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677A - Polymer blends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 / alpha-olefins and flexible 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 - Google Patents

Polymer blends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 / alpha-olefins and flexible 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677A
KR20070121677A KR1020077021224A KR20077021224A KR20070121677A KR 20070121677 A KR20070121677 A KR 20070121677A KR 1020077021224 A KR1020077021224 A KR 1020077021224A KR 20077021224 A KR20077021224 A KR 20077021224A KR 20070121677 A KR20070121677 A KR 20070121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olymer
olefin
interpolymer
polymer bl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스티븐 마크 호닉
윤와 윌슨 청
댄 몰도반
웬빈 리앙
츄이웨이 앨리스 청
레이 에이버리 루이스
존 뉴턴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121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6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 C08F297/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6Catalysts comprising at least two different metals, in metallic form or as compounds thereof, in addition to the 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2)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또는 1종 이상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폴리올레핀은 고용융 강도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용융 강도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경질 블록 및 하나 이상의 연질 블록을 포함하는 랜덤 블록 공중합체이다. 폴리올레핀은 단독중합체 또는 혼성중합체일 수 있다. 생성된 중합체 블렌드를 사용하여 가요성 성형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mer blend comprising 1) at least on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and 2) at least one polyolefin, or at least one styrenic block copolymer, or a combination thereof. Such polyolefi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high melt strength 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are random block copolymers comprising one or more hard blocks and one or more soft blocks. The polyolefin may be a homopolymer or interpolymer. The resulting polymer blend can be used to make flexible molded articles.

Description

에틸렌/알파-올레핀의 혼성중합체로부터의 중합체 블렌드 및 그로부터 제조된 가요성 성형 물품 {Polymer Blends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Alpha-olefins and Flexible 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Polymer Blends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 / Alpha-olefins and Flexible 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 이 블렌드의 제조 방법, 및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성형 제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mer blend comprising at least on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and at least one polyolefin, to a process for making the blend, and to molded articles made from the blend.

오직 미국 내에서의 내구성 제품의 제조는 백만 톤의 연간 플라스틱 소비량을 차지한다. 내구성 제품은 자동차, 건설, 제약, 식품 및 음료, 전기, 기구, 사무 기기, 및 소비 시장과 같은 다양한 시장에서 발견되는 오래 이용가능한 제조 제품이다. 이러한 시장 내의 일부 적용은 가요성 중합체 또는 중합체 블렌드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적용은 장난감, 자루, 부드러운 감촉 손잡이, 범퍼 마찰 스트립, 마루, 자동차 바닥 매트, 바퀴, 다리 바퀴, 가구 및 기구 하부, 꼬리표, 봉인, 정적 및 동적 개스킷과 같은 개스킷, 자동차 문, 범퍼 띠, 그릴 요소, 로커 패널 (rocker panel), 호스, 라이닝, 사무용품, 밀봉, 라이너, 다이어프램 (diaphragm), 관, 뚜껑, 마개, 플런저 팁, 전달 시스템, 주방용품, 신발, 신발 블래더 (shoe bladder) 및 신발 밑창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manufacturing of durable products only in the United States accounts for one million tons of plastic annually. Durable products are long-lived manufactured products found in a variety of markets such as the automotive, construction, pharmaceutical, food and beverage, electrical, appliance, office equipment, and consumer markets. Some applications within this market require the use of flexible polymers or polymer blends. Such applications include toys, sacks, soft hand grips, bumper friction strips, floors, car floor mats, wheels, casters, furniture and appliance undercarriage, tags, seals, gaskets such as static and dynamic gaskets, car doors, bumper strips, grills Elements, rocker panels, hoses, linings, office supplies, seals, liners, diaphragms, tubes, lids, stoppers, plunger tips, delivery systems, kitchenware, footwear, shoe bladder and footwear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soles.

내구성 제품 적용에 사용하기 위해, 중합체 또는 중합체 블렌드는 양호한 가공성 (예를 들어, 성형성), 매력적인 외관 (예를 들어, 투명성 또는 착색성), 적합한 표면 특성 (예를 들어, 기판에 대한 양호한 접착, 고무 같은 느낌, 끈적이지 않음 및 양호한 페인트성), 및 양호한 기계적 특성의 조합 (예를 들어, 가요성, 내열성, 내마멸성 및/또는 내스크래치성, 인성, 인장 강도 및 압축 영구변형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구성 제품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는 일부 중합체는 가요성 폴리비닐클로라이드 (f-PVC), 폴리(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SBS), 폴리(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SEBS), 열가소성 가황물 (TPV),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 및 폴리올레핀 단독중합체 및 폴리올레핀 혼성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을 포함한다.For use in durable product applications, the polymer or polymer blend has good processability (eg, formability), attractive appearance (eg, transparency or colorability), suitable surface properties (eg, good adhesion to a substrate, Rubbery feel, non-sticky and good paintability), and a combination of good mechanical properties (eg, flexibility,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 or scratch resistance, toughness, tensile strength and compression set) Do. Some polymers with suitable properties for durable products include flexible polyvinylchloride (f-PVC), poly (styrene-butadiene-styrene) (SBS), poly (styrene-ethylene / butadiene-styrene) (SEBS), thermoplastic vulcanizates (TPV), 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 and polyolefins such as polyolefin homopolymers and polyolefin interpolymers.

성형의 용이함, 양호한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을 위한 내구성 제품 적용에서의 사용을 위한 폴리프로필렌 (PP)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과 같은 일부 폴리올레핀의 넓은 수용성이 발견되었다. 또한, 내구성 제품의 부품의 제조에 의해 요구되는 수요를 충족시키는 폴리올레핀과 다른 중합체의 블렌드를 기재로 하는 많은 제형물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를 사용하여 인조 잔디 적용을 위한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Wide water solubility of some polyolefins, such as polypropylene (PP) and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has been found for use in durable product applications for ease of molding, good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addition, many formulation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blends of polyolefins and other polymers that meet the demands required by the manufacture of parts of durable products. For example, blends of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can be used to make fibers for artificial turf applications.

추가로, 일부 폴리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폴리올레핀 혼성중합체를 비롯한 일부 가요성 중합체는 점착성일 수 있고, 이러한 특성은 일부 가공 또는 적용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지방산 아미드, 왁스 또는 다른 비점착성 중합체와 같은 첨가제를 이러한 가요성 중합체와 혼합하여 이들의 점착성을 감소시킬 수 있 다. 그러나, 이러한 첨가제는 약간의 정도에 대해서만 효율적이고, 이들 자체가 일부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In addition, some flexible polymers, including some polyolefin homopolymers or polyolefin interpolymers, may be tacky and this property is undesirable in some processing or applications. In general, additives such as fatty acid amides, waxes or other non-tacky polymers can be mixed with these flexible polymers to reduce their tack. However, such additives are known to be effective only to a certain extent, and they themselves have some undesirable properties.

다양한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블렌드의 이용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특성 및 성는 특징이 개선된 신규한 중합체 또는 신규한 중합체 블렌드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Despite the availability of various polyolefins and blends thereof, there is a continuing need for new polymers or new polymer blends with improved properties and properties.

<발명의 개요><Overview of invention>

상술한 필요는 본 발명의 다양한 면에 의해 충족된다. 일면에서,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및 1종 이상의 추가적인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인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Mw/Mn이 약 1.7 내지 약 3.5이고, 하나 이상의 융점 (Tm) (섭씨 온도), 및 밀도 (d) (g/cm3)를 가지며, 상기 Tm 및 d의 수치는 하기 관계식에 상응한다.The foregoing needs are met by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aspect, the invention relates to a polymer blend comprising at least on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and at least one additional polymer. Additional polymers may be polyolefins, styrenic block copolymers, polyvinylchloride, thermoplastic polyurethanes, and the like. In one embodimen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has a Mw / Mn of about 1.7 to about 3.5, has one or more melting points (Tm) (degrees C), and a density (d) (g / cm 3 ), The numerical values of Tm and d correspond to the following relations.

Tm ≥ -2002.9 + 4538.5(d) - 2422.2(d)2 Tm ≥ -2002.9 + 4538.5 (d)-2422.2 (d) 2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Mw/Mn이 약 1.7 내지 약 3.5이고, 용융열 (ΔH) (J/g), 및 최고 DSC 피크와 최고 CRYSTAF 피크 사이의 온도 차이로 규정되는 델타 양 (ΔT) (섭씨 온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ΔT 및 ΔH의 수치는 하기 관계식을 가진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has a Mw / Mn of about 1.7 to about 3.5, defined by the heat of fusion (ΔH) (J / g),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DSC peak and the highest CRYSTAF peak. Delta T (degree Celsius), wherein the values of ΔT and ΔH have the following relationship.

ΔH가 0보다 크고 130 J/g 이하인 경우 ΔT > -0.1299(ΔH) + 62.81ΔT> -0.1299 (ΔH) + 62.81 if ΔH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130 J / g

ΔH가 130 J/g보다 클 경우 ΔT ≥ 48℃ΔT ≥ 48 ° C when ΔH is greater than 130 J / g

(여기서, CRYSTAF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5% 이상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누적 중합체의 5% 미만이 식별 가능한 CRYSTAF 피크를 가질 경우, CRYSTAF 온도는 30℃임) Wherein the CRYSTAF peak is determined using at least 5% of the cumulative polymer, and if less than 5% of the cumulative polymer has an identifiable CRYSTAF peak, the CRYSTAF temperature is 30 ° C.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압축 성형 필름으로 측정한 300% 변형률 및 1 사이클에서의 탄성 회복률 (Re) (%)를 특징으로 하고, 밀도 (d) (g/cm3)를 가지며,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실질적으로 가교상을 함유하지 않을 때, 상기 Re 및 d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을 만족시킨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are characterized by 300% strain and elastic recovery in one cycle (Re) (%) as measured by compression molded films of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d) When (g / cm 3 ), and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contain substantially no crosslinked phase, the values of Re and d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ship.

Re >1481-1629(d)Re> 1481-1629 (d)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TREF를 사용하여 분별시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상기 분획물이 동일한 온도 범위에서 용출되는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 분획물의 공단량체 몰 함량보다 5% 이상 높은 공단량체 몰 함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와 동일한 공단량체를 가지고,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10% 이내의 용융지수, 밀도, 및 공단량체 몰 함량 (전체 중합체 기준)을 가진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have molecular fractions that elute at 40 ° C. to 130 ° C. when fractionated using TREF, wherein the fractions of the comparative random ethylene interpolymer fractions are eluted at the same temperature range. And a comonomer molar content of at least 5% higher than the comonomer molar content, wherein the comparative random ethylene interpolymer has the same comonomer as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and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Melt index, density, and comonomer molar content (based on total polymer) of less than 10%.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25℃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G'(25℃)), 및 100℃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G'(100℃))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G'(25℃) 대 G'(100℃)의 비율은 약 1:1 내지 약 10:1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is characterized by a storage modulus at 25 ° C. (G ′ (25 ° C.)), and a storage modulus at 100 ° C. (G ′ (100 ° C.)), The ratio of G ′ (25 ° C.) to G ′ (100 ° C.) is about 1: 1 to about 10: 1.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TREF 사용하여 분별시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블록 지수가 0.5 이상 및 약 1 이하이고, 분자량 분포 (Mw/Mn)가 약 1.3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분자 분획물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평균 블록 지수는 0 초과 및 약 1.0 이하이고, 분자량 분포 (Mw/Mn)는 약 1.3 초과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has a block index of at least 0.5 and about 1 or less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 Mn) of greater than about 1.3, eluted at 40 ° C. to 130 ° C. when fractionated using TREF. At least one molecular f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average block index of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is greater than 0 and up to about 1.0 and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 Mn) is greater than about 1.3.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내의 α-올레핀은 스티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 노르보르넨, 1-데센, 1,5-헥사디엔,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α-olefins in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are styrene, propylene, 1-butene, 1-hexene, 1-octene, 4-methyl-1-pentene, norbornene, 1-decene, 1,5-hexadiene, or a combination thereof.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총 조성물의 약 5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범위 내에 존재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is present in the range of about 5% to about 95%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폴리올레핀은 올레핀 단독중합체, 올레핀 공중합체, 올레핀 삼원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olyolefin is an olefin homopolymer, olefin copolymer, olefin terpolymer or a combination thereof.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추가적인 중합체는 고용융 강도 폴리프로필렌, 고용융 강도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co-(부텐)-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dditional polymer is a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high melt strength high density polyethylene, ethylene / propylene copolymer,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ethylene / propylene / diene terpolymer, styrene-ethylene-co -(Butene) -styrene block copolymer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블렌드는 일부 경우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가소제, 오일, 산화방지제, UV 안정화제, 착색제 또는 안료, 충전제, 윤활제, 무적제 (antifogging agent), 흐름 보조제, 커플링제, 가교제, 기핵제, 계면활성제, 용 매, 난연제, 대전방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olymer blend is in some cases a slip agent, antiblocking agent, plasticizer, oil, antioxidant, UV stabilizer, colorant or pigment, filler, lubricant, antifogging agent, flow aid, coupling agent, crosslinker, I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additives which may be nucleating agents, surfactants, solvents, flame retardants, antistatic ag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는 가요성 성형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가요성 성형 물품은 장난감, 자루, 부드러운 감촉 손잡이, 범퍼 마찰 스트립, 마루, 자동차 바닥 매트, 바퀴, 다리 바퀴, 가구 및 기구 하부, 꼬리표, 봉인, 정적 및 동적 개스킷과 같은 개스킷, 자동차 문, 범퍼 띠, 그릴 요소, 로커 패널, 호스, 라이닝, 사무용품, 밀봉, 라이너, 다이어프램, 관, 뚜껑, 마개, 플런저 팁, 전달 시스템, 주방용품, 신발, 신발 블래더, 신발 밑창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In some embodiments, the flexible molded article may be a toy, a sack, a soft hand grip, a bumper friction strip, a floor, an automobile floor mat, wheels, casters, furniture and utensil undercarriage, tags, seals, gaskets such as static and dynamic gaskets, Automotive doors, bumper straps, grill elements, rocker panels, hoses, linings, office supplies, seals, liners, diaphragms, tubes, lids, stoppers, plunger tips, delivery systems, kitchenware, shoes, shoe bladders, shoe soles and their Combinations.

도 1은 통상의 랜덤 공중합체 (원으로 나타냄) 및 지글러-나타 공중합체 (삼각형으로 나타냄)와 비교된 본 발명의 중합체 (다이아몬드로 나타냄)의 융점/밀도 관계를 나타낸다.FIG. 1 shows the melting point / density relationship of th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d by diamond) compared to conventional random copolymers (indicated by circles) and Ziegler-Natta copolymers (indicated by triangles).

도 2는 다양한 중합체에 대한 DSC 용융 엔탈피의 함수로서의 델타 DSC-CRYSTAF의 플롯을 나타낸다. 다이아몬드는 랜덤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사각형은 중합체 실시예 1 내지 4; 삼각형은 중합체 실시예 5 내지 9; 원은 중합체 실시예 10 내지 19를 나타낸다. 기호 "X"는 중합체 실시예 A* 내지 F*를 나타낸다.2 shows a plot of delta DSC-CRYSTAF as a function of DSC melt enthalpy for various polymers. Diamonds are random ethylene / octene copolymers; Squares are polymers Examples 1-4; Triangles are polymers Examples 5-9; Circles represent Polymer Examples 10-19. The symbol "X" represents Polymer Examples A * to F * .

도 3은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 (사각형 및 원으로 나타냄) 및 통상의 공중합체 (다양한 다우 어피니티 (Dow AFFINITY)® 중합체이며, 삼각형으로 나타냄)로부터 제조된 비배향 필름에 대한 탄성 회복률에 대한 밀도의 효과를 나타낸다. 사각형은 본 발명의 에틸렌/부텐 공중합체를 나타내며, 원은 본 발명의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나타낸다.Figure 3 (represented by squares and circles) co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copolymer density on elastic recovery for the produced non-oriented film from (various Dow Affinity (Dow AFFINITY) and ® polymer, indicated by a triangle) Indicates the effect. Squares represent ethylene / butene co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ircles represent ethylene / octene co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실시예 5의 중합체 분획물 (원으로 나타냄) 및 비교 중합체 비교예 E* 및 F* (기호 "X"로 나타냄)의 TREF 용출 온도에 대한 TREF 분별된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분획물의 옥텐 함량의 플롯이다. 다이아몬드는 통상의 랜덤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나타낸다.4 shows TREF fractionated ethylene / 1-octene copolymer fractions for the TREF elution temperature of the polymer fraction of Example 5 (shown as circles) and the comparative polymers Comparative Examples E * and F * (shown with the symbol “X”). It is a plot of octene content. Diamonds represent conventional random ethylene / octene copolymers.

도 5는 실시예 5 (곡선 1)의 중합체 및 비교예 F* (곡선 2)의 중합체 분획물의 TREF 용출 온도에 대한 TREF 분별된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분획물의 옥텐 함량의 플롯이다. 사각형은 중합체 실시예 F*를, 삼각형은 실시예 5를 나타낸다.5 is a plot of the octene content of the TREF fractionated ethylene / 1-octene copolymer fraction versus the TREF elution temperature of the polymer of Example 5 (curve 1) and the polymer fraction of Comparative Example F * (curve 2). Squares represent polymer Example F * and triangles represent Example 5.

도 6은 비교용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곡선 2)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곡선 3) 및 상이한 양의 사슬 이동제 (chain shuttling agent)를 사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2종의 에틸렌/1-옥텐 블록 공중합체 (곡선 1)에 대한 온도의 함수로서의 저장 모듈러스의 로그의 그래프이다.FIG. 6 shows two ethylene / inventions of the invention prepared using a comparative ethylene / 1-octene copolymer (curve 2) and a propylene / ethylene copolymer (curve 3) and different amounts of chain shuttling agent. It is a graph of the log of storage modulus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for 1-octene block copolymer (curve 1).

도 7은 일부 공지된 중합체와 비교된 본 발명의 일부 중합체 (다이아몬드로 나타냄)에 대한, 굴곡 모듈러스에 대한 TMA (1 mm)의 플롯을 나타낸다. 삼각형은 다양한 다우 버시파이 (Dow VERSIFY)® 중합체를 나타내고, 원은 다양한 랜덤 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나타내고, 사각형은 다양한 다우 어피니티® 중합체를 나타낸 다.FIG. 7 shows a plot of TMA (1 mm) versus flexural modulus for some 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represented with diamonds) compared to some known polymers. Triangles represent various Dow beosi pie (Dow VERSIFY) ® polymer, a circle is shown a variety of different Dow Affinity ® polymer random ethylene / styrene copolymers show the square.

도 8은 성분 A (즉, 크라톤 (KRATON)® G1652, SEBS) 및 성분 B (즉, 다우 어피니티® EG8100 또는 본 발명의 중합체 19a, 19b 또는 19i)를 함유하는 2 성분 블렌드의 인장 회복율을 나타낸다. 원은 크라톤® G1652 및 다우 어피니티® EG8100를 함유하는 블렌드 (즉, 각각 0%, 25%, 50%, 75% 및 100%의 다우 어피니티® EG8100를 가지는 비교예 Y1 내지 Y5)를 나타낸다. 다이아몬드는 크라톤® G1652 및 본 발명의 중합체 19a를 함유하는 블렌드 (즉, 각각 25%, 50%, 75% 및 100%의 중합체 19a를 갖는 실시예 34 내지 37)를 나타낸다. 삼각형은 크라톤® G1652 및 본 발명의 중합체 19b를 함유하는 블렌드 (즉, 각각 25%, 50%, 75% 및 100%의 중합체 19b를 갖는 실시예 38 내지 41)를 나타낸다. 사각형은 크라톤® G1652 및 본 발명의 중합체 19i를 함유하는 블렌드 (즉, 각각 25%, 50%, 75% 및 100%의 중합체 19i를 갖는 실시예 42 내지 45)를 나타낸다. Figure 8 is the component A (i.e., KRATON (KRATON) ® G1652, SEBS) and Component B tensile recovery ratio of the two-component blend containing (i. E., Dow Affinity ® EG8100 or Polymer 19a, 19b or 19i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Circles represent the blend (i.e., Comparative Examples Y1 to Y5 each having a 0%, Dow Affinity ® EG8100 25%, 50%, 75% and 100%) containing KRATON ® G1652 and Dow Affinity ® EG8100 . Diamond represents the KRATON ® G1652 and the blend containing the polymer of the invention 19a (19a in the embodiment having a polymer that is, 25%, 50%, 75% and 100% Examples 34 to 37). Triangle represents the KRATON ® G1652 and the 19b containing a polymer blend of the invention (embodiment that is, having 25%, 50%, 75% and 100% of Polymer 19b of Example 38 to 41). Square represents the KRATON ® G1652 and the blend containing the polymer 19i of the invention (prepared with the polymer of 19i that is, each 25%, 50%, 75% and 100%, for example 42 to 45).

도 9는 성분 A (즉, 크라톤® G1652, SEBS) 및 성분 B (즉, 다우 어피니티® EG8100 또는 본 발명의 중합체 19a, 19b 또는 19i)를 함유하는 2 성분 블렌드의 내열성 특성 (즉, TMA 온도)를 나타낸다. 원은 크라톤® G1652 및 다우 어피니티® EG8100를 함유하는 블렌드 (즉, 각각 0%, 25%, 50%, 75% 및 100%의 다우 어피 니티® EG8100를 가지는 비교예 Y1 내지 Y5)를 나타낸다. 다이아몬드는 크라톤® G1652 및 본 발명의 중합체 19a를 함유하는 블렌드 (즉, 각각 25%, 50%, 75% 및 100%의 중합체 19a를 갖는 실시예 34 내지 37)를 나타낸다. 삼각형은 크라톤® G1652 및 본 발명의 중합체 19b를 함유하는 블렌드 (즉, 각각 25%, 50%, 75% 및 100%의 중합체 19b를 갖는 실시예 38 내지 41)를 나타낸다. 사각형은 크라톤® G1652 및 본 발명의 중합체 19i를 함유하는 블렌드 (즉, 각각 25%, 50%, 75% 및 100%의 중합체 19i를 갖는 실시예 42 내지 45)를 나타낸다. 9 is component A (i.e., KRATON ® G1652, SEBS) and Component B (i.e., Dow Affinity ® EG8100 or Polymer 19a, 19b or 19i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component heat-resistant properties of the blend (i.e., TMA containing Temperature). Circles represent the blend (i.e., Comparative Examples Y1 to Y5 each having a 0%, Dow Affinity ® EG8100 25%, 50%, 75% and 100%) containing KRATON ® G1652 and Dow Affinity ® EG8100 . Diamond represents the KRATON ® G1652 and the blend containing the polymer of the invention 19a (19a in the embodiment having a polymer that is, 25%, 50%, 75% and 100% Examples 34 to 37). Triangle represents the KRATON ® G1652 and the 19b containing a polymer blend of the invention (embodiment that is, having 25%, 50%, 75% and 100% of Polymer 19b of Example 38 to 41). Square represents the KRATON ® G1652 and the blend containing the polymer 19i of the invention (prepared with the polymer of 19i that is, each 25%, 50%, 75% and 100%, for example 42 to 45).

일반적 정의General definition

"중합체"는 동일한 유형이든 또는 상이한 유형이든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중합체 화합물을 의미한다. 일반적 용어 "중합체"는, 용어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 및 "혼성중합체"를 포괄한다."Polymer" means a polymeric compound prepared by polymerizing monomers of the same or different types. The general term "polymer" encompasses the terms "homopolymer", "copolymer", "terpolymer" and "interpolymer".

"혼성중합체"는 2종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중합체를 의미한다. 일반적 용어 "혼성중합체"는 용어 "공중합체" (2종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하는 데 통용됨) 및 용어 "삼원공중합체" (3종의 상이한 유형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하는 데 통용됨)를 포함한다. 혼성중합체는 또한, 4종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중합체를 포괄한다."Interpolymer" means a polymer prepared by polymeriz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monomers. The general term "interpolymer" refers to the term "copolymer" (commonly used to refer to a polymer made from two different monomers) and the term "terpolymer" (a polymer made from three different types of monomers) Commonly used). Interpolymers also encompass polymers made by polymerizing four or more monomers.

용어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에틸렌과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은 전체 중합체의 대부분의 몰분율을 차지하며, 즉 에틸렌은 전체 중합체의 약 50 mol% 이상으로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은 약 60 mol% 이상, 약 70 mol% 이상, 또는 약 80 mol% 이상으로 포함되며, 전체 중합체의 실질적인 나머지는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인 1종 이상의 다른 공단량체로 구성된다. 다수의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의 경우, 바람직한 조성물은 전체 중합체의 약 80 mol% 초과의 에틸렌 함량 및 전체 중합체의 약 10 내지 약 15 mol%,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0 mol%의 옥텐 함량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저수율로 또는 소량으로 또는 화학 공정의 부산물로서 생성된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1종 이상의 중합체와 블렌딩될 수 있지만, 제조된 그대로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실질적으로 순수하고, 흔히는 중합 공정의 반응 생성물의 주요 성분을 구성한다.The term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generally refers to a polymer comprising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at least 3 carbon atoms. Preferably, ethylene comprises most of the mole fraction of the total polymer, ie ethylene comprises at least about 50 mol% of the total polymer. More preferably, ethylene comprises at least about 60 mol%, at least about 70 mol%, or at least about 80 mol%, with the substantial remainder of the entire polymer being preferably an α-olefin having 3 or more carbon atoms. It consists of more than one species of other comonomers. For many ethylene / octene copolymers, preferred compositions have an ethylene content of greater than about 80 mol% of the total polymer and an octene content of about 10 to about 15 mol%, preferably about 15 to about 20 mol% of the total polymer. Include. In some embodiments,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do not include those produced in low yield or in small amounts or as a byproduct of a chemical process.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may be blended with one or more polymers, bu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as prepared are substantially pure and often constitute a major component of the reaction product of the polymerization process.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공중합성 α-올레핀 공단량체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며, 화학적 또는 물리적 특성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중합된 단량체 단위의 다수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특징으로 한다. 즉,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블록 혼성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멀티블록 혼성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용어 "혼성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멀티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comprise ethylene and one or more copolymerizable α-olefin comonomers in polymerized form and are characterized by multiple blocks or segments of two or more polymerized monomer units that differ in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do. In other words,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are block interpolymers, preferably multiblock interpolymers or copolymers. The terms "interpolymer" and "copolymer" are used interchangeably herein. In some embodiments, the multiblock copolymer can be represented by the formula:

(AB)n (AB) n

식 중, n은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초과의 정수, 예컨대 2, 3, 4, 5, 10, 15,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또는 그 이상을 나타내고, "A"는 경질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나타내며, "B"는 연질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A 및 B는 실질적인 분지형 또는 실질적인 별형 방식과는 대조적으로 실질적인 선형 방식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A 블록 및 B 블록은 중합체 사슬을 따라 무작위로 분포된다. 즉, 블록 공중합체는 보통 하기와 같은 구조를 갖지 않는다.Wherein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preferably greater than 1, such as 2, 3, 4, 5, 10, 15, 20, 30, 40, 50, 60, 70, 80, 90, 100 or more "A" represents a hard block or segment and "B" represents a soft block or segment. Preferably, A and B are connected in a substantially linear manner as opposed to a substantially branched or substantially star form. In other embodiments, A blocks and B blocks are randomly distributed along the polymer chain. That is, the block copolymer usually does not have a structure as follows.

AAA-AA-BBB-BBAAA-AA-BBB-BB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블록 공중합체는 보통 상이한 공단량체(들)을 포함하는 제3 유형의 블록을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블록 A 및 블록 B는 각각 실질적으로 블록 내에 무작위로 분포되어 있는 단량체 또는 공단량체를 갖는다. 즉, 블록 A 및 블록 B는 모두 별개의 조성을 갖는 2종 이상의 하위-세그먼트 (또는 하위-블록), 예컨대 나머지 블록과 실질적으로 상이한 조성을 갖는 팁 세그먼트를 포함하지 않는다.In another embodiment, the block copolymers usually do not have a third type of block comprising different comonomer (s). In another embodiment, block A and block B each have monomers or comonomers substantially distributed randomly within the block. That is, block A and block B both do not include two or more sub-segments (or sub-blocks) having separate compositions, such as tip segments having compositions that ar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e remaining blocks.

멀티블록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다양한 양의 "경질" 및 "연질"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경질" 세그먼트는 에틸렌이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95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98 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하는 중합 단위의 블록을 나타낸다. 즉, 경질 세그먼트 내의 공단량체 함량 (에틸렌 이외의 단량체 함량)은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2 중량% 미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경질 세그먼트는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 에틸렌으로 구성된다. 반면, "연질" 세그먼트는 공단량체 함량 (에틸렌 이외의 단량체 함량)이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8 중량% 초과, 약 10 중량% 초과, 또는 약 15 중량% 초과인 중합 단위의 블록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연질 세그먼트 내의 공단량체 함량은 약 20 중량% 초과, 약 25 중량% 초과, 약 30 중량% 초과, 약 35 중량% 초과, 약 40 중량% 초과, 약 45 중량% 초과, 약 50 중량% 초과, 또는 약 60 중량% 초과일 수 있다.Multiblock polymers typically include varying amounts of "hard" and "soft" segments. A "hard" segment refers to a block of polymerized units in which ethylene is present in an amount greater than about 95 weight percent, preferably greater than about 98 weight percent, based on the weight of the polymer. That is, the comonomer content (monomer content other than ethylene) in the hard segment is less than about 5 weight percent, preferably less than about 2 weight percent based on the weight of the polymer. In some embodiments, the hard segments are all or substantially all composed of ethylene. In contrast, “soft” segments have a comonomer content (monomer content other than ethylene) of greater than about 5 weight percent, preferably greater than about 8 weight percent, greater than about 10 weight percent, or about 15 weight percent based on the weight of the polymer. Blocks of excess polymerized units are shown. In some embodiments, the comonomer content in the soft segment is greater than about 20 weight percent, greater than about 25 weight percent, greater than about 30 weight percent, greater than about 35 weight percent, greater than about 40 weight percent, greater than about 45 weight percent, about 50 Greater than or equal to about 60 weight percent.

연질 세그먼트는 종종 블록 혼성중합체 내에 블록 혼성중합체의 총 중량의 약 1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블록 혼성중합체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95 중량%, 약 1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약 15 중량% 내지 약 85 중량%, 약 20 중량% 내지 약 80 중량%, 약 25 중량% 내지 약 75 중량%, 약 30 중량% 내지 약 70 중량%, 약 35 중량% 내지 약 65 중량%, 약 40 중량% 내지 약 60 중량%, 또는 약 45 중량% 내지 약 55 중량%로 존재할 수 있다. 반대로, 경질 세그먼트는 유사한 범위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연질 세그먼트 중량 백분율 및 경질 세그먼트 중량 백분율은 DSC 또는 NMR로부터 얻어진 데이타를 기초로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및 계산은 "에틸렌/α-올레핀 블록 혼성중합체"라는 명칭으로, 콜린 엘.피.샨 (Colin L.P. Shan), 로니 해즐릿 (Lonnie Hazlitt) 등의 명의로 2006년 3월 15일자로 출원되고,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Dow Global Technologies Inc.)에 양도된, 명세의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혼입되고 동시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호 (알려지면 삽입함), 대리인 사건 번호 제385063-999558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soft segment is often from about 1% to about 99%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block interpolymer in the block interpolymer, preferably from about 5% to about 95%, about 10% by weight to the total weight of the block interpolymer From about 90 wt%, about 15 wt% to about 85 wt%, about 20 wt% to about 80 wt%, about 25 wt% to about 75 wt%, about 30 wt% to about 70 wt%, about 35 wt% About 65%, about 40% to about 60%, or about 45% to about 55% by weight. In contrast, hard segments may exist within a similar range. Soft segment weight percentages and hard segment weight percentages can be calculated based on data obtained from DSC or NMR. These methods and calculations are filed on March 15, 2006, under the name of "ethylene / α-olefin block interpolymers", in the name of Colin LP Shan, Lonnie Hazlitt, et al. And the entirety of the specification, assigned to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nd simultaneously filed (Inserted if known), agent case number 385063-999558.

용어 "결정질"은, 사용되는 경우,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 (DSC) 또는 동등한 기술에 의해 측정되는 1차 전이 온도 또는 결정 융점 (Tm)을 갖는 중합체를 나타낸다. 이 용어는 용어 "반결정질"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비정질"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 (DSC) 또는 동등한 기술에 의해 측정되는 결정 융점이 없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The term "crystalline", when used, refers to a polymer having a primary transition temperature or crystal melting point (Tm),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or equivalent technique. This term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term "semicrystalline". The term “amorphous” refers to a polymer having no crystalline melting point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or equivalent technique.

용어 "멀티블록 공중합체" 또는 "세그먼트화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선형 방식으로 연결된 2개 이상의 화학적으로 구별되는 구역 또는 세그먼트 ("블록"으로 지칭함)를 포함하는 중합체, 즉 펜던트 또는 그래프트 방식이라기 보다는 중합된 에틸렌 관능기에 대하여 말단 대 말단으로 연결된 화학적으로 차별화된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지칭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블록은 그 안에 혼입된 공단량체의 양 또는 유형, 밀도, 결정화의 양, 이러한 조성의 중합체에 기인하는 미세결정 크기, 입체 규칙성 (tacticity)의 유형 또는 정도 (이소택틱 또는 신디오택틱), 자리 (regio)-규칙성 또는 자리-불규칙성, 장쇄 분지화 또는 초-분지화 (hyper-branching)를 비롯한 분지화의 양, 균질성, 또는 임의의 다른 화학적 또는 물리적 특성이 상이하다. 멀티블록 공중합체는 특이한 공중합체 제조 방법으로 인한 특이한 다분산 지수 (PDI 또는 Mw/Mn)의 분포, 블록 길이 분포 및/또는 블록 수 분포를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속식 방법으로 제조되는 경우, 중합체는 1.7 내지 2.9,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 가장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1의 PDI를 바람직하게 갖는다. 배치식 방법 또는 반-배치식 방법으로 제조되는 경우, 중합체는 1.0 내지 2.9,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의 PDI를 갖는다.The term "multiblock copolymer" or "segmented copolymer" is preferably a polymer comprising two or more chemically distinct regions or segments (referred to as "blocks") connected in a linear manner, ie pendant or grafted manner. Rather, it refers to a polymer comprising chemically differentiated units that are linked end to end with respect to the polymerized ethylene functional group.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lock comprises the amount or type of comonomer incorporated therein, the density, the amount of crystallization, the microcrystalline size attributable to the polymer of this composition, the type or degree of tacticity (isotactic or syn Different amounts, homogeneity, or any othe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y of branching, including diotactic), regio-regular or site-irregularity, long chain branching or hyper-branching. Multiblock copolymers are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f specific polydispersity indices (PDI or Mw / Mn), block length distribution and / or block number distribution due to specific copolymer preparation methods. More specifically, when produced in a continuous process, the polymer preferably has a PDI of 1.7 to 2.9, preferably 1.8 to 2.5, more preferably 1.8 to 2.2 and most preferably 1.8 to 2.1. When produced in a batch or semi-batch process, the polymer has a PDI of 1.0 to 2.9, preferably 1.3 to 2.5, more preferably 1.4 to 2.0 and most preferably 1.4 to 1.8.

하기 기재에서, 본원에 개시된 모든 수치는, 그와 관련하여 용어 "약" 또는 "대략"이 사용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근사치이다. 이들은 1%, 2%, 5%, 또는 때로는 10 내지 20%만큼 다를 수 있다. 하한 (RL) 및 상한 (RU)을 갖는 수치 범위가 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는 임의의 수치가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범위 내의 하기 수치가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이다: R = RL + k*(RU-RL) (여기서, k는 1% 증분의 1% 내지 100% 범위의 변수이다. 즉, k는 1%, 2%, 3%, 4%, 5%,..., 50%, 51%, 52%,..., 95%, 96%, 97%, 98%, 99% 또는 100%임). 또한,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2개의 R 수치로 정의되는 임의의 수치 범위 역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ll values disclosed herein are approximations whether or not the term "about" or "approximately" is used in this regard. They may vary by 1%, 2%, 5%, or sometimes 10-20%. When a numerical range having a lower limit (R L ) and an upper limit (R U ) is disclosed, any numerical value included in the range is specifically disclosed. Specifically, the following numerical values within the range are specifically disclosed: R = R L + k * (R U -R L ) where k is a variable ranging from 1% to 100% in 1% increments, ie k Is 1%, 2%, 3%, 4%, 5%, ..., 50%, 51%, 52%, ..., 95%, 96%, 97%, 98%, 99% or 100% being). In addition, any numerical range defined by two R values as defined above is also specifically disclosed.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블록 혼성중합체 (하기 기재됨) 및 에틸렌/α-올레핀 블록 혼성중합체와 상이한 1종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중합체는 열가소성 중합체, 엘라스토머, 및 고무,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2종의 중합체를 언급할 때 용어 "상이하다"는 2종의 중합체는 조성 (공단량체 유형, 공단량체 함량 등), 구조, 특성, 또는 이들의 조합이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비록 이들이 동일한 양의 공단량체를 가진다고 할지라도, 블록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랜덤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와 상이하다. 이것이 랜덤 공중합체인지 블록 공중합체인지 또는 동일한 공단량체 함량을 가지든지에 관계없이 블록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에틸렌/부탄 공중합체와 상이하다. 또한 2종의 폴리올레핀은 비록 이들이 동일한 구조 및 조성을 가진다고 할지라도, 분자량이 상이하다면 상이한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비록 모든 다른 파라미터가 동일할 수 있을지라도, 랜덤 균일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랜덤 불균일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와 상이하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polymer blend comprising at least one ethylene / α-olefin block interpolymer (described below) and at least one polymer different from the ethylene / α-olefin block interpolymer. Additional polym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rmoplastic polymers, elastomers, and rubbers such as polyolefins, styrenic block copolymers, and the like. The term “different” when referring to two polymers means that the two polymers differ in composition (comonomer type, comonomer content, etc.), structure, properties, or combinations thereof. For example, although they have the same amount of comonomers, the block ethylene / octene copolymers differ from the random ethylene / octene copolymers. Block ethylene / octene copolymers differ from ethylene / butane copolymers whether they are random copolymers or block copolymers or have the same comonomer content. Two polyolefins are also considered different if they have different molecular weights, even if they have the same structure and composition. Also, although all other parameters may be the same, the random homogeneous ethylene / octene copolymer is different from the random heterogeneous ethylene / octene copolymer.

중합체 블렌드는 다양한 적용을 위한 성형 물품의 제조에 적합한 특이한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을 가진다. 블렌드는 상대적으로 낮은 모듈러스를 가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높은 내열성을 유지한다. 특성의 이러한 균형이 블렌드를 가요성 성형 물품 제조에 적합하게 한다. 성형 물품의 상부 사용 또는 서비스 온도는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80℃ 이상, 또는 90℃ 이상이어야 한다. 블렌드의 굴곡 모듈러스는 20,000 psi 미만, 10,000 psi 미만, 5000 psi 미만, 1000 psi 미만, 500 psi 미만이어야 한다.Polymer blends have uniqu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suitable for the manufacture of shaped articles for various applications. The blend has a relatively low modulus while maintaining a relatively high heat resistance. This balance of properties makes the blend suitable for making flexible molded articles. The upper use or service temperature of the molded article should be at least 40 ° C, at least 50 ° C, at least 60 ° C, at least 80 ° C, or at least 90 ° C. The flexural modulus of the blend should be less than 20,000 psi, less than 10,000 psi, less than 5000 psi, less than 1000 psi, less than 500 psi.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또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 또는 "본 발명의 중합체"라고도 나타냄)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 특성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중합된 단량체 단위의 멀티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특징으로 하는 중합된 형태 (블록 혼성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멀티블록 공중합체 내에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공중합성 α-올레핀 공단량체를 포함한다.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하기 기재한 면 중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한다.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also referred to as “interpolymers” or “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ulti-components of two or more polymerized monomer units that differ in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Polymerized forms (block interpolymers) characterized by blocks or segments, preferably in multiblock copolymers, comprise ethylene and at least one copolymerizable α-olefin comonomer.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are characterized by one or more of the aspects described below.

일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Mw/Mn이 약 1.7 내지 약 3.5이고, 하나 이상의 융점 (Tm) (섭씨 온도) 및 밀도 (d) (g/cm3)를 가지며, 이들 변수의 수치는 하기와 같은 관계식에 상응한다.In one aspec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use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Mw / Mn of about 1.7 to about 3.5, and at least one melting point (Tm) (degrees C) and density (d) (g / cm 3 ), the numerical values of these variables correspond to the relation

Tm > -2002.9 + 4538.5(d) - 2422.2(d)2, Tm> -2002.9 + 4538.5 (d)-2422.2 (d) 2 ,

바람직하게는 Tm ≥ -6288.1 + 13141(d) - 6720.3(d)2, Preferably Tm ≧ −6288.1 + 13141 (d) -6720.3 (d) 2 ,

보다 바람직하게는 Tm ≥ 858.91 - 1825.3(d) + 1112.8(d)2.More preferably Tm> 858.91-1825.3 (d) + 1112.8 (d) 2 .

이러한 융점/밀도 관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밀도의 감소에 따라 융점이 낮아지는 에틸렌/α-올레핀의 전형적인 랜덤 공중합체와 달리,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 (다이아몬드로 나타냄)는, 특히 밀도가 약 0.87 g/cc 내지 약 0.95 g/cc일 때 밀도에 대해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융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러한 중합체의 융점은 밀도가 0.875 g/cc 내지 약 0.945 g/cc일 때 약 110℃ 내지 약 130℃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중합체의 융점은 밀도 범위가 0.875 g/cc 내지 약 0.945 g/cc일 때 약 115℃ 내지 약 125℃의 범위이다.This melting point / density relationship is shown in FIG. 1. Unlike typical random copolymers of ethylene / α-olefins, which have a lower melting point with decreasing density, the inter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denoted as diamonds), especially when the density is from about 0.87 g / cc to about 0.95 g / cc It shows a melting point that is substantially independent of density. For example, the melting point of such polymers ranges from about 110 ° C. to about 130 ° C. when the density is between 0.875 g / cc and about 0.945 g / cc. In some embodiments, the melting point of such polymers range from about 115 ° C. to about 125 ° C. when the density ranges from 0.875 g / cc to about 0.945 g / cc.

또 다른 면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α-올레핀을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최대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 ("DSC") 피크의 온도 - 최고 결정화 분석 분별 ("CRYSTAF") 피크의 온도로서 정의되는 △T (섭씨 온도), 및 용융열 △H (J/g)을 특징으로 하며, △T와 △H는 130 J/g 이하의 △H에 대해 하기와 같은 관계식을 만족한다.In another aspec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comprise ethylene and one or more α-olefins in polymerized form,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maximu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peak—the highest crystallization analysis fractionation (“CRYSTAF ΔT (degrees Celsius), defined as the temperature of the peak, and the heat of fusion ΔH (J / g), wherein ΔT and ΔH are the following relations for ΔH of 130 J / g or less: To satisfy.

△T > -0.1299(△H) + 62.81,ΔT> -0.1299 (ΔH) + 62.81,

바람직하게는 △T ≥ -0.1299(△H) + 64.38,Preferably ΔT ≧ −0.1299 (ΔH) +64.38,

보다 바람직하게는 △T ≥ -0.1299(△H) + 65.95.More preferably ΔT ≧ −0.1299 (ΔH) +65.95.

또한, △H가 130 J/g를 초과하는 경우, △T는 48℃ 이상이다. CRYSTAF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5% 이상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즉,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5% 이상을 나타내어야 함), 중합체의 5% 미만이 식별가능한 CRYSTAF 피크를 가질 경우 CRYSTAF 온도는 30℃이고, △H는 용융열 (J/g)의 수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고 CRYSTAF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10% 이상을 함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합체 뿐만 아니라 비교예에 대해 플롯팅한 데이타를 나타낸다. 적분 피크 면적 및 피크 온도는 기기 제작사에 의해 제공된 컴퓨터화 도면 프로g으로 계산한다. 랜덤 에틸렌 옥텐 비교 중합체에 대해 나타낸 대각선은, 수학식 △T = -0.1299(△H) + 62.81에 상응한다.In addition, when (DELTA) H exceeds 130 J / g, (DELTA) T is 48 degreeC or more. CRYSTAF peaks are measured using at least 5% of the cumulative polymer (ie, peaks must represent at least 5% of the cumulative polymer), and if less than 5% of the polymers have an identifiable CRYSTAF peak, the CRYSTAF temperature is 30 ° C. And ΔH are numerical values of heat of fusion (J / g). More preferably, the highest CRYSTAF peak contains at least 10% of the cumulative polymer. 2 shows the data plotted for the polymer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the comparative examples. Integral peak area and peak temperature are calculated with a computerized drawing program provided by the instrument manufacturer. The diagonal line shown for the random ethylene octene comparison polymer corresponds to the equation ΔT = −0.1299 (ΔH) +62.81.

또 다른 면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온도 상승 용출 분별 ("TREF")을 이용하여 분별시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상기 분획물은 공단량체 몰 함량이, 동일한 온도 범위에서 용출되는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 분획물의 공단량체 몰 함량보다 높고,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는 블록화된 혼성중합체와 동일한 공단량체(들)을 함유하고 용융 지수, 밀도 및 공단량체 몰 함량 (전체 중합체 기준)이 블록 혼성중합체의 용융 지수, 밀도 및 공단량체 몰 함량의 10% 이내이다. 바람직하게는, 비교용 혼성중합체의 Mw/Mn은 또한 블록 혼성중합체의 Mw/Mn의 10% 이내이고/거나, 비교용 혼성중합체의 총 공단량체 함량이 블록 혼성중합체의 경우의 10 중량% 이내이다.In another aspec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have molecular fractions that elute at 40 ° C. to 130 ° C. when fractionated using temperature eluting fractionation (“TREF”), the fractions having a comonomer molar content, The comparative random ethylene interpolymers eluting at the same temperature range are higher than the molar comonomer content of the fraction, preferably at least 5% higher, more preferably at least 10% higher. It contains the same comonomer (s) as the blocked interpolymer and the melt index, density and comonomer molar content (based on total polymer) are within 10% of the melt index, density and comonomer molar content of the block interpolymer. Preferably, the Mw / Mn of the comparative interpolymers is also within 10% of the Mw / Mn of the block interpolymers and / or the total comonomer content of the comparative interpolymers is within 10% by weight of the block interpolymers. .

또 다른 면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압축 성형된 필름에서 측정된 300% 변형률 및 1 사이클에서의 탄성 회복률 (Re) (%)에 의해 특성화되고, 밀도 (d) (g/cm3)를 가지며, 여기서 Re 및 d의 수치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가교상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때 하기 관계식을 만족한다.In another aspec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are characterized by 300% strain and elastic recovery in one cycle (Re) (%) measured on compression molded films of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Having a density (d) (g / cm 3 ), wherein the values of Re and d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ship when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do not substantially comprise a crosslinked phase.

Re > 1481 - 1629(d);Re> 1481-1629 (d);

바람직하게는 Re ≥ 1491 - 1629(d);Preferably Re ≧ 1491-1629 (d);

보다 바람직하게는 Re ≥ 1501 - 1629(d);More preferably Re ≧ 1501-1629 (d);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Re ≥ 1511 - 1629(d).Even more preferably Re ≧ 1511-1629 (d).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혼성중합체 및 통상의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비배향 필름에 대한 탄성 회복률에 대한 밀도의 효과를 나타낸다. 동일한 밀도에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실질적으로 보다 높은 탄성 회복률을 갖는다.3 shows the effect of density on elastic recovery for non-oriented films comprising certain interpolymers and conventional random co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same density, the inventive interpolymers have substantially higher elastic recovery.

일부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10 MPa 초과의 인장 강도, 바람직하게는 11 MPa 이상의 인장 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갖고/거나, 11 cm/분의 크로스헤드 분리 속도에서 6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이상, 매우 바람직하게는 800% 이상, 가장 매우 바람직하게는 900% 이상의 파단 신장률을 갖는다. In some embodiments,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has a tensile strength of greater than 10 MPa, preferably of at least 11 MPa, more preferably of at least 13 MPa, and / or of 11 cm / min crosshead It has a breaking elongation of at least 600%, more preferably at least 700%, very preferably at least 800% and most very preferably at least 900% at the separation rate.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1) 저장 모듈러스 비율 G'(25℃)/G'(100℃)가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이고/거나; (2) 7O℃ 압축 영구변형률이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미만, 특히 60% 미만, 50% 미만, 또는 40% 미만으로부터 0%까지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has (1) a storage modulus ratio G ′ (25 ° C.) / G ′ (100 ° C.) of 1 to 50, preferably 1 to 20, more preferably 1 To 10 and / or; (2) 70 ° C. Compression set is less than 80%, preferably less than 70%, especially less than 60%, less than 50%, or less than 40% to 0%.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70℃ 압축 영구변형률이 80% 미만, 70% 미만, 60% 미만, 또는 50%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혼성중합체의 70℃ 압축 영구변형률이 40% 미만, 30% 미만, 20% 미만이고, 약 0%까지 감소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has a 70 ° C. compression set of less than 80%, less than 70%, less than 60%, or less than 50%. Preferably, the 70 ° C. compression set of the interpolymer is less than 40%, less than 30%, less than 20% and can be reduced to about 0%.

일부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85 J/g 미만의 용융열을 갖고/거나, 100 lb/ft2 (4800 Pa)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lb/ft2 (2400 Pa) 이하, 특히 5 lb/ft2 (240 Pa) 이하, 또한 0 lb/ft2 (0 Pa)만큼 낮은 펠렛 블록화 강도를 갖는다.In some embodiments,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has a heat of fusion less than 85 J / g, and / or 100 lb / ft 2 (4800 Pa) or less, preferably 50 lb / ft 2 (2400 Pa) or less , In particular, has a pellet blocking strength of less than 5 lb / ft 2 (240 Pa) and also as low as 0 lb / ft 2 (0 Pa).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50 mol% 이상의 에틸렌을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고, 70℃ 압축 영구변형률이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미만, 또는 6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미만이며 0%에 가깝게 감소한다.In other embodiments,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comprise at least 50 mol% ethylene in polymerized form and have a 70 ° C. compression set of less than 80%, preferably less than 70%, or less than 60%, most Preferably it is less than 40-50% and decreases to near 0%.

일부 실시양태에서, 멀티블록 공중합체는 프와송 (Poisson) 분포보다는 슐츠-플로리 (Schultz-Flory) 분포에 맞는 PDI 피팅을 갖는다. 공중합체는 다분산 블록 분포 및 다분산 블록 크기 분포 양쪽 모두를 가지며, 가장 가능한 블록 길이 분포를 갖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멀티블록 공중합체는 말단 블록을 비롯하여 4개 이상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는 말단 블록을 비롯하여 5개, 10개 또는 20개 이상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multiblock copolymer has a PDI fitting that fits the Schultz-Flory distribution rather than the Poisson distribution. The copolymer has both a polydisperse block distribution and a polydisperse block size distribution, and is also characterized by having the most possible block length distribution. Preferred multiblock copolymers are copolymers containing four or more blocks or segments, including terminal blocks. More preferably, the copolymer comprises 5, 10 or 20 or more blocks or segments, including end blocks.

공단량체 함량은 임의의 적합한 기술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핵자기공명 ("NMR") 분광법을 기초로 한 기술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교적 넓은 TREF 곡선을 갖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블렌드의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먼저 TREF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각각 용출 온도 범위가 10℃ 이하인 분획물로 분별한다. 즉, 각각의 용출된 분획물은 10℃ 이하의 수집 온도 창을 갖는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블록 혼성중합체는 비교용 혼성중합체의 상응하는 분획물보다 높은 공단량체 몰 함량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분획물을 갖는다.Comonomer content can be measured using any suitable technique, with techniques based 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prefer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polymers or blends of polymers having a relatively wide TREF curve, preferably the TREF is first used to fractionate the polymers into fractions each having an elution temperature range of 10 ° C. or less. That is, each eluted fraction has a collection temperature window of 10 ° C. or less. By using this technique, the block interpolymers have one or more fractions having a higher comonomer molar content than the corresponding fractions of the comparative interpolymers.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공중합성 공단량체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며, 화학적 또는 물리적 특성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중합된 단량체 단위를 갖는 다수의 블록 (즉, 2개 이상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혼성중합체 (블록화된 혼성중합체), 가장 바람직하게는 멀티블록 공중합체이며, 상기 블록 혼성중합체는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개별 분획물을 수집 및/또는 단리하지는 않음) 피크 (분자 분획물만은 아님)를 가지며, 상기 피크는 반치전폭 (FWHM) 면적 계산을 이용하여 전개시 적외선 분광법에 의해 예측되는 공단량체 함량을 갖고, 평균 공단량체 몰 함량이 반치전폭 (FWHM) 면적 계산을 이용하여 전개된 동일한 용출 온도에서의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 피크의 평균 공단량체 몰 함량보다 높고,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는 블록화된 혼성중합체와 동일한 공단량체(들)을 갖고 용융 지수, 밀도 및 공단량체 몰 함량 (전체 중합체 기준)이 블록 혼성중합체의 경우의 10% 이내이다. 바람직하게는, 비교용 혼성중합체의 Mw/Mn은 또한 블록화된 혼성중합체의 Mw/Mn의 10% 이내이고/거나, 비교용 혼성중합체의 총 공단량체 함량이 블록 혼성중합체의 경우의 10 중량% 이내이다. 반치전폭 (FWHM) 계산은 ATREF 적외선 검출기로부터의 메틸 대 메틸렌 반응 면적의 비율 [CH3/CH2]을 기초로 하며, 여기서 최고 (최대) 피크가 기준선으로부터 확인되고, 따라서 FWHM 면적이 결정된다. ATREF 피크를 사용하여 측정된 분포에서, FWHM 면적은 T1과 T2 사이의 곡선 아래의 면적으로서 정의되고, 여기서 T1 및 T2는 ATREF 피크 높이를 2로 나눈 후 기준선에 수평인 선 (ATREF 곡선의 좌측부와 우측부를 가로지름)을 그음으로써 ATREF 피크의 좌측 및 우측에 대해 정해지는 포인트이다. 공단량체 함량에 대한 보정 곡선은 랜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NMR로부터의 공단량체 함량 대 TREF 피크의 FWHM 면적비를 플롯팅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적외선 방법에서는, 보정 곡선이 관심있는 동일한 공단량체 유형에 대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중합체의 TREF 피크의 공단량체 함량은 그의 TREF 피크의 FWHM 메틸 : 메틸렌 면적비 [CH3/CH2]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보정 곡선을 참조로 하여 측정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a plurality of blocks comprising two or more polymerized monomer units, preferably comprising ethylene and one or more copolymerizable comonomers in polymerized form and differing in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That is, olefin interpolymers (blocked interpolymers) characterized by two or more blocks) or segments, most preferably multiblock copolymers, which block elution (individual fractions) which elute at 40 ° C. to 130 ° C. Collected and / or not isolated) peaks (not molecular fractions only), which peaks have comonomer content predicted by infrared spectroscopy at development using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area calculations, and average comonomer moles Average satin of comparative random ethylene interpolymer peaks at the same elution temperature with content developed using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area calculation Higher than the body molar content, preferably at least 5% higher, more preferably at least 10% higher, wherein the comparative random ethylene interpolymer has the same comonomer (s) as the blocked interpolymer and melts The index, density and comonomer molar content (based on total polymer) are within 10% for block interpolymers. Preferably, the Mw / Mn of the comparative interpolymer is also within 10% of the Mw / Mn of the blocked interpolymer and / or the total comonomer content of the comparative interpolymer is within 10% by weight of the block interpolymer. to be.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calculation is based on the ratio of methyl to methylene reaction area [CH 3 / CH 2 ] from the ATREF infrared detector, where the highest (maximum) peak is identified from the baseline and thus the FWHM area is determined. In the distribution measured using the ATREF peak, the FWHM area is defined as the area under the curve between T 1 and T 2 , where T 1 and T 2 are horizontal lines to the baseline after dividing the ATREF peak height by 2 (ATREF Travers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rve) to determin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TREF peak. A calibration curve for comonomer content is obtained by plotting the FWHM area ratio of comonomer content from NMR to TREF peak using a random ethylene / α-olefin copolymer. In this infrared method, a calibration curve is obtained for the same comonomer type of interest. The comonomer content of the TREF peak of the 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with reference to such calibration curves using the FWHM methyl: methylene area ratio [CH 3 / CH 2 ] of its TREF peak.

공단량체 함량은 임의의 적합한 기술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핵자기공명 (NMR) 분광법을 기초로 한 기술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한 바, 상기 블록화된 혼성중합체는 상응하는 비교용 혼성중합체에 비해 보다 높은 공단량체 몰 함량을 갖는다.Comonomer content can be measured using any suitable technique, with techniques based 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preferred. Using this technique, the blocked interpolymers have a higher comonomer molar content than the corresponding comparative interpolymers.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1-옥텐의 혼성중합체에서, 블록 혼성중합체는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TREF 분획물의 공단량체 함량이 (-0.2013)T + 20.07의 양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13)T + 21.07의 양 이상이다 (여기서, T는 ℃로 측정되는, 비교되는 TREF 분획물의 피크 용출 온도의 수치임).Preferably, in the interpolymers of ethylene and 1-octene, the block interpolymers have a comonomer content of the TREF fraction eluting at 40 ° C. to 130 ° C. of at least (-0.2013) T + 20.07, more preferably (- Greater than or equal to 0.2013) T + 21.07 (where T is the value of the peak elution temperature of the compared TREF fraction, measured in ° C.).

도 4는, 에틸렌과 1-옥텐의 블록 혼성중합체의 실시양태를 도표로 도시한 것이며, 여러 비교용 에틸렌/1-옥텐 혼성중합체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공단량체 함량 대 TREF 용출 온도의 플롯을 (-0.2013)T + 20.07을 나타내는 선 (실선)에 맞추었다. 수학식 (-0.2013)T + 21.07의 선은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의 블록 에틸렌/1-옥텐 블록 혼성중합체 (멀티블록 공중합체)의 분획물에 대한 공단량체 함량을 도시하였다. 모든 블록 혼성중합체 분획물이 동등한 용출 온도에서의 선에 비해 현저히 높은 1-옥텐 함량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의 특징이며, 이는 결정질 및 비정질 특성 양쪽 모두를 갖는 중합체 사슬내의 차별화된 블록의 존재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FIG. 4 graphically illustrates embodiments of block interpolymers of ethylene and 1-octene and plots of comonomer content versus TREF elution temperature for various comparative ethylene / 1-octene interpolymers (random copolymers). (-0.2013) fitted to the line (solid line) representing T + 20.07. The line of Equation (-0.2013) T + 21.07 is shown as a dotted line. Also shown are comonomer content for fractions of some block ethylene / 1-octene block interpolymers (multiblock co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block interpolymer fractions had significantly higher 1-octene content compared to the line at equivalent elution temperatures. These results are characteristic of the inter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believed to be due to the presence of differentiated blocks in the polymer chain having both crystalline and amorphous properties.

도 5는, 하기에서 논의되는 실시예 5 및 비교예 F의 중합체 분획물에 대한 TREF 곡선 및 공단량체 함량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두 중합체에 대해 4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에서 용출되는 피크를 3 부분으로 분리하고, 각 부분을 10℃ 미만의 온도 범위에 걸쳐 용출하였다. 실시예 5의 실제 데이타를 삼각형으로 나타내었다. 당업자는 상이한 공단량체를 함유하는 혼성중합체에 대한 적절한 보정 곡선을 구축할 수 있고, 동일한 단량체의 비교 혼성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또는 다른 균일 촉매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랜덤 공중합체로부터 얻은 TREF 값에 맞는 선을 비교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동일한 TREF 용출 온도에서 보정 곡선으로부터 측정된 값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5% 이상 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큰 공단량체 몰 함량을 특징으로 한다.FIG. 5 graphically illustrates the TREF curve and comonomer content for the polymer fractions of Example 5 and Comparative Example F, discussed below. The peaks eluting at 40 ° C. to 130 ° C., preferably 60 ° C. to 95 ° C., for both polymers were separated into three parts and each part was eluted over a temperature range of less than 10 ° C. The actual data of Example 5 is shown in triangles. One skilled in the art can construct appropriate calibration curves for interpolymers containing different comonomers and obtain TREFs from random copolymers prepared using comparative interpolymers of the same monomer, preferably metallocenes or other homogeneous catalyst compositions. It can be appreciated that a line matching the value can be used for comparison. The inter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a comonomer molar content that is greater than, preferably at least 5%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10% greater than the value measured from the calibration curve at the same TREF elution temperature.

본원에 기재된 상기 면 및 특성들 이외에, 본 발명의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특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면에서, 본 발명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공중합성 공단량체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며, 화학적 또는 물리적 특성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중합된 단량체 단위를 갖는 다수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혼성중합체 (블록화된 혼성중합체), 가장 바람직하게는 멀티블록 공중합체이며, 상기 블록 혼성중합체는 TREF 증분을 이용하여 분별시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상기 분획물은 공단량체 몰 함량이, 동일한 온도 범위에서 용출되는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 분획물의 공단량체 몰 함량보다 높고,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15%, 20% 또는 25% 이상 높음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는 블록화된 혼성중합체와 동일한 공단량체(들)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공단량체(들)이고, 용융 지수, 밀도 및 공단량체 몰 함량 (전체 중합체 기준)이 블록화된 혼성중합체의 경우의 10% 이내이다. 바람직하게는, 비교용 혼성중합체의 Mw/Mn은 또한 블록화된 혼성중합체의 Mw/Mn의 10% 이내이고/거나, 비교용 혼성중합체의 총 공단량체 함량이 블록화된 혼성중합체의 경우의 10 중량% 이내이다.In addition to the aspects and properties described herein, the polymers of the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one or more additional features. In one aspect, the polymer of the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a plurality of blocks or segments comprising two or more polymerized monomer units, preferably in polymerized form, comprising ethylene and one or more copolymerizable comonomers in different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lefin interpolymers (blocked interpolymers), most preferably multiblock copolym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 interpolymers have molecular fractions that elute at 40 ° C. to 130 ° C. when fractionated using TREF increments. The silver comonomer molar content is higher than the comonomer molar content of the comparative random ethylene interpolymer fraction eluting in the same temperature range, preferably at least 5% higher, more preferably 10%, 15%, 20% or 25 At least% high, wherein the comparative random ethylene interpolymer is the same as the blocked interpolymer. To include, and preferably the dimer (s) is within 10% of the same comonomer (s), and a melt index, density, and molar comonomer content (based on the whole polymer) in the case of the blocked interpolymer. Preferably, the Mw / Mn of the comparative interpolymer is also within 10% of the Mw / Mn of the blocked interpolymer, and / or 10% by weight for the interpolymer with the total comonomer content of the comparative interpolymer Within.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성중합체는, 특히 전체 중합체 밀도가 약 0.855 내지 약 0.935 g/cm3이고, 보다 특별하게는 중합체가 약 1 mol% 초과의 공단량체를 갖는 에틸렌과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혼성중합체이며, 블록화된 혼성중합체는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TREF 분획물의 공단량체 함량이 (-0.1356)T + 13.89의 양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56)T + 14.93의 양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2013)T + 21.07의 양 이상이다 (여기서, T는 비교되는 TREF 분획물의 ℃로 측정한 최고 ATREF 용출 온도의 수치임).Preferably, the interpolymers, in particular, have a total polymer density of from about 0.855 to about 0.935 g / cm 3 , more particularly of polymers of at least one α-olefin with ethylene having more than about 1 mol% comonomer Interpolymers, wherein the blocked interpolymers have a comonomer content of the TREF fraction eluting at 40 ° C. to 130 ° C. of at least (−0.1356) T + 13.89, more preferably at least (−0.1356) T + 14.93, Most preferably greater than or equal to (-0.2013) T + 21.07, where T is the value of the highest ATREF elution temperature measured in degrees Celsius of the TREF fraction being compar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알파-올레핀의 혼성중합체의 경우, 특히 전체 중합체 밀도가 약 0.855 내지 약 0.935 g/cm3인 상기 혼성 중합체의 경우, 보다 특별하게는 약 1 mol% 초과의 공단량체를 갖는 상기 중합체의 경우, 블록화된 혼성중합체는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TREF 분획물의 공단량체 함량이 (-0.2013) T + 20.07 양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13) T + 21.07의 양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2013)T + 21.07의 양 이상이다 (여기서, T는 비교되는 TREF 분획물의 ℃로 측정한 최고 용출 온도의 수치임).Preferably, for interpolymers of ethylene and one or more alpha-olefins, in particular for the interpolymers having an overall polymer density of about 0.855 to about 0.935 g / cm 3 , more particularly greater than about 1 mol% In the case of the polymer having a comonomer, the blocked interpolymer has a comonomer content of the TREF fraction eluting at 40 ° C. to 130 ° C. in the amount of (-0.2013) T + 20.07 or more, more preferably (-0.2013) T + 21.07 More than, most preferably (-0.2013) T + 21.07, where T is the value of the highest elution temperature measured in degrees Celsius of the TREF fraction being compared.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공중합성 공단량체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며, 화학적 또는 물리적 특성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중합된 단량체 단위를 갖는 다수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혼성중합체 (블록화된 혼성중합체), 가장 바람직하게는 멀티블록 공중합체이며, 상기 블록 혼성중합체는 TREF 증분을 이용하여 분별시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공단량체 함량이 약 6 mol% 이상인 모든 분획물이 약 100℃ 초과의 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단량체 함량이 약 3 mol% 내지 약 6 mol%인 분획물에 대하여, 모든 분획물은 약 110℃ 이상의 DSC 융점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ol% 이상의 공단량체를 갖는 상기 중합체 분획물은 하기 수학식에 상응하는 DSC 융점을 갖는다.In another aspect, the polymer of the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a plurality of blocks comprising two or more polymerized monomer units, preferably in polymerized form, comprising ethylene and one or more copolymerizable comonomers in different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r Olefin interpolymers (blocked interpolymers) characterized by segments, most preferably multiblock copolymers, said block interpolymers having molecular fractions which elute at 40 ° C. to 130 ° C. when fractionated using TREF increments, All fractions having a comonomer content of at least about 6 mol% have a melting point above about 100 ° C. For fractions having a comonomer content of about 3 mol% to about 6 mol%, all fractions have a DSC melting point of about 110 ° C. or greater. More preferably, the polymer fraction having at least 1 mol% comonomer has a DSC melting point correspon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Tm ≥ (-5.5926)(분획물 중 공단량체의 mol%) + 135.90Tm ≥ (-5.5926) (mol% of comonomer in the fraction) + 135.90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1종 이상의 공중합성 공단량체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며, 화학적 또는 물리적 특성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중합된 단량체 단위를 갖는 다수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를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 혼성중합체 (블록화된 혼성중합체), 가장 바람직하게는 멀티블록 공중합체이며, 상기 블록 혼성중합체는 TREF 증분을 이용하여 분별시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ATREF 용출 온도가 약 76℃ 이상인 모든 분획물이 DSC에 의해 측정시 하기 수학식에 상응하는 용융 엔탈피 (용융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olymer of the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a plurality of blocks comprising two or more polymerized monomer units, preferably in polymerized form, comprising ethylene and one or more copolymerizable comonomers in different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r Olefin interpolymers (blocked interpolymers) characterized by segments, most preferably multiblock copolymers, said block interpolymers having molecular fractions which elute at 40 ° C. to 130 ° C. when fractionated using TREF increments, All fractions having an ATREF elution temperature above about 76 ° C. are characterized by having a melting enthalpy (heat of fusion) correspon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as determined by DSC.

용융열 (J/g) ≤ (3.1718)(ATREF 용출 온도 (섭씨)) - 136.58Heat of fusion (J / g) ≤ (3.1718) (ATREF elution temperature (Celsius))-136.58

본 발명의 블록 혼성중합체는, TREF 증분을 이용하여 분별시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40℃ 내지 약 76℃ 미만의 ATREF 용출 온도를 갖는 모든 분획물이 DSC에 의해 측정시 하기 수학식에 상응하는 용융 엔탈피 (용융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 inter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molecular fractions that elute at 40 ° C. to 130 ° C. when fractionated using TREF increments, and all fractions having ATREF elution temperatures of 40 ° C. to less than about 76 ° C.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melting enthalpy (heat of fusion) corresponding to the equation.

용융열 (J/g) ≤ (1.1312)(ATREF 용출 온도 (섭씨)) + 22.97Heat of fusion (J / g) ≤ (1.1312) (ATREF elution temperature (Celsius)) + 22.97

적외선 검출기에 의해 측정된 Measured by an infrared detector ATREFATREF 피크  peak 공단량체Comonomer 조성 Furtherance

TREF 피크의 공단량체 조성은 폴리머 차르 (Polymer Char, 스페인 발렌시아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IR4 적외선 검출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http://www.polymerchar.com/).The comonomer composition of the TREF peak can be measured using an IR4 infrared detector available from Polymer Char (Valencia, Spain) ( http://www.polymerchar.com/ ).

검출기의 "조성 모드"에는 측정 센서 (CH2) 및 조성 센서 (CH3) (2800 내지 3000 cm-1의 영역내의 고정된 좁은 밴드 적외선 필터)가 장착되어 있다. 측정 센서는 중합체 상의 메틸렌 (CH2) 탄소 (이는 용액 중의 중합체 농도와 직접 관련됨)를 검출하며, 조성 센서는 중합체의 메틸 (CH3)기를 검출한다. 조성 신호 (CH3)를 측정 신호 (CH2)로 나눈 것의 수학적 비율은 측정된 용액 중 중합체의 공단량체 함량에 민감하고, 그의 반응은 공지된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표준물에 의해 보정된다.The "composition mode" of the detector is equipped with a measuring sensor (CH 2 ) and a composition sensor (CH 3 ) (fixed narrow band infrared filter in the region of 2800 to 3000 cm -1 ). The measurement sensor detects methylene (CH 2 ) carbon on the polymer,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polymer concentration in solution, and the composition sensor detects the methyl (CH 3 ) group of the polymer. The mathematical ratio of the composition signal (CH 3 ) divided by the measurement signal (CH 2 ) is sensitive to the comonomer content of the polymer in the measured solution and its response is corrected by known ethylene alpha-olefin copolymer standards.

검출기는 ATREF 기기와 함께 사용시, TREF 공정 동안 용출된 중합체의 농도 (CH2) 및 조성 (CH3) 신호 반응 양쪽 모두를 제공한다. 중합체 특이적 보정은, 공지된 공단량체 함량 (바람직하게는 NMR에 의해 측정됨)에 의해 중합체에 대한 CH3 대 CH2의 면적비를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중합체의 ATREF 피크의 공단량체 함량은, 개별 CH3 및 CH2 반응에 대한 면적비의 기준 보정 (즉, 면적비 CH3/CH2 대 공단량체 함량)을 적용함으로써 예측할 수 있다.The detector, when used with an ATREF instrument, provides both the concentration (CH 2 ) and composition (CH 3 ) signal response of the polymer eluted during the TREF process. Polymer specific correction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area ratio of CH 3 to CH 2 to the polymer by known comonomer content (preferably determined by NMR). The comonomer content of the ATREF peak of the polymer can be predicted by applying a baseline correction of the area ratio for the individual CH 3 and CH 2 reactions (ie, area ratio CH 3 / CH 2 to comonomer content).

피크의 면적은, 적절한 기준선을 적용하여 TREF 크로마토g으로부터의 개별 신호 반응을 적분한 후 반치전폭 (FWHM) 계산치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반치전폭 계산은 ATREF 적외선 검출기로부터의 메틸 대 메틸렌 반응 면적의 비율 [CH3/CH2]을 기초로 하며, 여기서 최고 (최대) 피크가 기준선으로부터 확인되고, 따라서 FWHM 면적이 결정된다. ATREF 피크를 사용하여 측정된 분포에서, FWHM 면적은 T1과 T2 사이의 곡선 아래의 면적으로서 정의되고, 여기서 T1 및 T2는 ATREF 피크 높이를 2로 나눈 후 기준선에 수평인 선 (ATREF 곡선의 좌측부와 우측부를 가로지름)을 그음으로써 ATREF 피크의 좌측 및 우측에 대해 정해지는 포인트이다.The area of the peak can be calculated using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after integrating the individual signal responses from the TREF chromatograms by applying the appropriate baseline.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is based on the ratio of methyl to methylene reaction area [CH 3 / CH 2 ] from the ATREF infrared detector, where the highest (maximum) peak is identified from the baseline and thus the FWHM area is determined. In the distribution measured using the ATREF peak, the FWHM area is defined as the area under the curve between T 1 and T 2 , where T 1 and T 2 are horizontal lines to the baseline after dividing the ATREF peak height by 2 (ATREF Travers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rve) to determin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TREF peak.

이러한 ATREF-적외선 방법에서 중합체의 공단량체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적외선 분광법을 적용하는 것은, 하기 참조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GPC/FTIR 시스템의 경우와 원칙적으로 유사하다: 문헌 [Markovich, Ronald P.; Hazlitt, Lonnie G.; Smith, Linley; "Development of gel-permeation chromatography-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or characterization of ethylene-based polyolefin copolymers", Polymeric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1991), 65, 98-100.]; 및 [Deslauriers, P.J.; Rohlfing, D.C.; Shieh, E.T.; "Quantifying short chain branching microstructures in ethylene-1-olefin copolymers using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SEC-FTIR)", Polymer (2002), 43, 59-170.] (이들 두 문헌 모두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됨).The application of infrared spectroscopy to determine the comonomer content of polymers in this ATREF-infrared method is in principle similar to that of the GPC / FTIR system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references: Markovich, Ronald P .; Hazlitt, Lonnie G .; Smith, Linley; "Development of gel-permeation chromatography-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or characterization of ethylene-based polyolefin copolymers", Polymeric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1991), 65, 98-100 .; And Deslauriers, P. J .; Rohlfing, D. C .; Shieh, E. T .; "Quantifying short chain branching microstructures in ethylene-1-olefin copolymers using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SEC-FTIR)", Polymer (2002), 43, 59-170.] Introduced for reference).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0 초과 약 1.0 이하의 평균 블록 지수 (ABI), 및 약 1.3 초과의 분자량 분포 (Mw/Mn)를 특징으로 한다. 평균 블록 지수 (ABI)는 5℃ 증분으로 20℃ 내지 110℃에서 제조용 TREF에서 얻어진 각각의 중합체 분획물의 블록 지수 ("BI")의 중량 평균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of the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an average block index (ABI) of greater than 0 and up to about 1.0,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 Mn) of greater than about 1.3. The average block index (ABI) is the weight average of the block index (“BI”) of each polymer fraction obtained in the preparative TREF at 20 ° C. to 110 ° C. in 5 ° C. increments.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1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1

식 중, BIi는 제조용 TREF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i번째 분획물에 대한 블록 지수이고, wi는 i번째 분획물의 중량%이다.Wherein BI i is the block index for the i-th fraction of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of the invention obtained in the preparative TREF and w i is the weight percent of the i-th fraction.

각각의 중합체 분획물에 대해, BI는 하기 2개의 수학식 (두 식 모두 동일한 BI값을 제공함) 중 하나로 정의된다.For each polymer fraction, BI is defined by one of the following two equations, both of which give the same BI value.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2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2

식 중, TX는 i번째 분획물에 대한 제조용 ATREF 용출 온도 (바람직하게는 켈빈으로 나타냄)이고, PX는 상기와 같이 NMR 또는 IR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i번째 분획물에 대한 에틸렌 몰분율이다. PAB는, 또한 NMR 또는 IR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전체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분별전)의 에틸렌 몰분율이다. TA 및 PA는 순수한 "경질 세그먼트" (혼성중합체의 결정질 세그먼트를 지칭함)에 대한 ATREF 용출 온도 및 에틸렌 몰분율이다. "경질 세그먼트"에 대한 실측값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1차 근사값으로서 TA 및 PA 값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에 대한 값으로 설정된다. 본원에서 수행된 계산에서, TA는 372°K이고, PA는 1이다.Wherein T X is the preparative ATREF elution temperature (preferably expressed in Kelvin) for the i-th fraction and P X is the ethylene mole fraction for the i-th fraction which can be measured by NMR or IR as above. P AB is the ethylene mole fraction of the total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before fractionation), which can also be measured by NMR or IR. T A and P A are the ATREF elution temperature and ethylene mole fraction for pure “hard segments” (referring to the crystalline segments of the interpolymer). If the measured value for "hard segment" is invalid, T A and P A as first approximation The value is set to the value for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homopolymer. In the calculations performed herein, T A is 372 ° K and P A is 1.

TAB는, 에틸렌 몰분율이 PAB인 동일한 조성의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ATREF 온도이다. TAB는 하기 수학식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T AB is the ATREF temperature for a random copolymer of the same composition with an ethylene mole fraction of P AB . T AB can be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Ln PAB = α/TAB + βLn P AB = α / T AB + β

식 중, α 및 β는 다수의 공지된 랜덤 에틸렌 공단량체를 사용하여 보정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는 2개의 상수이다. α 및 β는 기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관심있는 중합체 조성으로 또한 분획물과 유사한 분자량 범위 내의 이들 자체의 보정 곡선을 얻을 필요가 있다. 약간의 분자량 효과가 존재한다. 보정 곡선이 유사한 분자량 범위로부터 얻어지는 경우, 이러한 효과는 본질적으로 무시할만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랜덤 에틸렌 공중합체는 하기 관계식을 만족한다.Wherein α and β are two constants that can be determined by correction using a number of known random ethylene comonomers. It should be noted that α and β may vary from instrument to instrument. In addition, the polymer compositions of interest also need to obtain their own calibration curves within the molecular weight range similar to the fractions. There is a slight molecular weight effect. If the calibration curve is obtained from similar molecular weight ranges, this effect is essentially negligible. In some embodiments, the random ethylene copolymer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ship.

Ln P = -237.83/TATREF + 0.639Ln P = -237.83 / T ATREF + 0.639

TXO는 에틸렌 몰분율이 PX인 동일한 조성의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ATREF 온도이다. TXO는 Ln PX = α/TXO + β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반대로, PXO는 ATREF 온도가 TX인 동일한 조성의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에틸렌 몰분율이며, TX는 Ln PXO = α/TX + β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T XO is the ATREF temperature for random copolymers of the same composition with an ethylene mole fraction of P X. T XO can be calculated from Ln P X = α / T XO + β. Conversely, P XO is the ethylene mole fraction for random copolymers of the same composition with an ATREF temperature of T X , and T X can be calculated from Ln P XO = α / T X + β.

각각의 제조용 TREF 분획물에 대한 블록 지수 (BI)가 얻어지면, 전체 중합체에 대한 중량 평균 블록 지수 (ABI)를 계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ABI는 0 초과 약 0.3 미만이거나, 또는 약 0.1 내지 약 0.3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ABI는 약 0.3 초과 약 1.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ABI는 약 0.4 내지 약 0.7, 약 0.5 내지 약 0.7, 또는 약 0.6 내지 약 0.9의 범위여야 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ABI는 약 0.3 내지 약 0.9, 약 0.3 내지 약 0.8, 약 0.3 내지 약 0.7, 약 0.3 내지 약 0.6, 약 0.3 내지 약 0.5, 또는 약 0.3 내지 약 0.4의 범위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ABI는 약 0.4 내지 약 1.0, 약 0.5 내지 약 1.0, 약 0.6 내지 약 1.0, 약 0.7 내지 약 1.0, 약 0.8 내지 약 1.0, 또는 약 0.9 내지 약 1.0의 범위이다.Once the block index (BI) for each preparative TREF fraction is obtained, the weight average block index (ABI) for the entire polymer can be calculated. In some embodiments, ABI is greater than zero but less than about 0.3, or from about 0.1 to about 0.3. In other embodiments, ABI is greater than about 0.3 and up to about 1.0. Preferably, the ABI should range from about 0.4 to about 0.7, about 0.5 to about 0.7, or about 0.6 to about 0.9. In some embodiments, ABI ranges from about 0.3 to about 0.9, about 0.3 to about 0.8, about 0.3 to about 0.7, about 0.3 to about 0.6, about 0.3 to about 0.5, or about 0.3 to about 0.4. In other embodiments, ABI ranges from about 0.4 to about 1.0, about 0.5 to about 1.0, about 0.6 to about 1.0, about 0.7 to about 1.0, about 0.8 to about 1.0, or about 0.9 to about 1.0.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또 다른 특징은,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제조용 TREF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블록 지수가 약 0.1 초과 내지 약 1.0 이하이고,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Mw/Mn)가 약 1.3 초과인 1종 이상의 중합체 분획물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분획물은 약 0.6 초과 약 1.0 이하, 약 0.7 초과 약 1.0 이하, 약 0.8 초과 약 1.0 이하, 또는 약 0.9 초과 약 1.0 이하의 블록 지수를 갖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분획물은 블록 지수가 약 0.1 초과 약 1.0 이하, 약 0.2 초과 약 1.0 이하, 약 0.3 초과 약 1.0 이하, 약 0.4 초과 약 1.0 이하, 또는 약 0.4 초과 약 1.0 이하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분획물은 블록 지수가 약 0.1 초과 약 0.5 이하, 약 0.2 초과 약 0.5 이하, 약 0.3 초과 약 0.5 이하, 또는 약 0.4 초과 약 0.5 이하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분획물은 블록 지수가 약 0.2 초과 약 0.9 이하, 약 0.3 초과 약 0.8 이하, 약 0.4 초과 약 0.7 이하, 또는 약 0.5 초과 약 0.6 이하이다.Another feature of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block index greater than about 0.1 and up to about 1.0, which can be obtained by preparative TREF, At least one polymer fraction having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 Mn) greater than about 1.3. In some embodiments, the polymer fraction has a block index greater than about 0.6 and up to about 1.0, greater than about 0.7 and up to about 1.0, greater than about 0.8 and up to about 1.0, or greater than about 0.9 and up to about 1.0. In other embodiments, the polymer fraction has a block index greater than about 0.1 and up to about 1.0, greater than about 0.2 and up to about 1.0, greater than about 0.3 and up to about 1.0, greater than about 0.4 and up to about 1.0, or greater than about 0.4 and up to about 1.0.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polymer fraction has a block index greater than about 0.1 and up to about 0.5, greater than about 0.2 and up to about 0.5, greater than about 0.3 and up to about 0.5, or greater than about 0.4 and up to about 0.5. In another embodiment, the polymer fraction has a block index greater than about 0.2 and up to about 0.9, greater than about 0.3 and up to about 0.8, greater than about 0.4 and up to about 0.7, or greater than about 0.5 and up to about 0.6.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1) 1.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1.7 이상, 또는 2.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6 이상, 최대치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치 3.5 이하, 특히 최대치 2.7 이하의 PDI; (2) 80 J/g 이하의 용융열; (3) 50 중량% 이상의 에틸렌 함량; (4) -2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의 유리 전이 온도 (Tg), 및/또는 (5) 하나의, 또한 단일의 Tm을 갖는다.For the copolymer of ethylene and an α-olefin, th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 1.3 or more, more preferably 1.5 or more, 1.7 or more, or 2.0 or more, most preferably 2.6 or more, maximum 5.0 or less, More preferably a PDI of at most 3.5, in particular at most 2.7; (2) heat of fusion of up to 80 J / g; (3) an ethylene content of at least 50% by weight; (4)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less than -25 ° C, more preferably less than -30 ° C, and / or (5) one and also a single Tm.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는, 100℃의 온도에서 log (G')가 400 k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MPa 이상이 되는 저장 모듈러스 (G')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임의의 특성과 조합하여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는, 0 내지 100℃ 범위에서 온도의 함수로서의 비교적 균일한 저장 모듈러스를 가지며 (도 6에 나타냄), 이는 블록 공중합체의 특성으로, 올레핀 공중합체, 특히 에틸렌과 1종 이상의 C3 -8 지방족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 대해 지금까지는 알려지지 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용어 "비교적 균일한"은 log G' (Pa)가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에서 한 자리 범위 미만으로 감소함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torage modulus (G ′) at a temperature of 100 ° C. of which log (G ′) is at least 400 kPa, preferably at least 1.0 MPa,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y other properties. Can be. In addition, the 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relatively uniform storage modulus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in the range of 0 to 100 ° C. (shown in FIG. 6), which is a property of the block copolymer,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olefin copolymers, in particular ethylene, for C 3 -8 aliphatic copolymers of α- olefin is unknown up to now. (In this context, the term "relatively uniform" means that the log G '(Pa) is reduced to less than one digit range at 50 to 100 ° C, preferably 0 to 100 ° C.)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90℃ 이상의 온도에서 1 mm의 열기계 분석 침투 깊이 및 3 kpsi (20 MPa) 내지 13 kpsi (90 MPa)의 굴곡 모듈러스를 추가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별법으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104℃ 이상의 온도에서 1 mm의 열기계 분석 침투 깊이 및 3 kpsi (20 MPa) 이상의 굴곡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90 mm3 미만의 내마모도 (또는 부피 손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공지된 중합체와 비교된 본 발명의 중합체의 굴곡 모듈러스에 대한 TMA (1 mm)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다른 중합체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가요성-내열성 균형을 갖는다.The inter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characterized by a thermomechanical analysis penetration depth of 1 mm and a flexural modulus of 3 kpsi (20 MPa) to 13 kpsi (90 MPa) at temperatures above 90 ° C. Alternatively, the inventive interpolymers can have a thermomechanical analysis penetration depth of 1 mm and a flexural modulus of at least 3 kpsi (20 MPa) at temperatures of 104 ° C. or higher. They can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wear resistance (or volume loss) of less than 90 mm 3 . 7 shows the TMA (1 mm) for the flexural modulus of the 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other known polymers. The 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ignificantly better flexibility-heat resistance balance than other polymers.

또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0.01 내지 2000 g/10분,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0 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0 g/10분, 특히 0.01 내지 100 g/10분의 용융 지수 (I2)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0.01 내지 10 g/10분, 0.5 내지 50 g/10분, 1 내지 30 g/10분, 1 내지 6 g/10분, 또는 0.3 내지 10 g/10분의 용융 지수 (I2)를 갖는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중합체의 용융 지수는 1 g/10분, 3 g/10분 또는 5 g/10분이다.In addition,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1 to 2000 g / 10 minutes, preferably 0.01 to 1000 g / 10 minutes, more preferably 0.01 to 500 g / 10 minutes, especially 0.01 to 100 g / 10 minutes. May have a melt index (I 2 ). In certain embodiments,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has 0.01 to 10 g / 10 minutes, 0.5 to 50 g / 10 minutes, 1 to 30 g / 10 minutes, 1 to 6 g / 10 minutes, or 0.3 to 10 g Melt index (I 2 ) of 10 minutes. In certain embodiments, the melt index of the ethylene / α-olefin polymer is 1 g / 10 minutes, 3 g / 10 minutes or 5 g / 10 minutes.

중합체는 1,000 g/mol 내지 5,0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 g/mol 내지 1,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g/mol 내지 500,000 g/mol, 특히 10,000 g/mol 내지 300,000 g/mol의 분자량 (Mw)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의 밀도는, 0.80 내지 0.99 g/cm3,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함유 중합체에 대해 0.85 g/cm3 내지 0.97 g/cm3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중합체의 밀도는 0.860 내지 0.925 g/cm3 또는 0.867 내지 0.910 g/cm3의 범위이다.The polymer has a molecular weight (Mw) of 1,000 g / mol to 5,000,000 g / mol, preferably 1000 g / mol to 1,000,000, more preferably 10,000 g / mol to 500,000 g / mol, in particular 10,000 g / mol to 300,000 g / mol ) The density of th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80 to 0.99 g / cm 3 , preferably 0.85 g / cm 3 to 0.97 g / cm 3 for ethylene containing polymers. In certain embodiments, the density of the ethylene / α-olefin polymer is in the range of 0.860 to 0.925 g / cm 3 or 0.867 to 0.910 g / cm 3 .

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하기 특허 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가출원 제60/553,906호 (2004년 3월 17일 출원됨); 동 제60/662,937호 (2005년 3월 17일 출원됨); 동 제60/662,939호 (2005년 3월 17일 출원됨); 동 제60/5662938호 (2005년 3월 17일 출원됨); PCT 출원 제PCT/US2005/008916호 (2005년 3월 17일 출원됨); PCT 출원 제PCT/US2005/008915호 (2005년 3월 17일 출원됨); 및 동 제PCT/US2005/008917호 (2005년 3월 17일 출원됨) (이들 모두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됨). 예를 들어, 이러한 한가지 방법은, 에틸렌 및 임의로는 에틸렌 이외의 1종 이상의 부가 중합성 단량체를 부가 중합 조건 하에, Methods of making polymers are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applications: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0 / 553,906, filed March 17, 2004; 60 / 662,937, filed March 17, 2005; 60 / 662,939, filed March 17, 2005; 60/5662938, filed March 17, 2005; PCT Application No. PCT / US2005 / 008916, filed March 17, 2005; PCT Application No. PCT / US2005 / 008915, filed March 17, 2005; And PCT / US2005 / 008917, filed March 17, 2005, 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For example, one such method involves the process of adding ethylene and optionally one or more addition polymerizable monomers other than ethylene under addition polymerization conditions,

(A) 높은 공단량체 혼입 지수를 갖는 제1 올레핀 중합 촉매,(A) a first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having a high comonomer incorporation index,

(B) 촉매 (A)의 공단량체 혼입 지수의 90%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의 공단량체 혼입 지수를 갖는 제2 올레핀 중합 촉매, 및(B) a second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having a comonomer incorporation index of less than 90%, preferably less than 50%, most preferably less than 5% of the comonomer incorporation index of catalyst (A), and

(C) 사슬 이동제를 조합하여 형성된 혼합물 또는 반응 생성물(C) mixtures or reaction products formed by combining chain transfer agents

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It comprises contacting with a catalyst composition comprising a.

대표적 촉매 및 사슬 이동제는 하기와 같다.Representative catalysts and chain transfer agents are as follows.

촉매 (A1): 2003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WO 03/40195, 2003US0204017, USSN 10/429,024, 및 WO 04/24740의 교시에 따라 제조된 [N-(2,6-디(1-메틸에틸)페닐)아미도)(2-이소프로필페닐)(α-나프탈렌-2-디일(6-피리딘-2-디일)메탄)]하프늄 디메틸. Catalyst (A1) : [N- (2,6-di (1-methyl), prepared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WO 03/40195, 2003US0204017, USSN 10 / 429,024, and WO 04/24740, filed May 2, 2003. Ethyl) phenyl) amido) (2-isopropylphenyl) (α-naphthalene-2-diyl (6-pyridin-2-diyl) methane)] hafnium dimethyl.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3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3

촉매 (A2): 2003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WO 03/40195, 2003US0204017, USSN 10/429,024, 및 WO 04/24740의 교시에 따라 제조된 [N-(2,6-디(1-메틸에틸)페닐)아미도)(2-메틸페닐)(1,2-페닐렌-(6-피리딘-2-디일)메탄)]하프늄 디메틸. Catalyst (A2) : [N- (2,6-di (1-methyl), prepared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WO 03/40195, 2003US0204017, USSN 10 / 429,024, and WO 04/24740, filed May 2, 2003. Ethyl) phenyl) amido) (2-methylphenyl) (1,2-phenylene- (6-pyridin-2-diyl) methane)] hafnium dimethyl.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4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4

촉매 (A3): 비스[N,N'"-(2,4,6-트리(메틸페닐)아미도)에틸렌디아민]하프늄 디벤질. Catalyst (A3) : Bis [N, N '"-(2,4,6-tri (methylphenyl) amido) ethylenediamine] hafnium dibenzyl.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5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5

촉매 (A4): 실질적으로 US-A-2004/0010103의 교시에 따라 제조된 비스((2-옥소일-3-(디벤조-1H-피롤-1-일)-5-(메틸)페닐)-2-페녹시메틸)시클로헥산-1,2-디일 지르코늄 (IV) 디벤질. Catalyst (A4) : Bis ((2-oxoyl-3- (dibenzo-1H-pyrrol-1-yl) -5- (methyl) phenyl) substantially prepared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US-A-2004 / 0010103 2-phenoxymethyl) cyclohexane-1,2-diyl zirconium (IV) dibenzyl.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6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6

촉매 (B1): 1,2-비스-(3,5-디-t-부틸페닐렌)(1-(N-(1-메틸에틸)이미노)메틸)(2-옥소일) 지르코늄 디벤질. Catalyst (B1) : 1,2-bis- (3,5-di-t-butylphenylene) (1- (N- (1-methylethyl) imino) methyl) (2-oxoyl) zirconium dibenzyl .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7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7

촉매 (B2): 1,2-비스-(3,5-디-t-부틸페닐렌)(1-(N-(2-메틸시클로헥실)-이미노)메틸)(2-옥소일) 지르코늄 디벤질. Catalyst (B2): 1,2-bis- (3,5-di-t-butylphenylene) (1- (N- (2-methylcyclohexyl) -imino) methyl) (2-oxoyl) zirconium Dibenzyl.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8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8

촉매 ( C1 ): 실질적으로 미국 특허 제6,268,444호의 교시에 따라 제조된 (t-부틸아미도)디메틸(3-N-피롤릴-1,2,3,3a,7a-η-인덴-1-일)실란티타늄 디메틸. Catalyst ( C1 ) : (t-butylamido) dimethyl (3-N-pyrrolyl-1,2,3,3a, 7a-η-inden-1-yl substantially prepared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US Pat. No. 6,268,444 Silantitanium dimethyl.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9
Figure 112007066846685-PCT00009

촉매 ( C2 ): 실질적으로 US-A-2003/004286의 교시에 따라 제조된 (t-부틸아미도)디(4-메틸페닐)(2-메틸-1,2,3,3a,7a-η-인덴-1-일)실란티타늄 디메틸. Catalyst ( C2 ) : (t-butylamido) di (4-methylphenyl) (2-methyl-1,2,3,3a, 7a-η- substantially prepared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US-A-2003 / 004286 Inden-1-yl) silanetitanium dimethyl.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0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0

촉매 ( C3 ): 실질적으로 US-A-2003/004286의 교시에 따라 제조된 (t-부틸아미도)디(4-메틸페닐)(2-메틸-1,2,3,3a,8a-η-s-인다센-1-일)실란티타늄 디메틸. Catalyst ( C3 ) : (t-butylamido) di (4-methylphenyl) (2-methyl-1,2,3,3a, 8a-η- substantially prepared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US-A-2003 / 004286 s-indasen-1-yl) silanetitanium dimethyl.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1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1

촉매 ( D1 ):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로부터 입수가능한 비스(디메틸디실록산)(인덴-1-일)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Catalyst ( D1 ) : Bis (dimethyldisiloxane) (inden-1-yl) zirconium dichloride available from Sigma-Aldrich.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2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2

이동제 : 사용된 이동제는 디에틸아연, 디(i-부틸)아연, 디(n-헥실)아연,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트리에틸갈륨, i-부틸알루미늄 비스(디메틸(t-부틸)실록산), i-부틸알루미늄 비스(디(트리메틸실릴)아미드), n-옥틸알루미늄 디(피리딘-2-메톡시드), 비스(n-옥타데실)i-부틸알루미늄, i-부틸알루미늄 비스(디(n-펜틸)아미드), n-옥틸알루미늄 비스(2,6-디-t-부틸페녹시드), n-옥틸알루미늄 디(에틸(1-나프틸)아미드), 에틸알루미늄 비스(t-부틸디메틸실록시드), 에틸알루미늄 디(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에틸알루미늄 비스(2,3,6,7-디벤조-1-아자시클로헵탄아미드), n-옥틸알루미늄 비스(2,3,6,7-디벤조-1-아자시클로헵탄아미드), n-옥틸알루미늄 비스(디메틸(t-부틸)실록시드, 에틸아연 (2,6-디페닐페녹시드) 및 에틸아연 (t-부톡시드)를 포함한다. Transfer agent : The transfer agent used was diethylzinc, di (i-butyl) zinc, di (n-hexyl) zinc, triethylaluminum, trioctylaluminum, triethylgallium, i-butylaluminum bis (dimethyl (t-butyl) Siloxane), i-butylaluminum bis (di (trimethylsilyl) amide), n-octylaluminum di (pyridine-2-methoxide), bis (n-octadecyl) i-butylaluminum, i-butylaluminum bis (di (n-pentyl) amide), n-octyl aluminum bis (2,6-di-t-butylphenoxide), n-octyl aluminum di (ethyl (1-naphthyl) amide), ethylaluminum bis (t-butyl Dimethylsiloxide), ethylaluminum di (bis (trimethylsilyl) amide), ethylaluminum bis (2,3,6,7-dibenzo-1-azacycloheptanamide), n-octylaluminum bis (2,3, 6,7-dibenzo-1-azacycloheptanamide), n-octylaluminum bis (dimethyl (t-butyl) siloxide, ethylzinc (2,6-diphenylphenoxide) and ethylzinc (t-butoxide ).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호전환이 불가능한 다수의 촉매를 사용하여, 블록 공중합체, 특히 멀티블록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단량체, 보다 특히 에틸렌과 C3 -20 올레핀 또는 시클로올레핀, 가장 특별하게는 에틸렌과 C4 -20 α-올레핀의 선형 멀티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연속식 용액 공정의 형태를 취한다. 즉, 촉매는 화학적으로 상이한 것이다. 연속식 용액 중합 조건 하에, 공정은 높은 단량체 전환율의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이상적으로 적합하다. 이들 중합 조건 하에, 사슬 이동제로부터 촉매로의 이동은 사슬 성장에 비해 유리해져서, 멀티블록 공중합체, 특히 선형 멀티블록 공중합체가 고효율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method includes using a plurality of catalysts that can not be interconversion of block copolymers, especially multi-block copolymer, preferably two or more monomers, more especially ethylene and a C 3 -20 olefin or cycloolefin, and most specially it takes the form of a continuous solu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thylene and C 4 -20 linear multi-block of the α- olefin copolymer. That is, the catalyst is chemically different. Under 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conditions, the process is ideally suited for the polymerization of monomer mixtures of high monomer conversion. Under these polymerization conditions, the transfer from the chain transfer agent to the catalyst is favored over the chain growth, so that multiblock copolymers, especially linear multiblock copolymers, are formed with high efficiency.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종래의 랜덤 공중합체, 중합체의 물리적 블렌드 및 순차적 단량체 첨가, 유동성 촉매, 음이온 또는 양이온 리빙 중합 기술에 의해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와 차별화될 수 있다. 특히, 동등한 결정화도 또는 모듈러스에서 동일한 단량체 및 단량체 함량을 갖는 랜덤 공중합체에 비해,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보다 우수한 (보다 높은) 내열성 (융점에 의해 측정됨), 보다 높은 TMA 침투 온도, 높은 고온 인장 강도 및/또는 높은 고온 비틀림 저장 모듈러스 (동적 기계적 분석에 의해 측정됨)를 갖는다. 동일한 단량체 및 단량체 함량을 갖는 랜덤 공중합체에 비해,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특히 승온에서 보다 낮은 압축 영구변형률, 보다 낮은 응력 완화율, 보다 높은 내크립성, 보다 높은 인열 강도, 보다 높은 블록화 내성, 보다 높은 결정화 (고화) 온도로 인한 보다 빠른 셋업, 보다 높은 회복률 (특히 승온에서), 보다 우수한 내마모성, 보다 높은 수축력, 및 보다 우수한 오일 및 충전제 허용성을 갖는다.The inter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random copolymers, physical blends of polymers and block copolymers prepared by sequential monomer addition, flow catalysts, anionic or cationic living polymerization techniques. In particular, compared to random copolymers having the same monomer and monomer content at equivalent crystallinity or modulus, the inventive interpolymers have better (higher) heat resistance (measured by melting point), higher TMA penetration temperature, higher hot tension Strength and / or high hot torsional storage modulus (measured by dynamic mechanical analysis). Compared to random copolymers having the same monomers and monomer content, the interpolymers of the invention have lower compression set, lower stress relaxation, higher creep resistance, higher tear strength, higher blocking resistance, especially at elevated temperatures, Faster set-up due to higher crystallization (solidification) temperature, higher recovery rate (especially at elevated temperatures), better wear resistance, higher shrinkage, and better oil and filler tolerance.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또한, 특이한 결정화 및 분지화 분포 관계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특히 동일한 단량체 및 단량체 농도를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물리적 블렌드, 예컨대 동등한 전체 밀도에서의 고밀도 중합체와 저밀도 공중합체의 블렌드에 비해, 용융열의 함수로서의 CRYSTAF 및 DSC를 사용하여 측정한 최고 피크 온도 범위에서 비교적 큰 차이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의 특이한 특징은 중합체 주쇄내의 블록 중의 특이한 공단량체 분포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상이한 공단량체 함량을 갖는 교호 블록 (단독중합체 블록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밀도 또는 공단량체 함량이 상이한 중합체 블록의 수 및/또는 블록 크기에 있어 슐츠-플로리형의 분포인 분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중합체 밀도, 모듈러스 및 형상에 대해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특이한 피크 융점 및 결정화 온도를 또한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중합체의 미세결정의 질서는, 심지어 1.7 미만, 또는 1.5 미만, 또한 1.3 미만까지의 PDI 값에서도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와 구별가능한 특징적 구과 (spherulite) 및 라멜라를 나타낸다. The inter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exhibit specific crystallization and branching distribution relationships. That is, the inter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RYSTAF as a function of heat of fusion, in particular compared to random copolymers or physical blends of polymers containing the same monomers and monomer concentrations, such as blends of high density polymers and low density copolymers at equivalent overall density and There is a relatively large difference in the highest peak temperature range measured using DSC. It is believed that this particular feature of the interpolymers of this invention is due to the unique comonomer distribution in the blocks in the polymer backbone. In particular, the inter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ternating blocks (including homopolymer blocks) having different comonomer contents. The inter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distribution that is a Schultz-Florie distribution in the number and / or block size of polymer blocks having different densities or comonomer contents. In addition, the inventive interpolymers also have specific peak melting points and crystallization temperatures that are substantially independent of polymer density, modulus, and shap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order of the microcrystals of the polymer exhibits characteristic spherulite and lamella, even distinguishable from random or block copolymers, even at PDI values of less than 1.7, or less than 1.5 and also less than 1.3.

또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블록화의 정도 또는 수준에 영향을 주는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촉매 및 이동제의 비율 및 유형 뿐만 아니라 중합 온도, 및 다른 중합 변수를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중합체 블록 및 세그먼트의 길이 및 공단량체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놀라운 이점은, 블록화 정도가 증가됨에 따라 생성된 중합체의 광학 특성, 인열 강도 및 고온 회복 특성이 향상된다는 것의 발견이다. 특히, 중합체 중 평균 블록수가 증가함에 따라 투명도, 인열 강도 및 고온 회복 특성이 증가되는 반면, 헤이즈는 감소한다. 원하는 사슬 이동능 (낮은 정도의 사슬 종결에서의 높은 이동 비율)을 갖는 이동제와 촉매의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다른 형태의 중합체 종결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에틸렌/α-올레핀 공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서는 존재하더라도 매우 적은 β-수소화물 제거가 나타나고, 생성된 결정질 블록은 장쇄 분지를 갖지 않거나 거의 갖지 않으며, 매우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선형이다.In addition, the inter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using techniques that affect the degree or level of blocking. That is, the length and amount of comonomers of each polymer block and segment can be varied by controlling the ratio and type of catalyst and transfer agent as well as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and other polymerization parameters. A surprising advantage of this phenomenon is the discovery that as the degree of blocking increases, the optical properties, tear strength and high temperature recovery properties of the resulting polymers improve. In particular, as the average number of blocks in the polymer increases, the transparency, tear strength and high temperature recovery properties increase while the haze decreases. By selecting a combination of a catalyst and a transfer agent having the desired chain transfer capacity (high transfer rate at low chain termination), other forms of polymer termination are effectively suppressed. Thus, the polymerization of ethylene / α-olefin comonomer mixtur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ults in very little β-hydride removal, even when present, and the resulting crystalline blocks have little or no long chain branching and are very or substantially Completely linear.

고도의 결정질 사슬 말단을 갖는 중합체를,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 용도에서, 비정질 블록에 의해 종결된 중합체의 상대적 양을 감소시키면 결정질 영역에 대한 분자간 희석 효과가 감소한다. 이러한 결과는 수소 또는 다른 사슬 종결제에 대해 적절한 반응을 갖는 사슬 이동제 및 촉매를 선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도의 결정질 중합체를 생성시키는 촉매가, (예컨대 많은 공단량체 혼입, 자리-오류 또는 아택틱 중합체 형성에 의해) 보다 덜 결정질인 중합체 세그먼트를 생성시키는 촉매에 비해, (예컨대 수소의 사용에 의한) 사슬 종결에 대해 보다 영향받기 쉬운 경우, 고도의 결정질 중합체 세그먼트가 중합체의 말단 부분을 우세하게 차지한다. 생성된 말단기가 결정질일 뿐만 아니라, 종결에 따라 고도로 결정질인 중합체 형성 촉매 위치가 다시 한번 중합체 형성의 재개시를 위해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초기에 형성된 중합체는 고도로 결정질인 또 다른 중합체 세그먼트이다. 따라서, 생성된 멀티블록 공중합체의 양단 모두가 우세하게 고도로 결정질이다.Polymers with highly crystalline chain ends can optionally b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lastomer applications, reducing the relative amount of polymer terminated by amorphous blocks reduces the effect of intermolecular dilution on crystalline regions. These results can be obtained by selecting chain transfer agents and catalysts having an appropriate reaction with hydrogen or other chain terminators. Specifically, catalysts that produce highly crystalline polymers (such as by the use of hydrogen, for example) in comparison to catalysts that produce polymer segments that are less crystalline (e.g., by large comonomer incorporation, site-error or atactic polymer formation). If more susceptible to chain termination, the highly crystalline polymer segment occupies the terminal portion of the polymer. Not only are the resulting end groups crystalline, but upon termination, a highly crystalline polymer forming catalyst site is available for resumption of polymer formation once again. Thus, the initially formed polymer is another highly crystalline polymer segment. Thus, both ends of the resulting multiblock copolymer are predominantly highly crystalline.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1종 이상의 C3-C20 α-올레핀의 혼성중합체이다. 에틸렌과 C3-C20 α-올레핀의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혼성중합체는 C4-C18 디올레핀 및/또는 알케닐벤젠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과 중합하기에 유용한 적합한 불포화 공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공액 또는 비공액 디엔, 폴리엔, 알케닐벤젠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공단량체의 예로는, C3-C20 α-올레핀, 예컨대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1-부텐, 1-헥센, 1-펜텐,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등이 포함된다. 1-부텐 및 1-옥텐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적합한 단량체로는, 스티렌, 할로- 또는 알킬-치환된 스티렌, 비닐벤조시클로부탄, 1,4-헥사디엔, 1,7-옥타디엔 및 나프텐계 성분 (예를 들어,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및 시클로옥텐)이 포함된다.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interpolymers of ethylene and at least one C 3 -C 20 α-olefin. Particular preference is given to copolymers of ethylene and C 3 -C 20 α-olefins. The interpolymers may further comprise C 4 -C 18 diolefins and / or alkenylbenzenes. Suitable unsaturated comonomers useful for polymerizing with ethylene include, for example,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conjugated or nonconjugated dienes, polyenes, alkenylbenzenes and the like. Examples of such comonomers are C 3 -C 20 α-olefins such as propylene, isobutylene, 1-butene, 1-hexene, 1-pentene, 4-methyl-1-pentene, 1-heptene, 1-octene , 1-nonene, 1-decene and the like. Particular preference is given to 1-butene and 1-octene. Other suitable monomers include styrene, halo- or alkyl-substituted styrenes, vinylbenzocyclobutane, 1,4-hexadiene, 1,7-octadiene and naphthenic components (eg cyclopentene, cyclohexene and Cyclooctene).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바람직한 중합체이지만, 다른 에틸렌/올레핀 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올레핀은,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 탄화수소계 화합물의 군을 지칭한다. 촉매의 선택에 따라, 임의의 올레핀을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올레핀은, 비닐계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C3-C20 지방족 및 방향족 화합물, 및 환식 화합물, 예컨대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노르보르넨 (5번 및 6번 위치에서 C1-C20 히드로카르빌 또는 시클로히드로카르빌기로 치환된 노르보르넨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이다. 상기 올레핀들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C4-C40 디올레핀 화합물과 상기 올레핀의 혼합물도 포함된다.Although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are preferred polymers, other ethylene / olefin polymers may be used. Olefin as used herein refers to a group of unsaturated hydrocarbon-based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carbon-carbon double bond. Depending on the choice of catalyst, any olefin can be use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uitable olefins are C 3 -C 20 aliphatic and aromatic compounds containing vinylic unsaturated groups, and cyclic compounds such as cyclobutene, cyclopentene, dicyclopentadiene and norbornene (positions 5 and 6) To norbornene substituted with a C 1 -C 20 hydrocarbyl or cyclohydrocarbyl group). Mixtures of the olefins as well as mixtures of C 4 -C 40 diolefin compounds with the olefins are included.

올레핀 단량체의 예로는,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및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4,6-디메틸-1-헵텐, 4-비닐시클로헥센, 비닐시클로헥산, 노르보르나디엔, 에틸리덴 노르보르넨,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디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옥텐, C4-C40 디엔 (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기타 C4-C40 α-올레핀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α-올레핀은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비닐기를 잠재적으로 함유하는 임의의 탄화수소를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사용할 수 있으나, 단량체의 분자량이 너무 높아짐에 따라 단량체 유용성, 비용 및 생성된 중합체로부터 미반응 단량체를 편리하게 제거하는 능력과 같은 실용적 문제가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Examples of olefin monomers include propylene, isobutylene, 1-butene, 1-pentene, 1-hexene, 1-heptene, 1-octene, 1-nonene, 1-decene and 1-dodecene, 1-tetradecene, 1-hexadecene, 1-octadecene, 1-eicosene, 3-methyl-1-butene, 3-methyl-1-pentene, 4-methyl-1-pentene, 4,6-dimethyl-1-heptene, 4 Vinylcyclohexene, vinylcyclohexane, norbornadiene, ethylidene norbornene, cyclopentene, cyclohexene, dicyclopentadiene, cyclooctene, C 4 -C 40 diene (1,3-butadiene, 1,3 -Pentadiene, 1,4-hexadiene, 1,5-hexadiene, 1,7-octadiene, 1,9-decadiene), other C 4 -C 40 α- Olefin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certain embodiments, the α-olefin is propylene, 1-butene, 1-pentene, 1-hexene, 1-octene, or a combination thereof. Any hydrocarbon potentially containing vinyl groups can be used i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but practical problems such as monomer availability, cost, and the ability to conveniently remove unreacted monomer from the resulting polymer a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monomer becomes too high Can be even more problematic.

본원에 기재된 중합 방법은, 스티렌, o-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t-부틸스티렌 등을 비롯한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단량체를 포함하는 올레핀 중합체의 제조에 아주 적합하다. 특히, 에틸렌 및 스티렌을 포함하는 혼성중합체는 본원의 교시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임의로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 에틸렌, 스티렌 및 C3-C20 알파 올레핀을 포함하는, 임의로는 C4-C20 디엔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The polymerization process described herein is well suited for the preparation of olefin polymers comprising monovinylidene aromatic monomers including styrene, o-methyl styrene, p-methyl styrene, t-butyl styrene and the like. In particular, interpolymers comprising ethylene and styrene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teachings herein. Optionally, copolymers comprising optionally C 4 -C 20 dienes, including ethylene, styrene and C 3 -C 20 alpha olefins with improved properties can be prepared.

적합한 비공액 디엔 단량체는 6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 탄화수소 디엔일 수 있다. 적합한 비공액 디엔의 예로는, 직쇄 비환식 디엔, 예컨대 1,4-헥사디엔, 1,6-옥타디엔,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 분지쇄 비환식 디엔, 예컨대 5-메틸-1,4-헥사디엔; 3,7-디메틸-1,6-옥타디엔; 3,7-디메틸-1,7-옥타디엔 및 디히드로미리센과 디히드로옥시넨의 혼합 이성질체, 단일 고리 지환식 디엔, 예컨대 1,3-시클로펜타디엔; 1,4-시클로헥사디엔; 1,5-시클로옥타디엔 및 1,5-시클로도데카디엔, 및 다중 고리 지환식 접합 및 다리결합 고리 디엔, 예컨대 테트라히드로인덴, 메틸 테트라히드로인덴, 디시클로펜타디엔, 비시클로-(2,2,1)-헵타-2,5-디엔; 알케닐, 알킬리덴, 시클로알케닐 및 시클로알킬리덴 노르보르넨, 예컨대 5-메틸렌-2-노르보르넨 (MNB); 5-프로페닐-2-노르보르넨, 5-이소프로필리덴-2-노르보르넨, 5-(4-시클로펜테닐)-2-노르보르넨, 5-시클로헥실리덴-2-노르보르넨, 5-비닐-2-노르보르넨 및 노르보르나디엔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EPDM 제조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디엔 중, 특히 바람직한 디엔은 1,4-헥사디엔 (HD),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ENB), 5-비닐리덴-2-노르보르넨 (VNB), 5-메틸렌-2-노르보르넨 (MNB)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DCPD)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엔은,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ENB) 및 1,4-헥사디엔 (HD)이다.Suitable nonconjugated diene monomers may be straight, branched or cyclic hydrocarbon dienes having 6 to 15 carbon atoms. Examples of suitable nonconjugated dienes include straight chain acyclic dienes such as 1,4-hexadiene, 1,6-octadiene, 1,7-octadiene, 1,9-decadiene, branched chain acyclic dienes such as 5 -Methyl-1,4-hexadiene; 3,7-dimethyl-1,6-octadiene; 3,7-dimethyl-1,7-octadiene and mixed isomers of dihydromyriene and dihydrooxyene, monocyclic alicyclic dienes such as 1,3-cyclopentadiene; 1,4-cyclohexadiene; 1,5-cyclooctadiene and 1,5-cyclododecadiene, and multicyclic alicyclic conjugated and bridged ring dienes such as tetrahydroindene, methyl tetrahydroindene, dicyclopentadiene, bicyclo- ( 2,2,1) -hepta-2,5-diene; Alkenyl, alkylidene, cycloalkenyl and cycloalkylidene norbornene, such as 5-methylene-2-norbornene (MNB); 5-propenyl-2-norbornene, 5-isopropylidene-2-norbornene, 5- (4-cyclopentenyl) -2-norbornene, 5-cyclohexylidene-2-norbornene Butene, 5-vinyl-2-norbornene and norbornadiene. Among the dienes typically used for EPDM preparation, particularly preferred dienes are 1,4-hexadiene (HD), 5-ethylidene-2-norbornene (ENB), 5-vinylidene-2-norbornene (VNB ), 5-methylene-2-norbornene (MNB) and dicyclopentadiene (DCPD). Particularly preferred dienes are 5-ethylidene-2-norbornene (ENB) and 1,4-hexadiene (HD).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바람직한 중합체의 한 부류는, 에틸렌, C3-C20 α-올레핀, 특히 프로필렌, 및 임의로는 1종 이상의 디엔 단량체의 엘라스토머 혼성중합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α-올레핀은 화학식 CH2=CHR* (식 중, R*은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임)로 표시된다. 적합한 α-올레핀의 예로는,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특히 바람직한 α-올레핀은 프로필렌이다. 프로필렌 기재의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당업계에서 EP 또는 EPDM 중합체로서 지칭된다. 이러한 중합체, 특히 멀티블록 EPDM형 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디엔은, 4 내지 20개의 탄소를 포함하는 공액 또는 비공액, 직쇄 또는 분지쇄, 환식 또는 다환식 디엔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디엔으로는, 1,4-펜타디엔, 1,4-헥사디엔,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및 5-부틸리덴-2-노르보르넨이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디엔은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이다.One class of preferred polymers that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elastomeric interpolymers of ethylene, C 3 -C 20 α-olefins, in particular propylene, and optionally one or more diene monomers. Preferred α-olefins for use in this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re represented by the formula CH 2 = CHR * wherein R * is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from 1 to 12 carbon atoms. Examples of suitable α-olefi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ropylene, isobutylene, 1-butene, 1-pentene, 1-hexene, 4-methyl-1-pentene and 1-octene. Particularly preferred α-olefins are propylene. Propylene based polymers are generally referred to in the art as EP or EPDM polymers. Suitable dienes for use in preparing such polymers, especially multiblock EPDM type polymers, include conjugated or nonconjugated, straight or branched chain, cyclic or polycyclic dienes comprising 4 to 20 carbons. Preferred dienes include 1,4-pentadiene, 1,4-hexadiene, 5-ethylidene-2-norbornene, dicyclopentadiene, cyclohexadiene and 5-butylidene-2-norbornene This includes. Particularly preferred dienes are 5-ethylidene-2-norbornene.

디엔 함유 중합체는, 보다 많은 또는 적은 양의 디엔 (존재하지 않는 경우 포함) 및 α-올레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포함)을 함유하는 교호 세그먼트 또는 블록을 포함하기 때문에, 후속적인 중합체 특성의 손실 없이 디엔 및 α-올레핀의 총량이 감소할 수 있다. 즉, 디엔 및 α-올레핀 단량체는 중합체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또는 무작위로 혼입되기보다는 한가지 유형의 중합체 블럭내에 우세하게 혼입되기 때문에, 이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이어서 중합체의 가교 밀도가 보다 잘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가교가능 엘라스토머 및 경화물은 보다 높은 인장 강도 및 보다 우수한 탄성 회복성을 비롯한 유리한 특성을 갖는다.Diene-containing polymers contain alternating segments or blocks containing more or less amounts of dienes (including if not present) and α-olefins (including if not present), thereby reducing diene without subsequent loss of polymer properties. And the total amount of α-olefins can be reduced. That is, since dienes and α-olefin monomers are predominantly incorporated into one type of polymer block rather than uniformly or randomly incorporated throughout the polymer, they are used more effectively, and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polymer can then be better controlled. . Such crosslinkable elastomers and cured products have advantageous properties, including higher tensile strength and better elastic recovery.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이한 양의 공단량체가 혼입된 2종의 촉매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는, 그에 의해 형성된 블록의 중량비가 95:5 내지 5:95이다. 엘라스토머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90%의 에틸렌 함량, 0.1 내지 10%의 디엔 함량 및 10 내지 80%의 α-올레핀 함량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멀티블록 엘라스토머 중합체는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90%의 에틸렌 함량, 0.1 내지 10%의 디엔 함량 및 10 내지 40%의 α-올레핀 함량을 갖는다. 바람직한 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가 10,000 내지 약 2,500,000,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350,000이고, 다분산도가 3.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이고, 무니(Mooney) 점도 (ML (1+4) 125℃)가 1 내지 250인 고분자량 중합체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중합체는 65 내지 75%의 에틸렌 함량, 0 내지 6%의 디엔 함량 및 20 내지 35%의 α-올레핀 함량을 갖는다.In some embodiments, interpolymers of the invention prepared by two catalysts incorporating different amounts of comonomer have a weight ratio of the blocks formed thereby from 95: 5 to 5:95. The elastomeric polymer preferably has 20 to 90% ethylene content, 0.1 to 10% diene content and 10 to 80% α-olefin cont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More preferably, the multiblock elastomeric polymer has an ethylene content of 60 to 90%, a diene content of 0.1 to 10% and an α-olefin content of 10 to 4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Preferred polymers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0,000 to about 2,500,000, preferably 20,000 to 500,000, more preferably 20,000 to 350,000, a polydispersity of less than 3.5, more preferably less than 3.0, and Mooney ) Is a high molecular weight polymer having a viscosity (ML (1 + 4) 125 ° C.) of 1 to 250. More preferably, such polymers have an ethylene content of 65 to 75%, a diene content of 0 to 6% and an α-olefin content of 20 to 35%.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는 그의 중합체 구조내에 1개 이상의 관능기가 혼입됨으로써 관능화될 수 있다. 관능기의 예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계 불포화 일관능성 및 이관능성 카르복실산, 에틸렌계 불포화 일관능성 및 이관능성 카르복실산 무수물, 이들의 염 및 이들의 에스테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관능기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에 그래프팅될 수 있거나, 또는 에틸렌 및 임의로의 추가의 공단량체와 공중합되어 에틸렌, 관능성 공단량체 및 임의로는 다른 공단량체(들)의 혼성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상에 관능기를 그래프팅하는 수단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762,890호, 동 제4,927,888호 및 동 제4,950,541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의 개시는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특히 유용한 하나의 관능기는 말레산 무수물이다.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can be functionalized by incorporating one or more functional groups into their polymer structure. Examples of functional groups may include, for example,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functional and difunctional carboxylic acids,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functional and difunctional carboxylic anhydrides, salts thereof and esters thereof. Such functional groups may be grafted onto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or copolymerized with ethylene and optionally further comonomers to form interpolymers of ethylene, functional comonomers and optionally other comonomer (s). Can be. Means for grafting functional groups onto polyethylene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 Nos. 4,762,890, 4,927,888 and 4,950,541, the disclosure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One particularly useful group is maleic anhydride.

관능성 혼성중합체 중에 존재하는 관능기의 양은 달라질 수 있다. 관능기는 전형적으로, 약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 중량% 이상의 양으로 공중합체형 관능화된 혼성중합체 중에 존재할 수 있다. 관능기는 전형적으로, 약 4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30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중량% 미만의 양으로 공중합체형 관능화된 혼성중합체 중에 존재할 것이다.The amount of functional groups present in the functional interpolymer can vary. The functional group may typically be present in the copolymerized functionalized interpolymer in an amount of at least about 1.0 wt%, preferably at least about 5 wt%, more preferably at least about 7 wt%. The functional group will typically be present in the copolymerized functionalized interpolymer in an amount of less than about 40 wt%, preferably less than about 30 wt%, more preferably less than about 25 wt%.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 내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약 5 내지 약 95 중량%, 약 10 내지 약 90 중량%, 약 20 내지 약 80 중량%, 약 30 내지 약 70 중량%, 약 10 내지 약 50 중량%, 약 50 내지 약 90 중량%, 약 60 내지 약 90 중량%, 또는 약 70 내지 약 90 중량%일 수 있다.The amount of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in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may be from about 5 to about 95 weight percent, from about 10 to about 90 weight percent, from about 20 to about 80 weight percent, from about 30 to about 70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Weight percent, about 10 to about 50 weight percent, about 50 to about 90 weight percent, about 60 to about 90 weight percent, or about 70 to about 90 weight percent.

폴리올레핀Polyolefin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폴리올레핀의 용융 강도 ("MS")는 약 6 cN 이상이어야 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폴리올레핀의 MS는 약 7 cN 이상, 약 8 cN 이상, 약 9 cN 이상, 약 10 cN 이상, 약 13 cN 이상, 약 15 cN 이상, 약 17 cN 이상, 또는 약 20 cN 이상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의 MS는 약 200 cN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50 cN 미만, 약 100 cN 미만, 또는 약 50 cN 미만이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폴리올레핀의 70℃에서의 압축 영구변형률은 약 50% 초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70℃에서의 압축 영구변형률은 약 60% 초과, 약 70% 초과, 약 80% 초과, 또는 약 90% 초과이다.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may comprise one or more polyolefins. Preferably, the melt strength (“MS”) of a suitable polyolefin should be at least about 6 cN. In some embodiments, the MS of the polyolefin is at least about 7 cN, at least about 8 cN, at least about 9 cN, at least about 10 cN, at least about 13 cN, at least about 15 cN, at least about 17 cN, or at least about 20 cN. . Generally, the MS of the polyolefin is less than about 200 cN, preferably less than about 150 cN, less than about 100 cN, or less than about 50 cN. Typically, the compression set at 70 ° C. of such polyolefins is greater than about 50%. In some embodiments, the compression set at 70 ° C. is greater than about 60%, greater than about 70%, greater than about 80%, or greater than about 90%.

폴리올레핀은 2종 이상의 올레핀 (즉, 알켄)으로부터 유도된 중합체이다. 올레핀 (즉, 알켄)은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탄화수소이다. 올레핀은 모노엔 (즉, 1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올레핀), 디엔 (즉, 2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올레핀), 트리엔 (즉, 3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올레핀), 테트라엔 (즉, 4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올레핀), 및 다른 폴리엔일 수 있다. 올레핀 또는 알켄, 예를 들어 모노엔, 디엔, 트리엔, 테트라엔 및 다른 폴리엔은 3개 이상의 탄소 원자, 4개 이상의 탄소 원자, 6개 이상의 탄소 원자, 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올레핀은 3개 내지 약 100개의 탄소 원자, 4개 내지 약 100개의 탄소 원자, 6개 내지 약 100개의 탄소 원자, 8개 내지 약 100개의 탄소 원자, 3개 내지 약 50개의 탄소 원자, 3개 내지 약 25개의 탄소 원자, 4개 내지 약 25개의 탄소 원자, 6개 내지 약 25개의 탄소 원자, 8개 내지 약 25개의 탄소 원자, 또는 3개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올레핀은 2개 내지 약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환형 또는 비환형 모노엔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알켄은 부타디엔 및 1,5-헥사디엔과 같은 디엔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알켄의 수소 원자 중 1개 이상은 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알켄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1-데센, 4-메틸-1-펜텐, 노르보르넨, 1-데센, 부타디엔, 1,5-헥사디엔, 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Polyolefins are polymers derived from two or more olefins (ie alkenes). Olefins (ie alkenes) are hydrocarbon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n-carbon double bond. The olefins are monoenes (ie, olefins with one carbon-carbon double bond), dienes (ie, olefins with two carbon-carbon double bonds), trienes (ie, olefins with three carbon-carbon double bonds) ), Tetraenes (ie, olefins having four carbon-carbon double bonds), and other polyenes. Olefins or alkenes such as monoenes, dienes, trienes, tetraenes and other polyenes may have at least 3 carbon atoms, at least 4 carbon atoms, at least 6 carbon atoms, at least 8 carbon atoms. In some embodiments, the olefin has 3 to about 100 carbon atoms, 4 to about 100 carbon atoms, 6 to about 100 carbon atoms, 8 to about 100 carbon atoms, 3 to about 50 carbons An atom, 3 to about 25 carbon atoms, 4 to about 25 carbon atoms, 6 to about 25 carbon atoms, 8 to about 25 carbon atoms, or 3 to about 10 carbon atoms. In some embodiments, the olefin is a linear or branched, cyclic or acyclic monoene having 2 to about 20 carbon atoms. In other embodiments, the alkenes are dienes such as butadiene and 1,5-hexadiene. In further embodiments, at least one of the hydrogen atoms of the alkene is substituted with alkyl or aryl. In certain embodiments, the alkenes are ethylene, propylene, 1-butene, 1-hexene, 1-octene, 1-decene, 4-methyl-1-pentene, norbornene, 1-decene, butadiene, 1,5-hexa Dienes, styrene or combinations thereof.

중합체 블렌드 내의 폴리올레핀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약 0.5 내지 약 99 중량%, 약 1 내지 약 95 중량%, 약 10 내지 약 90 중량%, 약 20 내지 약 80 중량%, 약 30 내지 약 70 중량%, 약 5 내지 약 50 중량%, 약 50 내지 약 95 중량%, 약 10 내지 약 50 중량%, 약 10 내지 약 30 중량%, 또는 약 50 내지 약 90 중량%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블렌드 내의 폴리올레핀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약 1 내지 약 25 중량%, 약 5 내지 약 15 중량%, 약 7.5 내지 약 12.5 중량%, 또는 약 10 중량%일 수 있다.The amount of polyolefin in the polymer blend is about 0.5 to about 99 weight percent, about 1 to about 95 weight percent, about 10 to about 90 weight percent, about 20 to about 80 weight percent, about 30 to about 70 weight percen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 About 5 to about 50 weight percent, about 50 to about 95 weight percent, about 10 to about 50 weight percent, about 10 to about 30 weight percent, or about 50 to about 90 weight percent. In some embodiments, the amount of polyolefin in the polymer blend can be about 1 to about 25 weight percent, about 5 to about 15 weight percent, about 7.5 to about 12.5 weight percent, or about 10 weight percen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폴리올레핀을 사용하여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은 올레핀 단독중합체, 올레핀 공중합체, 올레핀 삼원공중합체, 올레핀 사원공중합체 등,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Any polyolefin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be used to prepare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The polyolefins can be olefin homopolymers, olefin copolymers, olefin terpolymers, olefin quaternary copolymers, and the like, and combinations thereof.

일부 실시양태에서,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중 1종은 올레핀 단독중합체가다. 올레핀 단독중합체는 1종의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올레핀 단독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올레핀 단독중합체의 비제한 예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펜텐-1, 폴리헥센-1, 폴리옥텐-1, 폴리데센-1, 폴리-3-메틸부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폴리-1,5-헥사디엔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ne of the two or more polyolefins is an olefin homopolymer. The olefin homopolymer can be derived from one olefin. Any olefin homopolyme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Non-limiting examples of olefin homopolymers inclu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ylene, polypentene-1, polyhexene-1, polyoctene-1, polydecene-1, poly-3-methylbutene-1, poly-4- Methylpentene-1, polyisoprene, polybutadiene, poly-1,5-hexadiene.

다른 실시양태에서, 올레핀 단독중합체는 폴리에틸렌이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비제한 예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U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선형 고밀도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 (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고용융 강도 고밀도 폴리에틸렌 (HMS-HDPE), 및 초고밀도 폴리에틸렌 (UHDPE)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올레핀 단독중합체는 (다우 케미컬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다우 콘티늄 (CONTINUUM)® HDPE 2492와 같은 HMS-HDPE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블렌드 내의 HMS-HDPE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약 1 내지 약 25 중량%, 약 5 내지 약 15 중량%, 약 7.5 내지 약 12.5 중량%, 또는 약 10 중량%일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the olefin homopolymer is polyethylene. Any polyethylen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to prepare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polypropylene include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U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linear high density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M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high melt strength high density polyethylene (HMS-HDPE). ), And ultra high density polyethylene (UHDPE), and the like, and combinations thereof. In some embodiments, the olefin homopolymer is a HMS-HDPE such as HDPE 2492 ® (Dow Chemical (Midland, MI available from United States)) Dow Conti titanium (CONTINUUM). In other embodiments, the amount of HMS-HDPE in the polymer blend can be about 1 to about 25 weight percent, about 5 to about 15 weight percent, about 7.5 to about 12.5 weight percent, or about 10 weight percen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have.

다른 실시양태에서, 올레핀 단독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이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비제한 예는 저밀도 폴리프로필렌 (LDPP), 고밀도 폴리프로필렌 (HDPP), 고용융 강도 폴리프로필렌 (HMS-PP), 고충격 폴리프로필렌 (HIPP),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iPP),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sPP)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올레핀 단독중합체는 (다우 케미컬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다우 인스파이어 (INSPIRE)® Dl14, (바젤 폴리올레핀즈 (Basell Polyolefins) (미국 메릴랜드주 엘크톤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프로팍스 (PROFAX)® PF814, (보리얼리스 A/S (Borealis A/S) (덴마크 링비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다플로이 (DAPLOY)® WB130 및 WB260와 같은 HMS-PP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블렌드 내의 HMS-PP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약 1 내지 약 25 중량%, 약 5 내지 약 15 중량%, 약 7.5 내지 약 12.5 중량%, 또는 약 10 중량%일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the olefin homopolymer is polypropylene. Any of the polypropylen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to prepare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polypropylene include low density polypropylene (LDPP), high density polypropylene (HDPP),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HMS-PP), high impact polypropylene (HIPP), isotactic polypropylene (iPP), syndio Tactile polypropylene (sPP) and the like, and combinations thereof. In some embodiments, the olefin homopolymer is available (Dow Chemical (Michigan, USA, Midland,), available from) Dow Inspire (INSPIRE) ® Dl14, (Basel polyolefin's (Basell Polyolefins) (available from Maryland Elkton material) ) PROFAX ® PF814, HMS-PP such as DAPLOY® WB130 and WB260 (available from Borealis A / S, Ringby, Denmark). In other embodiments, the amount of HMS-PP in the polymer blend can be about 1 to about 25 weight percent, about 5 to about 15 weight percent, about 7.5 to about 12.5 weight percent, or about 10 weight percen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have.

다른 실시양태에서, 폴리올레핀은 올레핀 공중합체이다. 올레핀 공중합체는 임의의 2종의 상이한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올레핀 중합체를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올레핀 공중합체의 비제한 예는 에틸렌 및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모노엔으로부터 유도된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모노엔의 비제한 예는 프로펜, 부텐 (예를 들어, 1-부텐, 2-부텐 및 이소부텐) 및 알킬 치환된 부텐; 펜텐 (예를 들어, 1-펜텐 및 2-펜텐) 및 알킬 치환된 펜텐 (예를 들어, 4-메틸-1-펜텐); 헥센 (예를 들어, 1-헥센, 2-헥센 및 3-헥센) 및 알킬 치환된 헥센; 헵텐 (예를 들어, 1-헵텐, 2-헵텐 및 3-헵텐) 및 알킬 치환된 헵텐; 옥텐 (예를 들어, 1-옥텐, 2-옥텐, 3-옥텐 및 4-옥텐) 및 알킬 치환된 옥텐; 노넨 (예를 들어, 1-노넨, 2-노넨, 3-노넨 및 4-노넨) 및 알킬 치환된 노넨; 데센 (예를 들어, 1-데센, 2-데센, 3-데센, 4-데센 및 5-데센) 및 알킬 치환된 데센; 도데센 및 알킬 치환된 도데센; 및 부타디엔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알파-올레핀 (EAO)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EPM)이다.In other embodiments, the polyolefin is an olefin copolymer. The olefin copolymer can be derived from any two different olefins. Any olefin polyme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in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olefin copolymers include copolymers derived from ethylene and monoenes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Non-limiting examples of monoenes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clude propene, butenes (eg 1-butene, 2-butene and isobutene) and alkyl substituted butenes; Pentenes (eg 1-pentene and 2-pentene) and alkyl substituted pentenes (eg 4-methyl-1-pentene); Hexene (eg 1-hexene, 2-hexene and 3-hexene) and alkyl substituted hexene; Heptenes (eg 1-heptene, 2-heptene and 3-heptene) and alkyl substituted heptenes; Octenes (eg 1-octene, 2-octene, 3-octene and 4-octene) and alkyl substituted octenes; Nonene (eg 1-nonene, 2-nonene, 3-nonene and 4-nonene) and alkyl substituted nonene; Decene (eg, 1-decene, 2-decene, 3-decene, 4-decene and 5-decene) and alkyl substituted decene; Dodecene and alkyl substituted dodecene; And butadiene. In some embodiments, the olefin copolymer is an ethylene / alpha-olefin (EAO) copolymer or an ethylene / propylene copolymer (EPM).

다른 실시양태에서, 폴리올레핀은 올레핀 삼원공중합체이다. 올레핀 삼원공중합체는 3종의 상이한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올레핀 삼원공중합체를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올레핀 삼원공중합체의 비제한 예는 (i) 에틸렌, (ii)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모노엔, 및 (iii) 디엔으로부터 유도된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올레핀 삼원공중합체는 에틸렌/알파-올레핀/디엔 삼원공중합체 (EAODM)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EPDM)이다.In other embodiments, the polyolefin is an olefin terpolymer. The olefin terpolymer can be derived from three different olefins. Any olefin terpolyme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in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olefin terpolymers include (i) ethylene, (ii) monoenes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and (iii) terpolymers derived from dienes. In some embodiments, the olefin terpolymers are ethylene / alpha-olefin / diene terpolymers (EAODM) and ethylene / propylene / diene terpolymers (EPDM).

적합한 폴리올레핀의 중요한 특성 중 일부는 인장 강도, 인열 강도, 모듈러스, 상부 서비스 온도, 스크래치 및 흠 내성 등을 포함한다.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고인장 강도, 내열성 및 가공성의 조합은 이들 중합체를 바람직한 블렌드 성분으로 만든다. 또한,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를 블렌드하여 탄성 회복률 및 내열성의 특이한 균형을 얻을 수 있다 (하기 참조).Some of the important properties of suitable polyolefins include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modulus, top service temperature, scratch and scratch resistance, and the like. The combination of high tensile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of polypropylene homopolymers, propylene-alpha-olefin copolymers, propylene impact copolymers, high density polyethylene, low 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s make these polymers preferred. Made with blend ingredients. In addition, a styrene-based block copolymer (styrene-ethylene-butene-styrene) may be blended to obtain a unique balance of elastic recovery and heat resistance (see below).

스티렌계Styrene series 블록 공중합체 Block copolymer

중합체 블렌드는 상기 기재한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이외에 또는 그 대신에1종 이상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블렌드 내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약 0.5 내지 약 99 중량%, 약 1 내지 약 95 중량%, 약 10 내지 약 90 중량%, 약 20 내지 약 80 중량%, 약 30 내지 약 70 중량%, 약 5 내지 약 50 중량%, 약 50 내지 약 95 중량%, 약 10 내지 약 50 중량%, 약 10 내지 약 30 중량%, 또는 약 50 내지 약 90 중량%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블렌드 내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약 1 내지 약 25 중량%, 약 5 내지 약 15 중량%, 약 7.5 내지 약 12.5 중량%, 또는 약 10 중량%일 수 있다.The polymer blend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styrenic block copolymers in addition to or in place of the one or more polyolefin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styrenic block copolymer in the polymer blend is about 0.5 to about 99 weight percent, about 1 to about 95 weight percent, about 10 to about 90 weight percent, about 20 to about 80 weight percent, about 30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To about 70 weight percent, about 5 to about 50 weight percent, about 50 to about 95 weight percent, about 10 to about 50 weight percent, about 10 to about 30 weight percent, or about 50 to about 90 weight percent. In some embodiments, the amount of styrenic block copolymer in the polymer blend is about 1 to about 25 weight percent, about 5 to about 15 weight percent, about 7.5 to about 12.5 weight percent, or about 10 weight percen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Can be.

일반적으로 말해서,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포화 공액 디엔의 블록, 바람직하게는 포화 폴리부타디엔 블록에 의해 분리되는 2종 이상의 모노알케닐 아렌 블록, 바람직하게는 2종의 폴리스티렌 블록을 포함한다. 비록 분지형 또는 라디칼 중합체 또는 관능화 블록 중합체가 유용한 화합물을 제조하지만, 선형 구조를 가지는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공중합체가 선형 구조를 가진다면,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총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약 250,000이다.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의 평균 폴리스티렌 함량은 10 중량%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Generally speaking, the styrenic block copolymer comprises two or more monoalkenyl arene blocks, preferably two polystyrene blocks separated by blocks of saturated conjugated dienes, preferably saturated polybutadiene blocks. Although branched or radical polymers or functionalized block polymers make useful compounds, styrenic block copolymers having a linear structure are preferred. If the copolymer has a linear structure, the total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tyrenic block copolymer is preferably 30,000 to about 250,000. The average polystyrene content of such block copolymers may be 10% to 40% by weight.

적합한 불포화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어진 것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Suitable unsaturated block copolym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ose represented by the formula: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3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3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4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4

식 중, 각 A는 비닐 방향족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을 포함하는 중합체 블록이고, 각 B는 공액 디엔,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렌 또는 부타디엔, 및 임의로는 비닐 방향족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을 포함하는 중합체 블록이고, R은 다관능성 커플링제의 잔여물이고 (R이 존재한다면, 블록 공중합체는 별형 또는 분지형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x는 0 또는 1이고, y는 0 내지 4의 실수이다.Wherein each A is a polymer block comprising a vinyl aromatic monomer, preferably styrene, and each B is a polymer block comprising a conjugated diene, preferably isoprene or butadiene, and optionally a vinyl aromatic monomer, preferably styrene R is a residue of the polyfunctional coupling agent (if R is present, the block copolymer may be a star or branched block copolymer), n is an integer from 1 to 5, x is 0 or 1, y is a real number from 0 to 4.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418,290호를 참조하길 바란다. 불포화 고무 단량체 단위가 있는 유용한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적합한 촉매는 리튬 기재 촉매 및 특히 리튬-알킬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3,595,942호는 불포화 고무 단량체 단위가 있는 블록 공중합체 내지 포화 고무 단량체 단위가 있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화에 적합한 방법을 기재한다. 중합체의 구조는 이들의 중합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선형 중합체는 리튬-알킬 또는 디리티오스틸벤 등과 같은 개시제를 사용할 때 반응 용기로 목적하는 고무 단량체를 순차적으로 도입하여, 또는 2관능성 커플링제와 2개의 세그먼트 블록 공중합체를 커플링하여 생성한다. 반면에, 분지형 구조는 3개 이상의 불포화 고무 단량체 단위가 있는 블록 공중합체에 대한 관능성을 가지는 적합한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커플링은 디할로알켄 또는 알켄 및 디비닐 벤젠과 같은 다관능성 커플링제로 또한 실리콘 할라이드, 실록세인 또는 카르복실산이 있는 모노히드릭 알콜의 에스테르와 같은 특정 극성 화합물로 실행할 수 있다. 중합체 내의 임의의 커플링 잔여물의 존재는 블록 공중합체의 적절한 설명을 위해 무시할 수 있다.Methods of making such block copolymers are known in the art. See, for example, US Pat. No. 5,418,290. Suitable catalysts for preparing useful block copolymers with unsaturated rubber monomer units include lithium based catalysts and in particular lithium-alkyl. U. S. Patent No. 3,595, 942 describes a process suitable for hydrogenation of block copolymers with unsaturated rubber monomer units to block copolymers with saturated rubber monomer units. The structure of the polymer is determined by their polymerization method. For example, linear polymers can be introduced by sequentially introducing the desired rubber monomer into the reaction vessel when using an initiator such as lithium-alkyl or dithiostilbene, or coupling the bifunctional coupling agent with the two segment block copolymers. To create. Branched structures, on the other hand, can be obtained using suitable coupling agents that have functionality for block copolymers having three or more unsaturated rubber monomer units. Coupling can be carried out with dihaloalkenes or with polyfunctional coupling agents such as alkenes and divinyl benzenes and also with certain polar compounds such as 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with silicone halides, siloxanes or carboxylic acids. The presence of any coupling residues in the polymer can be ignored for proper description of the block copolymer.

불포화 고무 단량체 단위를 갖는 적합한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부타디엔 (SB),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 (SEB), 스티렌-이소프렌 (SI),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SIS), α-메틸스티렌-부타디엔-α-메틸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이소프렌-α-메틸스티렌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Suitable block copolymers with unsaturated rubber monomer units include styrene-butadiene (SB), styrene-ethylene / butadiene (SEB), styrene-isoprene (SI), styrene-butadiene-styrene (SBS), styrene-isoprene-styrene (SIS ), but is not limited to α-methylstyrene-butadiene-α-methylstyrene and α-methylstyrene-isoprene-α-methylstyrene.

블록 공중합체의 스티렌계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의 중합체 또는 혼성중합체 및 α-메틸스티렌 및 고리 치환된 스티렌, 특히 고리 메틸화 스티렌을 비롯한 그의 유사체 및 동족체이다. 바람직한 스티렌계는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이고, 스티렌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styrenic portion of the block copolymer is preferably a polymer or interpolymer of styrene and analogs and homologues thereof, including α-methylstyrene and ring substituted styrenes, in particular ring methylated styrene. Preferred styrene systems are styrene and α-methylstyrene, with styrene being particularly preferred.

불포화 고무 단량체 단위가 있는 블록 공중합체는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의 단독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소량의 스티렌계 단량체인 이들 2종의 디엔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블록 공중합체는 (i) 알킬 또는 아릴 기로 치환된 C3 -20 올레핀 (예를 들어, 4-메틸-1-펜텐 및 스티렌) 및 (ii) 디엔 (예를 들어 부타디엔, 1,5-헥사디엔, 1,7-옥타디엔 및 1,9-데카디엔)으로부터 유도된다. 이러한 올레핀 공중합체의 비제한 예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SBS)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Block copolymers with unsaturated rubber monomer units may comprise homopolymers of butadiene or isoprene or they may comprise copolymers of one or both of these two dienes which are minor styrene-based monomers. In some embodiments, the block copolymers (i) a C 3 -20 olefin substituted with an alkyl or aryl (e.g., 4-methyl-1-pentene and styrene) and (ii) a diene (e.g. butadiene, 1 , 5-hexadiene, 1,7-octadiene and 1,9-decadiene). Non-limiting examples of such olefin copolymers include styrene-butadiene-styrene (SBS) block copolymers.

포화 고무 단량체 단위가 있는 바람직한 블록 공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스티렌계 단위의 세그먼트 및 하나 이상의 에틸렌-부텐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포화 고무 단량체 단위가 있는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는 스티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SEBS)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SEPS) 공중합체를 포함한다.Preferred block copolymers with saturated rubber monomer units include segments of one or more styrene-based units and segments of one or more ethylene-butene or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Preferred examples of such block copolymers with saturated rubber monomer units are styrene / ethylene-butene copolymers, styrene /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styrene / ethylene-butene / styrene (SEBS) copolymers, styrene / ethylene-propylene / styrene (SEPS) copolymers.

불포화 고무 단량체 단위가 있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화는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의 스티렌계 방향족 이중 결합을 수소화하는 반면 80% 이상의 지방족 이중 결합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소화하기 위한 조건하에서 니켈 또는 코발드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알콕사이드와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실행한다. 바람직한 블록 공중합체는 5% 미만의 방향족 이중 결합이 수소화되는 반면 99% 이상의 지방족 이중 결합이 수소화되는 것이다.Hydrogenation of block copolymers with unsaturated rubber monomer units preferably nickel or cobalt carboxylate under conditions for hydrogenating up to 25% or less of styrenic aromatic double bonds while substantially completely hydrogenating at least 80% of aliphatic double bonds. Or a catalyst comprising a reaction product of an alkoxide and an aluminum alkyl compound. Preferred block copolymers are those in which less than 5% of the aromatic double bonds are hydrogenated while at least 99% of the aliphatic double bonds are hydrogenated.

스티렌계 블록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블록 공중합체의 총 중량의 8 내지 65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블록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5 중량%의 스티렌계 블록 세그먼트 및 90 내지 65 중량%의 고무 단량체 블록 세그먼트를 함유한다.The proportion of styrenic blocks is generally from 8 to 65%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Preferably, the block copolymer contains 10 to 35 weight percent styrenic block segments and 90 to 65 weight percent rubber monomer block segment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개개의 블록의 평균 분자량은 특정 한계 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스티렌계 블록 세그먼트의 수 평균 분자량은 5,000 내지 125,000, 바람직하게는 7,000 내지 60,000의 범위 내일 것이지만, 고무 단량체 블록 세그먼트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0 내지 3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150,000의 범위 내일 것이다. 블록 공중합체의 총 평균 분자량은 전형적으로 25,000 내지 250,000, 바람직하게는 35,000 내지 200,000의 범위 내이다.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individual blocks can vary within certain limits. In most cases,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tyrenic block segments will be in the range of 5,000 to 125,000, preferably 7,000 to 60,000, while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rubber monomer block segments will be in the range of 10,000 to 300,000, preferably 30,000 to 150,000. will be. The total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is typically in the range of 25,000 to 250,000, preferably 35,000 to 200,00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블록 공중합체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소량의 관능기,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을 그래프트 혼입하여 개질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block copolymers suitable for use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by graft incorporation of small amounts of functional groups, such as maleic anhydride, by any method well known in the art.

적합한 블록 공중합체는, 시판되는 것, 예를 들어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의 크라톤 폴리머즈 LLC (KRATON Polymers LLC)에 의해 공급되는 크라톤™, 및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의 덱스코 폴리머즈 L.P. (Dexco Polymers, L.P.)에 의해 공급되는 벡터 (VECTOR)™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Suitable block copolymers are commercially available, such as Kraton ™ supplied by KRATON Polymers LLC, Houston, TX, and Dexco Polymers L.P., Houston, TX, USA. Vectors (VECTOR) ™ supplied by (Dexco Polymers, L.P.)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첨가제additive

임의로는,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중합체 블렌드의 가공성, 외관, 물리적, 화학적, 및/또는 기계적 특성의 개선 및/또는 제어의 목적을 위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블렌드는 첨가제를 포 함하지 않는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플라스틱 첨가제를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첨가제의 비제한 예는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가소제, 산화방지제, UV 안정화제, 착색제 또는 안료, 충전재, 윤활제, 무적제, 흐름 보조제, 커플링제, 가교제, 기핵제, 계면활성제, 용매, 난연제, 대전방지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첨가제의 총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약 0 초과 내지 약 80%, 약 0.001% 내지 약 70%, 약 0.01% 내지 약 60%, 약 0.1% 내지 약 50%, 약 1% 내지 약 40%, 또는 약 10% 내지 약 50%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중합체 첨가제는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2001)]에 기재되어 있다.Optionally,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nd / or controlling the processability, appearance, physical, chemical, and / or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blend. In some embodiments, the polymer blend does not contain additives. Any plastic additiv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in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suitable additives include slip agents, antiblocking agents, plasticizers, antioxidants, UV stabilizers, colorants or pigments, fillers, lubricants, invincible agents, flow aids, coupling agents, crosslinkers, nucleating agents, surfactants, solvents, flame retardants, Antistatic agents,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total amount of additives may be from about 0 to about 80%, about 0.001% to about 70%, about 0.01% to about 60%, about 0.1% to about 50%, about 1% to about 40%,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Or from about 10% to about 50%. Some polymer additives are described in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2001), which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슬립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슬립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슬립은 서로 또는 일부 다른 기판 위에서의 필름 표면의 슬라이딩이다. 필름의 슬립 성능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ASTM D 1894 [Static and Kinetic Coefficients of Friction of Plastic Film and Sheeting]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립제는 필름의 표면 특성을 개질하고, 필름 층 사이 및 접촉하게 되는 필름과 다른 표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슬립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comprise a slip agent. In other embodiments,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do not include slip agents. Slip is sliding of the film surface over each other or some other substrate. The slip performance of the film can be measured by ASTM D 1894 [Static and Kinetic Coefficients of Friction of Plastic Film and Sheeting],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general, slip agents modify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film and can impart slip properties by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film layers and between the film and other surfaces that come into contact.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슬립제를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에 첨가할 수 있다. 슬립제의 비제한 예는 약 12개 내지 약 4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1차 아미드 (예를 들어, 에루카미드, 올레아미드, 스테아라미드 및 베헨아미드 ); 약 18개 내지 약 8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2차 아미드 (예를 들어, 스테아릴 에루카미드, 베헤닐 에루카미드, 메틸 에루카미드 및 에틸 에루카미드); 약 18개 내지 약 8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이차-비스-아미드 (예를 들어, 에틸렌-비스-스테아라미드 및 에틸렌-비스-올레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를 위한 슬립제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아미드이다.Any slip agen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dded to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slip agents include primary amides having about 12 to about 40 carbon atoms (eg, erucamide, oleamide, stearamide, and behenamide); Secondary amides having from about 18 to about 80 carbon atoms (eg, stearyl erucamide, behenyl erucamide, methyl erucamide and ethyl erucamide); Secondary-bis-amides having about 18 to about 80 carbon atoms (eg, ethylene-bis-stearamid and ethylene-bis-oleamide); And combinations thereof. In certain embodiments, the slip agent for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is an amide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5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5

식 중, R1 및 R2 각각은 독립적으로 H, 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시클로알케닐 또는 아릴이고, R3는 각각 약 11개 내지 약 39개의 탄소 원자, 약 13개 내지 약 37개의 탄소 원자, 약 15개 내지 약 35개의 탄소 원자, 약 17개 내지 약 33개의 탄소 원자 또는 약 19개 내지 약 3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각각 적어도 19개 내지 약 39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R3는 펜타데실, 헵타데실, 노나데실, 헤네이코사닐, 트리코사닐, 펜타코사닐, 헵타코사닐, 노나코사닐, 헨트리아콘타닐, 트리트리아콘타닐, 노나트리아콘타닐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R3는 펜타데세닐, 헵타데세닐, 노나데세닐, 헤네이코사네닐, 트리코사네닐, 펜타코사네 닐, 헵타코사네닐, 노나코사네닐, 헨트리아콘타네닐, 트리트리아콘타네닐, 노나트리아콘타네닐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Wherein each of R 1 and R 2 is independently H, alkyl, cycloalkyl, alkenyl, cycloalkenyl or aryl, and R 3 is each from about 11 to about 39 carbon atoms, about 13 to about 37 Alkyl or alkenyl having about 15 to about 35 carbon atoms, about 17 to about 33 carbon atoms, or about 19 to about 33 carbon atoms. In some embodiments, R 3 is alkyl or alkenyl, each having at least 19 to about 39 carbon atoms. In other embodiments, R 3 is pentadecyl, heptadecyl, nonadecyl, henecosanyl, tricosanyl, pentacosanyl, heptacosanyl, nonacosanyl, gentriacontanil, tritricontanil, nonatri Acontanil or combinations thereof. In a further embodiment, R 3 is pentadecenyl, heptadecenyl, nonadesenyl, henecosaneyl, tricosanenyl, pentacosaneyl, heptacosanenyl, nonacosanenyl, gentriacontanenyl, tri Triacontanenyl, nonatriacontanenyl, or a combination thereof.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를 위한 슬립제는 하기 화학식 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아미드이다.In a further embodiment, the slip agent for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is the amide represented by Formula 2 below.

CH3-(CH2)m-(CH=CH)p-(CH2)n-C(=O)-NR1R2 CH 3- (CH 2 ) m- (CH = CH) p- (CH 2 ) n -C (= 0) -NR 1 R 2

식 중,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약 1 내지 약 37의 정수이고, p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시클로알케닐 또는 아릴이고, m, n 및 p의 합은 8 이상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1 및 2의 R1 및 R2는 각각 1개 내지 약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기 또는 2개 내지 약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케닐 기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1 및 2의 R1 및 R2는 각각 H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m, n 및 p의 합은 18 이상이다.Wherein m and n are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from about 1 to about 37, p is an integer from 0 to 3, and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H, alkyl, cycloalkyl, alkenyl, cycloalkenyl Or aryl, and the sum of m, n, and p is 8 or more. In some embodiments, R 1 and R 2 in Formulas 1 and 2 are each an alkyl group containing 1 to about 40 carbon atoms or an alkenyl group containing 2 to about 40 carbon atoms. In further embodiments, R 1 and R 2 in Formulas 1 and 2 are each H. In certain embodiments, the sum of m, n, and p is at least 18.

화학식 1 또는 2의 아미드는 화학식 R3-CO2H 또는 CH3-(CH2)m-(CH=CH)p-(CH2)n-CO2H (식 중, R3는 각각 적어도 19개 내지 약 39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약 1 내지 약 37의 정수이고, p는 0 또는 1 임)를 갖는 카르복실산과 화학식 H-NR1R2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또는 아릴임)의 아민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H-NR1R2의 아민은 암모니아 (즉, R1 및 R2는 각각 H임), 1차 아민 (즉, R1은 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시클로알케닐 또는 아릴이고, R2는 H임) 또는 2차 아민 (즉,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시클로알케닐 또는 아릴임)일 수 있다. 1차 아민의 일부 비제한 예는 메틸아민, 에틸아민, 옥타데실아민, 베헤닐아민, 테트라코사닐아민, 헥사코사닐아민, 옥타코사닐아민, 트리아콘틸아민, 도트리아콘틸아민, 테트라트리아콘틸아민, 테트라콘틸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2차 아민의 일부 비제한 예는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헥사데실아민, 디옥타데실아민, 디에이코실아민, 디도코실아민, 디세틸아민, 디스테아릴아민, 디아라키딜아민, 디베헤닐아민, 2수소화 탤로우 아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1차 아민 및 2차 아민은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거나, 알드리치 케미컬즈 (Aldrich Chemicals)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 소재); 아이씨씨 케미컬 코퍼레이션 (ICC Chemical Corporation) (미국 뉴욕주 뉴욕 소재); 케모스 게엠베하 (Chemos GmbH) (독일 레겐스타우프 소재); 아베체에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ABCR GmbH & Co. KG) (독일 카를스루에 소재); 및 아크로스 오르가닉스 (Acros Organics) (벨기에 지일 소재)와 같은 상업적 공급처로부터 얻을 수 있다.Amides of Formula 1 or 2 may be selected from Formula R 3 -CO 2 H or CH 3- (CH 2 ) m- (CH = CH) p- (CH 2 ) n -CO 2 H, wherein R 3 is at least 19 Alkyl or alkenyl having from about 39 carbon atoms, m and n are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from about 1 to about 37, and p is 0 or 1, and a carboxylic acid having the formula H-NR 1 R 2 Wherein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H, alkyl, cycloalkyl, alkenyl or aryl. The amine of formula H-NR 1 R 2 is ammonia (ie R 1 and R 2 are each H), primary amine (ie R 1 is alkyl, cycloalkyl, alkenyl, cycloalkenyl or aryl, R 2 is H) or secondary amines (ie,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alkyl, cycloalkyl, alkenyl, cycloalkenyl or aryl). Some non-limiting examples of primary amines are methylamine, ethylamine, octadecylamine, behenylamine, tetracosanylamine, hexacosanylamine, octacosanylamine, triacontylamine, dotriacontylamine, tetratri Acontylamine, tetracontylamine, cyclohexylamine and combinations thereof. Some non-limiting examples of secondary amines are dimethylamine, diethylamine, dihexadecylamine, dioctadecylamine, diecosylamine, didocosylamine, diecetylamine, distearylamine, diarachidylamine, dibehenyl Amines, dihydrogenated tallow amines, and combinations thereof. Primary and secondary amines may be prepared by methods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r may include Aldrich Chemicals (Milwaukee, WI); ICC Chemical Corporation (New York, NY); Chemos GmbH (Regenstauf, Germany); ABCR GmbH & Co. KG (Karlsruhe, Germany); And Acros Organics (Gile, Belgium).

1차 아민 또는 2차 아민은 환원성 아민화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환원성 아민화는 암모니아 또는 1차 아민을 알데히드 또는 케톤으로 축합하여 상응하는 이민을 형성하고, 이어서 아민으로 환원되는 방법이다. 이민의 아민으로의 후속 환원은 수소 및 적합한 수소화 촉매, 예를 들어 라니 니켈 및 산화백금, 알루미늄-수은 아말감, 또는 리튬 알루미늄 히드라이드, 나트륨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및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와 같은 히드라이드와 이민을 반응시켜 달성할 수 있다. 환원성 아민화는 미국 특허 제3,187,047호, 및 하스켈베르크 (Haskelberg)에 의한 논문 ["Aminative Reduction of Ketones," J. Am. Chem. Soc., 70 (1948) 2811-2]; [Mastagli et al., "Study of the Aminolysis of Some Ketones and Aldehydes," Bull. soc. chim. France (1950) 1045-8]; [B. J. Hazzard, Practical Handbook of Organic Chemistry, Addison-Wesley Publishing Co., Inc., pp. 458-9 and 686 (1973)]; 및 [Alexander et al., "A Low Pressure Reductive Alkylation Method for the Conversion of Ketones to Primary Amines," J. Am. Chem. Soc, 70, 1315-6 (1948)]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미국 특허 및 논문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어 있다.Primary or secondary amines may be prepared by reductive amination reactions. Reductive amination is a process in which ammonia or primary amines are condensed with aldehydes or ketones to form the corresponding imines, which are then reduced to amines. Subsequent reduction of the imines to amines is hydrogen and hydrides such as suitable hydrogenation catalysts such as Raney nickel and platinum oxide, aluminum-mercury amalgam, or lithium aluminum hydride, sodium cyanoborohydride, and sodium borohydride. This can be achieved by reacting with imine. Reductive amination is described in US Pat. No. 3,187,047, and Haskelberg, “Aminative Reduction of Ketones,” J. Am. Chem. Soc., 70 (1948) 2811-2; Mastagli et al., "Study of the Aminolysis of Some Ketones and Aldehydes," Bull. soc. chim. France (1950) 1045-8; [B. J. Hazzard, Practical Handbook of Organic Chemistry, Addison-Wesley Publishing Co., Inc., pp. 458-9 and 686 (1973); And Alexander et al., “A Low Pressure Reductive Alkylation Method for the Conversion of Ketones to Primary Amines,” J. Am. Chem. Soc, 70, 1315-6 (1948). The above US patents and article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카르복실산의 비제한 예는 직쇄 포화 지방산, 예를 들어 테트라데칸산, 펜타데칸산, 헥사데칸산, 헵타데칸산, 옥타데칸산, 노나데칸산, 에이코산산, 헤네이코산산, 도코산산, 트리코산산, 테트라코산산, 펜타코산산, 헥사코산산, 헵타코산산, 옥타코산산, 노나코산산, 트리아콘탄산, 헨트리아콘탄산, 도트리아콘탄산, 테트라트리아콘탄산, 헥사트리아콘탄산, 옥타트리아콘탄산 및 테트라콘탄산; 분지쇄 포화 지방산, 예를 들어 16-메틸헵타데칸산, 3-메틸-2-옥틸노난산, 2,3-디메틸옥타데칸산, 2-메틸테트라코산산, 11-메틸테트라코산산, 2-펜타데실-헵타데칸산; 불포화 지방산, 예를 들어 트랜스-3-옥타데센산, 트랜스-11-에이코센산, 2-메틸-2-에이코센산, 2-메틸-2-헥사코센산, β-엘레오스테아르산, α-파리나르산, 9-노나데센산, 및 22-트리코센산, 올레산 및 에루크산을 포함한다. 카르복실산은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거나 또는 알드리치 케미컬스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 소재); 아이씨씨 케미컬 코퍼레이션 (미국 뉴욕주 뉴욕 소재); 케모스 게엠베하 (독일 레겐스타우프 소재); 아베체에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독일 카를스루에 소재); 및 아크로스 오르가닉스 (벨기에 지일 소재)와 같은 상업적 공급처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일부 공지된 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은 금속 크로메이트, 금속 디크로메이트 및 과망간산칼륨과 같은 산화제로 상응하는 1차 알콜을 산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알콜의 카르복실산으로의 산화는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Carey et al., "Advance Organic Chemistry, Part B: Reactions and Synthesis," Plenum Press, New York, 2nd Edition, pages 481-491 (1983)]에 기재되어 있다.Non-limiting examples of carboxylic acids include straight chain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tetradecanoic acid, pentadecanoic acid, hexadecanoic acid, heptadecanoic acid, octadecanoic acid, nonadecanoic acid, eicosanic acid, heneic acid, docoic acid, Trichoic acid, tetracoic acid, pentacoic acid, hexacoic acid, heptaconic acid, octacoic acid, nonacoic acid, triacontanic acid, hentriconic acid, dotriacontanic acid, tetratriconic acid, hexatriaconic acid , Octatriconic acid and tetracontanic acid; Branched chain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16-methylheptadecanoic acid, 3-methyl-2-octylnonanoic acid, 2,3-dimethyloctadecanoic acid, 2-methyltetracarboxylic acid, 11-methyltetracarboxylic acid, 2- Pentadecyl-heptadecanoic acid;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trans-3-octadecenoic acid, trans-11-eicosenoic acid, 2-methyl-2-eicosenoic acid, 2-methyl-2-hexacosenoic acid, β-eleostearic acid, α-paris Naric acid, 9-nonadecenic acid, and 22-tricosenoic acid, oleic acid and erucic acid. Carboxylic acids can be prepared by methods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r by Aldrich Chemicals (Milwaukee, WI); IC Chemical Corporation (New York, NY); Chemos geembeha (Regenstaff, Germany); Avechere Geembehaunt Cochage (Carlesruhe, Germany); And commercial sources such as Acros Organics (Gile, Belgium). Some known methods of preparing carboxylic acids include oxidizing the corresponding primary alcohol with an oxidant such as metal chromate, metal dichromate and potassium permanganate. Oxidation of alcohols to carboxylic acids is described in Carey et al., "Advance Organic Chemistry, Part B: Reactions and Synthesis," Plenum Press, New York, 2nd Edition, pages 481-491 (1983 )].

아미드화 반응은 카르복실산에 대해 반응성이 아닌 용매 중에서 실행할 수 있다. 적합한 용매의 비제한 예는 에테르 (즉, 디에틸 에테르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케톤 (예를 들어 아세톤 및 메틸 에틸 케톤), 아세토니트릴, 디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 포름아미드 등을 포함한다. 아미드화 반응은 염기 촉매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염기 촉매의 비제한 예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암모늄 등과 같은 무기 염기, 나 트륨 메톡사이드, 나트륨 에톡사이드 등과 같은 금속 알콕사이드,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과 같은 아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촉매는 아민 또는 금속 알콕사이드이다.The amidation reaction can be carried out in a solvent that is not reactive to carboxylic acids. Non-limiting examples of suitable solvents include ethers (ie diethyl ether and tetrahydrofuran), ketones (eg acetone and methyl ethyl ketone), acetonitrile, dimethyl sulfoxide, dimethyl formamide and the like. The amidation reaction can be promoted by a base catalyst. Non-limiting examples of base catalysts include inorganic bases such as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sodium carbonate, potassium carbonate, sodium hydrogen carbonate, sodium acetate, ammonium acetate, metal alkoxides such as sodium methoxide, sodium ethoxide, triethylamine, di Amines such as isopropylethylamine and the like. In some embodiments, the catalyst is an amine or metal alkoxide.

일부 실시양태에서, 슬립제는 18개 내지 약 4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포화 지방족 기가 있는 1차 아미드 (예를 들어, 스테아라미드 및 베헨아미드)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슬립제는 1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 및 18개 내지 약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 지방족 기가 있는 1차 아미드 (예를 들어, 에루카미드 및 올레아미드)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슬립제는 20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1차 아미드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슬립제는 에루카미드, 올레아미드, 스테아라미드, 베헨아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라미드, 에틸렌-비스-올레아미드, 스테아릴 에루카미드, 베헤닐 에루카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슬립제는 에루카미드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슬립제는 유니케마 (Uniqema) (벨기에 에버베르그 소재)로부터의 아트머 (ATMER)™ SA, 아크조 노벨 폴리머 케미컬스 (Akzo Nobel Polymer Chemicals)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소재)로부터의 아르모슬립 (ARMOSLIP)®, 위트코 (Witco) (미국 코네티컷주 그린위치 소재)로부터의 켐아미드 (KEMAMIDE)®, 및 크로다 (Croda) (미국 뉴저지주 에디슨 소재)로부터의 크로다미드 (CRODAMIDE)®와 같은 상품명을 갖는 시판되는 것이다. 사용시, 중합체 블렌드 내의 슬립제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약 0 초과 내지 약 3 중량%, 약 0.0001 내지 약 2 중량%, 약 0.001 내지 약 1 중량%, 약 0.001 내지 약 0.5 중량% 또는 약 0.05 내지 약 0.25 중량%일 수 있다. 일부 슬립제는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8, pages 601-608 (2001)]에 기재되어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lip agent is a primary amide (eg, stearamide and behenamide) with saturated aliphatic groups having 18 to about 40 carbon atoms. In other embodiments, the slip agent is a primary amide (eg, erucamide and oleamide) with at least one carbon-carbon double bond and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containing 18 to about 40 carbon atoms. In further embodiments, the slip agent is a primary amide having 20 or more carbon atoms. In further embodiments, the slip agent is erucamide, oleamide, stearamide, behenamide, ethylene-bis-stearamid, ethylene-bis-oleamide, stearyl erucamide, behenyl erucamide or combinations thereof to be. In certain embodiments, the slip agent is erucamide. In a further embodiment, the slip agent is from ATMER ™ SA, Akzo Nobel Polymer Chemicals, Chicago, Illinois, USA from Uniqema (Everberg, Belgium). are all sleep (ARMOSLIP) ®, wit nose (Witco) is a croissant from Kem amide (KEMAMIDE) ®, and Black is (Croda) (New Jersey, USA Edison material) from the (United States, Connecticut, Greenwich material) mid (CRODAMIDE ) is commercially available having a trade name such as ®. In use, the amount of slip agent in the polymer blend is greater than about 0 to about 3 weight percent, about 0.0001 to about 2 weight percent, about 0.001 to about 1 weight percent, about 0.001 to about 0.5 weight percent, or about 0.05,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To about 0.25 weight percent. Some slip agents are described in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8, pages 601-608 (2001). .

임의로는,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랜드는 블로킹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블로킹방지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블로킹방지제를 사용하여 특히 보통의 압력 및 열 하에서 저장, 제조 또는 사용 동안의 중합체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물품의 접촉 층 사이의 목적하지 않는 접착을 방지할 수 있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블로킹방지제를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에 첨가할 수 있다. 블로킹방지제의 비제한 예는 광물 (예를 들어, 점토, 초크, 및 탄산칼슘), 합성 실리카겔 (예를 들어, 그레이스 데이비슨 (Grace Davison) (미국 메릴랜드주 컬럼비아 소재)으로부터의 실로블록 (SYLOBLOC)®), 천연 실리카 (예를 들어, 셀라이트 코퍼레이션 (Celite Corporation)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 바바라 소재)으로부터의 슈퍼 플로스 (SUPER FLOSS)®), 활석 (예를 들어, 루제낙 (Luzenac) (미국 콜로라도주 센테니얼 소재)으로부터의 옵티블록 (OPTIBLOC)®), 지올라이트 (예를 들어, 데구사 (Degussa) (미국 뉴저지주 파시파니 소재)로부터의 사이퍼냇 (SIPERNAT)®),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예를 들어, 미즈사와 인더스트리얼 케미컬스 (Mizusawa Industrial Chemicals) (일본 도쿄 소재)로부터 의 실톤 (SILTON)®), 석회암 (예를 들어, 오미아 (Omya)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소재)로부터의 카르보렉스 (CARBOREX)®), 구형 중합체 입자 (예를 들어, 니폰 쇼쿠바이 (Nippon Shokubai) (일본 도쿄 소재)로부터의 에포스타 (EPOSTAR)®,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입자 및 GE 실리콘즈 (GE Silicones) (미국 코네티컷주 윌톤 소재)로부터의 토스펄 (TOSPEARL)®, 실리콘 입자), 왁스, 아미드 (예를 들어 에루카미드, 올레아미드, 스테아라미드, 베헨아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라미드, 에틸렌-비스-올레아미드, 스테아릴 에루카미드 및 다른 슬립제), 분자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기 블로킹방지제는 표면으로 이동하여 표면 접착을 제한할 수 있는 반면, 광물 입자는 물품 사이의 물리적 간격을 생성하여 블로킹을 낮출 수 있다. 사용시, 중합체 블렌드 내의 블로킹방지제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약 0 초과 내지 약 3 중량%, 약 0.0001 내지 약 2 중량%, 약 0.001 내지 약 1 중량%, 또는 약 0.001 내지 약 0.5 중량%일 수 있다. 일부 블로킹방지제는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7, pages 585-600 (2001)]에 기재되어 있다.Optionally,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may include antiblocking agents. In some embodiments,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do not include antiblocking agents. Antiblocking agents can be used to prevent undesired adhesion between the contact layers of articles made from polymer blends, especially during storage, manufacture or use, under normal pressure and heat. Any antiblocking agen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dded to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anti-blocking agent is a mineral (e.g., clays, chalk, and calcium carbonate), synthetic silica gel (e.g., Grace Davison (Grace Davison) (chamber block (SYLOBLOC) from Maryland Columbia material) ® ), Natural silica (e.g. SUPER FLOSS ® from Celite Corporation, Santa Barbara, Calif.), Talc (e.g., Luzenac, Colorado, USA OPTIBLOC ® from Centennial, USA; Zeolite (e.g., SIPERNAT ® from Degussa, Parsippany, NJ), aluminosilicate (example For example, SILTON ® from Mizusawa Industrial Chemicals (Tokyo, Japan), limestone (e.g., Car from Omya (Atlanta, GA, USA) CARBOREX ® , spherical polymer particles (e.g., EPOSTAR ® , poly (methyl methacrylate) particles and GE silicones from Nippon Shokubai (Tokyo, Japan) GE Silicones) (US Conn wilton toss pearl (TOSPEARL) from the material) ®, silicone particles), waxes, amides (e.g. erucamide to, oleamide, stearamide, behenamidopropyl amide, ethylene-bis-stearamide, Ethylene-bis-oleamide, stearyl erucamide and other slip agents), molecular sieves, and combinations thereof. Organic antiblocking agents may migrate to the surface to limit surface adhesion, while mineral particles may create physical spacing between articles to lower blocking. In use, the amount of antiblocking agent in the polymer blend can be greater than about 0 to about 3 weight percent, about 0.0001 to about 2 weight percent, about 0.001 to about 1 weight percent, or about 0.001 to about 0.5 weight percen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have. Some antiblocking agents are described in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7, pages 585-600 (2001). .

임의로는,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소제는 중합체의 가요성을 증가시키고 유리 전이 온도를 낮출 수 있는 화학 물질이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가소제를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에 첨가할 수 있다. 가소제의 비제한 예는 아비에테이트, 아디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아젤레이트, 벤조에이트, 염소화 파라핀, 시트레이트, 에폭사이드, 글리콜 에테르 및 이들의 에스테르, 글루타레이트, 탄화수소 오일, 이소부티레이트, 올레에이트, 펜타에리트리톨 유도체, 포스페이트, 프탈레이트, 에스테르, 폴리부텐, 리신올레에이트, 세바케이트, 설폰아미드, 트리- 및 피로멜리테이트, 비페닐 유도체, 스테아레이트, 디푸란 디에스테르, 불소 함유 가소제, 히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다중 고리 방향족 화합물, 천연 생성물 유도체, 니트릴, 실록산 기재 가소제, 타르 기재 생성물, 티오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사용시, 중합체 블렌드 내의 가소제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0 초과 내지 약 15 중량%, 약 0.5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1 내지 약 5 중량%일 수 있다. 일부 가소제는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George Wypych, "Handbook of Plasticizers," ChemTec Publishing, Toronto-Scarborough, Ontario (2004)]에 기재되어 있다.Optionally,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can include a plasticizer. Generally, plasticizers are chemicals that can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polymer and low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y plasticize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dded to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plasticizers include abietates, adipates, alkyl sulfonates, azelates, benzoates, chlorinated paraffins, citrate, epoxides, glycol ethers and their esters, glutarates, hydrocarbon oils, isobutyrates, oleates Ates, pentaerythritol derivatives, phosphates, phthalates, esters, polybutenes, lysine oleates, sebacates, sulfonamides, tri- and pyromellitates, biphenyl derivatives, stearates, difuran diesters, fluorine-containing plasticizers, hydrates Oxybenzoic acid esters, isocyanate adducts, polycyclic aromatic compounds, natural product derivatives, nitriles, siloxane based plasticizers, tar based products, thioethers and combinations thereof. In use, the amount of plasticizer in the polymer blend can be greater than 0 to about 15 weight percent, about 0.5 to about 10 weight percent, or about 1 to about 5 weight percen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Some plasticizers are described in George Wypych, "Handbook of Plasticizers," ChemTec Publishing, Toronto-Scarborough, Ontario (2004).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임의로는 중합체 블렌드 내의 중합체 성분 및 유기 첨가제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산화방지제를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에 첨가할 수 있다. 적합한 산화방지제의 비제한 예는 알킬 디페닐아민, 페닐-α-나프틸아민, 알킬 또는 아랄킬 치환된 페닐-α-나프틸아민, 알킬화 p-페닐렌 디아민, 테트라메틸-디아미노디페닐아민 등과 같은 방향족 또는 장애형 아민; 2,6-디-t-부틸-4-메틸페놀과 같은 페놀;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 4'-히드록시벤질)벤젠;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시나메이트)]메탄 (예를 들어, 시바 가이기 (Ciba Geigy) (미국 뉴욕 소재)로부터의 이르가녹스 (IRGANOX)™ 1010); 아크릴로일 개질된 페놀; 옥타데실-3,5-디-t-부틸-4-히드록시시나메이트 (예를 들어, 시바 가이기로부터 시판되는 이르가녹스™ 1076);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히드록실아민; 벤조푸라논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사용시, 중합체 블렌드 내의 산화방지제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0 초과 내지 약 5 중량%, 약 0.0001 내지 약 2.5 중량%, 약 0.001 내지 약 1 중량%, 또는 약 0.001 내지 약 0.5 중량%일 수 있다. 일부 산화방지제는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1, pages 1-140 (2001)]에 기재되어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optionally include antioxidants that can prevent oxidation of the polymer component and organic additives in the polymer blend. Any antioxidan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dded to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suitable antioxidants include alkyl diphenylamines, phenyl-α-naphthylamines, alkyl or aralkyl substituted phenyl-α-naphthylamines, alkylated p-phenylene diamines, tetramethyl-diaminodiphenylamines. Aromatic or hindered amines such as the like; Phenols such as 2,6-di-t-butyl-4-methylphenol; 1,3,5-trimethyl-2,4,6-tris (3 ', 5'-di-t-butyl-4'-hydroxybenzyl) benzene; IRGANOX from tetrakis [(methylene (3,5-di-t-butyl-4-hydroxyhydrocinnamate)] methane (e.g. Ciba Geigy, New York, USA) ) 1010); acryloyl modified phenol; octadecyl-3,5-di-t-butyl-4-hydroxycinnamate (e.g. Irganox ™ 1076 available from Ciba Geigy); Pit and phosphonite; hydroxylamine; benzofuranone derivatives; and combinations thereof In use, the amount of antioxidant in the polymer blend is greater than 0 to about 5 weight percent, from about 0.0001 to about 0.00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2.5 weight percent, about 0.001 to about 1 weight percent, or about 0.001 to about 0.5 weight percent Some antioxidants are described in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1, pages 1-140 (2001). .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임의로는 UV 방사에 의한 중합체의 열화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UV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UV 안정화제를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에 첨가할 수 있다. 적합한 UV 안정화제의 비제한 예는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아릴 에스테르, 옥사닐라이드, 아크릴산 에스테르, 포름아미딘, 카본 블랙, 장애형 아민, 니켈 소광제, 장애형 아민, 페놀계 산화방지제, 금속성 염, 아연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사용시, 중합체 블렌드 내의 UV 안정화제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0 초과 내지 약 5 중량%, 약 0.01 내지 약 3 중량%, 약 0.1 내지 약 2 중량%, 또는 약 0.1 내지 약 1 중량%일 수 있다. 일부 UV 안정화제는 본원 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2, pages 141-426 (2001)]에 기재되어 있다.In other embodiments,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optionally include UV stabilizers that can prevent or reduce degradation of the polymer by UV radiation. Any UV stabilize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dded to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suitable UV stabilizers include benzophenone, benzotriazole, aryl esters, oxanilides, acrylic esters, formamidine, carbon black, hindered amines, nickel quenchers, hindered amines, phenolic antioxidants, Metallic salts, zinc compounds and combinations thereof. In use, the amount of UV stabilizer in the polymer blend can be greater than 0 to about 5 weight percent, about 0.01 to about 3 weight percent, about 0.1 to about 2 weight percent, or about 0.1 to about 1 weight percen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have. Some UV stabilizers are described in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2, pages 141-426 (2001). have.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임의로는 사람의 눈에 대한 중합체 블렌드의 외관을 바꿀 수 있는 착색제 또는 안료를 포함한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착색제 또는 안료를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에 첨가할 수 있다. 적합한 착색제 또는 안료의 비제한 예는 무기 안료, 예를 들어 산화철, 산화아연, 및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금속 산화물, 혼합된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 유기 염료, 예를 들어 안트라퀴논, 안탄트론, 아조 및 모노아조 화합물, 아릴아미드, 벤즈이미다졸론, 보나 레이크 (BONA lake), 디케토피롤로-피롤, 디옥사진, 디스아조 화합물, 디아릴라이드 화합물, 플라반트론, 인단트론, 이소인돌리논, 이소인돌린, 금속 화합물, 모노아조 염, 나프톨, b-나프톨, 나프톨 AS, 나프톨 레이크, 페릴렌, 페리논, 프탈로시아닌, 피란트론, 퀴나크리돈, 및 퀴노프탈론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사용시, 중합체 블렌드 내의 착색제 또는 안료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0 초과 내지 약 10 중량%, 약 0.1 내지 약 5 중량%, 또는 약 0.25 내지 약 2 중량%일 수 있다. 일부 착색제는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15, pages 813-882 (2001)]에 기재되어 있다.In further embodiments,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optionally include colorants or pigments that can alter the appearance of the polymer blend on the human eye. Any colorant or pigmen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dded to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suitable colorants or pigments include inorganic pigments such as metal oxides such as iron oxide, zinc oxide, and titanium dioxide, mixed metal oxides, carbon black, organic dyes such as anthraquinones, anthrones, azo and Monoazo compounds, arylamides, benzimidazolone, BONA lake, diketopyrrolo-pyrrole, dioxazine, disazo compounds, diarylide compounds, flavantrons, indanthrones, isoindolinones, iso Indolin, metal compounds, monoazo salts, naphthol, b-naphthol, naphthol AS, naphthol lake, perylene, perinone, phthalocyanine, pyrantrone, quinacridone, and quinophthalone and combinations thereof. In use, the amount of colorant or pigment in the polymer blend can be greater than 0 to about 10 weight percent, about 0.1 to about 5 weight percent, or about 0.25 to about 2 weight percen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Some colorants are described in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15, pages 813-882 (2001).

임의로는,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특히 부피, 중량, 비용, 및/또는 기술적 성능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충전재를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에 첨가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재의 비제한 예는 활석, 탄산칼슘, 초크, 황산칼슘, 점토, 고령토, 실리카, 유리, 퓸드 실리카, 운모, 규회석, 장석,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나, 알루미나 트리히드레이트와 같은 수화 알루미나, 유리 마이크로스피어 (microsphere), 세라믹 마이크로스피어, 열가소성 마이크로스피어, 중정석, 목재 분말 (wood flour),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대리석 가루, 시멘트 가루,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안티몬, 산화아연, 황산바륨, 이산화티타늄, 티타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충전재는 황산바륨, 활석, 탄산칼슘, 실리카, 유리, 유리 섬유, 알루미나, 이산화티타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충전재는 활석, 탄산칼슘, 황산바륨, 유리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사용시, 중합체 블렌드 내의 충전재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0 초과 내지 약 80 중량%, 약 0.1 내지 약 60 중량%, 약 0.5 내지 약 40 중량%, 약 1 내지 약 30 중량%, 또는 약 10 내지 약 40 중량%일 수 있다. 일부 충전재는 모두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6,103,803호 및 문헌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17, pages 901-948 (2001)]에 개시되어 있다.Optionally,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can include fillers that can be used to specifically adjust volume, weight, cost, and / or technical performance. Any fille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dded to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suitable fillers include hydrated alumina such as talc, calcium carbonate, chalk, calcium sulfate, clay, kaolin, silica, glass, fumed silica, mica, wollastonite, feldspar, aluminum silicate, calcium silicate, alumina, alumina trihydrate , Glass microspheres, ceramic microspheres, thermoplastic microspheres, barite, wood powder, glass fiber, carbon fiber, marble powder, cement powder, magnesium oxide, magnesium hydroxide, antimony oxide, zinc oxide, sulfuric acid Barium, titanium dioxide, titanate and combinations thereof. In some embodiments, the filler is barium sulfate, talc, calcium carbonate, silica, glass, glass fibers, alumina, titanium dioxide, or mixtures thereof. In other embodiments, the filler is talc, calcium carbonate, barium sulfate, glass fibers or mixtures thereof. In use, the amount of filler in the polymer blend is greater than 0 to about 80 weight percent, about 0.1 to about 60 weight percent, about 0.5 to about 40 weight percent, about 1 to about 30 weight percent, or about 10 to about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About 40% by weight. Some fillers are described in US Pat. No. 6,103,803 and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17, pages 901-948 (2001),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

임의로는,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윤활제를 사용하여 특히 용융 중합체 블렌드의 유동학을 개질하고/하거나, 성형물품의 표면 마무리를 개선하고/하거나, 충전재 또는 안료의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윤활제를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에 첨가할 수 있다. 적합한 윤활제의 비제한 예는 지방산 알콜 및 이들의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단쇄 알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지방산 아미드, 금속 비누 (metal soap), 올리고머 지방산 에스테르, 장쇄 알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몬탄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천연 및 합성 파라핀 왁스, 플루오로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사용시, 중합체 블렌드 내의 윤활제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0 초과 내지 약 5 중량%, 약 0.1 내지 약 4 중량%, 또는 약 0.1 내지 약 3 중량%일 수 있다. 일부 적합한 윤활제는 모두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5, pages 511-552 (2001)]에 개시되어 있다.Optionally,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can include a lubricant. In general, lubricants may be used to modify the rheology of the melt polymer blends in particular, to improve the surface finish of the molded article, and / or to facilitate the dispersion of fillers or pigments. Any lubrican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dded to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suitable lubricants include fatty acid alcohols and their dicarboxylic acid esters, fatty acid esters of short chain alcohols, fatty acids, fatty acid amides, metal soaps, oligomeric fatty acid esters, fatty acid esters of long chain alcohols, montan wax, polyethylene Waxes, polypropylene waxes, natural and synthetic paraffin waxes, fluoropolymers, and combinations thereof. In use, the amount of lubricant in the polymer blend can be greater than 0 to about 5 weight percent, about 0.1 to about 4 weight percent, or about 0.1 to about 3 weight percen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Some suitable lubricants are all disclosed in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5, pages 511-552 (2001),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have.

임의로는,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대전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전방지제는 중합체 블렌드의 전도성을 증가시켜 대전 전하 축적을 방지할 수 있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대전방지제를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에 첨가할 수 있다. 적합한 대전방지제의 비제한 예는 전도성 충전재 (예를 들어, 카본 블랙, 금속 입자 및 다른 전도성 입자),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에톡시화 알킬아민, 디에탄올아미드, 에톡시화 알콜, 알킬설포네이트, 알킬포스페이트, 4차 암모늄 염, 알킬베타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사용시, 중합체 블렌드 내의 대전방지제의 양은 중합체의 총 중량의 0 초과 내지 약 5 중량%, 약 0.01 내지 약 3 중량%, 또는 약 0.1 내지 약 2 중량%일 수 있다. 일부 적합한 대전방지제는 모두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10, pages 627-646 (2001)]에 개시되어 있다.Optionally,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may include an antistatic agent. In general, antistatic agents can increase the conductivity of the polymer blend to prevent charge charge accumulation. Any antistatic agen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dded to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suitable antistatic agents include conductive fillers (eg carbon black, metal particles and other conductive particles), fatty acid esters (eg glycerol monostearate), ethoxylated alkylamines, diethanolamides, ethoxylated Alcohols, alkylsulfonates, alkylphosphates, quaternary ammonium salts, alkylbetaines and combinations thereof. In use, the amount of antistatic agent in the polymer blend can be greater than 0 to about 5 weight percent, about 0.01 to about 3 weight percent, or about 0.1 to about 2 weight percen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Some suitable antistatic agents are disclosed in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10, pages 627-646 (2001),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t is.

임의로는, 중합체 블렌드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교될 수 있다. 가교가 바람직할 경우,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중합체 블렌드의 가교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다른 것들 중 이들의 모듈러스 및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교제를 포함한다.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가교제를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에 첨가할 수 있다. 적합한 가교제의 비제한 예는 유기 퍼옥사이드 (예를 들어, 알킬 퍼옥사이드, 아릴 퍼옥사이드, 퍼옥시에스테르, 퍼옥시카르보네이트, 디아실퍼옥사이드, 퍼옥시케탈, 및 시클릭 퍼옥사이드) 및 실란 (예를 들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 및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포함한다. 사용시, 중합체 블렌드 내의 가교제의 양은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0 초과 내지 약 20 중량%, 약 0.1 내지 약 15 중량%, 또는 약 1 내지 약 10 중량%일 수 있다. 일부 적합한 가교제는 모두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14, pages 725-812 (2001)]에 개시되어 있다.Optionally, the polymer blend can be partially or fully crosslinked. If crosslinking is desired,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can be used to achieve crosslinking of the polymer blend, thereby including crosslinkers that can increase their modulus and stiffness among others. Any crosslinking agen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dded to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Non-limiting examples of suitable crosslinkers include organic peroxides (eg, alkyl peroxides, aryl peroxides, peroxyesters, peroxycarbonates, diacylperoxides, peroxyketals, and cyclic peroxides) and silanes ( For exampl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vinyltris (2-methoxyethoxy) silane, vinyltriacetoxysilane, vinylmethyldimethoxysilane, and 3-methacryloyloxypropyltri Methoxysilane). In use, the amount of crosslinker in the polymer blend can be greater than 0 to about 20 weight percent, about 0.1 to about 15 weight percent, or about 1 to about 10 weight percen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Some suitable crosslinkers are disclosed in Zweifel Hans et al., "Plastics Additives Handbook,"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5th edition, Chapter 14, pages 725-812 (2001),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have.

중합체 블렌드의 가교는 또한 전자빔 조사, 베타 조사, 감마 조사, 코로나 조사, 및 UV 방사를 비롯한,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사 수단에 의해 가교 촉매와 함께 또는 가교 촉매 없이 개시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출원 제10/086,057호 (US2002/0132923 A1호로 공개됨) 및 미국 특허 제6,803,014호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빔 조사 방법을 개시한다.Crosslinking of the polymer blend may also be initiated with or without a crosslinking catalyst by any spinning means known in the art,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electron beam irradiation, beta irradiation, gamma irradiation, corona irradiation, and UV radiation. Can be. US Patent Application No. 10 / 086,057 (published as US2002 / 0132923 A1) and US Patent No. 6,803,014 disclose method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that can be use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조사는 높은 에너지, 이온화 전자, 자외선, X-선, 감마선, 베타 입자 등 및 이들의 조합의 사용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자는 70 메가라드 조사량 이하로 사용한다. 방사 공급원은 목적하는 조사량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출력인 약 150 킬로볼트 내지 약 6 메카볼드의 범위 내에서 가동하는 임의의 전자빔 발생기일 수 있다. 전압은 예를 들어, 100,000, 300,000, 1,000,000 또는 2,000,000 또는 3,000,000 또는 6,000,000 또는 더 높거나 더 낮을 수 있는 적절한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다. 중합체 물질을 조사하기 위한 많은 다른 장치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조사는 보통 약 3 메가라드 내지 약 35 메가라드,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20 메가라드의 조사량에서 수행한다. 또한, 더 높거나 더 낮은 온도, 예를 들어 0℃ 내지 약 60℃도 또한 사용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실온에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사는 물품의 형성화 또는 제작 후에 실행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프로-래드 (pro-rad) 첨가제와 혼입된 에틸렌 혼성중합체가 약 8 내지 약 20 메가라드에서의 전자빔 방사로 조사된다.Irradiation can be achieved by the use of high energy, ionized electrons, ultraviolet light, X-rays, gamma rays, beta particles and the like and combinations thereof. Preferably, the former is used at a dose of 70 megarad or less. The radiation source can be any electron beam generator that operates within the range of about 150 kilovolts to about 6 mechabolds, which is a power output capable of supplying the desired dosage. The voltage can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level, which can be, for example, 100,000, 300,000, 1,000,000 or 2,000,000 or 3,000,000 or 6,000,000 or higher or lower. Many other devices for investigating polymeric materials are known in the art. Irradiation is usually carried out at dosages of about 3 megarad to about 35 megarad, preferably about 8 to about 20 megarad. In addition, higher or lower temperatures, such as 0 ° C. to about 60 ° C., may also be used, but irradiation can typically be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Preferably, the irradiation is carried out after formation or manufacture of the article. Also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ethylene interpolymers incorporated with the pro-rad additives are irradiated with electron beam radiation at about 8 to about 20 megarads.

가교는 가교 촉매로 촉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을 제공할 것인 임의의 촉 매를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촉매는 일반적으로 유기 염기, 카르복실산, 및 유기 티타네이트 및 납, 코발트, 철, 니켈, 아연 및 주석의 착물 또는 카르복실레이트를 비롯한 유기금속 화합물을 포함한다.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옥틸주석말레에이트, 디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디옥토에이트, 주석 (I) 아세테이트, 주석 (I) 옥토에이트, 납 나프테네이트, 아연 카프릴레이트, 코발트 나프테네이트 등을 포함한다. 주석 카르복실레이트, 특히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및 디옥틸주석말레에이트가 본 발명에 특히 효과적이다. 촉매 (또는 촉매의 혼합물)는 전형적으로 약 0.015 내지 약 0.035 phr의 촉매적 양으로 존재한다.Crosslinking can be facilitated with a crosslinking catalyst and any catalyst that will provide this function can be used. Suitable catalysts generally include organometallic compounds including organic bases, carboxylic acids, and organic titanates and complexes or carboxylates of lead, cobalt, iron, nickel, zinc and tin. Dibutyltin dilaurate, dioctyltin maleate, dibutyltin diacetate, dibutyltin dioctoate, tin (I) acetate, tin (I) octoate, lead naphthenate, zinc caprylate, cobalt Naphthenate and the like. Tin carboxylates, in particular dibutyltin dilaurate and dioctyltin maleate, are particularly effecti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alyst (or mixture of catalysts) is typically present in a catalytic amount of about 0.015 to about 0.035 phr.

대표적인 프로-래드 첨가제는 아조 화합물, 유기 퍼옥사이드 및 다관능성 비닐 또는 알릴 화합물, 예를 들어,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글루타르알데히드,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말레에이트, 디프로팔질 말레에이트, 디프로팔질 모노알릴 시아누레이트, 디쿠밀 퍼옥사이드,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 t-부틸 퍼벤조에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쿠멘 히드로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토에이트, 메틸 에틸 케톤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 퍼옥시)헥산, 라우릴 퍼옥사이드, tert-부틸 퍼아세테이트, 아조비스이소부틸 니트라이트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프로-래드 첨가제는 C=C, C=N 또는 C=O와 같은 다관능성 (즉 2개 이상의) 잔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Representative pro-rad additives include azo compounds, organic peroxides and polyfunctional vinyl or allyl compounds such as triallyl cyanurate, triallyl isocyanurate,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glutaraldehyd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allyl maleate, dipropalyl maleate, dipropalyl monoallyl cyanurate, dicumyl peroxide, di-tert-butyl peroxide, t-butyl perbenzoate, benzoyl 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t-butyl peroctoate, methyl ethyl ketone peroxide, 2,5-dimethyl-2,5-di (t-butyl peroxy) hexane, lauryl peroxide, tert-butyl peracetate, azo Bisisobutyl nitrite and the like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Preferred pro-rad additives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unds having a multifunctional (ie two or more) residues such as C═C, C═N or C═O.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1종 이상의 프로-래드 첨가제를 에틸렌 혼성중합체에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프로-래드 첨가제는 에틸렌 혼성중합체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초 수지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농축물을 통해 도입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배치를 위한 프로-래드 첨가제 농도는 상대적으로 예를 들어 (농축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중량% 더 높다. One or more pro-rad additives may be introduced into the ethylene interpolymer by any method known in the art. However, preferably the pro-rad additive is introduced via a masterbatch concentrate comprising a base resin that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ethylene interpolymer. Preferably, the pro-rad additive concentration for the masterbatch is relatively higher, for example about 2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ncentrate).

1종 이상의 프로-래드 첨가제를 임의의 유효량으로 에틸렌 중합체에 도입한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프로-래드 첨가제 도입 양은 (에틸렌 혼성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15 내지 약 1 중량%이다.One or more pro-rad additives are introduced into the ethylene polymer in any effective amount. Preferably, the amount of at least one pro-rad additive introduction amount is based on about 0.001 to about 5 weight perc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thylene interpolymer), more preferably about 0.005 to about 2.5 weight percent, most preferably about 0.015 to About 1% by weight.

전자빔 조사 이외에, 가교는 또한 UV 조사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709,742호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UV 조사에 의한 가교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섬유가 형성되기 전, 동안, 또는 후의 광가교제와 함께 또는 광가교제 없이 중합체와 광개시제를 혼합하는 것 및 이어서 섬유를 광개시제와 함께 충분한 UV 방사에 노출시켜 목적하는 수준으로 중합체를 가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사용되는 광개시제는 방향족 케톤, 예를 들어, 벤조페논 또는 1,2-디케톤의 모노아세탈이다. 모노아세탈의 1차 광반응은 아실 및 다알콕시알킬 라디칼을 수득하기 위한 α-결합의 균일 분해이다. 이러한 유형의 α-분해는 문헌 [W. Horspool and D. Armesto, Organic Photochemistry: A Comprehensive Treatment, Ellis Horwood Limited, Chichester, England, 1992]; [J. Kopecky, Organic Photochemistry : A Visual Approach, VCH Publishers, Inc., New York, NY 1992]; [NJ. Turro, et al., Ace. Chem . Res ., 1972, 5, 92]; 및 [J.T. Banks, et al., J. Am . Chem . Soc ., 1993, 115, 2473]에 보다 충분히 기재된 노리시 (Norrish) 유형 I 반응으로 공지되어 있다. 방향족 1,2-디케톤의 모노아세탈, Ar-CO-C(OR)2-Ar'의 합성은 미국 특허 제4,190,602호 및 독일 공개 제2,337,813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분류로부터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시바-가이기로부터 이르가큐어 (Irgacure) 651로 시판되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C6H5-CO-C(OCH3)2-C6H5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광개시제로서 유용한 다른 방향족 케톤의 예는 모두 시바-가이기로부터 입수가능한 이르가큐어 184, 369, 819, 907 및 2959이다.In addition to electron beam irradiation, crosslinking can also be effected by UV irradiation. US Pat. No. 6,709,742 discloses a crosslinking method by UV radiation that can be use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volves mixing the polymer with the photoinitiator with or without the photocrosslinker before, during, or after the fiber is formed, and then crosslinking the polymer to the desired level by exposing the fiber with photoinitiator to sufficient UV radiation. Include. Photoinitiators used in the practice of the invention are aromatic ketones, for example monoacetals of benzophenone or 1,2-diketone. The primary photoreaction of monoacetal is the homogeneous decomposition of α-bonds to obtain acyl and daalkoxyalkyl radicals. This type of α-degradation is described in W. Horspool and D. Armesto, Organic Photochemistry: A Comprehensive Treatment , Ellis Horwood Limited, Chichester, England, 1992; [J. Kopecky, Organic Photochemistry : A Visual Approach , VCH Publishers, Inc., New York, NY 1992; NJ. Turro, et al., Ace. Chem . Res . , 1972, 5, 92; And in JT Banks, et al., J. Am . Chem . Soc . , 1993, 115, 2473, is known as the Norrish type I reaction more fully described. The synthesis of monoacetal, Ar-CO-C (OR) 2 -Ar ', of aromatic 1,2-diketones is described in US Pat. No. 4,190,602 and German Publication No. 2,337,813. Preferred compounds from this class are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C 6 H 5 -CO-C (OCH 3 ) 2 -C, available from Ciba-Geigy as Irgacure 651 6 H 5 . Examples of other aromatic ketones useful as photoinitiators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rgacure 184, 369, 819, 907 and 2959, all available from Ciba-Geigy.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광개시제는 광가교제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자유 라디칼의 발생시, 골격과의 공유 결합을 형성하여 2개 이상의 폴리올레핀 골격을 함께 결합시킬 임의의 광개시제를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광가교제는 다관능성이다. 즉, 이들은 활성시 공중합체의 골격 상의 자리와 공유 결합을 형성할 2개 이상의 자리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광가교제는 다관능성 비닐 또는 알릴 화합물, 예를 들어,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말레에이트, 디프로팔질 말레에이트, 디프로팔질 모노알릴 시아누레이트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광가교제는 다관능성 (즉 2개 이상의) 잔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광가교제는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TAC)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TAIC)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hotoinitiator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photocrosslinker. In the generation of free radicals, any photoinitiator that forms covalent bonds with the backbone to bond two or more polyolefin backbones together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se photocrosslinkers are multifunctional. That is, they comprise two or more sites that will form covalent bonds with sites on the backbone of the copolymer when activated. Representative photocrosslinkers are polyfunctional vinyl or allyl compounds, for example triallyl cyanurate, triallyl isocyanurate,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allyl maleate, dipro Palmyl maleate, dipropalyl monoallyl cyanurate, and the like. Preferred photocrosslinkers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unds having polyfunctional (ie two or more) residues. Particularly preferred photocrosslinkers are triallycyanurate (TAC) and triallylisocyanurate (TAIC).

특정 화합물은 본 발명의 실시에서 광개시제 및 광가교제 모두로서 작용한다. 이들 화합물은 UV-광에 노출 시 2종 이상의 반응성 종 (예를 들어, 자유 라디칼, 카르벤, 니트렌 등)을 발생시키고 이어서 이를 2개의 중합체 사슬과 공유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을 본 발명의 실시에서 사용할 수 있고, 대표적인 화합물은 미국 특허 제6,211,302호 및 동 제6,284,842호에 기재된 설포닐 아자이드를 포함한다.Certain compounds act as both photoinitiators and photocrosslinkers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compounds are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to generate two or more reactive species (e.g., free radicals, carbenes, nitrates, etc.) upon exposure to UV-light and subsequently covalently bond them to the two polymer chains. do. Any compound capable of performing these two functions can be use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resentative compounds include the sulfonyl azides described in US Pat. Nos. 6,211,302 and 6,284,84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공중합체의 2차 가교, 즉, 광가교 이외의 가교를 수행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광개시제는 비광가교제, 예를 들어, 실란과 조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공중합체가 2차 가교 절차, 예를 들어 E-빔 방사에 대한 노출을 거친다. 실란 가교제의 대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5,824,718호에 기재되어 있고, E-빔 방사에 대한 노출을 통한 가교는 미국 특허 제5,525,257호 및 동 제5,324,576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실시양태에서 광가교제의 사용은 임의적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econdary crosslinking of the copolymer, ie crosslinking other than photocrosslinking, is carried out. In this embodiment, the photoinitiator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non-photocrosslinker such as silane or the copolymer is subjected to a secondary crosslinking procedure such as exposure to E-beam radiation. Representative examples of silane crosslinkers are described in US Pat. No. 5,824,718, and crosslinking through exposure to E-beam radiation is described in US Pat. Nos. 5,525,257 and 5,324,576. The use of photocrosslinkers in this embodiment is optional.

1종 이상의 광첨가제, 즉, 광개시제 및 임의로의 광가교제를 당업계의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공중합체에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광첨가제는 공중합체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초 수지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농축물을 통해 도입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배치를 위한 광첨가제 농도는 상대적으로 예를 들어, (농축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중량% 더 높다.One or more photoadditives, ie photoinitiators and optionally photocrosslinkers,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polymer by any method known in the art. Preferably, however, the optical additive is introduced through a masterbatch concentrate comprising a base resin that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copolymer. Preferably, the photoadditive concentration for the masterbatch is relatively higher, for example about 2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ncentrate).

1종 이상의 광첨가제를 임의의 유효량으로 공중합체에 도입한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광첨가제 도입량은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15 내지 약 1 중량%이다.One or more photoadditives are introduced into the copolymer in any effective amount. Preferably, the amount of at least one photoadditive introduced is about 0.001 to about 5, more preferably about 0.005 to about 2.5, most preferably about 0.015 to about 1 weight perc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섬유 또는 필름 제조 공정의 상이한 단계 동안 광개시제 및 임의의 광가교제를 첨가할 수 있다. 광첨가제가 압출 온도에 잘 견딜 수 있다면, 압출기로 공급하기 전에, 예를 들어, 마스터배치 첨가를 통해 폴리올레핀 수지를 첨가제와 혼합할 수 있다. 별법으로, 첨가제는 슬롯 다이 직전에 압출기로 도입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압출 전 성분의 효과적인 혼합이 중요하다. 또 다른 접근에서, 폴리올레핀 섬유는 광첨가제 없이 연신할 수 있고, 광개시제 및/또는 광가교제는 키스-롤 (kiss-roll), 분무, 첨가제가 있는 용액으로의 침지를 통해, 또는 후처리를 위한 다른 공업용 방법에 의해 압출된 섬유에 적용할 수 있다. 이어서 광첨가제가 있는 생성된 섬유를 연속식 또는 배치식 공정에서 전자기 방사를 통해 경화한다. 광첨가제는 단일 및 2축 압출기를 비롯한 통상의 배합 장비를 사용하여 폴리올레핀과 블렌드할 수 있다.Photoinitiators and optional photocrosslinkers may be added during different stages of the fiber or film making process. If the light additive can withstand the extrusion temperature well, the polyolefin resin can be mixed with the additives, for example via masterbatch addition, before feeding to the extruder. Alternatively, the additive may be introduced into the extruder just before the slot die, but in this case effective mixing of the components before extrusion is important. In another approach, the polyolefin fibers can be stretched without photoadditives, and the photoinitiators and / or photocrosslinkers can be kiss-roll, sprayed, immersed in solutions with additives, or other for post-treatment. It is applicable to the fiber extruded by the industrial method. The resulting fiber with the photoadditive is then cured via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a continuous or batch process. Light additives can be blended with polyolefins using conventional blending equipment, including single and twin screw extruders.

전자기 방사의 전력 및 조사 시간은 중합체 분해 및/또는 치수의 부족 없이 효율적인 가교를 허용하도록 선택한다. 바람직한 공정은 EP 0 490 854 Bl호에 기재되어 있다. 열 안정성이 충분한 광첨가제를 폴리올레핀 수지와 예비혼합하고, 섬유로 압출하고, 하나의 에너지 공급원 또는 직렬 연결된 몇몇의 장치를 사용하여 연속식 공정에서 조사한다. 배치식 공정과 비교하여 연속식 공정을 사용하는 것은 스풀 상에 수집되는 편물 직물의 섬유 또는 시트를 경화시키기 위한 몇몇의 장점이 있다.The power and irradi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are chosen to allow efficient crosslinking without lack of polymer degradation and / or dimensions. Preferred processes are described in EP 0 490 854 Bl. Light additives with sufficient thermal stability are premixed with the polyolefin resin, extruded into fibers, and irradiated in a continuous process using one energy source or several devices connected in series. Using a continuous process as compared to a batch process has several advantages for curing the fibers or sheets of knitted fabric collected on a spool.

조사는 UV-방사의 사용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UV-방사는 100 J/cm2의 세기 이하로 사용한다. 조사 공급원은 목적하는 조사량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출력인 약 50 와트 내지 약 25000 와트의 범위 내에서 가동하는 임의의 UV-광 발생기일 수 있다. 와트량은 예를 들어, 1000 와트 또는 4800 와트 또는 6000 와트 또는 더 높거나 더 낮을 수 있는 적절한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다. 중합체 물질을 UV 조사하기 위한 많은 다른 장치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조사는 보통 약 3 J/cm2 내지 약 500 J/cm2, 바람직하게는 약 5 J/cm2 내지 약 100 J/cm2의 조사량에서 수행한다. 추가로, 비록 더 높거나 더 낮은 온도, 예를 들어 0℃ 내지 약 60℃도 또한 사용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실온에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광가교 공정은 더 높은 온도에서 더 빠르다. 바람직하게는, 조사는 물품의 형상화 또는 제작 후 수행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광첨가제와 혼입되는 공중합체는 약 10 J/cm2 내지 약 50 J/cm2에서의 UV-방사로 조사한다.Irradiation can be achieved by the use of UV-spinning. Preferably, UV-radiation is used at an intensity of up to 100 J / cm 2 . The irradiation source can be any UV-light generator that operates within the range of about 50 watts to about 25000 watts, which is the power output capable of supplying the desired dosage. The wattage may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level, which may be, for example, 1000 watts or 4800 watts or 6000 watts or higher or lower. Many other devices for UV irradiation of polymeric materials are known in the art. Irradiation is usually carried out at dosages of about 3 J / cm 2 to about 500 J / cm 2 , preferably about 5 J / cm 2 to about 100 J / cm 2 . In addition, although higher or lower temperatures, such as 0 ° C. to about 60 ° C., can also be used, irradiation can usually be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The photocrosslinking process is faster at higher temperatures. Preferably, the irradiation is carried out after shaping or fabrication of the articl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polymer incorporated with the photoadditive is irradiated with UV-radiation at about 10 J / cm 2 to about 50 J / cm 2 .

중합체 polymer 블렌드의Blend 제조 Produce

중합체 블렌드의 성분, 즉,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폴리올레핀 (즉, 제1 폴리올레핀 및 제2 폴리올레핀) 및 임의의 첨가제는 통상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내의 폴리올레핀 및/또는 첨가제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혼합하거나 블렌드할 수 있다. 적합한 블렌딩 방법의 비제한 예는 용융 블렌딩, 용매 블렌딩, 사출 등을 포함한다.The components of the polymer blend, i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polyolefins (ie, first polyolefins and second polyolefins) and optional additives,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preferably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Mixing or blending can be accomplished using methods that can provide a substantially uniform distribution of polyolefins and / or additives within. Non-limiting examples of suitable blending methods include melt blending, solvent blending, injection, and the like.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블렌드의 성분은 게린 (Guerin) 등에 의해 미국 특허 제4,152,189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용융 블렌드한다. 먼저, 만약 있다면, 모든 용매를 약 5 torr (667 Pa) 내지 약 10 torr (1333 Pa)의 압력에서 약 100℃ 내지 약 200℃ 또는 약 150℃ 내지 약 175℃의 적절한 승온으로 가열하여 성분로부터 제거한다. 이어서, 성분을 목적하는 비율로 용기에 칭량하고, 용기의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용융 상태로 가열하여 중합체 블렌드를 형성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components of the polymer blend are melt blend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US Pat. No. 4,152,189 by Guerin et al. First, if any, remove all solvents from the components by heating to a suitable elevated temperature of about 100 ° C. to about 200 ° C. or about 150 ° C. to about 175 ° C. at a pressure between about 5 torr (667 Pa) and about 10 torr (1333 Pa) do. The components are then weighed into the container at the desired ratio and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are heated in a molten state with stirring to form a polymer blend.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블렌드의 성분을 용매 블렌딩을 사용하여 처리한다. 먼저, 목적하는 중합체 블렌드의 성분을 적합한 용매 중에 용해시킨 후 혼합물을 혼합하거나 블렌드한다. 이어서, 용매를 제거하여 중합체 블렌드를 제공한다.In other embodiments, the components of the polymer blend are processed using solvent blending. First, the components of the desired polymer blend are dissolved in a suitable solvent and then the mixture is mixed or blended. The solvent is then removed to provide a polymer blend.

추가 실시양태에서, 분산 혼합, 분배 혼합, 또는 분산 및 분배 혼합의 조합을 제공하는 물리적 블렌딩 장치가 균일한 블렌드를 제조하기에 유용할 수 있다. 물리적 블렌딩의 배치식 및 연속식 공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배치식 방법의 비제한 예는 브라벤더 (BRABENDER)® 혼합 장비 (예를 들어, C.W.브라벤더 인스트루먼츠 인코퍼레이티드 (C.W.Brabender Instruments, Inc.) (미국 뉴저지주 사우쓰 하켄색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브라벤더 프레프 센터 (BRABENDER PREP CENTER)®) 또는 (파렐 컴퍼니 (Farrel Company) (코네티컷 앤소니아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밴버리 (BANBURY)® 내부 혼합 및 롤 압연 장비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연속식 방법의 비제한 예는 단일 축 압출, 2축 압출, 원반 압출, 왕복 단일 축 압출, 및 핀 배럴 단일 축 압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폴리올레핀 또는 중합체 블렌드의 압출 도중 공급 호퍼 또는 공급 통로 (feed throat)를 통해 첨가제를 압출기로 첨가할 수 있다. 압출에 의한 중합체의 혼합 또는 블렌딩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C. Rauwendaal, "Polymer Extrusion," Hanser Publishers, New York, NY, pages 322-334 (1986)]에 기재되어 있다.In further embodiments, a physical blending device that provides dispersion mixing, dispensing mixing, or a combination of dispersion and dispensing mixing may be useful for producing uniform blends. Both batch and continuous processes of physical blending can be used. Non-limiting examples of batch methods are available from BRABENDER® mixing equipment (e.g., CWBrabender Instruments, Inc., South Haken, NJ). BRABENDER PREP CENTER®) or using the BANBURY® internal mixing and roll rolling equipment (available from Farrel Company, Connecticut). Non-limiting examples of continuous processes include single axis extrusion, biaxial extrusion, disc extrusion, reciprocating single axis extrusion, and pin barrel single axis extrusion. In some embodiments, additives may be added to the extruder through a feed hopper or feed throat during extrusion of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polyolefin or polymer blend. Mixing or blending of the polymers by extrusion is described in C. Rauwendaal, "Polymer Extrusion," Hanser Publishers, New York, NY, pages 322-334 (1986).

중합체 블렌드에 1종 이상의 첨가제가 요구될 때,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폴리올레핀 또는 중합체 블렌드에 목적하는 양의 첨가제를 일 투입량 또는 다중 투입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첨가는 임의의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첨가제를 먼저 첨가하고,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와 혼합하거나 블렌드한 후 첨가제-함유 혼성중합체를 폴리올레핀과 블렌드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첨가제를 먼저 첨가하고, 폴리올레핀과 혼합하거나 블렌드하고, 이어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와 혼합하거나 블렌드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를 먼저 폴리올레핀과 블렌드한 후 첨가제를 중합체 블렌드와 블렌드한다. 중합체 블렌드는 또한 (예비 배합이 요구되지 않는) 건조 블렌드와 같은 제작 장비에서 수행할 수 있다. When one or more additives are required in the polymer blend, the desired amount of additives may be added in one dose or multiple doses to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polyolefin or polymer blend. In addition, addition can be performed in arbitrary order. In some embodiments, the additive is first added, mixed or blended with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and the additive-containing interpolymer is blended with the polyolefin. In other embodiments, the additive is first added and mixed or blended with the polyolefin and then mixed or blended with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In a further embodiment,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is first blended with the polyolefin and then the additive is blended with the polymer blend. The polymer blend can also be performed in fabrication equipment such as dry blends (no preliminary formulation is required).

별법으로, 고농도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터 배치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폴리올레핀 또는 중합체 블렌드를 고농도의 첨가제와 블렌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스터 배치의 첨가제 농도는 중합체 블렌드의 총 중량의 약 1 내지 약 50 중량%, 약 1 내지 약 40 중량%, 약 1 내지 약 30 중량%, 또는 약 1 내지 약 20 중량%일 수 있다. 이어서 마스터 배치를, 최종 생성물에서의 목적하는 첨가제 농도를 제공하도록 결정한 양으 로 중합체 블렌드에 첨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마스터 배치는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가소제, 산화방지제, UV 안정화제, 착색제 또는 안료, 충전재, 윤활제, 무적제, 흐름 보조제, 커플링제, 가교제, 기핵제, 계면활성제, 용매, 난연제, 대전방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마스터 배치는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마스터 배치는 슬립제를 함유한다.Alternatively, master batche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additives can be used. In general, master batches can be prepared by blending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polyolefins or polymer blends with high concentrations of additives. The additive concentration of the master batch may be about 1 to about 50 weight percent, about 1 to about 40 weight percent, about 1 to about 30 weight percent, or about 1 to about 20 weight percen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 blend. The master batch can then be added to the polymer blend in an amount determined to provide the desired additive concentration in the final product. In some embodiments, the master batch is a slip agent, antiblocking agent, plasticizer, antioxidant, UV stabilizer, colorant or pigment, filler, lubricant, invincible, flow aid, coupling agent, crosslinker, nucleating agent, surfactant, solvent, flame retardant , Antistatic ag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In other embodiments, the master batch contains a slip agent, antiblocking agent or a combination thereof. In other embodiments, the master batch contains a slip agent.

중합체 polymer 블렌드의Blend 적용 apply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는 자동차, 건설, 제약, 식품 및 음료, 전기, 기구, 사무 기기, 및 소비 시장을 위한 내구성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블렌드는 장난감, 자루, 부드러운 감촉 손잡이, 범퍼 마찰 스트립, 마루, 자동차 바닥 매트, 바퀴, 다리 바퀴, 가구 및 기구 하부, 꼬리표, 봉인, 정적 및 동적 개스킷과 같은 개스킷, 자동차 문, 범퍼 띠, 그릴 요소, 로커 패널, 호스, 라이닝, 사무용품, 밀봉, 라이너, 다이어프램, 관, 뚜껑, 마개, 플런저 팁, 전달 시스템, 주방용품, 구두, 신발 블래더, 신발 밑창으로부터 선택된 가요성 내구성 부품 또는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블렌드를 사용하여 높은 인장 강도 및 낮은 압축 영구변형률을 요구하는 내구성 부품 또는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블렌드를 사용하여 높은 상부 서비스 온도 및 낮은 모듈러스를 요구하는 내구성 부품 또는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can be used to make durable articles for the automotive, construction, pharmaceutical, food and beverage, electrical, appliance, office equipment, and consumer markets. In some embodiments, the polymer blend is a toy, sack, soft hand grip, bumper friction strip, flooring, car floor mat, wheels, casters, furniture and appliance undercarriage, gaskets such as tags, seals, static and dynamic gaskets, automotive doors. Flexible durability selected from bumper straps, grill elements, rocker panels, hoses, linings, office supplies, seals, liners, diaphragms, tubes, lids, stoppers, plunger tips, delivery systems, kitchenware, shoes, shoe bladders, shoe soles Used to manufacture parts or articles. In other embodiments, polymer blends can be used to make durable parts or articles that require high tensile strength and low compression set. In further embodiments, the polymer blend can be used to make durable parts or articles that require high top service temperatures and low modulus.

중합체 블렌드는 압출 (예를 들어, 시트 압출 및 프로파일 압출), 성형 (예 를 들어, 사출 성형, 성형, 회전 성형, 및 블로우 성형)과 같은 공지된 중합체 공정으로 다양한 유용한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출은 중합체가 용융되고 압축되는 고온 및 고압 지역을 거쳐 스크류를 따라 중합체를 연속적으로 추진시키고, 최종적으로 다이를 통해 밀어내는 방법이다. 압출기는 단일 축 압출기, 다중 축 압출기, 원반 압출기 또는 램 압출기일 수 있다. 다이는 필름 다이, 블로운 필름 다이, 시트 다이, 파이프 다이, 튜빙 다이 또는 프로파일 압출 다이일 수 있다. 중합체의 압출은 모두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C. Rauwendaal, "Polymer Extrusion," Hanser Publishers, New York, NY (1986)] 및 문헌 [M.J. Stevens, "Extruder Principals and Operation," El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New York, NY (1985)]에 기재되어 있다.Polymer blends can be used to make a variety of useful articles by known polymer processes such as extrusion (eg, sheet extrusion and profile extrusion), molding (eg, injection molding, molding, rotational molding, and blow molding). have. In general, extrusion is a method of continuously pushing a polymer along a screw through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gion where the polymer is melted and compressed and finally pushed through a die. The extruder may be a single screw extruder, a multiple screw extruder, a disc extruder or a ram extruder. The die may be a film die, blown film die, sheet die, pipe die, tubing die or profile extrusion die. Extrusion of the polymers are all described in C. Rauwendaal, "Polymer Extrusion," Hanser Publishers, New York, NY (1986) and M.J. Stevens, "Extruder Principals and Operation," El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New York, NY (1985).

사출 성형도 또한 다양한 적용을 위한 다양한 플라스틱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은 중합체를 용융시키고, 고압에서 목적하는 모양의 반대인 금형으로 주입하여, 목적하는 모양 및 크기의 부품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금형은 금속, 예를 들어 강철 및 알루미늄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중합체의 사출 성형은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Beaumont et al., "Successful Injection Molding: Process, Design, and Simulation,"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2002)]에 기재되어 있다.Injection molding is also widely used to manufacture a variety of plastic parts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In general, injection molding is a method of melting a polymer and injecting it at a high pressure into a mold opposite of the desired shape to form parts of the desired shape and size. The mold can be made from metals such as steel and aluminum. Injection molding of polymers is described in Beaumont et al., “Successful Injection Molding: Process, Design, and Simulation,”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2002), which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성형은 일반적으로 중합체를 용융시키고 목적하는 모양의 반대인 금형으로 도입하여 목적하는 모양 및 크기의 부품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성형은 무압력 또는 압력 조력 공정일 수 있다. 중합체의 성형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Hans-Georg Elias "An Introduction to Plastics," Wiley-VCH, Weinhei, Germany, pp. 161-165 (2003)]에 기재되어 있다.Molding is generally a method of melting a polymer and introducing it into a mold that is the opposite of the desired shape to form parts of the desired shape and size. Molding can be a pressureless or pressure assisted process. Molding of polymers is described in Hans-Georg Elias "An Introduction to Plastics," Wiley-VCH, Weinhei, Germany, pp. 161-165 (2003).

회전 성형은 중공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후성형 작동을 사용하여, 다른 성형 및 압출 기술만큼 효과적으로 복합 성분을 제조할 수 있다. 회전 성형은 가열, 용융, 성형, 및 냉각 단계가 모두 중합체를 금형에 배치한 이후에 일어나, 형성 중 인가되는 외부 압력이 없다는 점에서 다른 가공 방법과 상이하다. 중합체의 회전 성형은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Glenn Beall, "Rotational Molding: Design, Materials & Processing,"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1998)]에 기재되어 있다.Rotational molding is a commonly used method for producing hollow plastic products. Additional post-molding operations can be used to produce composite components as effectively as other molding and extrusion techniques. Rotational molding differs from other processing methods in that the heating, melting, molding, and cooling steps all occur after the polymer is placed in the mold, and there is no external pressure applied during formation. Rotational molding of polymers is described in Glenn Beall, "Rotational Molding: Design, Materials & Processing,"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1998).

블로우 성형은 중공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금형의 중심에 연화된 중합체를 배치하고, 블로우 핀으로 금형 벽을 향하여 중합체를 팽창시키고, 냉각에 의해 생성물을 고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블로우 성형의 3가지 일반적인 유형, 즉 압출 블로우 성형, 사출 블로우 성형, 및 신장 블로우 성형이 있다. 사출 블로우 성형은 압출할 수 없는 중합체를 가공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신장 블로우 성형은 블로우하기 어려운 결정질 및 결정성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의 블로우 성형은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Norman C. Lee, "Understanding Blow Molding,"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2000)]에 기재되어 있다.Blow molding can be used to make hollow plastic containers. The method involves placing a softened polymer in the center of the mold, expanding the polymer towards the mold wall with a blow pin, and solidifying the product by cooling. There are three common types of blow molding: extrusion blow molding, injection blow molding, and stretch blow molding. Injection blow molding can be used to process polymers that cannot be extruded. Stretch blow molding can be used for crystalline and crystalline polymers, such as polypropylene, that are difficult to blow. Blow molding of polymers is described in Norman C. Lee, "Understanding Blow Molding," Hanser Gardner Publications, Cincinnati, Ohio (2000), which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예증하기 위해 나타낸다. 모든 수치는 근사치이다. 수치 범위가 제공된 경우, 언급된 범위에서 벗어나는 실시양태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각각의 실시예에 기재된 구체적 상세 사항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으로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shown to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ll figures are approximate. When provided with a numerical rang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mbodiments outside the stated range may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details described in each example should not be considered as essential features of the invention.

테스트 방법Test method

하기 실시예에서는, 하기 분석 기술을 이용하였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analytical techniques were used.

샘플 1 내지 4 및 A 내지 C에 대한 For samples 1-4 and A-C GPCGPC 방법 Way

160℃로 설정된 가열된 니들이 장착된 자동화 액체-취급 로봇을 사용하여, 300 ppm 이오놀 (Ionol)에 의해 안정화된 충분한 1,2,4-트리클로로벤젠을 각각의 건조된 중합체 샘플에 첨가하여 30 mg/mL의 최종 농도를 얻었다. 작은 유리 교반 막대를 각각의 튜브내에 배치하고, 샘플을 250 rpm으로 회전하는 가열된 회전식 진탕기에서 2시간 동안 160℃까지 가열하였다. 이어서, 자동화 액체-취급 로봇 및 160℃로 설정된 가열된 니들을 사용하여 중합체 농축액을 1 mg/ml로 희석하였다.Using an automated liquid-handling robot equipped with a heated needle set at 160 ° C., sufficient 1,2,4-trichlorobenzene stabilized by 300 ppm Ionol was added to each dried polymer sample by 30 A final concentration of mg / mL was obtained. A small glass stir bar was placed in each tube and the sample was heated to 160 ° C. for 2 hours in a heated rotary shaker rotating at 250 rpm. The polymer concentrate was then diluted to 1 mg / ml using an automated liquid-handling robot and a heated needle set at 160 ° C.

시믹스 래피드 GPC 시스템 (Symyx Rapid GPC system)을 사용하여 각각의 샘플에 대한 분자량 데이타를 측정하였다. 2.0 ml/분의 유속으로 설정된 길슨 (Gilson) 350 펌프를 사용하여, 300 ppm 이오놀에 의해 안정화된 헬륨 퍼징된 1,2-디클로로벤젠을 이동상으로서, 직렬로 배치된 3개의 Pl겔 (Plgel) 10 마이크로미터 (㎛) 혼합-B 300 mm x 7.5 mm 컬럼을 통해 펌핑하고, 160℃까지 가열하였다. 폴리머 랩스 ELS 1000 검출기 (Polymer Labs ELS 1000 Detector)를 250℃로 설정된 증발기, 165℃로 설정된 네뷸라이저 (Nebulizer), 및 60 내지 80 psi (400 내지 600 kPa) N2의 압력에서 1.8 SLM으로 설정된 질소 유속과 함께 사용하였다. 중합체 샘플을 160℃까지 가열하고, 액체-취급 로봇 및 가열된 니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샘플을 250 ㎕의 루프에 주입하였다. 스위칭된 2개의 루프를 사용한 일련의 중합체 샘플 분석 및 중복 주입을 사용하였다. 시믹스 에퍽 (Symyx Epoch)™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샘플 데이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피크를 수동 적분하고, 분자량 정보는 폴리스티렌 표준 보정 곡선에 대하여 보정되지 않은 상태로 기록하였다.Molecular weight data for each sample was measured using the Symyx Rapid GPC system. Three Plgels placed in series as a mobile phase with helium purged 1,2-dichlorobenzene stabilized with 300 ppm ionol using a Gilson 350 pump set at a flow rate of 2.0 ml / min. Pumped through a 10 micrometer (μm) Mix-B 300 mm × 7.5 mm column and heated to 160 ° C. The Polymer Labs ELS 1000 Detector was set to an evaporator set at 250 ° C., a nebulizer set at 165 ° C., and nitrogen set at 1.8 SLM at a pressure of 60 to 80 psi (400 to 600 kPa) N 2 . Used with flow rate. The polymer samples were heated to 160 ° C. and each sample was injected into a 250 μl loop using a liquid-handling robot and heated needle. A series of polymer sample analyzes and duplicate injections using two switched loops were used. Sampl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ymyx Epoch ™ software. Peaks were manually integrated and molecular weight information was recorded uncorrected against the polystyrene standard calibration curve.

표준 Standard CRYSTAFCRYSTAF 방법 Way

폴리머 차르 (Polymer Char) (스페인 발렌시아 소재)에서 시판되는 CRYSTAF 200 유닛을 사용하여 결정화 분석 분별 (CRYSTAF)에 의해 분지화 분포를 측정하였다. 샘플을 160℃에서 1시간 동안 1,2,4-트리클로로벤젠 중에 용해시키고 (0.66 mg/mL), 95℃에서 45분 동안 안정화시켰다. 0.2℃/분의 냉각 속도에서 샘플링 온도는 95 내지 30℃의 범위였다. 적외선 검출기를 사용하여 중합체 용액 농도를 측정하였다. 온도를 감소시키며 중합체를 결정화시킬 때 누적 가용 농도를 측정하였다. 누적 프로파일의 분석 미분치는 중합체의 단쇄 분지화 분포를 반영한다.Branching distribution was measured by crystallization analysis fractionation (CRYSTAF) using a CRYSTAF 200 unit commercially available from Polymer Char (Valencia, Spain). The sample was dissolved in 1,2,4-trichlorobenzene at 160 ° C. for 1 hour (0.66 mg / mL) and stabilized at 95 ° C. for 45 minutes. Sampling temperatures ranged from 95 to 30 ° C. at a cooling rate of 0.2 ° C./min. The polymer solution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an infrared detector. The cumulative soluble concentration was measured when the polymer crystalliz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Analytical derivatives of the cumulative profile reflect the short chain branching distribution of the polymer.

CRYSTAF 피크 온도 및 면적은 CRYSTAF 소프트웨어 (버젼 2001.b, 폴리머 차르 (스페인 발렌시아 소재))에 포함된 피크 분석 모듈에 의해 확인하였다. CRYSTAF 피크 확인 루틴에 의해 dW/dT 곡선에서 최대치로서의 피크 온도, 및 미분 곡선에서 확인된 피크의 각 측면 상의 최대의 양의 굴곡부 사이의 면적을 확인하였다. CRYSTAF 곡선을 계산하기 위해, 바람직한 가공 파라미터는 온도 한계를 70℃ 로 하여 0.1의 온도 한계 초과 및 0.3의 온도 한계 미만의 파라미터 평탄화를 수행한 것이다.CRYSTAF peak temperature and area were confirmed by the peak analysis module included in the CRYSTAF software (version 2001.b, Polymer Char, Valencia, Spain). The CRYSTAF peak identification routine confirmed the area between the peak temperature as the maximum in the dW / dT curve, and the maximum amount of bend on each side of the peak identified in the derivative curve. To calculate the CRYSTAF curve, a preferred processing parameter is to perform parameter planarization above the temperature limit of 0.1 and below the temperature limit of 0.3 with a temperature limit of 70 ° C.

DSCDSC 표준 방법 (샘플 1 내지 4 및 A 내지 C 제외) Standard method (except samples 1-4 and A-C)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의 결과는, RCS 냉각 부속품 및 오토샘플러가 장착된 TAI 모델 Q1000 DS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0 ml/분의 질소 퍼징 기체 유동을 사용하였다. 샘플을 박막내에 압착시키고, 약 175℃에서 프레스내에서 용융시킨 후, 실온 (25℃)까지 공냉시켰다. 이어서, 3 내지 10 mg의 물질을 6 mm 직경의 디스크로 절단하고, 정확히 칭량하고, 경량 알루미늄 팬 (약 50 mg)에 넣은 후, 크림핑 차단하였다. 하기 온도 프로파일로 샘플의 열적 거동을 조사하였다. 샘플을 180℃까지 급속히 가열하고, 3분 동안 등온 유지하여, 이전의 임의의 열적 이력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10℃/분의 냉각 속도로 -40℃까지 냉각시키고, -40℃에서 3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10℃/분의 가열 속도로 150℃까지 가열하였다. 냉각 및 제2 가열 곡선을 기록하였다.The results of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were measured using a TAI model Q1000 DSC equipped with an RCS cooling accessory and an autosampler. A nitrogen purge gas flow of 50 ml / min was used. The sample was pressed into a thin film and melted in a press at about 175 ° C. and then air cooled to room temperature (25 ° C.). Subsequently, 3-10 mg of material was cut into 6 mm diameter disks, accurately weighed, placed in a lightweight aluminum pan (about 50 mg) and then crimped off. The thermal behavior of the samples was investigated with the following temperature profiles. The sample was rapidly heated to 180 ° C. and kept isothermal for 3 minutes to remove any previous thermal history. The sample was then cooled to −40 ° C. at a cooling rate of 10 ° C./min and held at −40 ° C. for 3 minutes. The sample was then heated to 150 ° C. at a heating rate of 10 ° C./min. Cooling and second heating curves were recorded.

DSC 용융 피크는, -30℃와 용융 종결점 사이에 나타낸 선형 기준선에 대하여 열 유량 (W/g)의 최대치로서 측정하였다. 용융열은, 선형 기준선을 사용하여 -30℃와 용융 종결점 사이의 용융 곡선 아래의 면적으로서 측정하였다.The DSC melt peak was measured as the maximum of heat flow rate (W / g) with respect to the linear baseline shown between −30 ° C. and the melting end point. The heat of fusion was measured as the area under the melting curve between −30 ° C. and the melting end point using a linear baseline.

GPCGPC 방법 (샘플 1 내지 4 및 A 내지 C 제외) Method (except Samples 1-4 and A-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은, 폴리머 래버러터리즈 (Polymer Laboratories) 모델 PL-210 또는 폴리머 래버러터리즈 모델 PL-220 기기로 구성되었다. 컬럼 및 캐러셀 (carousel) 구획을 140℃에서 작동시켰다. 3개의 폴리머 래버러터리즈 10-마이크론 혼합-B 컬럼을 사용하였다. 용매는 1,2,4-트리클로로벤젠이었다. 샘플을,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200 ppm을 함유하는 용매 50 밀리리터 중의 중합체 0.1 g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160℃에서 2시간 동안 가볍게 교반함으로써 샘플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주입 부피는 100 마이크로리터였고, 유속은 1.0 ml/분이었다.Th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system consisted of Polymer Laboratories Model PL-210 or Polymer Laboratories Model PL-220 instruments. The column and carousel compartments were operated at 140 ° C. Three Polymer Laboratories 10-micron Mixed-B columns were used. The solvent was 1,2,4-trichlorobenzene. Samples were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0.1 g of polymer in 50 milliliters of solvent containing 200 ppm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Samples were prepared by gently stirring at 160 ° C. for 2 hours. The injection volume used was 100 microliters and the flow rate was 1.0 ml / min.

개별 분자량 사이에서 10개 이상 분리된 6종의 "칵테일 (cocktail)" 혼합물 중에 배열된, 분자량이 580 내지 8,400,000의 범위인 21종의 좁은 분자량 분포의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사용하여 GPC 컬럼 세트의 보정을 수행하였다. 표준물은 폴리머 래버러터리즈 (영국 쉬롭샤이어 소재)로부터 구입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분자량이 1,000,000 이상인 것에 대해서는 용매 50 밀리리터 중 0.025 g으로, 또한 분자량이 1,000,000 미만인 것에 대해서는 용매 50 밀리리터 중 0.05 g으로 제조하였다.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30분 동안 온화하게 교반하면서 80℃에서 용해시켰다. 좁은 표준물 혼합물을 먼저, 그리고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고 분자량 성분으로부터 감소시키는 순서로 진행시켰다. 수학식: M폴리에틸렌 = 0.431(M폴리스티렌)을 이용하여 폴리스티렌 표준 피크 분자량을 폴리에틸렌 분자량으로 전환하였다 (문헌 [Williams and Ward, J. Poym . Sci ., Polym . Let., 6, 621 (1968)]에 기재됨).Calibration of the set of GPC columns was carried out using 21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olystyrene standards with molecular weights ranging from 580 to 8,400,000, arranged in six “cocktail” mixtures separated by at least 10 between individual molecular weights. Was performed. Standards were purchased from Polymer Laboratories, Shropshire, UK. Polystyrene standards were prepared in 0.025 g of 50 milliliters of solvent for molecular weights of 1,000,000 or more, and 0.05 g in 50 milliliters of solvent for molecular weights of less than 1,000,000. The polystyrene standard was dissolved at 80 ° C. with gentle stirring for 30 minutes. The narrow standard mixture was run first and then in decreasing order from the highest molecular weight component to minimize degradation. Equation: Polyethylene standard peak molecular weight was converted to polyethylene molecular weight using M polyethylene = 0.431 (M polystyrene ) (Williams and Ward, J. Poym . Sci ., Polym . Let. , 6, 621 (1968)). Listed).

비스코텍 트리SEC (Viscotek TriSEC) 소프트웨어 버젼 3.0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등가 분자량을 계산하였다.Polyethylene equivalent molecular weights were calculated using Viscotek TriSEC software version 3.0.

압축 영구변형률Compression set

ASTM D 395에 따라 압축 영구변형률을 측정하였다. 두께가 3.2 mm, 2.0 mm 및 0.25 mm인 직경 25.4 mm의 원형 디스크를 총 두께가 12.7 mm에 도달할 때까지 적층시킴으로써 샘플을 제조하였다. 디스크를 하기 조건 하에 고온 프레스로 성형된 12.7 cm x 12.7 cm 압축 성형된 플라크로부터 절단하였다. 190℃에서 3분 동안 압력 0, 그 후 190℃에서 2분 동안 86 MPa, 그 후 86 MPa에서 냉각수를 흘려 프레스내에서 냉각시켰다.Compression set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395. Samples were prepared by laminating circular discs of diameter 25.4 mm with a thickness of 3.2 mm, 2.0 mm and 0.25 mm until the total thickness reached 12.7 mm. The discs were cut from 12.7 cm x 12.7 cm compression molded plaques formed by hot press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 pressure of 0 at 190 ° C. for 3 minutes followed by 86 MPa at 190 ° C. for 2 minutes followed by cooling water at 86 MPa was cooled in the press.

밀도density

ASTM D 1928에 따라 밀도 측정용 샘플을 제조하였다. ASTM D792, 방법 B를 사용하여 샘플 압축 1시간내에 측정하였다.Samples for density measurement were prepared according to ASTM D 1928. Measurements were made within 1 hour of sample compression using ASTM D792, Method B.

굴곡/curve/ 시컨트secant 모듈러스Modulus /저장 /Save 모듈러스Modulus

ASTM D 1928을 사용하여 샘플을 압축 성형하였다. ASTM D-790에 따라 굴곡 및 2% 시컨트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ASTM D 5026-01 또는 동등한 기술에 따라 저장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Samples were compression molded using ASTM D 1928. Flexural and 2% secant modulus wer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790. Storage modulus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5026-01 or equivalent technique.

광학 특성Optical properties

고온 프레스 (카버 (Carver) 모델 #4095-4PR1001R)를 사용하여 0.4 mm 두께의 필름을 압축 성형하였다. 펠렛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 사이에 배치하고, 55 psi (380 kPa)에서 3분 동안, 그 후 1.3 MPa에서 3분 동안, 이어서 2.6 MPa에서 3분 동안 190℃에서 가열하였다. 이어서, 필름을 1.3 MPa에서 1분 동안 냉각수를 흘려 프레스내에서 냉각시켰다. 압축 성형된 필름을 광학 측정, 인장 거 동, 회복률 및 응력 완화율에 사용하였다.A 0.4 mm thick film was compression molded using a hot press (Carver model # 4095-4PR1001R). The pellet was placed between polytetrafluoroethylene sheets and heated at 190 ° C. for 3 minutes at 55 psi (380 kPa) then 3 minutes at 1.3 MPa and then 3 minutes at 2.6 MPa. The film was then cooled in a press by flowing cooling water at 1.3 MPa for 1 minute. Compression molded films were used for optical measurements, tensile behavior, recovery and stress relaxation rates.

ASTM D 1746에 명시된 바와 같이 BYK 가드너 헤이즈-가드 (BYK Gardner Haze-gard)를 사용하여 투명도를 측정하였다.Transparency was measured using BYK Gardner Haze-gard as specified in ASTM D 1746.

ASTM D-2457에 명시된 바와 같이 BYK 가드너 글로스미터 마이크로글로스 (BYK Gardner Glossmeter Microgloss) 45°를 사용하여 45°광택을 측정하였다.45 ° gloss was measured using BYK Gardner Glossmeter Microgloss 45 ° as specified in ASTM D-2457.

ASTM D 1003 절차 A를 기초로 한 BYK 가드너 헤이즈-가드를 사용하여 내부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필름 표면에 미네랄 오일을 도포하여 표면 스크래치를 제거하였다.Internal haze was measured using a BYK Gardner Haze-Guard based on ASTM D 1003 Procedure A. Mineral oil was applied to the film surface to remove surface scratches.

기계적 특성 - 인장, Mechanical properties-tensile,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 HysteresisHysteresis ) 및 ) And 인열Tear

ASTM D 1708 미세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단축 장력에서의 응력-변형률 거동을 측정하였다. 샘플을 21℃에서 500%/분으로 인스트론 (Instron)에 의해 신장시켰다. 5개의 시험편의 평균으로부터 인장 강도 및 파단 신장률을 기록하였다.The stress-strain behavior at uniaxial tension was measured using ASTM D 1708 microtensile test specimens. Samples were stretched by Instron at 500C / min at 21 ° C.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were recorded from the average of five test pieces.

인스트론™ 기기에 의해 ASTM D 1708 미세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100% 및 300% 변형률에 대한 순환 로딩으로부터 100% 및 300% 히스테리시스를 측정하였다. 샘플을 21℃에서 3 사이클 동안 267%/분으로 로딩 및 언로딩하였다. 환경 챔버를 사용하여 300% 및 80℃에서의 순환 실험을 수행하였다. 80℃ 실험에서, 샘플을 테스트하기 전에 테스트 온도에서 45분 동안 평형화하였다. 21℃, 300% 변형률 순환 실험에서, 제1 언로딩 사이클로부터 150% 변형률에서의 수축 응력을 기록하였다. 로딩이 기준선으로 되돌아가는 변형률을 이용하여 제1 언로딩 사이클로부터 모든 실험에서의 회복률 (%)을 계산하였다. 회복률 (%)은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100% and 300% hysteresis was measured from cyclic loading for 100% and 300% strain using ASTM D 1708 microtensile test specimens by an Instron ™ instrument. Samples were loaded and unloaded at 21 ° C. at 267% / min for 3 cycles. Circul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300% and 80 ° C using an environmental chamber. In the 80 ° C. experiment, the samples were equilibrated for 45 minutes at the test temperature before testing. In a 21 ° C., 300% strain cycling experiment, shrinkage stress at 150% strain from the first unloading cycle was recorded. The percent recovery in all experiments was calculated from the first unloading cycle using the strain at which loading returned to baseline. Recovery rate (%) is defined as follows.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6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6

식 중, εf는 순환 로딩에 대해 얻어진 변형률이고, εs는 제1 언로딩 사이클 동안 로딩이 기준선으로 되돌아가는 변형률이다.Where ε f is the strain obtained for cyclic loading and ε s is the strain at which the loading returns to the baseline during the first unloading cycle.

환경 챔버가 장착된 인스트론™ 기기를 사용하여 50% 변형률 및 37℃에서 12시간 동안 응력 완화율을 측정하였다. 게이지 기하구조는 76 mm x 25 mm x 0.4 mm였다. 환경 챔버내에서 37℃에서 45분 동안 평형화한 후, 샘플을 333%/분으로 50% 변형률까지 신장시켰다. 응력을 12시간 동안 시간의 함수로서 기록하였다.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12시간 후 응력 완화율 (%)을 계산하였다.Stress relief was measured at 50% strain and 12 hours at 37 ° C. using an Instron ™ instrument equipped with an environmental chamber. The gauge geometry was 76 mm x 25 mm x 0.4 mm. After equilibrating at 37 ° C. for 45 minutes in an environmental chamber, the sample was stretched to 50% strain at 333% / min. The stress was recorded as a function of time for 12 hours. The stress relaxation rate (%) was calculated after 12 hours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7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7

식 중, L0은 0시간에서 50% 변형률에서의 로딩이고, L12는 12시간 후 50% 변형률에서의 로딩이다.In the formula, L 0 is loading at 50% strain at 0 hours and L 12 is loading at 50% strain after 12 hours.

인스트론™ 기기를 사용하여 0.88 g/cc 이하의 밀도를 갖는 샘플에 대해 인장 노칭된 인열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하구조는, 시험편 길이의 절반에서 샘플내로 2 mm 노치 컷을 갖는 76 mm x 13 mm x 0.4 mm의 게이지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샘플이 파단될 때까지 샘플을 21℃에서 508 mm/분으로 신장시켰다. 인열 에너지를, 최대 로딩에서의 변형률까지의 응력-신장 곡선 아래의 면적으로서 계산하였다. 3개 이상의 시험편의 평균을 기록하였다.Tensile notched tear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samples with a density of 0.88 g / cc or less using an Instron ™ instrument. The geometry consisted of a 76 mm x 13 mm x 0.4 mm gauge region with a 2 mm notch cut into the sample at half the test piece length. The sample was stretched at 21 ° C. to 508 mm / min until the sample broke. Tear energy was calculated as the area under the stress-elongation curve up to strain at maximum loading. The average of three or more test pieces was recorded.

TMATMA

5분 동안 180℃ 및 10 MPa 성형 압력에서 형성된 후 공기 켄칭된, 직경 30 mm x 두께 3.3 mm의 압축 성형된 디스크에 대해 열기계 분석 (침투 온도)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기기는 TMA 7 (퍼킨-엘머 (Perkin-Elmer)로부터 입수가능한 상표)이었다. 테스트에서는, 반경 1.5 mm의 팁을 갖는 프로브 (P/N N519-0416)를 1 N의 힘으로 샘플 디스크의 표면에 적용하였다. 온도를 25℃로부터 5℃/분으로 상승시켰다. 프로브 침투 거리를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하였다. 프로브가 샘플내로 1 mm 침투되었을 때 실험을 종결하였다.Thermomechanical analysis (penetration temperature) was performed on compression molded discs of 30 mm diameter x 3.3 mm thickness which were then air quenched at 180 ° C. and 10 MPa molding pressure for 5 minutes. The instrument used was TMA 7 (trademark available from Perkin-Elmer). In the test, a probe with a radius of 1.5 mm (P / N N519-0416)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ample disc with a force of 1 N. The temperature was raised from 25 ° C. to 5 ° C./min. Probe penetration distance was measur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The experiment was terminated when the probe had penetrated 1 mm into the sample.

DMADMA

180℃ 및 10 MPa 압력에서 5분 동안 고온 프레스내에서 형성되고, 이어서 프레스내에서 90℃/분으로 수냉각시킨, 압축 성형된 디스크에 대해 동적 기계적 분석 (DMA)을 수행하였다. 비틀림 테스트를 위해 이중 캔틸레버 고정물이 장착된 ARES 조절된 변형률 레오미터 (TA 기기)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 was performed on compression molded discs that were formed in a hot press for 5 minutes at 180 ° C. and 10 MPa pressure and then water cooled to 90 ° C./min in the press. The test was performed using an ARES controlled strain rheometer (TA instrument) equipped with a double cantilever fixture for torsion testing.

1.5 mm 플라크를 가압하고 32 x 12 mm 치수의 막대로 잘랐다. 샘플을 10 mm 간격 (그립 간격 (ΔL))의 고정물 사이에서 양단 클램핑하고, -100℃에서 200℃까지의 후속 온도 단계 (단계 당 5℃)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온도에서, 10 rad/s의 각 주파수로 비틀림 모듈러스 (G')를 측정하였고, 토크가 충분하고 측정치가 선형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변형률 진폭을 0.1% 내지 4%로 유지하였다.1.5 mm plaques were pressed and cut into bars measuring 32 x 12 mm. Samples were clamped both ends between fixtures at 10 mm intervals (grip spacing (ΔL)) and a subsequent temperature step (5 ° C. per step) from −100 ° C. to 200 ° C. was performed. At each temperature, the torsional modulus (G ′) was measured at each frequency of 10 rad / s, and the strain amplitude was maintained between 0.1% and 4% to ensure that the torque was sufficient and the measurement was maintained in a linear manner.

10 g의 초기 정적 힘을 유지하여 (자동 인장 모드) 열 팽창 발생시 샘플에서 의 늘어짐을 방지하였다. 그 결과, 그립 간격 (ΔL)이, 특히 중합체 샘플의 융점 또는 연화점 초과의 온도에서 온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최대 온도에서, 또는 고정물 사이의 갭이 65 mm에 도달하였을 때 테스트를 중지하였다.An initial static force of 10 g was maintained (automatic tension mode) to prevent sagging in the sample when thermal expansion occurred. As a result, the grip spacing (ΔL) increased with temperature, especially at temperatures above the melting or softening point of the polymer sample. The test was stopped at the maximum temperature or when the gap between the fixtures reached 65 mm.

용융 지수Melt index

ASTM D 1238, 조건 190℃/2.16 kg에 따라 용융 지수 또는 I2를 측정하였다. 또한, ASTM D 1238, 조건 190℃/10 kg에 따라 용융 지수 또는 I10을 측정하였다.Melt index or I 2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1238, Condition 190 ° C./2.16 kg. In addition, the melt index or I 10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1238, condition 190 ° C./10 kg.

ATREFATREF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4,798,081호 및 문헌 [Wilde, L.; Ryle, T.R.; Knobeloch, D.C.; Peat, I.R.; Determination of Branching Distributions in Polyethylene and Ethylene Copolymers, J. Polym . Sci ., 20, 441-455 (198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분석용 온도 상승 용출 분별 (ATREF)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되는 조성물을 트리클로로벤젠 중에 용해시키고, 0.1℃/분의 냉각 속도로 온도를 20℃까지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불활성 지지체 (스테인레스 스틸 쇼트)를 함유하는 컬럼내에서 결정화시켰다. 컬럼에는 적외선 검출기가 장착되었다. 이어서, 용출 용매 (트리클로로벤젠)의 온도를 1.5℃/분의 속도로 20℃에서 120℃까지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결정화된 중합체 샘플을 컬럼으로부터 용출시켜 ATREF 크로마토그램 곡선을 얻었다.US Pat. No. 4,798,081 and Wilde, L .; Ryle, TR; Knobeloch, DC; Peat, IR; Determination of Branching Distributions in Polyethylene and Ethylene Copolymers, J. Polym . Sci . , 20, 441-455 (1982), for analysis of elevated temperature elution fractionation (ATREF) analysis. The composition to be analyzed was dissolved in trichlorobenzene and crystallized in a column containing an inert support (stainless steel shot) by slowly decreasing the temperature to 20 ° C. at a cooling rate of 0.1 ° C./min. The column was equipped with an infrared detector. The crystallized polymer sample was then eluted from the column by slowl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eluting solvent (trichlorobenzene) from 20 ° C. to 120 ° C. at a rate of 1.5 ° C./min to obtain an ATREF chromatogram curve.

1313 C C NMRNMR 분석 analysis

대략 3 g의 테트라클로로에탄-d2/오르토디클로로벤젠의 50/50 혼합물을 10 mm NMR 튜브내 0.4 g의 샘플에 첨가함으로써 샘플을 제조하였다. 튜브 및 그의 내용물을 150℃까지 가열함으로써 샘플을 용해시키고 균질화하였다. 100.5 MHz의 13C 공명 주파수에 해당하는, 지올 이클립스 (JEOL Eclipse)™ 400MHz 분광계 또는 배리언 유니티 플러스 (Varian Unity Plus)™ 400MHz 분광계를 사용하여, 데이타를 수집하였다. 6초 펄스 반복 지연하며 데이타 파일 당 4000 트랜지언트 (transient)를 사용하여 데이타를 얻었다. 정량 분석을 위해 최소의 신호 대 잡음을 얻기 위해, 다수의 데이타 파일을 함께 추가시켰다. 32K 데이타 포인트의 최소 파일 크기에서 분광폭은 25,000 Hz였다. 샘플을 10 mm 광폭 밴드 프로브에서 130℃에서 분석하였다. 랜들 (Randall)의 3원 방법 (Randall's triad method)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Randall, J.C.; JMS-Rev. Macromol. Chem. Phys., C29, 201-317 (1989)])을 이용하여 공단량체 혼입을 측정하였다. Samples were prepared by adding approximately 3 g of 50/50 mixture of tetrachloroethane-d 2 / orthodichlorobenzene to 0.4 g of sample in a 10 mm NMR tube. The sample was dissolved and homogenized by heating the tube and its contents to 150 ° C. Data was collected using a JEOL Eclipse ™ 400 MHz spectrometer or Varian Unity Plus ™ 400 MHz spectrometer, corresponding to a 13 C resonance frequency of 100.5 MHz. Data was acquired using 4000 transients per data file with a 6 second pulse repetition delay. To obtain the minimum signal-to-noise for quantitative analysis, multiple data files were added together. At a minimum file size of 32K data points, the spectral width was 25,000 Hz. Samples were analyzed at 130 ° C. in a 10 mm wide band probe. Randall's triad method (Randall, JC; JMS-Rev. Macromol. Chem. Phys., C29, 201-317 (1989)),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Comonomer incorporation was measured.

TREFTREF 에 의한 중합체 분별Polymer fractionation by

중합체 15 내지 20 g을 16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1,2,4-트리클로로벤젠 (TCB) 2 L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대규모 TREF 분별을 수행하였다. 중합체 용액을, 30 내지 40 메쉬 (600 내지 425 ㎛) 구형의 공업용 유리 비드 (미국 76801 텍사스주 브라운우드 HC 30 박스 20 소재의 포터스 인더스트리즈 (Potters Industries)로부터 입수가능함) 및 직경 0.028" (0.7 mm)의 컷 와이어 쇼트의 스테인레스 스틸 (미국 14120 뉴욕주 노쓰 토나완다 인더스트리얼 드라이브 63 소재의 펠렛츠 인코퍼레이티드 (Pellets, Inc.)로부터 입수가능함)의 60:40 (v:v) 혼합물로 패킹된 3 인치 x 4 피트 (7.6 cm x 12 cm) 스틸 컬럼 상에 15 psig (100 kPa)의 질소에 의해 가하였다. 컬럼을 열적으로 조절된 오일 재킷내에 침적시키고, 초기에 160℃로 설정하였다. 먼저 컬럼을 급속히 125℃까지 냉각시키고, 이어서 0.04℃/분으로 20℃까지 서서히 냉각시키고, 1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온도를 0.167℃/분으로 증가시키며 새로운 TCB를 약 65 ml/분으로 도입하였다. Large scale TREF fractionation was performed by stirring 15-20 g of the polymer at 160 ° C. for 4 hours and dissolving in 2 L of 1,2,4-trichlorobenzene (TCB). Polymer solutions were prepared from 30 to 40 mesh (600 to 425 μm) spherical industrial glass beads (available from Potters Industries, Brownwood HC 30 Box 20, 76801, USA) and diameter 0.028 "(0.7) mm) packing with a 60:40 (v: v) mixture of cut steel short (available from Pellets, Inc., Industrial Drive 63, North Towanda, NY, USA 14120). Was added with 15 psig (100 kPa) of nitrogen on a 3 inch by 4 foot (7.6 cm x 12 cm) steel column, which was deposited into a thermally controlled oil jacket and initially set at 160 ° C. The column was first cooled rapidly to 125 ° C. and then slowly cooled to 0.04 ° C./min to 20 ° C. and held for 1 h.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to 0.167 ° C./min and fresh TCB was introduced at about 65 ml / min.

제조용 TREF 컬럼으로부터의 대략 2000 ml 부분의 용출물을 16개 구역의 가열된 분획물 수집기에서 수집하였다. 중합체를 약 50 내지 100 ml의 중합체 용액이 남아있을 때까지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분획물내에서 농축시켰다. 농축액을 밤새 방치한 후, 과량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여과시키고, 헹구었다 (최종 헹굼액을 포함하여 대략 300 내지 500 ml의 메탄올). 여과 단계는, 5.0 ㎛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팅된 여과지 (오스모닉스 인코퍼레이티드 (Osmonics Inc.)로부터 입수가능함, Cat# Z50WP04750)를 사용하여 3개 위치 진공 보조 여과 구역에서 수행하였다. 여과된 분획물을 60℃에서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키고, 분석용 저울에서 칭량한 후, 추가로 테스트하였다.Approximately 2000 ml portions of the eluate from the preparative TREF column were collected in 16 zones of heated fraction collector. The polymer was concentrated in each fraction using a rotary evaporator until about 50-100 ml of polymer solution remained. After leaving the concentrate overnight, excess methanol was added, filtered and rinsed (approximately 300-500 ml of methanol, including the final rinse). The filtration step was carried out in a three position vacuum assisted filtration zone using a 5.0 μm polytetrafluoroethylene coated filter paper (available from Osmonics Inc., Cat # Z50WP04750). The filtered fractions were dried overnight in a vacuum oven at 60 ° C., weighed on an analytical balance and then further tested.

용융 강도Melt strength

직경 2.1 mm, 입구 각도가 대략 45도인 20:1 다이가 설비된 모세관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용융 강도 (MS)를 측정하였다. 샘플을 190℃에서 10분 동안 평형화한 후, 피스톤을 1 인치/분 (2.54 cm/분)의 속도로 진행시켰다. 표준 테스트 온도는 190℃였다. 샘플을 2.4 mm/초2의 가속도로 다이 아래 100 mm에 위치한 가속화 닙의 세트로 단축 연신시켰다. 필요한 인장력을 닙 롤의 권취 속도의 함수로서 기록하였다. 테스트 동안 달성된 최대 인장력이 용융 강도로서 정의된다. 중합체 용융물이 연신 공명을 나타내는 경우, 연신 공명의 개시 전의 인장력이 용융 강도로서 취해진다. 용융 강도는 센티뉴튼 ("cN")으로 기록하였다.Melt strength (MS) was measured using a capillary rheometer equipped with a 20: 1 die with a diameter of 2.1 mm and an inlet angle of approximately 45 degrees. After equilibrating the sample at 190 ° C. for 10 minutes, the piston was run at a speed of 1 inch / minute (2.54 cm / minute). Standard test temperature was 190 ° C. Samples were uniaxially stretched with a set of acceleration nips located 100 mm below the die with an acceleration of 2.4 mm / sec 2 . The required tensile force was recorded as a function of the winding speed of the nip rolls. The maximum tensile force achieved during the test is defined as the melt strength. When the polymer melt exhibits stretching resonance, the tensile force before the start of the stretching resonance is taken as the melt strength. Melt strength was reported in centinewtons (“cN”).

촉매catalyst

용어 "밤새"가 사용된 경우, 이는 대략 16 내지 18시간의 시간을 지칭하고, 용어 "실온"은 20 내지 25℃의 온도를 지칭하며, 용어 "혼합 알칸"은 엑손모빌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상표명 이소파르(Isopar) E®로 입수가능한 C6 -9 지방족 탄화수소의 시판되는 혼합물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화합물 명칭이 그의 구조 표시와 맞지 않는 경우, 구조 표시가 관리하게 된다. 모든 금속 착물의 합성 및 모든 스크리닝 실험의 준비는 건조 박스 기술을 이용하여 건조 질소 분위기에서 수행하였다. 사용된 모든 용매는 HPLC 등급이었고, 이들을 건조시킨 후 사용하였다.When the term “overnight” is used, it refers to a time of approximately 16 to 18 hours, the term “room temperature” refers to a temperature of 20 to 25 ° C., and the term “mixed alkanes” is the trade name Isopar from ExxonMobil Chemical Company. (Isopar) refers to a commercially available mixture of C 6 -9 aliphatic hydrocarbons, available as E ®. If a compound name does not match its structural representation herein, the structural representation is governed. The synthesis of all metal complexes and the preparation of all screen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 dry nitrogen atmosphere using dry box technology. All solvents used were HPLC grade and they were used after drying.

MMAO는 아크조-노블 코퍼레이션 (Akzo-Noble Corporation)으로부터 시판되는, 개질된 메틸알루목산,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개질된 메틸알루목산을 지칭한다. MMAO refers to modified methylalumoxane, triisobutylaluminum modified methylalumoxane, commercially available from Akzo-Noble Corporation.

촉매 (B1)의 제조는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Preparation of the catalyst (B1) was carried out as follows.

a) (1-a) (1- 메틸에틸Methylethyl )(2-히드록시-3,5-) (2-hydroxy-3,5- 디(t-부틸)페닐Di (t-butyl) phenyl )) 메틸이민의Methylimine 제조 Produce

3,5-디-t-부틸살리실알데히드 (3.00 g)를 이소프로필아민 10 mL에 첨가하였다. 용액이 급속히 밝은 황색으로 변하였다. 주변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 하에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여 밝은 황색 결정질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율 97%).3,5-di-t-butylsalicylaldehyde (3.00 g) was added to 10 mL of isopropylamine. The solution rapidly turned bright yellow. After stirring for 3 hours at ambient temperature, the volatiles were removed under vacuum to yield a light yellow crystalline solid (yield 97%).

b) 1,2-b) 1,2- 비스Vis -(3,5-디-t--(3,5-di-t- 부틸페닐렌Butylphenylene )(1-(N-(1-) (1- (N- (1- 메틸에틸Methylethyl )) 이미노Imino )) 메틸methyl )(2-)(2- 옥소일Oxoyl ) 지르코늄 Zirconium 디벤질의Dibenzyl 제조 Produce

5 mL 톨루엔 중의 (1-메틸에틸)(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이민 (605 mg, 2.2 mmol)의 용액을 50 mL 톨루엔 중의 Zr(CH2Ph)4 (500 mg, 1.1 mmol)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암황색 용액을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목적 생성물을 적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A solution of (1-methylethyl) (2-hydroxy-3,5-di (t-butyl) phenyl) imine (605 mg, 2.2 mmol) in 5 mL toluene was added Zr (CH 2 Ph) 4 in 50 mL toluene. (500 mg, 1.1 mmol) was added slowly to the solution. The resulting dark yellow solution was stirred for 30 minutes. Removal of solvent under reduced pressure gave the desired product as a reddish brown solid.

촉매 (B2)의 제조는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Preparation of the catalyst (B2) was carried out as follows.

a) (1-(2-a) (1- (2- 메틸시클로헥실Methylcyclohexyl )에틸)(2-) Ethyl) (2- 옥소일Oxoyl -3,5--3,5- 디(t-부틸)페닐Di (t-butyl) phenyl )이민의 제조Production of immigration

2-메틸시클로헥실아민 (8.44 mL, 64.0 mmol)을 메탄올 (90 mL) 중에 용해시키고, 디-t-부틸살리실알데히드 (10.00 g, 42.6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12시간 동안 -25℃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황색 고체 침전물을 여과 수집하고, 저온 메탄올 (2 x 15 mL)로 세척한 후, 감압 하에 건조시켰다. 황색 고체 11.17 g을 수득하였다. 1H NMR은 이성질체 혼합물로서의 목적 생성물과 일치하였다.2-methylcyclohexylamine (8.44 mL, 64.0 mmol) was dissolved in methanol (90 mL) and di-t-butylsalicylaldehyde (10.00 g, 42.67 mmol) was added. The reaction mixture was stirred for 3 hours and then cooled to -25 ° C for 12 hours. The resulting yellow solid precipitate was collected by filtration, washed with cold methanol (2 × 15 mL) and then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11.17 g of a yellow solid were obtained. 1 H NMR was consistent with the desired product as an isomer mixture.

b) b) 비스Vis -(1-(2--(1- (2- 메틸시클로헥실Methylcyclohexyl )에틸)(2-) Ethyl) (2- 옥소일Oxoyl -3,5--3,5- 디(t-부틸)페닐Di (t-butyl) phenyl )) 이미노Imino )지르코늄 )zirconium 디벤질의Dibenzyl 제조 Produce

200 mL 톨루엔 중의 (1-(2-메틸시클로헥실)에틸)(2-옥소일-3,5-디(t-부틸)페 닐)이민 (7.63 g, 23.2 mmol)의 용액을 600 mL 톨루엔 중의 Zr(CH2Ph)4 (5.28 g, 11.6 mmol)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암황색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680 mL 톨루엔으로 추가로 희석하여 농도가 0.00783 M인 용액을 수득하였다.A solution of (1- (2-methylcyclohexyl) ethyl) (2-oxoyl-3,5-di (t-butyl) phenyl) imine (7.63 g, 23.2 mmol) in 200 mL toluene in 600 mL toluene To the solution of Zr (CH 2 Ph) 4 (5.28 g, 11.6 mmol) was added slowly. The resulting dark yellow solution was stirred at 25 ° C. for 1 hour. The solution was further diluted with 680 mL toluene to give a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0.00783 M.

보조촉매 1: 실질적으로 미국 특허 제5,919,983호, 실시예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장쇄 트리알킬아민 (아르민 (Armeen)™ M2HT, 아크조-노벨, 인코퍼레이티드 (Akzo-Nobel, Inc.)로부터 입수가능함), HCl 및 Li[B(C6F5)4]를 반응시켜 제조한,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의 메틸디(C14-18 알킬)암모늄염 (이하, 아르미늄 보레이트)의 혼합물.Cocatalyst 1: Long chain trialkylamines (Armeen ™ M2HT, Akzo-Nobel, Inc.) substantially as disclosed in US Pat. No. 5,919,983, Example 2. Available from)), methyldi (C 14-18 alkyl) ammonium salt of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hereafter aluminum borate), prepared by reacting HCl and Li [B (C 6 F 5 ) 4 ] ) Mixture.

보조촉매 2: 미국 특허 제6,395,671호, 실시예 16에 따라 제조한, 비스(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알루만)-2-운데실이미다졸리드의 혼합 C14 -18 알킬디메틸암모늄염. Co-catalyst 2: U.S. Patent No. 6,395,671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6, bis (tris (pentafluorophenyl) - aluminate only) -2-undecyl-mixing of the microporous Jolly DE C 14 -18-alkyl dimethyl ammonium salts.

이동제 : 사용된 이동제는 디에틸아연 (DEZ, SA1), 디(i-부틸)아연 (SA2), 디(n-헥실)아연 (SA3), 트리에틸알루미늄 (TEA, SA4), 트리옥틸알루미늄 (SA5), 트리에틸갈륨 (SA6), i-부틸알루미늄 비스(디메틸(t-부틸)실록산) (SA7), i-부틸알루미늄 비스(디(트리메틸실릴)아미드) (SA8), n-옥틸알루미늄 디(피리딘-2-메톡시드) (SA9), 비스(n-옥타데실)i-부틸알루미늄 (SA10), i-부틸알루미늄 비스(디(n-펜틸)아미드) (SA11), n-옥틸알루미늄 비스(2,6-디-t-부틸페녹시드) (SA12), n-옥틸알루미늄 디(에틸(1-나프틸)아미드) (SA13), 에틸알루미늄 비스(t-부틸디메틸실록시드) (SA14), 에틸알루미늄 디(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SA15), 에틸알루미늄 비스(2,3,6,7-디벤조-1-아자시클로헵탄아미드) (SA16), n-옥틸알루미늄 비스(2,3,6,7-디벤조-1-아자시클로헵탄아미드) (SA17), n-옥틸알루미늄 비스(디메틸(t-부틸)실록시드 (SA18), 에틸아연 (2,6-디페닐페녹시드) (SA19) 및 에틸아연 (t-부톡시드) (SA20)을 포함한다. Transfer agent : The transfer agent used was diethylzinc (DEZ, SA1), di (i-butyl) zinc (SA2), di (n-hexyl) zinc (SA3), triethylaluminum (TEA, SA4), trioctylaluminum ( SA5), triethylgallium (SA6), i-butylaluminum bis (dimethyl (t-butyl) siloxane) (SA7), i-butylaluminum bis (di (trimethylsilyl) amide) (SA8), n-octylaluminum di (Pyridine-2-methoxide) (SA9), bis (n-octadecyl) i-butylaluminum (SA10), i-butylaluminum bis (di (n-pentyl) amide) (SA11), n-octylaluminum bis (2,6-di-t-butylphenoxide) (SA12), n-octylaluminum di (ethyl (1-naphthyl) amide) (SA13), ethylaluminum bis (t-butyldimethylsiloxide) (SA14) , Ethylaluminum di (bis (trimethylsilyl) amide) (SA15), ethylaluminum bis (2,3,6,7-dibenzo-1-azacycloheptanamide) (SA16), n-octylaluminum bis (2, 3,6,7-dibenzo-1-azacycloheptanamide) (SA17), n-octylaluminum bis (dimethyl (t-butyl) Include hydroxide (SA18), ethyl zinc (2,6-diphenyl-phenoxide) (SA19), and zinc acetate (t- butoxide) (SA20).

실시예Example 1 내지 4,  1 to 4,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A 내지 C A to C

일반적 고처리량 평행 중합 조건General high throughput parallel polymerization conditions

시믹스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Symyx Technologie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고처리량 평행 중합 반응기 (PPR)를 사용하여 중합을 수행하고, 실질적으로 미국 특허 제6,248,540호, 동 제6,030,917호, 동 제6,362,309호, 동 제6,306,658호 및 동 제6,316,663호에 따라 작업하였다. 사용된 전체 촉매를 기준으로 1.2 당량의 보조촉매 1 (MMAO가 존재하는 경우 1.1 당량)를 사용하여 요구되는 에틸렌으로 130℃ 및 200 psi (1.4 MPa)에서 에틸렌 공중합을 수행하였다. 예비칭량된 유리 튜브가 설비되어 있는 6 x 8 정렬의 48개의 개별 반응기 셀이 함유된 평행 압력 반응기 (PPR)에서 일련의 중합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반응기 셀에서의 작업 부피는 6000 ㎕였다. 각각의 셀을 개별 교반 패들에 의해 교반하며 온도 및 압력 조절하였다. 단량체 기체 및 켄칭 기체를 PPR 유닛내에 직접 연관 (plumbing)하고, 자동 밸브에 의해 조절하였다. 액체 시약을 시린지에 의해 각각의 반응기 셀에 로봇으로 첨가하였고, 저장용기 용매는 혼합 알칸이었다. 첨가 순서는, 혼합 알칸 용매 (4 ml), 에틸렌, 1-옥텐 공단량체 (1 ml), 보조촉매 1 또는 보조촉매 1/MMAO 혼합물, 이동제, 및 촉매 또는 촉매 혼합물이었다. 보조촉매 1과 MMAO의 혼합물 또는 2종의 촉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약을 반응기에 첨가하기 직전에 작은 바이알에서 예비혼합하였다. 시약이 실험에서 생략되는 경우, 상기 첨가 순서는 다른 방식으로 유지하였다. 중합은, 소정의 에틸렌 소비에 도달할 때까지 대략 1 내지 2분 동안 수행하였다. CO로 켄칭한 후, 반응기를 냉각시키고, 유리 튜브를 언로딩하였다. 튜브를 원심분리/진공 건조 유닛으로 옮기고, 6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건조된 중합체를 함유하는 튜브를 칭량하고, 이 중량과 용기 중량의 차이로부터 중합체의 알짜 수율을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및 본원의 다른 부분에서, 비교예 화합물은 별표 (*)로 표시하였다.The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using a high throughput parallel polymerization reactor (PPR) available from Simyx Technologies, Inc., and is substantially US Pat. No. 6,248,540, 6,030,917, 6,362,309. Work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US Pat. No. 6,306,658 and 6,316,663. Ethylene co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at 130 ° C. and 200 psi (1.4 MPa) with the required ethylene using 1.2 equivalents of cocatalyst 1 (1.1 equivalents when MMAO was present) based on the total catalyst used. A series of polymerizations was performed in a parallel pressure reactor (PPR) containing 48 individual reactor cells in a 6 × 8 array equipped with pre-weighed glass tubes. The working volume in each reactor cell was 6000 μl. Each cell was stirred by a separate stirring paddle and temperature and pressure controlled. Monomer gas and quench gas were plumbed directly into the PPR unit and controlled by an automatic valve. Liquid reagent was robotically added to each reactor cell by syringe, and the reservoir solvent was mixed alkanes. The order of addition was mixed alkane solvent (4 ml), ethylene, 1-octene comonomer (1 ml), cocatalyst 1 or cocatalyst 1 / MMAO mixture, transfer agent, and catalyst or catalyst mixture. When using a mixture of cocatalyst 1 and MMAO or a mixture of two catalysts, the premix was premixed in small vials just prior to adding the reagents to the reactor. If reagents were omitted from the experiment, the order of addition was maintained in a different way. The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for approximately 1 to 2 minutes until the desired ethylene consumption was reached. After quenching with CO, the reactor was cooled and the glass tube was unloaded. The tube was transferred to a centrifuge / vacuum drying unit and dried at 60 ° C. for 12 hours. The tube containing the dried polymer was weighed and the net yield of the polymer was obtain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is weight and the container weigh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In Table 1 and elsewhere herein, the comparative compound is indicated by an asterisk (*).

실시예 1 내지 4는, DEZ가 존재하는 경우, 매우 좁은 MWD, 특히 모노모달 (monomodal) 공중합체, 또한 DEZ의 부재 하에서의 바이모달 (bimodal)의 넓은 분자량 분포의 생성물 (별도로 제조된 중합체의 혼합물)의 형성에 의해 입증되는, 본 발명에 의한 선형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을 나타낸다. 촉매 (A1)은 촉매 (B1)에 비해 보다 많은 옥텐을 도입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는 사실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생성된 공중합체의 상이한 블록 또는 세그먼트는 분지화 또는 밀도를 기초로 하여 구별가능하다.Examples 1 to 4 show the products of a very narrow MWD, in particular monomodal copolymers, and also a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bimodal in the absence of DEZ (mixture of separately prepared polymers) when DEZ is present The synthesis of the linear block copolymer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evidenced by the formation of, is indicated. Due to the fact that catalyst (A1) is known to introduce more octenes compared to catalyst (B1), different blocks or segments of the resulting copolymer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ed on branching or density It is distinguishable.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8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8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중합체는, 이동제의 부재 하에 제조된 중합체에 비해 비교적 좁은 다분산도 (Mw/Mn) 및 보다 많은 블록-공중합체 함량 (삼량체, 사량체 또는 그 이상)을 가짐을 알 수 있다.It is found that the polymers prepar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ve a relatively narrow polydispersity (Mw / Mn) and higher block-copolymer content (trimers, tetramers or more) compared to polymers prepared in the absence of transfer agents. Can be.

도면을 참조로 하여 표 1의 중합체에 대한 추가의 특성화 데이타를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DSC 및 ATREF 결과는 하기와 같이 나타났다.Further characterization data for the polymers in Table 1 were determined with reference to the figures. More specifically, the DSC and ATREF results are shown below.

실시예 1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58.1 J/g의 용융열과 115.7℃의 융점 (Tm)을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4.5℃에서의 최고 피크와 52.9%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81.2℃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1 showed a heat of fusion of 158.1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15.7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34.5 ° C. and a peak area of 52.9%. The difference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81.2 ° C.

실시예 2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214.0 J/g의 용융열과 109.7℃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6.2℃에서의 최고 피크와 57.0%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63.5℃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2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214.0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09.7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46.2 ° C. and a peak area of 57.0%. The difference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63.5 ° C.

실시예 3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60.1 J/g의 용융열과 120.7℃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66.1℃에서의 최고 피크와 71.8%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54.6℃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3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160.1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20.7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66.1 ° C. and a peak area of 71.8%. The difference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54.6 ° C.

실시예 4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70.7 J/g의 용융열과 104.5℃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0℃에서의 최고 피크와 18.2%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74.5℃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4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170.7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04.5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30 ° C. and a peak area of 18.2%. The difference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74.5 ° C.

비교예 A*에 대한 DSC 곡선은 86.7 J/g의 용융열과 90.0℃의 융점 (Tm)을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8.5℃에서의 최고 피크와 29.4%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이들 두 값 모두 밀도가 낮은 수지와 일치하였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41.8℃였다.The DSC curve for Comparative Example A * showed a heat of fusion of 86.7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90.0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48.5 ° C. and the peak area of 29.4%. Both of these values were consistent with low density res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41.8 ° C.

비교예 B*에 대한 DSC 곡선은 237.0 J/g의 용융열과 129.8℃의 융점 (Tm)을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82.4℃에서의 최고 피크와 83.7%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이들 두 값 모두 밀도가 높은 수지와 일치하였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47.4℃였다.The DSC curve for Comparative Example B * showed a heat of fusion of 237.0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29.8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82.4 ° C. and the peak area of 83.7%. Both of these values were consistent with high density res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47.4 ° C.

비교예 C*에 대한 DSC 곡선은 143.0 J/g의 용융열과 125.3℃의 융점 (Tm)을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81.8℃에서의 최고 피크와 34.7%의 피크 면적 뿐만 아니라 52.4℃에서의 보다 낮은 결정 피크를 나타내었다. 두 피크 사이의 간격은 고결정질 및 저결정질 중합체의 존재와 일치하였다. DSC Tm과 Tcrystaf의 차이는 43.5℃였다.The DSC curve for Comparative Example C * showed a heat of fusion of 143.0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25.3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highest peak at 81.8 ° C. and the peak area of 34.7% as well as the lower crystal peak at 52.4 ° C. The spacing between the two peaks was consistent with the presence of high and low crystalline polymers. The difference between DSC Tm and Tcrystaf was 43.5 ° C.

실시예Example 5 내지 19,  5 to 19,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D* 내지 F*, 연속식 용액 중합, 촉매 A1/B2 +  D * to F *, 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catalyst A1 / B2 + DEZDEZ

내부 교반기가 장착된 컴퓨터 조절된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연속식 용액 중합을 수행하였다. 정제된 혼합 알칸 용매 (엑손모빌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가능한 이소파르™ E), 2.70 lb/시간 (1.22 kg/시간)의 에틸렌, 1-옥텐 및 수소 (사용된 경우)를 내부 열전쌍 및 온도 조절용 재킷이 장착된 3.8 L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반응기로의 용매 공급을 질량 유동 조절기에 의해 측정하였다. 가변 속도 격막 펌프로 반응기로의 용매 유속 및 압력을 조절하였다. 펌프 배출시, 측류를 취하여 촉매 및 보조촉매 1 주입 라인 및 반응기 교반기를 위한 플러쉬 유동을 제공하였다. 이들 유동을 마이크로-모션 (Micro-Motion) 질량 유동계에 의해 측정하고, 조절 밸브에 의해 또는 니들 밸브의 수동 조정에 의해 조절하였다. 남아있는 용매를 1-옥텐, 에틸렌 및 수소 (사용된 경우)와 배합하여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필요한 경우 질량 유동 조절기를 사용하여 수소를 반응기로 전달하였다.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용매/단량체 용액의 온도를 조절한 후,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상기 스트림을 반응기 저부에 도입하였다. 펌프 및 질량 유동계를 사용하여 촉매 성분 용액을 계량하고, 촉매 플러쉬 용매와 배합하고, 반응기의 저부내로 도입하였다. 반응기는 격렬한 교반과 함께 500 psig (3.45 MPa)에서 만액 (liquid-full) 가동되었다. 반응기 상부에서 출구 라인을 통해 생성물을 제거하였다. 반응기로부터의 모든 출구 라인을 증기 트레이싱하고 단열시켰다. 임의의 안정화제 또는 다른 첨가제와 함께 출구 라인내에 소량의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정적 혼합기로 통과시킴으로써 중합을 중지시켰다. 이어서, 생성물 스트림을 열 교환기로 통과시켜 가열한 후, 탈휘발화시켰다. 탈휘발화 압출기 및 수 냉각된 펠렛화기를 사용하여 압출에 의해 중합체 생성물을 회수하였다. 공정 상세 사항 및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선택된 중합체 특성을 표 3에 기재하였다.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n a computer controlled autoclave reactor equipped with an internal stirrer. Purified mixed alkane solvent (Isopar ™ E available from ExxonMobil Chemical Company), 2.70 lbs / hr (1.22 kg / hr) of ethylene, 1-octene and hydrogen (if used) were loaded with an internal thermocouple and temperature control jacket It was fed to a fitted 3.8 L reactor. Solvent feed to the reactor was measured by a mass flow controller. A variable speed diaphragm pump was used to control the solvent flow rate and pressure into the reactor. On pump discharge, side flow was taken to provide flush flow for the catalyst and cocatalyst 1 injection line and reactor stirrer. These flows were measured by a Micro-Motion mass flow meter and controlled by a control valve or by manual adjustment of the needle valve. The remaining solvent was combined with 1-octene, ethylene and hydrogen (if used) and fed to the reactor. If necessary, a mass flow controller was used to deliver hydrogen to the reactor. The temperature of the solvent / monomer solution was adjusted using a heat exchanger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reactor. The stream was introduced at the bottom of the reactor. The catalyst component solution was metered, combined with the catalyst flush solvent and introduced into the bottom of the reactor using a pump and a mass flow meter. The reactor was liquid-full at 500 psig (3.45 MPa) with vigorous stirring. Product was removed through the outlet line at the top of the reactor. All outlet lines from the reactor were vapor traced and insulated. A small amount of water was added to the outlet line with any stabilizer or other additives and the polymerization was stopped by passing the mixture through a static mixer. The product stream was then heated through a heat exchanger and then devolatilized. The polymer product was recovered by extrusion using a devolatilization extruder and a water cooled pelletizer. Process details and results are listed in Table 2. Selected polymer properties are listed in Table 3.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9
Figure 112007066846685-PCT00019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0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0

생성된 중합체를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DSC 및 ATREF로 테스트하였다.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The resulting polymer was tested by DSC and ATREF as in the above examp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실시예 5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60.0 J/g의 용융열과 119.6℃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7.6℃에서의 최고 피크와 59.5%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2.0℃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5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60.0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19.6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47.6 ° C. and a peak area of 59.5%.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72.0 ° C.

실시예 6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60.4 J/g의 용융열과 115.2℃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4.2℃에서의 최고 피크와 62.7%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1.0℃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6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60.4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15.2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44.2 ° C. and the peak area of 62.7%.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71.0 ° C.

실시예 7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69.1 J/g의 용융열과 121.3℃의 융점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9.2℃에서의 최고 피크와 29.4%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2.1℃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7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69.1 J / g and a melting point of 121.3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49.2 ° C. and the peak area of 29.4%.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72.1 ° C.

실시예 8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67.9 J/g의 용융열과 123.5℃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80.1℃에서의 최고 피크와 12.7%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43.4℃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8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67.9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23.5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80.1 ° C. and the peak area of 12.7%.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43.4 ° C.

실시예 9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73.5 J/g의 용융열과 124.6℃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80.8℃에서의 최고 피크와 16.0%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43.8℃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9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73.5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24.6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80.8 ° C. and the peak area of 16.0%.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43.8 ° C.

실시예 10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60.7 J/g의 용융열과 115.6℃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0.9℃에서의 최고 피크와 52.4%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4.7℃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10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60.7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15.6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40.9 ° C. and a peak area of 52.4%.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74.7 ° C.

실시예 11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70.4 J/g의 용융열과 113.6℃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9.6℃에서의 최고 피크와 25.2%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4.1℃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11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70.4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13.6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39.6 ° C. and the peak area of 25.2%.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74.1 ° C.

실시예 12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48.9 J/g의 용융열과 113.2℃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0℃ 이상에서 피크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추가의 계산을 위해 Tcrystaf를 30℃로 설정하였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83.2℃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12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48.9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13.2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did not show a peak above 30 ° C. (Thus, Tcrystaf was set to 30 ° C. for further calculation.)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crystaf was 83.2 ° C.

실시예 13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49.4 J/g의 용융열과 114.4℃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3.8℃에서의 최고 피크와 7.7%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84.4℃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13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49.4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14.4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33.8 ° C. and the peak area of 7.7%.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84.4 ° C.

실시예 14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27.9 J/g의 용융열과 120.8℃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72.9℃에서의 최고 피크와 92.2%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47.9℃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14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127.9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20.8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72.9 ° C. and a peak area of 92.2%.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47.9 ° C.

실시예 15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36.2 J/g의 용융열과 114.3℃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2.3℃에서의 최고 피크와 9.8%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82.0℃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15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36.2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14.3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32.3 ° C. and the peak area of 9.8%.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82.0 ° C.

실시예 16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44.9 J/g의 용융열과 116.6℃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8.0℃에서의 최고 피크와 65.0%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68.6℃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16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44.9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16.6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48.0 ° C. and a peak area of 65.0%.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68.6 ° C.

실시예 17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47.0 J/g의 용융열과 116.0℃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43.1℃에서의 최고 피크와 56.8%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2.9℃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17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47.0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16.0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43.1 ° C. and a peak area of 56.8%.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72.9 ° C.

실시예 18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41.8 J/g의 용융열과 120.5℃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70.0℃에서의 최고 피크와 94.0%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50.5℃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18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141.8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20.5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70.0 ° C. and the peak area of 94.0%.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50.5 ° C.

실시예 19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74.8 J/g의 용융열과 124.8℃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79.9℃에서의 최고 피크와 87.9%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45.0℃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Example 19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174.8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24.8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79.9 ° C. and a peak area of 87.9%.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45.0 ° C.

비교예 D*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31.6 J/g의 용융열과 37.3℃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30℃ 이상에서 피크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두 값 모두 밀도가 낮은 수지와 일치하였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7.3℃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Comparative Example D *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31.6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37.3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did not show a peak above 30 ° C. Both of these values were consistent with low density resins.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7.3 ° C.

비교예 E*의 중합체에 대한 DSC 곡선은 179.3 J/g의 용융열과 124.0℃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79.3℃에서의 최고 피크와 94.6%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이들 두 값 모두 밀도가 높은 수지와 일치하였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44.6℃였다.The DSC curve for the polymer of Comparative Example E *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179.3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24.0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79.3 ° C. and a peak area of 94.6%. Both of these values were consistent with high density resins.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44.6 ° C.

비교예 F*에 대한 DSC 곡선은 90.4 J/g의 용융열과 124.8℃의 융점 (Tm)을 갖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CRYSTAF 곡선은 77.6℃에서의 최고 피크와 19.5%의 피크 면적을 나타내었다. 두 피크 사이의 간격은 고결정질 및 저결정질 중합체 양쪽 모두의 존재와 일치하였다. DSC Tm과 Tcrystaf 사이의 델타는 47.2℃였다.The DSC curve for Comparative Example F * showed a peak with a heat of fusion of 90.4 J / g and a melting point (Tm) of 124.8 ° C. The corresponding CRYSTAF curve shows the tallest peak at 77.6 ° C. and the peak area of 19.5%. The spacing between the two peaks was consistent with the presence of both high and low crystalline polymers. The delta between the DSC Tm and the Tcrystaf was 47.2 ° C.

물리적 특성 테스트Physical property testing

중합체 샘플을, TMA 온도 테스트, 펠렛 블록화 강도, 고온 회복률, 고온 압축 영구변형률 및 저장 모듈러스 비율 (G'(25℃)/G'(100℃))에 의해 나타나는 고온 내성 등의 물리적 특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여러 시판되는 중합체가 테스트에 포함되었다. 비교예 G*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가능한 어피니티®)였고, 비교예 H*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에틸렌/1-옥텐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가능한 어피니티®EG8100)였고, 비교예 I*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가능한 어피니티®PL1840)였고, 비교예 J*는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크라톤 폴리머즈 (KRATON Polymers)로부터 입수가능한 크라톤 (KRATON)™ G1652)였고, 비교예 K*는 열가소성 가황물 (TPV, 가교된 엘라스토머가 분산되어 있는 폴리올레핀 블렌드)이었다.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Polymer samples are evaluated for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MA temperature test, pellet block strength, hot recovery rate, hot compressive strain, and high temperature resistance exhibited by the storage modulus ratio (G '(25 ° C) / G' (100 ° C)). It was. Several commercial polymers were included in the test. Comparative Example G * was a substantially linear ethylene / 1-octene copolymer (Affinity® available from The Dow Chemical Company), and Comparative Example H * was a substantially linear ethylene / 1-octene elastomer copolymer (The Dow Affinity® EG8100 available from Chemical Company, Comparative Example I * was a substantially linear ethylene / 1-octene copolymer (Affinity® PL1840 available from The Dow Chemical Company), and Comparative Example J * was hydrogenated Styrene / butadiene / styrene triblock copolymer (KRATON ™ G1652 available from KRATON Polymers) and Comparative Example K * is a thermoplastic vulcanizate (TPV, polyolefin with crosslinked elastomer dispersed) Ble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1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1

표 4에서, 비교예 F* (이는 촉매 A1 및 B1을 사용한 동시 중합으로부터 생성된 2종의 중합체의 물리적 블렌드임)는 약 70℃의 1 mm 침투 온도를 갖는 반면, 실시예 5 내지 9는 100℃ 이상의 1 mm 침투 온도를 가졌다. 또한, 실시예 10 내지 19는 모두 85℃ 초과의 1 mm 침투 온도를 가졌으며, 대부분 90℃ 초과 또는 100℃를 훨씬 초과하는 1 mm TMA 온도를 가졌다. 이는 신규한 중합체가 물리적 블렌드에 비해 보다 고온에서 보다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교예 J* (시판되는 SEBS)는 약 107℃의 우수한 1 mm TMA 온도를 가졌으나, 약 100%의 매우 불량한 (고온 70℃) 압축 영구변형률을 가졌고, 이는 또한 고온 (80℃) 300% 변형 회복 동안 회복에 실패하였다 (샘플 파단). 따라서, 예시된 중합체는 일부 시판되는 고성능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서도 얻을 수 없는 특이한 특성의 조합을 가졌다.In Table 4, Comparative Example F * (which is a physical blend of two polymers resulting from co-polymerization with Catalysts A1 and B1) has a 1 mm penetration temperature of about 70 ° C., while Examples 5-9 are 100 It had a 1 mm penetration temperature of at least &lt; RTI ID = 0.0 &gt; In addition, Examples 10-19 all had a 1 mm penetration temperature above 85 ° C., mostly with 1 mm TMA temperatures above 90 ° C. or even above 100 ° C. This shows that the new polymers have better dimensional stability at higher temperatures compared to the physical blends. Comparative Example J * (commercially available SEBS) had a good 1 mm TMA temperature of about 107 ° C., but had a very poor (high temperature 70 ° C.) compression set of about 100%, which was also a high temperature (80 ° C.) 300% deformation. Recovery failed during recovery (sample failure). Thus, the polymers exemplified had a unique combination of properties that could not be obtained even with some commercially available high performance thermoplastic elastomers.

유사하게, 표 4는, 본 발명의 중합체의 경우 6 이하의 낮은 (우수한) 저장 모듈러스 비율 (G'(25℃)/G'(100℃))을 나타내는 반면, 물리적 블렌드 (비교예 F*)는 저장 모듈러스 비율이 9이고, 유사한 밀도의 랜덤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비교예 G*)는 한 자리 범위만큼 큰 저장 모듈러스 비율 (89)을 가짐을 보여준다. 중합체의 저장 모듈러스 비율은 가능한 한 1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합체는 온도에 의해 비교적 영향받지 않으며, 이러한 중합체로부터 제작된 물품은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낮은 저장 모듈러스 비율 및 온도 독립성의 특징은, 감압성 접착제 배합물에서와 같은 엘라스토머 용도에서 특히 유용하다.Similarly, Table 4 shows a low (good) storage modulus ratio (G '(25 ° C.) / G' (100 ° C.)) of 6 or less for the inventive polymers, while the physical blend (Comparative Example F * ) Shows that the storage modulus ratio is 9, and similar density random ethylene / octene copolymers (Comparative Example G * ) have a storage modulus ratio 89 as large as the single-digit range. The storage modulus ratio of the polymer is preferably as close to 1 as possible. Such polymers are relatively unaffected by temperature, and articles made from such polymers can be usefully used over a wide temperature range. This low storage modulus ratio and temperature independence feature is particularly useful in elastomer applications such as i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mulations.

표 4의 데이타는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가 향상된 펠렛 블록화 강도를 가짐을 입증한다. 특히, 실시예 5는 0 MPa의 펠렛 블록화 강도를 갖고, 이는 상당한 블록화를 나타내는 비교예 F* 및 G*에 비해 테스트 조건 하에 자유 유동함을 의미한다. 큰 블록화 강도를 갖는 중합체의 벌크 수송으로 인해 생성물이 저장 또는 적하시 함께 응집 또는 점착되어 불량한 취급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블록화 강도가 중요하다.The data in Table 4 also demonstrates that the 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improved pellet blocking strength. In particular, Example 5 has a pellet blocking strength of 0 MPa, which means free flowing under test conditions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F * and G * , which show significant blocking. Blocking strength is important because bulk transport of polymers with large blocking strength can result in cohesion or adhesion of the product with storage or dropping, resulting in poor handling.

본 발명의 중합체의 고온 (70℃) 압축 영구변형률은 일반적으로 우수하고, 이는 일반적으로 약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70% 미만, 특히 약 60% 미만임을 의미한다. 반면, 비교예 F*, G*, H* 및 J*는 모두 100% (가능한 최대치로, 회복성이 없음을 나타냄)의 70℃ 압축 영구변형률을 가졌다. 우수한 고온 압축 영구변형률 (낮은 수치)는 개스킷, 윈도우 프로파일, o-링 등과 같은 용도에서 특히 필요하다.The high temperature (70 ° C.) compression set of the poly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good, meaning that it is generally less than about 80%, preferably less than about 70%, in particular less than about 60%. In contrast, Comparative Examples F * , G * , H * and J * all had a 70 ° C. compression set of 100% (maximum possible, indicating no recoverability). Good high temperature compression set (low values) is particularly necessary for applications such as gaskets, window profiles, o-rings, and the like.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2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2

표 5에는, 새로운 중합체 뿐만 아니라 각종 비교 중합체의 주변 온도에서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ISO 4649에 따라 테스트시 매우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지며, 이는 일반적으로 약 90 mm3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80 mm3 미만, 특히 약 50 mm3 미만의 부피 손실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테스트에서, 높은 수치는 높은 부피 손실을, 또한 결과적으로 낮은 내마모성을 나타낸다.Table 5 shows the results for the mechanical properties at ambient temperatures of the various polymers as well as the new polymers. It can be seen that the polymers of the invention have very good wear resistance when tested according to ISO 4649, which generally exhibits a volume loss of less than about 90 mm 3 , preferably less than about 80 mm 3 , in particular less than about 50 mm 3. have. In this test, high values indicate high volume loss, and consequently low wear resistance.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합체의 인장 노치 인열 강도에 의해 측정된 인열 강도는 일반적으로 1000 mJ 이상이었다. 본 발명의 중합체의 인열 강도는 3000 mJ만큼, 심지어 5000 mJ만큼 높을 수 있다. 비교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750 mJ 이하의 인열 강도를 가졌다.As shown in Table 5, the tear strength measured by the tensile notch tear strength of th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generally 1000 mJ or more. The tear strength of the polymers of the invention can be as high as 3000 mJ, even as high as 5000 mJ. Comparative polymers generally had a tear strength of 750 mJ or less.

표 5는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는 일부 비교예 샘플에 비해 150% 변형률에서의 수축 응력이 보다 우수함 (보다 높은 수축 응력값에 의해 나타남)을 보여준다. 비교예 F*, G* 및 H*는 150% 변형률에서의 수축 응력값이 400 kPa 이하인 반면, 본 발명의 중합체는 150% 변형률에서의 수축 응력값이 500 kPa (실시예 11) 내지 약 1100 kPa (실시예 17)이었다. 보다 높은 150% 수축 응력값을 갖는 중합체는 탄성 섬유 및 직물, 특히 부직물과 같은 탄성 용도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다른 용도는, 기저귀, 위생용품 및 의료용 가먼트 허리밴드 용품, 예컨대 탭 및 탄성 밴드를 포함한다.Table 5 also shows that the inventive polymers are better (represented by higher shrinkage stress values) at 150% strain compared to some comparative samples. Comparative Examples F * , G *, and H * have a shrinkage stress value of 400 kPa or less at 150% strain, whereas th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rinkage stress value at 500% of 150% strain (Example 11) to about 1100 kPa. (Example 17). Polymers with higher 150% shrinkage stress values will be very useful for elastic applications such as elastic fibers and fabrics, especially nonwovens. Other uses include diapers, hygiene and medical garment waistband articles such as tabs and elastic bands.

표 5는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는 예를 들어 비교예 G*에 비해 (50% 변형률에서의) 응력 완화율이 향상됨 (낮음)을 보여준다. 낮은 응력 완화율은, 중합체가 체온에서 장시간에 걸친 탄성의 유지가 요망되는 기저귀 및 기타 가먼트와 같은 용도에서 보다 우수한 효력을 가짐을 의미한다.Table 5 also shows that the polymers of the invention have improved (low) stress relaxation rates (at 50% strain), for exampl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G * . Low stress relaxation rate means that the polymer has a better effect in applications such as diapers and other garments where long term retention of elasticity at body temperature is desired.

광학 테스트Optical testing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3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3

표 6에 기록된 광학 특성은 실질적으로 배향되지 않은 압축 성형된 필름을 기초로 한 것이다. 중합체의 광학 특성은, 중합에 사용된 사슬 이동제의 양의 변화에 기인하는 미세결정 크기 변화로 인해 폭넓은 범위에 걸쳐 변할 수 있다.The optical properties reported in Table 6 are based on compression molded films that are not substantially oriente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can vary over a wide range due to microcrystalline size changes resulting from changes in the amount of chain transfer agent used in the polymerization.

멀티블록 공중합체의 추출Extraction of Multiblock Copolymers

실시예 5, 7 및 비교예 E*의 중합체에 대한 추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중합체 샘플을 유리 프릿화 추출 골무내로 칭량 첨가하고, 구마가와 (Kumagawa)형 추출기내에 배치하였다. 샘플을 갖는 추출기를 질소 퍼징하고, 50O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디에틸 에테르 350 mL로 충전시켰다. 이어서, 플라스크를 추출기에 고정시켰다. 에테르를 교반하며 가열하였다. 에테르가 골무내로 응축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기록하고, 추출을 24시간 동안 질소 하에 진행시켰다. 이 때, 가열을 중지하고, 용액을 냉각시켰다. 추출기에 남아있는 임의의 에테르를 다시 플라스크로 복귀시켰다. 플라스크내의 에테르를 주변 온도에서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질소 퍼징 건조시켰다. 임의의 잔류물을 헥산 연속 세척을 이용하여 칭량된 병으로 옮겼다. 이어서, 합쳐진 헥산 세척액을 추가의 질소 퍼징에 의해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40℃에서 밤새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추출기에 남아있는 임의의 에테르를 질소 퍼징 건조시켰다.Extraction studies were performed on the polymers of Examples 5, 7 and Comparative Example E * . In this experiment, polymer samples were weighed into a glass frit extraction thimble and placed in a Kumagawa type extractor. The extractor with sample was purged with nitrogen and a 50 mL round bottom flask was charged with 350 mL of diethyl ether. The flask was then fixed to the extractor. The ether was heated with stirring. The time at which the ether began to condense into the thimble was recorded and the extraction was run under nitrogen for 24 hours. At this time, heating was stopped and the solution was cooled. Any ether remaining in the extractor was returned to the flask. The ether in the flask was evaporated in vacuo at ambient temperature and the resulting solids were nitrogen purged dried. Any residue was transferred to a weighed bottle using hexane continuous wash. The combined hexane washes were then evaporated by further nitrogen purge and the residue was dried at 40 ° C. under vacuum overnight. Any ether remaining in the extractor was nitrogen purged dried.

이어서, 헥산 35O mL로 충전된 두번째 투명한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추출기에 연결시켰다. 헥산을 교반하며 환류로 가열하고, 헥산이 먼저 골무내로 응축되는 것이 관찰된 후 24시간 동안 환류에서 유지하였다. 이어서, 가열을 중지하고, 플라스크를 냉각시켰다. 추출기에 남아있는 임의의 헥산을 다시 플라스크로 옮겼다. 주변 온도에서 진공 하에 증발시켜 헥산을 제거하고, 플라스크에 남아있는 임의의 잔류물을 헥산 연속 세척을 이용하여 칭량된 병으로 옮겼다. 플라스크내의 헥산을 질소 퍼징에 의해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40℃에서 밤새 진공 건조시켰다.Then, a second transparent round bottom flask filled with 35 mL of hexane was connected to the extractor. Hexane was stirred and heated to reflux and held at reflux for 24 hours after hexane was first observed to condense into the thimble. The heating was then stopped and the flask was cooled. Any hexane remaining in the extractor was transferred back to the flask. Hexane was removed by evaporation under vacuum at ambient temperature and any residue remaining in the flask was transferred to a weighed bottle using hexane continuous wash. Hexane in the flask was evaporated by nitrogen purge and the residue was vacuum dried at 40 ° C. overnight.

추출 후 골무에 남아있는 중합체 샘플을 골무로부터 칭량된 병으로 옮기고, 40℃에서 밤새 진공 건조시켰다.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The polymer sample remaining in the thimble after extraction was transferred from the thimble to a weighed bottle and vacuum dried overnight at 40 ° C.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4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4

추가의 중합체 Additional polymers 실시예Example 19 A 내지 F, 연속식 용액 중합, 촉매 A1/B2 +  19 A to F, 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catalyst A1 / B2 + DEZDEZ

컴퓨터 조절된 충분히 혼합된 반응기에서 연속식 용액 중합을 수행하였다. 정제된 혼합 알칸 용매 (엑손모빌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가능한 이소파르™ E), 에틸렌, 1-옥텐, 및 수소 (사용된 경우)를 합하고, 27 갤런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반응기로의 공급물을 질량 유동 제어기로 측정하였다. 공급 스트림의 온도는 반응기로의 도입 전에 글리콜 냉각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조절하였다. 촉매 성분 용액은 펌프 및 중량 유동 계량기를 사용하여 계량하였다. 반응기는 대략 550 psig 압력에서 만액 가동되었다. 반응기를 나갈 때, 물 및 첨가제를 중합체 용액에 주입하였다. 물은 촉매를 가수분해하고, 중합 반응을 종결하였다. 이어서 후 반응기 용액을 2 단계 탈휘발화의 제조에서 가열하였다. 탈휘발 공정 동안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였다. 중합체 용융물을 수중 펠렛 절단을 위한 다이로 주입하였다.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n a computer controlled sufficiently mixed reactor. Purified mixed alkane solvent (Isopar ™ E available from ExxonMobil Chemical Company), ethylene, 1-octene, and hydrogen (if used) were combined and fed to a 27 gallon reactor. The feed to the reactor was measured with a mass flow controller. The temperature of the feed stream was controlled using a glycol cold heat exchanger prior to introduction into the reactor. The catalyst component solution was metered using a pump and a weight flow meter. The reactor was fully run at approximately 550 psig pressure. When leaving the reactor, water and additives were injected into the polymer solution. Water hydrolyzed the catalyst and terminated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 reactor solution was then heated in the production of two stage devolatilization. The solvent and unreacted monomers were removed during the devolatilization process. The polymer melt was injected into a die for cutting underwater pellets.

방법의 설명 및 결과는 표 8에 포함되어 있다. 선택된 중합체 특성은 표 9에 제공되어 있다.The description and results of the method are included in Table 8. Selected polymer properties are provided in Table 9.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5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5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6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6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7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7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L 내지 P L to P

비교예 L은 (와푸 플라스틱스 (Wofoo Plastics) (중국 홍콩 소재)로부터 얻은) f-PVC, 즉 가요성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였다. 비교예 M은 (덱스코 폴리머즈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로부터 얻은) SBS 공중합체, 벡터™ 7400이었다. 비교예 N은 (어드밴스드 엘라스토머 시스템즈 (Advanced Elastomer Systems) (미국 오하이오주 애크런 소재)로부터 얻은) 부분적으로 가교된 TPV, 비램 (VYRAM)™ TPV 9271-65였다. 비교예 O는 (크라톤 폴리머즈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로부터 얻은) SEBS 공중합체, 크라톤® G2705였다. 비교예 P는 (크라톤 폴리머즈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로부터 얻은) SBS 공중합체, 크라톤® G3202였다.Comparative Example L was f-PVC (that is, from Wofoo Plastics, Hong Kong, China), ie flexible poly (vinyl chloride). Comparative Example M was SBS copolymer, Vector ™ 7400 (obtained from Dexco Polymers, Houston, TX). Comparative Example N was a partially crosslinked TPV, VYRAM ™ TPV 9271-65 (obtained from Advanced Elastomer Systems, Akron, Ohio). Comparative Example O was a SEBS copolymer, KRATON ® G2705 (obtained from Kraton Polymers's (Houston, Texas)). Comparative Example P was a SBS copolymer, KRATON ® G3202 (obtained from Kraton Polymers's (Houston, Texas)).

실시예Example 20 내지 26 20 to 26

실시예 20은 100%의 실시예 19f였다. 실시예 21은 30%의 실시예 19f를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 (미국 미시건주 미들랜드 소재)로부터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DMDA-8007으로 대체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22는 20%의 실시예 19f를 DMDA-8007로 대체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23은 10%의 실시예 19f를 DMDA-8007로 대체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24는 30%의 실시예 19f를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 (미국 미시건주 미들랜드 소재)로부터의) 단독중합체 폴리프로필렌, H700-12로 대체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25는 20%의 실시예 19f를 H700-12로 대체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26은 10%의 실시예 19f를 H700-12로 대체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과 유사하였다.Example 20 was 100% Example 19f. Example 21 was similar to Example 20 except that 30% of Example 19f was replaced with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DMDA-8007 (from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ch.). Example 22 was similar to Example 20 except that 20% of Example 19f was replaced with DMDA-8007. Example 23 was similar to Example 20 except that 10% of Example 19f was replaced with DMDA-8007. Example 24 was similar to Example 20 except that 30% of Example 19f was replaced with the homopolymer polypropylene, H700-12 (from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ch.). Example 25 was similar to Example 20 except that 20% of Example 19f was replaced with H700-12. Example 26 was similar to Example 20 except that 10% of Example 19f was replaced with H700-12.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Q 내지 X Q to X

비교예 Q는 실시예 19f를 (듀폰 다우 엘라스토머즈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소재)로부터의)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엔게이지® ENR 7380으로 대체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유사하였다. 비교예 R은 실시예 19f를 엔게이지® ENR 7380으로 대체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4와 유사하였다. 비교예 S는 실시예 19f를 (듀폰 다우 엘라스토머즈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소재)로부터의)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엔게이지® ENR 8407로 대체하였고 샘플이 30 밀 (0.762 mm) 두께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과 유사하였다. 비교예 T는 실시예 19f를 (듀폰 다우 엘라스토머즈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소재)로부터의)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엔게이지® ENR 8967로 대체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과 유사하였다. 비교예 U는 실시예 19f를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 (미국 델라웨어주 미들랜드 소재)로부터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버시파이® DE3300으로 대체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4와 유사하였다. 비교예 V는 실시예 19f를 (더 다우 케미컬 컴퍼니 (미국 델라웨어주 미들랜드 소재)로부터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버시파이® DE3400으로 대체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4와 유사하였다. 비교예 W는 실시예 19f를 버시파이® DE3300으로 대체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유사하였다. 비교예 X는 실시예 19f를 버시파이® DE3400으로 대체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2와 유사하였다.Comparative Example Q was similar to Example 21 except that Example 19f was replaced with Polyolefin Elastomer, Engage ® ENR 7380 (from DuPont Dow Elastomers, Wilmington, Delaware, USA). Comparative Example R was similar to Example 24 except that Example 19f was replaced with Engage ® ENR 7380. Comparative Examples S, and is carried out except for Example 19f the (DuPont Dow Elastomer's (Delaware, USA of Wilmington material) from a) was replaced with a polyolefin elastomer, Playstation3 ® ENR 8407 that the sample is 30 mil (0.762 mm) Thickness Similar to Example 20. Comparative Example T was similar to the Example 20 except that was replaced in Example 19f (DuPont Dow Elastomer's (Wilmington, Delaware, USA material) from a) a polyolefin elastomer, Playstation3 ® ENR 8967. Comparative U was similar to Example 24 except that Example 19f was replaced with propylene-ethylene copolymer, Versipy ® DE3300 (from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Delaware, USA). Comparative Example V was similar to Example 24 except that Example 19f was replaced with propylene-ethylene copolymer, Versipy ® DE3400 (from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Delaware, USA). Comparative Example W was similar to Example 22 except that Example 19f was replaced with Versipy ® DE3300. Comparative Example X was similar to Example 322 except that Example 19f was replaced with Versipy ® DE3400.

실시예Example 27 내지 33 27 to 33

실시예 27은 56%의 실시예 19f, 16%의 H700-12, 및 28%의 레노일 (RENOIL)® 625 (렌커트 오일 엘버소니 (Renkert Oil Elversony) (미국 펜실베니아주 소재)로부터의 오일)의 혼합물이었다. 실시예 28은 혼합물이 33%의 실시예 19f, 17%의 H700-12, 및 50%의 레노일® 625였다는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 27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29는 혼합물이 56%의 실시예 19f, 16%의 DMDA-8007, 및 28%의 레노일® 625였다는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 27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30은 혼합물이 33%의 실시예 19f, 17%의 DMDA-8007, 및 50%의 레노일® 625였다는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 27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31은 혼합물이 17%의 실시예 19f, 16%의 H700-12, 16%의 크라톤® G2705 및 50%의 레노일® 625였다는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 27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32는 1%의 암파세트 (AMPACET)® 10090 (암파세트 코퍼레이션 (Ampacet Corporation) (미국 뉴욕주 테리타운 소재)으로부터의 에루카미드 농축물)을 슬립제/블로킹방지제로서 첨가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 20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33은 5%의 암파세트® 10090을 슬립제/블로킹방지제로서 첨가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 32와 유사하였다.Example 27 was carried out in 56% Example 19f, 16% of H700-12, and 28% of the leno one (RENOIL) ® 625 (butylene cut five days elbeo oil from Sony (Renkert Oil Elversony) (Pennsylvania, material)) Was a mixture of. Example 28 was similar to Example 27 except that the mixture was 33% Example 19f, 17% H700-12, and 50% Renoyl ® 625. Example 29 was similar to Example 27 except that the mixture was 56% Example 19f, 16% DMDA-8007, and 28% Renoyl ® 625. Example 30 was similar to Example 27 except the mixture was 33% Example 19f, 17% DMDA-8007, and 50% Renoyl ® 625. Example 31 was similar to Example 27 except that the mixture was 17% of Example 19f, 16% of H700-12, 16% of Kraton ® G2705 and 50% of Renault ® 625. Example 32 except 1% Ampacet ® 10090 (erucamide concentrate from Ampacet Corporation, Terrytown, NY) was added as a slip / antiblocking agent. Similar to Example 20. Example 33 was similar to Example 32 except that 5% Amphaset ® 10090 was added as a slip / antiblocking agent.

기계적 및 물리적 특성 측정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y measurement

비교예 L 내지 X 및 실시예 20 내지 33의 열기계적 (TMA) 특성, 경도, 압축 영구변형률 특성, 굴곡 모듈러스, 걸윙 (gull wing) 인열 강도, 비카트 연화점, 블로킹 특성, 스크래치 흠 내성, 최종 신장성, 100% 모듈러스, 300% 모듈러스, 최종 인장 강도, 및 항복 강도를 측정하고, 결과를 하기 표 10 및 11에 나타내었다.Thermomechanical (TMA), Hardness, Compressive Strain Properties, Flexural Modulus, Gull Wing Tear Strength, Vicat Softening Point, Blocking Properties, Scratch Flaw Resistance, Final Elongation of Comparative Examples L-X and Examples 20-33 Properties, 100% modulus, 300% modulus, final tensile strength, and yield strength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0 and 11 below.

열 기계적 분석 (TMA)에 의한 침투 온도 기술은 180℃ 및 10 MPa의 성형 압력에서 5 분 동안 성형한 후 에어 켄칭한 30 mm 직경 x 3.3 mm 두께의 압축 성형 원반 상에서 수행하였다. 사용한 기계는 퍼킨-엘머 (Perkin-Elmer) TMA 7이었다. TMA 테스트에서, 1.5 mm 반경 팁의 프로브 (P/N N519-0416)를 1N의 힘으로 샘플 원반의 표면에 적용하였다. 온도를 25℃에서부터 5℃/분으로 증가시켰다. 프로브 침투 거리는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하였다. 프로브가 샘플 내에 각각 0.1 mm 및 1 mm 침투되었을 때 실험을 종료하였다. 각 실시예의 0.1 mm 및 1 mm 침투 온도는 하기 표 10에 열거하였다.Penetration temperature techniques by thermal mechanical analysis (TMA) were performed on compression molded discs of 30 mm diameter x 3.3 mm thickness which were air quenched after molding at 180 ° C. and a molding pressure of 10 MPa. The machine used was a Perkin-Elmer TMA 7. In the TMA test, a 1.5 mm radius tip probe (P / N N519-0416)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ample disc with a force of 1N.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25 ° C. to 5 ° C./min. Probe penetration distance was measur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The experiment was terminated when the probe penetrated 0.1 mm and 1 mm, respectively, in the sample. The 0.1 mm and 1 mm penetration temperatures of each example are listed in Table 10 below.

각 샘플의 쇼어 D 경도는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ASTM D 2240에 따라 측정하였다.Shore D hardness of each sample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2240,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각 샘플의 23℃ 및 70℃에서의 압축 영구변형률 특성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ASTM D 4703에 따라 측정하였다.The compression set at 23 ° C. and 70 ° C. of each sample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4703,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각 샘플의 굴곡 모듈러스는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ASTM D 790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Flexural modulus of each sampl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ASTM D 790,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각 샘플의 걸윙 인열 강도는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ASTM D 100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Gullwing tear strength of each sampl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ASTM D 1004,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각 샘플의 비카트 연화점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ASTM D 152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Vicat softening point of each sampl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ASTM D 1525,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각 샘플의 블로킹은 각 6개의 4" X 4' X 0.125" 사출 성형 플라크를 적층시키고, 주위 조건 (73 F)에서 24 시간 동안 플라크를 방치한 후, 플라크를 비적층시켜 측정하였다. 블로킹 등급은 1 내지 5이며, 5는 우수한 것이고 (모든 플라크가 용이하게 비적층됨) 1은 허용할 수 없는 것 (6개의 플라크가 서로 너무 점착하여 그 중 어떤 플라크도 손으로 분리할 수 없는 경우)이다 Blocking of each sample was measured by stacking each of the six 4 "X 4 'X 0.125" injection molded plaques, leaving the plaques at ambient conditions (73 F) for 24 hours, and then laminating the plaques. Blocking ratings are 1 to 5, 5 is good (all plaques are easily unlaminated) and 1 is unacceptable (six plaques are so sticky with each other that none of the plaques can be separated by hand) )to be

각 샘플의 스크래치 흠 내성은 4 x 4 x 0.125 인치 플라크 상에 둥근 플라스틱 첨필을 사용하여 모퉁이에서 모퉁이까지 손으로 X를 새겨 측정하였다. 스크래치 흠 내성 등급은 1 내지 5이며, 5는 우수하고 (X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 경우) 1은 허용할 수 없다 (X가 잘 보이고 문질러 없앨 수 없는 경우).Scratch scratch resistance of each sample was measured by hand carving X from corner to corner using round plastic stylus on 4 × 4 × 0.125 inch plaques. Scratch scratch resistance ratings are 1 to 5, 5 is excellent (if no trace of X is visible) and 1 is unacceptable (if X is visible and cannot be rubbed off).

각 샘플의 100% 모듈러스, 300% 모듈러스, 최종 인장 강도, 최종 신장, 및 항복 강도는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ASTM D 412에 따라 측정하였다.100% modulus, 300% modulus, final tensile strength, final elongation, and yield strength of each sample wer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412,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8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8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9
Figure 112007066846685-PCT00029

비교예 L, M, N, O 및 P는 올레핀 기재가 아닌 공업용 가요성 성형 물품 수지이다. 실시예 20 내지 26은 (기초 수지로서 또는 PP 및/또는 HDPE와 기초 수지의 블렌드로서) 낮은 모듈러스 및 높은 상부 서비스 온도의 개선된 균형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이다. 비교예 Q 내지 X는 올레핀 기재인 공업용 가요성 성형 물품 수지이다. 실시예 20 내지 26은 비교예 Q 내지 X에 비해 낮은 모듈러스 및 높은 상부 서비스 온도의 개선된 균형을 나타낸다.Comparative Examples L, M, N, O, and P are industrial flexible molded article resins which are not olefinic substrates. Examples 20-26 ar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show an improved balance of low modulus and high top service temperature (as base resin or as a blend of PP and / or HDPE and base resin). Comparative Examples Q-X are industrial flexible molded article resins which are olefin substrates. Examples 20-26 show an improved balance of low modulus and high top service temperatur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Q-X.

SEBSSEBS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 Interpolymers of the Invention 블렌드Blend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와 수소화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OBC/SEBS)의 블렌드를 하케 레오믹스 (Haake Rheomix) 300 유량계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샘플 용기의 온도를 190℃로 설정하였고, 로터 속력은 40 rpm이었다. 모든 성분을 첨가한 후, 약 5 분 동안 또는 안정한 토크가 확립될 때까지 혼합을 지속하였다. 추가 테스트 및 평가를 위한 샘플을 44.45 kN의 힘 하에서 190℃에서 가버 (Garver) 자동 프레스로 3 분 동안 압축 성형하였다. 이어서 용융 물질을 전자 냉각조를 사용하여 평형을 이룬 프레스로 실온에서 켄칭하였다.Blends of ethylene / α-olefin block copolymers and hydrogenated styrenic block copolymers (OBC / SEBS) were prepared using a Haake Rheomix 300 flow meter. The temperature of the sample vessel was set to 190 ° C. and the rotor speed was 40 rpm. After all ingredients were added, mixing was continued for about 5 minutes or until stable torque was established. Samples for further testing and evaluation were compression molded for 3 minutes with a Garver automatic press at 190 ° C. under a force of 44.45 kN. The molten material was then quenched at room temperature in an equilibrated press using an electronic cooling bath.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Y1Y1 내지  To Y5Y5

비교예 Y1은 100%의 쉘 케미컬 컴퍼니 (Shell Chemical Company)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크라톤® G1652,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였다. 비교예 Y1은 비교예 J*와 동일하였다. 비교예 Y2는 75%의 크라톤® G1652와 25%의 어피니티® EG8100의 블렌드였다. 비교예 Y3은 50%의 크라톤® G1652와 50%의 어피니티® EG8100의 블렌드였다. 비교예 Y4는 25%의 크라톤® G1652와 75%의 어피니티® EG8100의 블렌드였다. 비교예 Y5는 100%의 어피니티® EG8100이었다. 비교예 Y1은 비교예 H*와 동일하였다,Comparative Examples Y1 is 100%, available from the Shell Chemical Company (Shell Chemical Company) (Houston, Texas), Kraton ® G1652, a styrene-ethylene / butylene-styrene block copolymer was. Comparative Example Y1 was the same as Comparative Example J *. Comparative Example Y2 was of 75% of KRATON ® G1652 and affinity ® EG8100 25% of the blend. Comparative Example Y3 was a KRATON ® G1652 and 50% and 50% blend of Affinity EG8100 ®. Comparative Example Y4 was of 25% of KRATON ® G1652 and affinity ® EG8100 75% of the blend. Comparative Example Y5 was Affinity ® EG8100 100%. Comparative Example Y1 was the same as Comparative Example H * ,

실시예Example 34 내지 45 34 to 45

실시예 34는 75%의 크라톤® G1652와 25%의 실시예 또는 중합체 19a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35는 50%의 크라톤® G1652와 50%의 실시예 19a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36은 25%의 크라톤® G1652와 75%의 실시예 19a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37은 실시예 19a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38은 75%의 크라톤® G1652와 25%의 실시예 19b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39는 50%의 크라톤® G1652와 50%의 실시예 19b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40은 25%의 크라톤® G1652와 75%의 실시예 19b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41은 실시예 19b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42는 75%의 크라톤® G1652와 25%의 중합체 19i의 블렌드였다. 중합체 19i는 실시예 1 내지 19 및 실시예 19a 내지 19h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제조된 혼성중합체였다. 당업자는 순간 적용에서 이미 설명한 처리 조건을 사용하여 목표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어떻게 처리 조건, 예를 들어 셔틀링제 비율, 수소 유동, 단량체 농도 등을 조정하여야 하는지 알 것이다. 실시예 43은 50%의 크라톤® G1652와 50%의 중합체 19i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44는 25%의 크라톤® G1652와 75%의 중합체 19i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45는 100%의 중합체 19i였다.Example 34 was 75% of KRATON ® G1652 and 25% of Example 19a or polymers of the blend. Example 35 was of 50% KRATON ® G1652 and 50% of Example 19a of the blend. Example 36 was 25% of KRATON ® G1652 and 75% of Example 19a of the blend. Example 37 was identical to Example 19a. Example 38 was 75% of KRATON ® G1652 and 25% of Example 19b of the blend. Example 39 was of 50% KRATON ® G1652 and 50% of Example 19b of the blend. Example 40 was 25% of KRATON ® G1652 and 75% of Example 19b of the blend. Example 41 was the same as Example 19b. Example 42 was 75% of KRATON ® G1652 and 25% of Polymer 19i blend. Polymer 19i was an interpolymer prepared substantially similar to Examples 1-19 and Examples 19a-19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know how to adjust the treatment conditions, for example shuttle agent ratio, hydrogen flow, monomer concentration, etc., to produce the target polymer using the treatment conditions already described in the instant application. Example 43 was of 50% KRATON ® G1652 and 50% of the polymer blend 19i. Example 44 was 25% of KRATON ® G1652 and 75% of the polymer blend 19i. Example 45 was 100% of polymer 19i.

기계적 및 물리적 특성 측정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y measurement

비교예 Y1 내지 Y5 및 실시예 34 내지 45의 열기계적 (TMA) 특성, 300% 변형률에서의 탄성 회복률, 파단 신도, 인장 강도 및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를 본원에서 기재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Thermomechanical (TMA) properties, elastic recovery at 300% strain, elongation at break, tensile strength and Elmendorf tear strength of Comparative Examples Y1 to Y5 and Examples 34 to 45 were measured by methods described herein and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2 below.

Figure 112007066846685-PCT00030
Figure 112007066846685-PCT00030

블렌드 내의 다양한 양의 SEBS (즉, 크라톤® G1652)에서의 예시적인 블렌드 (즉, 실시예 34 내지 45) 및 비교예 Y1 내지 Y5의 탄성 회복률 특성을 도 8에 나타내었다. 블렌드 내의 다양한 양의 SEBS에서의 예시적인 블렌드 및 비교예 1 내지 5의 TMA 온도를 도 9에 나타내었다. 표 12 및 도 8 및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블렌드 (즉, 실시예 34 내지 45)는 상응하는 비교예 Y1 내지 Y5에 비해 개선된 내열성 및 탄성 회복률 특성을 나타낸다.The elastic recovery properties of exemplary blends (ie, Examples 34-45) and Comparative Examples Y1-Y5 in various amounts of SEBS (ie, Kraton ® G1652) in the blend are shown in FIG. 8. Exemplary blends in various amounts of SEBS in the blend and the TMA temperatures of Comparative Examples 1-5 are shown in FIG. 9. As can be seen in Table 12 and FIGS. 8 and 9, exemplary blends (ie, Examples 34-45) exhibit improved heat resistance and elastic recovery properties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Comparative Examples Y1-Y5.

HMSHMS -- HDPEHDPE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 또는 / Interpolymers of the invention or HMSHMS -- PPPP /본 발명의 혼성중합체 Interpolymers of the Invention 블렌드Ble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Z1Z1 내지  To Z4Z4

비교예 Zl은 100%의 중합체 19j였다. 중합체 19j는 Zn 수준이 517 ppm이고, 밀도가 0.877 g/cc이고, 용융 지수 (I2)가 5인 본 발명의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였다. 비교예 Z2는 100%의 중합체 19k였다. 중합체 19k는 Zn 수준이 693 ppm이고, 밀도가 0.877 g/cc이고, 용융 지수 (I2)가 5인 본 발명의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였다. 비교예 Z3는 100%의 중합체 19l이었다. 중합체 19l은 밀도가 0.877 g/cc이고, 용융 지수 (I2)가 30인 본 발명의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였다. 비교예 Z4는 100%의 중합체 19m이었다. 중합체 19m은 Zn 수준이 255 ppm이고, 밀도가 0.866 g/cc이고, 용융 지수 (I2)가 5인 본 발명의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였다. 중합체 19j, 19k, 19l 및 19m은 실시예 1 내지 19 및 실시예 19a 내지 19h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당업자는 순간 적용에서 이미 설명한 처리 조건을 사용하여 목표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어떻게 처리 조건, 예를 들어 셔틀링제 비율, 수소 유동, 단량체 농도 등을 조정하여야 하는지 알 것이다.Comparative Example Zl was a polymer 19j of 100%. Polymer 19j was the ethylene / octene copolymer of the invention having a Zn level of 517 ppm, a density of 0.877 g / cc, and a melt index (I 2 ) of 5. Comparative Example Z2 was 100% of polymer 19k. Polymer 19k was the ethylene / octene copolymer of the invention having a Zn level of 693 ppm, a density of 0.877 g / cc, and a melt index (I 2 ) of 5. Comparative Example Z3 was 19 l of 100% of a polymer. Polymer 19l was an ethylene / octene copolymer of the invention having a density of 0.877 g / cc and a melt index (I 2 ) of 30. Comparative Example Z4 was 19% of a polymer of 100%. Polymer 19m was an ethylene / octene copolymer of the invention having a Zn level of 255 ppm, a density of 0.866 g / cc, and a melt index (I 2 ) of 5. Polymers 19j, 19k, 19l and 19m were prepared substantially similarly to Examples 1-19 and Examples 19a-19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know how to adjust the treatment conditions, for example shuttle agent ratio, hydrogen flow, monomer concentration, etc., to produce the target polymer using the treatment conditions already described in the instant application.

실시예Example 46 내지 57 46 to 57

실시예 46은 90%의 중합체 19m과 10%의 프로팍스® PF814 (바젤 폴리올레핀즈 (미국 메릴랜드주 엘크톤 소재)로부터의 HMS-PP)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47은 85%의 중합체 19m과 15%의 프로팍스® PF814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48은 95%의 중합체 19m과 5%의 프로팍스® PF814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49는 95%의 중합체 19j와 5%의 프로팍스® PF814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50은 90%의 중합체 19j와 10%의 프로팍스® PF814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51은 85%의 중합체 19j와 15%의 프로팍스® PF814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52는 85%의 중합체 19k와 15%의 프로팍스® PF814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53은 90%의 중합체 19k와 10%의 프로팍스® PF814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54는 95%의 중합체 19k와 5%의 프로팍스® PF814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55는 95%의 중합체 19l과 5%의 프로팍스® PF814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56은 90%의 중합체 19l과 10%의 프로팍스® PF814의 블렌드였다. 실시예 57은 85%의 중합체 19l과 15%의 프로팍스® PF814의 블렌드였다.Example 46 was 90% of the polymer 19m and 10% of a pro Fox ® PF814 (Basel polyolefin's (HMS-PP from Elkton, Maryland material)) blend. Example 47 was of the 85% polymer and 15% of the 19m Pro Fox ® PF814 blend. Example 48 was of the 95% polymer and 5% of the 19m Pro Fox ® PF814 blend. Example 49 was of the 95% polymer 19j and 5% of a pro Fox ® PF814 blend. Example 50 was a polymer of 90% 19j and 10% of the pro Fox ® PF814 blend. Example 51 was a polymer of 85% 19j and 15% of a pro Fox ® PF814 blend. Example 52 was of the 85% polymer and 15% of the 19k Pro Fox ® PF814 blend. Example 53 was of the 90% polymer and 10% of the 19k Pro Fox ® PF814 blend. Example 54 was a polymer of 95% 19k and 5% of a pro Fox ® PF814 blend. Example 55 was of the 95% polymer and 5% of 19l Pro Fox ® PF814 blend. Example 56 was of the 90% polymer and 10% of 19l Pro Fox ® PF814 blend. Example 57 was a polymer of 85% 19l 15% of the pro Fox ® PF814 blend.

비교예 Z1 내지 Z4 및 실시예 46 내지 57을 (블렌드라면) 건조 블렌드 한 후 (알브로그 게엠베하 + 코 카게 (ARBURG GmbH + Co KG) (독일 로스부르크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한) 80 톤 알브로그 (Arburg) 370C 사출 성형 기계를 사용하여 4 인치 X 6인치 X 0.125 인치 테스트 플라크로 사출 성형하였다. 금형은 연마된 매끄러운 표면을 가졌고, 팬 게이트를 통한 저온 러너를 사용하였다. 성형 조건은 (수지의 빠르게 고화될 수 있는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23 초의 총 주기 시간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80 ton Alblog (available from ARBURG GmbH + Co KG, Rosburg, Germany) after dry blending (if blended) Comparative Examples Z1 to Z4 and Examples 46 to 57 Arburg) were injection molded into 4 inch by 6 inch by 0.125 inch test plaques using a 370C injection molding machine. The mold had a polished smooth surface and used a cold runner through the fan gate. Molding conditions were kept constant at a total cycle time of 23 seconds (to test the resin's ability to solidify quickly).

비교예 Z1 내지 Z4 및 실시예 46 내지 57을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플라크 또는 부품으로 사출 성형하고, 이를 이어서 "금형에서 붙인 부품" 테스트, "초기에 함께 붙인 부품" 테스트, 쇼어 A 경도, "부품 품질" 테스트 및 "노화 부품 점착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Comparative Examples Z1 to Z4 and Examples 46 to 57 were injection molded into plaques or parts as described above, followed by a "parts stuck in mold" test, a "parts initially stuck together" test, Shore A hardness, "parts Quality "test and" aged part tack "test.

"금형에서 붙인 부품" 테스트는 금형 표면에 성형 부품이 점착하는지 및 금형으로부터 배출되지 않는지를 관측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예" 등급은 불리하고, 이는 성형 부품이 금형에 점착되지 않고 수동 추출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아니오"는 유리하고, 성형 부품이 금형에 점착되지 않고, 수동 추출 없이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초기에 함께 붙인 부품" 테스트에서, 각 샘플의 두 성형 부품을 사출 성형 직후 서로의 상부에 배치하고, 지압을 적용한 후, 성형 부품을 서로로부터 떼어내었다. 서로로부터 두 부품을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의 양을 측정하였다. 각 쌍의 등급은 3 (최상, 점착성 없음, 두 샘플을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 없음) 내지 1 (최하, 과도한 점착성, 두 샘플을 제거하기 위해 많은 손힘이 요구됨)로 주어졌다. 이어서 성형 부품을 모아 두고 24 시간 동안 눕혀두었다. 24 시간 후,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ASTM D2240에 따라 각 성형 부품의 쇼어 A 경도를 측정하였다. 각 샘플에 대한 두 쇼어 A 경도 기록의 평균을 기록하였다. 추가로, 각 성형 부품을 "부품 품질" 및 "노화 부품 점착성"에 대한 등급을 매겼다. "부품 품질"은 5 (최상, 틈, 휨, 수축 없이 절대적으로 완벽한 부품) 내지 1 (최하, 과도한 틈, 휜 부품, 과도한 수축)로 등급을 정하였다. "노화 부품 점착성"은 서로의 상부에 두 성형 부품을 배치하고, 지압을 가하고, 서로로부터 부품을 떼어내어 테스트하였다. 서로로부터 두 부품을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의 양을 측정하였다. 각 쌍의 등급은 5 (최상, 점착성 없음, 두 샘플을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 없음) 내지 1 (최하, 과도한 점착성, 두 샘플을 제거하기 위해 많은 손힘이 요구됨)로 주어졌다. 비교예 Z1 내지 Z4 및 실시예 46 내지 57의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The "part pasted from mold" test included observing whether the molded part adhered to the mold surface and not ejecting from the mold. A "yes" grade is disadvantageous, meaning that the molded part does not stick to the mold and requires manual extraction. "No" is advantageous and means that the molded part does not stick to the mold and falls into the conveyor system without manual extraction. In the "parts initially glued together" test, two molded parts of each sample were placed on top of each other immediately after injection molding, and after applying acupressure, the molded parts were removed from each other. The amount of force required to remove the two parts from each other was measured. Each pair was rated from 3 (best, no stickiness, no force required to remove two samples) to 1 (lowest, excessive stickiness, much hand required to remove both samples). The molded parts were then collected and laid down for 24 hours. After 24 hours, Shore A hardness of each molded part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240,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average of two Shore A hardness records for each sample was recorded. In addition, each molded part was rated for "part quality" and "aged part tack". "Part quality" was rated from 5 (absolutely perfect parts without top, gaps, warpage, shrinkage) to 1 (lowest, excessive gaps, chopped parts, excessive shrinkage). "Aged component tack" was tested by placing two molded parts on top of each other, applying pressure and removing the parts from each other. The amount of force required to remove the two parts from each other was measured. Each pair was rated from 5 (best, no stickiness, no force required to remove both samples) to 1 (lowest, excessive stickiness, much hand required to remove both samples). The test results of Comparative Examples Z1 to Z4 and Examples 46 to 57 are shown in Table 13 below.

Figure 112007066846685-PCT00031
Figure 112007066846685-PCT00031

표 13의 테스트 데이타는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예를 들어, 중합체 19j, 19k, 19l, 및 19m) 각각을 프로팍스® PF814와 같은 HMS-PP와 블렌딩하여 이들의 점착성 및 경도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Test data in Table 13 is an ethylene / α- olefin inter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e. G., Polymer 19j, 19k, 19l, and 19m) HMS-PP and blends of these with the adhesive, and the hardness of each of the pro Fox ® PF814 Indicates that it can be improved.

본원에 개시된 중합체 블렌드 중 일부는 중합체 블렌드의 임의의 단독의 성분보다 더 양호한 성형가능성, 매력적인 외관, 비점착성 및 기계적 특성의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 19f 및 1종 이상의 다른 중합체의 중합체 블렌드인 실시예 21 내지 26은 단독의 중합체 19f (즉, 실시예 20) 또는 중합체 블렌드가 아닌 비교예 M 내지 P보다 더 양호한 굴곡 모듈러스, 인열 강도, 및 TMA에 의한 0.1 mm 침투 온도의 균형을 나타낸다. 유사하게는 중합체 19a, 19b 또는 19i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 (즉, 실시예 34 내지 36, 38 내지 40 및 42 내지 44)는 크라톤® G1652, 어피니티® EG8100 또는 단독의 상응하는 중합체 19a, 19b 또는 19i보다 더 양호한 TMA에 의한 1 mm 침투 온도와 탄성 회복률의 균형을 가진다. 유사하게는, 중합체 19j, 19k, 19l 또는 19m을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 (즉, 실시예 46 내지 57)는 단독의 상응하는 중합체 19j, 19k, 19l 또는 19m보다 더 양호한 점착성 (즉, 더 낮은 점착성) 및 경도 (즉, 더 높은 경도)의 균형을 가진다.Some of the polymer blends disclosed herein can provide a better combination of moldability, attractive appearance, non-tacki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than any single component of the polymer blend. For example, Examples 21-26, which are polymer blends of polymer 19f and one or more other polymers, have better flexural modulus, tear than Comparative Examples M-P, which are not polymer 19f alone (ie, Example 20) or polymer blends. The balance of strength and 0.1 mm penetration temperature by TMA is shown. Similarly, polymers 19a, 19b, or a polymer blend containing 19i (i.e., Examples 34 to 36, 38 to 40 and 42 to 44) are Kraton ® G1652, affinity ® EG8100 or the corresponding Polymer 19a, 19b for a single Or 1 mm penetration temperature and elastic recovery rate by TMA better than 19i. Similarly, polymer blends comprising polymers 19j, 19k, 19l or 19m (ie, Examples 46-57) have better adhesion (i.e., lower adhesion) than the corresponding polymers 19j, 19k, 19l or 19m alone. And hardness (ie higher hardness).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다양한 적용을 위한 성형 물품의 제조에 적합한 특이한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을 갖는 다양한 중합체 블렌드를 제공한다. 블렌드는 상대적으로 낮은 모듈러스를 가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높은 내열성을 유지한다. 특성의 이러한 균형은 블렌드를 가요성 성형 물품의 제조에 적합하게 한다. 또한, 일부 블렌드는 표면에서의 부착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거나 나타내지 않는다.As indicated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variety of polymer blends having specific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suitable for the manufacture of shaped articles for various applications. The blend has a relatively low modulus while maintaining a relatively high heat resistance. This balance of properties makes the blend suitable for the manufacture of flexible molded articles. In addition, some blends show little or no adhesion at the surface.

본 발명을 제한된 수의 실시양태에 대해 기재하였으나, 일 실시양태의 특정한 특징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또한 적용시켜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모든 면의 대표가 되는 단일 실시양태는 없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 또는 방법은 본원에서 언급된 많은 화합물 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성물 또는 방법은 본원에 열거된 임의의 화합물 또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기재된 실시양태로부터의 변화 및 변형이 존재한다. 끝으로,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수치는, 그 수치를 기재하는 데 있어 용어 "약" 또는 "대략"이 사용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근사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어야 한다.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 및 변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a limited number of embodiments, certain features of one embodiment should not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well. There is no single embodiment that is representative of all aspects of the invention. In some embodiments, a composition or method may comprise many of the compounds or steps mentioned herein. In other embodiments, the compositions or methods do not comprise or substantially comprise any compound or step listed herein. There ar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rom the described embodiments. Finally, any numerical value disclosed herein should be intended to mean an approxima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term “about” or “approximately” is used in describing the numerical value.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2)

(i)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및(i) at least on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and (ii)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또는 1종 이상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ii) one or more polyolefins, or one or more styrenic block copolymers, or combinations thereof, 상기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a) Mw/Mn이 약 1.7 내지 약 3.5이고, 하나 이상의 융점 (Tm) (섭씨 온도), 및 밀도 (d) (g/cm3)를 가지며, 상기 Tm 및 d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에 상응하거나,(a) Mw / Mn is from about 1.7 to about 3.5 and has at least one melting point (Tm) (degrees Celsius), and density (d) (g / cm 3 ), wherein the values of Tm and d correspond to the relationship do or, Tm ≥ -2002.9 + 4538.5(d) - 2422.2(d)2 T m ≥ -2002.9 + 4538.5 (d)-2422.2 (d) 2 (b) Mw/Mn이 약 1.7 내지 약 3.5이고, 용융열 (ΔH) (J/g), 및 최고 DSC 피크와 최고 CRYSTAF 피크 사이의 온도 차이로서 규정되는 델타 양 (ΔT) (섭씨 온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ΔT 및 ΔH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을 가지거나,(b) the amount of delta (ΔT) in degrees Celsius, with Mw / Mn of about 1.7 to about 3.5, defined as the heat of fusion (ΔH) (J / g),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DSC peak and the highest CRYSTAF peak;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of ΔT and ΔH has the following relationship, ΔH가 0보다 크고 130 J/g 이하인 경우 ΔT > -0.1299(ΔH) + 62.81ΔT> -0.1299 (ΔH) + 62.81 if ΔH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130 J / g ΔH가 130 J/g보다 클 경우 ΔT ≥ 48℃ΔT ≥ 48 ° C when ΔH is greater than 130 J / g (여기서, CRYSTAF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5% 이상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누적 중합체의 5% 미만이 식별 가능한 CRYSTAF 피크를 가질 경우, CRYSTAF 온도는 30℃임), (Where the CRYSTAF peak is determined using at least 5% of the cumulative polymer, and if less than 5% of the cumulative polymer has an identifiable CRYSTAF peak, the CRYSTAF temperature is 30 ° C.), (c)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압축 성형 필름으로 측정한 300% 변형 률 및 1 사이클에서의 탄성 회복률 (Re) (%)을 특징으로 하고, 밀도 (d) (g/cm3)를 가지며,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실질적으로 가교상을 함유하지 않을 때, 상기 Re 및 d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을 만족시키거나,(c) 300% strain measured by compression molded film of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and elastic recovery rate (Re) (%) in one cycle, and density (d) (g / cm 3 ) When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has substantially no crosslinked phase, the values of Re and d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ship, Re >1481-1629(d)Re> 1481-1629 (d) (d) TREF를 사용하여 분별시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상기 분획물은 동일한 온도 범위에서 용출되는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 분획물의 공단량체 몰 함량보다 5% 이상 높은 공단량체 몰 함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여기서, 상기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와 동일한 공단량체를 가지고,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10% 이내의 용융지수, 밀도, 및 공단량체 몰 함량 (전체 중합체 기준)을 가짐),(d) having a molecular fraction eluting at 40 ° C. to 130 ° C. when fractionated using TREF, the fraction being at least 5% higher than the mole comonomer content of the comparative random ethylene interpolymer fraction eluting at the same temperature range Molar content (wherein the comparative random ethylene interpolymer has the same comonomer as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and has a melt index, density, within 10% of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And comonomer molar content (based on total polymer)), (e) 25℃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G'(25℃)), 및 100℃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G'(100℃))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G'(25℃) 대 G'(100℃)의 비율이 약 1:1 내지 약 10:1인 것인(e) storage modulus at 25 ° C. (G ′ (25 ° C.)), and storage modulus at 100 ° C. (G ′ (100 ° C.)), wherein G ′ (25 ° C.) versus G ′ (100). C) ratio is about 1: 1 to about 10: 1 중합체 블렌드.Polymer blends.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Mw/Mn이 약 1.7 내지 약 3.5이고, 하나 이상의 융점 (Tm) (섭씨 온도), 및 밀도 (d) (g/cm3)를 가지며, 상기 Tm 및 d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에 상응하는 것인 중합체 블렌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has a Mw / Mn of about 1.7 to about 3.5, and has at least one melting point (Tm) (degrees C), and a density (d) (g / cm 3 ), Wherein said numerical values of Tm and d correspond to the following relationships. Tm ≥ 858.91 - 1825.3(d) + 1112.8(d)2 Tm ≥ 858.91-1825.3 (d) + 1112.8 (d) 2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Mw/Mn이 약 1.7 내지 약 3.5이고, 용융열 (ΔH) (J/g), 및 최고 DSC 피크와 최고 CRYSTAF 피크 (여기서, CRYSTAF 피크는 누적 중합체의 5% 이상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누적 중합체의 5% 미만이 식별 가능한 CRYSTAF 피크를 가질 경우, CRYSTAF 온도는 30℃임) 사이의 온도 차이로서 규정되는 델타 양 (ΔT) (섭씨 온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ΔT 및 ΔH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을 가지는 것인 중합체 블렌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has a Mw / Mn of about 1.7 to about 3.5, and heat of fusion (ΔH) (J / g), and the highest DSC peak and the highest CRYSTAF peak, where the CRYSTAF peak is Delta amount (ΔT) (degrees Celsius), which is determined using at least 5% of the cumulative polymer and less than 5% of the cumulative polymer has an identifiable CRYSTAF peak, the CRYSTAF temperature is 30 ° C. Wherein the numerical values of ΔT and ΔH have the following relationship. ΔH가 0보다 크고 130 J/g 이하인 경우 ΔT > -0.1299(ΔH) + 62.81ΔT> -0.1299 (ΔH) + 62.81 if ΔH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130 J / g ΔH가 130 J/g보다 클 경우 ΔT ≥ 48℃ΔT ≥ 48 ° C when ΔH is greater than 130 J / g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압축 성형 필름으로 측정한 300% 변형률 및 1 사이클에서의 탄성 회복률 (Re) (%)을 특징으로 하고, 밀도 (d) (g/cm3)를 가지며,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실질적으로 가교상을 함유하지 않을 때, 상기 Re 및 d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인 중합체 블렌드.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are characterized by a 300% strain and an elastic recovery rate (Re) (%) in one cycle as measured by a compression molded film of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d) A polymer blend having (g / cm 3 ) and wherein the values of Re and d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ship when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are substantially free of crosslinked phases. Re >1481-1629(d)Re> 1481-1629 (d) 제4항에 있어서, Re 및 d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인 중합체 블렌드.The polymer blend of claim 4 wherein the values of Re and d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ship. Re >1491-1629(d) Re> 1491-1629 (d) 제4항에 있어서, Re 및 d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인 중합체 블렌드.The polymer blend of claim 4 wherein the values of Re and d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ship. Re >1501-1629(d)Re> 1501-1629 (d) 제4항에 있어서, Re 및 d의 수치가 하기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인 중합체 블렌드.The polymer blend of claim 4 wherein the values of Re and d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ship. Re >1511-1629(d)Re> 1511-1629 (d) (i) 1종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및(i) at least on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and (ii)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또는 1종 이상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ii) one or more polyolefins, or one or more styrenic block copolymers, or combinations thereof, 상기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a) TREF를 사용하여 분별시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블록 지수가 0.5 이상 및 약 1 이하이고, 분자량 분포 (Mw/Mn)가 약 1.3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분자 분획물을 가지거나,(a) at least one molecular fraction characterized by a TREF eluting at 40 ° C. to 130 ° C., having a block index of at least 0.5 and about 1 or less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 Mn) of greater than about 1.3. Have, (b) 평균 블록 지수가 0 초과 및 약 1.0 이하이고, 분자량 분포 (Mw/Mn)가 약 1.3 초과인 것인 중합체 블렌드.(b) a polymer blend having an average block index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about 1.0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 Mn) greater than about 1.3.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TREF를 사용하여 분별시 40℃ 내지 130℃에서 용출되는 분자 분획물을 가지며, 상기 분획물이 동일한 온도 범위에서 용출되는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 분획물의 공단량체 몰 함량보다 5% 이상 높은 공단량체 몰 함량을 가지는 것 (여기서, 상기 비교용 랜덤 에틸렌 혼성중합체는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와 동일한 공단량체를 가지고,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의 10% 이내의 용융 지수, 밀도, 및 공단량체 몰 함량 (전체 중합체 기준)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블렌드.The comparative random ethylene of claim 1 or 8, wherein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has molecular fractions eluted at 40 ° C. to 130 ° C. when fractionated using TREF, wherein the fractions are eluted at the same temperature range. Having a comonomer molar content of at least 5% higher than the comonomer molar content of the interpolymer fraction, wherein the comparative random ethylene interpolymer has the same comonomer as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Polymer blend, having a melt index, density, and comonomer molar content (based on total polymer) within 10% of the interpolymer.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25℃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G'(25℃)), 및 100℃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G'(100℃))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G'(25℃) 대 G'(100℃)의 비율이 약 1:1 내지 약 10:1인 것인 중합체 블렌드.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of claim 1 or 8 are characterized by a storage modulus at 25 ° C. (G ′ (25 ° C.)) and a storage modulus at 100 ° C. (G ′ (100 ° C.)). Wherein the ratio of G ′ (25 ° C.) to G ′ (100 ° C.) is about 1: 1 to about 10: 1.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 내의 α-올레핀이 스티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 노르보르넨, 1-데센, 1,5-헥사디엔, 또는 이들의 조합인 중합체 블렌드.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or 8, wherein the α-olefins in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are styrene, propylene, 1-butene, 1-hexene, 1-octene, 4-methyl-1-pentene, norbornene, Polymer blends that are 1-decene, 1,5-hexadiene, or combinations thereof.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가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95%의 범위 내로 존재하는 중합체 블렌드.The polymer blend of claim 1 or 8, wherein the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 is present in the range of about 5% to about 95%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올레핀 단독중합체, 올레핀 공중합체, 올레핀 삼원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인 중합체 블렌드.The polymer blend of claim 1 or 8, wherein the polyolefin is an olefin homopolymer, an olefin copolymer, an olefin terpolymer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3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고용융 강도 폴리프로필렌, 고용융 강도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co-(부텐)-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인 중합체 블렌드.The polyolefin of claim 13 wherein the polyolefin is a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a high melt strength high density polyethylene, ethylene / propylene copolymer,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ethylene / propylene / diene terpolymer, styrene-ethylene-co- A polymer blend that is a (butene) -styrene block copolymer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The polymer blend of claim 1 or 8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additive. 제15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가소제, 오일, 산화방지제, UV 안정화제, 착색제 또는 안료, 충전제, 윤활제, 무적제 (antifogging agent), 흐름 보조제, 커플링제, 가교제, 기핵제, 계면활성제, 용매, 난연제, 대전방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인 중합체 블렌드.The additive of claim 15 wherein the additive is a slip agent, antiblocking agent, plasticizer, oil, antioxidant, UV stabilizer, colorant or pigment, filler, lubricant, antifogging agent, flow aid, coupling agent, crosslinker, nucleating agent, Polymer blends that are surfactants, solvents, flame retardants, antistatic ag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항 또는 제8항의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는 가요성 성형 물품.A flexible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polymer blend of claim 1. 제17항에 있어서, 장난감, 자루, 부드러운 감촉 손잡이, 범퍼 마찰 스트립, 마루, 자동차 바닥 매트, 바퀴, 다리 바퀴, 가구 및 기구 하부, 꼬리표, 봉인, 정 적 및 동적 개스킷과 같은 개스킷, 자동차 문, 범퍼 띠, 그릴 요소, 로커 패널, 호스, 라이닝, 사무용품, 밀봉, 라이너, 다이어프램, 관, 뚜껑, 마개, 플런저 팁, 전달 시스템, 주방용품, 신발, 신발 블래더, 신발 밑창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가요성 성형 물품.18. The vehicle door of claim 17, further comprising: toys, sacks, soft hand grips, bumper friction strips, floors, car floor mats, wheels, casters, furniture and appliance undercarriage, tags, seals, gaskets such as static and dynamic gaskets, car doors, Consisting of bumper strips, grill elements, rocker panels, hoses, linings, office supplies, seals, liners, diaphragms, tubes, lids, stoppers, plunger tips, delivery systems, kitchenware, shoes, shoe bladders, shoe soles and combinations thereof Flexible molded article selected from the group.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용융 강도가 6 cN 이상인 폴리프로필렌인 중합체 블렌드.The polymer blend of claim 1 or 8 wherein the polyolefin is a polypropylene having a melt strength of at least 6 cN.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용융 강도가 10 cN 이상인 폴리프로필렌인 중합체 블렌드.The polymer blend of claim 1 or 8 wherein the polyolefin is a polypropylene having a melt strength of at least 10 cN.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인 중합체 블렌드.The polymer blend of claim 1 or 8 wherein the styrenic block copolymer is a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인 중합체 블렌드.The polymer blend of claim 1 or 8 wherein the styrenic block copolymer is a styrene-ethylene / butylene-styrene block copolymer.
KR1020077021224A 2005-03-17 2006-03-15 Polymer blends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 / alpha-olefins and flexible 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 KR2007012167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0891705A 2005-03-17 2005-03-17
USPCT/US2005/008917 2005-03-17
US71824505P 2005-09-16 2005-09-16
US60/718,245 2005-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677A true KR20070121677A (en) 2007-12-27

Family

ID=3913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224A KR20070121677A (en) 2005-03-17 2006-03-15 Polymer blends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 / alpha-olefins and flexible 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21677A (en)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786A1 (en) * 2013-09-13 2015-03-19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Composition for refrigerator gasket
KR20160101968A (en) * 2013-12-19 2016-08-2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Strong polyolefin-based thermoplastic elastomeric films and methods of making
KR20160103025A (en) * 2013-12-26 2016-08-3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Ethylene-based polymers formed using asymmetrical polyenes
WO2017099486A1 (en) * 2015-12-08 2017-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KR20170067642A (en) * 2015-12-08 2017-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propylene based composite
KR20180031790A (en) * 2010-04-12 2018-03-28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Composition for blow molding
KR20180037208A (en) * 2015-07-27 2018-04-1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olyolefin-based elastic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KR20180052787A (en) * 2009-12-23 2018-05-18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 알.엘. Elastic fiber containing an anti-tack additive
KR101935740B1 (en) * 2018-08-06 2019-03-08 제해득 Manufacture method of assembly type flooring for sports facilities
KR101959828B1 (en) * 2018-08-06 2019-03-19 제해득 Assembly type flooring for sports facilities
KR101959823B1 (en) * 2018-10-08 2019-03-20 (주)하이탑 Mat for protecting lawn grass
KR101935742B1 (en) * 2018-08-06 2019-04-03 제해득 Manufacture method of lawn grass protecting mat
KR101967434B1 (en) * 2018-10-11 2019-04-09 (주)하이탑 Method of preparing flooring composition
KR101967608B1 (en) * 2018-10-08 2019-04-11 (주)하이탑 Mat for protecting lawn grass
KR101980084B1 (en) * 2018-10-08 2019-05-20 (주)하이탑 Assembly type lawn grass protection mat
KR20190078583A (en) * 2016-11-14 2019-07-04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A foamed molded article, a cushion for a shoe window and a method for producing expanded particles
KR20190078578A (en) * 2016-11-11 2019-07-04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The foamed molded article and the shoe sole member
KR101967433B1 (en) * 2018-10-11 2019-08-13 (주)하이탑 Flooring composit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787A (en) * 2009-12-23 2018-05-18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 알.엘. Elastic fiber containing an anti-tack additive
KR20180031790A (en) * 2010-04-12 2018-03-28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Composition for blow molding
WO2015037786A1 (en) * 2013-09-13 2015-03-19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Composition for refrigerator gasket
KR20160101968A (en) * 2013-12-19 2016-08-2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Strong polyolefin-based thermoplastic elastomeric films and methods of making
KR20160103025A (en) * 2013-12-26 2016-08-3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Ethylene-based polymers formed using asymmetrical polyenes
KR20180037208A (en) * 2015-07-27 2018-04-1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olyolefin-based elastic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WO2017099486A1 (en) * 2015-12-08 2017-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KR20170067642A (en) * 2015-12-08 2017-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propylene based composite
US10487158B2 (en) 2015-12-08 2019-11-26 Lg Chem, Ltd.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KR20190078578A (en) * 2016-11-11 2019-07-04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The foamed molded article and the shoe sole member
KR20190078583A (en) * 2016-11-14 2019-07-04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A foamed molded article, a cushion for a shoe window and a method for producing expanded particles
KR101935740B1 (en) * 2018-08-06 2019-03-08 제해득 Manufacture method of assembly type flooring for sports facilities
KR101935742B1 (en) * 2018-08-06 2019-04-03 제해득 Manufacture method of lawn grass protecting mat
KR101959828B1 (en) * 2018-08-06 2019-03-19 제해득 Assembly type flooring for sports facilities
KR101967608B1 (en) * 2018-10-08 2019-04-11 (주)하이탑 Mat for protecting lawn grass
KR101980084B1 (en) * 2018-10-08 2019-05-20 (주)하이탑 Assembly type lawn grass protection mat
KR101959823B1 (en) * 2018-10-08 2019-03-20 (주)하이탑 Mat for protecting lawn grass
KR101967434B1 (en) * 2018-10-11 2019-04-09 (주)하이탑 Method of preparing flooring composition
KR101967433B1 (en) * 2018-10-11 2019-08-13 (주)하이탑 Flooring composit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1816B1 (en) Polymer blends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alpha-olefins and flexible 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
US7714071B2 (en) Polymer blends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α-olefins and flexible 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
JP5672471B2 (en) Oily blend of ethylene / α-olefin interpolymers
KR20070121677A (en) Polymer blends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 / alpha-olefins and flexible 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
KR101319124B1 (en) Polymer Blends from Interpolymer of Ethylene/Alpha-olefin with Improved Compatibility
KR101315567B1 (en) Interpolymers of ethylene/alpha-olefins blends and profiles and gaskets made therefrom
JP5231985B2 (en) Improvement of rheology of ethylene / α-olefin copolymers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US7671131B2 (en) Interpolymers of ethylene/α-olefins blends and profiles and gaskets made therefrom
AU2006237514A1 (en) Cap liners, closures and gaskets from multi-block polymers
KR101399691B1 (en) Anti-blocking compositions comprising interpolymers of ethylene/alpha-olefins
KR20070117593A (en) Cap liners, closures and gaskets from multiblock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