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305A -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305A
KR20080001305A KR1020060059647A KR20060059647A KR20080001305A KR 20080001305 A KR20080001305 A KR 20080001305A KR 1020060059647 A KR1020060059647 A KR 1020060059647A KR 20060059647 A KR20060059647 A KR 20060059647A KR 20080001305 A KR20080001305 A KR 20080001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louvers
button
air conditioner
stepp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5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305A/ko
Publication of KR20080001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의 실내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의 토출방향 조절장치로서, 상기 실내기의 토출구가 상부 및 하부로 구획되도록 상기 토출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다수개 장착하여 토출되는 냉기가 각각 상부 및 하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블레이드 어셈블리; 상기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가 개별적으로 가변되도록 작동하는 상부 스텝핑 모터 및 하부 스텝핑 모터로 이루어진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상부 스텝핑 모터 및 하부 스텝핑 모터가 작동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부의 상부 스텝핑 모터 및 하부 스텝핑 모터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보다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냉기 토출방향을 실현할 수 있고, 토출되는 냉기의 풍향 범위를 보다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실내의 냉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어컨, 토출구, 블레이드

Description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discharge direction of air conditioner}
도 1은 일반적인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의 시스템 계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토출구 110: 구획판
120: 상부 블레이드 130: 하부 블레이드
140: 상부 스텝핑 모터 150: 하부 스텝핑 모터
160: 모터부 170: 입력부
180: 제어부 190: 상부 블레이드 풍향 설정버튼
200: 하부 블레이드 풍향 설정버튼 210: 구획판
220: 좌측 블레이드 230: 우측 블레이드
본 발명은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로 구획하고,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보다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냉매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장치로서,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밸브와, 실내 열교환기 등으로 이루어져 이들을 계속해서 순환하는 냉매의 열교환작용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온도로 조절하여 실내의 온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 가능한 장치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에어컨은 실외기와 실내기로 이루어지며, 이 실외기와 실내기가 서로 분리 이격되어 각각 별도의 본체로 형성되는 분리형과, 실외기와 실내기가 하나의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0)와,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0)와,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되어 냉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냉기 토출구(30)를 구비하며, 상기 냉기 토출구(30)에는 본체(10)의 내부로부터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다수의 블레이드(35)를 구비한다.
상기 토출구(30)에 장착된 다수의 블레이드(35)는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하나의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에 연결되어 상기 스텝핑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블레이드(35)가 이동함으로써, 실내기 내부의 증발기와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토출될 때, 상하 또는 좌우의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실내공간의 한방향으로만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보다 블레이드(35)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차가운 공기가 토출되어 실내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에어컨 토출구(30)에 장착된 블레이드(35)는 하나의 스텝핑 모터의 작동에 의해 다수의 블레이드(35)가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일체로 이동됨으로써, 모든 블레이드(35)가 같은 방향으로만 이동하여 토출구(3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토출방향이 자유롭게 조절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블레이드(35)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좌측으로만 냉기가 토출되고, 블레이드(35)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우측으로만 냉기가 토출되어 다양한 방향으로의 냉기 토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실내 냉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실내기의 토출구가 상부 및 하부로 구획되도록 상기 토출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다수개 장착하여 토출되는 냉기가 각각 상부 및 하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블레이드 어셈블리; 상기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가 개별적으로 가변되도록 작동하는 상부 스텝핑 모터 및 하부 스텝핑 모터로 이루어진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상부 스텝핑 모터 및 하부 스텝핑 모터가 작동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부의 상부 스텝핑 모터 및 하부 스텝핑 모터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의 풍향을 설정하는 '상', '하' 버튼과, 상기 하부 블레이드의 풍향을 설정하는 '상', '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블레이드의 풍향을 설정하는 '하' 버튼과, 상기 하부 블레이드의 풍향을 설정하는 '상' 버튼이 동시에 조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스텝핑 모터 및 하부 스텝핑 모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상부 블레이 드 및 하부 블레이드가 서로 상하로 마주보며 냉기를 토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실내기의 토출구가 좌우로 구획되도록 좌측 블레이드 및 우측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보다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냉기 토출방향을 실현할 수 있고, 토출되는 냉기의 풍향 범위를 보다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실내의 냉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의 시스템 계통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상부측에 장착되어 열교환된 냉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100)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구획판(110)이 장착되고, 상기 구획판(110)을 경계로 상부에는 다수의 수평 블레이드(120, 이하 '상부 블레이드'라 지칭함)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판(110)을 경계로 하부에 역시 다수의 수평 블레이드(130, 이하 '하부 블레이드'라 지칭함)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상부 블레이드(120) 및 하부 블레이드(130)로 이루어진 블레이드 어셈블 리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블레이드(120) 및 하부 블레이드(130)에는 각각 상부 블레이드(120) 및 하부 블레이드(130)를 개별적으로 가변되도록 작동하는 상부 스텝핑 모터(140) 및 하부 스텝핑 모터(150)로 이루어진 모터부(160)가 연결되어 상기 상부 블레이드(120) 및 하부 블레이드(130)가 개별적으로 가변되도록 한다.
한편, 에어컨의 외부에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120) 및 하부 블레이드(130)가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모터부(160)의 상부 스텝핑 모터(140) 및 하부 스텝핑 모터(150)의 회전방향을 사용자가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17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는 상기 입력부(17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부(160)의 상부 스텝핑 모터(140) 및 하부 스텝핑 모터(150)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부(170)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120)의 풍향을 상하방향으로 설정하기 위한 '상' 버튼 및 '하' 버튼을 포함하는 상부 블레이드 풍향 설정 버튼(190)과, 상기 하부 블레이드(130)의 풍향을 상하방향으로 설정하기 위한 '상' 버튼 및 '하' 버튼을 포함하는 하부 블레이드 풍향 설정 버튼(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블레이드(120) 및 하부 블레이드(130)의 토출방향을 상부 블레이드(120)는 하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작동하고, 하부 블레이드(130)는 상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작동하게 되면, 상기 상부 블레이드(120) 및 하부 블레이드(13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컨의 냉기가 서로 저항으로 작용하여 냉기 토출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블레이드(120)의 토출방향을 설정하는 상부 블레이드 풍향 설정버튼(190)의 '하' 버튼과, 상기 하부 블레이드(130)의 토출방향을 설정하는 하부 블레이드 풍향 설정버튼(200)의 '상' 버튼이 동시에 조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상부 스텝핑 모터(140) 및 하부 스텝핑 모터(15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 블레이드(120) 및 하부 블레이드(130)가 서로 상하로 마주보며 냉기를 토출하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00)에 장착된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중앙에 장착된 수직방향으로의 구획판(210)을 경계로 좌측에는 좌측 블레이드(220)를 장착하고, 우측에는 우측 블레이드(230)를 장착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좌측 블레이드(220) 및 우측 블레이드(230)에 각각 스텝핑 모터를 연결하여 좌측 및 우측 블레이드(220, 230)가 개별적을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좌측 블레이드(220) 및 우측 블레이드(230)가 상하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작동함으로써, 토출구(100)로부터 실내로 토출되는 냉기가 좌우측에서 각가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토출되어 실내의 냉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측 블레이드(220)와 우측 블레이드(230)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서로 간섭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 다.
먼저, 에어컨이 가동 되면, 토출구(100)의 상부 블레이드(120) 및 하부 블레이드(130)는 수평하게 위치하여 토출구(100)에서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이 토출구(100)로부터 거의 수평하게 토출이 된다.
이때, 사용자가 토출되는 냉기 중 일부가 신체에 직접 작용하도록 하부 블레이드(13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이 실내공간의 하부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려면, 입력부(170)의 하부 블레이드 풍향 설정 버튼(200)의 '하'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즉, 상기 하부 블레이드 풍향 설정 버튼(200)의 '하' 버튼을 누르면, 입력부(170)의 신호가 제어부(180)로 전달되고,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부(170)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모터부(16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하부 스텝핑 모터(150)를 작동함으로써, 상기 하부 블레이드(130)를 하부측으로 가변되도록 한다.
한편, 실내로 토출되는 냉기가 보다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블레이드(12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는 상부측으로 토출되고, 상기 하부 블레이드(13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는 하부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려면, 입력부(170)의 상부 블레이드 풍향 설정 버튼(190)의 '상' 버튼을 누르고, 하부 블레이드 풍향 설정 버튼(200)의 '하'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즉, 상기 상부 블레이드 풍향 설정버튼(190)의 '상' 버튼과, 상기 하부 블레이드 풍향 설정버튼(200)의 '하' 버튼을 누르면, 입력부(170)의 신호가 제어부(180)로 전달되고,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부(170)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모 터부(16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부 스텝핑 모터(140)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120)를 상부측으로 가변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스텝핑 모터(150)는 상기 하부 블레이드(130)를 하부측으로 가변되도록 하여, 토출구(100)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상부 및 하부로 동시에 토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토출되는 냉기의 범위를 기존 에어컨에 비해 보다 증가시킴으로써, 실내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120) 및 하부 블레이드(13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즉, 상부 블레이드(120)는 하부측으로 가변되고, 하부 블레이드(130)는 상부측으로 가변되어 토출되는 냉기가 서로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스텝핑 모터(140) 및 하부 스텝핑 모터(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는 토출구(100)에 장착된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상부 블레이드(120) 및 하부 블레이드(130)로 구획(또는, 좌측 블레이드 및 우측 블레이드로 구획)하고, 각각의 블레이드(120, 130)에 개별적으로 스텝핑 모터(140, 150)를 장착하여 상부 블레이드(120) 및 하부 블레이드(13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형태로 냉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로 구획하고,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보다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냉기 토출방향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토출되는 냉기의 풍향 범위를 보다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실내의 냉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실내기의 토출구가 상부 및 하부로 구획되도록 상기 토출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다수개 장착하여 토출되는 냉기가 각각 상부 및 하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블레이드 어셈블리;
    상기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가 개별적으로 가변되도록 작동하는 상부 스텝핑 모터 및 하부 스텝핑 모터로 이루어진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상부 스텝핑 모터 및 하부 스텝핑 모터가 작동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부의 상부 스텝핑 모터 및 하부 스텝핑 모터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의 풍향을 설정하는 '상', '하' 버튼을 포함하는 상부 블레이드 설정버튼과, 상기 하부 블레이드의 풍향을 설정하는 '상', '하' 버튼을 포함하는 하부 블레이드 설정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레이드의 풍향을 설정하는 '하' 버튼과, 상기 하부 블레이드의 풍향을 설정하는 '상' 버튼이 동시에 조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스텝핑 모터 및 하부 스텝핑 모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가 서로 상하로 마주보며 냉기를 토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실내기의 토출구가 좌우로 구획되도록 좌측 블레이드 및 우측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
KR1020060059647A 2006-06-29 2006-06-29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 KR20080001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647A KR20080001305A (ko) 2006-06-29 2006-06-29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647A KR20080001305A (ko) 2006-06-29 2006-06-29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305A true KR20080001305A (ko) 2008-01-03

Family

ID=3921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647A KR20080001305A (ko) 2006-06-29 2006-06-29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3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4397A (zh) * 2012-12-18 2014-06-18 苏州昆拓热控系统股份有限公司 机柜空调器及其风向导引装置
CN104964391A (zh) * 2015-06-29 2015-10-0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摆叶控制方法和空调
CN105627494A (zh) * 2014-10-28 2016-06-01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空调运行的方法和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4397A (zh) * 2012-12-18 2014-06-18 苏州昆拓热控系统股份有限公司 机柜空调器及其风向导引装置
CN103874397B (zh) * 2012-12-18 2017-08-22 苏州昆拓热控系统股份有限公司 机柜空调器及其风向导引装置
CN105627494A (zh) * 2014-10-28 2016-06-01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空调运行的方法和系统
CN105627494B (zh) * 2014-10-28 2018-08-03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空调运行的方法和系统
CN104964391A (zh) * 2015-06-29 2015-10-0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摆叶控制方法和空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4220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3203160B1 (en) Air-conditioning-device indoor unit
KR950012151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JP6357258B2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KR101476437B1 (ko) 공조장치, 공조장치의 베인제어장치, 및 공조장치의베인제어방법
KR10231772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20080001305A (ko) 에어컨의 토출방향 조절장치
JP2006162215A (ja) 空気調和機
CN116592425A (zh) 空调器及其送风控制方法
CN113654106B (zh) 空调器
KR101027165B1 (ko) 복수의 송풍팬 제어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KR20160031715A (ko) 기류 가변이 가능한 전면 송풍방식 공기조화장치
JP2008151477A (ja) 床置型空気調和機
CN109631160B (zh) 空调室内机、空调及控制方法
KR102336631B1 (ko) 에어컨
JP4851629B2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KR100334931B1 (ko) 공조기용실내기의취출각제어방법
CN105240939A (zh) 一种空气调节装置及其使用方法
JP2009058220A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CN219014570U (zh) 一种暖通空调风量调节装置及暖通空调
KR100825617B1 (ko) 상치형 공기 조화기
JP2015099009A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CN220648423U (zh) 空调室内机
CN217031395U (zh) 吊顶式空调室内机
JP5469211B2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