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727A - 사용 빈도수 제한을 사용하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 빈도수 제한을 사용하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727A
KR20080001727A KR1020060059577A KR20060059577A KR20080001727A KR 20080001727 A KR20080001727 A KR 20080001727A KR 1020060059577 A KR1020060059577 A KR 1020060059577A KR 20060059577 A KR20060059577 A KR 20060059577A KR 20080001727 A KR20080001727 A KR 20080001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frequency
drm
usage right
pro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야라만 라메쉬
라빈더 바티아 투샤르
쵸우다산드라 스리니바사 머씨 라메쉬
살리 푸니라쓰 사이두 모하메드 모하메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9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727A/ko
Publication of KR2008000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3Digital right managa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를 제한할 수 있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은 DRM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를 설정하고, DRM 컨텐츠와 설정한 사용 빈도수에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된 DRM 컨텐츠의 사용권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사용권한 정보에 따라 설정한 사용 빈도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만 DRM 컨텐츠의 사용을 허용하여 사용 빈도수를 제한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 권한관리 방법, 빈도수, DRM

Description

사용 빈도수 제한을 사용하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using a frequency based constraint and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메시지 시퀸스 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을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 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디바이스 120 : 컨텐츠 발행자
130 : 권한 발행자
본 발명은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호화에 의해 보호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 빈도수를 제한할 수 있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권한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방법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되는 다양한 형식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권리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사용 자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암호화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컨텐츠를 패키지 형태의 암호화된 데이터로 변환시켜준다.
따라서, 디지털 권한관리에 의해 보호되는 디지털 컨텐츠, 즉 DRM 컨텐츠(DRM Conten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증절차를 거쳐 DRM 컨텐츠의 복호화에 사용되는 사용권한 정보(Rights Object)를 획득해야만 한다.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으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DRM 과 OMA DRM(Open Mobile Alliance Digital Rights Management)이 대표적 예이며, OMA DRM의 경우에는 V2.0이 발표되어 있다. OMA DRM V2.0의 경우, 암호화된 DRM 컨텐츠와 그 DRM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한 정보를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암호화된 DRM 컨텐츠를 복호화에 사용되는 사용권한 정보는 디바이스(Device)와 권한 제공자(Rights Issuer) 사이의 상호 인증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OMA DRM V2.0 규약과 OMA REL(Rights Expression Language) 등에 따르면, DRM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나, 횟수 등은 제한할 수 있지만, 사용 빈도수를 제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사 용이 가능한 기간내에서 다시 DRM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를 제한하고 싶은 경우에 별다른 방안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DRM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 빈도수를 제한할 수 있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은,DRM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DRM 컨텐츠와, 상기 사용 빈도수에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DRM 컨텐츠의 사용권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권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 빈도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만 상기 DRM 컨텐츠의 사용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은, 암호화에 의해 보호된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를 설정받는 단계, 상기 사용 빈도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만 상기 보호된 컨텐츠의 복호화가 가능하게 하는 사용권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된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디지털 권한관리 시스템은 수신할 DRM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를 설정하는 디바이스, 상기 DRM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컨텐츠 발행자, 및 상기 사용 빈도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만 상기 DRM 컨텐츠가 사용 가능하게 하는 사용권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권한 발행자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은 기본적으로 OMA(Open Mobile Alliance)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환경에 적용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다른 통신 환경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에서는 DRM 컨텐츠의 사용권한 정보에 새로 정의한 엘리먼트(Element)를 사용하여, 컨텐츠 사용 빈도수를 제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디바이스(110), 컨텐츠 발행자(Content Issuer)(120), 및 권한 발행자(Rights Issuer)(13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10)는 컨텐츠를 사용하는 기기로서,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사용자의 단말기 등이 이에 속한다. 디바이스(110)는 이동통신망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발행자(120)에 통신가능하게 접속하여, 컨텐츠 발행자(120)로부터 디지털 권한관리(DRM)에 의해 보호되는 DRM 컨텐츠(DRM Content)를 다운로드 받는다. 그리고, 디바이스(110)는 권한 발행자(130)와의 인증과정을 거쳐 사용권한 정보(Rights Object)를 획득한다. 디바이스(110)는 획득한 사용권한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암호화 키(Content Encryption Key) 정보 등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DRM 컨텐츠를 복호화함으로써, 다운로드 받은 DRM 컨텐츠를 사 용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발행자(120) 및 권한 발행자(130)로부터 각각 DRM 컨텐츠와 사용권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나, 이와 달리 DRM 컨텐츠와 사용권한 정보를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로부터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전송받을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메시지 시퀸스 차트로서, 디바이스에서 DRM 컨텐츠와 그 사용권한 정보를 다운로드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10)는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발행자(120)에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컨텐츠 발행자(120)가 제공할 수 있는 컨덴츠를 검색한다(S200). 이러한 검색 과정에 의해, 다운로드 받을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조건의 설정 및 사용에 필요한 비용을 결제한다(S205).
이때, 컨텐츠의 사용조건에는, 선택된 컨텐츠의 사용 기간이나 사용 횟수 등과 같은 기존에 제한이 가능한 조건외에, 세부적으로 사용기간 내에서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frequency)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사용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만 다시 컨텐츠의 사용이 허용되고,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다.
컨텐츠에 대한 사용조건의 설정 및 비용결제가 완료되면, 디바이스(110)는 컨텐츠 발행자(120)로부터 선택된 DRM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S210). 그리고, 디바이스(110)는 다운로드 받은 DRM 컨덴츠의 사용을 위한 사용권한을 권한 발행 자(130)에게 요청한다(S215). 권한 발행자(130)는 컨텐츠 발행자(12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된 사용조건에 따른 사용권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사용권한 정보를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10)는 사용권한 정보를 획득한다(S220). 디바이스(110)는 획득한 사용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10)내에 사용권한을 설치한다(S235).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디바이스(110)에 DRM 컨텐츠와 그 사용권한 정보가 저장된다.
도 3은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선택된 DRM 컨텐츠와 이 DRM 컨텐츠의 사용을 위한 사용권한 정보를 모두 다운로드 받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기본적인 동작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250)는 컨텐츠 제공자(26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검색하여(S300), 다운로드 받을 컨텐츠를 선택한다(S305). 컨텐츠가 선택되면, 컨텐츠 제공자(260)로부터 컨텐츠 구입권한을 다운로드 받는다(S310). 디바이스(250)에서는 다운로드 받은 구입권한을 참조하여 사용조건의 설정 및 비용을 결제한다(S315). 이때, 사용조건의 설정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컨텐츠의 사용조건 설정 및 비용이 결제되면, 선택된 DRM 컨텐츠와 사용권한 정보를 모두 컨텐츠 제공자(260)로부터 다운로드 받는다(S320). 디바이스(250)는 획득한 사용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권한을 설치하며(S335), 이러한 과정에 의해, 디바이스(110)에 DRM 컨텐츠와 그 사용권한 정보가 다운로드되어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에서, 사용권한 정보에 사용 시간대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해, 컨텐츠의 사용 제한에 사용되는 <constraint> 엘리먼트에 다음과 같이 <frequency> 엘리먼트를 새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Element <!ELEMENT o-dd:frequency (#PCDATA)>
여기서 <frequency>는 컨텐츠가 사용가능한 시간 간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엘리먼트이며, PnDTnHnMnS 와 같이 일: 시:분:초 형식을 갖는다. 즉, 컨텐츠는 <frequency>에서 설정된 시간 간격이 지나야 다시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하고, 설정된 시간 간격이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컨텐츠 사용이 제한된다. 예컨대, <frequency>을 P4DT00H00M00S 로 설정한 경우, 컨텐츠 사용 후 4일이 지나야 다시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의 [표 2]은 새로 정의된 <frequency>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권한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기반한 OMA REL(Rights Expression Language) 으로 기술된다.
1: <o-ex:rights 2: xmlns:o-ex="http://odrl.net/1.1/ODRL-EX" 3: xmlns:o-dd="http://odrl.net/1.1/ODRL-DD" 4: xmlns:oma-dd="http://www.openmobilealliance.com/oma-dd" 5: xmlns:ds="http://www.w3.org/2000/09/xmldsig#" 6: xmlns:xenc="http://www.w3.org/2001/04/xmlenc#"> 7: <o-ex:context> 8: <o-dd:version>2.0</o-dd:version> 9 : <o-dd:uid>RightsObjectID</o-dd:uid> 10: </o-ex:context> 11: <o-ex:agreement> 12: <o-ex:asset o-ex:id="Asset-1"> 13: <o-ex:context> 14: <o-dd:uid>ContentID1</o-dd:uid> 15: </o-ex:context> 16: <o-ex:digest> 17: <ds:DigestMethod Algorithm="http://www.w3.org/2000/09/xmldsig#sha1"/> 18: <ds:DigestValue>DCFHash</ds:DigestValue> 19: </o-ex:digest> 20: <ds:KeyInfo> 21: <xenc:EncryptedKey> 22: <ds:KeyInfo> 23: <ds:RetrievalMethod URI="REKReference"/> 24: </ds:KeyInfo> 25: <xenc:EncryptionMethod Algorithm="http://www.w3.org/2001/04/xmlenc#kw-aes128"/> 26: <xenc:CipherData> 27: <xenc:CipherValue>EncryptedCEK</xenc:CipherValue> 28: </xenc:CipherData> 29: </xenc:EncryptedKey> 30: </ds:KeyInfo> 31: </o-ex:asset> 32: <o-ex:permission> 33: <o-dd:play> 34: <o-ex:constraint> 35: <o- dd :frequency> 36: P4DT00H00M00S 37: </o- dd :frequency> 38: </o-ex:constraint> 39: <o-dd:play/> 40: </o-ex:permission> 41: </o-ex:agreement> 42:</o-ex:rights>
[표 2]에서, 라인 1 내지 6은 DRM 사용권한 구조를 나타내며, XML 해석을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XML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있다. 라인 7 내지 10은 DRM 사용권한이 적용되는 DRM 시스템의 버전 정보를 기술하고 있다.
라인 11 내지 42는 컨텐츠 정보와 DRM 사용권한의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며, 각각 <asset> 엘리먼트와 <permission> 엘리먼트로 표현되고 있다. <asset> 엘리먼트는 라인 12 내지 31에서 DRM 라이센스가 적용되는 컨텐츠의 식별자(identifier)를 기술하고, 라인 20 내지 30에서는 암호화된 DRM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는 컨텐츠 암호 키(Content Encryption Key, CEK) 정보를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permission> 엘리먼트는 라인 32 내지 43에서 컨텐츠 재생 가능함을 기술하고 있다.
라인 34의 <constraint> 엘리먼트는 <count>, <interval>, <accumulated>, <start>, <end> 등과 같은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terval> 엘리먼트는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내며, 그 시작 시점은 컨텐츠를 최초로 사용한 시점이다, <Accumlated> 엘리먼트는 컨텐츠의 사용이 최대로 축적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start>와 <end> 엘리먼트는 함께 기술되는데, <start>에서 지정하는 날짜부터 <end>에서 지정하는 날짜까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을 기술하고 있다. <start> 및 <end> 엘리먼트는 CCYY-MM-DDThh:mm:ss과 같은 형식을 갖는데, CC는 세기, YY는 년도, MM은 월, DD는 일, hh 는 시간 mm은 분, ss는 초를 나타낸다. 위의 경우에는 2006년 3월 1일 00:00:00 부터 2006년 3월 10일 23:59:59 까지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라인 35 내지 라인 37에서 <frequency>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정의된 엘리먼트이다. 상기한 예에서는 <frequency>는 P4DT00H00M00S 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사용권한 정보에 의해, 컨텐츠는 사용 기간 내에서 사용 후 4일이 경과한 경우에만, 다시 컨텐츠의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frequency> 엘리먼트에서 다시 재사용 가능한 시간 간격을 정의함으로써, 사용 빈도수를 제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에서 DRM 컨텐츠 및 그 사용권한이 설치된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사용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DRM 컨텐츠 및 그 사용권한이 설치된 디바이스에 컨텐츠 사용요청이 있으면(S400), 먼저 사용기간이나 횟수 등과 같은 기본적인 제한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5).
기본적인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사용요청이 설정된 빈도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판단 결과, 컨텐츠 사용요청이 설정된 빈도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컨텐츠 사용을 허용한다(S415). 컨텐츠 사용이 허용되면,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가 재생되거나 디스플레이, 혹은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컨텐츠 사용요청이 설정된 빈도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컨텐츠 사용을 허용하지 않고 종료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을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 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은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및 사용권한 정보를 다운로드 받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바이스의 상태 표시 영역(501)과, 현재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영역(503), 현재 메뉴 항목의 하위 메뉴 항목이 표시되는 영역(505), 및 메뉴 선택 및 이전 메뉴로 돌아가기 위한 선택 영역(507)으로 구분된다. 도 5의 (a)는 'Internet' 메뉴 항목의 하위 메뉴 항목에서 '3. Go to URL'을 선택한 경우이며, 도 5의 (b)는 접속하고자 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인, "http://www.video.c" 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의 (c)는 입력된 URL 주소에 의해 접속된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d)는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구입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가 다운로드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구입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는,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빈도수를 설정하기 위해 시간간격(513)을 입력하는 항목이 있으며, 기타 사용 횟수(511)나 컨텐츠의 사용이 최대로 축적될 수 있는 시간(515)을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 조건에 따라, 도 5의 (g)와 같은, 비용 결제 화면을 통해 신용카드의 번호(521)와 비밀번호(523)를 입력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끝나면, 도 5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한 컨텐츠 및 사용권한이 다운로드된다. 도 5의 (h)는 선택한 컨텐츠 및 이에 대한 사용권한의 다운로드가 완료됨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6은 설정된 사용 빈도수 조건을 만족하는 컨텐츠 실행을 요청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a)는 사용할 컨텐츠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 (b)는 선택된 컨텐트 종류에서 사용할 컨텐츠 제목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의 (c)는 사용 빈도수를 만족하는 컨텐츠 사용이 요청되어, 선택된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은 사용 빈도수를 만족하는 못하는 조건에서 컨텐츠 실행을 요청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a)는 사용할 컨텐츠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 (b)는 선택된 컨텐츠 종류에서 사용할 컨텐츠 제목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의 (c)의 경우, 사용 빈도수를 벗어난 컨텐츠 사용이 요청된 경우, 예컨대 사용 빈도수가 4일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컨텐츠를 사용한 다음날 다시 컨텐츠 사용을 요청하는 경우 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c)와 같이 설정된 사용 빈도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함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컨텐츠의 사용은 허용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과정에 의해, 보호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 빈도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부모가 자녀의 컨텐츠 이용 빈도수를 제한하는 싶은 경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호화에 의해 보호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 빈도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된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부모가 자녀의 컨텐츠 이용의 빈도수를 제한하는 경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는 사용권한 정보에 새로 정의된 엘리먼트를 추가하는 방식이므로, 간단히 소프트웨어의 변경만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3)

  1. DRM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DRM 컨텐츠와, 상기 사용 빈도수에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DRM 컨텐츠의 사용권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권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 빈도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만 상기 DRM 컨텐츠의 사용을 허용하는 단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권한 정보는, OMA 표준에 따른 REL(Rights Expression Language)로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빈도수 식별자는 <frequency> 엘리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방법.
  4. 암호화에 의해 보호된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를 설정받는 단계;
    상기 사용 빈도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만 상기 보호된 컨텐츠의 복호화가 가능하게 하는 사용권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된 컨텐츠와 상기 사용권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된 컨테츠 및 상기 사용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 빈도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만 상기 보호된 컨텐츠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된 디지털 컨텐츠는 DRM에 의해 보호된 DRM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권한 정보는, OMA REL(Rights Expression Language)로 기술되며, 상기 빈도수 식별자는 <frequency> 엘리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방법.
  8. 수신할 DRM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를 설정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DRM 컨텐츠와, 상기 사용 빈도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만 상기 DRM 컨텐츠가 사용 가능하게 하는 사용권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권한 정보는, DRM REL(Rights Expression Language)로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빈도수를 만족하는 조건은, 상기 보호된 컨텐츠의 사용 가능한 시간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시스템.
  11. 수신할 DRM 컨텐츠의 사용 빈도수를 설정하는 디바이스;
    상기 DRM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컨텐츠 발행자; 및
    상기 사용 빈도수를 만족하는 조건에서만 상기 DRM 컨텐츠가 사용 가능하게 하는 사용권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권한 발행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한 관리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제4항 내지 제7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 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59577A 2006-06-29 2006-06-29 사용 빈도수 제한을 사용하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80001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577A KR20080001727A (ko) 2006-06-29 2006-06-29 사용 빈도수 제한을 사용하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577A KR20080001727A (ko) 2006-06-29 2006-06-29 사용 빈도수 제한을 사용하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727A true KR20080001727A (ko) 2008-01-04

Family

ID=3921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577A KR20080001727A (ko) 2006-06-29 2006-06-29 사용 빈도수 제한을 사용하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7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368B1 (ko) * 2008-06-23 2010-08-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rm방식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제한사항이포함된 컨텐츠의 지정된 수신자로의 전송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368B1 (ko) * 2008-06-23 2010-08-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rm방식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제한사항이포함된 컨텐츠의 지정된 수신자로의 전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4226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をクライアントに提供する方法
EP1646204B1 (en) Method for sharing rights objects between users
US7885894B2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content license management method
US7788271B2 (en)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EP19824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rights object from one device to another device via server
KR100949657B1 (ko) 유연한 권리 템플릿을 이용하여 권리 관리 시스템에서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서명된 권리 라벨(srl)을 얻기
CN100546240C (zh) 信息处理系统、设备与方法
EP2474933B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provision server and method
US20070198430A1 (en) Data processing device
US200402053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JP2007035077A (ja) 複数の機器を支援するdrm技術のライセンス方法
US83695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crypted key based on DRM type of host device
EP1866821A1 (en) Domain management method and domain context of users and devices based domain system
US200500443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time management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EP2562710A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N101842783B (zh) 用于管理数字版权管理权利对象的方法和装置
KR100506530B1 (ko) 다수의 기기를 지원하는 drm 라이센스 방법
KR101302127B1 (ko)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17312B1 (ko) 재구매를 위한 디지털 저작권 컨텐츠의 정보 갱신 시스템및 그 방법과 그 기능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기록매체
US84740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KR20080001727A (ko) 사용 빈도수 제한을 사용하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314271B1 (ko)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31292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 소비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3023640B (zh) 经由服务器将版权对象从一个设备移动到另一设备的装置和方法
KR101282946B1 (ko) 콘텐츠 프리뷰를 제공하는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