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400U - 휴대용 평상 - Google Patents

휴대용 평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400U
KR20080003400U KR2020070002665U KR20070002665U KR20080003400U KR 20080003400 U KR20080003400 U KR 20080003400U KR 2020070002665 U KR2020070002665 U KR 2020070002665U KR 20070002665 U KR20070002665 U KR 20070002665U KR 20080003400 U KR20080003400 U KR 200800034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center
vert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1590Y1 (ko
Inventor
정희성
Original Assignee
정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성 filed Critical 정희성
Priority to KR2020070002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59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4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4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5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평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설치 및 해체가 편리함과 동시에 설치 후 설치 상태 및 그 설치 상태 유지도 매우 견고하게 되는 평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수 개의 가로,세로 골조, 판재, 한 개 이상의 연결구 및 지지다리로 구성되는 휴대용 평상에 있어서, 상기 평상골격에 안착 되는 판재를 4 등분하여 4개의 단위판재가 구성되도록 하면서 평상골격 중앙에는 중앙골조를 평상골격의 가로골조와 평행 되게 구비한 후 중앙골조의 양 끝부를 세로골조 중앙에 고정된 상부 개방형 지지구에 삽입하고, 상기 평상골격의 가로골조와 중앙골조는 양측으로 분리 구성하여 연결골조로 연결하며, 상기 가로,세로,중앙골조 각 상면에는 끼움홈을 형성하여 가로,세로 골조의 끼움홈에는 단위판재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외측 가로돌조 및 세로돌조, 중앙골조의 끼움홈에는 단위판재 저면의 내측 가로돌조가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가로,세로 골조를 연결하는 연결구의 양측 연결대 및 연결골조 중앙에는 수용홈을 형성하여 이 수용홈에 가로,세로,중앙골조의 끼움홈이 포개지는 형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되, 연결구 상면에 단위판재 모서리가 안착 될 수 있으면서 직교방향 끝단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 저면 중앙에는 지지다리 상부를 수용하는 연장관을 연결구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연장관 중심에 머리부가 연결구 중앙 내부에 매설되면서 지지다리 상부 중앙의 나사공이 체결되는 보울트를 연장관의 길이 방향으로 구성하며, 상기 지지다리 하단 에는 지지다리 하부의 조절나사공에 체결되는 조절보울트의 머리부가 중앙 내부에 매설됨으로써 내부 중심에 조절보울트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면 접촉용 받침관을 결합한 것이다.
Figure P2020070002665
평상, 평상골격, 단위판재, 연결구, 중앙골조

Description

휴대용 평상{The flat bench for carrying}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에서 판재를 분리한 상태 평면 예시도
도 2b는 도 2를 분해한 예시도
도 3은 도 1의 가-가'선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판재와 연결구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지지다리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연결구 평면 예시도
도 8은 도 7의 나-나'선 단면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연결구와 가로,세로골조의 연결 고정되는 구조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가로,중앙골조와 연결골조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 예시도
도 11의 (가)는 본 고안의 판재의 돌조와 가로,세로,중앙골조 끼움홈의 결합에 대한 또 다른 예시도로서 분해 사시도
(나)는 (가)의 결합 단면 예시도
도 12의 (가)는 본 고안의 판재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나)는 (가)의 결합 단면 예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단위판재 저면 예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지지구와 중앙골조의 결합에 대한 또 다른 예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평상골격 10 : 가로골조
11 : 세로골조 12 : 중앙골조
13,13' : 연결골조 131 : 걸림대
132 : 스프링 133 : 나사관
134 : 수용홈 101,111,121 : 끼움홈
101a,111a,121a : 걸림턱 113 : 지지구
102,112 : 걸림공 103,123 : 접속공
20,20' : 단위판재 201,202 : 가로돌조
203 : 세로돌조 201a, 202a, 203a : 돌기
21 : 결합편 21' : 결합홈
30 : 연결구 30a : 연장관
301 : 안착홈 302 : 수용홈
303 : 끼움홈 31 : 연결대
31a : 너트 31b : 나비보울트
31c : 체결보울트 311 : 수직구멍
312 : 걸림턱 32 : 걸림봉
321 : 확대부 33 : 코일스프링
34 : 덮개 35 : 보울트
40 : 지지다리 401 : 나사공
402 : 조절나사공 50 : 받침관
51 : 조절보울트 60 : 빗장봉
본 고안은 휴대용 평상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설치 및 해체가 편리함과 동시에 설치 후 설치 상태 및 그 설치 상태 유지도 매우 견고하게 되는 평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상은 실외나 야외에서 사람이 쉴 수 있도록 구성된 침상의 일종으로서 통상 평평한 형상의 판재의 저면 각 모서리부에 지지다리가 부착된 구성으로 되나, 그 부피와 무게 등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나감에 따라 이동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 휴대용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엄두를 낼 수 없는 일이었다.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평상의 구성 요소인 판재, 지지다리, 골조를 분해 하여 휴대의 용이성을 꾀하고자하는 분해, 조립형 평상이 일부 시판되기도 하였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평상은 그 부피가 커서 휴대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조립이 까다로웠으며, 또한 평상을 지지하는 지지다리의 높이가 조절이 되지 못함으로써 지면이 일정각도 이상 경사진 지형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도 있었다.
한편 종래 휴대용 평상은 연결구와 골조의 연결, 골조와 판재의 결합, 지지다리의 고정이 매우 불안정하여 평상을 사용할 때 평상이 흔들거리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은 평상 사용 중에 평상의 순간적인 파손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중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나아가 그 흔들림으로 인해 지지다리가 부러지는 경우는 물론 골조와 연결구의 분리 및 판재의 이탈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들을 한꺼번에 해결하기 위함에 그 기술적인 과제를 두고 안출한 고안으로서 그 과제를 평상의 주요 구성요소인 골조, 연결구, 판재, 지지다리를 용이하게 분해, 조립이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견고하게 개선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 개의 가로,세로골조(10)(11)로 직 사각 형태의 평상형태를 구획한 다음 각 모서리에 기역자 형태의 연결구(30)를 채용함과 동시에 위 연결구(30)의 양측 연결대(31)에 가로,세로 골조(10)(11)의 끝부를 결합하여 평상골격(1)이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평상골격(1) 상부에 판재를 안착하면서 평상골격(1)의 각 모서리 저면에는 지지다리(40)를 구현하며, 상기 가로,세로 골조(10)(11), 연결구(30), 판재, 지지다리(40)를 분해, 조립 가능케 하는 휴대용 평상에 있어서,
상기 평상골격(1)에 안착 되는 판재를 4 등분하여 4개의 단위판재(20)(20')가 구성되도록 하면서 평상골격(1) 중앙에는 중앙골조(12)를 평상골격(1)의 가로골조(10)와 평행 되게 구비한 후 중앙골조(12)의 양 끝부를 세로골조(11) 중앙에 고정된 상부 개방형 지지구(113)에 삽입하고, 상기 평상골격(1)의 가로골조(10)와 중앙골조(12)는 양측으로 분리 구성하여 연결골조(13)(13')로 연결하며, 상기 가로,세로,중앙골조(10)(11)(12) 각 상면에는 끼움홈(101)(111)(121)을 형성하여 가로,세로 골조(10)(11)의 끼움홈(101)(111)에는 단위판재(20)(20')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외측 가로돌조(202) 및 세로돌조(203)가, 중앙골조(12)의 끼움홈(121)에는 단위판재(20)(20') 저면의 내측 가로돌조(202)가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가로,세로골조(10)(11)를 연결하는 연결구(30)의 양측 연결대(31) 및 연결골조(13)(13') 중앙에는 수용홈(134)(302)을 형성하여 이 수용홈(134)(302)에 가로,세로,중앙골조(10)(11)(12)의 끼움홈(101)(111)(121)이 포개지는 형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되, 연결구(30) 상면에 단위판재(20)(20') 모서리가 안착 될 수 있 으면서 직교방향 끝단에 끼움홈(303)이 형성되는 안착홈(301)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30) 저면 중앙에는 지지다리(40) 상부를 수용하는 연장관(30a)을 연결구(3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연장관(30a) 중심에 머리부가 연결구(30) 중앙 내부에 매설되면서 지지다리(40) 상부 중앙의 나사공(401)이 체결되는 보울트(35)를 연장관(30a)의 길이 방향으로 구성하며, 상기 지지다리(40) 하단에는 지지다리(40) 하부의 조절나사공(402)에 체결되는 조절보울트(51)의 머리부가 중앙 내부에 매설됨으로써 내부 중심에 조절보울트(51)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면 접촉용 받침관(50)을 결합하여서 된 것이고, 상기에서 지지구(113)와 중앙골조(12)의 결합을 빗장봉(60)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구분하여 설명하면,
첫째, 직사각 형태의 평상골격(1) 중앙에 중앙골조(12)를 구성하였으므로 평상골격(1)이 전후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평상골격(1) 상에 안착 되는 단위판재(20)(20')를 4 등분하였기 때문에 평상골격(1)에 중앙골조(12)를 채용하더라도 단위판재(20)(20') 안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판재의 보관이 용이하며, 그리고 중앙골조(20) 양 끝부가 평상골격(1)의 세로골조(11) 중앙에 고정되는 지지구(113)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중앙골조(12)의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되고,
둘째, 가로.세로, 중앙골조(10)(11)(12) 상면 중앙에 끼움홈(101)(111)(121)이 형성되어 단위판재(20)(20') 저면 가장자리의 가로,세로 돌조(201)(202)(203)가 끼워져 평상골격(1) 상에 단위판재(20)(20')를 안착 결합할 수 있게 되어 단위판재(20)(20')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가로,세로,중앙골조(10)(11)(12)와 단위판재(20)(20')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는 작용이 있으며,
셋째, 평상골격(1)의 가로,중앙골조(10)(12)가 양분되어 연결골조(13)(13')로 연결되므로 가로,중앙골조(10)(12)의 버팀력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길이도 짧아지게 되어 휴대가 용이하고,
넷째, 평상골격(1)을 구현하는 연결구(30) 상면의 안착홈(301)에 단위판재(20)(20')의 모서리가 안착 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단위판재(20)(20') 모서리를 연결구(30) 저면의 지지다리(40)로 직접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단위판재(20)(20')의 안착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또 단위판재(20)(20')의 외측 돌조(201)와 세로돌조(203)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303)이 직교방향 끝단에 형성되는 있어 더욱 단위판재(20)(20')의 안착 유지력이 좋아지게 되며,
다섯째, 연결구(30)의 지지다리(40)의 연결이 머리부가 연결구(30) 중앙 내부에 매설되는 보울트(35)와 지지다리(40) 상부 중앙의 나사공(401) 체결로 달성하므로 연결구(30)와 지지다리(40)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분해, 조립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또 지지다리(40) 상부가 연결구(30)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연장관(30a)에 삽입되기 때문에 지지다리(40)가 휘청거리는 것이 방지되며,
여섯째, 지지다리(40) 하단에 받침관(50)이 결합 되면서 이 받침관(50) 중심의 조절보울트(51)가 지지다리(40) 하부의 조절나사공(402)에 체결되기 때문에 받침관(5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지지다리(40) 하부가 받침관(50) 내에 삽 입되는 형태로 결합 되므로 받침관(50)의 받침력이 우수하게 되는 작용이 있다.
상기에서 평상골격(1)의 세로골조(11) 양측에 연결구(30)의 연결대(31)를 끼워 고정하여 세로골조(11)와 연결구(30)를 하나의 평상 구성요소로 하고, 평상골격(1)의 가로,중앙골조(10)(12)의 양분 지점을 중앙에서 한쪽으로 치우치는 부분으로 하여 양분되는 양측 가로,중앙골조 요소의 길이가 다르도록 하되, 짧은 측의 가로골조 요소 일측에 연결골조(13)(13') 일측을 끼워 선단부에 연결골조(13)(13')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의 가로골조 요소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첨부도면 도 2b 참조) 양분되는 가로,중앙골조 요소와 세로골조(11), 연결구(30)로 이루어지는 평상 구성요소의 길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본 고안의 첨부도면을 통해 전반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30)의 연결대(31)와 가로,세로 골조(10)(11)의 연결 고정을 연결대(31) 내에 매설되는 너트(31a)에 나비보울트(31b)를 체결하여 연결구(30)와 가로,세로 골조(10)(11)의 연결 고정이 견고하게 되도록 하거나 혹은 결합된 연결구(30)의 연결대(31) 및 가로,세로 골조(10)(11)에 체결보울트(31c)를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하는 방식 또는 위 양자를 혼용하는 방식으로 연결구(30)와 가로,세로골조(10)(11)의 연결 고정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분해도 가능하도록 하며,
또 첨부도면 도 9에서와 같이 연결구(30)의 연결대(31)에 형성되는 수직구멍(311) 내에 걸림봉(32)과 코일스프링(33)을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수직구멍(311) 상부에 덮개(34)를 체결하여 걸림봉(32)이 탄력적으로 수직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걸림봉(32)은 상단의 확대부(321)를 수직구멍(32) 하단의 걸림턱(312)에 걸리도록 하여 걸림봉(32)이 수직구멍(311) 하단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걸림봉(32) 하단이 가로,세로 골조(10)(11)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공(102)(112)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연결구(30)의 연결대(31)와 가로,세로 골조(10)(11)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고, 이렇게 연결된 연결구(30)의 연결대(31)와 가로,세로 골조(10)(11)의 연결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걸림봉(32) 하단을 강제로 밀어 걸림봉(32) 하단이 가로,세로 골조(10)(11)의 걸림공(102)(112)에서 벗어나도록 하면 되고, 반대로 걸림봉(32) 하단을 가로.세로 골조(10)(11)의 걸림공(102)(112)에 접속하고자 할 때에는 위와 마찬가지로 걸림봉(32) 하단을 밀어 걸림봉(32) 하단이 수직구멍(311) 내로 함몰 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로,세로 골조(10)(11)를 연결구(30)의 연결대(31)에 끼우면서 걸림봉(32)이 가로,세로 골조(10)(11)의 걸림공(102)(112)에 접속되도록 하면 된다.
이때 함몰되는 걸림봉(32)은 코일스프링(33)의 압축으로 인하여 걸림봉(32)에는 원상복원력(코일스프링의 탄력으로 걸림봉이 하강 작동하는 것)이 발생하게 되고, 이 원상복원은 가로,세로 골조(10)(11)가 연결대(31)에 완전하게 끼워지기 전 까지는 가로,세로 골조(10)(11) 내면에 의해 발생하지 않는 반면 연결구(30)의 연결대(31)에 가로,세로 골조(10)(11)가 완전하게 끼워져 가로,세로 골조(10)(11) 의 걸림공(102)(112)이 걸림봉(32)과 동일 선상에 도달하였을 때 비로소 발생하여 가로,세로골조(10)(11)의 걸림공(102)(112)에 접속되게 된다. 그러므로 연결구(30)의 연결대(31)와 가로,세로 골조(10)(11)의 연결 및 분리를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연결 유지력도 우수하게 되는 작용이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10에서와 같이 가로,중앙 골조(10)(12)와 연결골조(13)(13')의 연결은 연결골조(13)(13') 내에 나사관(133)을 형성한 다음 그 나사관(133)에 가로,중앙 골조(10)(12)를 관통하는 나비보울트를 체결하거나 또는 연결골조(13)(13') 외면으로 걸림대(131)를 돌출하여 상기 걸림대(131)를 연결골조(13)(13')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132)으로 탄력적으로 출,함몰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대(131)가 가로,중앙 골조(10)(12)의 접속공(103)(123)에 접속되도록 하여 가로,중앙 골조(10)(12)와 연결골조(13)(13')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첨부도면 도 11에서와 같이 단위판재(20)(20')의 돌조(201)(202)(203) 끝단에 곡률형 돌기(201a)(202a)(203a)를 형성하여 상기 돌기(201a)(202a)(203a)가 가로,세로,중앙골조(10)(11)(12)의 끼움홈(101)(111)(121) 상단에 형성되는 곡률형 걸림턱(101a)(111a)(121a)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단위판재(20)(20')의 돌조(201)(202)(203)가 끼움홈(101)(111)(121)에서 자유롭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첨부도면 도 12에서와 같이 평상골격(1) 상에 안착되는 평상골격(1) 가로방향의 양측 단위판재(20)(20')의 일측 판재(20) 끝단에 결합편(21)을 수개 형성하고 상기 결합편(21)을 타측 판재(20') 끝단의 결합홈(21')에 안착되도록 하여 평상골격(1)의 가로방향 양측 단위판재(20)(20') 경계부가 단위판재(20)(20')를 누르는 가압 하중으로부터 이간 되는 것이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평상은 기본 구성요소(판재, 가로골조, 세로골조, 연결구, 지지다리)와 보조 구성요소(중앙골조, 연결골조)를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도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또 위 구성요소들의 조립상태및 그 유지도 견고하게 되어 파손율이 현저하게 낮은 평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시 부피의 최소화는 물론 각 구성요소들의 부피도 비슷하게 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도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8)

  1. 수 개의 가로,세로 골조(10)(11)로 직사각 형태의 평상형태를 구획한 다음 각 모서리에 기역자 형태의 연결구(30)를 채용함과 동시에 위 연결구(30)의 양측 연결대(31)에 가로,세로 골조(10)(11)의 끝부를 결합하여 평상골격(1)이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평상골격(1) 상부에 판재를 안착하면서 평상골격(1)의 각 모서리 저면에는 지지다리(40)를 구현하며, 상기 가로,세로 골조(10)(11), 연결구(30), 판재, 지지다리(40)를 분해, 조립 가능케 하는 휴대용 평상에 있어서, 상기 평상골격(1)에 안착 되는 판재를 4 등분하여 4개의 단위판재(20)(20')가 구성되도록 하면서 평상골격(1) 중앙에는 중앙골조(12)를 평상골격(1)의 가로골조(10)와 평행 되게 구비한 후 중앙골조(12)의 양 끝부를 세로골조(11) 중앙에 고정된 상부 개방형 지지구(113)에 삽입하고, 상기 평상골격(1)의 가로골조(10)와 중앙골조(12)는 양측으로 분리 구성하여 연결골조(13)(13')로 연결하며, 상기 가로,세로,중앙 골조(10)(11)(12) 각 상면에는 끼움홈(101)(111)(121)을 형성하여 가로,세로 골조(10)(11)의 끼움홈(101)(111)에는 단위판재(20)(20')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외측 가로돌조(202) 및 세로돌조(203)가, 중앙골조(12)의 끼움홈(121)에는 단위판재(20)(20') 저면의 내측 가로돌조(202)가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가로,세로골조(10)(11)를 연결하는 연결구(30)의 양측 연결대(31) 및 연결골조(13)(13') 중앙에는 수용홈(134)(302)을 형성하여 이 수용홈(134)(302)에 가로,세로,중앙 골조(10)(11)(12)의 끼움홈(101)(111)(121)이 포개지는 형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하 되, 연결구(30) 상면에 단위판재(20)(20') 모서리가 안착 될 수 있으면서 직교방향 끝단에 끼움홈(303)이 형성되는 안착홈(301)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30) 저면 중앙에는 지지다리(40) 상부를 수용하는 연장관(30a)을 연결구(3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연장관(30a) 중심에 머리부가 연결구(30) 중앙 내부에 매설되면서 지지다리(40) 상부 중앙의 나사공(401)이 체결되는 보울트(35)를 연장관(30a)의 길이 방향으로 구성하며, 상기 지지다리(40) 하단에는 지지다리(40) 하부의 조절나사공(402)에 체결되는 조절보울트(51)의 머리부가 중앙 내부에 매설됨으로써 내부 중심에 조절보울트(51)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면 접촉용 받침관(50)을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평상.
  2.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구(30)의 연결대(31)와 가로,세로 골조(10)(11)의 연결고정을 연결대(31) 내에 매설되는 너트(31a)에 나비보울트(31b)를 체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평상.
  3.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구(30)의 연결대(31) 및 가로,세로 골조(10)(11)에 체결보울트(31c)를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하여 연결구(30)와 가로,세로 골조(10)(11)가 연결 고정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평상.
  4.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구(30)의 연결대(31)에 형성되는 수직구멍(311) 내에 걸림봉(32)과 코일스프링(33)을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수직구멍(311) 상부에 덮개(34)를 체결하여 걸림봉(32)이 탄력적으로 수직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걸림봉(32)은 상단의 확대부(321)를 수직구멍(32) 하단의 걸림턱(312)에 걸리도록 하여 걸림봉(32)이 수직구멍(311) 하단으로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걸림봉(32) 하단이 가로,세로 골조(10)(11)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공(102)(112)에 접속되도록 하여 연결구(30)의 연결대(31)와 가로,세로 골조(10)(11)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평상.
  5.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골조(13)(13') 내에 나사관(133)을 형성하고 그 나사관(133)에 가로,중앙 골조(10)(12)를 관통하는 나비보울트를 체결하여 가로,중앙 골조(10)(12)와 연결골조(13)(13')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평상.
  6.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골조(13)(13') 외면으로 걸림대(131)를 돌출하여 상기 걸림대(131)를 연결골조(13)(13')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132)으로 탄력적으로 출,함몰 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대(131)가 가로,중앙골조(10)(12)의 접속공(103)(123) 에 접속되도록 하여 가로,중앙골조(10)(12)와 연결골조(13)(13')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평상.
  7. 제 1항에 있어서, 단위판재(20)(20')의 돌조(201)(202)(203) 끝단에 곡률형 돌기(201a)(202a)(203a)를 형성하여 상기 돌기(201a)(202a)(203a)가 가로,세로,중앙골조(10)(11)(12)의 끼움홈(101)(111)(121) 상단에 형성되는 곡률형 걸림턱(101a)(111a)(121a)에 걸리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평상.
  8. 제1항에 있어서, 평상골격(1) 상에 안착 되는 평상골격(1) 가로방향의 양측 단위판재(20)(20')의 일측 판재(20) 끝단에 결합편(21)을 수개 형성하고 상기 결합편(21)을 타측 판재(20') 끝단의 결합홈(21')에 안착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평상.
KR2020070002665U 2007-02-14 2007-02-14 휴대용 평상 KR200441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665U KR200441590Y1 (ko) 2007-02-14 2007-02-14 휴대용 평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665U KR200441590Y1 (ko) 2007-02-14 2007-02-14 휴대용 평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400U true KR20080003400U (ko) 2008-08-20
KR200441590Y1 KR200441590Y1 (ko) 2008-08-26

Family

ID=4149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665U KR200441590Y1 (ko) 2007-02-14 2007-02-14 휴대용 평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5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9868A1 (en) * 2015-11-25 2017-06-01 QASIM, Mohammed Asif A collapsible bed base
KR200496490Y1 (ko) * 2022-08-24 2023-02-10 육태일 계산대 코너 마감부재 및 이를 구비한 계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9868A1 (en) * 2015-11-25 2017-06-01 QASIM, Mohammed Asif A collapsible bed base
KR200496490Y1 (ko) * 2022-08-24 2023-02-10 육태일 계산대 코너 마감부재 및 이를 구비한 계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590Y1 (ko)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1341B2 (en) Universally adjustable bedstead system
US20190142175A1 (en) Adaptable bed system
CA2401892A1 (en) Universal tension spring support member for bed rails or bed frame
US20110219537A1 (en) Bunk Bed Structure
KR200438345Y1 (ko) 다용도 테이블
US9044100B1 (en) Bed frame
KR200441590Y1 (ko) 휴대용 평상
KR20170037199A (ko) 테이블용 조립식 지지프레임
KR20090005235U (ko) 테이블의 다리구조
KR101556885B1 (ko) 침대용 프레임
KR101188797B1 (ko) 식탁
KR101997755B1 (ko) 하부 구조체에 대한 보강 체결구조를 갖는 책상
KR101503689B1 (ko) 조립식 책상 결합구조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101208357B1 (ko)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KR200453339Y1 (ko) 조립식 이층침대
KR20130103011A (ko) 휴대가 용이한 조립식 좌대
KR101693428B1 (ko) 의자 결합구조
KR101208341B1 (ko) 다리 연결구를 갖는 테이블
KR101829883B1 (ko) 테이블 프레임 결합구조
KR200452950Y1 (ko) 조립식 의자
KR101929319B1 (ko) 커넥터 모듈
CN220403584U (zh) 一种倚靠连接结构及家具
KR20110008319U (ko) 그네용 프레임 조립체
KR102649763B1 (ko) 가구용 프레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