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215U - 면상발열체 - Google Patents

면상발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215U
KR20080000215U KR2020070020813U KR20070020813U KR20080000215U KR 20080000215 U KR20080000215 U KR 20080000215U KR 2020070020813 U KR2020070020813 U KR 2020070020813U KR 20070020813 U KR20070020813 U KR 20070020813U KR 20080000215 U KR20080000215 U KR 200800002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heating element
copper foil
foil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656Y1 (ko
Inventor
이장훈
이부훈
이관우
이륜관
Original Assignee
이장훈
이관우
이부훈
이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훈, 이관우, 이부훈, 이륜관 filed Critical 이장훈
Priority to KR2020070020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656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215U/ko
Priority to PCT/KR2008/007619 priority patent/WO2009082159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5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multiple resistive elements or resistive zones isolated from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9Heaters using conductive material in contact with opposing surfaces of the resistive element or resistive layer
    • H05B2203/01Heaters comprising a particular structure with multipl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1Heaters using laterally extending conductive material as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6Heaters using particular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by radiation heating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사하고 난방에 이용되는 면상발열체로서, 절연성베이스원단에 카본발열부를 형성하고, 상기 카본발열부의 양단에 금속성 및 비철금속성 잉크를 인쇄 형성시킨 제1도전층과 상기 제1도전층 상부에 적층되도록 비철금속성 잉크가 인쇄 형성되는 제2도전층, 물리적인 충격으로 동박전극에 의해 제2도전층과 카본발열부가 손상되지 않고 전류가 상호 통전되도록 손상방지층을 형성하여, 원거리까지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도전층에 접촉되어 형성되는 동박전극을 코팅지로 밀폐 합지 시킨 면상발열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면상발열체, 동박전극, 실버, 전도체, 손상방지, 알루미늄, 핫멜트수지

Description

면상발열체{a sheet type heating element}
[도 1] 은 종래의 면상발열체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사시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평면도.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단면도.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사시도.
[도 12] 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평면도.
[도 13] 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단면도.
[도 14] 는 본 고안에 따른 손상방지절연층을 보인 단면도.
[도 15] 는 본 고안에 따른 손상방지도전층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면상발열체 102 : 절연성베이스원단
114 : 코팅지 115 : 카본발열부
118 : 제1도전층 120 : 제2도전층
130 : 손상방지절연층 140 : 동박전극
143 : 도전체박막층 145 : 절연성시트
150 : 접착제층 155 : 전도성접착층
160 : 손상방지도전층
본 고안은 면상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사하고 난방에 이용되는 면상발열체로서, 카본발열부와 실버부가 인쇄되는 절연성베이스원단, 저항에 의해 발열기능을 하는 카본발열부, 상기 카본발열부의 양단에 금속성 및 비철금속성 잉크를 인쇄 형성시킨 제1도전층, 제1도전층 상부에 적층되도록 비철금속성 잉크가 인쇄 형성되는 제2도전층, 물리적인 충격으로 동박전극에 의해 제2도전층과 카본발열부가 손상되지 않고 전류가 상호 통전되도록 형성되는 손상방지층, 원거리까지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도전층에 접촉되어 형성되는 동박전극을 코팅지(154)로 밀폐 합지 시킨 면상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은 동절기 바닥 난방용이나 생물의 발아촉진용, 도로 융설용 등 발열을 요하는 장소나 제품에 면상발열체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면상발열체로 2004년 10월 28일 출원된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0030553호와 같이 절연성이 우수한 절연필름의 상면에 고저항체인 액상의 카본페이스트를 적당한 간격을 두고 도포하여 카본발열부를 형성한 후에, 카본부의 양단에 각각 열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전성의 실버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실버부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카본발열부가 균일하게 발열되도록 상기 카본발열부의 양단끝을 따라 실버라인을 형성한 다음, 실버부에 구리박판(동박전극)을 대고, 절연필름을 코팅시켜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통상적인 면상발열체는 전류를 동박전극(구리박판)에서 카본발열부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전도성이 우수한 실버를 적용하였으나, 카본발열부로 전달되는 전류밀도를 견딜 수 있도록 실버의 인쇄두께를 두껍게 인쇄함에 따라 고가의 실버 잉크 소비가 증가되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버부와 동박전극 간의 쇼트현상을 제거시키기 위해 본 고안자가 2007년 2월 28일 출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7-0003632호와 같이 손상방지층을 실버부와 동박전극 사이에 적층시켜 실버부의 손상을 방지하였으며, 더욱 발전되게는 2007년 4월 16일 출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7-0006368호와 같이 실버부에 제1동박전극을 형성시켜 실버부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전율을 향상시켰으나, 제조상 동박전극의 형성 시 동박전극이 카본발열부와 적층될 수 있어 동박전극으로 인해 카본발열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카본발열부 보호층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본발열부의 양단에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및 비금속 소재로 형성된 잉크로 인쇄 형성되는 제1도전층을 소정의 두께와 폭으로 형성시킨 후 그 상부에 제2도전층을 적층시켜 카본발열부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원활하게 통전해주고, 제2도전층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실버의 소비량을 줄여 생산원가를 절약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제2도전층과 동박전극이 상호 통전되도록 손상방지층을 효과적으로 적층시켜 안전하고 최대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면상발열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열체(100)는, 면 상태로 이루어진 발열체로서, 카본발열부(115)와 제1도전층(118) 및 제2도전층(120)이 인쇄되는 절연성베이스원단(102), 저항에 의해 발열기능을 하는 카본발열부(115), 상기 카본발열부의 양단에 금속성 및 비금속성 잉크를 인쇄 형성시킨 제1도전층(118), 제1도전층 상부에 도전율이 우수하도록 적층되는 제2도전층(120), 물리적인 충격으로 동박전극에 의해 제2도전층과 카본발열부가 손상되지 않고 전류가 상호 통전되도록 형성되는 손상방지절연층(130)과 손상방지도전층(160), 원거리까지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도전층에 접촉되어 형성되는 동박전극을 코팅지(114)로 밀폐 합지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면상발열체(100)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면상발열체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 열체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면상발열체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손상방지도전층을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2내지 도14에서 보는바와 같이 절연성베이스원단(102)에 카본발열부(115)와 제1도전층(118)과 제2도전층(120) 및 손상방지층(130), 동박전극(140), 코팅지(114)가 구성되는 구조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한다.
<실시예1>
절연성베이스원단(102)에 저항열에 의해 발열되도록 전도성잉크인 카본페이스트를 인쇄 도포하여 카본발열부(115) 형성하고, 상기 카본발열부(115)의 양단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원활히 통전시키도록 금속성 및 비금속성 잉크를 인쇄하여 건조한 제1도전층(118)이 형성된다.
제1도전층(118)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성 분말이나 비금속성 분말, 고분자전도성폴리머를 1종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한 도전성잉크를 다양한 문양이나 일정패 턴으로 끊어지게 형성되거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지도록 카본발열부(115)의 양단에 인쇄 형성시킨다. 이러한, 제1도전층(118)은 두께와 폭을 상승시킬 경우 반비례적으로 체적저항 및 표면저항 값이 떨어져, 도전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도전층(118) 상부에 도전율을 더욱 상승시키도록 제2도전층(120)을 인쇄 형성시킨다.
제2도전층(120)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성 및 비금속성 분말을 이용해 제조된 도전성잉크로 소정의 저항 값을 갖는 제1도전층(118) 상부에 적층시켜, 도전층의 체적을 상승시킴으로써 저항 값을 더욱 떨어뜨릴 수 있어 저항값의 저하에 따라 제2도전층(120)의 체적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동박전극(140)과 접촉 시 발생될 수 있는 쇼트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제2도전층(120)에 적용되는 금속 및 비금속 소재 중 대표적으로 실버, 구리, 알루미늄, 아연 분말로 제조되는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손상방지층은 손상방지절연층(130)과 손상방지도전층(160)으로 구분한다. 실시예1에서는 손상방지절연층(130)을 형성한다. 도2내지 도4와 같이 형성된 카본발열부(115)와 제2도전층(120) 상부에 소정의 두께로 절연성 합성수지를 인쇄하거나 절연성시트(145)를 적층시켜 동박전극(140)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상기 카본발열부(115)와 제2도전층(1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카본발열부(115)의 전면을 포함하여 동박전극(140)이 제2도전층(120)과 접촉될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적층시켜 구성하되, 카본발열부(115)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 동박전극(140)의 모서리가 상기 카본발열부(115)와 제2도전층(120)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제2도전층(120)과 동박전극(140) 사이에 손상방지절연층(130)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손상방지절연층(130)의 상부에 동박전극(140)을 적층시킨 후 접착제층(150)이 형성된 코팅지(114)로 절연성베이스원단(102)의 전면을 밀폐시켜 면상발열체(100)를 구성한다.
<실시예2>
본 고안자가 2007년 2월 28일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7-0003632호와 같이 손상방지층의 재질이 PET, 폴리에칠렌,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칠렌나프탈레이트, 아크릴 소재로 1종 또는 1종 이상을 혼용하여 제작된 재질을 사용하며, 양면에 PE, EVA, EEA가 1종 또는 1종 이상 혼용된 열가소성 수지층이 형성되며, 손상방지층의 두께가 10∼100㎛의 사이에서 이루어지게 하고 그 폭은 0.3∼2cm 사이에서 선택하여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20∼30㎛ 두께에 1cm 폭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면상발열체를 출원하였으며, 더욱 발전되게는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7-0006367호와 같이 카본발열부와 실버부가 인쇄되는 절연성베이스 원단, 저항열에 의해 발열기능을 갖는 카본발열부 카본발열부의 양단에 적층되도록 인쇄되는 실버부, 물리적인 충격에 실버부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상기 실버부에 적층되는 제1동박전극, 상기 제1동박전극에 적층되어 원거리의 카본발열부까지 전류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제2동박전극, 절연을 위해 절연성베이스원단과 상기 절연성베이스원단에 형성된 카본발열부 및 실버부, 제1동박전극, 제2동박전극이 밀폐되도록 코팅지로 합지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동박전극을 전도성이 우수한 동박판이나 주석도금한 동박판, 알루미늄박판 등 비철금속으로 구성시킨 면상발열체를 출원하였으나, 전자의 면상발열체에 경우 단순히 동박전극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개념으로 공지되어 있고, 후자인 제1동박전극은 전도성이 탁월한 비철금속 재질의 박판을 적용하여 실버부의 손상방지 및 제2동박전극에서 실버부로 전류가 원활히 통전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에 비해 더욱 발전된 고안으로 후자의 손상방지와 전도성을 동시에 해결한 출원내용은 고가의 순수 금속 및 비금속소재로 형성되는 박판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로 제조원가가 상승되었다.
이러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원가가 저렴하고 기능성 또한 동일한 손상방지층(130)의 다른 구조가 제시된다.
절연성베이스원단(102)에 카본발열부(115)와 제1도전층(118) 및 제2도전층(120), 동박전극(140), 코팅지(114)가 구성되는 구조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구성한다.
손상방지층의 다른 구조로는 도5내지 도 7과 같이 절연성시트(145)의 단면 또는 양면에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및 비금속성 소재의 도전체를 형성하여 소정의 두께와 폭으로 형성되는 손상방지도전층(160)을 하되, 상기 손상방지도전층(160)을 반으로 접어 제2도전층(120)과 동박전극(140) 사이에 적층시켜 구성한다.
반으로 접은 손상방지도전층(160)은 내측 또는 외측의 일측면 전체가 통전되는 도전체로써 동박전극(140)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큰 저항 없이 제2도전층(120)으로 원활히 공급할 수 있어 종래의 공지된 면상발열체의 손상방지층과 동일한 기능 을 가지면서, 생산원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손상방지도전층(160)은 절연성시트(145)의 단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 구리, 카본, 흑연 등 도전율이 우수한 금속 및 비금속 소재를 이용하여 도전체박막층(143)을 형성시키며, 대표적으로는 재료의 단가가 저렴하고 도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그리고, 손상방지도전층(160)의 상부에 적층되어 원거리까지 전류를 공급하도록 동박전극(140)을 형성시킨 후 상기 절연성베이스원단(102)과 그 상부에 형성된 카본발열부(115), 제1도전층(118), 제2도전층(120), 손상방지도전층(160), 동박전극(140)이 밀폐되도록 접착제층(145)이 형성된 코팅지(114)로 합지시켜 구성된다.
<실시예3>
손상방지층의 또 다른 구조인 손상방지도전층(160)으로서, 도8내지 도10과 같이 절연성베이스원단(102)에 인쇄 형성되는 카본발열부(115)의 상부에 제1도전층(118) 및 제2도전층(120)이 동일하게 적층되어 형성하고, 소정의 넓이와 두께를 갖는 순수 비철금속박판이나 절연성시트(145)의 단면 또는 양면에 비철금속 도전체박막층(143)이 형성된 손상방지도전층(160)을 형성한 후 상기 카본발열부(115)와 제1도전층(118) 및 제2도전층(120)에 일정거리를 이격하여 길이방향으로 동박전극(140)을 구성하며, 상기 손상방지도전층(160)과 동박전극(140)이 상호 통전이 되도록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손상방지도전층(160)은 동박전극(140)이 카본발열부(115)의 상 부에 적층되어 있는 제1도전층(118) 및 제2도전층(120)과 일정거리로 이격되어있어 상기 동박전극(140)에 의해 카본발열부(115)와 제2도전층(120)이 손상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손상방지도전층(160)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동박전극(140)을 제2도전층(120) 상부에 직접 적층시키지 않고도 상기 동박전극(140)에서 손상방지도전층(160)을 통해 전류를 제2도전층(120)으로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성베이스원단(102)에 구성된 카본발열부(115)와 제1도전층(118)과 제2도전층(120)와 손상방지도전층(160) 및 동박전극(140)이 밀폐되도록 접착제층(150)이 형성된 코팅지(114)를 합지시켜 면상발열체(100)를 구성한다.
또한, 도11내지 도13에서 보는바와 같이 절연성베이스원단(102)에 다양한 문양이나 패턴으로 카본발열부(115)와 상기 카본발열부(115) 양단에 적층되도록 제2도전층(120)을 형성하고, 카본발열부(115)와 상기 카본발열부에 적층된 제2도전층(120)으로 부터 일정거리를 형성하여 길이방향으로 동박전극(140)을 이격시킨 후 상기와 같이 이격된 제2도전층(120)과 동박전극(140)이 상호 통전되도록 손상방지도전층(160)을 제2도전층(120)과 동박전극(140) 상부에 적층시키고, 절연성베이스원단(102) 및 상기 절연성베이스원단에 형성된 카본발열부(115), 제2도전층(120), 손상방지도전층(160), 동박전극(140)을 코팅지(114)로 밀폐되도록 합지하여 면상발열체(100)를 구성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손상방지절연층(130)과 손상방지도전층(160)에 전도성을 갖으면서 접착력이 우수하도록 도15와 같이 전도성접착층(155)을 단면 또는 양면에 형성시켜 제2도전층(120)과 동박전극(140) 간의 접촉에 따른 쇼트현상을 제거하고, 동박전극(140)이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41343호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번호 제20-0100534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468651,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08349, 20-0433719, 20-0375245호 등에는 저항열에 의해 발열되는 카본발열부의 양단에 전도성이 우수하면서 동박전극과 접촉에 따른 스파크현상을 제거하도록 실버부를 형성한 후 도전성점착제나 열에 의해 녹는 핫멜트접착제가 형성된 구리박판이 적용된 면상발열체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면상발열체 중 도전성점착제를 이용한 경우 열에 의해 점착제의 성분이 열적 변화되어 점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생겼으나, 이를 보완하기 위해 더욱 발전된 도전성 핫멜트접착제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상기 핫멜트접착제는 종래 전도성점착제에 비해 접착력이 뛰어나 안전성이 더욱 안정되었으나 중저온 열에 의해 변형되는 특성을 갖는 핫멜트수지는 카본발열부에서 발생된 열과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기 쉬워 도전성을 갖는 핫멜트접착제의 저항이 불안정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도록 전도성접착층(155)이 형성된 손상방지절연층(130) 또는 손상방지도전층(160)을 상기 제2도전층(120)과 동박전극(140)의 사이에 형성시켜 완전히 접착 시킨다. 전도성접착층(155)은 경화제에 의해 경화반응이 일어나는 1액형 또는 2액형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손상방지절연층(130) 또는 손상방지도전층(160)의 단면 또는 양면에 형성시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핫멜트형수지와 경화성수지를 일정량 배합한 후 도전성분말과 경화제를 첨가시켜 접착력을 증대시 킬 수 있는 전도성접착층(15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화반응이 일어나는 1액형 또는 2액형 합성수지는 경화반응 되는 수지에 전도성분말과 경화제 및 용제 등을 소정의 양으로 투입 혼합한 후 일정한 두께로 손상방지도전층(160)의 단면 또는 양면에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손상방지도전층(160)을 제2도전층(120)과 동박전극(140) 사이에 형성시킨 후 일정시간동안 경화시켜 카본발열부(115)에서 발생된 열이나 외부의 열에 의해 상기 제2도전층(120)에서 동박전극(140)이 이탈되거나 박리되지 않고, 물성 또한 변형이 없이 안정된 저항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면상발열체는 카본발열부의 양단에 전도율이 우수한 제1도전층과 제2도전층을 적층시켜 전류의 통전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2도전층의 체적을 줄여 고가의 원자재 값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전도성이 우수한 손상방지층을 반으로 접거나 동박전극을 카본발열부와 제2도전층으로부터 이격시켜 손상방지층을 적층시킴으로써 동박전극에 의한 상기 카본발열부와 제2도전층의 손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전류를 원활히 통전시켜 안전하게 최대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면상발열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AC용 또는 DC용 전원을 이용하여 온열을 발산하는 면상발열체에 있어서,
    카본발열부(115)와 제1도전층(118) 및 제2도전층(120)이 인쇄되는 절연성베이스원단(102); 저항에 의해 발열기능을 하는 카본발열부(115); 상기 카본발열부의 양단에 금속성 또는 비금속성 소재의 잉크로 인쇄 형성되는 제1도전층(118); 제1도전층 상부에 적층되도록 금속성 또는 비금속성 소재의 잉크로 인쇄 형성되는 제2도전층(120); 물리적인 충격에 제2도전층(120)과 카본발열부(115)가 손상되지 않도록 제2도전층(120)과 동박전극(140) 사이에 형성되는 손상방지절연층(130); 원거리까지 전류를 통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동박전극(140); 상기 절연성베이스원단(102)과 카본발열부(115), 제1도전층(118) 및 제2도전층(120), 손상방지층(130), 동박전극(140)을 밀폐시키도록 코팅지(154)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카본발열부(115)의 전면과 동박전극(140)이 접촉되는 제2도전층(120)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손상방지절연층(130)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손상방지절연층(130)이 절연성 합성수지로 인쇄되거나 절연성시트(145)로 구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
  4. AC용 또는 DC용 전원을 이용하여 온열을 발산하는 면상발열체에 있어서,
    카본발열부(115)와 제1도전층(118) 및 제2도전층(120)이 인쇄되는 절연성베이스원단(102); 저항에 의해 발열기능을 하는 카본발열부(115); 상기 카본발열부의 양단에 금속성 또는 비금속성 소재의 잉크로 인쇄 형성되는 제1도전층(118); 제1도전층 상부에 적층되도록 금속성 또는 비금속성 소재의 잉크로 인쇄 형성되는 제2도전층(120); 물리적인 충격에 제2도전층(120)과 카본발열부(115)가 손상되지 않고 전류가 통전되도록 제2도전층과 동박전극이 통전되도록 형성되는 손상방지도전층(160); 원거리까지 전류를 통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동박전극(140); 상기 절연성베이스원단(102)과 카본발열부(115), 제1도전층(118) 및 제2도전층(120), 손상방지도전층(160), 동박전극(140)을 밀폐시키도록 코팅지(114)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절연성시트(145)의 단면 또는 양면에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성 또는 비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도전체박막층(143)을 일정두께와 폭으로 형성된 손상방지도전층(160)을 반으로 접어 제2도전층(120)과 동박전극(140) 사이에 적층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일정 넓이와 두께를 갖는 순수 금속 및 비금속박판이나 절연성원단의 단면 또는 양면에 금속 및 비금속 도전체로 형성된 손상방지도전층(160)을, 카본발열부(115)와 상기 카본발열부에 적층된 제1도전층(118) 및 제2도전층(120)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동박전극(140)을 구성한 후 상호 통전이 되도록 상기 손상방지도전층(160)과 동박전극(140)의 상부에 적층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
  7.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도전층(118)을 형성하지 않고 카본발열부(115)의 상부에 제2도전층(120)을 형성한 후 상기 제2도전층(120)으로부터 동박전극(140)을 일정거리를 이격시킨 후 제2도전층(120)과 동박전극(140)의 상부에 손상방지도전층(160)을 적층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
  8. 청구항 1과 4에 있어서,
    제1도전층(118)이 일정 패턴마다 끊어져 인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
  9. 청구항 1과 4에 있어서,
    손상방지절연층(130)과 손상방지도전층(160)의 단면 또는 양면에 전도성접착 층(15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전도성접착층(155)은 경화제에 의해 경화반응이 일어나는 1액형 또는 2액형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전도성접착층(155)이 핫멜트형수지와 경화성 수지를 배합한 후 도전성분말과 경화제를 첨가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
KR2020070020813U 2007-12-24 2007-12-24 면상발열체 KR200445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813U KR200445656Y1 (ko) 2007-12-24 2007-12-24 면상발열체
PCT/KR2008/007619 WO2009082159A2 (en) 2007-12-24 2008-12-23 A sheet type heating e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813U KR200445656Y1 (ko) 2007-12-24 2007-12-24 면상발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215U true KR20080000215U (ko) 2008-02-20
KR200445656Y1 KR200445656Y1 (ko) 2009-08-20

Family

ID=4080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813U KR200445656Y1 (ko) 2007-12-24 2007-12-24 면상발열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5656Y1 (ko)
WO (1) WO2009082159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616Y1 (ko) * 2008-03-07 2010-05-03 이장훈 면상발열체
WO2017222216A3 (ko) * 2016-06-22 2018-02-15 (주)파루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에어워셔
CN111904040A (zh) * 2020-09-03 2020-11-10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一种发热体及烟具
US20210048198A1 (en) * 2018-02-05 2021-02-18 Ecovolt Ltd A radiant hea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4132A (ja) * 2010-12-02 2012-07-12 Ube Ind Ltd フレキシブルヒー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661048A (zh) * 2018-12-31 2019-04-19 嘉兴质管家科技有限公司 导电高分子板、复合板及复合板构成的系统
RU2721624C1 (ru) * 2019-11-11 2020-05-2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нформационные спутниковые системы»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М.Ф.Решетнёв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гибко-плоского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я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3760A (ja) * 1999-07-07 2001-01-26 Ryoyu Kogyo Kk 面状発熱体
JP2006324181A (ja) * 2005-05-20 2006-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面状発熱体
KR200444606Y1 (ko) * 2007-02-28 2009-05-25 이장훈 면상발열체
KR20070000672U (ko) * 2007-04-16 2007-06-11 이장훈 면상발열체
KR20070000723U (ko) * 2007-05-01 2007-06-22 이장훈 면상발열체
KR200448616Y1 (ko) * 2008-03-07 2010-05-03 이장훈 면상발열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616Y1 (ko) * 2008-03-07 2010-05-03 이장훈 면상발열체
WO2017222216A3 (ko) * 2016-06-22 2018-02-15 (주)파루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에어워셔
US20210048198A1 (en) * 2018-02-05 2021-02-18 Ecovolt Ltd A radiant hea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982449B2 (en) * 2018-02-05 2024-05-14 Ecovolt Ltd Radiant hea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11904040A (zh) * 2020-09-03 2020-11-10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一种发热体及烟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82159A2 (en) 2009-07-02
KR200445656Y1 (ko) 2009-08-20
WO2009082159A3 (en) 200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0215U (ko) 면상발열체
CA1296043C (en) Electrical devices comprising conductive polymers
GB1253699A (en) Electric surface hea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60278631A1 (en) Laminate fabric heater and method of making
WO2015024909A1 (en) Foil heater e.g. for a heating panel
CA2045529A1 (en) Flexible heating element
US20120175362A1 (en)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ing Elements and Their Manufacturing
CN108271280B (zh) 一种石墨烯变流电热膜
US11089658B2 (en) Heating element
KR20080003382U (ko) 면상발열체
KR200444606Y1 (ko) 면상발열체
KR20070000379U (ko) 전자파차폐기능을 갖는 면상발열체
KR20070000529U (ko) 면상발열체
KR20070000672U (ko) 면상발열체
KR200448616Y1 (ko) 면상발열체
KR200441519Y1 (ko) 접착성이 개량된 면상발열체
KR20100005962U (ko) 면상발열체
KR200445655Y1 (ko) 면상발열체
KR200420142Y1 (ko) 보호막을 가진 면상발열체
CN108135038A (zh) 电热膜及其制备方法
JP4793053B2 (ja) 面状発熱体
CN113665232A (zh) 一种银浆丝网印刷版、电热膜制作方法及电热膜
KR200439144Y1 (ko) 접착성이 우수한 면상발열체
KR101436554B1 (ko) 면상발열체 및 면상발열체 제조방법
KR20070000695U (ko) 면상발열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