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132U -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 - Google Patents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132U
KR20080001132U KR2020080005629U KR20080005629U KR20080001132U KR 20080001132 U KR20080001132 U KR 20080001132U KR 2020080005629 U KR2020080005629 U KR 2020080005629U KR 20080005629 U KR20080005629 U KR 20080005629U KR 20080001132 U KR20080001132 U KR 200800011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air
fragrance
shoe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혜승
Original Assignee
신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혜승 filed Critical 신혜승
Priority to KR2020080005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132U/ko
Publication of KR200800011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1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43B17/035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공기배출펌프에 외부 유입관과, 내부 유출관이 각각 연결되어져 있으며, 내부 유출관의 소정부에 방향제 포켓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되어져 있고, 그 전단에 체크밸브가 구비되어져 있어서 보행시 깔창 외부의 공기를 유입받아 방향제와 혼합된 공기가 신발의 전단으로 유출되게 하는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신발의 내부 공기를 체크밸브를 통해 깔창으로 유입시켜 순환시키고, 보행시 보행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방향제를 신발 내부에 혼합하여 신발의 전단으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신발 내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향기배출 수단, 신발깔창, 향기포켓, 공기 배출펌프.

Description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SHOES SHEET WITH A PERFUME AIR CIRCULATING PUMP}
본 고안은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공기배출펌프에 외부 유입관과, 내부 유출관이 각각 연결되어져 있으며, 내부 유출관의 소정부에 방향제 포켓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되어져 있고, 그 전단에 체크밸브가 구비되어져 있어서 보행시 외부 공기를 유입받아 방향제와 혼합된 공기가 신발의 전단으로 유입되게 하는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에 신발은 각 개인의 개성을 나타내며, 세련됨을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재질과 디자인으로 제조되어 출시되고 있지만, 본디 신발의 기능은 사회 생활에서 인간의 발을 보호하기 위해 제조된 수단이다.
따라서, 신발이 요구되어야 할 기능은 착용자가 보행시 편안함을 느끼고, 피로감을 덜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통상, 신발 착용시 편안함을 느끼고, 피로감을 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신발의 내부에는 깔창이 구비되어져 있는 바, 깔창은 신발 바닥면에 끼워져 착용자에 게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된 것으로서, 통상 신발 내부의 바닥면 모양에 따라 그 형상이 이루어지고 착용자가 보행시 편안함을 느끼고 피로감을 덜 수 있도록 쿠션재를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그러나, 운동화 등과 같은 신발의 경우 쿠션재 자체가 보온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에는 보행시 신발 내부에 열기가 많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발생된 열기가 쉽게 방출되지 못하므로 신발을 벗게 되는 경우에는 불쾌한 발냄새가 날 뿐만 아니라 발에서 생성된 땀에 의해서 각종 세균성 족부질환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더운 날씨에는 비단 운동화 뿐만 아니라, 각종 신발이 상기한 문제점에 의해서 신발착용시 몹시 부담을 느끼게 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공기 순환을 위해 신발 깔창에 많은 수의 통공을 형성하거나 그 상면에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열기를 식히도록 하는 방식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같은 신발 깔창은 지압효과 등의 부수적인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신발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전혀 이루어지지지 못하므로 내부 열기를 식히거나 발냄새를 예방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였다.
또한, 착용자의 보행시에는 통상 발바닥의 앞굽쪽, 대개 발가락 부분에서 땀이 많이 발생하게 되나 종래에는 신발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발가락 부분에서는 공기의 순환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여 족부질환을 유발하는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되므로 이 또한 종래 방식에 따라 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신발은 공기의 순환이 안되는 것은 물론이지만, 악취가 신발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것 또한 방지해야할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발을 개발하고, 출원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은 일반 신발과 마찬가지로 밑창부(300)와, 깔창(200)과 깔창 덮개부(100)로 구성되며, 상기 깔창(200)의 상면에는 외부 공기를 신발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부(202)가 구성되어져 있다.
그 공기 유입부(202)는 신발 내부의 전단(발가락 안착부)으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투명 세관(細管)으로 이루어진 제 1, 2 공기 안내관(210,208)이 구성되고, 그 공기 안내관(208,210)의 중앙 소정부에는 공기흐름의 방향을 결정하는 제 1, 2 체크밸브(214,212)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제 1 체크밸브(214)의 타단에는 상기 밑창(300)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304)과 연통되는 연결호스(26)가 결합되어져 있다.
상기 제 2 공기 안내관(208)은 상기 신발의 뒷꿈치 부근에서 신발의 전단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관으로써, 그 제 2 공기 안내관(208)은 전단 소정부에 다수의 공기 배출공(218)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부(202)에는 상기 제 1 공기안내관(210)을 통해 공기를 유입받아 상기 제 2 공기안내관(208)으로 외부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펌핑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공기배출펌프(206)가 구성되는 바, 그 공기배출펌프(206)는 내부에 스펀지(미도시)가 구비되어져 있어서 사용자가 걷게 되면 그 발뒷꿈치 하단이 상기 공기배출펌프(206)를 가압하게 되어 신발의 전단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밑창부(300)의 상면에는 상기 깔창(200)과 깔창 덮개부(100)가 결합된 상태로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30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뒷굽(306)에는 미리 설명했듯이, 공기 유입공(304)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깔창 덮개부(100)는 그 상면에 다수의 통공(102)이 형성되어져 상기 제 2 공기 안내관(208)에 형성된 공기 배출공(218)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신발의 전단으로 배출시키게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은 외부 공기를 신발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만으로는 악취 제거 효과가 떨어지게 되므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공기배출펌프에 외부 유입관과, 내부 유출관이 각각 연결되어져 있으며, 내부 유출관의 소정부에 방향제 포켓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되어져 있고, 그 전단에 체크밸브가 구비되어져 있어서 보행시 깔창 외부의 공기를 유입받아 방향제와 혼합된 공기가 신발의 전단으로 유출되게 하는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깔창부(410)의 상면에 부착되며, 사용자의 발가락 부분으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기 유출공(404)이 그 전단에 천공된 깔창 덮개부(402)와; 상기 깔창부(410)의 후단에는 스펀지로 구성된 펌핑부재(414)가 요입되기 위한 펌핑부재 요입홈(412)이 구성되며, 상기 펌핑부재 요입홈(412)과 연통되어 신발 내부의 전단(발가락 안착부)으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 1, 2 공기 안내관(420,426)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제 1 공기안내관(420)의 측부 소정부에는 깔창의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관(422)이 분기되어져 있으며, 상기 공기 유입관(422)과 상기 제 2 공기 안내관(426)의 중간 소정부에는 공기흐름의 방향을 결정하는 제 1, 2 체크밸브(424,428)가 결합되어져 있고, 상기 제 1 공기안내관(420)과 제 2 공기안내관(426)의 사이에, 방향제 부직포(418)를 요입하기 위한 방향제 부직포 수용홈(416)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방향제 부직포 수용홈(416)에 방향제 부직포(418)가 요입된 깔창부(4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2 체크밸브(424,428)는 외부 공기가 깔창의 전단에 구비된 상기 제 2 공기 안내관(426)을 통해 상기 깔창의 전단에 형성된 공기 유출공(404)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일방향 배출을 위한 체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향제 부직포(418)는 일반 부직포를 방향제 용제에 일정 기간동안 침지시켜 방향제 용제가 부직포의 내부에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깔창부(410)와 깔창 덮개부(40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펌핑부재 요입홈(412) 및 공기 유입관(422), 제 1, 2 공기안내관(420,426) 및 방향제 부직포 수용홈(416)의 테두리를 열압착시키거나 초음파방식으로 부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은 신발의 내부 공기를 체크밸브를 통해 깔창으로 유입시켜 순환시키고, 보행시 보행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방향제를 신발 내부에 혼합하여 신발의 전단으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신발 내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4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공기배출펌프에 외부 유입관과, 내부 유출관이 각각 연결되어져 있으며, 내부 유출관의 소정부에 방향제 포켓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되어져 있고, 그 전단에 체크밸브가 구비되어져 있어서 보행시 외부 공기를 유입받아 방향제와 혼합된 공기가 신발의 전단으로 유입되게 하는 신발깔창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400)은 깔창의 하부를 구성하는 깔창부(410)와, 그 깔창부(410)의 상면에 부착되는 깔창 덮개부(402)로 구성되며, 상기 깔창 덮개부(402)의 상면 전단에는 사용자의 발가락 부분으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기 유출공(404)이 천공되어져 있다.
상기 깔창부(410)의 후단에는 스펀지 등으로 구성된 펌핑부재(414)가 요입되기 위한 펌핑부재 요입홈(412)이 구성되는 바, 상기 펌핑부재 요입홈(412)에 펌핑부재(414)가 요입됨으로써 공기배출펌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깔창부(41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펌핑부재 요입홈(412)과 연통되어 신발 내부의 전단(발가락 안착부)으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 1, 2 공기 안내관(420,426)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공기안내관(420)의 측부 소정부에는 깔창의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관(422)이 분기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유입관(422)과 상기 제 2 공기 안내관(426)의 중간 소정부에는 공기흐름의 방향을 결정하는 제 1, 2 체크밸브(424,428)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제 1, 2 체크밸브(424,428)는 외부 공기가 깔창의 전단에 구비된 상기 제 2 공기 안내관(426)을 통해 상기 깔창의 전단에 형성된 공기 유출공(404)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일방향 배출을 위한 체크밸브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400)은 상기 제 1 공기안내관(420)과 제 2 공기안내관(426)의 사이에, 방향제 부직포(418) 를 요입하기 위한 방향제 부직포 수용홈(416)이 형성되어져 있는 바, 그 방향제 부직포 수용홈(416)에 방향제 부직포(418)를 요입시킨 상태에서, 열압착되어 상기 깔창부(410)와 깔창 덮개부(402)가 부착되게 되면 상기 펌핑부재(414)의 펌핑에 의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 1 공기안내관(420)과 제 2 공기안내관(426)을 통해 깔창의 전단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방향제 부직포 수용홈(416)을 경유하게 된다. 따라서, 깔창의 전단으로 배출되는 공기에는 향기를 함유하게 되어 신발 내부로 향기가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방향제 부직포(418)는 일반 부직포를 방향제 용제에 일정기간동안 침지시켜 방향제 용제가 부직포의 내부에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제작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공기안내관(426)의 끝단부에 공기 배출단(430)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공기배출단(430)은 더 많은 공기를 배출 전단계에서 수용하기 위해 넓은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깔창부(410)의 상면에 상기 펌핑부재 요입홈(412) 및 공기 유입관(422), 제 1, 2 공기안내관(420,426) 및 방향제 부직포 수용홈(416)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2 체크밸브(424,428)를 요입시키고 상기 펌핑부재(414)와 방향제 부직포(418)를 요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깔창부(410)와 깔창 덮개부(40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펌핑부재 요입홈(412) 및 공기 유입관(422), 제 1, 2 공기안내관(420,426) 및 방향제 부직포 수용홈(416)의 테두리를 열압착시키거나 초음파방식으로 부착시킨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 이 내장된 신발깔창(40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400)이 구비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행하게 되면, 사용자가 발뒤꿈치를 상기 펌핑부재(414)의 상면으로부터 들어올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펌핑부재(414)는 탄성력으로 자체 복원되면서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그 내부압으로 인해 상기 제 1 체크밸브(424)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펌핑부재(414)측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체크밸브(428)는 신발 전단으로만 공기를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공지의 체크밸브이므로, 상기 신발 전단의 공기가 상기 제 2 체크밸브(428)를 통해 상기 펌핑부재(414)측으로 역류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발뒤꿈치를 상기 펌핑부재(414)의 상면에 내려놓게 되면, 상기 펌핑부재(414)가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펌핑부재(414)의 내부에 함유된 공기는 상기 제 1 공기 안내관(420)을 통해 상기 방향제 부직포(418)가 수용된 방향제 부직포 수용홈(416)으로 유통된다. 이때,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체크밸브(424)는 외부 공기를 상기 제 1 공기 안내관(420)측으로 유입시키는 방향으로만 구조가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펌 핑부재(414)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게 차단된다.
또한, 상기 방향제 부직포 수용홈(416)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방향제 부직포(418)에 함유된 향기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공기 안내관(426)으로 배출되게 되며, 상기 제 2 공기 안내관(426)을 통해 상기 공기 배출공(404)으로 배출되어 신발 내부에 향기가 배출되게 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400)이 구비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행하게 되면,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여 향기가 나는 공기를 신발의 내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2:깔창덮개부, 404:공기유출공,
410:깔창부, 412:펌핑부재요입홈,
414:펌핑부재, 416:방향제 부직포 수용홈,
418:방향제 부직포, 420:제 1공기안내관,
422:공기유입관, 424:제 1 체크밸브,
426:제 2공기안내관, 428:제 2체크밸브.

Claims (4)

  1. 깔창부(410)의 상면에 부착되며, 사용자의 발가락 부분으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기 유출공(404)이 그 전단에 천공된 깔창 덮개부(402)와;
    상기 깔창부(410)의 후단에는 스펀지로 구성된 펌핑부재(414)가 요입되기 위한 펌핑부재 요입홈(412)이 구성되며, 상기 펌핑부재 요입홈(412)과 연통되어 신발 내부의 전단(발가락 안착부)으로 외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 1, 2 공기 안내관(420,426)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제 1 공기안내관(420)의 측부 소정부에는 깔창의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관(422)이 분기되어져 있으며, 상기 공기 유입관(422)과 상기 제 2 공기 안내관(426)의 중간 소정부에는 공기흐름의 방향을 결정하는 제 1, 2 체크밸브(424,428)가 결합되어져 있고, 상기 제 1 공기안내관(420)과 제 2 공기안내관(426)의 사이에, 방향제 부직포(418)를 요입하기 위한 방향제 부직포 수용홈(416)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방향제 부직포 수용홈(416)에 방향제 부직포(418)가 요입된 깔창부(4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체크밸브(424,428)는 외부 공기가 깔창의 전단에 구비된 상기 제 2 공기 안내관(426)을 통해 상기 깔창의 전단에 형성된 공기 유출공(404)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일방향 배출을 위한 체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부직포(418)는 일반 부직포를 방향제 용제에 일정기간동안 침지시켜 방향제 용제가 부직포의 내부에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부(410)와 깔창 덮개부(40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펌핑부재 요입홈(412) 및 공기 유입관(422), 제 1, 2 공기안내관(420,426) 및 방향제 부직포 수용홈(416)의 테두리를 열압착시키거나 초음파방식으로 부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
KR2020080005629U 2008-04-28 2008-04-28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 KR200800011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629U KR20080001132U (ko) 2008-04-28 2008-04-28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629U KR20080001132U (ko) 2008-04-28 2008-04-28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132U true KR20080001132U (ko) 2008-05-16

Family

ID=4132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629U KR20080001132U (ko) 2008-04-28 2008-04-28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1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409B1 (ko) * 2013-05-31 2015-03-13 발리교역(주) 세균 증식 방지용 기능성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409B1 (ko) * 2013-05-31 2015-03-13 발리교역(주) 세균 증식 방지용 기능성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0324C2 (ru) Верх для ботинок с перфорированной подошвой, подлежащий прикреплению к вентилируемым или пропускающим испарения низам
WO2008100575A2 (en) Improved ventilated and resiliant shoe apparatus and system
WO2018234876A1 (en) SHOE ARTICLE WITH INTERNAL AIR CIRCULATION SYSTEM
KR20150000306U (ko)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KR100916592B1 (ko) 지압 및 공기순환 기능이 구비된 신발 깔창
KR100470751B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200450304Y1 (ko) 향기 배출수단이 구비된 신발깔창
KR20080001132U (ko) 향기배출수단이 내장된 신발깔창
KR200448371Y1 (ko) 기능성 신발창
KR101461331B1 (ko) 기능성 신발
CN219613181U (zh) 鞋底及鞋子
KR200259486Y1 (ko) 기능성 신발
KR101099708B1 (ko) 자유롭게 분리가 가능한 통기성 및 발 아치 지압기능과 충격흡수,반발탄성을 강화한 삽입체 삽입용 신발
KR100980410B1 (ko) 신발
KR101342105B1 (ko) 기능성 인솔
EP2334210B1 (en) Device for internal ventilation of a shoe
KR200440638Y1 (ko) 공기순환 중창을 이용한 신발
KR200351007Y1 (ko) 신발용 인솔
KR100997150B1 (ko) 신발 깔창
KR200297996Y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200370233Y1 (ko) 악취방지 신발에 구비된 공기방출펌프
KR200352842Y1 (ko) 수분방출 조직을 갖는 양말
EP1994843A1 (en) Forced ventilation footwear
KR200305811Y1 (ko) 공기 순환용 자동 구슬밸브가 내장된 신발
KR200433462Y1 (ko) 일방통풍 장치를 내장한 신사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