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0795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0795A
KR20070120795A KR1020060055520A KR20060055520A KR20070120795A KR 20070120795 A KR20070120795 A KR 20070120795A KR 1020060055520 A KR1020060055520 A KR 1020060055520A KR 20060055520 A KR20060055520 A KR 20060055520A KR 20070120795 A KR20070120795 A KR 20070120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level
comparator
signa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병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20795A/ko
Publication of KR20070120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34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과 소정의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휘도레벨이 상기 기준레벨보다 큰 경우 제1디지털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휘도레벨이 상기 기준레벨보다 작은 경우 제2디지털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비교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비교부의 기준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 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손실을 줄여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교부의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신호입력부 20 : 비교부
22 : 보정부 24 : 검출부
26 : 신호처리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휘도저장부 50 : 제어부
본 발명은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 내에는 입력된 영상신호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을 갖는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 및/또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신호처리모듈은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신호처리모듈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를 갖는다.
그런데, CCTV로 촬영되거나 또는 야간에 촬영된 경우, 영상신호가 갖는 계조레벨이 낮게 된다. 이러한 저계조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면,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갖는 계조레벨의 변화에 따른 휘도레벨의 변화가 표시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신호정보가 손실될 수 있다. 이때, 신호의 손실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밝기(brightness) 및 대조(contrast)를 강제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계조간의 차이로 인한 양자화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ADC의 출력비트가 많도록 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원가가 높아질 수 있으며, 주변 회로의 사양이 높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 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손실을 줄여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추가 없이, 간단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손실을 손쉽게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과 소정의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휘도레벨이 상기 기준레벨보다 큰 경우 제1디지털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휘도레벨이 상기 기준레벨보다 작은 경우 제2디지털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비교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비교부의 기준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의 최대값을 저장하는 휘도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영상신호를 상기 휘도저장부에 저장된 휘도레벨 최대값에 대응하여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교부는 복수개의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의 최대값이 상기 복수의 비교기 중 최대 기준레벨을 갖는 비교기의 기준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비교부의 기준레벨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비교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휘도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비교부의 기준전압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휘도레벨과 상기 변경된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상기 휘도레벨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 제1디지털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휘도레벨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 제2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디지털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된 휘도레벨의 최대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휘도레벨의 최대값에 대응하여 상기 비교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2는 비교부(20)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신호입력부(10)와, 신호처리부(26)와, 디스플레이부(30)와, 휘도저장부(40)와,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신호입력부(10)는 아날로그 영상신호 및/또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미도시)와 외부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외부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접속단자(미도시)는 다양한 포맷의 영상신호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신호입력부(10)는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D-Sub 커넥터, CVBS(Composite Video Broadcast Signal) 커넥터, S-비디오 커넥터나 컴포넌트 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26)는 신호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후술할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도록 제공한다.
또한, 신호처리부(26)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포맷(format)에 대응하여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되는 다양한 포맷의 영상신호를 일정 포맷의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팅 기능, 디지털 디코딩 기능과, 디지털 영상신호 또는/및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30)의 출력 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을 조절하는 스케일링 기능 및 소정의 포맷 변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26)는 신호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2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부(20), 검출부(24), 보정부(22)를 포함한다.
비교부(20)는 신호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er: 이하, 'ADC'라 칭함)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부(20)는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비교기와, 각각의 비교기에 연결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저항(R)을 포함한다. 여기서, 비교부(20)에 포함되는 비교기와, 저항의 개수는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비트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n-비트(bit) 출력을 위해서 비교기는 2n-1개가 필요하며, 저항은 2n 개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교부(20)는 3-비트의 디지털 영상신호의 출력을 위한 7개의 비교기(20a, 20b, 20c, 20d, 20e, 20f, 20g)와, 8개의 저항(R)을 갖는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그리고, 비교부(20)에는 전압레벨이 VR인 기준전압(Reference Voltage)이 흐르며, 기준전압(VR)은 각각의 비교기(20a, 20b, 20c, 20d, 20e, 20f, 20g: '이하, 20A'라 칭함)에 연결된 저항(R)에 의해 분배된 기준레벨을 갖는다.
즉, 각각의 비교기(20A)에 흐르는 기준레벨은 다음과 같다.
제1비교기(20a)의 기준레벨은 접점 A에 흐르는 7VR/8이며, 제2비교기(20b)의 기준레벨은 접점 B에 흐르는 6VR/8이며, 제3비교기(20c)의 기준레벨은 접점 C에 흐르는 5VR/8이며, 제4비교기(20d)의 기준레벨은 접점 D에 흐르는 4VR/8이며, 제5비교기(20e)의 기준레벨은 접점 E에 흐르는 3VR/8이며, 제6비교기(20f)의 기준레벨은 접점 F에 흐르는 2VR/8이며, 제6비교기(20g)의 기준레벨은 접점 G에 흐르는 1VR/8이다.
그리고, 각각의 비교기(20A)는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신호레벨이 각각의 비교기(20A)에 흐르는 기준레벨보다 큰 경우 제1디지털신호를 출력하고, 신호레 벨이 기준레벨보다 작은 경우 제2디지털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디지털신호는 HIGH(또는 1), 제2디지털신호는 LOW(또는 0)이며, 각각의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신호는 엔코더(Encoder)에 의해 조합되어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된다.
검출부(24)는 신호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하여, 검출된 휘도레벨을 제어부(50)에 제공하는 것으로 콘덴서(Condenser)로 구현될 수 있다.
보정부(22)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비교부(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보정한다. 즉, 비교부(20)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의 최대값이 검출부(24)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의 최대값인 최대휘도레벨을 갖도록 보정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신호처리부(26)로부터 처리된 디지털 영상신호가 표시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CRT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 될 수 있다.
휘도저장부(40)는 검출부(24)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 중 최대휘도레벨을 저장하는 것으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휘도저장부(40)는 레지스터(Register)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검출부(24)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에 따라 비교부(20)의 복수의 비교기의 기준레벨을 변경하는 것으로, CPU, 마이컴 등의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검출부(24)로부터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 이 검출되면, 검출된 휘도레벨과 비교부(20)에 흐르는 기준전압의 전압레벨을 비교한다. 만약, 검출된 휘도레벨이 전압레벨보다 작으면, 제어부(50)는 비교부(20)에 흐르는 기준전압의 전압레벨을 감소시켜 비교부(20)에 포함된 각각의 비교기(20A)의 기준레벨이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비교부(20)의 전압레벨이 10V라 하고, 각각의 비교기(20A)에 연결된 저항(R)의 저항값은 1이라고 하자. 그러면, 제1비교기(20a)의 기준레벨은 7/8*10V=8.75V이며, 제2비교기(20b)의 기준레벨은 6/8*10V=7.5V이며, 제3비교기(20c)의 기준레벨은 5/8*10V=6.25V이며, 제4비교기(20d)의 기준레벨은 4/8*10V, 즉 5V이며, 제5비교기(20e)의 기준레벨은 3/8*10V=3.75V이며, 제6비교기(20f)의 기준레벨은 2/8*10V=2.5V이며, 제7비교기(20g)의 기준레벨은 1/8*10V, 즉 1.25V가 된다.
이때, 검출부(24)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이 2.5V 내지 3V라고 하면, 제1비교기~제6비교기는 LOW를 출력하고, 제6비교기~제7비교기는 HIGH를 출력한다. 따라서, 각각의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신호(00000112)를 조합하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Y1Y2Y3)는 0102이다.
이 경우,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이 2.5V에서 3V로 0.5V의 변화가 있어도,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동일하게 0102로 표현된다. 따라서, 제어부(50)는 검출부(24)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에 대응하여 비교부(20)의 전압레벨을 예컨대, 10V에서 4V로 낮춘다. 이에 의해, 각각의 비교기(20A)에 흐르는 기준레벨이 낮아지 므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손실 없이 작은 변화도 세밀하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검출부(24)로부터 검출된 최대휘도레벨이 휘도저장부(40)에 저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휘도저장부(40)에 저장된 최대휘도레벨에 따라 보정한다.
즉, 기준레벨이 낮아지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이 높아지므로, 제어부(50)는 높아진 디지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휘도저장부(40)에 저장된 최대휘도레벨에 맞도록 낮춘다.
이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 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손실을 줄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26)에 포함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추가 없이 세밀한 표현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2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입력되면(S11), 검출부(24)는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한다(S13).
그리고, 검출된 휘도레벨의 최대값인 최대휘도레벨을 휘도저장부(40)에 저장한다(S15).
그리고, 검출부(24)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에 따라 비교부(20)의 기준전압(VR)을 조정하여, 비교부(20)에 포함된 각각의 비교기(20A)에 흐르는 기준레벨이 조정되도록 한다(S17).
그리고, 조정된 기준레벨과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비교한 다(S19).
비교결과, 휘도레벨이 기준레벨보다 크거나 같으면(S21), 제1디지털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S22). 비교결과, 휘도레벨이 기준레벨보다 작으면, 제2디지털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S23).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디지털신호는 HIGH(또는 1)이며, 제2디지털신호는 LOW(또는 0)이다.
그리고,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조합하여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고(S25),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휘도저장부(40)에 저장된 최대휘도레벨에 따라 보정한다(S27).
이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 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손실을 줄여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26)에 포함된 ADC의 추가 없이 비교기의 기준레벨을 변환시키므로, 간단한 방법을 통해 영상신호를 세밀하게 표현을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 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손실을 줄여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추가 없이, 간단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손실을 손쉽게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5)

  1.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과 소정의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휘도레벨이 상기 기준레벨보다 큰 경우 제1디지털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휘도레벨이 상기 기준레벨보다 작은 경우 제2디지털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비교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비교부의 기준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의 최대값을 저장하는 휘도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영상신호를 상기 휘도저장부에 저장된 휘도레벨 최대값에 대응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복수개의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휘도레벨의 최대값이 상기 복수의 비교기 중 최대 기준레벨을 갖는 비교기의 기준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비교부의 기준레벨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비교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휘도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비교부의 기준전압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휘도레벨과 상기 변경된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상기 휘도레벨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 제1디지털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휘도레벨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 제2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디지털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휘도레벨의 최대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휘도레벨의 최대값에 대응하여 상기 비교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055520A 2006-06-20 2006-06-2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20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520A KR20070120795A (ko) 2006-06-20 2006-06-2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520A KR20070120795A (ko) 2006-06-20 2006-06-2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795A true KR20070120795A (ko) 2007-12-26

Family

ID=3913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520A KR20070120795A (ko) 2006-06-20 2006-06-2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207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86A1 (ko) * 2018-09-18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86A1 (ko) * 2018-09-18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US11532289B2 (en) 2018-09-18 2022-12-20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9840B2 (en) Dynamic gray scale range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090059083A1 (en) Image displaying method, image displaying device, and contrast-adjusting circuit for use therewith
US2005027560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WO2007074661A1 (ja) 画像表示装置
KR100750106B1 (ko) 비디오 신호 규격 자동 판단 장치 및 방법
US76334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tate
US20070279531A1 (en) TV receiver and TV receiving method
KR2008001779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224402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signal and method thereof
JP5255219B2 (ja) グレースケール変換装置及び同方法
KR2007012079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382298B1 (en) Code-correction structures and methods for digital displays
US20100157161A1 (en) Gamma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EP1903803A2 (en) Frame interpolating circuit, frame interpolat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2008004314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7359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0688748B1 (ko) 비트 축소 장치
US8045059B2 (en) Gain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gain
US20080260083A1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CN106855583B (zh) 用于图像传感器的方法和装置
KR100531382B1 (ko) Adc 샘플링 위상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14522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23256B1 (ko)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보상 장치 및 방법
KR100604025B1 (ko) 비디오 신호의 에러 보정 장치 및 방법
JPH0795558A (ja) 画像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