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867U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867U
KR20080000867U KR2020060028788U KR20060028788U KR20080000867U KR 20080000867 U KR20080000867 U KR 20080000867U KR 2020060028788 U KR2020060028788 U KR 2020060028788U KR 20060028788 U KR20060028788 U KR 20060028788U KR 20080000867 U KR20080000867 U KR 200800008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lance
space
housing 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78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40518Y1 (en
Inventor
허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8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518Y1/en
Publication of KR200800008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86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51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하우징(50)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60)이 하우징(50)의 관통공간(52)에 형성된 하우징랜스(54)와 2군데서 걸어진다. 상기 하우징랜스(54)의 선단에는 걸이단(55)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랜스(54)의 중간부 양단에는 측면스토퍼(5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60)의 결합부(64)에는 상기 걸이단(55)이 걸어지는 걸림단(64')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60)에 형성되어 터미널(60)의 삽입방향을 안내하는 스테빌라이저(66)는 상기 측면스토퍼(58)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터미널이 하우징랜스에 의해서만 하우징 내부에 걸어져 설치되므로 터미널의 리워크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터미널을 하우징 내부에서 밀리지 않도록 함에 있어서 별도의 구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터미널과 하우징의 설계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6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50 hangs in two places with the housing lance 54 formed in the through space 52 of the housing 50. A hook end 55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lance 54, and side stoppers 58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housing lance 54. In addition, a locking end 64 ′ on which the hook end 55 is hooked is formed at the coupling portion 64 of the terminal 60, and is formed at the terminal 60 to guide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60. Stabilizer 66 is hanged on the side stopper (58). According to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terminal is hooked and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only by the housing lance, the reworking of the terminal is made simple and a separate configuration is used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pushed inside the housing.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sign of the terminal and the housing is made easier.

커넥터, 랜스, 스태빌라이저, 걸림 Connector, Lance, Stabilizer, Jam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 사시도.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 분해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하우징 50': 내부공간50: housing 50 ': interior space

51: 터미널설치부 52: 관통공간51: terminal mounting portion 52: through space

54: 하우징랜스 55: 걸이단54: housing lance 55: hanger end

56: 조작돌기 58: 측면스토퍼56: operating projection 58: side stopper

58': 경사면 58": 걸이면58 ': Slope 58 ": Hang

59: 스토퍼 60: 터미널59: stopper 60: terminal

62: 몸체부 64: 결합부62: body portion 64: coupling portion

64': 걸림단 66: 스테빌라이저64 ': Jam 66: Stabilizer

68: 바렐부 69: 와이어68: barrel 69: wire

70: 프론트홀더70: front holder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삽입되어 구성되어 상대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tha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of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mating connector.

커넥터는 절연재질로 된 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터미널이 리셉터클 터미널이냐 탭 터미널이냐에 따라 각각 암커넥터와 숫커넥터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서는 상기 터미널에 일반적으로 각각 와이어가 연결되어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끼리 서로 결합됨에 의해 부품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The connector is formed by installing a terminal inside the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Generally, the connector is classified into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is a receptacle terminal or a tap terminal. In such a connector, wires are gener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respectively,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s, and the connecto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mponent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커넥터(10)의 골격과 외관을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절연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관통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간(14)에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2)이 설치된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is, the housing 12 forms the skeleton and the appearance of the connector 10. The housing 1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penetrates through the interior thereof, and a plurality of through spaces 14 are formed. Each of the through spaces 14 is provided with a terminal 22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관통공간(14)의 내부에는 하우징랜스(16)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랜스(16)는 상기 하우징(12)의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게 상기 관통공간(14)의 내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랜스(16)는 탄성변형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하우징랜스(16)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2)의 결합부(24)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랜스(16)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부(24)에 걸어지는 걸이 단(16')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단(16')보다 더 선단으로 연장되게 조작돌기(17)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돌기(17)는 리워크를 위한 공구에 의해 하우징랜스(16)가 탄성변형되도록 하기 위한 힘을 받는 부분이다.The housing lance 16 is formed in the through space 14. The housing lance 16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14 so as to extend obliquely from the rear end of the housing 12 toward the tip. The housing lance 16 has an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The housing lance 16 serves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24 of the terminal 22 to be described below. The end of the housing lance 16 is formed with a hook end 16 'which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part 24, and an operation protrusion 17 is formed to extend further to the front end than the hook end 16'. The manipulation protrusion 17 is a portion which receives a force for causing the housing lance 16 to elastically deform by a tool for rework.

상기 관통공간(14)에는 걸이턱(1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8)은 상기 하우징랜스(16)가 형성된 관통공간(14)의 내면과 마주보는 내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턱(18)은 상기 관통공간(14)의 후단을 향해 점차 낮아지도록 된 경사면(19)을 가진다. 물론 상기 경사면(19)이 형성된 반대쪽 걸이턱(18) 부분은 상기 관통공간(14)의 내면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8)은 상기 하우징랜스(16)의 선단보다 더 하우징(12)의 선단쪽에 위치한다. Hanging jaw 18 is formed in the through space 14. The hooking jaw 18 is preferab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14 in which the housing lance 16 is formed. The hooking jaw 18 has an inclined surface 19 which is gradually lowered toward the rear end of the through space 14. Of course, the part of the opposite hanger 18 on which the inclined surface 19 is formed is orthogona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14. The hooking jaw 18 is located at the tip side of the housing 12 more than the tip of the housing lance 16.

상기 하우징(12)의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공간(14)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게 스토퍼(2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0)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2)의 선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20)는 상기 관통공간(24)의 선단 입구 네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다.A stopper 20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through space 14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12 to face each other. The stopper 20 serves to support the tip of the terminal 22 to be described below. The stoppers 20 are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tip inlet of the through space 24, respectively.

터미널(22)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을 프레스가공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22)은 상기 하우징(12)의 관통공간(14)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22)의 선단에는 결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4)는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24)는 일반적으로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형태로 내부가 터미널(2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The terminal 22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generally made by pressing a metal. The terminal 22 is installed inside the through space 14 of the housing 12. An engaging portion 24 is formed at the tip of the terminal 22. The engaging portion 24 is a portion that engages with the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The coupling portion 24 is generally formed so that the inside thereof penet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22 in a form in which the mating terminal is inserted.

상기 터미널(22)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12)의 걸이턱(18)에 걸어지는 터미 널랜스(26)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랜스(26)는 상기 터미널(22)의 일측 일부를 잘라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랜스(26)도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터미널랜스(26)는 상기 터미널(22)이 상기 하우징(12)의 관통공간(14)에 설치되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될 때, 상기 걸이턱(18)에 걸어질 수 있게 된다.A terminal lance 2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22 to be hooked to the hooking jaw 18 of the housing 12. The terminal lance 26 is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terminal 22. The terminal lance 26 can also be elastically deformed. The terminal lance 26 may be hooked to the hanging jaw 18 when the terminal 22 is installed in the through space 14 of the housing 12 and coupled with the mating terminal.

상기 터미널(22)의 후단에는 바렐(28)이 구비되고, 상기 바렐(28)은 와이어(29)를 상기 터미널(22)에 고정하고 터미널(22)과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rear end of the terminal 22 is provided with a barrel 28, the barrel 28 serves to secure the wire 29 to the terminal 22 an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erminal 22 and the wir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터미널(22)이 하우징(12)에서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랜스(16)와 터미널랜스(26)를 두었다. 즉, 이중으로 터미널(22)의 밀림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터미널(22)을 상기 하우징(12)에서 분리해 내어야 할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랜스(16)와 터미널랜스(26)를 모두 조작해야 하므로 리워크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First, in the prior art, the housing lance 16 and the terminal lance 26 are provided to prevent the terminal 22 from being pushed when the terminal 12 is coupled with the mating terminal. That is, the rolling of the terminal 22 was prevented double. However, when the terminal 22 needs to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2, both the housing lance 16 and the terminal lance 26 have to be operated, and thus, the reworking work is very troublesome.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터미널(22)의 밀림을 이중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우징랜스(16)와 터미널랜스(26)를 각각 두고, 상기 하우징랜스(16)는 결합부(24)의 일측에 걸어지도록 하나 상기 터미널랜스(26)를 위해서는 별도의 걸이턱(18)을 하우징(12)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터미널(22)의 밀림을 이중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2)의 설계가 상대적으로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And, as in the prior art, the housing lances 16 and the terminal lances 26, respectively, in order to prevent the double rolling of the terminal 22, the housing lances 16 hang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24 One hanger 18 is formed in the housing 12 for the terminal lance 26.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sign of the housing 12 is relatively complicated in order to prevent the double rolling of the terminal 22 as in the prior art.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서 터미널의 밀림을 하우징랜스만으로 이중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pushed inside the housing with a housing lan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랜스와 터미널의 기존 구성을 사용하여 터미널의 밀림을 이중으로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rolling of the terminal double by using the existing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lance and the termina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후로 개구되게 내부에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간의 내부에 하우징랜스가 외팔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터미널설치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설치부에 형성된 관통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랜스는 상기 터미널과 적어도 2군데에서 서로 걸어져 상기 터미널이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시에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hrough space is formed inside the front and rear opening, the inside of the through space is provided with a terminal mounting portion integrally formed in the cantilever form And a terminal which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a through space form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portion of the housing, wherein the housing lance is connected to each other at least at two places with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is engaged with the mating terminal. Prevents being pushed

상기 하우징랜스의 선단에는 걸이단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랜스의 양측 중간에는 측면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에 각각 걸어지고 상기 하우징랜스의 선단에 조작돌기가 형성되어 공구에 의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된다.A hook end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lance, and side stopper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housing lance so as to be respectively hooked to the terminal and an operation protrusion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lance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by a tool. .

상기 터미널은 몸체부의 선단에 결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에는 상기 하우징랜스의 걸이단이 걸어지는 걸림단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스토퍼에 걸어지고 터미널이 관통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스테빌라이저가 구비된다.The terminal has a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erminal is formed with a hook end to the hook end of the housing lance, and is hooked to the side stopper to guide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Stabilizer is provided.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설치부에 형성된 관통공간에는 상기 하우징랜스과 관통 공간의 내면 사이에 삽입되는 프론트홀더가 더 구비된다.The through space form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portion of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front holder inserted between the housing lan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상기 측면스토퍼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저를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스테빌라이저가 걸어지는 걸이면이 형성된다.The side stopper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stabilizer and a walking surface on which the stabilizer is walked.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터미널이 하우징랜스에 의해서만 하우징 내부에 걸어져 설치되므로 터미널의 리워크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터미널을 하우징 내부에서 밀리지 않도록 함에 있어서 별도의 구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터미널과 하우징의 설계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terminal is hooked and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only by the housing lance, the reworking of the terminal is made simple and a separate configuration is used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pushed inside the housing.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sign of the terminal and the housing is made easier.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부분 단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s shown in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커넥터는 크게 하우징(50), 터미널(60) 및 프론트홀더(7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5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드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5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내부공간(50')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50')은 하우징(50)의 전후 부분이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50')의 중앙에는 터미널설치부(51)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설치부(51)는 그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60)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설치부(51)에는 관통공간(5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간(52)은 상기 터미널설치부(51)를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housing 50, the terminal 60 and the front holder 70. The housing 50 is made by injection molding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The housing 50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in shape, and an inner space 50 'is formed therei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housing 50 are divided into the inner space 50 ′, and a terminal installation part 5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50 ′. The terminal installation unit 51 is a portion in which the terminal 6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installed t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spaces 52 are form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unit 51. The through space 52 penetrates back and forth through the terminal installation portion 51.

상기 관통공간(52)의 내부에는 하우징랜스(54)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랜스(54)는 상기 터미널설치부(5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6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랜스(54)는 외팔보 형상으로 선단으로 갈수록 관통공간(52)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The housing lance 54 is provided in the through space 52. The housing lance 5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erminal installation unit 51, and exten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6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The housing lance 54 extends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through space 52 toward the tip in a cantilever shape.

상기 하우징랜스(54)의 선단에는 걸이단(5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55)은 하우징랜스(54)의 선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 설명될 터미널(60)의 걸림단(64')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랜스(54)의 선단에는 또한 조작돌기(56)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돌기(56)는 상기 걸이단(55)과는 약간 다른 각도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작돌기(56)는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하우징랜스(54)를 탄성변형시킬 때 공구가 걸어지는 부분이다.A hook end 55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lance 54. The hook end 55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lance 54, and is a part to which the engaging end 64 'of the terminal 60 to be described below is hooked. An operating projection 56 is also formed at the tip of the housing lance 54. The manipulation protrusion 56 is formed to extend at a slightly different angle from the hook end 55. The manipulation protrusion 56 is a portion to which the tool is engaged when the housing lance 54 is elastically deformed using the tool.

상기 하우징랜스(54)에는 측면스토퍼(5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면스토퍼(58)는 상기 하우징랜스(54)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간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면스토퍼(5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60)의 스테빌라이저(66)가 걸어진다. 상기 측면스토퍼(58)에는 스테빌라이저(66)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58')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58')이 끝나는 부분에는 상기 관통공간(52)의 선단 입구를 향하는 걸이면(5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면(58")이 실제로 스테빌라이저(66)가 걸어지는 부분이다.The side stopper 58 protrudes from the housing lance 54. The side stopper 58 is formed to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between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housing lance 54. The side stopper 58 hangs the stabilizer 66 of the terminal 6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ide stopper 58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58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tabilizer 66, and at the end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58', the inclined surface 58 'faces toward the inlet end of the through space 52 ( 58 ". The hook 58" is actually the part where the stabilizer 66 hangs.

터미널(6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60)의 골격을 형 성하는 몸체부(62)의 선단에는 결합부(6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64)는 본 실시예에서 사각통형상이다. 상기 결합부(64)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랜스(54)의 걸이단(55)이 걸어지는 걸림단(64')이 된다. 상기 걸림단(64')는 상기 결합부(64)가 형성됨에 의해 자동으로 형성되는 것이다.Terminal 60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Coupling portion 64 is formed at the tip of body portion 62 forming the skeleton of terminal 60. The coupling portion 64 has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64 is a locking end 64 ′ on which the hook end 55 of the housing lance 54 is hooked. The locking end 64 'is automatically formed by the coupling part 64 being formed.

상기 결합부(64)의 걸림단(64')에 인접하여서는 스테빌라이저(66)가 형성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66)는 상기 터미널(60)의 양측에 해당되는 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66)는 상기 하우징(50)의 관통공간(52)으로 터미널(60)이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테빌라이저(66)는 터미널(60)이 상기 관통공간(52)에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tabilizer 66 is formed adjacent to the engaging end 64 ′ of the engaging portion 64. The stabilizer 66 is formed to protrude on portions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terminal 60. The stabilizer 66 guid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6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52 of the housing 50. That is, the stabilizer 66 prevents the terminal 60 from being incorrectly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52.

하지만, 상기 스테빌라이저(66)는 상기 터미널(60)이 관통공간(52)으로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랜스(54)의 측면스토퍼(58)에 걸어진다. 상기 측면스토퍼(58)에 상기 스테빌라이저(66)가 걸어짐에 의해 상기 터미널(60)이 상대 터미널과 결합할 때 하우징(50) 내에서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However, the stabilizer 66 hangs on the side stopper 58 of the housing lance 54 when the terminal 6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52. Hanging the stabilizer 66 on the side stopper 58 prevents the terminal 60 from being pushed back in the housing 50 when engaging the mating terminal.

상기 몸체부(62)의 후단에는 바렐부(68)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68)는 와이어(69)와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바렐부(68)에는 와이어바렐과 인슐레이션바렐이 구비된다. 도면부호 69'는 방수를 위한 시일이다.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62 is provided with a barrel portion (68). The barrel portion 68 is for connection with the wire 69. The barrel portion 68 is provided with a wire barrel and insulation barrel. Reference numeral 69 'denotes a seal for waterproofing.

프론트홀더(70)는 상기 터미널(60)이 상기 터미널설치부(51)의 관통공간(5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설치부(51)의 선단으로 부터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랜스(54)가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하우징랜스(54)를 프론트홀더(70)가 지지하여 하우징랜스(54)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front holder 70 is inserted from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mounting portion 51 in a state where the terminal 6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52 of the terminal mounting portion 51 so that the housing lance 54 is inserted into the front holder 70. Prevent sagging. That is, the front housing 70 supports the housing lance 54 so that the deformation of the housing lance 54 does not occu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커넥터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50)의 터미널설치부(51)에 형성된 관통공간(52)으로 상기 터미널(6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50)의 후단에서 터미널(60)을 상기 관통공간(52)으로 삽입한다.First, the connector is assembled. The terminal 6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52 form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part 51 of the housing 50. At this time, the terminal 6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52 at the rear end of the housing 50.

따라서, 상기 터미널(60)은 상기 관통공간(52)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하우징랜스(54)를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상기 터미널(60)의 선단이 상기 스토퍼(59)에 의해 더 이상 전진할 수 없을 때까지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랜스(54)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걸이단(55)은 상기 결합부(64) 후단의 걸림단(64')에 걸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terminal 60 is elastically deformed to the housing lance 54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52. When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60 is inserted until it can no longer be advanced by the stopper 59, the housing lance 54 is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and the hook end 55 is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part 64. Hang on the end 64 '.

상기 터미널(6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테빌라이저(66)는 상기 측면스토퍼(58)의 경사면(58')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경사면(58')을 스테빌라이저(66)가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하우징랜스(54)를 탄성변형시키게 된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erminal 60, the stabilizer 66 is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58 ′ of the side stopper 58. The inclined surface 58 ′ is guided along the stabilizer 66 to elastically deform the housing lance 54.

상기 터미널(60)의 선단이 상기 스토퍼(59)에 걸어지는 순간에 상기 스테빌라이저(66)도 상기 측면스토퍼(58)의 경사면(58')을 지나 걸이면(58")에 걸어진다. 물론, 상기 하우징랜스(54)의 걸이단(55)이 상기 걸림단(64')에 걸어지는 것과 같은 시점이다.At the moment when the tip of the terminal 60 is engaged with the stopper 59, the stabilizer 66 is also walked by 58 " by walking past the inclined surface 58 'of the side stopper 58. At this time, the hook end 55 of the housing lance 54 is engaged with the hook end 64 '.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터미널(60)을 상기 각각의 관통공간(52)에 삽입하고 나면 상기 프론트홀더(70)를 완전히 조립한다. 상기 프론트홀더(70)는 상기 터미널(60)의 삽입전에 상기 하우징(50)에 미리 가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 널(60)의 삽입후 완전히 조립된다. 상기 프론트홀더(70)는 상기 터미널설치부(51)의 관통공간(52) 선단 입구를 통해 관통공간(52)으로 삽입되어 가조립상태에 있고, 상기 삽입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하우징(50)에 완전히 조립되면서 상기 하우징랜스(54)를 지지한다. 즉, 상기 관통공간(52)의 내면과 하우징랜스(54)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랜스(54)가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After the terminal 60 is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through spaces 52 in this manner, the front holder 70 is completely assembled. The front holder 70 is preassembled to the housing 50 before insertion of the terminal 60. Then, after insertion of the terminal 60 is completely assembled. The front holder 7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52 through the front end entrance of the through space 52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portion 51 and is in a temporarily assembled state. The front holder 70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so as to provide a housing 50. Fully assembled to the housing lance (54) to support. That is, it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52 and the housing lance 54 to prevent the housing lance 54 from elastic deformation.

본 고안의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터미널(60)이 리셉터클터미널이므로 상대 커넥터의 탭터미널이 상기 터미널(60)의 결합부(64) 내부로 삽입됨에 의해 커넥터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the mating connecto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Since the terminal 60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receptacle terminal, the tab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64 of the terminal 60. There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ors.

이와 같이 상대 터미널이 터미널(60)의 결합부(64)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터미널(60)은 상기 결합부(64)의 걸림단(64')에 상기 하우징랜스(54)의 걸이단(55)이 걸어져 있고, 상기 스테빌라이저(66)가 상기 측면스토퍼(58)의 걸이면(58")에 걸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60)은 상기 관통공간(52)의 내부에서 뒤로 밀리지 않고 제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되어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mating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64 of the terminal 60, the terminal 60 is hooked to the hooking end 64 ′ of the coupling part 64 by the hook end of the housing lance 54. 55 is hanged and the stabilizer 66 hangs on the hook 58 "of the side stopper 58. Thus, the terminal 60 is inside the through space 52. As shown in FIG. It stays firmly in place without being pushed back so that engagement with the mating terminal can be made secure.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랜스(54)의 걸이단(55)과 측면스토 퍼(58)가 터미널(60)의 결합부(64)의 걸림단(64')과 스테빌라이저(66)에 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하우징랜스(54)와 터미널(60)이 적어도 2군데에서 걸어지도록 되면 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랜스(54)의 걸이단(55)이 걸림단(64')에 걸어지고, 터미널(60)의 몸체부(62)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곡되어 형성된 부분이 하우징랜스(54)의 일측에 걸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ook end 55 and the side stopper 58 of the housing lance 54 have a locking end 64 ′ and a stabilizer 66 of the engaging portion 64 of the terminal 60. ), But not necessarily, the housing lance 54 and the terminal 60 is to be walked in at least two places. For example, the hook end 55 of the housing lance 54 is hooked to the end 64 ', and a part of the body portion 62 of the terminal 60 is cut and bent to form the housing lance 54. You can also walk to one side of th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이 하우징 내부에서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함에 있어서 하우징랜스의 걸이단이 터미널의 결합부에 형성된 걸림단에 걸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랜스에 형성된 측면스토퍼가 터미널의 스테빌라이저에 걸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터미널이 하우징랜스만에 의해 하우징 내에 이중으로 걸어져 있어 설치 위치가 견고하게 되어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시 밀리지 않게 되고, 상기 하우징랜스만을 탄성변형시키면 터미널을 하우징에서 분리할 수 있어 리워크 작업이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end of the housing lance in order not to be pushed back inside the housing hung on the end of the hook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the side stopper formed in the housing lance to the hanger of the stabilizer of the terminal. Therefore, the terminal is double-hung in the housing by the housing lance only,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firm and is not pushed when coupled with the mating terminal. When the housing lance is elastically deformed, the terminal can be detached from the housing so that the rework operation This has the effect of being simplified.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랜스와 터미널의 스테빌라이저가 각각 2가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터미널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되므로 터미널과 하우징의 설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lance and the stabilizer of the terminal perform two functions, respectively,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rolling. Therefore, since the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terminal from rolling is relatively simplified, the design of the terminal and the housing can be easily performed.

Claims (5)

전후로 개구되게 내부에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간의 내부에 하우징랜스가 외팔보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터미널설치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A housing having a terminal space formed therein so that the through space is formed to be opened back and forth, and the housing lance is integrally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in the through space;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설치부에 형성된 관통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form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portion of the housing is installed, 상기 하우징랜스는 상기 터미널과 적어도 2군데에서 서로 걸어져 상기 터미널이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시에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And the housing lance is interlocked with the terminal in at least two places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pushed in engagement with the mating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랜스의 선단에는 걸이단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랜스의 양측 중간에는 측면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에 각각 걸어지고 상기 하우징랜스의 선단에 조작돌기가 형성되어 공구에 의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hook end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lance, side stopper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housing lance, and are respectively hooked to the terminal, and an operation protrusion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lance.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elastic deformation is possib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몸체부의 선단에 결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에는 상기 하우징랜스의 걸이단이 걸어지는 걸림단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스토퍼에 걸어지고 터미널이 관통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스테빌라이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terminal of claim 2, wherein a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erminal is formed with a locking end to which the hook end of the housing lance is hooked, and is hooked to the side stopper and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hrough space. And a stabilizer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inser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설치부에 형성된 관통공간에는 상기 하우징랜스과 관통공간의 내면 사이에 삽입되는 프론트홀더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hrough space form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portion of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front holder inserted between the housing lan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스토퍼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저를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스테빌라이저가 걸어지는 걸이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5.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ide stopper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stabilizer and a walking surface on which the stabilizer is walked.
KR2020060028788U 2006-10-31 2006-10-31 Connector KR20044051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788U KR200440518Y1 (en) 2006-10-31 2006-10-31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788U KR200440518Y1 (en) 2006-10-31 2006-10-31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867U true KR20080000867U (en) 2008-05-07
KR200440518Y1 KR200440518Y1 (en) 2008-06-16

Family

ID=41324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788U KR200440518Y1 (en) 2006-10-31 2006-10-31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51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01Y1 (en) * 2008-07-16 2011-0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86Y1 (en) 2008-12-18 2013-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Receptacle terminal
KR200473184Y1 (en) * 2009-11-30 2014-06-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01Y1 (en) * 2008-07-16 2011-0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518Y1 (en) 200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7156B2 (en) Terminal fitting
US8708759B2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US9070999B2 (en) Electric connector and terminal used therefor
JP2001283965A (en) Pressure welding connector with retainer
US20200176917A1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JP2010049896A (en) Connector
JP2597042Y2 (en) connector
US6368165B2 (en) Connector
KR200440518Y1 (en) Connector
KR20170070997A (en)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connector
JP2005327502A (en) Connector
KR200437689Y1 (en) Connector
JP4434147B2 (en) connector
JP4544065B2 (en) connector
KR20090044365A (en) Connector
US6443781B2 (en) Connector
KR200445633Y1 (en) A spacer for connector
KR200431601Y1 (en) Connector
JPH10321281A (en) Connector
KR100988794B1 (en) Connector
JP2009037955A (en) Electric connector for cable
KR20100007443U (en) Connector assembly
KR200466960Y1 (en) connector
KR20080004982U (en) A connector
KR102567021B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