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717U - 필통 - Google Patents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717U
KR20080001717U KR2020060031205U KR20060031205U KR20080001717U KR 20080001717 U KR20080001717 U KR 20080001717U KR 2020060031205 U KR2020060031205 U KR 2020060031205U KR 20060031205 U KR20060031205 U KR 20060031205U KR 20080001717 U KR20080001717 U KR 200800017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case
accommodating
coupling member
li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우
Original Assignee
김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우 filed Critical 김민우
Priority to KR2020060031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717U/ko
Publication of KR200800017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7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지필통이 갖는 장점과 봉재필통이 갖는 장점만을 살릴 수 있게 수지필통과 봉재필통을 간편하게 결합하여 구성한 필통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필기구들을 수용 수납하여 휴대하기 위한 필통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들을 수용 수납하기 위한 필기구수납판이 설치되는 제1수용공간부가 형성되며, 어느 일변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되게 설치되어 개폐됨과 아울러 다른 일변에는 락킹부가 구비된 뚜껑을 갖는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필기구들을 수용 수납하기 위한 상부만이 개구되는 제2수용공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측벽 둘레를 따라 개폐되는 지퍼가 설치된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개구부 전(全)둘레를 따라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1몸체에 삽입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1,제2몸체를 일체화 할 수 있게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통, 봉재필통, 수지필통, 필기구, 수지, 직물지, 비닐지

Description

필통{a pencil cas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통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통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a ~도 4e는 본 고안에 따른 필통에 구비되는 제1,제2몸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4a는 상기 결합부재의 정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상기 결합부재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c는 상기 결합부재를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d ~도 4e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제2몸체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필통에 구비되는 제1,제2몸체를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일체화되게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필통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기구수용판에 펜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필통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필통 110 - 제1몸체
112 - 뚜껑 120 - 제2몸체
122 - 지퍼 130 - 결합부재
본 고안은 필기구 등을 휴대하기 위해 수용 수납하는 필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재필통과 수지필통을 간편한 방법에 의해 결합하여 이들이 갖는 장점만을 효과적으로 살려 필기구들의 수납을 용이하게 한 필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통은 필기구(예; 연필, 볼펜 등), 지우개, 칼 등을 수용 수납하여 휴대하도록 된 것으로, 학생들뿐만 아니라 직장인들에게도 폭넓게 사용되며, 필기도구 등의 휴대 시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게 한다.
이러한 필통은 필기구 등을 수납하는 수납부에 뚜껑이 개폐되게 설치되어 사용자는 이 뚜껑을 열어 상기 수납부에 필기구를 수납 보관하거나 혹은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필통은 그 재질에 따라 구분된다. 즉,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수지필통 혹은 직물지를 봉재하여 만든 봉재필통으로 구분된다.
상기 수지필통은 필통은 사출 성형에 의해 대량 생산이 가능함에 의해 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딱딱하여 휴대가 불편하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봉재필통은 감촉이 양호하여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직물 지의 봉재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으로 인해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특히, 봉재필통은 수지재질의 필통에 비하여 자유로이 변형됨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필기구들이 손상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수지필통이 갖는 장점과 봉재필통이 갖는 장점만을 살릴 수 있게 수지필통과 봉재필통을 간편하게 결합하여 구성한 필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필기구들을 수용 수납하여 휴대하기 위한 필통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들을 수용 수납하기 위한 필기구수납판이 설치되는 제1수용공간부가 형성되며, 어느 일변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되게 설치되어 개폐됨과 아울러 다른 일변에는 락킹부가 구비된 뚜껑을 갖는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필기구들을 수용 수납하기 위한 상부만이 개구되는 제2수용공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측벽 둘레를 따라 개폐되는 지퍼가 설치된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개구부 전(全)둘레를 따라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1몸체에 삽입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1,제2몸체를 일체화 할 수 있게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제2지지편과 상기 제1,제2지지편을 상기 제2몸체의 테두리 전(全)둘레를 따라 내외측면에 맞대어 고정할 수 있게 상기 제1,제2지지편에 소정 간격을 이루며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한 고정돌기 들과 고정공들, 및 상기 제1,제2지지편이 제2몸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에 삽입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몸체의 하부면에는 전(全)둘레를 따라 삽입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삽입홈과 연락되는 걸림공들을 내측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공들에 걸려 결합될 수 있게 제1,제2지지편 중에서 내측부로 위치하는 지지편에 돌출되게 형성한 걸림훅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2지지편은 자유로이 절곡 가능한 연결편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몸체와 상기 결합부재에는 소정 간격을 이루며 상호 대면하는 부위에 지지돌기들과 지지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기구수납판의 어느 일측부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연락공을 형성하며, 상기 연락공의 반대측부에는 필기구를 고정할 수 있는 팬홀더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부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몸체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몸체는 직물지 혹은 비닐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에는 내측으로 요입되는 보조수납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보조수납공간부는 어느 일변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 개폐되게 뚜껑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뚜껑의 내면으로 거울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통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통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통(100)은 필기구들을 수용 수납하여 휴대하기 위한 것으로,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1몸체(110)와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2몸체(120) 및 상기 제1,제2몸체(110,120)를 일체화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110)는 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이 좋고, 상기 제2몸체(120)는 직물지를 봉재하여 형성하거나 혹은 비닐지를 열융착하여 형성함이 좋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1몸체(110)는 필기구들을 수용 수납하기 위한 필기구수납판(140)이 설치되는 제1수용공간부가 형성되며, 어느 일변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되게 설치되어 개폐됨과 아울러 다른 일변에는 락킹부가 구비된 뚜껑(112)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락킹부는 자석(112a,112b)으로 이루어짐이 좋다.
또한, 상기 필기구수납판(140)은 어느 일측으로 상하부를 관통하는 연락공(142)을 형성하여 상기 제1,제2몸체(110,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제2수용공간부들을 연락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연락공(142)의 반대측으로 필기구를 고정할 수 있는 팬홀더(146)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는 뒤에서 설명하는 도 6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2몸체(120)는 결합부재(130)에 의해 제1몸체(110)에 일체화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몸체(120)는 필기구들을 수용 수납하기 위한 상부만이 개구되는 제2수용공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측벽 둘레를 따라 개폐 되는 지퍼(122)가 설치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30)는 제2몸체(120)의 개구부 전(全)둘레를 따라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1몸체(110)에 삽입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1,제2몸체(110,120)를 일체화 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4a ~도 4e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도 4a ~도 4e는 본 고안에 따른 필통에 구비되는 제1,제2몸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4a는 상기 결합부재의 정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상기 결합부재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c는 상기 결합부재를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d ~도 4e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제2몸체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30)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제2지지편(132a,132b)이 구비되며, 이러한 제1,제2지지편(132a,132b)을 상기 제2몸체(120)의 테두리 전(全)둘레를 따라 내외측면에 맞대어 고정할 수 있게 상기 제1,제2지지편(132,132b)에 소정 간격을 이루며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한 고정돌기(134a)들과 고정공(134b)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돌기(134a)들과 고정공(134b)들에 의해 상기 제1,제2지지편(132a,132b)들을 제2몸체(120)에 맞대어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돌기(134a)들과 고정공(134b)들에 대응하는 제2몸체(120)에 관통공(124)들을 형성함이 좋다. 상기 관통공(124)들을 통해 고정돌기(134a)가 삽입되어 고정홈(134b)에 고정됨에 의해 제2몸체(120)에 결합부재(130)를 고정할 수 있다.(도 4d ~도 4e참조)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30)의 제1,제2지지편(132a,132b)은 자유로이 절곡 가능한 연결편(138)에 의해 일체로 사출 성형함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제2지지편(132a,132b)이 상기 제2몸체(12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110)에 삽입 결합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제2지지편(132a,132b) 중에서 내측부로 위치하는 지지편에 걸림훅크(136)들을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훅크(136)들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130)를 제2몸체(120)에 고정한 후, 제1몸체(110)에 결합하는 상태를 도 5a ~도5b에 나타내었다.
도 5a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필통에 구비되는 제1,제2몸체를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일체화되게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30)를 제2몸체(120)에 고정한 후, 상기 제1몸체(110)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몸체(110)의 하부면에는 전(全)둘레를 따라 삽입홈(114)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삽입홈(114)과 연락되게 걸림공(116)들을상기 제1몸체(11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걸림공(116)들에 걸림훅크(136)들이 걸려지도록 하여 결합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30)와 제1몸체(110)를 결합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결합부재(130)에는 소정 간격을 이루며 상호 대면하는 부위에 지지돌기(118)들과 지지홈(139)들을 형성하여 상기 제2몸체(120)에 고정된 결합부재(130)를 제1몸체(110)와 결합할 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함이 좋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필통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기구수용판에 펜홀더가 분 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필기구수납판(140)은 어느 일측으로 상하부를 관통하는 연락공(142)을 형성하여 상기 제1,제2몸체(110,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제2수용공간부들을 연락되게 한다.
이러한 연락공(142)에 의해 제2몸체(120)에 구비되는 제2수용공간부에 수용되는 지우개 등을 제1몸체(110)의 뚜껑(112)을 열은 상태로 꺼낼 수 있다. 즉, 제2몸체(120)의 지퍼(122)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몸체(110)의 뚜껑(112)만을 열어 제2수용공간부에 보관되는 지우개 등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기구수납판(140)에는 상기 연락공(142)과의 반대측으로 필기구를 고정할 수 있는 팬홀더(146)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필기구수납판(140)에는 팬홀더(146)가 위치되는 부위에 끼움돌기(144)를 형성하여 상기 팬홀더(146)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팬홀더(146)에 의해 연필 등을 유동없이 고정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필통(100)은 수지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한 수지필통(제1몸체)과 직물지를 봉재하여 만든 봉재필통(제2몸체)을 결합부재(130)에 의해 간편하게 상호 일체화 되게 결합할 수 있어, 봉재필통이 갖는 장점과 수지필통이 갖는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필통(100)은 상기 봉재필통(제2몸체)이 찌어졌을 경우 상기 결합부재(130)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새로운 봉재필통을 다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제2몸체(110,1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걸림훅크(136)가 소 전 텐션을 유지하면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간단하게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필통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통(100)변형 예는 상기 뚜껑(110)에 보조수납공간부(150a)를 더 형성하고 상기 보조수납공간부(150a)를 보조뚜껑(150)으로 개폐되게 설치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상기 뚜껑(110)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보조수납공간부(150a)를 형성하며, 상기 보조수납공간부(150a)를 개폐할 수 있게 어느 일변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되게 설치된 보조뚜껑(15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뚜껑(150)의 내면에는 거울(152)이 부착됨이 좋고, 상기 보조수납공간부(150a)에는 빗(154)을 설치함이 좋다. 이러한 거울(152)과 빗(154)에 의해 본 고안의 필통(100)을 필기구를 수납 보관하는 용도 이외에 어린이들의 머리 손질 등도 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지 재질로 만든 수지필통과 직물지를 봉재하여 만든 봉재필통을 간편하게 결합함에 의해 수지필통과 봉재필통이 갖는 장점만을 효과적으로 살려 필기구들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필기구들을 수용 수납하여 휴대하기 위한 필통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들을 수용 수납하기 위한 필기구수납판이 설치되는 제1수용공간부가 형성되며, 어느 일변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되게 설치되어 개폐됨과 아울러 다른 일변에는 락킹부가 구비된 뚜껑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필기구들을 수용 수납하기 위한 상부만이 개구되는 제2수용공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측벽 둘레를 따라 개폐되는 지퍼가 설치된 직물 또는 비질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개구부 전(全)둘레를 따라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1몸체에 삽입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1,제2몸체를 일체화 할 수 있게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필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자유로이 절곡 가능한 연결편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제1,제2지지편과 상기 제1,제2지지편을 상기 제2몸체의 테두리 전(全)둘레를 따라 내외측면에 맞대어 고정할 수 있게 상기 제1,제2지지편에 소정 간격을 이루며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한 고정돌기들과 고정공들 및 상기 제1,제2지지편이 제2몸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에 삽입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제1몸체의 하부면에는 전(全)둘레를 따라 삽입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삽입홈과 연락되는 걸림공들을 내측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공들에 걸 려 결합될 수 있게 제1,제2지지편 중에서 내측부로 위치하는 지지편에 돌출되게 형성한 걸림훅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내측으로 요입되는 보조수납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보조수납공간부는 어느 일변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 개폐되게 뚜껑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뚜껑의 내면으로 거울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수납판의 어느 일측부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연락공을 형성하며, 상기 연락공의 반대측부에는 필기구를 고정할 수 있는 팬홀더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KR2020060031205U 2006-12-07 2006-12-07 필통 KR200800017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205U KR20080001717U (ko) 2006-12-07 2006-12-07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205U KR20080001717U (ko) 2006-12-07 2006-12-07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717U true KR20080001717U (ko) 2008-06-11

Family

ID=41325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205U KR20080001717U (ko) 2006-12-07 2006-12-07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71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000Y1 (ko) * 2013-04-29 2013-07-19 이현학 다기능 필통
WO2020017717A1 (ko) * 2018-07-17 2020-01-23 전원 펜 보관용 휴대용 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000Y1 (ko) * 2013-04-29 2013-07-19 이현학 다기능 필통
WO2020017717A1 (ko) * 2018-07-17 2020-01-23 전원 펜 보관용 휴대용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0880B2 (en) Self-standing housing body
US20020044819A1 (en) Case binder with living hinge
JP2009502550A (ja) アクティビティセンター
WO2018020968A1 (ja) 筆記具ケース
KR20080001717U (ko) 필통
EP3174735B1 (en) A multi-purpose combination writing instrument
KR200466900Y1 (ko) 세필 브러시 타입 아이라이너
US5495938A (en) Convertible display case and desk organizer
KR200441249Y1 (ko) 다목적 필기구
CN205734812U (zh) 螺丝刀手柄展示工具盒
CN205466086U (zh) 一种便于取出刀头的螺丝刀刀头储存盒
CN205466085U (zh) 一种螺丝刀展示工具盒的盒盖锁紧装置
KR200442532Y1 (ko) 펜꽂이로 변형가능한 필기구케이스
KR102429356B1 (ko) 펜홀더가 구비된 다이어리
KR200384614Y1 (ko) 필통
KR200232216Y1 (ko) 소형물품 수납부를 구비한 필통
KR200411044Y1 (ko) 필통
KR200389578Y1 (ko) 휴대용 필통
KR200441541Y1 (ko) 펜케이스
KR200310364Y1 (ko) 필통
KR910000217Y1 (ko) 휴대용 빗
KR200281060Y1 (ko) 화장용품 수납 케이스
KR200252235Y1 (ko) 필기구보관구가 구비된성경책
KR200276175Y1 (ko) 안경케이스 일체형 필통
JPH0530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