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564A - 기판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564A
KR20080001564A KR1020060062323A KR20060062323A KR20080001564A KR 20080001564 A KR20080001564 A KR 20080001564A KR 1020060062323 A KR1020060062323 A KR 1020060062323A KR 20060062323 A KR20060062323 A KR 20060062323A KR 20080001564 A KR20080001564 A KR 20080001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ard
substrate
female connecto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광자
Original Assignee
손광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광자 filed Critical 손광자
Priority to KR1020060062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564A/ko
Publication of KR2008000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을 상호 연결할 때 각각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에 의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으며 이의 연결이 보다 용이하면서 삽입 또는 분리시 발생하는 외력에도 단자핀의 휨 등 손상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다수의 리드핀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기판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양측 끝단이 탄성편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리드핀과 일체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다수 돌출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의 양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결합부로 구성되어 다른 기판의 암커넥터와 결합되는 수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전방 및 저면이 개방되어 내부에서 접속단자는 전방 끝단에 인접한 곳까지 연장되고, 내부 양측면에는 암커넥터가 가이드되어 삽입되도록 하고 전방 끝단은 양측 간의 거리가 확장되는 진입부가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면은 상기 고정부와 결합부의 저면이 기판의 끝단에 전방 끝단이 상응하도록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암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면이 밀착되어 삽입하도록 가이드하도록 하는 가이드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Description

기판 연결용 커넥터{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 기판 연결용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커넥터
11 : 고정부
111 : 리드핀 112 : 걸림훅
113 : 고정핀 114 : 리드부
12 : 결합부
121 : 탄성편 122 : 접속단자
123 : 가이드홈 124 : 진입부
125 : 가이드편 126 : 단자
2 : 암커넥터
21 : 연결홈
3, 3' : 기판
본 발명은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에 의하여 두 개의 기판을 상호 연결할 때 이의 연결이 보다 용이하면서 삽입 또는 분리시 발생하는 외력에도 단자핀의 휨 등 손상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회로 기판에 모든 기능을 장착하지 못하거나 제품의 기능을 용이하게 확장하기 위하여 또는 특정 역할을 하는 회로가 별도의 기성품으로 판매되고 있을 때 기판과 기판을 회로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예는 컴퓨터에서 하드디스크의 경우 보통 플럭시블 와이어에 의하여 메인기판과 연결되고 메모리칩이나 사운드카드 등은 기판에 직접 연결하는 커넥터가 있어 최근에는 대부분 커넥터에 의한 직접 연결방식으로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플럭시블 와이어를 이용한 방법이 연결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공간 및 메인기판과 보조기판들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제품이 불필요하게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커넥터에 의한 연결방법은 메인기판에만 다수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보조기판에는 기판 자체에 접속단자를 인쇄하여 단자가 인쇄된 보조기판을 커넥터에 직접 꽂아서 회로를 연결하는 구성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또는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에 각각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구비하여 암수커넥터들의 연결에 의 해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이 연결되도록 하는 방법의 두 가지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연결하는 방법에도 두 기판을 포개어 연결하는 방법, 수직으로 연결되는 방법, 나란히 연결되는 방법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이러한 종래 기판 연결용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대한민국 실용등록 20-0324392호 '기판 연결용 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의 청구범위는 수커넥터는 SMD타입 또는 DIP타입의 수커넥터(1)를 암커넥터(2)에 결합하여 기판(3)과 기판(3')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SMD타입 또는 DIP타입의 수커넥터(1)는 고정부(11)와 결합부(12)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그 고정부(11)와 결합부(12)는 탄성을 갖는 탄성편(12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에 끼워지는 다수의 단자(126)는 기판(3)에 고정하는 리드부(114)와 암커넥터(2)의 연결홈(21)에 삽입되는 연결부를 구불구불하게 형성된 텐션부로 연결 구성하여 그 텐션부에 의해 기판(3)과 리드부(114)를 통해 전달되는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이 연결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청구범위에서는 기판(3)과 리드부(114)를 통해 전달되는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진동 및 충격에 결합부(12)를 탄성편(121)으로 고정부와 연결하고, 단자(126)와 리드부(114)의 사이에 텐션부를 두어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접속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으로는 암커넥터(2)를 수커넥터(1)와 결합을 할 때 외력 을 정확하게 주지 않으면 단자(126)가 휘어지거나 또는 기판(3)에 납 땜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상기 수커넥터(1)가 들림이나 비틀림의 힘을 받아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까지 해결이 안 되는 상태이다.
즉 상기 단자(126)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23) 만으로는 약간 비틀려서 진입하는 암커넥터(2)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홈(123)의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정확한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리드부(114)가 휘어질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수커넥터(1)에서 이미 벌어진 가이드홈(123)의 경우 갈수록 신중을 기해서 조립하지 않으면 리드부(114)가 더욱 휘어지며 결합된 후에도 진동에 의하여 접속부가 흔들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이 되도록 하는 형태의 수커넥터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커넥터를 상호 결합할 때 결합이 용이하면서 기판 및 연결된 커넥터의 손상없이 결합이 용이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리드핀에 의한 고정 이외에 간단히 형성할 수 있는 별도의 커넥터 고정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리드핀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기판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양측 끝단이 탄성편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리드핀과 일체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다수 돌출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의 양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결합부로 구성되어 다른 기판의 암커넥터와 결합되는 수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전방 및 저면이 개방되어 내부에서 접속단자는 전방 끝단에 인접한 곳까지 연장되고, 내부 양측면에는 암커넥터가 가이드되어 삽입되도록 하고 전방 끝단은 양측 간의 거리가 확장되는 진입부가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면은 상기 고정부와 결합부의 저면이 기판의 끝단에 전방 끝단이 상응하도록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암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면이 밀착되어 삽입하도록 가이드하도록 하는 가이드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의 탄성편에 인접한 양측 저면에는 수직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끝단에는 기판의 저면에 걸림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훅이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절개되어 일정 거리를 두고 인접한 고정핀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핀은 고정부에서 수직 아래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다수의 리드핀(111)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기판(3)에 장착되는 고정부(11)와; 양측 끝단이 탄성편(121)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11)와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리드핀(111)과 일체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다수 돌출되는 접속단 자(122) 및 상기 접속단자(122)의 양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23)이 형성되는 결합부(12)로 구성되어 다른 기판(3')의 암커넥터(2)와 결합되는 수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는 전방 및 저면이 개방되어 내부에서 접속단자(122)는 전방 끝단에 인접한 곳까지 연장되고, 내부 양측면에는 암커넥터(2)가 가이드되어 삽입되도록 하고 전방 끝단은 양측 간의 거리가 확장되는 진입부(124)가 형성되는 가이드홈(123)과;
상면은 상기 고정부(11)와 결합부(12)의 저면이 기판(3)의 끝단에 전방 끝단이 상응하도록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암커넥터(2)가 결합될 때 상면이 밀착되어 삽입하도록 가이드하도록 하는 가이드편(125)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탄성편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11)와 결합부(11)가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대하여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하는 것은 기존에도 유사한 실시 예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가장 큰 요부는 암커넥터(2)를 삽입하여 조립할 때 상기 가이드홈(123) 만으로 이를 정확하게 삽입되어 조립되는 것은 상황에 따라 기대하기 힘들 경우가 있기에 이를 개선한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편(125)는 상기 암커넥터(2)의 상면을 기판(3)은 상기 암커넥터(2)의 하부에 상응하여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최초 암커넥터(2)의 삽입되는 끝단이 진입부(124)를 통과한 다음에는 최소한의 오차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약간 비틀어지게 진입되는 경우가 수차례 반복되면 접속단자(122)가 휘어지게 되는 문제점 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편(125)은 암커넥터(2)가 잘못 진입되었을 때 양측 가이드홈(123)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억지로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 조립이 용이하지 않게 하고 또는 접촉불량의 요인을 차단하는 것으로 이는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그리고 조립시 수평 조립을 하여 왔으나 현재 추세는 수평 또는 여러각도에서 암커넥터 및 수커넥터를 조립하므로 가이드홈(123)을 갖는 조립 불량이 발생하므로 가이드를 형성하여 조립할 경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부(11)의 탄성편(121)에 인접한 양측 저면에는 수직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끝단에는 기판(3)의 저면에 걸림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훅(112)이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절개되어 일정 거리를 두고 인접한 고정핀(113)이 추가로 형성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종래 고정하는 수단은 없거나 또는 기판(3)에 형성되는 홀에 단순삽입하는 경우가 많으나 상기와 같은 형태의 고정핀(113)은 홀에 끼워 넣으면 걸림훅(112)에 의하여 이탈이 용이하지 않게 끼워짐으로써 견고하면서 간편하게 결합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드핀(111)은 고정부(11)에서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즉 상기 실시 예는 기판에 부품을 장착하는 방식에 따른 실시 예로서, 도면에서는 SMD(Surface Mount Devices ;표면 실장 소자)방식으로 이전에 많이 사용되 었던 기판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부품을 꼽는 DIP방식이 아닌 구멍을 뚫지 않고 패턴에 바로 소자를 붙여 납땜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리드핀(111)을 도시하였으나, DIP방식의 적용할 경우 상기 리드핀(111)은 고정부(11)에서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넥터를 상호 결합할 때 결합이 용이하면서 양측 가이드홈의 사이가 무리한 삽입으로 인하여 벌어져 리드핀이 손상되는 것을 막도록 함으로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접촉불량 등이 오류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드핀에 의한 고정 이외에 간단히 형성할 수 있는 고정핀을 형성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수의 리드핀(111)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기판(3)에 장착되는 고정부(11)와; 양측 끝단이 탄성편(121)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11)와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리드핀(111)과 일체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다수 돌출되는 접속단자(122) 및 상기 접속단자(122)의 양측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23)이 형성되는 결합부(12)로 구성되어 다른 기판(3')의 암커넥터(2)와 결합되는 수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는 전방 및 저면이 개방되어 내부에서 접속단자(122)는 전방 끝단에 인접한 곳까지 연장되고, 내부 양측면에는 암커넥터(2)가 가이드되어 삽입되도록 하고 전방 끝단은 양측 간의 거리가 확장되는 진입부(124)가 형성되는 가이드홈(123)과;
    상면은 상기 고정부(11)와 결합부(12)의 저면이 기판(3)의 끝단에 전방 끝단이 상응하도록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암커넥터(2)가 결합될 때 상면이 밀착되어 삽입하도록 가이드하도록 하는 가이드편(125)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의 탄성편(121)에 인접한 양측 저면에는 수직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끝단에는 기판(3)의 저면에 걸림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훅 (112)이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절개되어 일정 거리를 두고 인접한 고정핀(113)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핀(111)은 고정부(11)에서 수직 아래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KR1020060062323A 2006-06-29 2006-06-29 기판 연결용 커넥터 KR20080001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323A KR20080001564A (ko) 2006-06-29 2006-06-29 기판 연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323A KR20080001564A (ko) 2006-06-29 2006-06-29 기판 연결용 커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433U Division KR200431623Y1 (ko) 2006-07-25 2006-07-25 기판 연결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564A true KR20080001564A (ko) 2008-01-03

Family

ID=3921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323A KR20080001564A (ko) 2006-06-29 2006-06-29 기판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5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288B1 (ko) * 2009-07-22 2010-02-23 윤영호 케이블 정리용 킷
KR101382841B1 (ko) * 2007-08-16 2014-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핀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9976A (ja) * 1996-03-21 1997-10-03 Fujitsu I Network Syst Ltd コネクタ端子の嵌合構造
KR19980030767U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커넥터 결합장치
KR19990018726U (ko) * 1997-11-13 1999-06-05 정진택 컨넥터와 컨넥터 하우징의 결합구조
KR20000007837U (ko) * 1998-10-10 2000-05-06 최연학 인쇄회로기판 실장용 암 커넥터의 들뜸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9976A (ja) * 1996-03-21 1997-10-03 Fujitsu I Network Syst Ltd コネクタ端子の嵌合構造
KR19980030767U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커넥터 결합장치
KR19990018726U (ko) * 1997-11-13 1999-06-05 정진택 컨넥터와 컨넥터 하우징의 결합구조
KR20000007837U (ko) * 1998-10-10 2000-05-06 최연학 인쇄회로기판 실장용 암 커넥터의 들뜸방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841B1 (ko) * 2007-08-16 2014-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핀 커넥터
KR100943288B1 (ko) * 2009-07-22 2010-02-23 윤영호 케이블 정리용 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0603B1 (en) Fine pitch high density high-speed orthogonal card edge connector
US20200259294A1 (en) Robust,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US6478611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visual indicator
JP5647434B2 (ja) 嵌合完了検知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TW202042455A (zh) 連接器以及連接器組件
KR10113395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US20200343660A1 (en) Connector
US1109505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 distance between electrical terminals
EP2846414A1 (en) Connector
US7828578B1 (en)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having two contact portions and two leaning portions extending from a base
KR10132639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KR200431623Y1 (ko) 기판 연결용 커넥터
US6688913B2 (en) Connector assembly structure
JP2009268291A (ja) 端子付回路ケース
KR20080001564A (ko) 기판 연결용 커넥터
KR200471891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US11133610B2 (en) Base of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of
KR200471031Y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US11411357B2 (en) Electronics unit for managed connectivity, patch panel incorporating the same, methods of installation and use
KR101198832B1 (ko) 그라운드 차폐형 인쇄회로기판용 슬롯
KR100849628B1 (ko) 기판 연결용 커넥터
KR20070040705A (ko) 터미널의 단자 휨 방지구조
KR100647225B1 (ko)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CN203589371U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