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550U - 목욕용 가방 - Google Patents

목욕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550U
KR20080000550U KR2020060027884U KR20060027884U KR20080000550U KR 20080000550 U KR20080000550 U KR 20080000550U KR 2020060027884 U KR2020060027884 U KR 2020060027884U KR 20060027884 U KR20060027884 U KR 20060027884U KR 20080000550 U KR20080000550 U KR 200800005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oupled
bottom portion
bath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to KR2020060027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550U/ko
Publication of KR200800005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5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가 용이하며 구획된 수납공간에 의해 물품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주머니가 구비된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욕용 가방은, 다수의 배수공(H)이 구비된 절첩 가능한 판상의 바닥부(21)과; 바닥부(21)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22)와; 수납공간을 다수로 구획공간(R)으로 나누는 구획부(23)와; 다수의 구획공간(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획공간(R)에 결합되며, 일측에 구비된 지퍼에 의해 개폐 가능한 주머니(24)와; 몸체부(22)의 상부 외면에 결합된 손잡이(25)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목욕용 가방은, 물의 배수가 용이함은 물론, 구획된 수납공간에 다수의 물품을 각각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으며, 가방 내에 별도로 구비된 주머니 부재에 수건, 속옷과 같이 물과의 접촉을 피해야 하는 물건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가방을 절첩할 수 있어 보관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목욕, 수영, 가방, 구획부, 주머니

Description

목욕용 가방{A bag for bathing}
도 1은 종래 목욕용 가방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목욕용 가방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목욕용 가방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목욕용 가방의 바닥부에 대한 일실시예.
도 5는 본 고안 목욕용 가방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몸체부 11A. 개구부 11B. 손잡이
12. 바닥면 13. 덮개 21. 바닥부
22. 몸체부 23. 구획부 24. 덮개
25. 손잡이 C. 암·수 결합수단 G. 가이드 홈
H. 배수공 h. 배수구 P. 지지돌기
R. 구획공간
본 고안은, 함체상 가방의 바닥부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에 의해 배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바닥부 상면의 공간부가 구획부에 의해 다수 개로 나뉨으로써 구획된 공간에 물품을 각각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획공간에 주머니가 구비됨으로써, 주머니에 수건·속옷과 같은 물품을 물과 격리되도록 보관할 수 있는 목욕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일측이 개방되거나 또는 일측이 밀폐 가능하게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그 내부 공간에 물품을 수납한 후 들거나 메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진 휴대 용구의 하나로써, 다수 물품의 보관 및 소지를 용이하게 해준다.
이러한 가방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가방 몸체부와 가방 몸체부의 일측 혹은 양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로 나눌 수 있으며, 가방의 사용 용도와 목적에 따라 가방 몸체부와 손잡이의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로 책과 학용품을 수납하기 위한 학생용 가방은 책을 넣기 위한 큰 수납공간과 학용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작은 수납공간들이 구비된 것으로, 수납하는 물품들이 많기 때문에 천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가방 자체의 무게를 최소화하고, 휴대가 편리하도록 양쪽 어깨나 한쪽 어깨에 멜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여행용 가방의 경우에는 많은 물품을 보관한 상태로 장기간 휴대하여야 하는 바, 비교적 큰 수납 공간을 갖는 가방 몸체부의 외면 하부에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가방을 직접 들지 않고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가방을 휴대하는 반경이 크기 때문에 날씨 등의 변화에 대비하여 가방 몸체부를 경질로 제작하거나 방수재질로 만들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예 외에도 가방을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과 용도에 따라서, 가방 몸체부의 크기와 수납 공간의 개수, 가방 몸체부의 재질을 비롯하여 손잡이의 구조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킨 가방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일반 대중 목욕탕을 갈 때 필요한 물품 들을 휴대하기 위한 목욕용 가방은, 종래 일반적인 소규모 가방을 이용하였으나 목욕 용품의 특성상 목욕탕 내에서 물과의 접촉이 필연적인 바, 물이 묻은 물품을 가방 내에 수용함에 따라 가방이 젖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물이 묻은 물품을 개별적으로 닦아 물기를 제거한 후 수용하거나 비닐 등을 이용하여 물품을 감싼 후 가방 내에 수납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사용이 불편할 뿐 아니나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법이 되지 못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목욕용 가방에서뿐만 아니라 수영장에 갈 때 사용하게 되는 가방과 같이 물과 접촉되는 물품을 수납해야 하는 가방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가방 몸체부의 내부에 방수 코팅층을 구비하거나 방수 재질로 가방 몸체부를 만들기도 하였는 바, 이는 상기와 같이 가방 내에 물이 묻은 물품을 수납하더라도 물이 새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가방에 수용된 물에 의해 가방 내가 습해져 냄새가 발생하며, 가방 내부가 세균의 온상이 되는 등 비 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의 가방 내 배수 문제를 해결하고자, 플라스틱 등의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망 구조의 바구니를 사용하게 되었는 바, 망 구조의 가방 몸체부에 의해 가방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물이 자연적으로 외부로 빠지게 되어 배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가방 몸체부의 내부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물품들을 가지런히 정열시킨 상태로의 보관이 어렵고, 망 구조에 의해 내부의 물건들이 비춰지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33744호의 "휴대용 가방"이 개시되어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가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일체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개구부(11A)가 형성되고, 외면 일측에 손잡이(11B)가 돌출되게 형성된 몸체부(11)와; 몸체부(11)의 하단 테두리부 내측으로 고정 결합되며 다수개의 배수구(h)가 관통 형성된 바닥면(12)과; 몸체부(11)의 하단 테두리부에 일측이 고정 결합된 상태로 몸체부(11) 하단 테두리부를 따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13)로 구성된다.
상기 가방은, 하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13)의 내부에 다수개의 배수구(h)가 관통 형성된 바닥면(12)이 구비됨으로써, 가방 내에 수용된 물을 빼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13)를 열어 물이 배수구(h)를 통하여 가방의 하부로 빠지도록 하며, 보관시에는 덮개(13)를 밀폐시켜 가방 내의 물이 밖으로 배수되지 못하도록 하여 그 배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방의 내부공간이 하나의 독립된 공간을 이루기 때문에 물품들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가 없을 뿐 아니라, 특히 속옷이나 수건과 같이 물에 젖지 않아야 하는 물건들을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휴대 중 물품들이 흔들려 쓰러지거나 썩여 깔끔한 정돈이 힘든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가방의 경우에는 그 사용 빈도가 많지 않은 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방의 내부를 건조한 후 다음 사용시까지 별도의 공간에 보관을 하게 되는데, 사용 빈도에 비해 보관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가방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물품들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한 주머니에 수건이나 속옷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보관시에는 가방을 접어 최소한의 부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목욕용 가방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다수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며 절첩이 가능한 바닥부와, 바닥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구획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목욕용 가방은,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 며 절첩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판상의 바닥부과,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내면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다수의 구획공간으로 나누는 구획부 및 몸체부의 상부 외면에 구비된 손잡이로 구성되는 바,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닥부는,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판체로, 바닥부의 상면 또는 저면 중의 어느 일측 면 또는 양측 면에 직선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이를 따라 절첩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바닥부에서 가이드 홈이 형성된 부분은 홈의 깊이만큼 그 두께가 얇아지게 되는바, 가이드 홈을 중심으로 양측의 바닥부을 가이드 홈이 형성된 반대면 방향으로 절첩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 홈을 따라 반복하여 절첩하더라도 바닥부가 끊어지지 않도록 탄성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와 같이 바닥부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별도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지 않아도 바닥부의 절첩이 가능하나, 가이드 홈이 형성됨으로써 절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절첩된 상태의 유지도 쉽게 해준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는, 가방 내에 수용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전면에 걸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을 통하여 가방 내로 들어간 물을 배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바, 바닥부의 저면 테두리부를 따라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지지돌기를 하향 돌출 형성시킴으로써 바닥부의 저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배수공을 통과한 물이 원활한 배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몸체부는,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향 연장 형성되어 바닥부의 상 면 위로 수납공간을 형성시켜, 가방 내에 수용되는 물품들을 감싸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향 개방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지퍼 등의 개폐수단에 의해 상부 개폐형으로 이루어지며, 물이 묻은 물품들을 수납하더라도 몸체부를 통하여 외부로 물이 배어 나오지 않도록 방수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부는, 몸체부의 내면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다수의 구획공간으로 나누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획부의 개수와 배열에 따라 가방의 수납공간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구획부의 저면이 바닥부의 상면에 결합되면 각 구획공간들이 상향 개방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22)와 구획부(23)의 경우, 방수 가능한 재질이면 무관하나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절첩이 가능하도록 방수 처리가 된 직물재, 부직포, 비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목욕용 가방에서, 다수개의 구획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구획공간을 이루는 몸체부의 내면에 주머니가 고정 결합됨으로써, 수건과 속옷처럼 물과의 접촉을 방지해야 하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머니의 내부에는 물이 들어가지 않아야 하는 바, 방수 지퍼 등의 수단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조를 이루되, 밀폐되었을 때는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가방은, 가방 내부로 들어간 물이 바닥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은 물론, 나누어진 다수의 구획공간에 종류별로 물품을 수납한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며, 사용 후에는 가이드 홈을 따라 바닥부를 다수 번 절첩 하여 보관하게 됨으로써 보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바닥부에는 절첩을 용이하게 해주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바닥부의 상면으로 결합된 몸체부와 구획부는 천막과 같은 방수가 가능한 천재질 혹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바닥부를 절첩할 때 몸체부부와 구획부도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방의 절첩된 상태를 유지해 줄 수 있도록, 바닥부의 양측 저면에 서로 결합 가능한 암·수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한 바, 바닥부이 절첩되어 가방의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상기 암·수 결합수단을 서로 결합시켜 고정시켜주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본 고안 목욕용 가방의 사시도를, 도 3에 본 고안 목욕용 가방의 평면도를, 도 4에 본 고안 목욕용 가방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 5에 본 고안 목욕용 가방의 바닥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 6에 본 고안 목욕용 가방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욕용 가방은, 다수의 배수공(H)이 관통 형성되고, 상면 또는 저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G)을 따라 절첩 가능한 판상의 바닥부(21)과;
상기 바닥부(21)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 며, 상단부가 개폐 가능한 몸체부(22)와;
상기 몸체부(22)의 내면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다수의 구획공간(R)으로 나누는 구획부(23)와;
상기 다수의 구획공간(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획공간(R)을 이루는 몸체부(22)에 고정 결합되며, 일측에 구비된 지퍼에 의해 개폐 가능한 주머니(24)와;
상기 몸체부(22)의 상부 외면에 결합된 손잡이(2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방을 이루는 바닥부(21), 구획부(23), 몸체부(22) 등은 모두 방수재질로 이루어져 가방 내부에 물이 들어가더라도 배수공(H)을 제외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외부로 물이 배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바닥부(21)는, 그 상면에 놓여지는 물품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다수의 배수공(H)을 통하여 가방 내의 물이 바닥부(21)를 통하여 빠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공(H)을 통과한 물이 외부로 쉽게 빠질 수 있도록 바닥부(21)의 저면 테두리부 일부분 혹은 전체에 지지돌기(P)가 하향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머니(24)는, 다수의 구획공간(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획공간(R)을 이루는 몸체부(22)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지폐 등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바닥부(21)의 저면 혹은 상면에 대향하는 두 변을 잇는 직선형 가이드 홈(G)을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써, 가방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 가이드 홈(G)을 따라 바닥부(21)을 한번 이상 절첩할 수 있도록 하여 가방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이때, 바닥부(21)의 절첩에 따라 바닥부(21)의 상면에 결합된 구획부(23) 및 가방 몸체부(22)도 절첩되는 바, 구획부(23) 및 가방 몸체부(22)도 절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바닥부(21)이 절첩된 후 다시 펼쳐지지 않도록 바닥부(21)의 저면 양측에 서로 결합되는 암·수 결합수단(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21)이 상면을 향해 절첩된 상태에서 바닥부(21) 저면에 구비된 암·수 결합수단(C)을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가방이 절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게 되는 바, 바닥부(21)을 저면쪽으로 절첩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가방 몸체부(22)의 양측에 구비된 암·수 결합수단(C)을 상호 결합시켜 가방의 절첩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암·수 결합수단(C)은 서로 결합 가능한 암·수 매직테이프 또는 암·수 똑딱이 단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닥부(21)의 절첩 횟수 및 절첩 상태에 따라 그 결합 위치가 달리하여 결합되어 절첩된 가방 상태를 고정해 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욕용 가방은, 바닥부에 형성된 배수공에 의해 물의 배수가 용이함은 물론, 구획된 수납공간에 다수의 물품을 각각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으며, 가방 내에 별도로 구비된 주머니 부재에 수건, 속옷과 같이 물과의 접촉을 피해야 하는 물건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가방을 절첩할 수 있어 보관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측벽이 상향 결합된 함체상의 목욕용 가방에 있어서,
    다수의 배수공(H)이 관통 형성되고, 상면 또는 저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G)을 따라 절첩 가능한 판상의 바닥부(21)와;
    상기 바닥부(21)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단부가 개폐 가능한 몸체부(22)와;
    상기 몸체부(22)의 내면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다수의 구획공간(R)으로 나누는 구획부(23)와;
    상기 다수의 구획공간(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획공간(R)에 결합되며, 일측에 구비된 지퍼에 의해 개폐 가능한 주머니(24)와;
    상기 몸체부(22)의 상부 외면에 결합된 손잡이(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G)은, 바닥부(21)의 대향하는 두 변을 잇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가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1)의 저면 혹은 몸체부(22) 외주면의 일측에는 서로 결합가능한 암·수 결합수단(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가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결합수단(C)은 암·수 매직테이프 또는 암·수 똑딱이 단추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가방.
KR2020060027884U 2006-10-16 2006-10-16 목욕용 가방 KR200800005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884U KR20080000550U (ko) 2006-10-16 2006-10-16 목욕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884U KR20080000550U (ko) 2006-10-16 2006-10-16 목욕용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50U true KR20080000550U (ko) 2008-04-21

Family

ID=4132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884U KR20080000550U (ko) 2006-10-16 2006-10-16 목욕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55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277B1 (ko) * 2009-03-27 2009-08-21 문동업 물에 젖은 물품 분리수거함
KR200469198Y1 (ko) * 2012-03-14 2013-10-14 이경남 분리형 가방
US9913518B2 (en) 2015-04-28 2018-03-13 Jung-Yuan Su Inner lining and waterproof bag having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277B1 (ko) * 2009-03-27 2009-08-21 문동업 물에 젖은 물품 분리수거함
KR200469198Y1 (ko) * 2012-03-14 2013-10-14 이경남 분리형 가방
US9913518B2 (en) 2015-04-28 2018-03-13 Jung-Yuan Su Inner lining and waterproof bag having same
KR101878543B1 (ko) * 2015-04-28 2018-07-13 정-위엔 수 내부 안감 및 이를 갖는 방수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4757B2 (en) Reusable bag holder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A2635328C (en) Luggage bag with detachable divider
US4337812A (en) Combined picnic bag and tablecloth
US6241388B1 (en) Portable bath and shower caddy
US6230952B1 (en) Sundry pouch for backpacks
US20080245096A1 (en) Fold-up insulated container
US8393450B2 (en) Duffel bag with zippered partitions
US8651353B2 (en) Gym locker organizer backpack
US8596458B1 (en) Traveler's hygienic tote
KR101371564B1 (ko) 분할식 수납공간을 갖는 레저용 접이식 가방
US6173839B1 (en) Collapsible camping organizer
US20070089954A1 (en) Suitcase with drawers
US6464098B1 (en) Collapsible utility organizer
US3164187A (en) Convertible handbag
US4437549A (en) Suitcase
KR20080000550U (ko) 목욕용 가방
US20220031038A1 (en) Bag comprising integral support legs
KR20150001117U (ko)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
KR200375046Y1 (ko) 여행용 가방
KR101105094B1 (ko) 물 배출형 휴대용 가방
KR101105101B1 (ko) 물 배출형 휴대용 가방
KR200467342Y1 (ko) 가방으로 사용가능한 접이식 매트
KR200198513Y1 (ko) 다용도 멜빵가방
JP4346098B2 (ja) 濡れ物用バッグ
KR200384642Y1 (ko) 휴대용 목욕용품 수납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