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517A - 티백 수납구 - Google Patents

티백 수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517A
KR20080003517A KR1020060061868A KR20060061868A KR20080003517A KR 20080003517 A KR20080003517 A KR 20080003517A KR 1020060061868 A KR1020060061868 A KR 1020060061868A KR 20060061868 A KR20060061868 A KR 20060061868A KR 20080003517 A KR20080003517 A KR 20080003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bag
leaf spring
tea
support bar
pus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천지영농조합법인
이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지영농조합법인, 이재호 filed Critical 천지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06006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517A/ko
Publication of KR2008000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085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characterised by an outer package, e.g. wrappers or boxes for enclosing tea-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백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게 한 티백 수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티백 박스의 내부에 판스프링의 작동으로 연동하는 밀개판을 구성시켜 티백이 하나하나 사용하여 공간부가 줄어들 때, 상기 밀개판이 이동하여 티백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티백을 직립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티백 수납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티백 박스에서 티백을 빼어 쓰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티백이 흐트러지거나 뒤섞일 위험성을 미리 방지하고 항상 곧게 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티백 수납구는 소비자가 티백을 사용시 가장 편리한 상태에서 티백을 뽑아 시식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에 사용이 편리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티백 수납구는 종래의 티백 박스에 내장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기에 활용가능성이 크다.
프레임, 지지바, 가이더, 수평가이더, 밀개판, 판스프링 등

Description

티백 수납구{The receipt case of a tea bag}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티백 박스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티백 수납구의 모습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티백 수납구의 모습을 전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티백 수납구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티백 수납구가 티백 박스에 내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티백 수납구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프레임 11, 12, 13, 14; 바
20; 지지바 30; 수평가이더
40; 밀개판 50; 판스프링
51; 간격 60; 위치고정홈
70; 티백
본 발명은 티백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게 한 티백 수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티백 박스의 내부에 판스프링의 작동으로 연동하는 밀개판을 구성시켜 티백이 하나하나 사용하여 공간부가 줄어들 때, 상기 밀개판이 이동하여 티백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티백을 직립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티백 수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홍차, 녹차 등 다양한 차들을 시식하기 위해서 현재 판매되고 있는 형태는 티백에 포장한 것이 주류를 이룬다.
즉, 홍차나 녹차 등의 티를 부직포로 이루어진 티백에 담아, 이를 뜨거운 물이 들어있는 찻잔에 넣어 우러난 티를 마시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편하게 하기 위해 종래에는 육각 형태의 티백박스(1)가 있고, 그 내부에 다수의 티백(2)이 수용되게 하여 판매를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티백박스(1)의 경우, 상부의 뚜껑만을 개방한 상태로 보관하다가, 필요시 하나씩 티백(2)을 꺼내어 사용을 한다.
따라서 도시된 도 1에서처럼 상기 티백박스(1)에서 티백(2)을 하나씩 빼내어 사용하게 되면, 그 사용한 공간부가 있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공간부는 티백(2)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옆으로 쓰러져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티백박스(1)가 놓인 냉장고나 싱크대의 상부를 지저분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어지럽혀진 티백(2)의 비 정돈된 상태가 인간의 시각에 지저분함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은 티백을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게 한 티백 수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티백 박스의 내부에 판스프링의 작동으로 연동하는 밀개판을 구성시켜 티백이 하나하나 사용하여 공간부가 줄어들 때 상기 밀개판이 이동하여 티백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티백을 직립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티백 수납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전·후·좌·우 4개의 4각 바로 짜이며, 좌·우측 장형의 바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의 전면 바의 상부로 결합된 지지바와; 상기 좌·우측 장형의 바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가이더가 끼워진 수평가이더와; 상기 수평가이더의 상부로 수직된 방향으로 결합된 밀개판과; 일측단이 상기 전면 바와 지지바 사이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꼬인 상태로 간격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밀개판 배면에 위치시킨 판스프링이; 결합하여 상기 밀개판과 지지바 사이에 티백이 위치하여 하나씩 빠질 때마다 판스프링이 밀개판을 밀어 밀개판과 지지바 사이에서 티백이 서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티백 수납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티백을 직립한 상태로 보관시키기 위한 티백 수납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시된 도 2 내지 6에 도시된 것처럼, 직사각형 형상으로 전·후·좌·우 4개의 4각 바(11, 12, 13, 14)로 짜이며, 좌·우측 장형의 바(11, 12)에는 가이드홈(18)이 형성된 프레임(10)이 있고, 상기의 전면 바(13)의 상부로 결합된 지지 바(20)가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장형의 바(11, 12)에 형성된 가이드홈(18)에 가이더(32)가 끼워진 수평가이더(30)가 있고, 상기 수평가이더(30)의 상부로 수직된 방향으로 결합된 밀개판(40)가 있다.
또한 일측단이 상기 전면 바(13)와 지지바(20) 사이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꼬인 상태로 간격(51)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밀개판(40) 배면에 위치시킨 판스프링(5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개판(40)과 지지바(20) 사이에 티백(70)이 위치하여 하나씩 빠질 때마다 판스프링(50)이 밀개판(40)을 밀어 밀개판(40)과 지지바(20) 사이에서 티백(70)이 서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티백 수납구(P)는, 프레임의 내부에서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밀개판(40)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프레임(10)은 4개의 바(11, 12, 13, 14)가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지는데, 사실상 이 바(11, 12, 13, 14)의 경우 목재로 제작되어 연결될 수도 있지만,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아무튼 상기 프레임(10)을 이루는 4개의 바(11, 12, 13, 14)는 2개는 짧은 길이이고, 2개는 길이가 길다.
따라서 서로 결합하게 되면,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중 장형의 좌우측바(11, 12)의 경우 그 측면에 가이드홈(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홈(18)에는 수평가이더(30)가 그 가이더(32)를 통해서 끼워 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수평가이더(30)는 상기 가이드홈(18)을 타고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 도시된 도 2 내지 6에서처럼 상기 수평가이더(30)의 상부로 밀개판(4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밀개판(40)은 항상 원형으로 꼬이려고하는, 탄성력을 가진 판스프링(50)에 의해 배면에서 받쳐진 상태이다.
더욱 정확하게는 원형으로 꼬이는 탄성스프링(50)의 일측단은 전면 바(13)와 지지바(20) 사이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고, 타측단은 도시된 간격(51)을 사이로 들어가 밀개판(40)의 배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50)이 항상 말리려고 하는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기에 상기 밀개판(40)을 전면 바(13)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도 4와 6에서처럼, 본 발명의 수납구(P)는 티백(70)이 곧게 선 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상기 전면 바(13)와 밀개판(40) 사이에 다수개의 티백(70)을 올려놓으면, 상기 밀개판(40)은 판스프링(5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티백(70)을 전면 바(13)와 밀개판(40) 사이에 곧게 선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러다 사용자가 상기 티백(70)을 하나씩 빼서 사용하게 되면, 상기 전면 바(13)와 밀개판(40) 사이는 사용한 티백(70)만큼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밀개판(40)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지 않는다.
항상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빈 공간만큼 밀개판(40)을 가압하여 티백(70)이 언제나 곧게 선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티백 수납구(P)를 사용하게 되면, 티백(70)을 특별히 정리할 필요가 없이 항상 전면 바(13)에 밀착된 곧게 선 상태로 정돈을 시켜 주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설명된 티백 수납구(P)의 경우 도시된 도 5에서처럼, 시중에서 팔고 있는 티백 박스(95)의 저면에 올려놓은 상태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공지된 티백 박스(95)에서 다수의 티백(70)을 들어내고, 상기 티백 수납구(P)를 올려놓은 후에 상기 티백 수납구(P)의 밀개판(40)과 전면 바(13) 사이에 다수의 티백(70)을 위치시키면 그 이후에는 판스프링(50)의 탄성력으로 티백(70)을 정렬시키며, 티백(70)을 가장 잘 빼기 쉬운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밀개판(40)의 배면에는, 판스프링(50)이 꼬인 위치에 위치고정홈(60)을 구성하여 판스프링(5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원형으로 꼬여있는 판스프링(50)은 그 탄성력이 작용하며, 회전할 소지가 많다.
물론 그러한 회전으로 인해 판스프링(50)은 좌우로 이동될 소지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밀개판(40)의 배면에는 도시된 것처럼 위치고정홈(60)을 형성시켜 놓는다.
그러면 상기 위치고정홈(60)에 그 일측면이 끼어 있는 판스프링(50)은 회전은 유도하되, 좌우로 이동되는 현상은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발명은, 티백 박스에서 티백을 빼어 쓰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티백이 흐트러지거나 뒤섞일 위험성을 미리 방지하고 항상 곧게 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티백 수납구는 소비자가 티백을 사용시 가장 편리한 상태에서 티백을 뽑아 시식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에 사용이 편리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티백 수납구는 종래의 티백 박스에 내장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기에 활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2)

  1. 직사각형 형상으로 전·후·좌·우 4개의 4각 바(11, 12, 13, 14)로 짜이며, 좌·우측 장형의 바(11, 12)에는 가이드홈(18)이 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의 전면 바(13)의 상부로 결합된 지지바(20)와;
    상기 좌·우측 장형의 바(11, 12)에 형성된 가이드홈(18)에 가이더(32)가 끼워진 수평가이더(30)와;
    상기 수평가이더(30)의 상부로 수직된 방향으로 결합된 밀개판(40)과;
    일측단이 상기 전면 바(13)와 지지바(20) 사이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꼬인 상태로 간격(51)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밀개판(40) 배면에 위치시킨 판스프링(50)이; 결합하여 상기 밀개판(40)과 지지바(20) 사이에 티백(70)이 위치하여 하나씩 빠질 때마다 판스프링(50)이 밀개판(40)을 밀어 밀개판(40)과 지지바(20) 사이에서 티백(70)이 서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수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개판(40)의 배면에는,
    판스프링(50)이 꼬인 위치에 위치고정홈(60)을 구성하여 판스프링(5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느 티백 수납구.
KR1020060061868A 2006-07-03 2006-07-03 티백 수납구 KR20080003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868A KR20080003517A (ko) 2006-07-03 2006-07-03 티백 수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868A KR20080003517A (ko) 2006-07-03 2006-07-03 티백 수납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933U Division KR200429365Y1 (ko) 2006-07-03 2006-07-03 티백 수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517A true KR20080003517A (ko) 2008-01-08

Family

ID=3921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868A KR20080003517A (ko) 2006-07-03 2006-07-03 티백 수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5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9365Y1 (ko) 티백 수납구
KR20080003517A (ko) 티백 수납구
CN203605621U (zh) 一种袋装物品收纳盒
CN205525651U (zh) 滑盖式整理箱
CN210775227U (zh) 一种毛发中氯胺酮快速检测试剂盒
CN204970645U (zh) 一种自动翻盖杯
CN210961265U (zh) 电子旋转特色卷烟展示台
CN205752848U (zh) 一种多功能插座
KR200491155Y1 (ko) 수납함
CN206907678U (zh) 一种开关插座面板
CN211022049U (zh) 一种具有可拆分结构的多功能水杯
CN212290906U (zh) 一种新型防水肥皂彩盒
CN203832903U (zh) 方便存取提盒
KR200231465Y1 (ko) 손톱소제용구함
TWM281769U (en) Safety device for tool cabinet
AU2019202277B1 (en) A Creative Teacup
KR20120007946U (ko) 양방향 인출이 가능한 냅킨케이스
CN207129290U (zh) 一种多功能茶叶盒
CN213405691U (zh) 一种包装袋收纳装置
CN209932281U (zh) 多功能的杯子
KR20040062760A (ko) 시디보관케이스
KR200473561Y1 (ko) 수납용기
CN220713496U (zh) 文创展柜包装盲盒
CN216233765U (zh) 保温箱
CN211392253U (zh) 一种组合式储物密封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