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512U -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 - Google Patents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512U
KR20080000512U KR2020060027729U KR20060027729U KR20080000512U KR 20080000512 U KR20080000512 U KR 20080000512U KR 2020060027729 U KR2020060027729 U KR 2020060027729U KR 20060027729 U KR20060027729 U KR 20060027729U KR 20080000512 U KR20080000512 U KR 200800005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bioceramic
diaper
skin
absorben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윤
Original Assignee
이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윤 filed Critical 이대윤
Priority to KR2020060027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512U/ko
Publication of KR20080000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5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부직포(2) 및 상기 배면부직포(2) 상방에 통기성의 증대를 위한 액체 불투과성이면서 통기성인 배면통기성의 방수시트(3)를 가지고, 상기 방수시트(3)와 유,소아의 배설물이 진입하는 액체 투과성의 상부부직포(7), 액체 투과성의 센터부직포(8) 사이에, 흡수코어(1) 및 상기 흡수코어(1)에 내재하여 배설하는 고흡수성수지SAP(super absorbent polymers)와 솜털펄프(5)를 충진하여 가지는 기저귀(100)에 있어서, 상기 흡수코어(1)- 솜털펄프(5)- 고흡수성수지(6)의 충진영역에 바이오세라믹을 첨가하여 항균소취 효과를 얻게 하고, 상기 바이오세라믹은 거정질 화강암의 석영과 장석에 점토광 물질을 혼입,첨가하되, 상기 바이오세라믹의 입도는 0.2 마이크론 이상 ~ 21 마이크론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저귀에 적용하여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된 분비물에서 발생 되는 각종 유, 무기 오염원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세균과 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탈취와 피부를 자극 하는 효소를 흡착하는 기능을 부여하여 임상실험 결과 탁월한 피부보호와 항균능력을 나타낸다.
Figure P2020060027729
바이오세라믹, 항균, 탈취,효소

Description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Disposable diaper}
도 1은 본 고안의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이 적용되어 구현된 기저귀의 일반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기저귀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구현하고자 하는 문제점을 도시하는 통상적인 기저귀 사용에 의한 기저귀발진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사진.
도 5는 본 고안의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를 사용한 소아들의 기저귀발진상태를 도시하는 그래프도.
도 6은 본 고안의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를 사용한 소아군과 비사용소아군들의 기저귀발진상태의 시간경과에 따른 상태를 도시하는 사진.
도 7은 본 고안의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를 사용한 소아군과 비사용소아군들의 성장변화상태를 도시하는 도표.
도 8은 본 고안의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를 사용한 소아군과 비사용소아군들의 우유섭취량을 비교한 실험의 도표.
도 9는 본 고안의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를 사용한 소아군과 비사용소아군들의 혈압과 맥박을 비교한 실험의 도표.
도 10은 본 고안의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를 사용한 소아군과 비사용소아군들의 체온변화를 비교한 실험의 도표.
도 11은 본 고안의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를 사용한 소아군과 비사용소아군들의 사용 후의 상태를 촬상한 사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흡수코어(absorbent core)
2 : (액체불투과성) 배면 부직포
3 : (액체 불투과성) 배면 통기성방수시트
4 : 베리어커프( barrier cuff )
5 : 솜털펄프( fluff pulps)
6 : 고흡수성수지SAP( super absorbent polymers)
7 :(액체투과성) 상부부직포
8 : (액체투과성) 센터부직포
9 : 다리탄성체(leg elastics)
10: 펄프티슈(pulp tissues)
11: 베리어커프탄성체( barrier cuff elastics )
12: 패스닝테이프( fastening tape )
13: 허리탄성체(waist elastics )
14: 프론탈테이프(frontal tape )
본 고안은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혼합 바이오세라믹 물질을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특히 기저귀의 관한 것이며 액체투과성 상부시트(top sheet or perforated film) 또는 기타 부직포에나 흡수층(absorbent core)에 바이오세라믹을 일정 기술로 첨가하여 항균, 소취와 피부를 자극하는 효소나 세균 흡착능력으로 피부보호 기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의 이상적인 양태는 착용자인 유, 소아들의 배설물의 누출방지와 배설물을 내부에 유지하여 가지는 담체능(Containing Power)임과 동시에 유,소아의 피부자극을 최소화하여 유,소아가 느끼는 피부트러블(irrigation)을 줄여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저귀의 상부시트는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통기성(air-though )의 부직포 , 하이로프트(hi-loft ) 또는 ADL (acquisition & distribution layer )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결착을 위한 밴드나 베리어 커프는 스펀부직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배설물을 흡수하여 가지는 흡수코어는 종래 플러프펄프(fluff pulp)의 사용은 저하되는 추세이고 그 대신, 고흡수성수지(SAP)의 함량이 증대되어 사용됨으로서 흡수능과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기능적인 관점에서 본 일회용 기저귀의 효능 이외에 업계에서의 관심 은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할 경우에 발생 되고 예견되는 다양한 피부트러블에 대한 예방책의 제공에 있다.
상기하는 관점에서 사용에 의한 유, 소아의 피부트러블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와 기술이 안출되어 있다.
다음은 일회용 기저귀착용에 따른 피부트러블에 대한 예방적 방법에 대하여 알려진 기술들이다.
피부에 대한 배설물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여러 방법들이 있다. 특히 국내특허공개번호 특 2002-0009553호의 "흡수제품용 조성물 및 피부 자극물 격리를 위한 사용방법"에서 개시한 기술에 따르면 WO99/45974에는 기저귀 피부염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흡수제품의 프로테아제 억제제로서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억제제는 한정된 물질에 대한 7가지의 시험관 내 분석에서 프로테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임의의 물질로서 정의된다.
이들 억제제는 IC50 (효소 활성을 50% 억제시키는 농도)에 대한 7가지 기준 중 하나 이상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테아제의 가수분해작용을 가역적으로 또는 비가역적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WO99/26610에는 기저귀피부염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흡수제품의 리파제억제제로서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피부에 대한 소화효소의 작용을 억제 시키는 이들 상기 언급한 방법들은, 피부에 억제제를 분산시키는 것이 정상피부기능에 중요한 내생효소를 억제시킴으로써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강력한 세린프로테아제 억제제인 콜레스테롤술페이트의 국소적도포가 정상적인 박리현상을 책임지는 피부 프로테아제를 억제시킨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J. Invest. Dermatol. 11 1:189-193, 1998).
비정상적으로 건조하거나 또는 건성인 피부는 피부로 확산될 수 있는 프로테아제억제제를 국소적으로 처리하는 것에서 기인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피부 표면을 침투하지 않고 배설물 효소와 같은 외생효소의 피부내단백질에 대한 분해작용을 막는 물질이 요구된다.
WO99/46316에는 배설물 프로테아제에 의해 매개되는 피부자극을 억제시키는 중합체 억제제의 생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중합체는 피부표면에 침투하지는 않으나, 다른 물질에 대한 효소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그들의 작용을 여전히 발휘하게 한다.
배설물 효소를 흡착하고 불활성화시켜 이로써 피부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조성물은 개시되어 있다.
PCT 공보 WO97/38735 및 미국 특허 제5,869,033호는 배설물 단백질 가수 분해효소를 흡수하고 불활성화시켜 기저귀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취지의, 활성화된 쿼터늄-18 벤토나이트와 같은 친유기성 점토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점토는 널리 공지된 점토를 장쇄4급 아민과 같은 장쇄 유기 양쪽성 화합물로 개질 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친유기성점토를 도입한 기저귀직물 또는 초흡수성 중합체에 분산된 친유기성 점토를 함유하는 기저귀가 제안되었다. 비개질된 점토가 배설물효소를 흡착하는 능력은 기재되어 있지 않았다.
친유기성점토를 다양한 제약상 적합한 비히클, 예컨대 로션, 에멀젼, 크림, 겔 및 다른 수성 비히클에 혼입시켰다. 그러나, 이 비히클은 친유기성 점토에 대해 불활성이어야 하며, 따라서 점토에 결합하는 물질이 없어야하고 배설물효소와 결합하는 그의 능력을 불활성화시켜야 한다.
특히, 탄화수소 사슬 길이가 C-8 이상인 물질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배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한은 예를 들어 피부장벽기능을 개선 시키고 피부를 보습 및(또는) 보호할 수 있는 친유성 피부건강증진제의범위를 한정한다.
다양한 친유성 조성물이 기저귀 발진을 방지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친유성 피부 건강 증진제를 함유하는 차단크림, 로션 또는 연고는 피부에 장벽을 제공하고 기저귀발진과 같은 피부 증상을 치료하는데 이용된다.
통상적인 친유성 피부 건강증진제에는 페트롤라텀, 광유, 천연오일 및 지방산이 포함된다. 이들 조성물이 피부의 장벽 특성을 개선 시킬 수는 있지만, 여러 예에서 이들 화학물질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이 지저분하고 불편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기저귀발진이 시각적으로 나타났을 때만 통상 이용된다. 정상적인 기저귀 사용을 통해 피부로 전달될 수 있는 페트롤라텀과 같은 친유성 피부 건강증진제로 기저귀라이너를 처리할 수 있다. 일단 피부로 전달되면, 기저귀라이너의 제제가 배설물 및 뇨에 대한 장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건강증진을 위해 피부로 전달되기에 충분하도록 고농도의 페트롤라텀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고농도의 페트롤라텀은 지저분하고 촉감이 미끈거릴 수 있으며, 기저귀와 같은 흡수제품의 유체 취급특성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피부 로의 페트롤라텀의 느린 침투는 피부 상에 및 의복과 다른 물질상에 제제가 발라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언급한 제한들에 기초하여, 생물학적 유체 중의 자극물, 예컨대 배설물효소를 흡착하고,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피부건강을 개선 시킬 수 있는 친유성조성물과 상용성인 조성물이 요구된다. 기저귀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언급한 방법들 중 어느 것도, 효소를 흡착하여 기저귀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증을 방지하기 위한 친유성 화학물질과 입자성제제의 배합물을 발견하지 못했다. 또한, 배설물 효소와 결 합하는 비개질된 점토의 능력도 이전에 기재된 적이 없다라고 주장한다.
또한 국내 등록 특허 10-0515317의 " 황토 처리 부직포를 적용한 일회용 기저귀 "와 공개특허 10-2004-0092351, 실용신안 20-0328936 등은 황토를 첨가하여 항균소취 효과를 주장하며,
실용신안 20-0251674와 20-0271841 등에서는 숯을 첨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주장하고, 공개특허 10-2004-0088008 호와 실용신안 20-0381172호, 20-0374950호, 20-0373785 호 등에서는 은나노 실버를 첨가하여 상기 효과를 주장하기도 하며,
특허등록 10-0387420에서는 한방소재를 첨가하여 상기효과를 주장하고,
국내특허 특 1992-0010923의 "일회용 흡수제품"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나트륨, 산화 칼륨, 산화 칼슘,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철 등의 산화물 세라믹스의 미분말을 혼합, 고온 열처리 공정을 거쳐서 합성되는 비금속 무기재료로서 소위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스라고도 불리는 공지의 물질로, 종래의 일회용 흡수제품에 바이 오 세라믹스를 첨가하면 뇨의 성분의 분해 산물인 암모니아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자극 및 피부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뇨 분비물, 월경 분비액 또는 질 분비물로부터 발생되는 불쾌취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과,
미국 특허 5,192,277 호에서는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이 항균, 소취 기능이 탁월하다고 기술한 정도가 고안에 속하는 기술이다.
상기 모든 기술을 종합해 보면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빈도가 높은 기저귀발진을 예방하기 위한 현재의 기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바,
(1) 무기물인 점토광물의 다공성 구조를 이용한 탈취나 항균작용과,
(2) 국제공개번호 WO1997/05909와 같이 친유성 피부 보호제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얻는 것이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기술이다.
현재 당업계의 추세는 친유성 피부보호제 제품에서 황토나 제오라이트 등 과 같은 무기물 점토광물을 이용한 제품 연구로 이행되고 있다.
이들 소재들의 구성 성분비를 비교하면 실리카(SiO2)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원적외선 복사체로 활용되는 원료광물 및 암석 특성 연구 - 한국자원연구소 1996).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바이오세라믹 혼합물을 이미 공지된 일회용기저귀의 각각의 레이어층에 선택적으로 안착 혹은 첨가하는 최적의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기저귀발진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최대한 보호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에 채용되는 "바이오세라믹"이라 함은 미국특허 5,972,815 "Bioceramic matter" 등에서 소개하는 점토광물의 집합체가 아니라,
다공질 조직을 한 거정질 화강암(pegmatite)에서 추출한 석영과 장석을 중심으로 평균 입도 0. 2 μm 에서 21 μm 이하 사이즈로 분쇄하여 만든 미세 세라믹 파우더로 세라믹의 단위 중량당 최대 표면적을 얻음으로써 표면 굴곡 상태와 공극율(porosity) 을 향상시켜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된 분비물에서 발생 되는 각종 유, 무기 오염원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세균과 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탈취와 피부를 자극하는 효소를 흡착하는 기능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특히 최소 입도 사이즈를 0.2 μm으로 최적화되어 제한함은 보다 작은 나노(Nano) 사이즈 파우더일 경우 피부에 투과되어 피부 속에서 축적되는 경우가 발생 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에 사용되는 "바이오세라믹"의 주성분인 석영은 화장품 원료로도 이용되는데 그 기능은 다음과 같다.
화장품을 피부에 오래 부착시키는 기능과 UV 광선 차단, 연고제 원료와 피부 수분 조절 기능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미국특허 6,086,924 호의 " Skin care composition" 에서는 석영의 또 다른 형태인 실리카 파우더가 여드름과 같은 피부병에 치료제로 추천한다.
이러한 주지의 기술이고 널리 알려진 바이오세라믹을 본 고안에 선택적으로 채용하기 위하여 기저귀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도 1내지 도 3의 일반적인 기저귀의 구성을 통하여 설명한다.
통상적인 기저귀(100)는 중앙부에 주요한 유,소아의 배설물의 흡수제인 흡수코어(absorbent core)(1)를 가지고 이 흡수코어(1)의 저면에는 이불 등으로의 배설물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부직포(2) 및 배면부직포(2) 상방에 통기성의 증대를 위하여 액체 불투과성이면서 통기성인 배면통기성의 방수시트(3)를 배설하여 가진다.
또한 흡수코어(1)의 상방에는 유,소아이 배설물이 진입하는 액체 투과성의 상부부직포(7)와 흡수코어(1)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액체 투과성의 센터부직포(8)를 하부에 커버체로서 가진다.
흡수코어(1)는 솜털펄프(fluff pulps)(5)에 내재하는 것으로서 고흡수성수지SAP(super absorbent polymers)(4)가 그 흡수코어(1)의 저면에 센터부직포(8) 상에 배설되어 있다.
도면에서 4는 흡수코어(1)의 측방으로 밀려남을 방지하고 측방으로의 배설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커프(barrier cuff)이고, 베리어커프탄성체(barrier cuff elastics)(11)가 배리어커프(4)에 가로방향 탄성을 부여하여 형상을 유지하게 한다. 13은 유,소아의 부착부인 허리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허리탄성체(waist elastics), 9 는 다리 측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리탄성체(leg elastics), 12,14 는 패스닝테이프(fastening tape) 및 프론탈테이프(frontal tape ), 10 은 펄프티슈(pulp tissues)이다.
상기하는 일반적인 구성의 기저귀(100)에 적용되는 본 고안의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는 하기와 같다.
첫째는 기저귀에 적용되는 부직포, 즉 액체 불투과성인 배면부직포(2), 액체 투과성인 상부부직포(7)와 액체 투과성인 센터부직포(8)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중량에 대한 바이오세라믹의 양은 중량대비 1.0% 이상 ~ 100.0% 이하로 필요 용도에 따라 자유로이 응용할 수 있다.
상기하는 각각의 부직포에 알려진 다양한 바이오세라믹의 처리방법은 부직포를 바이오세라믹 침적조에 통과시켜 부직포에 고착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보다 추천되는 방법은 마스터배치법과 인쇄기법이 바람직하고 이들 방법은 종래 기술에 널리 통용되고 있다.
둘째는 분말화된 바이오세라믹을 0.5 mm ~ 2 mm 사이즈의 비즈(beads)로 만들어 흡수코어(1)와 솜털펄프(5)에 고흡수성수지(6)와 함께 착상시키는 것이며,
세번째 방법은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통기성의 방수시트(3)를 제조할 때 공기투과를 위해 충진제로 사용되는 탄산칼슘(CaCo3) 대신 바이오세라믹을 첨가하여 만드는 것이다.
상기에서 채용되는 바이오세라믹은 거정질 화강암의 석영과 장석에 일부 점토광물질을 첨가하여 조성하고, 또한, 바이오세라믹의 입도를 0.2 μm 이상 ~ μm 이하로 한 것이 실험적으로 얻어진 바이오세라믹의 소망스러운 특질이다.
[실험 예]
본 고안의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를 사용한 하기의 실험 예는 대전 선병원 가정의학 전공의 송정구 박사의 주도하에 이루어진 것이다.
도 4의 우측 상단의 사진의 예는 일반적인 기저귀발진이고, 그 아래는 소아 아토피 피부염의 사진이고 좌측 하단의 사진은 곰팡이에 의해 이차감염된 염증이고 좌측 상단의 사진은 칸디다균에 감염된 상태이다.
기저귀 발진의 일반적인 원인은 1-지속적인 습윤상태, 2 -혈액순환 장애, 3 -면역체계교란, 4-설사, 5-박테리아로 구분되고,
그 증상은 1-홍반, 2-땀 분출, 3-열 방출, 4-통증 수반, 5-대사 기능 장애 등으로 나타난다.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할 경우에 나타나는 기저귀 발진의 발생 순서를 관찰하면 다음과 같다.
a, 기저귀바인더 또는 밴드 등에 눌려 혈액순환 장애 상태인 자국이 생긴다.
b, 기저귀착용 영역에 땀이나 소변에 의한 수분상태로 피부에 오래 머물게 된다.
c, 결과적으로 수분에 의한 유연화된 피부가 마찰에 약해진다.
d, 마찰에 약한 유연 피부가 기저귀 모서리나 바인더에 지속적인 마찰로 눌린자국이 산재한 피부가 엉덩이와 같은 부분에 기저귀가 마찰 되면 기저귀쓸림(diaperrash)이라 부르고 생식기주변,가랑이, 복부에서 피부와 피부의 마찰에 의해 생기면 간찰진(Intertrigo)이라 한다.
e, 피부상태는 붉은색이고 땀 이 분출되고 그리고 약간의 열을 동반하며 피부가 벗겨지기 전 상태이다.
f, 상기 발진의 특징은 피부의 물리적 마찰이나 눌림에 의해 생기는 증후이며 유,소아가 불편해 하나 통증을 수반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라 울음으로 신체 상태를 알리지 않음으로 부모의 관심이 최선이다. 처치는 적당한 피부 건조와 청결을 유지해 주면 24시간 이내에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오며, 반복되는 가운데 피부의 방어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2. 아토피(Atopic Dermatitis)는,
a, 유전성이 강하며, 부모 양쪽이 알레지 경험이 있을 경우 80%, 한쪽만 있으면 60%의 나타날 확률이 있다고 한다.
b, AIDS 와는 반대로 고민성 면역체계에 의한 과민성 질환이며, 음식과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c, 피부를 건조해져 생기는 일종의 습진이다.
d, 다리와 생식기주변 사타구니에 발생하다 기저귀 착용 영역에 퍼진다.
e, 적당한 수분공급이 치료에 도움이 되나 과도한 발한은 해가 된다.
f, 밤에 더 심해지며 성인이 되었을 때 천식과 알러지비염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이 기저귀 발진의 의학적인 기초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초여름과 초겨울 두 차례 각각 1 개월 동안 본 고안의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로 임상실험한 관찰의 결과이다.
도 5는 a,b,c 그룹 모두가 착용 후 5일 (12일)부터 기저귀발진이 양호해지기 시작함과 이후 계속적인 호전 상태를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진행과정에서 그룹 A는 14일과 18일 사이에 일부 감기증세로 발진이 악화 되었다.
도 6의 사진은 그룹별 소아들의 기저귀발진의 변화 상태를 부모들이 각각 촬영한 것의 일부를 나열한 것이다. 사진A는 7개월 된 여아이고 사진의 B는 6개월 된 여아이고 사진의 C는 항문을 수술한 경험이 있는 남아의 사진이다.
도 7의 표에서는 소아 그룹들의 성장속도 등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나 비교 그룹이 없는 상태라 정확한 결론을 도출하기엔 미흡하다.
도 8의 표는 그해 12월과 1월에 걸쳐 실험 군과 비교 군으로 나누어 음식 섭취량을 비교한 실험으로 유추해 볼때 성장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도 있고,
도 9의 표는 소아들의 혈압과 맥박의 변화를 표시한 것이며,
도 10의 표는 체온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기저귀발진이 호전된 시점에서 체온의 안정이 관찰된다.
도 11의 사진은 일반기저귀를 사용했을 때와 바이오세라믹을 첨가한 실험용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 발진 등의 피부상태를 촬영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실험이 계속되어야 의학적인 소견이 피력되겠으나 임상 결과 소아의 피부상태의 변화가 호전된 것은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본 고안에 따라 바이오세라믹을 첨가한 일회용기저귀를 착용할 경우,
최적화된 바이오세라믹의 실험결과에 의한 선택과, 구성에 의하여 공극률과 표면적의 향상을 통해 보다 나은 항균효력에 의해 소양증이나 홍반 및 짓무름증 등의 기저귀발진으로부터 예방의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6)

  1.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부직포(2) 및 상기 배면부직포(2) 상방에 통기성의 증대를 위한 액체 불투과성이면서 통기성인 배면통기성의 방수시트(3)를 가지고,
    상기 방수시트(3)와 유,소아의 배설물이 진입하는 액체 투과성의 상부부직포(7), 액체 투과성의 센터부직포(8) 사이에,
    흡수코어(1) 및 상기 흡수코어(1)에 내재하여 배설하는 고흡수성수지SAP(super absorbent polymers)와 솜털펄프(5)를 충진하여 가지는 기저귀(100)에 있어서;
    상기 흡수코어(1)- 솜털펄프(5)- 고흡수성수지(6)의 충진영역에 바이오세라믹을 첨가하여 항균소취 효과를 얻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세라믹은 거정질 화강암의 석영과 장석에 점토광 물질을 혼입,첨가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
  3. 제 1항 내지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세라믹의 입도는 0.2 마이크론 이상 ~ 21 마이크론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세라믹의 파우더를 액체 불투과성 상부부직포, 액체투과성 상부 부직포, 액체투과성 센터부직포 등의 부직포 레이어에 그라비아인쇄로 착상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세라믹 파우더를 0.5 mm ~ 2 mm 사이의 비드(beads)로써 흡수코어(1)- 솜털펄프(5)- 고흡수성수지(6)의 충진영역에 충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세라믹 파우더를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에 충진제로 사용되는 탄산칼슘(Caco3) 대신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
KR2020060027729U 2006-10-11 2006-10-11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 KR200800005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729U KR20080000512U (ko) 2006-10-11 2006-10-11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729U KR20080000512U (ko) 2006-10-11 2006-10-11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12U true KR20080000512U (ko) 2008-04-17

Family

ID=4132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729U KR20080000512U (ko) 2006-10-11 2006-10-11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51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357B1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생리대 제조방법
US6995297B1 (en) Herb medicine composition to be contained in sanitary materials for infants
KR20080032923A (ko)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의 제조방법
KR101663054B1 (ko) 초유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KR101791314B1 (ko) 위생용품용 활성 미네랄 함유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00512U (ko)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
KR101502083B1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기저귀 제조방법
KR101990486B1 (ko) 백토를 이용한 기능성 생리대 제조방법
KR100353287B1 (ko) 생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저귀
KR100772041B1 (ko) 생리대
KR200410126Y1 (ko) 숯과 약쑥 성분이 포함된 위생커버
KR200397096Y1 (ko) 1회용 생리대
KR940007401B1 (ko) 일회용 흡수제품
KR200261029Y1 (ko) 생리대
CN103961219A (zh) 一种带保健功能的成人尿裤
KR101250553B1 (ko) 체온 상승 기능을 가진 속옷
KR100417391B1 (ko)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950012183B1 (ko) 산화아연을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KR0163506B1 (ko) 유컬립터스 오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US20090191258A1 (en) Iodine-containing compositions
KR20200001885U (ko) 성인용 한방 위생기저귀
KR100600839B1 (ko) 허브 고분자 흡수지(SAP sheet) 제조방법
KR20160037444A (ko) 한방 성분이 포함된 기저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384007Y1 (ko) 녹차 분말이 내장된 패드
TR202100504A2 (tr) Bor i̇şlenmi̇ş dönemsel hi̇jyeni̇k ped, günlük hi̇jyeni̇k ped, tampon, bebek/yeti̇şki̇n bezi̇, göğüs pedi̇, i̇ç çamaşiri üreti̇m yönte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