩으로부터 사람들의 비상 대피를 위한 대비 방법으로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빌딩의 복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사람들을 상기 복수의 층으로부터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의 상이한 층에 배치시키는 진입 모드 동작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재배치시켜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탈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나란히 놓이도록 하는 탈출 직전 모드 동작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피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빌딩으로부터 사람들의 비상 대피를 위한 대비 방법으로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빌딩의 복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사람들을 상기 복수의 층으로부터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의 상이한 층에 배치시키는 제 1 선택 진입 모드 동작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하나의 층에 배치시키는 제 2 선택 진입 모드 동작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피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피 방법은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재배치시켜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탈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나란히 놓이도록 하는 탈출 직전 모드 동작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상기 대피 방법은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대체로 서로 나란히 하강시키는 제 1 선택 하강 모드 동작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서로 나란하지 않게 하강시키는 제 2 선택 하강 모드 동작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피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측방향의 힘에 대해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대피 방법은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상이한 수송장치의 상기 플랫폼의 복수개가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이한 그룹의 복수의 층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피 방법은 동시 대피를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복수의 탈출 위치와 동시에 연통되게 배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상기 대피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상기 탈출 위치로부터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으로 사람들을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피 방법은 연기 및 유독 가스가 상기 복수의 플랫폼의 각각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랫폼 각각을 가압하고 상기 복수의 플랫폼 각각의 공기를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빌딩으로부터 사람들의 비상 대피를 위한 대비 방법으로서,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빌딩의 외측면과 마주 대하고 있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있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빌딩의 지정된 층에 배치된 복수의 비상 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플랫폼으로 동시에 진입할 수 있게 하는 단계 및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사람들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대피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빌딩으로부터 사람들의 비상 대피를 위한 대비 방법으로서, 상기 빌딩 단면의 비직선 부분과 합치되는 비직선 형상을 가지고 있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상기 빌딩 단면의 상기 비직선 부분에서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서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사람들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대피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피 방법은 상기 수송장치를 측방향의 힘에 대해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수송장치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대피 방법은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상이한 수송장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이한 층과 연통되게 배치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피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상기 탈출 위치로부터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사람들을 들어올리도록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피 방법은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탈출 높이로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피 방법은 연기 및 유독 가스가 상기 플랫폼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랫폼을 가압하고 상기 플랫폼의 공기를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빌딩으로부터 사람들의 비상 대피를 위한 대비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빌딩 단벽을 가지고 있는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빌딩 단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비수직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수송장치를 측방향의 힘에 대해 안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빌딩 단벽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직선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따라서 사람들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대피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빌딩으로부터 사람들의 비상 대피를 위한 대비 방법으로서,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바닥부 지지면, 주위 폐쇄 요소, 폐쇄 가압기 및 공기 필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연기 및 유독 가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폐쇄 가압기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사람들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대피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대피 방법은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상이한 수송장치의 상기 플랫폼의 복수개를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이한 그룹의 복수의 층과 연통되게 배치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상기 대피 방법은 동시 대피를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복수의 탈출 위치와 동시에 연통되게 배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피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상기 탈출 위치로부터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으로 사람들을 들어올리도록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피 방법은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탈출 높이로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되는 탈출 시스템을 구비한 빌딩의 개략도;
도 2A, 2B, 2C, 2D, 2E, 2F, 2G, 2H, 21, 2J, 2K, 2L, 2M, 2N, 20, 2P, 2Q, 2R 및 2S는 도 1의 시스템의 탈출 수송장치의 작동에 있어서의 연속적인 단계 및 몇 가지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A, 3B, 3C, 3D 및 3E는 도 1 내지 도 2S의 시스템의 변형 실시예의 탈출 수송장치의 작동에 있어서의 5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A, 4B, 4C, 4D, 4E, 4F, 4G 및 4H는 도 1 내지 도 2S의 시스템의 다른 변형 실시예의 탈출 수송장치의 작동에 있어서의 여러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되는 탈출 시스템을 구비한 빌딩의 개략도;
도 6A, 6B, 6C, 6D, 6E, 6F, 6G, 6H, 61, 6J, 6K, 6L, 6M, 6N, 60 및 6P는 도 5의 시스템의 탈출 수송장치의 작동에 있어서의 연속적인 단계 및 몇 가지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되는 탈출 시스템을 구비한 빌딩의 개략도;
도 8A, 8B, 8C, 8D, 8E, 8F, 8G, 8H, 81, 8J, 8K, 8L, 8M, 8N, 80, 8P 및 8Q는 도 7의 시스템의 탈출 수송장치의 작동에 있어서의 연속적인 단계 및 몇 가지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되는 탈출 시스템을 구비한 빌딩의 개략도; 그리고
도 1OA, 1OB, 1OC, 10D, 10E, 1OF, 1OG, 1OH, 101, 1OJ 및 1OK는 도 9의 시스템의 탈출 수송장치의 작동에 있어서의 연속적인 단계 및 몇 가지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되는 탈출 시스템을 구비한 빌딩의 개략도인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선택적으로 하강할 수 있는, 복수의 플랫폼을 구비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100)를 포함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플랫폼 각각은 빌딩(102)의 복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중앙 컨트롤러(104)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복수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공되며, 지정된 수송장치(100)에 각각 할당될 수 있는 제어 출력신호가 복수의 층로부터 사람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탈출 높이(108)로 수송장치(100)의 복수의 플랫폼(106)을 선택적으로 하강시킨다.
빌딩 102와 같은 지정된 빌딩은 하나 이상의 수송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수송장치(100)는 다양한 작동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참조 번호 110으로 표시된 수송장치는 전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참조 번호 120으로 표시된 수송장치는 대피 탈출 직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04)에 있는 오퍼레이터(122), 지상에 있는 오퍼레이터(124), 소방차(126) 내의 오퍼레이터 및 인터넷이나 비상 네트워크와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원격지의 오퍼레이터(128) 중의 한 사람 이상에 의해 컨트롤러(104)로 또는 직접 수송장치(100)로 사람의 제어 입력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송장치(100)는 복수의 대체로 수직의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적층식 플랫폼(106)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적층식 플랫폼(106)은 수송장치(110)에 대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플랫폼은 대피 탑승을 위해 빌딩(102)의 상이한 층과 연통되어 있다. 복수의 적층식 플랫폼(106)은 도 2A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서로 접혀진 관계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폼(106)으로부터 대피한 사람들이 내린 후에는, 상기 적층식 플랫폼(106)은, 도 2P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적층식 플랫폼(106) 각각은 바닥부 지지면(132)과 내열성, 내화성 및/또는 연기 불침투성 재료로 된 직물 또는 강성의 시트재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된 벽 요소와 같은 주위 폐쇄 요소(13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위 폐쇄 요소(134)의 내부는 연기와 독성 가스가 들어오는 것을 가능한 한 감소시키기 위해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pressurization)은 활성탄 필터와 같은 공기 필터(136)와 결합되어 있는 원심 송풍기(135)와 같은 전기작동식 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위 폐쇄 요소(134)는 완전한 벽보다는 보호 레일 또는 유지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폐쇄 요소(134)는 플랫폼(106)에 작용하는 바람의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낮은 공기역학적 항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가 바람의 힘과 같은 측방향의 힘에 대하여 수송장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수송장치와 협력하도록 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레일 또는 케이블과 같은 수직 가이드(137)가 빌딩(102)을 따라서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실시예에는, 복수의 수송장치(100)가 설치되어 있고, 컨트롤러(104)는 상이한 수송장치(100)의 복수의 플랫폼(106)이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빌딩의 복수의 층의 상이한 그룹과 동시에 연통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각각의 수송장치(1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층은 서로 인접하거나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수송장치는 소방관 또는 다른 구조 대원 및/또는 장비를 탈출 높이 또는 다른 빌딩 높이로부터 빌딩의 복수의 높이로 들어올리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대피 시스템의 전형적인 작동을 나타내는 도 2A, 2B, 2C, 2D, 2E, 2F, 2G, 2H, 2I, 2J, 2K, 2L, 2M, 2N, 20, 2P, 2Q, 2R 및 2S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A를 참고하면, 전형적인 수송장치(100)가 고정된 장치, 바람직하게는 빌딩(102)의 지붕(138)에 장착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된 장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2)를 가지고 있으며 컨트롤러(104)(도 1 참고) 및/또는 오퍼레이터(122), 오퍼레이터(124) 및 오퍼레이터(128)(도 1 참고)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쌍방향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수송장치 컨트롤 서브시스템(14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송장치 컨트롤 서브시스템(140)은 주 전원, 비상 보조 전원 및/또는 발전기를 이용하여 유압식, 전기작동식 또는 다른 적절한 타입의 윈치/브레이크 조립체(144)와 적층식 플랫폼 전개 조립체를 작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144)는 종래의 유압 유체 펌프 및 저장조 조립체, 종래의 유압 냉각 조립체, 종래의 유압 기어 모터 조립체 및 비상 유압 제동 시스템 뿐만아니라 이와 결합된 종래의 유압 윈치에 동력을 공급하고 제동작용을 하는 종래의 유압 컨트롤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144)는 수송장치(100)가 하강할 때에는 제동작용을 하고 수송장치(100)가 상승할 때에는 상승력을 제공한다.
전원이 없을 때에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144)는 중력을 이용하여 탈출 높이(108)(도 1 참고)로 수송장치(100)의 플랫폼(106)이 하강하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4 개의 케이블(150, 152, 154 및 156)이 윈치/브레이크 조립체(144)에 감겨있으며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158)에 4 개의 서로 이격된 위치로 뻗어있다. 케이블(150, 152, 154 및 156)의 각각은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전개 프레임(168)에 지지되어 있으며 참고 번호 160, 162, 164 및 166으로 각각 표시된, 한 쌍의 풀리와 맞물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개 프레임(168)은 고정 지지 프레임(172)에 의해 한정된 축(170, 171)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피벗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개 프레임(168)의 선택가능한 피벗 상태는 한 쌍의 유압 피스톤(174)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폼 전개 조립체를 살펴보면,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158)에 장착되어 있는 것은 양단부에 풀리(198)가 장착되어 있는 (PCT 출원 PCT/IL2003/00080986의 회전가능한 샤프트(196)와 유사한)회전가능한 샤프트를 작동시키는 (PCT 출원 PCT/IL2003/00080986의 모터/브레이크 조립체(194)와 유사한) 적층식 플랫폼 선택가능 릴리스 모터/브레이크 조립체의 작동을 조절하는 (PCT 출원 PCT/IL2003/00080986의 무선 제어 통신장치(192)와 유사한) 무선 제어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적층식 플랫폼 선택가능 릴리스 조립체(도시되지 않음)이다. 케이블(200)은 풀리(198)에 감겨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블은 플랫폼(106)의 전개가 모터/브레이크 조립체에 의해 조절되도록 최하부 플랫폼(106)에 결합되어 있다.
도 2A는 복수의 적층식 플랫폼(106)이 케이블(200)에 의해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158)의 하부에 단단히 유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적층식 플랫폼(106)의 각각은 수직 가이드(137)와 같은 빌딩 장착식 수직 레일 또는 가이드와 맞물려서 수직으로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빌딩 장착 식 가이드 이동 롤러 조립체(도 2A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적층식 플랫폼(106)의 각각은 선택적으로 위치결정가능한 대피 브리지(도 2A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피스톤(174)의 최대 반동에 의해, 전개 프레임(168)의 위치결정 핀(202)이 고정 프레임(172)의 소켓(203)에 놓여있는 도 2B에 도시된 상태로 전개 프레임(168)이 축(170, 17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158) 및 적층식 플랫폼(106)이 측방향으로의 이동 및 수직방향 아래로 이동한 이후의 도 2A의 메카니즘을 나타내고 있다.
도 2B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144)에 의해 케이블(150, 152, 154 및 156)이 풀어짐으로써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158)과 함께 플랫폼(106)이 하강하는 것에 의해 발생된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롤러 조립체(204)와 수직 가이드(137)의 초기의 맞물림상태를 부가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롤러 조립체(204)는 대체로 원주방향의 지지체(208) 상에 장착된 적어도 3 개의 롤러(20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개 프레임(168)에 장착된 방향인도 로드(210)가 플랫폼(106)을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롤러 조립체(204)와 수직방향의 가이드(137) 사이에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인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를 보면, 케이블(200)이 풀리(198)로부터 풀림으로써 플랫폼(106)이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158)에 대하여 하강한 이후의 도 2B의 메카니즘을 나타내고 있다. 주위 폐쇄 요소(134)가 아코디언처럼 펼쳐지기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접철식 지지 요소(220, 222)가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158)과 그 아래에 놓여 있는 플랫폼(106)을 서로 연결시키고 유사한 지지 요소가 각각의 적층식 플랫폼(106)을 서로 연결시키고 있어서 자신의 하중과 부가된 부하의 하중을 지지한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플랫폼(106)이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접철식 지지 요소들은 접혀있지만, 플랫폼(106)들이 상호간 의도된 간격으로 완전히 전개될 때에는, 상기 접철식 지지 요소들은 펼쳐져서 수직으로 인접한 플랫폼(106)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한다.
도 2D를 참고하면, 플랫폼(106) 및 둘레방향 폐쇄 요소(134)가 아직 완전히 전개되지 않은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송장치(100)의 최상부 플랫폼(106)이 완전히 전개되고 둘레방향 폐쇄 요소(134)가 완전히 펼쳐져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둘레방향 폐쇄 요소(134)는 탈출 개구(230)를 포함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립상태로 있는 선택적으로 위치결정가능한 대피 브리지와 결합되어 있다. 둘레방향 폐쇄 요소(134)는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2E는 모든 플랫폼(106)이 완전히 전개되어 있고 각각의 플랫폼(106)의 둘레방향 폐쇄 요소(134)가 완전히 펼쳐져 있는 상태의 수송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플랫폼(106)의 전개와 둘레방향 폐쇄 요소(134)의 펼쳐짐은 수송장치(100)의 상부에서부터 바닥부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둘레방향 폐쇄 요소(134)는 탈출 개구(230)를 포함하고 있고 선택적으로 위치결정가능한 대피 브리지와 결합되어 있다. 각 플랫폼(106)의 둘레방향 폐쇄 요소(134)는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2F는 각각의 플랫폼(106)이 본 도면에서 부재번호 "236"으로 표시된 각 빌딩의 층과 적절하게 정렬되도록 완전히 전개된 플랫폼(106)이 윈치/브레이크 조립체(144)(도 2E 참고)의 작용에 의해 빌딩(102)에 대해 원하는 수직 위치로 하강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단계에서는 케이블(200)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도 2G를 참고하면, 대피 브리지(232)가 비상 대피 도어(238)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플랫폼(106)이 빌딩의 층(236)과 적절한 수직 정렬 상태로 전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대피 팀 리더와 같은 인증된 사람은 통상적으로 비상 대피 도어(238)를 열기 위해 대피 비상 키(240)를 이용한다. 도 2H는 대피 팀 리더가 대피 브리지(232)를 배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2I는 사람이 빌딩의 층(236)으로부터 둘레방향 폐쇄 요소 내의 플랫폼(106)으로 대피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수송장치(100)의 복수의 플랫폼(106)으로 복수의 층의 대피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J를 참고하면, 대피 팀 리더가 대피 브리지(232)를 접어 올리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대피 팀 리더는 안전문으로서 기능하도록 이 대피 브리지를 둘레방향 폐쇄 요소(134)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K는 통상적으로 트랩 도어(242) 및 사다리(244)를 포함하고 있는 통로를 통해서 수송장치(100) 내의 플랫폼(106) 사이를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선택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L은 사람들이 탑승한 수송장치가 탑승 위치로부터 탈출 위치를 향하여 하강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2M을 참고하면, 최하부 플랫폼(106)이 탈출 높이(108)로 하강되어, 횡방향으로 뻗어있으며 경사져 있어서 중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이동 트랙(250)과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N은 최하부 플랫폼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접철식 지지 요소(220, 222)가 피벗함에 따라서 최하부 플랫폼이 수직방향의 가이드(137)로부터 분리되어 롤러(252)를 이용하여 이동 트랙(250)을 따라서 미끄럼이동할 때 두번째로 낮은 위치에 있는 플랫폼(106)이 탈출 높이(108)로 하강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이동 트랙이 경사져 있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이동 트랙(250) 상에서의 최하부 플랫폼(106)의 이동은 플랫폼(106)에 장착된 모터에 의해 수행되거나, 오퍼레이터가 풀리를 이용하여 플랫폼을 트랙 상에서 끌어당기거나, 상기 플랫폼(106) 및 지지 요소(220, 222)의 하강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이용하거나,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0는 플랫폼(106)의 연속적인 하강 및 이와 동시에 수행되는 횡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고 있고, 최하부 플랫폼(106)은 스토퍼(25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 경사진 이동 트랙(250)의 끝부분에 놓여 있다. 도 2P는 모든 플랫폼(106)이 사람들이 탈출하기 직전 상태의 탈출 높이(108)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M 내지 도 2P에 도시된 동작 상태들에서 모든 플랫폼이 2 분이내에 탈출 높이(108)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플랫폼(106)이 완전히 안착되었을 때 시스템 오퍼레이터에 의해 케이블(200)이 풀리(198)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2Q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출 개구(230)를 통하여 모든 플랫폼(106)으로부터 대체로 동시에 사람들이 탈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폼(106)이 하강하는 동안은, 지지 요소(220, 222)가 탈출 개구(230)가 개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탈출 개구가 예기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R 및 2S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장치(100)가 구조 대원이나 소방관을 빌딩(102)의 선택된 층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도 1 내지 도 2S의 동작 모드의 대체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참조 번호 "300"으로 표시된 수송장치가 플랫폼을 접혀진 상태로 탈출 높이로 하강시키도록 작동된 후 구조 요원의 제어하에서 이 플랫폼을 전개시킨다.
도 3A는 접혀진 상태의 플랫폼(306)이 도 2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저장 위치 및 상태로부터 하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플랫폼(306)이 탈출 높이(308)에서 경사진 트랙(350)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대체로, 플랫폼(306)이 트랙(350)이 예기치 않게 이동하는 것은 기계적인 스토퍼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저지된다.
도 3C는 구조 요원의 제어하에서 플랫폼을 연속적으로 상승시키면서 펼침으로써 플랫폼(306)이 전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단계에서 구조 요원은 플랫폼(306)을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D는 최상부 플랫폼(306)은 완전히 전개된 상태에 있고 두번째로 높은 위치에 있는 플랫폼은 부분적으로 전개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주위 폐쇄 요소(334)는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3E는 플랫폼(306)이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각 플랫 폼(306)의 주위 폐쇄 요소(334)는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단계에서, 구조 요원은 최하부 플랫폼으로 들어가서 더 높은 위치에 있는 플랫폼으로 올라갈 수 있고, 대체 실시형태로서, 도 2N 내지 도 2P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306)이 하강하여 트랙(350)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구조 요원이 플랫폼으로 들어간 다음, 도 2R 및 도 2S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306)을 들어올려서 구조 요원을 운반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H는 도 1 내지 도 2S의 시스템의 구조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빌딩은 단벽(setback)을 포함하고 있고, 수송장치는 플랫폼을 탈출 높이로 하강시키도록 작동된다.
도 4A는 도 1 내지 도 2S의 탈출 시스템과 대체로 유사한 탈출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빌딩(352)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빌딩(352)은 대체로 하부 부분(360)과 이 하부 부분에 대해 단벽부분(366) 만큼 후퇴되어 있는 상부 부분(36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빌딩(352)은 하나 이상의 수송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 또는 케이블과 같은 지지 요소 구조(368)는 빌딩(352)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368)은 상부 부분(364)의 벽을 따라서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놓여 있고, 단벽부분(366) 위에서 바깥쪽으로 뻗어서 단벽을 브리지로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하부 부분(360)을 따라서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놓여 있다. 복수의 플랫폼(356)이 탈출 높이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면 가까이에서는, 가이드 레일(368)이 다시 한번 빌딩(352)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다.
도 4B는 가이드 레일(368)의 상부의 대체로 수직방향부분을 지지부로 이용하여 빌딩(352)의 상부 부분(364)을 따라서 플랫폼(356)이 하강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최하부 플랫폼은 단벽부분(366) 바로 위의 위치로 하강되어 있다. 도 4C는 최하부 플랫폼(356)이 빌딩(352)의 상부 부분(36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가이드 레일(368)의 수평부분과 결합되어 있으면서 여전히 빌딩(352)의 상부 부분(364)과 인접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D는 최하부 플랫폼(356)을 두번째로 낮은 위치에 있는 플랫폼과 연결시키는 접철식 지지 요소(380, 382)가 피벗운동하여 최하부 플랫폼(356)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식으로 플랫폼(356)이 가이드 레일(368)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단계에서 최하부 플랫폼(356)의 이동 방향이 대체로 수직방향의 이동으로부터 대체로 수평방향의 이동으로 바뀐다.
도 4E는 최하부 플랫폼(356)이 가이드 레일(368)의 하부의 대체로 수직방향부분에 의해 지지되도록 최하부 플랫폼(356)이 단벽부분(366)을 통과한 후의 최하부 플랫폼(356)을 나타내고 있다. 도 4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번째로 낮은 위치에 있는 플랫폼(356)은 가이드 레일(368)을 따라서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다.
도 4F는 가이드 레일(368)의 하부의 대체로 수직방향부분을 지지부로 이용하여 플랫폼(356)이 빌딩(352)의 하부 부분(360)을 따라서 하강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4F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최상부 플랫폼(356)은 단벽부분(366) 바 로 아래의 위치에 있다.
도 4G는 최하부 플랫폼의 바닥부 지지면이 탈출 높이에 근접하도록 최하부 플랫폼(356)이 가이드 레일(368)의 바닥부 부분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위치에서, 최하부 플랫폼(356)을 두번째로 낮은 위치에 있는 플랫폼과 연결시키는 접철식 지지 요소(380, 382)가 피벗운동하여 최하부 플랫폼(356)을 바깥쪽으로 이동시킨다.
도 4H는 탈출하기 전 상태에서 모든 플랫폼(356)이 가이드 레일(368)의 바닥부 부분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접철식 지지 요소(380, 382)가 플랫폼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피벗운동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되는 탈출 시스템을 구비한 빌딩의 개략도인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선택적으로 하강할 수 있는, 복수의 플랫폼을 구비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400)를 포함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플랫폼 각각은 빌딩(402)의 복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중앙 컨트롤러(404)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복수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공되며, 지정된 수송장치(400)에 각각 할당될 수 있는 제어 출력신호가 복수의 층으로부터 사람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탈출 높이(408)로 수송장치(400)의 복수의 플랫폼(406)을 선택적으로 하강시킨다.
빌딩 402와 같은 지정된 빌딩은 하나 이상의 수송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수송장치(400)는 다양한 작동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참조 번호 410으로 표시된 수송장치는 전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참조 번호 420으로 표시된 수송장치는 탈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 컨트롤러(404)에 있는 오퍼레이터(422), 지상에 있는 오퍼레이터(424), 소방차(426) 내의 오퍼레이터 및 인터넷이나 비상 네트워크와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원격지의 오퍼레이터(128) 중의 한 사람 이상에 의해 컨트롤러(404)로 또는 직접 수송장치(400)로 사람의 제어 입력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송장치(400)는 대체로 수직의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플랫폼(406)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플랫폼(406)은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장치(420)에 대해서 서로 나란한 관계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플랫폼(406)이 전개되는 동안, 각 플랫폼(406)이 빌딩(402)의 상이한 층과 연통되도록 플랫폼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 탑승을 위해 수송장치(420)에 대해서 반드시 연속적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다.
모든 플랫폼(406)이 탈출 높이에 배치되어 있을 때, 참조 번호 "43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406)은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플랫폼(406) 각각은 바닥부 지지면(432)과 내열성, 내화성 및/또는 연기 불침투성 재료로 된 직물 또는 강성의 시트재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된 벽 요소와 같은 주위 폐쇄 요소(43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위 폐쇄 요소(434)의 내부는 연기와 독성 가스가 들어오는 것을 가능한 한 감소시키기 위해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pressurization)은 활성탄 필터와 같은 공기 필터(436)와 결합되어 있는 원심 송풍기(435)와 같은 전기작동식 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위 폐쇄 요소(434)는 완전한 벽보다는 보호 레일 또는 유지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폐쇄 요소(434)는 플랫폼(406)에 작용하는 바람의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낮은 공기역학적 항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가 바람의 힘과 같은 측방향의 힘에 대하여 수송장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수송장치와 협력하도록 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 가이드(437)가 빌딩(402)을 따라서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실시예에는, 복수의 수송장치(400)가 설치되어 있고, 컨트롤러(404)는 상이한 수송장치(400)의 복수의 플랫폼(406)이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빌딩의 복수의 층의 상이한 그룹과 동시에 연통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각각의 수송장치(4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층은 서로 인접하거나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수송장치는 소방관 또는 다른 구조 대원 및/또는 장비를 탈출 높이 또는 다른 빌딩 높이로부터 빌딩의 복수의 높이로 들어올리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의 대피 시스템의 전형적인 작동을 나타내는 도 6A, 6B, 6C, 6D, 6E, 6F, 6G, 6H, 6I, 6J, 6K, 6L, 6M, 6N, 60 및 6P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A를 참고하면, 전형적인 수송장치(400)가 고정된 장치, 바람직하게는 빌딩(402)의 지붕(438)에 장착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된 장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442)를 가지고 있으며 컨트롤러(404)(도 5 참고) 및/또는 오퍼레이터(422), 오퍼레이터(424) 및 오퍼레이터(428)(도 5 참고)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쌍방향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수송장치 컨트롤 서브시스템(44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송장치 컨트롤 서브시스템(440)은 주 전원, 비상 보조 전원 및/또는 발전기를 이용하여 유압식의 윈치/브레이크 조립체(444)과 적층식 플랫폼 전개 조립체를 작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444)는 종래의 유압 유체 펌프 및 저장조 조립체, 종래의 유압 냉각 조립체, 종래의 유압 기어 모터 조립체 및 비상 유압 제동 시스템 뿐만아니라 이와 결합된 종래의 유압 윈치에 동력을 공급하고 제동작용을 하는 종래의 유압 컨트롤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444)는 수송장치(400)가 하강할 때에는 제동작용을 하고 수송장치(400)가 상승할 때에는 상승력을 제공한다.
전원이 없을 때에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444)는 중력을 이용하여 탈출 높이(408)(도 5 참고)로 수송장치(400)의 플랫폼(406)이 하강하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4 개의 케이블(450, 452, 454 및 456)이 윈치/브레이크 조립체(444)에 감겨있으며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458)에 4 개의 서로 이격된 위치로 뻗어있다. 케이블(450, 452, 454 및 456)의 각각은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전개 프레임(468)에 지지되어 있으며 참고 번호 460, 462, 464 및 466으로 각각 표시된, 한 쌍의 풀리와 맞물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개 프레임(468)은 고정 지지 프레임(472)에 의해 한정된 축(470, 471)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피벗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개 프레임(468)의 선택가능한 피벗 상태는 한 쌍의 유압 피스톤(474)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폼 전개 조립체를 살펴보면,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458)에 장착되어 있는 것은 복수의 플랫폼(406)이다. 이 복수의 플랫폼(406) 각각을 위해서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458) 내에 플랫폼 선택가능 릴리스 조립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플랫폼 선택가능 릴리스 조립체는 양단부에 풀리(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는 (PCT 출원 PCT/IL2003/00080986의 회전가능한 샤프트(196)와 유사한)적어도 하나의 회전가능한 샤프트를 작동시키는 (PCT 출원 PCT/IL2003/00080986의 모터/브레이크 조립체(194)와 유사한)플랫폼 선택가능 릴리스 모터/브레이크 조립체의 작동을 조절하는 (PCT 출원 PCT/IL2003/00080986의 무선 제어 통신장치(192)와 유사한) 무선 제어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플랫폼(406)은 그 상부 표면이 풀리에 감겨있는 4 개의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풀리는 각 플랫폼을 개별적으로 하강시키도록 작동된다.
도 6A는 복수의 플랫폼(406)이 케이블에 의해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458)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유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458)은 레일 또는 케이블과 같은 빌딩 장착식 수직 가이드(437)와 같은 빌딩 장착식 수직 레일 또는 가이드와 맞물려서 수직으로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작동 하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롤러 조립체(도 6B에 도시되어 있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플랫폼(406)의 각각은 선택적으로 위치결정가능한 대피 브리지(도 6A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도 6B를 참고하면, 피스톤(474)의 최대 반동에 의해, 전개 프레임(468)의 위치결정 핀(502)(도 6A 참고)이 고정 프레임(472)의 소켓(503)에 놓여있는 도 6B에 도시된 상태로 전개 프레임(468)이 축(470, 47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458) 및 플랫폼(406)이 측방향으로의 이동 및 수직방향 아래로 이동한 이후의 도 6A의 메카니즘을 나타내고 있다.
도 6B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444)에 의해 케이블(450, 452, 454 및 456)이 풀어짐으로써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458)이 하강하는 것에 의해 발생된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롤러 조립체(504)와 수직 가이드(437)의 초기의 맞물림상태를 부가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롤러 조립체(504)는 대체로 원주방향의 지지체(508) 상에 장착된 적어도 3 개의 롤러(50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개 프레임(468)에 장착된 방향인도 로드(509)가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458)을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롤러 조립체(504)와 수직방향의 가이드(437) 사이에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인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C를 보면, 각 플랫폼(406)을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458)에 부착시키는 4 개의 케이블(510)이 풀림으로써 플랫폼(406)이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458)에 대하여 하강한 이후의 도 6B의 메카니즘을 나타내고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406)이 빌딩(402)을 따라서 상이한 높이로 선택적으로 하강되므로, 탈출자가 복수의 층으로부터 플랫폼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플랫폼(406)의 선택적인 하강은 상이한 플랫폼(406) 각각에 대해 케이블(510)을 선택적으로 풀어냄으로써 이루어진다. 대체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406)은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458)의 바로 아래에 남아서 케이블(510)에 의해 하강하지 않는다.
플랫폼(406)과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458)이 모두 동일한 탈출 높이로 하강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플랫폼(406)은 복수의 입구를 가지고 있는 하나의 대용량 탈출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플랫폼이 하나의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하강하는 경우, 사이드 도어(512)가 개방될 수 있으므로, 상이한 플랫폼들 사이로 탈출자들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빌딩(402)의 상이한 높이를 따라서 플랫폼(406)을 배치시키는 것은 상황에 따라서 좌우되며 탈출 요구에 따라서 최적화될 수 있으므로, 상이한 플랫폼(406)이 반드시 인접한 층으로 하강될 필요는 없다.
도 6D를 참고하면, 수송장치(400)의 플랫폼(106)의 초기 하강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각 플랫폼(406)의 둘레방향 폐쇄 요소(434)는 탈출 개구(530)를 포함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립상태로 있는 선택적으로 위치결정가능한 대피 브리지(532)와 결합되어 있다.
도 6E는 모든 플랫폼(406)이 완전히 전개되어 있고 각각 특정 높이에 도달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둘레방향 폐쇄 요 소(434)는 탈출 개구(530)를 포함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립상태로 있는 선택적으로 위치결정가능한 대피 브리지와 결합되어 있다.
도 6F는 플랫폼(406)이 본 도면에서 부재번호 "536"으로 표시된 각 빌딩의 층과 적절하게 정렬되도록 완전히 전개된 플랫폼(406)이 윈치/브레이크 조립체(144)(도 6E 참고)의 작용에 의해 빌딩(402)에 대해 원하는 수직 위치로 하강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6G를 참고하면, 대피 브리지(532)가 비상 대피 도어(538)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플랫폼(406)이 빌딩의 층(536)과 적절한 수직 정렬 상태로 전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대피 팀 리더와 같은 인증된 사람은 통상적으로 비상 대피 도어(538)를 열기 위해 대피 비상 키(540)를 이용한다. 도 6H는 대피 팀 리더가 대피 브리지(532)를 배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6I는 사람이 빌딩의 층(536)으로부터 둘레방향 폐쇄 요소 내의 플랫폼(406)으로 대피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수송장치(400)의 복수의 플랫폼(406)으로 복수의 층의 대피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J를 참고하면, 대피 팀 리더가 대피 브리지(532)를 접어 올리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대피 팀 리더는 안전문으로서 기능하도록 이 대피 브리지(532)를 둘레방향 폐쇄 요소(534)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K는 사람들이 탑승한 수송장치(400)가 탑승 위치로부터 탈출 위치를 향하여 하강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6L을 참고하면, 하나 이상의 플랫폼(406)이 탈출 높이(408)로 하강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6M은 사람들이 탈출하기 전에 모든 플랫폼(406)이 탈출 높이(408)에 있도록 다른 플랫폼(406)이 탈출 높이(408)로 하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L 내지 도 6M에 도시된 동작 상태들에서 모든 플랫폼이 1 분이내에 탈출 높이(408)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N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플랫폼(406)으로부터 탈출 개구(530)를 통하여 사람들이 대체로 동시에 탈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O 및 6P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장치(400)가 구조 대원이나 소방관을 빌딩(402)의 선택된 층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플랫폼(406)의 빌딩과 마주 대하는 표면에 충격 흡수 요소가 부가될 수 있으므로, 풍력이나 다른 외력으로 인한 플랫폼(406)과 빌딩(402) 사이의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FMS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되는 탈출 시스템을 구비한 빌딩의 개략도인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선택적으로 하강할 수 있는, 복수의 플랫폼을 구비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600)를 포함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플랫폼 각각은 빌딩(602)의 복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중앙 컨트롤러(604)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복수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공되며, 지정된 수송장치(600)에 각각 할당될 수 있는 제어 출력신호가 복수의 층로부터 사람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탈출 높이(608)로 수송장치(600)의 복수의 플랫폼(606)을 선택적으로 하강시킨다.
빌딩 602와 같은 지정된 빌딩은 하나 이상의 수송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수송장치(600)는 다양한 작동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참조 번호 610으로 표시된 수송장치는 전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참조 번호 620으로 표시된 수송장치는 대피 탈출 직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 컨트롤러(604)에 있는 오퍼레이터(622), 지상에 있는 오퍼레이터(624), 소방차(626) 내의 오퍼레이터 및 인터넷이나 비상 네트워크와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원격지의 오퍼레이터(628) 중의 한 사람 이상에 의해 컨트롤러(604)로 또는 직접 수송장치(600)로 사람의 제어 입력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송장치(600)는 복수의 대체로 수직의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적층식 플랫폼(606)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적층식 플랫폼(606)은 수송장치(610)에 대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플랫폼은 대피 탑승을 위해 빌딩(602)의 상이한 층과 연통되어 있다. 복수의 적층식 플랫폼(606)은 도 8A에 특히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서로 접혀진 관계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폼(606)으로부터 대피한 사람들이 내린 후에는, 상기 적층식 플랫폼(606)은, 도 8N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체로 원형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적층식 플랫폼(606) 각각은 대체로 삼각형의 바닥부 지지면(632)과 내열성, 내화성 및/또는 연기 불침투성 재료로 된 직물 또는 강성의 시트재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된 벽 요소와 같은 주위 폐쇄 요소(13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폼(606)이 반드시 삼각형으로 될 필요는 없으며, 대체 실시형태로서 적절하게 각을 이룬 임의의 형상의 플랫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주위 폐쇄 요소(634)의 내부는 연기와 독성 가스가 들어오는 것을 가능한 한 감소시키기 위해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은 필터와 같은 공기 필터(636)와 결합되어 있는 원심 송풍기(635)와 같은 전기작동식 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위 폐쇄 요소(634)는 완전한 벽보다는 보호 레일 또는 유지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폐쇄 요소(634)는 플랫폼(606)에 작용하는 바람의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낮은 공기역학적 항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가 바람의 힘과 같은 측방향의 힘에 대하여 수송장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수송장치와 협력하도록 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강체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케이블과 같은 수직 가이드(637)가 빌딩(602)을 따라서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의 실시예에는, 복수의 수송장치(600)가 설치되어 있고, 컨트롤러(604)는 상이한 수송장치(600)의 복수의 플랫폼(606)이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서로 인접하거나 인접하지 않은 빌딩의 복수의 층과 동시에 연통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각각의 수송장치(6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송장치는 소방관 또는 다른 구조 대원 및/또는 장비를 탈출 높이 또는 다른 빌딩 높이로부터 빌딩의 복수의 높이로 들어올리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의 대피 시스템의 전형적인 작동을 나타내는 도 8A, 8B, 8C, 8D, 8E, 8F, 8G, 8H, 8I, 8J, 8K, 8L, 8M, 8N, 80, 8P 및 8Q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8A를 참고하면, 전형적인 수송장치(600)가 고정된 장치, 바람직하게는 빌딩(602)의 지붕(638)에 장착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된 장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642)를 가지고 있으며 컨트롤러(604)(도 7 참고) 및/또는 오퍼레이터(622), 오퍼레이터(624) 및 오퍼레이터(628)(도 7 참고)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쌍방향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수송장치 컨트롤 서브시스템(64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송장치 컨트롤 서브시스템(640)은 주 전원, 비상 보조 전원 및/또는 발전기를 이용하여 유압식, 전기작동식 또는 다른 적절한 타입의 윈치/브레이크 조립체(644) 및 적층식 플랫폼 전개 조립체(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644)는 종래의 유압 유체 펌프 및 저장조 조립체, 종래의 유압 냉각 조립체, 종래의 유압 기어 모터 조립체 및 비상 유압 제동 시스템 뿐만아니라 이와 결합된 종래의 유압 윈치에 동력을 공급하고 제동작용을 하는 종래의 유압 컨트롤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144)는 수송장치(600)가 하강할 때에는 제동작용을 하고 수송장치(600)가 상승할 때에는 상승력을 제공한다.
전원이 없을 때에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644)는 중력을 이용하여 탈출 높이(608)(도 7 참고)로 수송장치(100)의 플랫폼(606)이 하강하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4 개의 케이블(650, 652, 654 및 656)이 윈치/브레이크 조립체(644)에 감겨있으며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658)에 4 개의 서로 이격된 위치로 뻗어있다. 케이블(650, 652, 654 및 656)의 각각은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전개 프레임(668)에 지지되어 있으며 참고 번호 660, 662, 664 및 666으로 각각 표시된, 한 쌍의 풀리와 맞물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개 프레임(668)은 고정 지지 프레임(672)에 의해 한정된 축(770, 771)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피벗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개 프레임(668)의 선택가능한 피벗 상태는 한 쌍의 유압 피스톤(674)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폼 전개 조립체를 살펴보면,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658)에 장착되어 있는 것은 양단부에 풀리(698)가 장착되어 있는 (PCT 출원 PCT/IL2003/00080986의 회전가능한 샤프트(196)와 유사한)회전가능한 샤프트를 작동시키는 (PCT 출원 PCT/IL2003/00080986의 모터/브레이크 조립체(194)와 유사한) 적층식 플랫폼 선택가능 릴리스 모터/브레이크 조립체의 작동을 조절하는 (PCT 출원 PCT/IL2003/00080986의 무선 제어 통신장치(192)와 유사한) 무선 제어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적층식 플랫폼 선택가능 릴리스 조립체(도시되지 않음)이다. 케이블(700)은 풀리(698)에 감겨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블은 플랫폼(606)의 전개가 모터/브레이크 조립체에 의해 조절되도록 최하부 플랫폼(606)에 결합되어 있다.
도 8A는 복수의 적층식 플랫폼(606)이 케이블(700)에 의해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658)의 하부에 단단히 유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적층식 플랫폼(606)의 각각은 빌딩 장착식 수직 가이드(637)와 같은 빌딩 장착식 수직 레일 또는 가이드와 맞물려서 수직으로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조립체(도 8A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적층식 플랫폼(606)의 각각은 선택적으로 위치결정가능한 대피 브리지(도 8A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도 8B를 참고하면, 피스톤(674)의 최대 반동에 의해, 전개 프레임(668)의 위치결정 핀(702)이 고정 프레임(672)의 소켓(703)에 놓여있는 도 8B에 도시된 상태로 전개 프레임(668)이 축(670, 67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658) 및 적층식 플랫폼(606)이 측방향으로의 이동 및 수직방향 아래로 이동한 이후의 도 2A의 메카니즘을 나타내고 있다. 도 8B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644)에 의해 케이블(650, 652, 654 및 656)이 풀어짐으로써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658)과 함께 플랫폼(606)이 하강하는 것에 의해 발생된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조립체(704)와 수직 가이드(637)의 초기의 맞물림상태를 부가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조립체(704)는 대체로 원주방향의 지지체 상에 장착된 적어도 3 개의 롤러(70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개 프레임(668)에 장착된 방향인도 로드(710)가 플랫폼(606)을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조립체(704)와 수직방향의 가이드(637) 사이에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인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C를 보면, 케이블(700)이 풀리(698)로부터 풀림으로써 플랫폼(606)이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658)에 대하여 하강한 이후의 도 8B의 메카니즘을 나타내고 있다. 주위 폐쇄 요소(634)가 아코디언처럼 펼쳐지기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8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케이블(722)이 수송장치 최상부 프레임(158)과 그 아래에 놓여 있는 플랫폼(606)을 다음번 적층식 플랫폼의 상부와 서로 연결시키고 유사한 지지 케이블이 각각의 적층식 플랫폼(606)과 서로 연결시키고 있어서 자신의 하중과 부가된 부하의 하중을 지지한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플랫폼(606)이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 케이블은 보이지 않지만, 플랫폼(606)들이 상호간 의도된 간격으로 완전히 전개될 때에는, 상기 지지 케이블은 펼쳐져서 수직으로 인접한 플랫폼(606)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한다.
도 8D를 참고하면, 플랫폼(606) 및 둘레방향 폐쇄 요소(634)가 아직 완전히 전개되지 않은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송장치(600)의 최상부 플랫폼(606)이 완전히 전개되고 둘레방향 폐쇄 요소(634)가 완전히 펼쳐져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둘레방향 폐쇄 요소(634)는 탈출 개구(730)를 포함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립상태로 있는 선택적으로 위치결정가능한 대피 브리지(732)와 결합되어 있다. 둘레방향 폐쇄 요소(634)는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8E는 모든 플랫폼(606)이 완전히 전개되어 있고 각각의 플랫폼(606)의 둘레방향 폐쇄 요소(634)가 완전히 펼쳐져 있는 상태의 수송장치(600)를 도시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플랫폼(606)의 전개와 둘레방향 폐쇄 요소(634)의 펼쳐짐 은 수송장치(600)의 상부에서부터 바닥부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둘레방향 폐쇄 요소(634)는 탈출 개구(730)를 포함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립상태로 있는 선택적으로 위치결정가능한 대피 브리지와 결합되어 있다. 각 플랫폼(606)의 둘레방향 폐쇄 요소(634)는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8F는 각각의 플랫폼(606)이 본 도면에서 부재번호 "736"으로 표시된 각 빌딩의 층과 적절하게 정렬되도록 완전히 전개된 플랫폼(606)이 윈치/브레이크 조립체(644)(도 8E 참고)의 작용에 의해 빌딩(602)에 대해 원하는 수직 위치로 하강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8G를 참고하면, 대피 브리지(732)가 비상 대피 도어(738)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플랫폼(606)이 빌딩의 층(736)과 적절한 수직 정렬 상태로 전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대피 팀 리더와 같은 인증된 사람은 통상적으로 비상 대피 도어(738)를 열기 위해 대피 비상 키(740)를 이용한다. 도 8H는 대피 팀 리더가 대피 브리지(732)를 배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8I는 사람이 빌딩의 층(736)으로부터 둘레방향 폐쇄 요소 내의 플랫폼(606)으로 대피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수송장치(600)의 복수의 플랫폼(606)으로 복수의 층의 대피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J를 참고하면, 대피 팀 리더가 대피 브리지(732)를 접어 올리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대피 팀 리더는 안전문으로서 기능하도록 이 대피 브리지(732)를 둘레방향 폐쇄 요소(734)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K는 사람들이 탑승한 수송장치가 탑승 위치로부터 탈출 위치를 향하여 하강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8L을 참고하면, 최하부 플랫폼(606)이 탈출 높이(608)로 하강되어, 반원형으로 경사져 있어서 중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이동 트랙(750)과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M은 최하부 플랫폼(606)의 한 측면이 왼쪽의 수직 가이드(637)로부터 분리되어 빌딩(602)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되게 최하부 플랫폼(606)이 오른쪽의 수직 가이드(637)에 대해 피벗하도록 롤러(752)를 이용하여 이동 트랙(750)을 따라서 미끄럼이동할 때 두번째로 낮은 위치에 있는 플랫폼(606)이 탈출 높이(608)로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최하부 플랫폼(606)이 이동 트랙(750)을 따라서 이동하는 속도는 다음번 플랫폼이 이동 트랙에 도달할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빠르다.
이동 트랙은 경사져 있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 트랙 상에서의 최하부 플랫폼(606)의 이동은 플랫폼(606)에 장착된 모터에 의해 수행되거나, 오퍼레이터가 풀리를 이용하여 플랫폼을 트랙 상에서 끌어당기거나,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752)가 예기치 않게 이동 트랙(750) 상에서 비스듬히 이동하지 않고 상기 이동 트랙(750) 상에 유지되도록 상기 롤러(752)에는 얕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N은 플랫폼(606)의 연속적인 하강 및 이와 동시에 수행되는 피벗식 이동을 나타내고 있고, 최하부 플랫폼(606)은 스토퍼(75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 경사 진 이동 트랙(750)의 끝부분에 놓여 있다. 도 8N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606)은 빌딩(602)의 바닥부 근처에 반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8O는 모든 플랫폼(606)이 탈출 높이(108)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8O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출 개구(730)를 통하여 모든 플랫폼(606)으로부터 대체로 동시에 사람들이 탈출한다.
도 8P 및 8Q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장치(600)가 구조 대원이나 소방관을 빌딩(602)의 선택된 층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되는 탈출 시스템을 구비한 빌딩의 개략도인 도 9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102)의 복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배치된, 선택적으로 하강할 수 있는 수직방향의 수송장치(900)를 포함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중앙 컨트롤러(904)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복수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공되며, 지정된 수송장치(900)에 각각 할당될 수 있는 제어 출력신호가 복수의 층로부터 사람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탈출 높이(908)로 수송장치(900)의 플랫폼(906)을 선택적으로 하강시킨다. 빌딩 902와 같은 지정된 빌딩은 하나 이상의 수송장치(9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 컨트롤러(904)에 있는 오퍼레이터(922), 지상에 있는 오퍼레이터(924), 소방차(926) 내의 오퍼레이터 및 인터넷이나 비상 네트워크와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원격지의 오퍼레이터(928) 중의 한 사람 이상에 의해 컨트롤러(904)로 또는 직접 수송장치(900)로 사람의 제어 입력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906)이 복수의 대체로 수직의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랫폼(906)은 상기한 이전의 실시예의 플랫폼과 비교하여, 큰 플랫폼인 것이 바람직하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입구 및 출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플랫폼(906)이 단면 형상이 대체로 직사각형인 빌딩의 코너와 같은 빌딩(902)의 외형에 대체로 합치되게 형성되어 있지만, 플랫폼(906)이 반드시 이와 같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플랫폼(906)은 바닥부 지지면(932)과 내열성, 내화성 및/또는 연기 불침투성 재료로 된 직물 또는 강성의 시트재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된 벽 요소와 같은 주위 폐쇄 요소(93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위 폐쇄 요소(934)는 완전한 벽보다는 보호 레일 또는 유지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주위 폐쇄 요소(934)의 내부는 연기와 독성 가스가 들어오는 것을 가능한 한 감소시키기 위해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은 활성탄 필터와 같은 공기 필터(936)와 결합되어 있는 원심 송풍기(935)와 같은 전기작동식 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 요소(934)는 플랫폼(906)에 작용하는 바람의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낮은 공기역학적 항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가 바람의 힘과 같은 측방향의 힘에 대하여 수송장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수송장치와 협력하도록 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 가이드(937)가 빌딩(902)을 따라서 적절한 위치에 설치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복수의 수송장치(900)가 설치되어 있고, 컨트롤러(904)는 상이한 수송장치(900)의 복수의 플랫폼(906)이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빌딩의 하나 이상의 층과 동시에 연통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각각의 수송장치(9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나 이상의 층은 서로 인접하거나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수송장치는 소방관 또는 다른 구조 대원 및/또는 장비를 탈출 높이 또는 다른 빌딩 높이로부터 빌딩의 하나 이상의 높이로 들어올리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의 대피 시스템의 전형적인 작동을 나타내는 도 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및 10K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0A를 참고하면, 전형적인 수송장치(900)가 고정된 장치, 바람직하게는 빌딩(902)의 지붕(938)에 장착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된 장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가지고 있으며 컨트롤러(904)(도 1 참고) 및/또는 오퍼레이터(922), 오퍼레이터(924) 및 오퍼레이터(928)(도 9 참고)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쌍방향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수송장치 컨트롤 서브시스템(140)(도 2A 내지 도 2E 참고)과 유사한 수송장치 컨트롤 서브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송장치 컨트롤 서브시스템은 주 전원, 비상 보조 전원 및/또는 발전기를 이용하여 유압식, 전기작동식 또는 다른 적절한 타입의 윈치/브레이크 조립체(144)(도 2A 내지 도 2E 참고)와 유사한 윈치/브레이크 조립체(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는 종래의 유압 유체 펌프 및 저장조 조립체, 종래의 유압 냉각 조립체, 종래의 유압 기어 모터 조립체 및 비상 유압 제동 시스템 뿐만아니라 이와 결합된 종래의 유압 윈치에 동력을 공급하고 제동작용을 하는 종래의 유압 컨트롤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는 수송장치(900)가 하강할 때에는 제동작용을 하고 수송장치(900)가 상승할 때에는 상승력을 제공한다.
전원이 없을 때에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는 중력을 이용하여 탈출 높이(908)(도 9 참고)로 수송장치(900)의 플랫폼(906)이 하강하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4 개의 케이블(950, 952, 954 및 956)이 윈치/브레이크 조립체에 감겨있으며 플랫폼(906)에 4 개의 서로 이격된 위치로 뻗어있다. 케이블(950, 952, 954 및 956)의 각각은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전개 프레임(968)에 지지되어 있으며 참고 번호 960, 962, 964 및 966으로 각각 표시된, 한 쌍의 풀리와 맞물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개 프레임(968)은 고정 지지 프레임(172)(도 2A 내지 도 2E 참고)과 유사한 고정 지지 프레임(970)에 의해 한정된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피벗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개 프레임(968)의 선택가능한 피벗 상태는 한 쌍의 유압 피스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개 프레임(968)에는 대응하는 소켓(974)에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위치결정 핀(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다.
도 10A는 빌딩 장착식 수직 가이드(937)와 같은 빌딩 장착식 수직 레일 또는 가이드와 맞물려서 수직으로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한 쌍 이상의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롤러 조립체(도 10A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는 플랫폼(906)을 도시하고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플랫폼(906)은 복수의 선택적으로 위치결정가능한 대피 브리지(도 10A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B를 참고하면, 전개 프레임(968)의 위치결정 핀(202)이 소켓(974)(도 10A 참고)에 놓여있는 도 10B에 도시된 상태로 전개 프레임(968)이 회전함으로써 플랫폼(906)이 측방향으로의 이동 및 수직방향 아래로 이동한 이후의 도 10A의 메카니즘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B는 윈치/브레이크 조립체에 의해 케이블(950, 952, 954 및 956)이 풀어짐으로써 플랫폼(906)이 하강하는 것에 의해 발생된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롤러 조립체(1004)와 수직 가이드(937)의 초기의 맞물림상태를 부가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롤러 조립체(1004)는 대체로 원주방향의 지지체(1008) 상에 장착된 적어도 3 개의 롤러(100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개 프레임(968)에 장착된 방향인도 로드(도시되지 않음)가 플랫폼(906)을 빌딩 장착식 가이드 이동 롤러 조립체(1004)와 수직방향의 가이드(937) 사이에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인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C를 보면, 윈치/브레이크 조립체에 의해 케이블(950, 952, 954 및 956)이 더 풀어짐으로써 플랫폼(906)이 하강한 이후의 도 10B의 메카니즘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D는 플랫폼(906)이 본 도면에서 부재번호 "1030"으로 표시된 빌딩의 층과 적절하게 정렬되고 빌딩(902)에 대해 원하는 수직 위치로 하강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E를 참고하면, 플랫폼(906)이 빌딩의 층(1030)과 적절하게 정렬되고 빌딩의 층(1030)에 미리 형성된 복수의 비상 출구와 정렬되도록 전개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대피 팀 리더와 같은 인증된 사람은 통상적으로 비상 대피 도어(1038)를 열기 위해 대피 비상 키(1040)를 이용한다.
도 10F는 대피 팀 리더가 대피 브리지(1032)를 배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10G는 복수의 비상 대피 도어(1038)와 대피 브리지(1032)를 통하여 사람이 빌딩의 층(1030)으로부터 둘레방향 폐쇄 요소(934) 내의 플랫폼(906)으로 대피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수송장치(900)의 플랫폼(906)으로 복수의 층의 대피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H를 참고하면, 대피 팀 리더가 대피 브리지(1032)를 접어 올리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대피 팀 리더는 안전문으로서 기능하도록 이 대피 브리지(1032)를 둘레방향 폐쇄 요소(934)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I는 플랫폼(906)이 사람들이 탈출하기 직전 상태의 탈출 높이(908)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탈출 개구(1030)를 통하여 플랫폼(906)으로부터 대체로 동시에 사람들이 탈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장치(900)가 구조 대원이나 소방관을 빌 딩(902)의 선택된 층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적으로 도시되고 상기와 같이 기술된 것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영역은 상술한 여러가지 특징의 조합 및 하위 조합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개시되지 않은 것으로서 상기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통해서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변경 실시형태와 개량 사항을 모두 포함한다.

Claims (73)

  1. 빌딩용 대피 시스템으로서,
    상기 빌딩의 복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 및
    사람들을 상기 복수의 층으로부터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의 상이한 층에 배치시키는 진입 모드 동작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재배치시켜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탈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나란히 놓이도록 하는 탈출 직전 모드 동작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2. 빌딩용 대피 시스템으로서,
    상기 빌딩의 복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 및
    사람들을 상기 복수의 층으로부터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의 상이한 층에 배치시키는 제 1 선택 진입 모드 동작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하나의 층에 배치시키는 제 2 선택 진입 모드 동작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또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재배치시켜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탈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나란히 놓이도록 하는 탈출 직전 모드 동작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대체로 서로 나란히 하강시키는 제 1 선택 하강 모드 동작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서로 나란하지 않게 하강시키는 제 2 선택 하강 모드 동작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은, 상기 복수의 플랫폼이 대체로 서로 나란히 배치될 때 사람들이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가로질러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서로 힌지로 연결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서로 피벗가능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피벗가능한 복수의 플랫폼은 수직방향의 축에 대하여 서로 피벗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피벗가능한 복수의 플랫폼은 수평방향의 축에 대하여 서로 피벗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나란히 배치된 서로 수직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은 사용하지 않을 때 서로 접혀지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지지부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지지부는 강성의 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은 각각 바닥부 지지면과 주위 폐쇄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폐쇄 요소는 내열성 재료, 내화성 재료와 연기 불침투성 재료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장치를 측방향의 힘에 대해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수송장치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수송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상이한 수송장치의 상기 플랫폼의 복수개가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이한 그룹의 복수의 층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동시 대피를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랫폼이 복수의 탈출 위치와 동시에 연통되게 배치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 치는 상기 탈출 위치로부터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으로 사람들을 들어올리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가 빌딩 장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탈출 위치로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 각각은 연기 및 유독 가스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되는 폐쇄 가압기 및 공기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 각각은 탈출 모드 동작에서만 개방될 수 있는 탈출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이 인접하지 않은 상기 빌딩의 복수의 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 스템.
  26. 빌딩용 대피 시스템으로서,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빌딩의 외측면과 마주 대하고 있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있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빌딩의 지정된 층에 배치된 복수의 비상 출구를 통하여 상기 플랫폼으로 동시에 진입할 수 있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 및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사람들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27. 빌딩용 대피 시스템으로서,
    빌딩 단면을 가지고 있는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빌딩 단면의 비직선 부분과 합치되는 비직선 형상을 가지고 있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 및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사람들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바닥부 지지면과 주위 폐쇄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폐쇄 요소는 내열성 재료, 내화성 재료와 연기 불침투성 재료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30. 제 2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측방향의 힘에 대해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31. 제 26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수송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 각각의 상기 플랫폼이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이한 층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32. 제 26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 장치는 상기 탈출 높이로부터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사람들을 들어올리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33. 제 26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장치는 빌딩 장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34. 제 26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탈출 위치로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35. 제 26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연기 및 유독 가스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되는 폐쇄 가압기 및 공기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36. 빌딩용 대피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빌딩 단벽을 가지고 있는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 및
    상기 수송장치를 측방향의 힘에 대해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수송장치와 협력하고, 상기 빌딩 단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비수직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상기 빌딩 단벽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직선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따라서 사람들을 하강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37. 빌딩용 대피 시스템으로서,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바닥부 지지면, 주위 폐쇄 요소와 연기 및 유독 가스가 들어오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작동되는 폐쇄 가압기 및 공기 필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 및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사람들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38. 제 36 항 또는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은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의 상이한 층에 배치시키는 진입 모드 동작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39. 제 36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서로 힌지로 연결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40. 제 36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서로 피벗가능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피벗가능한 복수의 플랫폼은 수평방향의 축에 대하여 서로 피벗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42. 제 38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은 사용하지 않을 때 서로 접혀지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43. 제 36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지지부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지지부는 강성의 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46. 제 36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은 바닥부 지지면과 주위 폐쇄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폐쇄 요소는 내열성 재료, 내화성 재료와 연기 불침투성 재료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48. 제 36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복수의 수송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상이한 수송장치의 상기 플랫폼의 복수개가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이한 그룹의 복수의 층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49. 제 37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는 동시 대피를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랫폼이 복수의 탈출 위치와 동시에 연통되게 배치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50. 제 38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는 탈출 위치로부터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으로 사람들을 들어올리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51. 제 37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가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탈출 높이로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용 대피 시스템.
  52. 빌딩으로부터 사람들의 비상 대피를 위한 대비 방법으로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빌딩의 복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람들을 상기 복수의 층으로부터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의 상이한 층에 배치시키는 진입 모드 동작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재배치시켜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탈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나란히 놓이도록 하는 탈출 직전 모드 동작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53. 빌딩으로부터 사람들의 비상 대피를 위한 대비 방법으로서,
    복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빌딩의 복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람들을 상기 복수의 층으로부터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의 상이한 층에 배치시키는 제 1 선택 진입 모드 동작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하나의 층에 배치시키는 제 2 선택 진입 모드 동작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재배치시켜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탈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나란히 놓이도록 하는 탈출 직전 모드 동작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55. 제 53 항 또는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대체로 서로 나란히 하강시키는 제 1 선택 하강 모드 동작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서로 나란하지 않게 하강시키는 제 2 선택 하강 모드 동작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56. 제 52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측방향의 힘에 대해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57. 제 52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대피 방법은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상이한 수송장치의 상기 플랫폼의 복수개가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이한 그룹의 복수의 층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58. 제 52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시 대피를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복수의 탈출 위치와 동시에 연통되게 배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59. 제 52 항, 제 54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상기 탈출 위치로부터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으로 사람들을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60. 제 52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기 및 유독 가스가 상기 복수의 플랫폼의 각각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랫폼 각각을 가압하고 상기 복수의 플랫폼 각각의 공기를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61. 빌딩으로부터 사람들의 비상 대피를 위한 대비 방법으로서,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빌딩의 외측면과 마주 대하고 있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있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빌딩의 지정된 층에 배치된 복수의 비상 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플랫폼으로 동시에 진입할 수 있게 하는 단계; 및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사람들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62. 빌딩으로부터 사람들의 비상 대피를 위한 대비 방법으로서,
    상기 빌딩 단면의 비직선 부분과 합치되는 비직선 형상을 가지고 있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상기 빌딩 단면의 상기 비직선 부분에서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서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사람들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63. 제 61 항 또는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장치를 측방향의 힘에 대해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수송장치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64. 제 61 항 내지 제 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대피 방법은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상이한 수송장치의 플랫폼을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이한 층과 연통되게 배치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65. 제 61 항 내지 제 6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상기 탈출 위치로부터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사람들을 들어올리도록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66. 제 61 항 내지 제 6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탈출 높이로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67. 제 61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기 및 유독 가스가 상기 플랫폼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랫폼을 가압하고 상기 플랫폼의 공기를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68. 빌딩으로부터 사람들의 비상 대피를 위한 대비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빌딩 단벽을 가지고 있는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빌딩 단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비수직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수송장치를 측방향의 힘에 대해 안정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빌딩 단벽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직선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빌딩 장착식 안정화 요소를 따라서 사람들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69. 빌딩으로부터 사람들의 비상 대피를 위한 대비 방법으로서,
    상기 빌딩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바닥부 지지면, 주위 폐쇄 요소, 폐쇄 가압기 및 공기 필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수직방향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연기 및 유독 가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폐쇄 가압기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높이로 사람들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70. 제 68 항 또는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대비 방법은 동시적인 대피 탑승을 위해 상이한 수송장치의 상기 플랫폼의 복수개를 동시에 상기 빌딩의 상이한 그룹의 복수의 층과 연통되게 배치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송장치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71. 제 68 항 내지 제 7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시 대피를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랫폼을 복수의 탈출 위치와 동시에 연통되게 배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72. 제 68 항 내지 제 7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상기 탈출 위치로부터 상기 빌딩의 상기 복수의 층으로 사람들을 들어올리도록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73. 제 68 항 내지 제 7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탈출 높이로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방법.
KR1020077026938A 2007-11-20 2005-04-21 대피 시스템 및 대피 방법 KR20080003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6938A KR20080003906A (ko) 2007-11-20 2005-04-21 대피 시스템 및 대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6938A KR20080003906A (ko) 2007-11-20 2005-04-21 대피 시스템 및 대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906A true KR20080003906A (ko) 2008-01-08

Family

ID=3921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938A KR20080003906A (ko) 2007-11-20 2005-04-21 대피 시스템 및 대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9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1941B2 (en) Evacuation system for a building including building mounted stabilizing element
US78499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hing from outside an upper level of a tall structure
US8074767B1 (en) Aerial ladder system with powered rungs
US20060065485A1 (en) Reed's high-rise emergency rescue egress system
KR20050075354A (ko) 대피 시스템 및 방법
US4386680A (en) Emergency rescue system
KR101829867B1 (ko) 고층 건물용 화재 대피 장치
US11731857B2 (en) Movable machine room,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elevator
US20070137928A1 (en) Multistory building fast escape and rescue device using a body that slides through a pressurized tube
KR102189888B1 (ko) 포대 할강 방식의 대피장치
US5056619A (en) Controlled descent device
KR20080003906A (ko) 대피 시스템 및 대피 방법
US7377218B2 (en) Emergency rescue vehicle
WO20010661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evacuating persons, for example from a multi-storey building on fire
RU2656204C1 (ru) Спаса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CN1257822A (zh) 电梯车厢和维护梯两用的电梯系统
CN116605740B (zh) 一种建筑消防升降救援平台
CN108498962B (zh) 一种高层建筑消防救援设备
JPH0588629B2 (ko)
CN116143045A (zh) 一种可折叠踏板和避难层间疏散救援平台
WO1988007878A1 (en) Building escape apparatus
JPH09271522A (ja) 避難降下装置
JP2019187498A (ja) 避難器具
JP2001261111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