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034A -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034A
KR20080000034A KR1020060057240A KR20060057240A KR20080000034A KR 20080000034 A KR20080000034 A KR 20080000034A KR 1020060057240 A KR1020060057240 A KR 1020060057240A KR 20060057240 A KR20060057240 A KR 20060057240A KR 20080000034 A KR20080000034 A KR 20080000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ional language
language keyword
client
keyword
internet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길
정병진
Original Assignee
(주)넷피아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넷피아닷컴 filed Critical (주)넷피아닷컴
Priority to KR102006005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034A/ko
Publication of KR2008000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와 연결되어 있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주소에 대응하여 자국어 키워드가 저장되어 있는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클라이언트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인터넷주소가 입력되면 이를 수신하고, 상기 인터넷주소에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키워드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워드, 자국어, 홍보, 안내

Description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방법{Native Language Keyword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 은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국어 키워드 안내 방법의 동작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 및
도 4 a 내지 d 는 본 발명에 의해 자국어 키워드 안내가 디스플레이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라이언트의 인터넷 주소 입력창에 문자열이 입력되거나 접속 사이트의 변경에 의해 인터넷주소가 변경되는 경우 입력되는 문자열이나 인터넷주소에 해당하는 자국어 키워드를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 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internet)이란 단순히 몇 개의 컴퓨터가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network)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거대한 연결망이며, 이러한 인터넷에 연결된 각 컴퓨터들은 서로를 식별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주소 즉,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할당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인 주소는 255를 넘지 않는 숫자들로 이루어진 4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예를 들어, 134.78.238.99)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숫자열을 기억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인터넷에 연결된 특정 컴퓨터로 접속하고자 할 때마다 사용자가 이러한 IP 주소를 일일이 기입한다는 것은 대단히 번거로운 일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주소를 직접 이용하여 각 컴퓨터에 접속하는 대신에 IP 주소를 기억하기 쉬운 문자열의 조합과 일대일 대응을 시키고, 사용자가 문자열을 입력하면 해당되는 IP 주소를 가지는 컴퓨터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IP 주소 대신에 사용되는 문자들의 조합을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이라고 한다.
한편, 최근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웹 호스팅 서비스(webhosting service) 즉,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실질적인 호스트 컴퓨터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도메인 네임을 등록 받고자 하는 자에게 자신의 호스트 컴퓨터를 사용하여 등록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이용하여 도메인 네임을 등록한 경우에는, IP 주소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이 하나 이상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메인 네임이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인터넷 상에서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그 컴퓨터의 특성 또는 지리적 위치 등을 표시하는 식별자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자 메일(e-mail)의 주소인 'james@ABC.co.kr' 중에서 'ABC.co.kr'이 실질적인 도메인 네임이 되며, IP 주소 체계인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인 'http://www.ABC.co.kr' 중에서 'ABC.co.kr'이 실질적인 도메인 네임이 된다. 그리고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의 주소를 나타내는 URL 예를 들어, ''http//www.internic.net/index.html'에서는 'internic.net'이 도메인 네임이 되고, 'index.html'은 해당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파일 네임이 된다.
따라서, 각 컴퓨터의 IP 주소 대신에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컴퓨터의 IP 주소와 도메인 네임을 대응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인터넷에 연결된 각 컴퓨터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즉, 도메인 네임 서버(domain name server, 일명 'DNS')와 연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인터넷 상의 특정 서버(또는 컴퓨터)로 접속하기 위하여 해당 서버의 도메인 네임 예를 들어 'def.co.kr' 에 대한 IP 주소 확인을 설정된 도메인 네임 서버로 요청하면, 도메인 네임 서버는 IP 주소를 관장하는 등록 기관의 서버로 입력되는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문의하고, 등록 기관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IP 주소를 클라이언트로 리턴시키며, 이에 따라 클라이 언트는 해당 IP 주소를 가지는 서버로 접속된다.
도 1은 상기와 같이 도메인 네임 서버를 매개로 하여 도메인 네임으로 상대방 컴퓨터와 통신할 때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50)에서 구동된 웹브라우저에서 도메인 네임(www.kipo.go.kr)을 입력하면, 웹브라우저는 먼저 도메인 네임 서버(60)에 도메인 네임에 대한 IP 주소를 질의한다. 그러면, 도메인 네임 서버(60)는 질의된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독출하여 클라이언트(50)에서 실행 중인 웹브라우저에 전송하여 준다. 이때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60)는 질의된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어드레스를 리턴하기 위해 루트 네임 서버 등 다른 도메인 네임 서버에 질의하고 그 결과를 응답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60)로부터 IP 주소가 웹브라우저로 전송되면, 웹브라우저는 전송받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컴퓨터 또는 서버(70)와 상호 통신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된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상의 특정 컴퓨터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메인 네임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도메인 네임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만들어진 영문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국 또는 일본, 중국 등 비영어권 국가의 국민들은 영어권 국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도메인 네임을 외우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영어 또는 영어 이외의 언어인 해당 국가의 자국어로 이루어진 도메인 네임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를 해당 웹페이지로 접속시키는 시스템 이 개발되어, 사용자가 웹브라우저 등에서 기존의 도메인 네임 형식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해당 웹페이지가 실제 불려지는 자국어 키워드를 입력하여도 해당 웹페이지로 클라이언트를 접속시키는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자국어 키워드를 이용하여 해당 웹페이지로 클라이언트를 접속시키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웹페이지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웹페이지에 해당하는 자국어 키워드를 알아야 하므로, 웹페이지 운영자는 해당하는 웹페이지와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를 사용자에게 알려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국어 키워드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인터넷주소를 입력하여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자국어 키워드를 노출하여 자국어 키워드 이용을 자연스럽게 유도, 홍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주소 입력창에 문자열이 입력되거나, 접속 사이트의 변경에 의해 인터넷주소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에 매칭하는 자국어 키워드를 인터넷 주소 입력창에 표시하거나 팝업 또는 툴바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은, 인터넷주소에 대응하여 자국어 키워드가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는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클라이언트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문자열이 입력되거나 접속 사이트의 변경에 의해 인터넷주소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에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웹브라우저에 검출된 키워드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자국어 키워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국어 키워드 정보 제공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되는 문자열을 수신하고, 검출된 자국어 키워드를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를 판별하고, 상기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와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출하며, 검출된 자국어 키워드가 상기 클라이언트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되도록 하는 자국어 키워드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입력값이 인터넷주소인가를 판단하여, 인터넷주소가 아니면 자국어 키워드 제공을 위한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다음 입력값을 기다리는 인터넷주소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는 하나의 인터넷주소에 등록된 자국어 키 워드가 하나 이상일 때, 상기 복수의 자국어 키워드가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된 자국어 키워드가 클라이언트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 자국어 키워드의 우선 순위는, 설정 기간 동안의 자국어 키워드 이용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설정 기간 동안 자국어 키워드의 이용량에 따른 순위를 설정하는 이용도 측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국어 키워드 제공부는 자국어 키워드의 등록자의 자국어 키워드 표시 순위 설정 명령에 따라 순위를 수정하는 수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되는 자국어 키워드 정보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문구가 디스플레이된 팝업창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되는 자국어 키워드 정보는 인터넷 주소 입력창에 설정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되는 자국어 키워드 정보는 툴바로 구현되는 자국어 키워드 입력창에 디스를레이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되는 자국어 키워드 정보는 상기 인터넷 주소 입력창에 마우스가 놓일 때 활성화되는 팝업창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자국어 키워드 제공부는, URL에 대응되는 자국어 키워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국어 키워드 미등록 안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인터넷주 소와 일치하는 값을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찾아 검출된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인터넷주소의 디렉토리 부분을 제거한 후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일치하는 값을 찾아 검출된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인터넷주소의 첫 번째 디렉토리 이하의 부분을 제거한 후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일치하는 값을 찾아 검출된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인터넷주소의 서브도메인 부분을 제거한 후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일치하는 값을 찾아 검출된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클라이언트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에서 자국어 키워드를 안내하는 방법은, a)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인터넷주소를 수신 단계;b)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인터넷 주소에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를 선택 및 추출하는 단계; 및 c) 추출된 상기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은 제공될 자국어 키워드가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URL에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가 복수일 경우 상기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의 키워드의 순위에 따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덱스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자국어 키워드 등록자 서버에서 표시할 키워드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키워드를 상기 인덱스 데이터 베이스의 키워드의 순위를 수정하는 단계;에 의해 수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정 기간 동안 상기 자국어 키워드의 이용량을 측정하는 이용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덱스 데이터 베이스의 상기 순위는, 상기 이용도 측정부의 측정 결과에 따라 순위를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정렬된 순위에 따라 상기 인덱스 데이터 베이스의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주소창에 문자열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인터넷주소 판단 및 판별을 수행하거나 접속 페이지의 변경에 따라 인터넷주소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인터넷주소 판단 및 판별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자국어 키워드 선택 시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인터넷주소 중에 상기 a) 단계에서 판별된 인터넷주소와 일치하는 값이 없는 경우 디렉토리를 제거한 후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를 검색하는 단 계; 및 b-3) 상기 디렉토리를 제거한 인터넷주와 일치하는 값이 없는 경우, 서브도메인을 제거한 후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를 검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4) 상기 b-3) 단계 수행 결과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가 없는 경우 유사결과 또는 유관 사이트의 자국어 키워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에서 제공되는 자국어 키워드 정보는 문자나 이미지, 또는 음성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페이지 접속 시스템은 인터넷 상에 등록되어 있는 인터넷주소에 대응하여 한글, 영어, 영어 이외의 외국어 또는 숫자, 기호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국어 키워드를 별도로 설정하여, 자국어 키워드를 이용한 웹페이지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국어 키워드"는 특히 회사명, 상호명, 상표 또는 서비스표 등의 실제 이름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터넷상의 특정 웹페이지의 IP 주소, 도메인 네임 및 URL을 포함하여 인터넷주소라 통칭한다.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을 포함하는 웹페이지 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e는 클라이언트 웹브라우저에 표시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도면 중 미도시)를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300)와 연결되어 있다.
클라이언트(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컴퓨터,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인터넷 접속 가능한 TV 등의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클라이언트(300)는 사용자가 이러한 클라이언트(300)로 특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해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이하, 주소창이라 함)에 URL, 자국어 키워드 등의 인터넷주소에 대한 문자열을 입력하거나, 웹브라우저의 구동에 의한 페이지 이동에 의해 인터넷주소가 변경되면, 입력된 문자열이나 인터넷주소가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100)으로 제공한다.
상기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100)은 상기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 라이언트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클라이언트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클라이언트(300)와 연결되어 있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100)은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를 제공받아서 상기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에 매칭하는 자국어 키워드를 검출하여 자국어 키워드 정보를 클라이언트(30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100)은 자국어 키워드 정보 제공부(110),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121, 이하 자국어 키워드 DB라 칭함) 및 이용도 측정부(130)를 포함한다.
자국어 키워드 DB(121)는 인터넷주소에 대응하여 자국어 키워드가 저장되는 것으로 자국어 키워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국어 키워드 도메인 네임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키워드 안내 시스템은 하나의 인터넷주소에 대해 복수의 자국어 키워드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된 자국어 키워드가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된다.
복수의 자국어 키워드에 대한 우선 순위는, 설정 기간 동안의 자국어 키워드 이용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용도 측정부(130)는 자국어 키워드 DB(121)에 연결되어 설정 기간동안 이용되는 자국어 키워드의 이용도를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DB를 갱신(update)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수정부(113)를 더 포함하여 키워드 등록자가 복수의 키 워드 중에서 안내되는 자국어 키워드를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수정부(113)에 순위 설정 명령을 입력하면 수정부(113)는 인덱스 데이터 베이스의 우선순위를 명령에 따라 수정한다.
자국어 키워드 정보 제공부(110)는 인터넷주소에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를 검출하여 클라이언트 웹페이지에 제공하는 것으로 송수신부(112), 처리부(111), 수정부(113)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12)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되는 문자열 또는 웹브라우저의 구동에 의해 변경되는 인터넷주소를 수신하여 처리부(111)에 인가하고, 처리부(111)에서 입력되는 자국어 키워드를 클라이언트(300)로 송신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열은 인터넷주소가 아닌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입력값이 인터넷주소인를 판단하여, 인터넷주소가 아니면 자국어 키워드 제공을 위한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다음 입력값을 기다리는 인터넷주소 판단부(114)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처리부(111)는 송수신부(112)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를 판별하여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를 자국어 키워드 DB(121)로부터 검출하고, 자국어 키워드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상기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은 키워드가 클라이언트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되는 팝업(pop-up)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팝업 플러그인을 포함하여, 도 4a 와 같이 팝업 윈도우(420)에 "주소창에 한글로 넷피아만 입력하세요."와 같 은 안내문구를 소정 시간 디스플레이하여 자국어 키워드를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상기 팝업 플러그 인은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주소 입력창(410)에 마우스가 놓일 때 팝업 윈도우(420)가 활성화 되어 자국어 키워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은 키워드가 웹페이지에 접속 중에 주소 입력창(41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주소창 플러그인을 포함하여, 접속 완료 시까지 웹브라우저의 주소창(410)에 자국어 키워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은 키워드가 툴바로 구현되는 자국어 키워드창(43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툴바 플러그인을 포함하여, 도 4b 와 같이 키워드창(430)에 "넷피아" 와 같은 자국어 키워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은 키워드가 도 4c 와 같이 브라우저의 일정 부분을 프레임으로 나누어 자국어 키워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음성정보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에 대응되는 자국어 키워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국어 키워드 미등록 안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미등록 안내 자국어 키워드 정보는, 상기 팝업 플러그인, 주소창 플러그인, 툴바 플러그인 등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국어 키워드 안내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 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클라이언트(300)에서 인터넷 접속을 위한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킨 후에 브라우저 상의 주소 입력창(410)에 문자열을 입력하면, 편리한 자국어 키워드를 안내하여 자연스러운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 팝업, 구분된 프레임, 또는 툴바에 자국어 키워드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클라이언트에서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가 입력되면(S100), 키워드 안내 시스템(100)의 수신부(112)가 수신하여(S110) 처리부(111)에 인가하고, 처리부(111)는 상기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를 판별하여(S120), 자국어 키워드 DB(121)에서 대응하는 자국어 키워드를 검출한다(S130). 검출된 키워드는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되어(S140) 자국어 키워드 정보가 웹페이지의 주소창, 툴바의 입력창, 구분된 프레임, 또는 팝업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되어(S150) 사용자에게 자국어 키워드 사용을 용이하게 알리고 사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키워드 정보 제공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어온 전체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에 대하여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있을 경우 전체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에 매칭하는 자국어 키워드를 선택한다. 즉, '임병길블로그'라는 키워드가 'blog.naver.com/willbie'와 매칭되어 있을 경우 'blog.naver.com/willbie'는 '네이버'에 매칭되는 것이 아니라 '임병길블로그'에 매칭되어 '임병길블로그'라는 키워드가 안내 된다.
그러나,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 없을 경우 먼저, '도메인/디렉토리' 구 조에서 디렉토리 부분을 인식하지 않는다. 즉, 'www.naver.com/blog/'의 경우 디렉토리인 /blog/ 부분을 인식하지 않고 'www.naver.com'을 검색하여 일치하는 키워드를 검색하므로 둘 다 '네이버'라는 키워드가 안내된다. 단, 해당 사이트가 싸이월드와 까페24와 같이 개인화 서비스를 운영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첫 번째 디렉토리 부분까지 인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화 서비스를 운영하는 cyworld.nate.com/willbie의 경우 'cyworld.nate.com'와 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다.
디렉토리를 인식하지 않아도 일치하는 키워드가 없을 경우, 서브 도메인 부분을 제거한 후 자국어 키워드를 검색한다. 즉, 서브도메인 부분을 www와 같은 것으로 인식하여 'www.naver.com' 과 'search.naver.com'은 '네이버' 라는 같은 키워드가 매칭되도록 한다. 단, 별도의 자국어 키워드로 등록하거나 개인화 서비스 운영사이트의 경우 각각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www.cafe24.com 와 willbie.cafe24.com은 서로 다른 키워드가 매칭된다.
이상의 자국어 키워드 검출 방법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방법이 별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디렉토리와 서브도메인 제거 후에도 대응되는 키워드가 없을 경우에는 유사 결과를 표시하거나 유관 사이트의 한글 주소를 표기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 없을 경우 자국어 키워드 미등록 사이트임을 안내하는 메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인터넷주소에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가 복수개일 경우 자국어 키워드가 우선 순위에 따라 제공된다.
복수 자국어 키워드의 우선 순위는 자국어 키워드를 등록한 등록자가 수정부(113)를 통하여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측정부(130)를 통해 측정되는 키워드의 랭킹에 따라 DB를 업데이트하여 사용도가 높은 자국어 키워드가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300)에서 구동되는 웹브라우저 예컨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플러그인 될 자국어 키워드 안내 플러그인을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 하여 줄 다운로드 서버(도면 중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은 도메인 네임 서버와 같은 인터넷 접속 시스템을 통해 클라이언트에서 입력된 문자열을 수신할 수 있다.
웹브라우저 상단의 메뉴창과 주소창(410)은 웹브라우저 이용시 가장 주목이 높은 공간이며, 특히 주소창은 웹페이지 주소입력 이외에는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웹브라우저에서 단순히 URL만을 입력하는 기능 뿐이던 주소창에 자국어 키워드를 노출시켜, 웹페이지 운영자가 용이하게 자국어 키워드 정보를 접속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에 따르면, 자국어 키워드 안내를 사용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알릴 수 있고, 웹브라우저 이용 시 가장 주목도가 높은 곳에 노출시킴으로써 자국어 키워드 서비스의 사용을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Claims (11)

  1. 인터넷주소에 대응하여 특정 문자열을 응답하는 데이터 응답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주소에 대응하여 자국어 키워드가 저장되어 있는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 및
    클라이언트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문자열이 입력되거나 접속 사이트의 변경에 의해 인터넷주소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문자열 또는 인터넷주소에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입력값이 인터넷주소인를 판단하여, 인터넷주소가 아니면 자국어 키워드 제공을 위한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다음 입력값을 기다리는 인터넷주소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인터넷주소에 대해 복수의 자국어 키워드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된 자국어 키워드가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 자국어 키워드의 우선 순위는, 설정 기간 동안의 자국어 키워드 이용량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자국어 키워드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웹브라우저 주소창, 툴바의 입력창, 팝업창, 웹페이지의 하나에 표시되거나 음성정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인터넷주소와 일치하는 값을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찾아 검출된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인터넷주소의 디렉토리 부분을 제거한 후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일치하는 값을 찾아 검출된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인터넷주소의 첫 번째 디렉토리 이하의 부분을 제거한 후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일치하는 값을 찾아 검출된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인터넷주소의 서브도메인 부분을 제거한 후 상기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일치하는 값을 찾아 검출된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11. 클라이언트와 연결되어 있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에서 자국어 키워드를 안내하는 방법에서,
    a)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인터넷주소를 수신 단계;
    b) 자국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인터넷주소에 매칭되는 자국어 키워드를 선택 및 추출하는 단계; 및
    c) 추출된 상기 자국어 키워드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국어 키워드 안내 방법.
KR1020060057240A 2006-06-26 2006-06-26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0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240A KR20080000034A (ko) 2006-06-26 2006-06-26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240A KR20080000034A (ko) 2006-06-26 2006-06-26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34A true KR20080000034A (ko) 2008-01-02

Family

ID=3921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240A KR20080000034A (ko) 2006-06-26 2006-06-26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0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473B1 (ko) * 2010-01-13 2012-01-31 주식회사 덴티스 발광다이오드 무영등
US8911116B2 (en) 2011-04-01 2014-12-16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ight-emitting diode (LED) floodligh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473B1 (ko) * 2010-01-13 2012-01-31 주식회사 덴티스 발광다이오드 무영등
US8911116B2 (en) 2011-04-01 2014-12-16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ight-emitting diode (LED) floodligh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2433B (zh) 用于访问网络资源的系统和方法
US8661094B2 (en) WWW addressing
USRE43690E1 (en) Search engine request method, product, and apparatus
US8903899B1 (en) Reduction of perceived DNS lookup latency
CN101262477A (zh) 用于检测多个ip地址的系统和方法
KR100463208B1 (ko) 로컬 네임 서버 중심의 내부 도메인 시스템 구현 방법
US20070130151A1 (en) Using errors to perform a search
EP1756727A1 (en) Native language internet address system
KR20010044014A (ko) 리얼 네임을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17335A (ko) 검색어가 포함된 텍스트를 기초로 검색 사이트를 특정하여 검색 결과를 요청하는 검색 중계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24295A (ko) 리얼 네임을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836864A (zh) 一种域名访问纠错方法及装置
KR20080000034A (ko) 자국어 키워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WO1999040517A1 (fr) Procede de connexion sur internet par nom reel pour reseau informatique, et systeme de reseau informatique utilise a cet effet
JP5588845B2 (ja) 不正ドメイン検知装置、不正ドメイン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10035059A (ko) 숫자를 사용한 인터넷 주소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20150140298A (ko) 스마트 검색 서비스
RU2002111687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исполнения услуг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доменных имен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ациональных языков в неанглоязычных странах
KR100464582B1 (ko) 자국어 키워드 네임을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70088193A (ko) 주소창을 이용한 검색 방법
KR101006853B1 (ko) 다국어 도메인 네임 변환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변환 방법
KR20050052720A (ko) 사용자 설정가능한 도메인네임 관리방법
KR100531003B1 (ko) 리얼 네임을 이용한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2972B1 (ko)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5288B1 (ko) 특수문자 등과 표지어의 조합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점획득 시스템 및 그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