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344U - 싱크 보울 - Google Patents

싱크 보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344U
KR20080002344U KR2020060032740U KR20060032740U KR20080002344U KR 20080002344 U KR20080002344 U KR 20080002344U KR 2020060032740 U KR2020060032740 U KR 2020060032740U KR 20060032740 U KR20060032740 U KR 20060032740U KR 20080002344 U KR20080002344 U KR 200800023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ink bowl
drainage
pres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화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조씽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조씽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조씽크
Priority to KR2020060032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344U/ko
Publication of KR20080002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3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구 형성 부분을 유효한 작업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 중에도 배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싱크 보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싱크 보울은,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개수통; 상기 측면의 상단에서 연장 절곡된 걸림턱; 상기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하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 유도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싱크 보울{SINK BOWL}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보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보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보울의 일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보울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캡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 보울
10 : 개수통 12 : 하면
14 : 측면 20 : 걸림턱
30 : 배수구 40 : 배수 유도로
50 : 배수구 캡 60 : 거름망
본 고안은 싱크 보울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구 형성 부분을 유효한 작업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 중에도 배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싱크 보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가정의 주방에서는 설거지나 채소 등을 씻기 위하여 싱크대를 사용한다. 이러한 싱크대는 주방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싱크대에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 구성되어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게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 저장하여 사용하고, 사용을 마친 물은 하부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싱크 보울이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싱크 보울 내로 물을 일정하게 흐르는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적절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구 형성부분은 싱크보울의 다른 면과 높이가 일치하지 않거나 일정한 이격 공간이 발생하여 유효한 작업 공간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수로를 구비하여 사용중에도 적절한 배수가 이루어지며, 배수구 부분을 유효한 작업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수구 캡을 구비하는 싱크 보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싱크 보울은,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개수통; 상기 측면의 상단에서 연장 절곡된 걸림턱; 상기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하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 유도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싱크 보울은 상기 배수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를 막는 배수구 마개; 상기 배수구 마개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상부 연장면;을 포함하는 배수구 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 연장면은 상기 개수통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작업 중에 상부 연장면이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미관상 유리하여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 보울(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통(10), 걸림턱(20), 배수구(30), 배수 유도로(40) 및 배수구 캡(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개수통(10)은 일정한 양의 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일정한 부피를 가지는 그릇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이 개수통(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12)과 이 하면에서 연장되고, 상측으로 절곡된 측면(14)을 가진다. 이때 하면(12)과 측면(14)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측면과 하면이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한장의 금속판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하면과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14)의 상단에는 걸림턱(20)이 구비된다. 이 걸림턱(20)은 상기 측면(14)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이 걸림턱(20)은 싱크 보울(1)을 싱크대(도면에 미도시) 등에 설치할 때, 싱크 보울(1)이 싱크대 등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이 걸림턱(20)도 전술한 하면과 측면처럼, 측면(14)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되어 용접 등의 방법을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개수통(10)에는 도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30)가 형성된다. 이 배수구(30)는 개수통(10) 내에 일시 저장되거나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을 하측으로 배수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이 배수구(10)는 상기 하면(12)의 적당한 위치에 배수공(32)을 가지며, 이 배수공(32)에는 상기 하면(12)의 하측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는 배수구면(34)이 형성된다.
이 배수구(30)에는 개수통(10)으로부터 버려진 이 물질이 통과하지 않도록 이물질을 거르는 거름망(60)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거름망(60)이 배수구(3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거름망(60)의 가장자리가 걸릴 수 있도록 단턱(36)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 보울(1)에는 상기 배수구(30)로 물을 유도하는 배수 유도로(40)가 구비된다. 이 배수 유도로(40)는 하면(12)과 측면(14)이 만나는 경계면에 형성되는 것이, 개수통(10)의 유효 작업 공간을 감소시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12)과 후측면(14)이 만나는 경계 부분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면(12)이 전체적으로 이 배수 유도로(4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개수통(10) 내의 물이 배수 유도로(40) 방향으로 용이하게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수 유도로(40) 자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3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배수 유도로(40)로 모여든 물을 배수구(30)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구(30) 역시 하면(12)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12) 중에서 측면(14)과 만나는 부분으로 치우쳐서 배치되는 것이 배수 유도로(40)와의 용이한 만남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 보울(1)에는 배수구 캡(5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수구 캡(50)은, 상기 배수구(30)를 덮으면서도 상기 하면(12)과 동일한 높이를 가져서 배수구(30) 부분도 유효한 작업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배수구 캡(5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마개(52)와 상부 연장면(5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배수구 마개(52)는, 상기 배수구(30)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30)를 막는 구성요소이다. 이 배수구 마개(52)는 배수구(30) 또는 거름망(60)에 삽입될 수 있는 하벽(52a)을 가질 수 있다. 이 하벽(52a)에 의하여 배수구 캡(50)의 위치가 한정되어 배수구 캡(50)이 작업 중에 움직이지 않는다. 물론 이 배수구 마개(52)의 하벽(52a) 중에서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배수구 마개(52)가 배수구(30)를 덮은 상태에서 배수 유도로(40)를 통하여 흘러드는 물이 배수구(30)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부 연장면(54)은 상기 배수구 마개(52) 상부에 결합되며, 배수구 캡(50)이 배수구(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면(12)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이 상부 연장면(54)에 의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캡(50)의 상면과 개수통(10)의 하면이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이렇게 배수구 캡(50)과 개수통(10)의 하면(12)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 배수구(30)가 형성된 부분도 유효한 작업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전술한 배수구 마개(52)가 상기 개수통(10)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경우에는 이 상부 연장면(54)이 불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부 연장면(54)은 개수통(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수통(10)은 일반적으로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데, 이 상부 연장면(54)도 개수통(10)과 마찬가지로 작업 공간을 제공하므로, 개수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개수통과 동일한 강도를 가질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수 유도로에 의하여 유효한 작업을 공간을 감소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즉, 개수통 하면에 놓여진 물건이 물에 잠기지 않도록 물이 별도로 마련된 배수 유도록 의하여 개수통의 사용 중에도 효과적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배수구 캡의 상부 연장면이 개수통 하면과 동일한 높이 및 재질을 가짐으로써, 배수구 형성 부분에 유효한 작업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 개수통;
    상기 측면의 상단에서 연장 절곡된 걸림턱;
    상기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하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 유도로;를 포함하는 싱크 보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를 막는 배수구 마개;
    상기 배수구 마개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상부 연장면;을 포함하는 배수구 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보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장면은 상기 개수통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보울.
KR2020060032740U 2006-12-28 2006-12-28 싱크 보울 KR200800023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740U KR20080002344U (ko) 2006-12-28 2006-12-28 싱크 보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740U KR20080002344U (ko) 2006-12-28 2006-12-28 싱크 보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344U true KR20080002344U (ko) 2008-07-03

Family

ID=41490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740U KR20080002344U (ko) 2006-12-28 2006-12-28 싱크 보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34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24A (ko) * 2014-06-30 2016-01-07 크린업 코포레이션 키친용 싱크
KR20170014183A (ko) 2015-07-29 2017-02-08 전영완 싱크 보울 용접장치
KR20170014185A (ko) 2015-07-29 2017-02-08 전영완 싱크 보울 용접부 평활화 장치
KR102235220B1 (ko) 2019-10-25 2021-04-01 오창윤 싱크 보울 용접부 그라인딩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24A (ko) * 2014-06-30 2016-01-07 크린업 코포레이션 키친용 싱크
KR20170014183A (ko) 2015-07-29 2017-02-08 전영완 싱크 보울 용접장치
KR20170014185A (ko) 2015-07-29 2017-02-08 전영완 싱크 보울 용접부 평활화 장치
KR102235220B1 (ko) 2019-10-25 2021-04-01 오창윤 싱크 보울 용접부 그라인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916843U (zh) 双层洗手台
WO2008017758A3 (fr) Appareil electromenager comportant une cuve dans laquelle de l&#39;eau est portee a ebullition et des moyens pour evacuer le tartre
US20080307573A1 (en) Chokeless Sink Strainer
KR20080002344U (ko) 싱크 보울
RU2011129072A (ru) Детский горшок
EP2060682A3 (en) Floor drain with removable odour seal
US20040107489A1 (en) Sink drainer system
KR200408276Y1 (ko) 조리용 부침기
JP2006314757A (ja) 水切り容器
JP6555871B2 (ja) キッチン用シンク
CN112656199A (zh) 一种具有接水装置的智能烹饪机
KR200435116Y1 (ko) 싱크대의 배수구조
KR100541670B1 (ko) 씽크대의 잔반처리 시공을 위한 배수구조
CN209996241U (zh) 具有果蔬清洗和碗碟清洗功能的水槽式洗碗机
CN207483406U (zh) 厨房油水分离器的卡紧式快速连接移动车
US10941516B2 (e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base having a gravity-fed boiling chamber
CN214341705U (zh) 一种具有接水装置的智能烹饪机
KR200329292Y1 (ko) 싱크대용 수절판
KR101629920B1 (ko) 배수구 거름망
KR200374848Y1 (ko) 육수배출관이 구비된 냄비구조
KR200468185Y1 (ko) 배수구의 위치를 개선한 싱크대
CN215962405U (zh) 组合式过滤组件及洗菜盆
KR200495922Y1 (ko) 기름배출수단이 구비된 조리용팬
JP2007205164A (ja) 浴室の排水口
KR20170013026A (ko) 전기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