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399U - 안테나 - Google Patents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399U
KR20080002399U KR2020060032928U KR20060032928U KR20080002399U KR 20080002399 U KR20080002399 U KR 20080002399U KR 2020060032928 U KR2020060032928 U KR 2020060032928U KR 20060032928 U KR20060032928 U KR 20060032928U KR 20080002399 U KR20080002399 U KR 200800023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nnecting rods
fitted
length
elastic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일
Original Assignee
장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일 filed Critical 장순일
Priority to KR2020060032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399U/ko
Publication of KR200800023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3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또는 DMB 등의 용도에 적합한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안테나를 펼쳤을 때의 안테나 전체 길이를 보다 길게 형성시키면서도, 안테나를 접었을때는 그 길이가 보다 짧게 유지되어 안테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 및 작업 공정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다단형으로 펼쳐져 신장되는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에 도우넛형 걸림홈턱(32)과, 연결봉(2),(4),(6)의 반경 내측방향의 오목홈(31) 및 걸림부(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부상에 상기 오목홈(31)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돌기부(52)를 가지며, 연결봉(2),(4),(6)의 반경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편(50)을 갖는 원통형 탄성부(30)와; 상기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의 걸림홈턱(32)내에 끼워지는 원형 끼움링(40)을 구비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안테나, 연결봉, 오목홈, 걸림부, 탄성편.

Description

안테나{ANTENNA}
도 1 은 종래의 안테나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종래의 안테나의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고안의 안테나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안테나의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6: 연결봉 30: 원통형 탄성부
31: 오목홈 32: 도우넛형 걸림홈턱
35: 걸림부 40: 원형 끼움링
50: 탄성편 52: 고정 돌기부
본 고안은 안테나 특히, 핸드폰이나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용도에 적합한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안테나를 펼쳤을 때의 안테나 전체 길이를 보다 길게 형성시키면서도, 안테나를 접었을 때는 그 길이가 보다 짧게 유지되어 안테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 및 작업 공정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이나, DMB 전용 단말기 등에 있어서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안테나로서 널리 사용되는 텔레스코프식 안테나는 3단, 4단 등의 다단으로 펼쳐 신장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수신율을 높여 양호한 통신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의 길이를 길게 하면서도, 안테나를 접었을 때는 그 길이를 가급적 짧게 하여 소형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안테나를 살펴 보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펼쳐 그 길이를 신장할 수 있는 안테나로서, 서로 연결되는 다단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에는 원형 탄성부(20)가 끼워진 상태로 일정한 힘을 안테나의 길이방향으로 가해 안테나를 접거나 신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봉(2),(4),(6)들의 연결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원형 탄성부(20)는 안테나의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편(21)을 다수개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원형 탄성부(20)를 고정시키기 위해,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에는 이를 끼울 수 있는 고정 끼움부(10)가 끼워져 있다.
상기 고정 끼움부(10)에는 연결봉(2),(4),(6)의 연결단부에 끼워진 후, 빠지지 않도록 안테나의 반경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고정홈(11)이 있고, 상기의 고정홈(11) 주위의 연결봉의 연결단부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끼움부(10)의 일측단에는, 연결봉에 끼워지는 끼움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반대측단에는 원통형 탄성부(20)를 끼워 고정하는 스프링 안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안착부(14)의 끝단에는 걸림부(16)가 형성되어 있어, 원통형 탄성부(20)가 일단 끼워진 후에는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 끼움부(10) 및 원통형 탄성부(20)는 각 연결봉(2),(4),(6)의 연결단부에 결합되어 작동된다.
그런데, 상기 연결봉(2),(4),(6)의 연결단부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 끼움부(1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2),(4),(6)의 후미측으로 돌출되어 끼워지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접혔을 때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정 끼움부(10)의 끼움 돌기부(12)가 반대로 연결봉(2),(4),(6)의 연결단부에 끼워지므로써, 끼워진 만큼, 연결봉(2),(4),(6)을 펼쳤을때의 안테나 전체길이가 짧아지는 문제도 있다.
즉, 각 연결봉(2),(4),(6)의 연결단부에 별도의 부재인 고정 끼움부(10)를 끼워서 연결하는 구성이므로, 안테나를 펼쳤을 때는, 상기 고정 끼움부(10)가 차지하는 길이만큼 안테나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안테나 길이를 길게 해야할 때에는 구조적으로 연결봉 각각의 길이를 길게 형성시켜야하기 때문에 접었을때의 길이 또는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최근 시판되고 있는 핸드폰이나 DMB 제품들이 소형화되어 가면서 그로 인해 장착되는 안테나도 접어서 사용할 시의 길이가 최소한의 크기로 줄어야 휴대하기가 용이하고 제품에 장착하기 또한 용이하기 때문에, 이러한 소형 안테나는 가능한한 최대로 짧게 접을 수 있으면서도, 안테나를 펼쳤을 때는 길이를 가급적 길게 할 수 있게 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도 1과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에 고정 끼움부(20)를 끼워 고정하므로써, 안테나를 펼쳤을 때에 연결봉(2),(4),(6)의 연결 마디가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 되고 있다. 이는 연결봉(2),(4),(6)이 그의 길이방향으로 펼쳐져 신장될 때 끝단에 남아 있는 단부길이가 짧기 때문에 흔들림이 많아 이를 해결하기 위해 흔들림방지링(8)을 끼우고 있으나, 이로 인해, 뒤쪽 단부가 다 펼쳐지지 않고 남아 있는 길이를 좀더 길게 연장시키므로 남은 단부가 좀더 길어져 흔들림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흔들림 방지링(8)을 끼우게 되면 이로 인해 늘어날 수 있는 길이를 그만큼 더 줄이게 되는 문제를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연결봉(2),(4),(6)의 끝단에 조립되는 고정 끼움부(10), 원통형 탄성부(20) 및 흔들림 방지링(8) 등의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작고 얇은 안테나의 제작시 세밀한 작업성이 요구되고, 또한 부품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안테나를 펼쳤을 때의 안테나 전체 길이를 보다 길게 형성시키면서도, 안테나를 접었을때는 그 길이가 보다 짧게 유지되어 안테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 및 작업 공정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안테나는 핸드폰뿐만 아니라, DMB 용등의 안테나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안테나는, 다단형으로 펼쳐져 신장되는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에 도우넛형 걸림홈턱(32)과, 연결봉(2),(4),(6)의 반경 내측방향의 오목홈(31) 및 걸림부(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부상에 상기 오목홈(31)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돌기부(52)를 가지며, 연결봉(2),(4),(6)의 반경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편(50)을 갖는 원통형 탄성부(30)와; 상기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의 걸림홈턱(32)내에 끼워지는 원형 끼움링(40)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안테나를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안테나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안테나의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안테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본 실시예의 경우, 3단)으로 길이 조절되는 연결봉(2),(4),(6)이 각 단에 맞게 서로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끼워져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는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에 는, 길게 펼쳐 신장시키거나 접을 시에 서로 빠지지 않도록, 도우넛형 걸림홈턱(32)에 원형 끼움링(40)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각 연결봉(2),(4),(6)의 연결단부상의 도우넛형 걸림홈턱(32)에 끼워져 결합된 원형 끼움링(40)은 각 연결봉(2),(4),(6)의 외주면 보다 외측으로 직경이 약간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상에 연결봉의 두께방향으로 프레스 가압에 의해 오목홈(31)을 형성하면서 연결봉의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35)가 동시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에 형성된 걸림부(35)는 연결봉(2),(4),(6)의 내경 보다 반경 내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단부 내측에 결합된 연결봉(4),(6)의 끝단 도우넛형 걸림홈턱(32)에 끼워진 원형 끼움링(40)이 걸려져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연결봉(2),(4),(6)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접혀질 때에는 상기 원형 끼움링(40)이 연결봉(2),(4),(6)의 연결단부상에 형성된 걸림부(35)에 걸려 차단되기 때문에 더 이상 접혀지지 않고 멈추게 된다.
본 고안은 특히,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의 사이에,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편(50)을 갖는 원통형 탄성부(30)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원통형 탄성부(30)는, 연결봉(2),(4),(6)의 끝단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질 뿐만 아니라, 연결봉(2),(4),(6)의 끝단에 형성된 오목홈(31)에 원통형 탄성부(30)의 내경측에 형성된 고정 돌기부(52)가 끼워져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 원통형 탄성부(30)는 일측이 절개된 상태로 탄성지지 되어 있어 연결봉(2),(4),(6)에 끼워질 시에는 직경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끼워지며, 연결봉(2),(4),(6)에 끼워진 후에는 다시 오므라들기 때문에 끼웠을 때에 억지 끼워 맞춤의 결합력을 더욱 높여주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들의 사이에 끼워진 원통형 탄성부(30)는, 연결봉(2),(4)의 각 연결단부에 결합된 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인접한 연결봉(4),(6)을 반경 외측방향으로 밀도록 가압하므로써, 일정한 힘을 가해야만 연결봉(2),(4),(6)들을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연결봉(2),(4),(6)을 원하는 만큼 펼치게 되면 원통형 탄성부(30)의 탄성편(5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반경 외측방향으로 가압되어 정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더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펼쳐져 신장된 길이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들의 사이에 설치된 원통형 탄성부(30) 및 그 결합 구조에 의해 도 4 와 같이 접었을 경우에는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에 결합된 원통형 탄성부(30)가 각 연결봉(2),(4),(6)의 내측까지 인입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더 안테나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2),(4),(6)을 펼친 경우에는 연결봉의 각 연결단부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 되어 있는 원통형 탄성부(30)가 각 연결 봉(2),(4),(6)의 앞끝단까지 신장 된다. 이때에 각각의 연결봉(2),(4),(6)은 원통형 탄성부(30)의 길이에 의해 더 이상은 길어지지 않고 정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각각의 연결봉(2),(4),(6)을 길게 펼쳐 사용할 때, 원통형 탄성부(30)가 각 연결봉(2),(4),(6)의 연결 마디에 원통형 탄성부(30)의 길이만큼 더 걸려져 있기 때문에 연결부위가 외주면측으로 흔들거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연결봉(2),(4),(6)의 마디마다 걸려진 원통형 탄성부(30)가 길이방향으로 그 폭이 안정된 길이를 가지고 지지해 주기 때문에 연결 마디부의 지지부위는 길이가 길어져 맞닿음 되는 면적이 넓어져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해, 안테나를 펼쳤을 때의 안테나 전체 길이를 보다 길게 형성시키면서도, 안테나를 접었을때는 그 길이가 보다 짧게 유지되어 안테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어, 핸드폰, DMB 용의 통신기기에 적합한 안테나 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테나의 각 연결봉의 연결 부분에 소요되는 부품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부품비의 절감과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공정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단형으로 신장되어 펼쳐지는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에 도우넛형 걸림홈턱(32)과, 연결봉(2),(4),(6)의 반경 내측방향의 오목홈(31) 및 걸림부(35)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일 측부상에 상기 오목홈(31)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돌기부(52)를 가지며, 반경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편(50)을 갖는 원통형 탄성부(30)와,
    상기 연결봉(2),(4),(6)의 각 연결단부의 걸림홈턱(32)내에 끼워지는 원형 끼움링(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DMB용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핸드폰용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KR2020060032928U 2006-12-29 2006-12-29 안테나 KR200800023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928U KR20080002399U (ko) 2006-12-29 2006-12-29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928U KR20080002399U (ko) 2006-12-29 2006-12-29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399U true KR20080002399U (ko) 2008-07-03

Family

ID=4149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928U KR20080002399U (ko) 2006-12-29 2006-12-29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39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3928A1 (ko) * 2010-09-27 2012-04-05 Jeon Bae Yong 혼유방지구
KR101166846B1 (ko) * 2012-03-20 2012-07-19 김수철 이동단말기용 다단 안테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3928A1 (ko) * 2010-09-27 2012-04-05 Jeon Bae Yong 혼유방지구
KR101166846B1 (ko) * 2012-03-20 2012-07-19 김수철 이동단말기용 다단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3903B (zh) 具有浮动机构的同轴连接器
KR20080002399U (ko) 안테나
CN101114728A (zh) 用于移动设备的双频带天线单元
KR20110002723U (ko) 공간 축소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신축 가능형 안테나
US7195520B1 (en) Connector for antenna
JP2007235635A (ja) 多周波共振アンテナ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KR100829710B1 (ko) 다단 안테나
KR101482606B1 (ko) 안테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
KR200472739Y1 (ko) 안테나 조립체
US8018396B2 (en) Dual-resonance retractable antenna
KR100704275B1 (ko) 단말기용 안테나
KR100706187B1 (ko) 신축 가능한 힌지형 안테나
CN111129766B (zh) 耦合馈电天线和移动终端
KR101093458B1 (ko) 다단 접철식 리트랙터블 로드 안테나의 c-링 일체형 스프링 패턴
KR101166779B1 (ko) 힌지 지지부에 매칭부가 내장된 다중대역 로드 안테나
KR101510837B1 (ko) 굴절 가능한 길이 가변 다단 로드 안테나
KR101323338B1 (ko) 돌출부가 구비된 스프링을 갖는 안테나
KR100793647B1 (ko) 외장형 dmb 단말기 안테나의 힌지 장치
KR101005298B1 (ko)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안테나
KR200415559Y1 (ko) 신축형 안테나
JP2010109689A (ja) アンテナ
KR101471421B1 (ko) 듀얼피딩 로드 안테나 어셈블리
KR10079693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다단 안테나
JP2011061513A (ja) 伸縮アンテナ
JP5532234B2 (ja) ホイップ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