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971U -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971U
KR20080002971U KR2020070001471U KR20070001471U KR20080002971U KR 20080002971 U KR20080002971 U KR 20080002971U KR 2020070001471 U KR2020070001471 U KR 2020070001471U KR 20070001471 U KR20070001471 U KR 20070001471U KR 20080002971 U KR20080002971 U KR 200800029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shing
air distribution
washing tub
distribu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도
Original Assignee
정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도 filed Critical 정성도
Priority to KR2020070001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971U/ko
Publication of KR20080002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9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1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gases, e.g. air or steam, introduced into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 후 배출되는 세척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배수밸브의 갯수를 최소화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다수의 공기방울로 분출시키도록 세척통의 내측 저부에 구비된 공기분배판을 포함하는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20)의 저부에는 상기 송풍기(10)의 호스관(12)에 연결되어 송풍된 공기가 상기 세척통(20)의 저부에서 분출되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되고, 하단부가 단면형상이 경사지게 경사면(31)으로 형성된 돌출부(30)와; 상기 돌출부(30)의 내측에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분배판(22)에 형성된 배수구멍(24)에 연결되는 배수관(35)과; 상기 배수관(35)의 주연부에 상기 세척통(20)과 공기분배판(22)의 사이로 수용되는 세척수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돌출부(30)의 경사면(31) 끝단에 연통되게 다수개의 배수홀(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척통, 공기분배판, 돌출부, 경사면, 배수관, 배수홀

Description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WASHING MACHINE USING BEADS OF AIR IMPROVED DRAIN EFFICIENCY}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세척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구조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세척장치의 배수구조를 보인 단면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송풍기 12: 호스관
20: 세척통 22: 공기분배판
23: 공기유통홀 24: 배수구멍
26: 세척수수용부 30: 돌출부
31: 경사면 35: 배수관
38: 배수홀 40: 개폐밸브
본 고안은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 후 배출되는 세척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배수밸브의 갯수를 최소화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척대상물은 물을 이용하여 손으로 비벼 세척하여 왔으며,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세척하고 있으나 세척대상물을 청결하게 세척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으며, 하나하나 세척하는 것이 번거럽게 세척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세척장치가 고안되어 개시되었으며, 본 출원인도 송풍기를 사용하여 공기방울을 분출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와류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세척하고자 하는 세척대상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장치를 출원하여 등록받은바 있다.
종래의 세척장치는 세척통 저부에 배수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세척수를 배수하고 있으나, 배수효율이 좋지 않아 세척통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분배판에 연통되게 배수구를 더 형성하여 배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수구를 다수개 형성시킴에 따라 배수밸브 등의 별도의 부품이 더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 복잡한 배수구조를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원가의 상승으로 인해 제품생산비용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시 경제적 부담을 갖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 은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 후 배출되는 세척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불필요하게 구비되는 배수밸브를 최소화함으로써 원가절감에 따른 제품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다수의 공기방울로 분출시키도록 세척통의 내측 저부에 구비된 공기분배판을 포함하는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20)의 저부에는 상기 송풍기(10)의 호스관(12)에 연결되어 송풍된 공기가 상기 세척통(20)의 저부에서 분출되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되고, 하단부가 단면형상이 경사지게 경사면(31)으로 형성된 돌출부(30)와; 상기 돌출부(30)의 내측에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분배판(22)에 형성된 배수구멍(24)에 연결되는 배수관(35)과; 상기 배수관(35)의 주연부에 상기 세척통(20)과 공기분배판(22)의 사이로 수용되는 세척수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돌출부(30)의 경사면(31) 끝단에 연통되게 다수개의 배수홀(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홀(38)의 갯수는 상기 송풍기(1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배수홀(38)을 통해 상기 세척통(20)의 내부로 분출되는 경우 분출압력에 의해 세척수가 과도하게 솟구치지 않도록 2 ~ 16개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38)은 상기 공기분배판(22)의 공기유통홀(23)을 통해 유입된 미세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유통홀(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세척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구조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세척장치의 내부를 보인 단면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는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10)와, 상기 송풍기(1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세척대상물을 세척시키기 위한 세척통(20)과, 상기 세척통(20)의 내측 저부에 상기 송풍기(10)에 의한 송풍공기를 다수의 공기방울로 분출시키도록 구비되는 공기분배판(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분배판(22)에 의한 공기방울의 발생으로 세척대상물을 세척시키는 세척장치는 공지의 기술인 관계로 그 구성 및 동작원리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고안의 주요부 구성은 세척장치의 배수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세척통(20)의 저부에는 상기 송풍기(10)의 호스관(12)에 연결되어 송풍된 공기가 상기 세척통(20)의 저부에서 분출되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돌출부(30)와, 상기 돌출부(30)의 내측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분배판(22)에 형성된 배수구멍(24)에 연결되는 배수관(35)과, 상기 배수관(35)의 주연부에 상기 세척통(20)과 공기분배판(22)의 사이에 형성된 세척수수용부(26)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배출시키도록 다수 개의 배수홀(38)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0)는 상기 세척통(20)의 저부에 일정 직경을 갖도록 돌출되되, 하단부가 단면형상이 경사지는 경사면(31)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통(20)과 공기분배판(22)의 사이의 세척수수용부(26)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상기 배수홀(38)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수홀(38)은 상기 돌출부(30)의 경사면(31) 끝단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홀(38)의 갯수는 상기 송풍기(1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배수홀(38)을 통해 상기 세척통(20)의 내부로 분출되는 경우 송풍압력에 의해 세척수가 과도하게 솟구치지 않도록 2 ~ 16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수홀(38)은 상기 공기분배판(22)의 공기유통홀(23)보다 적어도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공기유통홀(23)에 비교하여 50~100:1의 비율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기유통홀(23)을 통해 상기 세척수수용부(26)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배수홀(38)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배수홀(38)의 직경을 상기 공기유통홀(2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배수관(35)에는 수동조작이 가능한 배수밸브 또는 자동조작이 가능한 전동밸브와 같은 개폐밸브(40)가 구비되어 세척대상물의 세척 후 배수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세척하고자 하는 세척대상물을 세척통(20)의 내부로 수용시킨 다음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서 송풍 기(10)를 동작시켜 호스관(12)을 통해 공기를 송풍시킨다.
상기 호스관(12)을 통해 송풍된 공기는 상기 세척통(20)의 저부에 형성된 돌출부(30)에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공기분배판(22)의 공기유통홀(23)과 배수관(35)의 배수홀(38)을 통해 분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배수홀(38)은 상기 공기유통홀(23)의 갯수보다 현저하게 적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송풍기(10)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대부분이 상기 공기유통홀(23)을 통해 분출되어 지면서 상기 세척통(10) 내부에 수용된 세척대상물을 공기방울로 세척시키게 된다.
상기 세척대상물의 세척 후에는 세척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배수관(35)에 구비된 개폐밸브(40)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세척통(20) 내부의 세척수는 배수구멍(24)을 통해 배수관(35)으로 유입되어 배출되고, 상기 공기분배판(22)의 공기유통홀(23)을 통해 세척수수용부(26)로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배수홀(38)을 통해 배수관(35)으로 유입되어 배출되어 진다.
따라서, 하나의 배수관(35)으로 두곳에 수용되는 세척수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세척수의 수용공간과 동일하게 밸브를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부품의 절감과 더불어 생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 후 배출되는 세척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잔존하는 세척수에 따른 악취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배수밸브를 없애고 하나의 배수밸브를 통해 세척수를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원가절감에 따른 제품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다수의 공기방울로 분출시키도록 상기 세척통의 내측 저부에 구비된 공기분배판을 포함하는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20)의 저부에는 상기 송풍기(10)의 호스관(12)에 연결되어 송풍된 공기가 상기 세척통(20)의 저부에서 분출되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되고, 하단부가 단면형상이 경사지게 경사면(31)으로 형성된 돌출부(30)와;
    상기 돌출부(30)의 내측에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분배판(22)에 형성된 배수구멍(24)에 연결되는 배수관(35)과;
    상기 배수관(35)의 주연부에 상기 세척통(20)과 공기분배판(22)의 사이로 수용되는 세척수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돌출부(30)의 경사면(31) 끝단에 연통되게 다수개의 배수홀(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38)의 갯수는 상기 송풍기(1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배수홀(38)을 통해 상기 세척통(20)의 내부로 분출되는 경우 분출압력에 의해 세척수가 과도하게 솟구치지 않도록 2 ~ 16개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38)은 상기 공기분배판(22)의 공기유통홀(23)을 통해 유입된 미세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유통홀(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
KR2020070001471U 2007-01-26 2007-01-26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 KR200800029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471U KR20080002971U (ko) 2007-01-26 2007-01-26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471U KR20080002971U (ko) 2007-01-26 2007-01-26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971U true KR20080002971U (ko) 2008-07-30

Family

ID=4132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471U KR20080002971U (ko) 2007-01-26 2007-01-26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97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733B1 (ko) * 2018-08-30 2019-09-10 최현우 공기방울과 물결을 이용한 주방용 세척기
KR102053566B1 (ko) 2019-01-02 2019-12-06 김영철 공기방울을 이용한 목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733B1 (ko) * 2018-08-30 2019-09-10 최현우 공기방울과 물결을 이용한 주방용 세척기
KR102053566B1 (ko) 2019-01-02 2019-12-06 김영철 공기방울을 이용한 목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19896A1 (en) Washing machine
KR101492498B1 (ko) 세탁기
KR20120052524A (ko) 공기 방울을 이용한 식품 세척기
KR20160003756U (ko) 컵자동 세척기
CN107503078B (zh) 波轮洗衣机的控制方法
KR100223411B1 (ko) 세탁기용필터
CN104545748A (zh) 水槽式清洗机的溢水保护装置
KR20080002971U (ko) 배수효율이 향상된 공기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
KR20100037461A (ko) 식기 세척기
CN204394441U (zh) 水槽式清洗机的溢水保护装置
KR20080034233A (ko) 식기 세척기
KR20080070339A (ko)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KR100795337B1 (ko) 초음파 세척기
KR100989096B1 (ko) 야채 세척용 세척조
KR100503830B1 (ko) 공기 방울을 이용한 세척장치
WO2018086944A1 (en)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etergent box assembly and a method of operating a washing machine
CN110834018A (zh) 具有自清洁功能的智能热水器
CN215383475U (zh) 一种食品加工机
KR102415303B1 (ko) 비데용 노즐 세척장치
KR20150134799A (ko) 도기 일체형 비데의 세척 시스템
KR100672323B1 (ko)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CN105816132B (zh) 婴儿器皿洗涤机的喷臂装置
KR200404854Y1 (ko) 초음파 세척 싱크
CN217447675U (zh) 一种洗碗机
KR20060057553A (ko) 초음파살균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