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014A - 통합 토폴로지를 이용한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토폴로지를 이용한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014A
KR20080002014A KR1020060060546A KR20060060546A KR20080002014A KR 20080002014 A KR20080002014 A KR 20080002014A KR 1020060060546 A KR1020060060546 A KR 1020060060546A KR 20060060546 A KR20060060546 A KR 20060060546A KR 20080002014 A KR20080002014 A KR 20080002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opology
zone
integrated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569B1 (ko
Inventor
이희원
황찬규
유재형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060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569B1/ko
Publication of KR2008000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토폴로지를 이용한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직 토폴로지, 서비스 토폴로지 및 존 토폴로지 각각의 개별 토폴로지를 그룹화하여 통합 트리 또는 통합 토폴로지 화면을 이용한 통합 토폴로지로 표현하여 특정 장비의 장애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합적인 토폴로지 구성 방법을 제공하여 망 감시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망 관리 시스템의 운용 능력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개별 토폴로지, 통합 토폴로지, 장애 관리, 망 관리 시스템

Description

통합 토폴로지를 이용한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Error Using Integrated Topology}
도 1은 종래의 망 관리 시스템에서 조직 토폴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망 관리 시스템에서 서비스 토폴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망 관리 시스템에서 존 토폴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별 토폴리지들을 그룹 박스를 이용한 통합 토폴로지로 표현하하여 장애를 감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그룹 박스 개념을 도입한 통합 트리와 통합 토폴로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토폴로지 내의 서비스의 내부 구성을 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토폴로지 내의 기반망-호처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토폴로지 내의 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토폴로지를 이용한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망 관리 시스템에서 개별 토폴리지들을 그룹 박스를 이용한 통합 토폴로지로 표현하여 장애를 감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망 관리 시스템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장비의 장애를 감시하는 것이다. 통합적인 장애 감시를 위해 토폴로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일반화되어 있다.
고객에게 하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국적으로 장비를 설치해서 해당 서비스망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물리적으로 한 곳에 위치한 장비들을 묶어서 지역 운용국의 운용자들이 이를 관리하게 된다.
또한, 일부 서비스의 경우, 하나의 집중 운용국에서 대부분의 서비스 장비들이 집중 운용되고, 각 지역에서 소수의 장비만 위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한 집중 운용국에서 많은 장비들로 이루어진 토폴로지가 구성되므로 장애를 한눈에 감시하는 것이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수의 개념으로 토폴로지를 구성해서 망을 감시하게 되는데, 다수의 토폴로지를 각각 구성하면 통합적으로 장애를 감시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VoIP(Voice over IP)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해 VoIP 관련 장비들이 필요하고, 이 장비들을 운용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VoIP 망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VoIP 서비스 구성 장비 중 호처리 장비(게이트 키퍼, 프록시 서버, 소프트 스위치 등), 서비스 장비(MCU, SBC, Firewall 등) 및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스위치 등) 등은 VoIP 집중 운용팀에서 관리되고, 게이트웨이(미디어 게이트웨이, 신호 게이트웨이 등) 등은 각 지역 운용팀에서 관리되고 있다.
VoIP 망 관리 시스템에서는 조직, 서비스 및 존 토폴로지를 구성하여 상기한 VoIP 장비들의 장애 감시를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망 관리 시스템에서 조직 토폴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망 관리 시스템에서 서비스 토폴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망 관리 시스템에서 존 토폴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혜화 집중 운용팀 및 각 지역 인터넷 기술팀은 VoIP 장비들을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기업용, 영상 회의, 음성 VPN(Virtual Private Network), IP-PBX(Internet Protocol Private Branch Exchange), IP-Centrex 등의 다양한 VoIP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고, 서비스에 따라 해당 서비스의 장비가 존재하므로 서비스별로 장애 감시가 이루어진다.
또한, 게이트 키퍼, 프록시 서버, 소프트 스위치 등의 각 호처리 장비가 관리하는 영역이 존(Zone)의 개념으로 나누어지고, 존에 따라 장애가 관리된다. 따라서, 현 VoIP 망 관리 시스템은 3개의 토폴로지를 구성하여 장애 감시를 하고 있다.
그러나 3개의 토폴로지가 각각 존재하는 경우, VoIP 망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하고, 해당 장비를 찾아가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VoIP 서비스의 경우 대다수의 장비들이 집중 운용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조직 토폴로지에서 집중 운용국 하위에 장비가 과도하게 존재하여 조직 토폴로지 화면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3개의 독립적인 토폴로지를 하나의 통합 토폴로지로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토폴로지는 하나의 단위(하나의 조직, 하나의 서비스 및 하나의 존) 또는 레벨을 구성하는 장비들에서 중복이 발생하기 때문에 토폴로지들을 통합하는 것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호처리 장비는 혜화 집중 운영팀에 위치하고, 게이트웨이 장비들은 각 지역 인터넷 기술팀에 위치한다. 존을 구성하는 장비들은 하나의 호처리 장비와 다수의 지역에 존재하는 게이트웨이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조직과 존의 토폴로지가 통합되는 경우, 장비 중복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장비가 중복되어 통합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경우, 하나의 장비 장애에 대해서 2개 이상의 토폴로지 단위에서 장애 표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직 토폴로지, 서비스 토폴로지 및 존 토폴로지 각각의 개별 토폴리지들을 그룹 박스를 이용한 통합 토폴로지로 표현하여 장애를 감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장애 감시 방법 은 (a) 조직 토폴로지, 서비스 토폴로지 및 존 토폴로지 각각의 개별 토폴로지를 그룹화하여 통합 트리 또는 통합 토폴로지 화면을 이용한 통합 토폴로지로 표현하는 단계; 및 (b) 특정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통합 트리 또는 상기 통합 토폴로지 화면을 통해 조직별, 서비스별 및 존 별로 장애를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장애 감시 장치는 서비스 장비들을 서비스별로 그룹화시킨 서비스망과 일반 전화 교환망의 톨(Toll) 역할을 담당하는 호처리 장비 및 공통 서비스 구성 장비들을 포함하는 기반망을 관리하는 집중 운용부; 및 각 지역의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지역 운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중 운용부 및 상기 지역 운용부는 특정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조직별, 서비스별 및 존 별로 장애를 표시하여 통합적으로 장애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토폴로지를 이용한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100)은 집중 운용부(102)와 지역 운용부(104)를 포함한다.
집중 운용부(102)는 서비스 장비들을 서비스별로 그룹화시킨 서비스망과 일반 전화 교환망의 톨(Toll) 역할을 담당하는 호처리 장비와 공통 서비스 구성 장비들을 포함하는 기반망을 관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망에 의하면, 각 서비스의 가입자를 수용하는 장비들이 포함된 해당 VoIP 서비스가 다수개로 구성된다. 기반망은 서비스 내의 장비들을 존에 따라 그룹을 지어 존 그룹 박스를 형성한다. 여기서, 존 그룹 박스는 호처리 장비와 상기한 호처리 장비가 관리하는 모든 게이트웨이들을 의미한다.
지역 운용부(104)는 각 지역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신호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한 게이트웨이를 관리한다.
집중 운용부(102) 및 지역 운용부(104)는 특정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조직별, 서비스별, 존 별로 장애를 표시해 줌으로써 통합적으로 장애를 감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개별 토폴리지들을 그룹 박스를 이용한 통합 토폴로지로 표현하하여 장애를 감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집중 운용부(102)는 조직 토폴로지, 서비스 토폴로지 및 존 토폴로지 각각의 개별 토폴로지를 그룹화하여 통합 토폴로지 화면(200) 및 통합 트리(210)를 이용한 통합 토폴로지로 표현하여 관리한다(S100).
집중 운용부(102)는 통합 토폴로지 화면(200) 중 각각의 서비스를 선택하는 선택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서비스의 가입자를 수용하는 장비를 통합 토폴로지 화면(200)에 출력한다(S102).
집중 운용부(102)는 통합 토폴로지 화면(200) 중 '기반망-호처리' 서비스를 선택하는 선택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존에 따라 그룹을 형성한 존 그룹 박스를 통합 토폴로지 화면(200)에 출력한다(S104). 여기서, 존은 하나의 중계 호처리 장비와 호처리 장비가 관리하는 게이트웨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집중 운용부(102)는 단계 S104에서 출력된 존 그룹 박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존 내부의 장비를 나타내는 토폴로지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S106). 즉, 실제 존을 의미하는 모든 장비, 하나의 호처리 장비와 상기한 호처리 장비가 관리하는 모든 게이트웨이들이 나타나게 된다.
집중 운용부(102) 및 지역 운용부(104)는 특정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조직별, 서비스별 및 존 별로 장애를 감시하여 통합 토폴로지 화면(200) 및/또는 통합 트리(210)를 통해 특정 장비의 장애를 출력한다(S108).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그룹 박스(202) 개념을 도입한 통합 트리(210)와 통합 토폴로지 화면(200)을 나타낸 도면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IP 집중 운용팀은 서비스 장비들을 서비스별로 그룹화하여 집중시킨다.
각 서비스의 가입자를 수용하는 장비들은 해당 VoIP 서비스로 하나의 단위를 구성한다. 일반 전화 교환망의 톨(Toll) 역할을 하는 호처리 장비와 공통 서비스 구성 장비들(MCU, SBC, Firewall 등)은 기반망(206) 서비스라는 논리적 서비스로 구성한다.
각 서비스망(204)과 기반망(206)은 혜화 집중 운용팀의 그룹으로 묶여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트리(210)의 레벨 0을 전국으로 두면, 레벨 1에는 혜화 집중 운용팀과 각 지역의 인터넷 기술팀이 위치한다. 즉, 레벨 1에는 그룹 박스(202)와 하나의 조직이 같은 레벨로 구성하고 있다.
각 서비스망(204)들은 혜화 집중 운용팀의 그룹 박스(202) 하위에 위치한다. 각 서비스 아이콘 또는 각 지역 인터넷 기술팀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 서비스 또는 인터넷 기술팀에 속한 장비들이 나타나게 된다.
통합 토폴로지 화면(200)에는 2단계의 레벨만 존재하지만, 통합 트리(210)에서는 3단계의 레벨이 존재하게 된다. 통합 트리(210)에서는 그룹 박스(202)를 하나의 레벨로 처리하고, 통합 토폴로지 화면(200)의 그룹 박스(202) 내의 아이콘을 통합 트리(210)에서의 하위 레벨로 처리하기 때문이다.
통합 트리(210)에서 혜화 집중 운용팀을 선택하는 경우, 혜화 집중 운용팀에 서 관리하는 VoIP 전체 장비들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조직과 서비스를 그룹 박스(202)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에서 표현하는 경우, 조직별과 서비스별로 장애를 한눈에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토폴로지 내의 서비스의 내부 구성을 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토폴로지 내의 기반망-호처리(206)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서비스망(204)의 아이콘(서비스1, 서비스2, 서비스3,....)이 선택되는 경우, 하위에 나타나는 장비들의 예를 보여준다.
도 8은 '기반망-호처리'(206)라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존 토폴로지를 그룹 박스로 나타낸 예를 보여준다.
존은 하나의 중계 호처리 장비와 호처리 장비가 관리하는 게이트웨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통합 토폴로지의 최상위 화면에서 단일 장애가 이중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장비가 단일 토폴로지 단위 내로 들어가야 한다. 그러나 혜화 집중 운용팀 내에 존을 두는 경우, 존의 호처리 장비는 혜화 집중 운용팀 내에 존재하지만, 게이트웨이들은 지역 인터넷 기술팀에 흩어져 있어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단위들 간에 중복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혜화 집중 운용팀 내의 기반망-호처리(206)의 하위에 존을 구성하고, 존을 구성하는 장비로 호처리 장비만을 둔다. 즉, 기반망-호처리(206) 서비스 내의 장비들을 존에 따라 그룹을 지어 그룹 박스를 형성한다. 따라서, 존의 그룹 박스는 통합 트리(210)에서 기 반망-호처리(206) 하위에 위치하게 된다. 통합 토폴로지 화면(200)에서는 호처리 장비들이 그룹 박스로 묶여서 표현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토폴로지 내의 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통합 트리(210)의 존 또는 도 8의 통합 토폴로지 화면(200)에서 존 그룹 박스를 선택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 내부의 장비를 나타내는 토폴로지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실제 존을 의미하는 모든 장비, 즉 하나의 호처리 장비와 상기한 호처리 장비가 관리하는 모든 게이트웨이들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토폴로지를 그룹 박스(202)를 이용하여 하나의 토폴로지로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VoIP 망 관리 시스템(100)에서 조직, 서비스 및 존의 토폴로지가 어떻게 하나의 통합 토폴로지로 구성될 수 있는가를 살펴 보았다.
만일 서비스를 구성하는 장비들이 단일 조직에서 집중적으로 운용되고, 다수의 토폴로지 개념이 필요한 운용 환경이라고 가정하면, 이러한 환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박스를 이용한 통합 토폴로지 구성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통합적으로 일목에 장애 감시가 가능한 망 관리 시스템(100)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통합적인 토폴로지를 구성하여 망 감시를 하게 되면, 통합적으로 장애를 감시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합적인 토폴로지 구성 방법을 제공하여 망 감시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망 관리 시스템의 운용 능력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1)

  1. (a) 조직 토폴로지, 서비스 토폴로지 및 존 토폴로지 각각의 개별 토폴로지를 그룹화하여 통합 트리 또는 통합 토폴로지 화면을 이용한 통합 토폴로지로 표현하는 단계; 및
    (b) 특정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통합 트리 또는 상기 통합 토폴로지 화면을 통해 조직별, 서비스별 및 존 별로 장애를 감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애 감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토폴로지 화면 및 상기 통합 트리는 서비스 및 조직을 나타내는 그룹 박스와 조직을 나타내는 지역 조직이 동등한 레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감시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박스는 각 서비스의 가입자를 수용하는 장비들을 포함한 서비스망과 일반 전화 교환망의 톨(Toll) 역할을 하는 호처리 장비 및 공통 서비스 구성 장비들을 포함한 기반망을 포함하는 장애 감시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트리는 상기 그룹 박스를 하나의 레벨로 구성하고, 상기 그룹 박스의 하위 레벨로 상기 서비스망과 상기 기반망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감시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망의 해당 서비스를 선택하는 선택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각 서비스의 가입자를 수용하는 장비를 토폴로지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감시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망을 선택하는 선택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존에 따라 그룹을 형성한 존 그룹 박스를 토폴로지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감시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존 그룹 박스 중 하나의 존 토폴로지를 선택하는 선택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호처리 장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호처리 장비가 관리하는 게이트웨이들을 토폴로지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감시 방법.
  8. 서비스 장비들을 서비스별로 그룹화시킨 서비스망과 일반 전화 교환망의 톨(Toll) 역할을 담당하는 호처리 장비 및 공통 서비스 구성 장비들을 포함하는 기반망을 관리하는 집중 운용부; 및
    각 지역의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는 지역 운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집중 운용부 및 상기 지역 운용부는 특정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조직별, 서비스별 및 존 별로 장애를 표시하여 통합적으로 장애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감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망은 각 서비스의 가입자를 수용하는 장비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감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망은 서비스 내의 장비들을 존에 따라 그룹을 지어 존 그룹 박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감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존 그룹 박스는 호처리 장비와 상기 호처리 장비가 관리하는 모든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감시 장치.
KR1020060060546A 2006-06-30 2006-06-30 통합 토폴로지를 이용한 장애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229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546A KR101229569B1 (ko) 2006-06-30 2006-06-30 통합 토폴로지를 이용한 장애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546A KR101229569B1 (ko) 2006-06-30 2006-06-30 통합 토폴로지를 이용한 장애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014A true KR20080002014A (ko) 2008-01-04
KR101229569B1 KR101229569B1 (ko) 2013-02-04

Family

ID=3921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546A KR101229569B1 (ko) 2006-06-30 2006-06-30 통합 토폴로지를 이용한 장애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951A1 (ko) * 2015-09-15 2017-03-23 에스케이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서비스 레벨의 통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951A1 (ko) * 2015-09-15 2017-03-23 에스케이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서비스 레벨의 통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569B1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0348B2 (en) Modularized software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disparate networks
US77479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private network connectivity verification
US7487236B2 (en) Management of tiered communication services in a composite communication service
US200402132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ft bandwidth
US8289878B1 (en) Virtual link mapping
CA2385939C (en)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broadband network providing multiple services
US200900704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Assurance in IP Networks
US7991872B2 (en) Vertical integration of network management for ethernet and the optical transport
EP0765555A1 (e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11296947B2 (en) SD-WAN device, system, and network
US5959985A (en) Multi-network architecture
Kim et al. Service provider DevOps for large scale modern network services
US20100040069A1 (en) Routing system and method with OSPF area zero split into a two level hierarchy for route calculation
US7715429B2 (en) Interconnect system for supply chain management of virtual private network services
KR101229569B1 (ko) 통합 토폴로지를 이용한 장애 표시 장치 및 방법
US200400600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ing broadband network resources
Cisco Introduction
CA2430493C (en) Call distribution
EP1825640B1 (en) Interconnect system for supply chain management of virtual private network services
US7675864B2 (en) Automated packet switch carrier health monitoring process
Shiomoto et al. RFC 5212: Requirements for GMPLS-Based Multi-Region and Multi-Layer Networks (MRN/MLN)
Acharya et al. Presence based network topology tracing system for VoIP networks
Hanmer Operations and Maintenance 2
Jithesh et al. software defined networking
Szebenyi 3.4 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Network (TM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