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391B1 -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391B1
KR100417391B1 KR10-2002-0025813A KR20020025813A KR100417391B1 KR 100417391 B1 KR100417391 B1 KR 100417391B1 KR 20020025813 A KR20020025813 A KR 20020025813A KR 100417391 B1 KR100417391 B1 KR 100417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ceramic material
diaper rash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075A (ko
Inventor
신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니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니로
Priority to KR10-2002-002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3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2Crustaceans, e.g. crabs, lobsters, shrimps, krill or crayfish; Barn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8Schizonepe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기, 죽염, 고백반, 형개, 선퇴, 정향 및 유근피를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 및 상기 추출 조성물을 담지하는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산화아연, 석고, 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세라믹 소재를 포함하는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기저귀 발진 조성물은 a) 황기, 형개, 선퇴 및 정향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b) 유근피를 열수 추출하는 단계; c) 죽염과 고백반을 용해시킨 물에 상기 a) 단계의 유기용매 추출물 및 b) 단계의 열수 추출물을 첨가하여 배합하여 추출 조성물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추출 조성물을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산화아연, 석고, 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세라믹 소재와 배합하여 상기 추출 조성물을 세라믹 소재에 담지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또는 이를 적용한 1회용 흡수 제품은 피부자극 및 부작용이 없고, 각종 피부 발진 또는 기저귀 발진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COMPOSITION FOR TREATING A DIAPER RASH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저귀 피부염 또는 기저귀 발진 치료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자극과 부작용이 없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피부 발진의 일종인 기저귀 피부염(diaper dermatitis) 또는 기저귀발진(diaper rash)은 기저귀를 착용하는 유아 또는 성인의 하복부, 음부, 넓적다리, 상부 및 둔부에 발생하는 습진성 병변을 말한다. 피부에 나타나는 병변은 홍반으로 시작되며 더 진행되면 구진(papule), 소수포(vesicle) 또는 인설(scale)이 동반되며 심한 경우에는 미란(erosion)을 볼 수 있다(원색 최신 의료 대백과사전 3, 신태양사 편집국 백과사전부, 도서출판 신태양사, 서울, 1994, pp. 175-176).
기저귀 피부염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기저귀의 착용시간을 줄여서 통풍이 잘되어 항문과 성기 주위에 분비되는 땀과 피지 그리고 배설물의 잔유물로 인한 습기가 쉽게 증발하고 피부 호흡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유아 또는 설사 환자나 소변을 자주 배설하는 성인의 경우 기저귀를 착용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저귀로 밀폐된 피부의 습도가 높아지고 통기가 되지 않아 발진이 발생하는 것은 거의 피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체질적으로 하체에 땀이 많이 배출되거나 피부가 연약하여 쉽게 염증을 발생시키는 경우 또한 피부염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기저귀 피부염 등의 피부 발진의 가장 큰 원인은 습한 신체 분비물이 직접 또는 기저귀 등의 흡수제품에 밀폐되어 있는 채로 피부와 장시간 접촉되는 밀폐 현상에 기인한다. 기타 기저귀를 세탁할 때 사용하는 세제나 표백제, 및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누룩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슈도모나스 애루지오노사(Pseudomonas aerugionosa) 등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중 기저귀 피부염의 원인균으로 칸디다 알비칸스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피부과학원색도감, 피부과학원색도감편찬위원회, 도서출판 정담, 서울, 1999, pp 718,720, 722, 723).
상기와 같은 기저귀 피부염의 원인과 관련하여 피부가 신체 분비물과 접촉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흡수성이 강한 물질을 기저귀에 도입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특수하게 처방된 세척액을 사용하는 방법, 또는 기저귀 피부염의 원인이 되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 세균에 대한 소염 조성물을 적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일단 기저귀 피부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연고제의 처방, 항생제나 항진균제를 처방하여 치료하고 있다.
기저귀 피부염은 양의학적으로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국소증상, 건선(psoriasis), 자극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의 국소 증상으로 나타나므로 이들 증상과 기저귀 피부염 증상을 감별하는 것은 치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기저귀 피부염을 한의학적 측면에서 고찰하여 보면, 기저귀 피부염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습진, 발진, 태독, 태열의 증상 및 기저귀 접촉 부위에 발열, 발적, 발반, 소양증, 건선 등의 증상과 연관되는 질환으로 태열(태독 발열), 태열단독, 적유단(赤遊丹; 적유종, 적유단독), 적유풍, 건선 등을 들 수 있다.
태열은 어린아이가 모태에 있을 때 사열을 감수하여 발생하는 병증으로 생후에 눈을 뜨지 못하고 얼굴이 붉으며 눈꺼풀이 붓고 답답해하며 계속 울고 소변은 붉으며 대변은 검고 걸쭉하게 나오는 증상을 보인다. 태열단독은 태열로 인하여 어린아이에게 나타나는 단독으로 초기에는 빨갛게 부으면서 반들거리는 것으로 머리, 얼굴, 팔다리에 생겨 가슴이나 배로 퍼지기도 한다. 적유단은 태독으로 인하여 소아에게 생기는 단독의 일종으로 소아의 몸에 단독이 막 돋아나려고 할 때면 먼저 열이 나면서 울어대고 놀라거나 뒤틀면서 보채다가 나중에 빨간 무리가 나타나면서 살갗이 빨갛게 부으며 홍훈이 처음에는 작았다가 점점 커지는데 그 빛깔이 마치 주사와 같으며 몸의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발생한다. 적유풍은 살갗이 반들반들하면서 붓고 빨개지는 병증이고, 건선은 살갗에 생기는 잘 낫지 않는 만성 습진 신경성 피부염으로 색이 붉고 가려우며 긁으면 흰비늘이 일어나면서 진물이 나지 않는것을 말한다.
기저귀 피부염 치료에 대한 요구가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한의학적인 치료연구에 대해서는 미흡한 단계에 있었으며, 기저귀 피부염에 대한 체계적인 치료를 위한 한방 치료제의 개발도 초보적인 단계에 그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저귀 피부염의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저귀 피부염의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저귀 피부염의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우수한 1회용 흡수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세라믹 소재인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의 X-선회절분석 결과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60, 100 및 140 mesh 체로 처리된 세라믹 소재를 사용한 실시예 4의 조성물로 함침된 부직포의 미세조직을 나타낸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 도 2d는 실시예 4의 조성물이 함침되지 않은 부직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황기, 죽염, 고백반, 형개, 선퇴, 정향, 및 유근피를 포함하는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이 담지된 세라믹 소재를 포함하는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황기, 형개, 선퇴, 및 정향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b) 유근피를 열수 추출하는 단계; c) 죽염과 고백반을 용해시킨 물에 상기 a) 단계의 유기용매 추출물 및 b) 단계의 열수 추출물을 첨가하여 배합하여 추출 조성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추출 조성물을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산화아연, 석고, 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세라믹 소재와 배합하여 상기 추출 조성물을 세라믹 소재에 담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이 적용된 1회용 흡수 제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은 황기, 죽염, 고백반, 형개, 선퇴, 정향, 및 유근피를 포함하는 추출물 및 이를 담지하는 세라믹 소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중 죽염으로는 천일염을 대나무 속에 넣고 황토로 막아 송진 불로 고온에서 구워낸 소금으로 소금에 함유한 독소가 제거되고 대나무와 황토의 미네랄이 함유된 가공염으로 9번의 과정을 반복하여 구워낸 9회 죽염이 가장 효과가 좋다. 상기 형개와 선퇴는 가려움증을 제거하고, 정향과 유근피는 조성물에 항균성을 부여한다.
상기 황기, 형개, 선퇴 및 정향은 각각 10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죽염과 고백반은 각각 1 내지 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유근피는 50 내지 15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7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각 성분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에 있어야 조성물이 바람직한 효능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함량은 건조 한약재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상기 세라믹 소재는 본 발명의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을 안전하게 인체에 전달할 수 있는 담체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저귀 발진을 치료할 수 있는 유효성분을 함유한 조성물과 세라믹 소재를 복합화시킴으로써 약효의 손상없이 안정하게 저장하여 보존시에 분해되지 않으며, 생체에 대한 약물 전달을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의 성분중 유근피는 세라믹 소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바인더 역할을 한다.
상기 세라믹 소재는 조성물 1리터에 대하여 100 내지 500 g, 바람직하게는 200g으로 배합된다. 상기 세라믹 소재로는 모려(ostreae testa),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산화아연, 석고, 활석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을 3:1:1:1의 비율로 혼합하거나 또는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산화아연, 석고 및 활석을 5:1:1: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모려는 바다에서 수십년간 풍화된 굴껍질로서 Ca, Mg, Fe, Na 및 K 등이 풍부한 알칼리성 물질이다. 모려는 일반 패각류와 달리 Mg의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모려에 함유된 Ca와 Mg는 신체의 신경조직과 근육조직에 필요한 미네랄성분으로서 Ca는 신경자극을 전달하여 각종 과민반응을 나타내는 데 반해 Mg는 신경과 몸을 편안하게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제올라이트(zeolite; 沸石)는 결정내부에 2∼10 Å의 공동(空洞, surface pore)으로 연결되어 있는 세공구조(細空構造)로 인해 유용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갖는 천연 및 합성광물질을 의미한다. 제올라이트는 Na 및 K의 알칼리금속과 Ca 등의 알칼리토금속을 함유한 함수알루미늄규산염(hydrous aluminosilicate) 광물이며 현재 46종의 천연 제올라이트와 200여종의 합성 제올라이트가 알려져 있으나, 클리놉틸롤라이트(clinoptilolite)와 모더나이트(modernite)의 2종류가 널리 분포되어 있다. 제올라이트의 결정수는 일반 구조수와 달리 물분자로 존재하기 때문에 가열에 의해 탈수하여도 구조는 파괴되지 않고 물분자가 있던 곳은 공동으로 남고 다시 공동에 수분이나 가스를 흡착하여 원상으로 복귀하는 특성이 있다. 제올라이트의 흡착, 흡습 및 양이온교환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농업, 수산업, 축산업, 공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산화티탄(TiO2)은 천연으로는 브루카이트(brookite), 예추석(銳錐石), 판(板)티탄석 및 일메나이트(illmenite, 티탄철석) 등의 광물로 산출되며 구조가 다른 3개의 동질다형(polymorphism)인 고온안정형(루틸, rutile), 저온안정형(아나타제, anatase) 및 중간온도 안정형(브루카이트)으로 존재한다. 저온안정형인 아나타제형은 산화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난분해성의 물질의 산화분해가 가능하다. 오염물질은 비교적 약한 자외선에 의해 산화분해가 가능하며, 환원반응에 의하여 수(水) 중이나 공기 중의 O2를 환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O2의 환원에 의하여 생성된 O2 -이온은 산화반응의 중간체로 부가되어 과산화물을 형성하거나 또는 과산화수소(H2O2)를 거쳐 보다 산화력이 강한 수산라디칼(OH·)로 되어 산화분해반응에 관여한다.
산화티탄(TiO2)은 산화분해반응에 의하여 4대 악취라고 불리우는 메틸멜캅탄(CH3SH),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및 3-메틸아민((CH3)3N)과 땀과 발의 냄새의 원인인 인-길초산(吉草酸), 노인들의 냄새(加齡臭)의 원인인 노네날(nonenaldehyde) 등의 소취에 효과가 있다. 산화티탄의 산화분해반응에 의해 섬유자체가 분해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산화티탄이 섬유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표면을 망목상(3-network structure)의 실리카(SiO2)로 덮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밖에도 자외선 차단 효과와 제전(制電)성 부여 효과가 있다.
산화아연(ZnO)은 육방정계의 우루자이트(wrutzite) 구조를 가진다. 산화아연은 안정한 무기화합물로서 피부에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고 피부보호, 진정 및 치료에 이용된다. 태양광과 다른 자극에 뛰어난 장벽을 제공하며 약간의 수렴, 방부, 항균성의 성질을 갖고 있어 자외선 차단제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은 약효성분이 세라믹 소재에 담지된 상태로 섬유 등에 함침된다. 세라믹 소재는 섬유간의 공극에 함침되기 용이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세라믹 소재로 사용되는 성분들은 바람직한 범위의 평균입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모려는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의 평균입도를 가지며, 제올라이트는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2.8㎛의 평균입도를 가지며, 산화티탄은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48㎛의 평균입도를 가지며, 산화아연의 평균입도는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36㎛의 평균입도를 가진다.
또한 상기 세라믹 소재는 유효한 약효 성분을 담지하기 위한 담체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비표면적이 클수록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은, a) 황기, 형개, 선퇴 및 정향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b) 유근피를 열수 추출하는 단계; c) 죽염과 고백반을 용해시킨 물에 상기 a) 단계의 유기용매 추출물 및 b) 단계의 열수 추출물을 첨가하여 배합하여 추출 조성물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추출 조성물을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산화아연, 석고, 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세라믹 소재와 배합하여 상기 추출 조성물을 세라믹 소재에 담지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a) 단계에서는 황기, 형개, 선퇴, 및 정향을 유기용매로 냉침하여 여액을 얻는다. 상기 추출용매로 사용되는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이 바람직하며, 이중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냉침추출 온도는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냉침추출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주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한약성분들은 열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열을 가하면 유효성분의 파괴가 심하게 일어나나 냉침추출하게 되면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오랜기간 동안 산화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물에 유근피를 넣고 고압 추출한다. 추출온도는 약 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죽염과 고백반을 용해시켜 얻은 물에 상기 a) 단계의 유기용매 추출물과 b) 단계의 열수 추출물을 첨가하여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유기용매 추출물, 열수 추출물, 및 죽염과 고백반을 함유한 물의 배합비는 1-2:1-2:1-6인 것이 바람직하고, 1:1:2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죽염과 고백반은 용해도를 고려하여 약 25 내지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은 로션, 크림, 연고, 오일, 젤, 포움, 스프레이, 파우더 등의 제형으로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보습제, 습윤제, 겔화제, 중화제, 향료, 착색제 등 다양한 첨가제가 더 부가될 수 있다.
투여방법은 일반적으로 환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거즈나 붕대에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환자의 내의 또는 기저귀 등에 살포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형에 따라 바람직한 투여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투여대상, 투여방법, 증상에 따라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0.01 내지 10g/kg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회수는 1일 2회 이상이 바람직하나 증상 정도에 따라 투여회수 또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치료용 조성물이 적용된 1회용 흡수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은 단독으로 1회용 흡수 제품에 적용될 수도 있고 세라믹 소재와 배합한 상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세라믹 소재와 배합한 경우에는 침전되기 쉬우므로 일정 속도로 교반하면서 산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는 통상의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top sheet), 솜털 펄프(fluff pulp)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조 구성요소로서 티슈(tissue), 접착테이프 또는 고정용 단추, 허벅지 또는 허리용 탄성밴드, 앞면 테이프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을 기저귀에 적용하는 방법으로는 상부 시트에 분무 등의 방법으로 산포하는 방법 또는 흡습성 물질(솜털 펄프 등)을 조성물에 침지 또는 침윤시켜 기저귀에 적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료용 조성물이 적용된 기저귀는 기저귀 피부염 및 기저귀 발진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은 기저귀 한 개당 약 0.1 내지 1g의 양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g의 양으로 적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1회용 흡수 제품"라 함은 유아 및 뇨실금 환자가 일반적으로 하부 둔부 주위에 착용하는 기저귀, 뇨실금 환자의 브리이프, 언더가멘트, 기저귀 홀더와 라이너, 여성용 위생용품 등을 의미한다. 상기 "1회용"은 세탁하거나 복구되어 재사용되지 않는 흡수제품을 의미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황기 300g을 60% 알코올 3리터에 1주간 냉침하여 제1 추출 여액을 얻었다. 제1 추출여액 및 물(0.5%의 죽염과 0.5%의 고백반을 물 6리터에 미리 용해시킴)을 1:2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황기, 형개, 선퇴, 및 정향을 각각 300g 측량하여 60% 알코올 12리터에 1주간 냉침하여 제1 추출 여액을 얻었다. 물 20리터에 유근피 3000g을 넣고 130℃에서 고압 추출하여 유근피 열수 추출액을 얻었다. 제1 추출여액, 열수 추출액 및 물(0.5%의 죽염과 0.5%의 고백반을 물 20리터에 미리 용해시킴)을 1:1:2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실시예 3과 4에서는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과 세라믹 소재를 혼합하여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과 4에 사용된 세라믹 소재는 다음과 같다.
모려는 주성분으로 CaO 44.2 중량%, MgO 19.41 중량%, 및 Na2O 11.23 중량%를 함유하고, 기타 SiO2, Fe2O3및 K2O로 이루어진 물질을 사용하였다. 제올라이트는 SiO266.57 중량%, Al2O313.06 중량%를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Na2O, K2O의 알칼리금속 산화물과 CaO 등의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을 함유한 함수알루미늄규산염(hydrous aluminosilicate) 광물 등이 풍부한 알칼리성 물질을 사용하였다.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은 순도 95%의 1급 시약을 이용하였다.
상기 세라믹 소재인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의 X-선회절분석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시료의 결정상분석은 X-선회절분석장치(Philips. Co. Pw1720, Holland)를 이용하여 CuKα, Ni filter, 30 kV, 20 mA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모려에는 칼시아(calcia, CaO) 및 마그네시아(MgO)의 주결정상 이외에 기타 무기질 광물이 존재하였다. 제올라이트는 클리놉틸롤라이트(clinoptilolite), 모더나이트(modernite), 물라이트(mullite, 3Al2O3·SiO2)와 쿼츠(quartz, SiO2)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화티탄은 아나타제(anatase)이고, 산화아연은 육방정계의 우루자이츠광(wurztite)이었다.
상기 세라믹 소재 분말들은 60, 100 및 140 mesh 체를 통과시켜 사용하였다. 140 mesh 체를 통과한 모려의 평균입도는 5㎛, 제올라이트의 평균입도는 12.8㎛, 산화티탄의 평균입도는 0.48㎛, 산화아연의 평균입도는 0.36㎛이었다.
140 mesh 체를 통과한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 시료의 비표면적을 비표면적측정기(Quantachrome Co., Autosorb 1,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분석항목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산화아연
비표면적(m2/g) 2.45 34.51 11.45 8.23
비표면적이 큰 물질일수록 흡착성능이 우수하므로 분말시료 중에 제올라이트의 비표면적이 가장 커 유효성분의 담지를 위한 담체로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황기 300g을 60% 알코올 12리터에 1주간 냉침하여 제1 추출 여액을 얻었다. 제1 추출여액 및 물(0.5%의 죽염과 0.5%의 고백반을 미리 용해시킴)을 1:2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추출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 조성물 1리터와 세라믹 소재 200g를 배합하여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세라믹 소재는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을 3:1:1:1로 배합한 것으로 각각의 시료는 60, 100 및 140 mesh 체를 통과시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황기, 형개, 선퇴, 및 정향을 각각 300g 측량하여 60% 알코올 12리터에 1주간 냉침하여 제1 추출 여액을 얻었다. 물 20리터에 유근피 3000g을 넣고 130℃에서 고압 추출하여 유근피 열수 추출액을 얻었다. 제1 추출여액, 열수 추출액 및 물(0.5%의 죽염과 0.5%의 고백반을 미리 용해시킴)을 1:1:2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추출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 조성물 1리터와 세라믹 소재 200g를 배합하여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세라믹 소재는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을 3:1:1:1로 배합한 것으로 각각의 시료는 60, 100 및 140 mesh 체를 통과시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세라믹 소재로 모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세라믹 소재로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산화아연을 1:1:1:1로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방미도(곰팡이 균의 억제도) 시험 결과
방미도 시험에 사용된 곰팡이 균은Aspergillus nigerATCC 9197,Aspergillus fumigtusATCC 9197,Cryptococcus flavusATCC 10656, 및Mucor hienalisATCC 8690이었고, 방미도 시험은 ATCC 30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4의 조성물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Tween 80; 0.05%)를 함침시킨 부직포에서의 상기 곰팡이 균들의 성장도(growth)를 측정하였다. 시험온도는 28±1℃이었고 시험기간은 2주간이었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균 주 평가 등급
Aspergillus nigerATCC 9197 MICROSCOPIC GROWTH
Aspergillus fumigtusATCC 9197 MICROSCOPIC GROWTH
Cryptococcus flavusATCC 10656 MICROSCOPIC GROWTH
Mucor hienalisATCC 8690 NO GROWTH
주) 평가 등급은 다음과 같다.
NO GROWTH: 균 저지대(균의 번식이 억제되어 생긴 할로 현상)가 존재하는 경우 mm 단위로 기록함
MICROSCOPIC GROWTH: X50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
MACROSCOPIC GROWTH: 육안으로 관찰 가능
실시예 4의 조성물을 함침시킨 부직포에서Aspergillus niger,Aspergillus fumigatus,Cryptococcus flavus균주에 대하여 방미도의 등급은 MICROSCOPIC GROWTH로서 50배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한 정도로 억제하는 결과를 얻었으며,Mucor hienalis에 대해서는 NO GROWTH로서 기저귀 피부염의 원인 곰팡이 균에 대하여 완벽한 억제 능력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시험예 2: 항균도 시험 결과
항균도 시험에 사용된 균주는Candida albicansATCC 14053,Staphylococcus aureusATCC 6538,Staphylococcus epidermidisATCC 12228,Streptococcus pyogenesATCC 21059,Escherichia coliATCC 25922,Pseudomonas aeruginosaATCC 27853, 및Enterobacter cloaceaeATCC 11438이었고, 항균도 시험은 KS K 0693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험온도는 37±1℃이었다. 실험구에는 실시예 4의 조성물을 적용하였고, 대조구는 실시예 4의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모든 실험 조건을 실험구와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구와 대조구에서의 시험 초기의 균수 및 18시간 후의 균수를 계수하고 정균감소율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하여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수학식 1]
정균감소율(%)=(B-A)/B X 100
여기에서 A는접종 후 18시간 동안 배양된 시험편으로부터 재생된 세균 수이고, B는 접종 후 18시간 동안 배양된 대조편으로부터 재생된 세균 수이다.
균주 실험구 대조구
Candida albicansATCC 14053 초기 균수 1.2 X 105 1.2 X 105
18시간후 균수 <10 5.5 X 106
정균감소율 99.9%
Staphylococcus aureusATCC 6538 초기 균수 1.3 X 105 1.3 X 105
18시간후 균수 <10 5.7 X 106
정균감소율 99.9
Staphylococcus epidermidisATCC 12228 초기 균수 1.6 X 105 1.6 X 105
18시간후 균수 <10 7.2 X 106
정균감소율 99.9%
Streptococcus pyogenesATCC 21059 초기 균수 1.4 X 105 1.4 X 105
18시간후 균수 <10 6.7 X 106
정균감소율 99.9%
Escherichia coliATCC 25922 초기 균수 1.5 X 105 1.5 X 105
18시간후 균수 <10 6.8 X 106
정균감소율 99.9%
Pseudomonas aeruginosaATCC 27853 초기 균수 1.4 X 105 1.4 X 105
18시간후 균수 <10 6.9 X 106
정균감소율 99.9%
Enterobacter cloaceaeATCC 11438 초기 균수 1.2 X 105 1.2 X 105
18시간후 균수 <10 5.8 X 106
정균감소율 99.9%
상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조성물은 피부 발진, 특히 기저귀 피부염의 주요 원인균인Candida albicans를 비롯한Staphylococcus aureus,Staphylococcus epidermidis,Streptococcus pyogenes,Escherichia coli,Pseudomonas aeruginosa,Enterobacter cloaceae에 대하여 정균 감소율 99.9%로 효과적인 항균력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3: 임상시험 결과
상기 실시예 4의 조성물 0.3g을 100mm 두께의 기저귀 상부 시트에 산포하여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저귀를 삼정한의원에 내원하는 3세 미만의 유아중 기저귀 피부염이나 발진 증상을 보이는 유아 22명에 대하여 상기 기저귀를 착용하도록 하여 21일간 1주일에 한번씩 관찰하였다. 시험에 참가한 유아의 기저귀 피부염 증상은 가려움증을 보이거나, 피부가 빨갛게 달아오르거나, 둥글게 뾰루지가 발생하거나, 피부가 축축해지고 궤양이 발생하여 진물이 흐르는 증상으로 나타났다. 이중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기저귀 발진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전체 22명중 16명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평가항목 빈도 백분율
증상이 호전됨 9 40.9%
약간 좋아짐 11 50%
증상에 별다른 차도가 없음 2 9.1%
약간 악화됨 - 0
증상이 악화됨 - 0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의 조성물이 임상시험에서 기저귀 피부염 또는 기저귀 발진에 대하여 90.9%의 효과를 보였다. 임상시험에 참여한 유아 22명중 16명이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보인 점에 비추어 본 발명의 피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이 아토피성 피부염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4: 부직포의 미세조직
상기 실시예 4의 조성물을 부직포에 분무하여 제조된 시편의 미세조직을 도2a 내지 도 2c에 나타내었다.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시편에 Au를 코팅한 다음 주사전자현미경(SEM, Jeol-JSM 5410, Japan)으로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60, 100 및 140 mesh 체로 처리된 세라믹 소재를 사용한 조성물로 함침된 부직포의 미세조직을 나타낸다. 도 2d는 조성물이 함침되지 않은 부직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a 내지 도 2c의 사진과 도 2d의 사진을 비교하여 보면, 도 2a 내지 도 2c의 부직포의 섬유조직에 세라믹 소재가 함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직포의 입자 크기가 증가할수록 부직포 표면에 함침된 세라믹의 양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또는 이를 적용한 기저귀 용품은 피부자극 및 부작용이 없고, 각종 기저귀 피부염 또는 기저귀 발진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황기, 죽염, 고백반, 형개, 선퇴, 정향 및 유근피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 및 상기 추출 조성물을 담지하는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산화아연, 석고, 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세라믹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황기, 형개, 선퇴 및 정향은 각각 10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되고, 상기 죽염과 고백반은 각각 1 내지 5 중량부로 사용되고, 상기 유근피는 50 내지 15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인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려는 1 내지 30㎛, 제올라이트는 1 내지 30㎛, 산화티탄은 0.1 내지 10㎛, 산화아연은 0.1 내지 10㎛의 평균입도를 가지는 것인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소재는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이 3:1:1:1의 비율로 혼합된 것, 또는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산화아연, 석고 및 활석을 5:1:1:1:1: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인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a) 황기 10 내지 15 중량부, 형개 10 내지 15 중량부, 선퇴 10 내지 15 중량부 및 정향 10 내지 15 중량부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b) 유근피 50 내지 150 중량부를 열수 추출하는 단계;
    c) 죽염 1 내지 5 중량부와 고백반 1 내지 5 중량부를 용해시킨 물에 상기 a) 단계의 유기용매 추출물 및 b) 단계의 열수 추출물을 첨가하여 배합하여 추출 조성물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추출 조성물을 모려,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산화아연, 석고, 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세라믹 소재와 배합하여 상기 추출 조성물을 세라믹 소재에 담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3항의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유기용매 추출물, b) 단계의 열수 추출물, 및 c) 단계의 죽염과 고백반을 함유한 물의 배합비는 1-2:1-2:1-6인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3항의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이 적용된 1회용 흡수 제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1회용 흡수 제품이 기저귀인 흡수 제품.
KR10-2002-0025813A 2002-05-10 2002-05-10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17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813A KR100417391B1 (ko) 2002-05-10 2002-05-10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813A KR100417391B1 (ko) 2002-05-10 2002-05-10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075A KR20040003075A (ko) 2004-01-13
KR100417391B1 true KR100417391B1 (ko) 2004-02-05

Family

ID=3731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813A KR100417391B1 (ko) 2002-05-10 2002-05-10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4861A1 (en) * 2004-04-02 2005-10-13 Sung-Bae Park Composition for treating psoriasis-associated diseas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676B1 (ko) * 2018-02-19 2020-02-19 (주)대덕랩코 젤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401A (ko) * 1992-09-30 1994-04-27 와다 요시히로 차량의 진동저감장치
JPH06279305A (ja) * 1993-03-25 1994-10-04 Kuga Takaaki アトピー性皮膚炎等の皮膚疾患治療薬
KR960010015A (ko) * 1994-09-16 1996-04-20 양규효 띠미로 버섯(Daedalea dickinsii Yasuda)으로 부터 추출한 다당류를 함유하는 항암제 및 항균제
KR980000460A (ko) * 1996-06-27 1998-03-30 신광호 외피용 약제 조성물
US6027728A (en) * 1998-08-05 2000-02-22 Yuen; Liu Herbal skin regene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KR20020008809A (ko) * 2001-10-24 2002-01-31 안용준, 김영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401A (ko) * 1992-09-30 1994-04-27 와다 요시히로 차량의 진동저감장치
JPH06279305A (ja) * 1993-03-25 1994-10-04 Kuga Takaaki アトピー性皮膚炎等の皮膚疾患治療薬
KR960010015A (ko) * 1994-09-16 1996-04-20 양규효 띠미로 버섯(Daedalea dickinsii Yasuda)으로 부터 추출한 다당류를 함유하는 항암제 및 항균제
KR980000460A (ko) * 1996-06-27 1998-03-30 신광호 외피용 약제 조성물
US6027728A (en) * 1998-08-05 2000-02-22 Yuen; Liu Herbal skin regene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20008809A (ko) * 2001-10-24 2002-01-31 안용준, 김영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4861A1 (en) * 2004-04-02 2005-10-13 Sung-Bae Park Composition for treating psoriasis-associated dise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075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6318A (en) Skin therapeutic mixture containing cold-processsed aloe vera extract, with yellow sap and aloin removed
US3567820A (en) Compositions and treatment for the alleviation of diaper rash
CN110200854B (zh) 婴幼儿用天然植物精油竹纤维抗菌干/湿巾及其制备方法
CN102988231A (zh) 一种女性护理液及其制备方法
KR20160022024A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생리대 제조방법
JPH09202721A (ja) 消臭・防臭剤
US6995297B1 (en) Herb medicine composition to be contained in sanitary materials for infants
KR100417391B1 (ko) 기저귀 발진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3800A (ko) 탈모방지를 위한 샴푸바
KR19990078667A (ko) 가려움증 개선용 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101502083B1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기저귀 제조방법
CN114306526A (zh) 一种复方苦丁茶中药提取物及其在制备沐浴露或洗手液中的应用
KR100421203B1 (ko)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CN101780179B (zh) 多功能植物组合物、其用途,多功能植物提取物组合物、其用途及抗菌组合物
JP3563327B2 (ja) 抗菌剤及び防腐剤
KR100353287B1 (ko) 생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저귀
KR960015185B1 (ko)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일회용 물티슈 제품
JP2001226247A (ja) 軟玉粉含有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32923A (ko)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의 제조방법
CN108403520A (zh) 一种壳聚糖中草药女士护理液及其应用
CN109432204A (zh) 一种银离子喷雾及其制备方法
CN107754001A (zh) 一种防治产褥感染的女性护理用无纺布及其应用
CN100374131C (zh) 治疗脚汗、脚臭、脚气的外涂药剂及其制备方法
KR20030009983A (ko) 게르마늄과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항균 미용비누 조성물
CN1082372C (zh) 治疗腋臭病的药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