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600U - 다용도 과일상자 - Google Patents

다용도 과일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600U
KR20080002600U KR2020070000399U KR20070000399U KR20080002600U KR 20080002600 U KR20080002600 U KR 20080002600U KR 2020070000399 U KR2020070000399 U KR 2020070000399U KR 20070000399 U KR20070000399 U KR 20070000399U KR 20080002600 U KR20080002600 U KR 200800026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bottom plate
fruit box
long sid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섭
Original Assignee
(주)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호 filed Critical (주)태호
Priority to KR2020070000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600U/ko
Publication of KR200800026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6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과일상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바닥판(5)과 두개의 장측벽(3)과 두개의 단측벽(4)에 의해 상부로 개구된 장방형 적재 공간이 구비되는 상자본체(1)와 덮개(60)로 이루어진 다용도 과일상자에 있어서,
바닥판(5)과 장측벽(3)이 접하는 부위에 측면 은폐를 위한 치마면(12)를 갖는 적어도 네개의 끈삽입홀(11)이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5) 중 끈삽입홀(11)이 인접하는 부위에는 걸림홈(14)이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과일상자에 관한 것이다.
과일상자, 상자본체, 측벽, 바닥판, 끈

Description

다용도 과일상자{Fruit Box For Multipule Purpos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다용도 과일상자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다용도 과일상자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다용도 과일상자의 A-A 단면도,
도 6는 도 4의 다용도 과일상자의 B-B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정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다용도 과일상자와 포장지와 결합도,
도 9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덮개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사용설명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사용상태도,
도 12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적층상태도,
도 13은 덮개의 사시도,
도 14는 덮개의 C-C 단면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기홀을 갖는 과일상자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자본체 3 : 장측벽
4 : 단측벽 5 : 바닥판
5a : 바닥판의 내면 5b : 바닥판의 외면
10 : 바닥판 테두리 11 : 끈삽입홀
12 : 치마면 12a : 치마면의 하면
13 : 종오목홈 13a : 종오목홈 형성면
14 : 걸림홈 15 : 고정돌기부
16 : 안착턱 21 : 오목부
22 : 종돌출턱 27 : 평판형 수평부
31 : "핀머리형" 고정홈 32 : 안착홈
51 : 지구본형 홈 53 : 경사부
60 : 덮개 62 : 투명공
본 고안은 다용도 과일상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바닥판(5)과 두개의 장측벽(3)과 두개의 단측벽(4)에 의해 상부로 개구된 장방형 적재 공간이 구비되는 상자본체(1)와 덮개(60)로 이루어진 다용도 과일상자에 있어서, 바닥판(5)과 장측벽(3)이 접하는 부위에 측면 은폐를 위한 치마면(12)를 갖는 적어도 네개의 끈삽입홀(11)이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5) 중 끈삽입홀(11)이 인접하는 부위 에는 걸림홈(14)이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과일상자에 관한 것이다.
도 13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기홀을 갖는 과일상자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통기홀(6)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훤히 들여다 보이게 된 구성으로 미관상 좋지 않았으며, 측면 방향에서 이물질 유입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자(예를들어, 딸기상자)에 끈을 달수 있는 수단이 없었고, 종래의 작은 상자라도 이동시에는 구매자들이 두손으로 받들어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차량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 상품을 한꺼번에 구입한 후 한손에 들고 있는 구매자의 경우, 상자에 담긴 과일을 들기위해 두손을 모두 사용할 수가 없어 구매하지 못하는 불편을 야기하였고, 판매자의 입장에서 이는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끈을 이용하여 상자를 한손으로 들수 있게 하였으며, 끈을 상자에 장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끈 삽입시에 딸기 같은 외면이 소프트한 과일(본 고안에 있어 과일은 딸기, 토마토와 같은 과일성 채소를 포함하는 개념이다.)이 끈에 눌려 찌그러져 상하는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또한, 종래의 과일상자의 경우 측벽의 귀퉁이 상단과 하단에 적층시에 미끄럼을 방지하고 이동시에 상자의 흔들림 등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단에 이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구비되었었다. 하지만, 종래의 측벽의 귀퉁이 하단(또는 바닥판 테두리 귀퉁이 하단)에 구비된 돌출부는 흙 등의 이물질이 작 업장, 판매장에 산재하는 경우 그 이물질이 돌출부에 묻게 되고, 상자가 적층되는 경우 돌출부는 다른 상자의 측벽 상단의 고정홈과 접촉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돌출부에 묻은 이물질이 상자 내부로 흘러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벽 상단에 만곡된 형상의 오목부가 존재하는 경우 포장시 사용시 포장지가 찌그러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덮개를 사용하여야 하여 원가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끈을 달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끈을 장착한 경우 구매자가 과일 상자를 한손으로 끈을 잡아 상자를 이동할 수 있고 장식끈의 사용이 용이한 다용도 과일상자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끈을 상자에 끈을 매다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과일(채소 포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다용도 과일상자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흙, 흙탕물 등의 이물질이 작업장, 판매장에 산재하는 경우 측벽의 귀퉁이 하단(또는 바닥판 테두리 귀퉁이 하단)에 구비된 돌출부에 그 이물질이 돌출부에 묻게 되고, 상자가 적층되는 경우 돌출부는 다른 상자의 측벽 상단의 고정홈과 접촉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돌출부에 묻은 이물질이 상자 내부로 흘러 유입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다용도 과일상자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측벽 상단에 만곡된 형상의 오목부가 존재하는 경우 포장시 사용시 포장지가 찌그러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덮개를 사용하여야 하여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다용도 과일상자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는,바닥판(5)과 두개의 장측벽(3)과 두개의 단측벽(4)에 의해 상부로 개구된 장방형 적재 공간이 구비되는 상자본체(1)와 덮개(60)로 이루어진 다용도 과일상자에 있어서, 바닥판(5)과 장측벽(3)이 접하는 부위에 측면 은폐를 위한 치마면(12)를 갖는 적어도 네개의 끈삽입홀(11)이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5) 중 끈삽입홀(11)이 인접하는 부위에는 걸림홈(14)이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과일상자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다용도 과일상자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다용도 과일상자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다용도 과일상자의 A-A 단면도, 및 도 6는 도 4의 다용도 과일상자의 B-B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과일상자는 상자본체(1)와 덮개(60)로 이루어진다. 상자본체(1)는 바닥판(5)과 두개의 장측벽(3)과 두개의 단측벽(4)에 의해 상부로 개구된 장방형 적재 공간이 구비된다.
끈삽입홀(11)은 바닥판(5)과 장측벽(3)이 접하는 부위에 적어도 네개를 쌍으로 형성한다. 한쪽에 두개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 두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끈 삽입홀(11)과 별도로 바닥판(5)과 장측벽(3)이 접하는 부위에 통기홀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끈삽입홀(11)의 숫자는 네개의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상기 바닥판(5) 중 끈삽입홀(11)이 인접하는 부위에는 걸림홈(14)이 길게 형성되다. 끈에 걸림대(도시되지 않음)를 일단에 연렬한 후 걸림홈(14)을 통하여 통과 시키면 걸림대가 길다란 걸림홈(14)에 걸려서 사용자가 끈삽입홀(11)을 통과한 끈을 당겨도 빠지지 않게 된다. 걸림홈(14)은 걸림대가 바닥판(5)보다 낮은 위치로 내재되어(숨겨져서) 걸림대(또는 걸림수단)가 돌출됨으로 인한 딸기와 같은 과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판(5)보다 깊게 형성하며 바람직하게 길다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장측벽(3) 부위 중 끈삽입홀(11)이 형성 인접 부위에는, 장측벽(3)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으며 외측면이 장측벽(3)의 외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치마면(12)이 구비되어, 치마면(12)이 끈삽입홀(11)을 측면 방향에서 소정부분을 은폐해준다. 치마면(12)은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끈삽입홀(11)을 장측벽(3)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함에 의해 장측벽(3) 하부에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바람직하게 치마면(12)의 하면(1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곡선의 오목한 호형으로)하게 형성하여 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치마면(12)의 하면(12a) 수평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장측벽(3)은 만곡된 오목부(21)와 양쪽으로 두개의 종돌출턱(22)을 구비하 고, 바닥판 테두리(10)는 두개의 종돌출턱(22)에 상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종오목홈 형성면(13a)에 종오목홈(13)이 구비되고, 치마면(12)의 하면(12a)은 종오목홈 형성면(13a)에서 단지게 형성된다.
치마면(12)의 하면(12a)은 바닥판(5)의 내면(5a)보다(높이 기준) 아래(여기서 아래 방향은, 측벽 상단에서 바닥판 테두리(10) 하면를 향하는 방향이다.)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래야 측방에서 볼 때 내부 적재공간이 보이지 않고, 치마면(12)이 끈삽입홀(11)의 은폐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치마면(12)의 하면(12a)은 바닥판(5)의 내면(5a)과 바닥판(5)의 외면(5b) 중간에 위치한다.
장, 단측벽(3, 4)이 결합하는 상단 귀퉁이에는 "핀머리형" 고정홈(31)이 구비된 안착홈(32)가 구비되고, 바닥판 테두리(10)에는 안착홈(32)에 상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 안착턱(16)이 구비되고, 안착턱(16)에는 "핀머리형" 고정홈(31)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돌기부(15)가 구비된다.
바닥판(5)에는 지구본형 홈(51)이 구비되고, 하나의 단측벽(3)과 바닥판(5)이 접하는 내면에는 경사부(53)이 구비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정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다용도 과일상자와 포장지와 결합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에 "핀머리형" 고정홈(31)이 구비된 안착홈(32)을 갖는 장측벽(3)에는, 포장지(70)가 장측벽(3)의 상단에 접촉하였을 때 모서리 부위가 구겨지지 않고 팽팽하도록 그 상단이 평평하게 형성된 평판형 수평부(2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덮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0)는 투명공(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3은 덮개의 사시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60)는 하트 모양의 투명공(62)과 모서리에 "핀머리형" 고정홈(31)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고정돌기부(65)가 구비되고,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장측벽(3)의 상단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도 14는 덮개의 단면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0)는 덮개측벽의 내면(66)이 외측으로 경사져 있어 덮개측벽의 단부 두께가 장측벽(3)의 상단 두께보다 작아 상부의 과일이 덮개측벽 내면(66)에 덜 눌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사용설명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의 적층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과일상자는 끈을 끈삽입홀(11)을 통해 밖에서 안으로 넣어 끈내재홈(14)에 내재 시킨 후 다른 끈삽입홀(11)로 빼내어 사용한다.
상자 적층시에 "핀머리형" 고정홈(31)은 고정돌기부(15)에 묻은 이물질이 내부 적재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고안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끈을 달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끈을 장착한 경우 구매자가 과일 상자를 한손으로 끈을 잡아 상자를 이동할 수 있고 장식끈의 사용이 용이한 다용도 과일상자가 제공된다.
또한, 끈을 상자에 끈을 매다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과일(채소 포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다용도 과일상자가 제공된다.
또한, 끈삽입홀이 치마면에 의해 측면에서 은폐되어 측방향의 바람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으며, 미관상 미려한 과일상자를 제공한다.
또한, 흙, 흙탕물 등의 이물질이 작업장, 판매장에 산재하는 경우 측벽의 귀 퉁이 하단(또는 바닥판 테두리 귀퉁이 하단)에 구비된 돌출부에 그 이물질이 돌출부에 묻게 되고, 상자가 적층되는 경우 돌출부는 다른 상자의 측벽 상단의 고정홈과 접촉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돌출부에 묻은 이물질이 상자 내부로 흘러 유입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다용도 과일상자가 제공된다.
또한, 측벽 상단에 만곡된 형상의 오목부가 존재하는 경우 포장시 사용시 포장지가 찌그러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덮개를 사용하여야 하여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다용도 과일상자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고안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고안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0)

  1. 바닥판(5)과 두개의 장측벽(3)과 두개의 단측벽(4)에 의해 상부로 개구된 장방형 적재 공간이 구비되는 상자본체(1)와 덮개(60)로 이루어진 다용도 과일상자에 있어서,
    바닥판(5)과 장측벽(3)이 접하는 부위에 측면 은폐를 위한 치마면(12)를 갖는 적어도 네개의 끈삽입홀(11)이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5) 중 끈삽입홀(11)이 인접하는 부위에는 걸림홈(14)이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과일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측벽(3) 부위 중 끈삽입홀(11)의 형성 인접 부위에는, 상기 장측벽(3)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으며 외측면이 장측벽(3)의 외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치마면(12)이 구비되어 상기 치마면(12)이 상기 끈삽입홀(11)을 측면 방향에서 소정부분을 은폐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과일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측벽(3)은 만곡된 오목부(21)와 양쪽으로 두개의 종돌출턱(22)을 구비하고,
    바닥판 테두리(10)는 상기 두개의 종돌출턱(22)에 상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종오목홈 형성면(13a)에 종오목홈(13)이 구비되고, 상기 치마면(12)의 하면(12a)은 상기 종오목홈 형성면(13a)에서 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과일상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마면(12)의 하면(12a)은 상기 바닥판(5)의 내면(5a)보다 아래(측벽 상단에서 바닥판 테두리(10) 하면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과일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마면(12)의 하면(12a)은 상기 바닥판(5)의 내면(5a)과 상기 바닥판(5)의 외면(5b)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과일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 단측벽(3, 4)이 결합하는 상단 귀퉁이에는 "핀머리형" 고정홈(31)이 구비된 안착홈(32)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 테두리(10)에는 상기 안착홈(32)에 상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 안착턱(16)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턱(16)에는 상기 "핀머리형" 고정홈(31)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돌기부(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과일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5)에는 지구본형 홈(51)이 구비되고, 하나의 단측벽(3)과 상기 바닥판(5)이 접하는 내면에는 경사부(5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과일상자.
  8. 제6항에 있어서,
    일부에 상기 "핀머리형" 고정홈(31)이 구비된 안착홈(32)을 갖는 장측벽(3)에는, 포장지(70)가 장측벽(3)의 상단에 접촉하였을 때 모서리 부위가 구겨지지 않고 팽팽하도록 그 상단이 평평하게 형성된 평판형 수평부(2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과일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60)는 투명공(62)과 모서리에 "핀머리형" 고정홈(31)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고정돌기부(65)가 구비되고,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장측벽(3)의 상단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과일상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60)는 덮개측벽의 내면(66)이 외측으로 경사져 있어 덮개측벽의 단부 두께가 장측벽(3)의 상단 두께보다 작아 상부의 과일이 덮개측벽 내면(66)에 덜 눌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과일상자.
KR2020070000399U 2007-01-10 2007-01-10 다용도 과일상자 KR200800026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399U KR20080002600U (ko) 2007-01-10 2007-01-10 다용도 과일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399U KR20080002600U (ko) 2007-01-10 2007-01-10 다용도 과일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600U true KR20080002600U (ko) 2008-07-15

Family

ID=4149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399U KR20080002600U (ko) 2007-01-10 2007-01-10 다용도 과일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6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5622A1 (es) * 2016-08-22 2018-03-01 Wenco S.A. Fondo de contenedor plástico para el almacenamiento y transporte de productos agrícolas; contenedor de plástic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5622A1 (es) * 2016-08-22 2018-03-01 Wenco S.A. Fondo de contenedor plástico para el almacenamiento y transporte de productos agrícolas; contenedor de plástic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934B2 (en) Padlock container assembly having a locking closure with sliding cover
USD531802S1 (en) Box with lid
USD485732S1 (en) Front panel for a cooler
USD553980S1 (en) Plastic container
USD516859S1 (en) Tab for a container lid
USD705592S1 (en) Plug for beverage container lid
USD542650S1 (en) Packaging container
CA107424S (en) Container with a lid
USD604159S1 (en) Dispensing closure
USD659465S1 (en) Plug for beverage container lid
USD513979S1 (en) Container and lid with recess
US20130206784A1 (en) Container with recessed handle cavities
USD514441S1 (en) Container and lid with recess
USD538138S1 (en) Folding carabiner with spring gate
USD531711S1 (en) Toilet
USD517405S1 (en) Container and lid with recess
US8936158B2 (en) Product packaging with slide out tray
EP1373100B1 (en) Display package for articles such as eggs
USD982437S1 (en) Display box
KR20080002600U (ko) 다용도 과일상자
USD514862S1 (en) Case for data storage discs
USD514929S1 (en) Container and lid with recess
JP2019048654A (ja) 包装用容器
USD507666S1 (en) Shake siding panel
USD554376S1 (en) Stackable photoframe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