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894U -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 - Google Patents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894U
KR20080001894U KR2020060031633U KR20060031633U KR20080001894U KR 20080001894 U KR20080001894 U KR 20080001894U KR 2020060031633 U KR2020060031633 U KR 2020060031633U KR 20060031633 U KR20060031633 U KR 20060031633U KR 20080001894 U KR20080001894 U KR 200800018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
honeycomb
storage box
lower cas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문
Original Assignee
강경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문 filed Critical 강경문
Priority to KR2020060031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894U/ko
Publication of KR200800018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8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6Devices for extracting wax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4Honey strainers ; Strainers with centrifuges or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벌집 꿀을 보관하며 분리, 채취하는 채밀기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집 꿀을 보관하는 꿀 보관 상자를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 케이스로 보관하며 하부 케이스의 뚜껑을 이루는 동시에 벌집 꿀을 분리,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채밀기를 겸용으로 할 수 있는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벌집 꿀(13)을 공간(12)에 넣어 보관하는 몸체(11)로 이루어진 꿀 보관 상자에 있어서,
상기 꿀 모관 상자(10)를 감싸며 보관하는 하부 케이스(14)의 상측으로 받침대(21)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에 채밀 공간(22)을 형성하고 이 채밀 공간(22)에 꿀 배출 구멍(24)을 형성하여 벌집 꿀(13)을 하부 케이스(14)에 채취할 수 있는 채밀기(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벌집 꿀, 채밀기, 꿀 보관 상자

Description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A combination honey extractor and honey keeping box}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포장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포장상태를 나타낸 벌집 꿀의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포장하여 적층 한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벌집 꿀을 분리하는 채밀기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채밀기에 대한 요부를 보인 일부 절개상태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채밀기를 이용하여 벌꿀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꿀 보관 상자 11 : 몸체
12 : 공간 13 : 벌집 꿀
14 : 하부 케이스 20 : 채밀기
21 : 받침대 22 : 채밀 공간
23 : 벌집 구멍 24 : 꿀 배출 구멍
30 : 뚜껑 31 : 걸림턱
본 고안은 벌집 꿀을 보관하며 분리, 채취하는 채밀기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집 꿀을 보관하는 꿀 보관 상자를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 케이스로 보관하며 하부 케이스의 뚜껑을 이루는 동시에 벌집 꿀을 분리,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채밀기를 겸용으로 할 수 있는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생활이 윤택해 지면서 인체의 건강과 관련한 다양한 건강식품이 등장하고 있다.
건강식품을 대표하는 벌꿀은 꽃에서 분비되는 즙, 식물의 살아있는 부분에서 외부로 분비되는 분비물, 잎이나 줄기에서 분비되는 감로를 모아 벌 자신의 특이한 물질과 혼합하여 발효시켜 얻어지는 천연식품이다.
벌꿀을 모으는 소비(벌집)에는 약 6,600개의 소방이 있어, 이곳에 여왕벌은 알을 낳고 일벌은 새끼를 기르는 한편 꿀과 화분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벌꿀의 성분은 전화당이라 하여 포도당과 과당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고, 그밖에 소량의 사탕수수당과 회분, 유리산, 비타민, 미네랄 등을 함유하고 있는 유용한 건강식품이다.
사이 건강식품인 벌꿀은 분리, 채취한 후 용기에 담아 판매하거나, 벌집 꿀(13)의 상태로 가로 240mm, 세로 240mm, 높이 90mm로 규격화하고 그 외측으로 나무재질을 이용하여 몸체(11)를 구성한 벌집 꿀(13)의 상태로 포장하여 유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벌집 꿀은 보관 및 유통 과정에서 꿀이 외부로 유출되어 제품성을 상실하거나, 벌집 꿀이 있는 경우에도 꿀을 채취하여 먹는 것이 매우 어렵고, 일반 가정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것이었다.
이러한 벌꿀을 채취하는 수단인 채밀기는 소방에 저장된 꿀을 분리해내는 도구로서 통상 원통형의 대형 용기 내부에 여러 개의 소비를 끼워 장착, 회전시켜 원심력을 통해 추출하고 있다.
이러한 채밀기는 기업형으로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벌집 꿀을 규격화하여 몸체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외부를 투명한 재질로 포장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벌집 꿀을 보관하는 하부 케이스의 상측으로 덮여지는 곳에 벌집 꿀을 올려놓으면 꿀이 분리, 채취되는 채밀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채취한 벌집 꿀(13)은 가로 240mm, 세로 240mm, 높이 90mm로 규격화하여 꿀 보관 상자(10)의 몸체(11) 내부에 형성한 공간(12)에 넣어 보관한다.
상기 몸체(11)의 두께는 25mm 이상으로 하는 것이며, 재질은 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꿀 보관 상자(10)의 외측에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며 PET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 케이스(14)를 이용하여 포장할 수 있게 된다.
벌집 꿀(13)이 보관된 꿀 보관 상자(10)는 상측에서 채밀기(20)가 결합하여 뚜껑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상기 채밀기(20)는 벌집 꿀(13)의 규격보다 사면에서 조금 더 넓게 채밀 공간(22)을 갖도록 하며, 이 채밀 공간(22)은 받침대(21)에서 하측으로 5∼10mm 정도 깊게 파인 형태를 갖도록 한다.
상기 채밀 공간(22)에는 벌집 형태로 형성한 벌집 구멍(23)이 형성되고, 이 벌집 구멍(23)의 하측으로 꿀 배출 구멍(24)을 형성하여 벌집 꿀(13)을 하측으로 통과시켜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꿀 배출 구멍(24)은 약 2mm 크기의 구멍을 5mm 이상 길게 형성하여 꿀은 배출되어 채취하고 이물질은 걸려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상기 받침대(21)의 사면은 하부 케이스(14)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그 상측으로 뚜껑(30)을 씌워 보관하고, 뚜껑(30)에는 사면의 선단으로 걸림턱(31)을 형성하여 하부 케이스(14)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채취한 벌집 꿀(13)을 포장할 수 있는 규격으로 성형한 후 꿀 보관 상자(10)의 공간(12)에 넣어 몸체(11)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벌집 굴(13)을 저장한 꿀 보관 상자(10)는 하부 케이스(14)의 내부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며, 그 상측으로 채밀기(20)를 결합하여 받침대(21)가 몸체(1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포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포장한 상태에서 유통하거나, 필요한 경우 채밀기(20)의 상측으로 뚜껑(30)을 씌워 유통할 수 있는 것이다.
유통하는 꿀 보관 상자(10)는 재질이 PET 투명으로 성형한 것이므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고, 뚜껑(30)의 걸림턱(31)을 통하여 하부 케이스(14)를 연속해서 적층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유통하여 구입한 경우 벌집 꿀(13)을 먹기 위해서는 꿀을 채취해야만 하는 것인데. 일반 가정에서는 꿀을 채취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꿀 보관 상자(10)를 하부 케이스(14)와 분리하고 채밀기(20)를 하부 케이스(14)에 결합한다.
하부 케이스(14)의 상측에 채밀기(20)를 결합하고 채밀기(20)의 받침대(21) 상측에 꿀 보관 상자(10)를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올려놓아 24시간 정도가 지난다.
받침대(21)의 상측에 꿀 보관 상자(10)를 올려놓으면 몸체(11)가 채밀공간(22)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지지가 안정되게 이루어지며,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서 벌집 꿀(13)이 녹아내려 채밀공간(22)으로 모이게 된다.
채밀공간(22)으로 모여진 꿀은 벌집 구멍(23)을 통과한 후 그 하측의 꿀 배출구멍(24)을 통과하여 하부 케이스(14)로 내려가 저장된다.
이때 꿀 배출구멍(24)은 약 2mm 정도의 크기이므로 꿀만 배출되고, 벌집 꿀(13)에 포함된 순수한 꿀이 아닌 이물질은 걸려서 내려가지 않게 되므로 하부 케이스(14)에는 순수한 꿀만 채취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는 벌집 꿀(13)을 구입하여 별도의 채밀기가 없어도 받침대(2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채밀기(20)를 제공하게 되므로 채밀기(20)의 상측에 벌집 꿀(13)을 올려놓기만 해도 꿀을 채취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벌집 꿀을 규격화하여 몸체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외부를 투명한 재질로 포장하여 꿀이 유통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안전하 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벌집 꿀을 보관하는 하부 케이스의 상측으로 덮여지는 곳에 벌집 꿀을 올려놓으면 꿀이 분리, 채취되는 채밀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꿀을 구입하여 순수한 꿀만을 채취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4)

  1. 벌집 꿀(13)을 공간(12)에 넣어 보관하는 몸체(11)로 이루어진 꿀 보관 상자에 있어서,
    상기 꿀 모관 상자(10)를 감싸며 보관하는 하부 케이스(14)의 상측으로 받침대(21)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에 채밀 공간(22)을 형성하고 이 채밀 공간(22)에 꿀 배출 구멍(24)을 형성하여 벌집 꿀(13)을 하부 케이스(14)에 채취할 수 있는 채밀기(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
  2. 제1항에 있어서, 채밀기(20)는 채밀 공간(22)의 외측 받침대(21)에 몸체(11)가 위치하고 채밀 공간(22)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
  3. 제1항에 있어서, 채밀기(20)의 상측으로 걸림턱(31)이 사면 선단에 형성한 뚜껑(3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
  4. 제1항에 있어서, 채밀 공간(22)에는 벌집 구멍(23)과 이물질이 걸려 순수한 꿀만 배출하는 꿀 배출구멍(24)이 이중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
KR2020060031633U 2006-12-13 2006-12-13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 KR200800018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633U KR20080001894U (ko) 2006-12-13 2006-12-13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633U KR20080001894U (ko) 2006-12-13 2006-12-13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894U true KR20080001894U (ko) 2008-06-19

Family

ID=4132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633U KR20080001894U (ko) 2006-12-13 2006-12-13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89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3055A (zh) * 2014-09-09 2015-01-14 长兴意蜂蜂业科技有限公司 一种蜂产品包装
CN109197783A (zh) * 2018-09-25 2019-01-15 山西大学 一种纯天然巢蜜的生产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3055A (zh) * 2014-09-09 2015-01-14 长兴意蜂蜂业科技有限公司 一种蜂产品包装
CN109197783A (zh) * 2018-09-25 2019-01-15 山西大学 一种纯天然巢蜜的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gdanov The bee pollen book
AU2003302304A1 (en)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omb honey
CA2327997A1 (en) Intake and plucking arrangement as well as a harvesting machine
KR20080001894U (ko) 벌집 꿀 보관 상자 겸용 채밀기
JP3675774B2 (ja) ローヤルゼリーの精製装置
KR101391973B1 (ko) 규격화된 대나무 스틱밥 및 그 제조방법
CN104222009A (zh) 一种人工大量生产瓢虫、草蛉的方法
KR200254885Y1 (ko) 투명벌집용기
KR101553410B1 (ko) 저장용기에 강제로 소밀을 저장토록 양봉하고 이 소밀을 이용한 소밀주, 및 그의 제조방법
CN201299037Y (zh) 新型抽取式纯天然蜂蜜装卸容器
CN209465344U (zh) 一种农作物分离装置
KR20160112913A (ko) 계상 소비 벌통
RO130462B1 (ro) Stup multifuncţional în sistem închis pentru folosinţă industrială, distribuitor de produse apicole simple, combinaţii între ele sau cu diferite produse alimentare, diferite băuturi alcoolice şi răcoritoare, diferite siropuri, diferite ingrediente conform reţetarului
CN208593511U (zh) 一种实用性种子灌装装置
Chellappan Hand Holding Entrepreneurs in Honey Processing and Value Addition
KR200457416Y1 (ko) 무화과 케이스
KR101553404B1 (ko) 강제로 저장용기에 소밀을 생산 및 저장토록 하는 벌통
JP3084524B2 (ja) ローヤルゼリー採取用採乳框
CN207167426U (zh) 便携式蜂王浆盒
KR101553409B1 (ko) 저장용기에 강제로 소밀을 저장토록 양봉하고 이 소밀을 이용한 소밀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84579B1 (ko) 벌집형 토종꿀용 포장 케이스
Halvacı et al. Journey to the sweet world of beekeeping: historical development, honey harvesting and overview of bee products
JP2006280294A (ja) 蜂蜜の生産方法及び蜂蜜
KR20160124647A (ko) 계상 소비 벌통
ES2212866B2 (es) Sistema de separacion fraccionada de la biomasa integral del cardo cynara carcunculus 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