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0074A -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0074A
KR20070120074A KR1020070113955A KR20070113955A KR20070120074A KR 20070120074 A KR20070120074 A KR 20070120074A KR 1020070113955 A KR1020070113955 A KR 1020070113955A KR 20070113955 A KR20070113955 A KR 20070113955A KR 20070120074 A KR20070120074 A KR 20070120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expenditure
information
ptd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윤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7011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20074A/ko
Publication of KR2007012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electronic rece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클라이언트의 상품 구매(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내역정보(또는 영수증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휴대폰으로 제공하는 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휴대폰으로부터 결제내역정보(또는 영수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결제내역(또는 영수증)을 항목별로 분류하고,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클라이언트의 지출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적외선, 결제,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 지출분류

Description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ement a Record of Expenditure by Using Mobile Devices}
도1은 지출 관리 서버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출 관리 서버와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PTD와, 상기 PTD로 거래내역 정보를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결제처리 단말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2는 지출 관리 서버로 클라이언트 PTD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PTD가 결제처리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거래내역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3은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결제처리 단말기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획득한 클라이언트 PTD가 상기 획득한 거래내역 정보를 무선 통신망 상의 지출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지출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4는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결제처리 단말기로부터 클라이언트 PTD로 전송되어, 지출 관리 서버로 제공되는 거래내역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 PTD 상에 출력되는 간단한 PTD 화면 예시도이다.
도5는 클라이언트 PTD에서 전송된 클라이언트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하여 지출 관리 서버로부터 지출 관리 서비스가 제공되는 간단한 웹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도6은 지출 관리 서버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출 관리 서버와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와,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로 거래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결제처리 단말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7는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가 결제처리 단말기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획득하여 지출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지출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8은 결제처리 단말기로부터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로 전송되어, 지출 관리 서버로 제공되는 거래내역 정보 데이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지출 관리 서버 105 : PTD 인증부
110 : 지출정보 확인부 115 : 지출정보 저장부
120 : 지출관리 평가부 125 :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130 : 지출정보 데이터베이스 135 : PTD(Personal Trusted Device)
140 : 결제처리 단말기 145 : 통신망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의 상품 구매(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내역정보(또는 영수증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휴대폰으로 제공하는 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휴대폰으로부터 결제내역정보(또는 영수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결제내역(또는 영수증)을 항목별로 분류하고,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클라이언트의 지출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계를 위한 수지는 국가의 재정이나 기업의 회계에 비하면 적은 숫자이기는 하지만, 수입과 지출을 재검토하고, 이로 인해 보다 나은 생활설계를 위해 지속적으로 그 동향을 관리 및 파악해야할 필요가 있다.
상기 가계의 수지 관리 및 파악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가계부인데, 가계부는 주로 오프라인 상에서 기록 및 관리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가계부는 소득의 많고 적음과,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일례로, 대표적인 가계부를 살펴보면, 적요(摘要)·비목(費目)·수입·지출·잔고 등의 난이 있어 수지를 계산할 때마다 해당란에 기입하도록 하는 보통 현금 출납부, 일반적인 가계부가 많이 취하는 형식으로, 많은 항목의 기재와 동시에 비목의 분류가 가능하며, 1일에 몇 항목이라도 기재하도록 하는 다항식 현금출납부,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을 요하며, 소득이 많아서 단순히 수지에 대하여 또는 예산과 실제와의 대비뿐 아니라 채권·채무상황과 이들의 금리계산, 재산의 증감 등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을 때 이용하는 복식가계부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가계부들이 존재한다.
그 외에 가계부 대용의 보조장부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가계부라기 보다는 간단한 용돈 수첩에 해당하는 노트 가계부, 식료품비·집세·관리비·광열비 등의 항목별로 봉투를 만들어, 그 봉투 속에 예산한 금액을 넣어 두었다가 지출할 때마다 돈을 꺼내고 동시에 날짜 ·품목 ·금액을 기재해 두는 방식의 가계부인 봉투 가계부, 지출할 때마다 품목별로 전표형의 용지에 기재하여 분류하고 보관하는 방식의 전표 가계부, 예산액과의 대조에 편리한 그래프 가계부 등이 있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온라인 상에서 가계부를 제공하는 사이트 및 다운로드 하여 사용이 가능한 일종의 전자 가계부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매월 또는 매년 가계부를 구입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없어졌고, 보다 정리된 형태의 가계부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온라인 상의 가계부 및 전자 가계부는 오프라인 상에서 필기도 구를 이용하여 작성하던 형태를 단순히 웹 상에서 구현한 것 이외에는 특별한 점이 없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점에서 상품을 구입하여 지출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는 가계부 작성을 위해 PC를 켜고, 일일이 지출 내역을 입력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은 여전히 존재하였고, 또한, 비목 분류 등도 사용자를 힘들게 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이언트의 상품 구매(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내역정보(또는 영수증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휴대폰으로 제공하는 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휴대폰으로부터 결제내역정보(또는 영수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결제내역(또는 영수증)을 항목별로 분류하고,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클라이언트의 지출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의 상품 구매(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내역정보(또는 영수증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휴대폰으로 제공하는 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휴대폰으로부터 결제내역정보(또는 영수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결제내역(또는 영수 증)을 항목별로 분류하고,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클라이언트의 지출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클라이언트의 지출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통신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PTD와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 매장 내의 결제처리 단말기 사이에서 결제를 위한 적외선 통신은 근거리 적외선 결제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적외선 통신을 말하며, 상기 적외선 통신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의 IrFM(IrDA Financial Messaging)을 기반의 근거리 적외선 통신, 메모리 방식의 근거리 적외선 통신 및 기타 모든 근거리 적외선 통신을 모두 포함함을 명기한다.
일례로, 상기 IrFM은 국제적외선 데이터 통신 협회(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에서 발표한 적외선을 이용한 금융·결제에 대한 규격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의 PTD 내의 금융 및 결제 정보가 기록된 IC칩과 연계하여, 상품 및 서비스 제공 매장의 결제처리 단말기와 교신하도록 하는 근거리 적외선 통신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트랜잭션은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서버(Server)와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클라이언트(Client) 간의 데이터 통신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클라이언트 PTD와 결제처리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서버와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PTD 또는 결제처리 단말기 중 트랜잭션 작업초기에 어느 쪽이 먼저 정보를 전달 또는 요청하느냐에 따라서,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서버 및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클라이언트는 상호 변동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결제처리 단말기에서 클라이언트 PTD로 전송되는 거래내역 정보는 상기 결제처리 단말기와 클라이언트 PTD 간의 트랜잭션 완료 시점에서, 상기 트랜잭션 기록(Transaction Record) 또는 전자적인 영수증(Electronic Receipt)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이 트랜잭션 기록에는 상호, 등록번호(사업자 등록번호), 단말기 번호, 거래일시, 결제비용, 상품 또는 서비스 명(또는 코드) 등의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트랜잭션 기록은 상기 클라이언트 PTD를 통해 지출 관리 서버로 전송된다.
상기 지출 관리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트랜잭션 기록 또는 전자적인 영수증 등을 포함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PTD와 연결되며, 상기 PTD로부터 전송받은 트랜잭션 기록 또는 전자적인 영수증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지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지출 관리 서버가 포함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개인정보는 클라이언트가 소유한 PTD 정보, 클라이언트 ID, 지출 관리 서버 접속 패스워드, 이동통신번호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보다 더 충실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 수준의 변경이나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면1은 지출 관리 서버(100) 및 통신망(145)을 통해 상기 지출 관리 서 버(100)와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PTD(135)와, 상기 PTD(135)로 거래내역 정보를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결제처리 단말기(140)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출 관리 서버(100)는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 매장 등에 위치한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구매한 상품 등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PTD(135)로부터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 PTD 인증부(105), 지출정보 확인부(110), 지출정보 저장부(115), 지출관리 평가부(120) 및 클라이언트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125), 지출정보 데이터베이스(130)로 구성이 된다.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PTD 인증부(105)는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125)와 연동하여, 상기 PTD(135)로부터 전송되는 거래내역 정보의 수신에 앞서, 상기 PTD(135) 및 PTD 사용 클라이언트의 인증을 확인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PTD 인증부(105)는 상기 PTD(135) 내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에 기록된 개인인증 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PTD(135)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인증코드(패스워드 등) 등의 확인 및, 상기 PTD(135)의 이동통신번호, 모바일 IP, 단말기번호, 상기 IC칩 일련번호 등을 통한 인증이 가능하다.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지출정보 확인부(110)는 상기 PTD 인증부(105)를 통해 PTD(135) 및 클라이언트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PTD(135)로부터 전송된 클라이언트 거래내역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지출정보 확인부(110)는 상기 거래내역 정보에 포함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상호, 등록번호(사업자 등록번호), 단말기 번호, 거래일시, 결제비용, 상품 또는 서비스 명(상품 또는 서비스 코드(바코드 포함)) 등의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지출분류 항목별로 분류하여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지출정보 저장부(115)로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지출분류 항목은 클라이언트 또는 지출 관리 서버(100)에 의해 기 정해지며, 일시별, 장소(지역)별, 상점별, 상품별, 금액별로 설정이 가능하다.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지출정보 저장부(115)는 상기 지출정보 확인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지출분류 항목별로 분류된 클라이언트의 지출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저장된 클라이언트의 지출관리 내역은 유무선 통신망(145)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지출관리 평가부(120)는 전월대비 또는 특정기간 대비하여, 클라이언트의 지출내역 중에서, 늘어난 지출(과잉지출) 등을 항목별 또 는 지출분류별로 파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125)는 클라이언트 ID, 접속 패스워드, 클라이언트 PTD(135)의 이동통신번호, 모바일 IP, 단말기번호, 상기 PTD(135)에 탑재된 IC칩 일련번호, 상기 IC칩에 기록된 개인인증정보 등을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지출 관리 서버(100)와 연동하는 지출정보 데이터베이스(130)는 기 설정 가능한 지출분류 항목 및 상기 지출분류 항목에 따라 분류된 클라이언트 지출 관리 내역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클라이언트 PTD(135)(Personal Trusted Device)는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트랜잭션이 가능한 모든 모바일 장치를 의미하며, 상기 PTD(135)는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트랜잭션의 최초 발생 시점에 따라,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서버(Server)와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클라이언트(Client) 등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PTD(135)가 결제처리 단말기(140)로 최초 트랜잭션 신호를 보내면, 상기 PTD(135)가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서버로, 상기 결제처리 단말기(140)가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클라이언트로 동작을 하며, 만약에 상기 결제처리 단말기(140)가 상기 PTD(135)로 최초 트랜잭션 신호를 보내면, 상기 결제처리 단말기(140)가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서 버로, 상기 PTD(135)가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클라이언트로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PTD(135)는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매장에 위치하는 결제처리 단말기(140)와, 상기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트랜잭션을 통해, 상기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거래내역 정보(트랜잭션 기록(Transaction Record) 또는 전자적인 영수증(Electronic Receipt) 등)를 수신하여,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PTD(135)는 모바일 금융결제 정보가 기록된 IC칩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PTD(135)에 탑재되는 IC칩은 기본적으로 원 칩(One Chip) 방식을 지향하나, 듀얼 칩(Dual Chip) 또는 듀얼 슬롯(Dual Slot) 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PTD(135)는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한 근거리 적외선 결제를 위한 트랜잭션 모듈을 탑재하고 있다. 상기 트랜잭션 모듈은 상기 PTD(135)에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탑재되며, 상기 PTD(135)에 탑재된 IC칩과 연동하여,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한 근거리 적외선 결제를 돕는다. 또한, 상기 트랜잭션 모듈은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한 적외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거래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IC칩의 거래내역 저장영역 또는 상기 PTD(135)의 별도 거래내역 저장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고, 실시간 또는 배치 방식의 일괄전송을 통해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돕는다.
상기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한 적외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거래내역 정보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PTD(135)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데, 상기 거래 내역 정보를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PTD(135)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의 무선 URL을 입력하여 전송하거나,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의 무선 URL을 기 저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결제처리 단말기(140)는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 매장에 위치한 POS(Point Of Sales) 단말기, 신용카드 단말기(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등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라, IrFM 기반의 근거리 적외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적외선 포트 및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다.
도면2는 지출 관리 서버(100)로 클라이언트 PTD(135)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PTD(135)가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거래내역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 매장에서 클라이언트가 금융결제 기능의 IC칩 및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PTD(135)(Personal Trusted Device)를 이용하여, 구매한 상품 또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 요청을 상기 PTD(135)를 이용한 근거리 적외선 결제를 통해 결제처리 단말기(140)로 실시하게 되면(200), 먼저 상기 PTD(135)와 결제처리 단말기(140)는 적외선 결제를 위하여 상호간에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의 유효성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205).
상기 적외선 결제를 위한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의 유효성 판단은 우선 PTD(135) 또는 결제처리 단말기(140) 상호간에 디텍팅(Detecting)을 통해 각 디바이스에 대한 상호인식을 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 때, 어느 디바이스가 먼저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접근 요청을 하는가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서버 및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클라이언트로 구분되어진다.
클라이언트 PTD(135)와 결제처리 단말기(140)간의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210), 상기 PTD(135) 또는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적외선 결제를 위한 상호간의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기반의 적외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어, PTD(135)와 결제처리 단말기(140)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대기모드로 전환이 된다(215).
상기 PTD(135)와 결제처리 단말기(140)간의 적외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PTD(135)와 결제처리 단말기(140)는 클라이언트의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의 결제에 대한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트랜잭션을 개시하게 된다(220).
PTD(135)와 결제처리 단말기(140)간의 결제에 대한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 트랜잭션이 시작되면, 상기 결제처리 단말기(140)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구매 상품 등에 대한 구매내역 정보를 상기 적외선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PTD(135)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에 대한 결제승인 응답을 요청하게 된다(225).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의 구매 상품 등에 대한 구매내역 정보가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PTD(135)로 수신되면, 상기 PTD(135) 내의 트랜잭션 모듈은 구매내역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PTD(135) 상에 출력하여, 클라이언트가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230).
또한, 상기 PTD(135) 내의 트랜잭션 모듈은 상기 PTD(135)내에 탑재 또는 이탈착이 가능한 IC칩과 연계하여 결제수단을 선택하고, 상기 결제처리 단말기(140)로 결제승인 응답을 전송하게 된다(235). 상기 PTD(135)로부터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결제승인 응답을 획득한 결제처리 단말기(140)는 PTD(135)로부터 선택된 결제수단을 이용한 결제처리를 실시한다(240).
결제처리가 완료를 확인한(245) 결제처리 단말기(140)는 거래내역 정보를 결제처리 단말기(140)의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 출력하고,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PTD(135)로 제공하게 된다(250). 상기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PTD(135)로 제공되는 거래내역 정보는 트랜잭션 기록(Transaction Record) 또는 전자적인 영수증(Electronic Receipt) 등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PTD(135)로부터 제공된 결제수단이 유효하지 않다면, 결제처리는 완료되지 않고(255), 결제처리 단말기(140)는 상기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260).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공된 거래내역 정보를 수신한 PTD(135)는 상기 IC칩의 거래내역 정보 메모리 또는 상기 PTD(135)내의 별도 거래내역 정보 메모리에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저장한다(265).
도면3은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획득한 클라이언트 PTD(135)가 상기 획득한 거래내역 정보를 무선 통신망(145) 상의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거래내역 정보를 수신한 PTD(135)는(300)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기 위해 무선 통신망(145)을 통해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접속 요청을 실시한다(305).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로의 접속 시도는 지출 관리 서버(100)의 무선 URL의 입력 또는 상기 PTD(135) 내에 저장된 지출 관리 서버(100)의 URL의 사용을 통해 가능하다.
PTD(135)로부터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전송되는 거래내역 정보는 PTD(135)가 결제처리 단말기(140)와의 트랜잭션 완료 시점에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일정기간 거래내역 정보를 누적하고 있다가 일괄적으로 전송을 할 수도 있다.
상기 PTD(135)가 무선 통신망(145)을 통해 지출 관리 서버(100)에 접속이 가능하다면(310), PTD(135)는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로 클라이언트 거래내역 정보의 전송을 알리고(315),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PTD 인증부(105)는 상기 클라이언트 및 PTD(135)의 인증을 실시한다(320).
PTD 인증부(105)의 클라이언트 및 PTD(135) 인증은 상기 PTD(135) 내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에 기록된 개인인증 정보, 상기 PTD(135)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인증코드(패스워드 등), 상기 PTD(135)의 이동통신번호, 모바 일 IP, 단말기번호, 상기 IC칩 일련번호 등의 확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PTD 인증부(105)를 통해 PTD(135) 및 클라이언트 인증이 완료되면(325),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지출정보 확인부(110)는 상기 PTD(135)로부터 전송되는 거래내역 정보를 확인하고(330),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하여 지출항목별로 분류를 실시한다(335).
상기 거래내역 정보의 지출항목별 분류를 위해, 상기 지출정보 확인부(110)는 지출정보 데이터베이스(130)와 연동하며, 상기 지출정보 데이터베이스(130) 내에는 지출분류를 위한 분류옵션(항목별, 날짜별, 지역별, 상점별 등)이 기록되어 있다.
상기 지출정보 확인부(110)를 통해 거래내역 정보가 지출분류되면,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지출정보 저장부(115)는 PTD(135) 정보 또는 클라이언트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분류된 지출항목별로 거래내역을 저장하도록 한다(340).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는 지출관리 평가부(120)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지출항목별 거래내역을 참조하여 월별 또는 기타 특정 기간별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출항목들에 대한 평가를 제공한다. 상기 평가는 전월에 비해 과잉지출을 하거나, 많은 비용지출이 든 항목을 선정하고(345), 상기 항목들에 대 한 메시지를 제공하게 되고, 클라이언트는 유무선 통신망(145)을 통해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평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350).
도면4는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클라이언트 PTD(135)로 전송되어,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제공되는 거래내역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 PTD(135) 상에 출력되는 간단한 PTD(135) 화면 예시도이다.
클라이언트 PTD(135)는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결제처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결제처리 트랜잭션 기록 또는 전자적 영수증 형태의 거래내역 정보를 획득하는데, 본 도면은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거래내역 정보를 획득한 PTD(135)가 PTD(135) 화면상에 수신된 거래내역 정보를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상기 결제처리 트랜잭션 기록 또는 전자적 영수증 형태의 거래내역 정보에는 상호, 등록번호(사업자 등록번호), 단말기 번호, 거래일시, 결제비용, 상품 또는 서비스 명(또는 코드)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PTD(135)는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획득한 거래내역 정보를 무선 통신망(145)을 통해 지출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면5는 클라이언트 PTD(135)(또는 스마트 카드)에서 전송된 클라이언트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하여 지출 관리 서버(100)로부터 지출 관리 서비스가 제공되는 간단한 웹브라우저 화면 예시도이다.
PTD(135)에서 무선 통신망(145)을 통해 전송되는 거래내역 정보를 수신한 지출 관리 서버(100)는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본 도면과 같은 지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지출 관리 서비스는 일종의 가계부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항목별 또는 기간별 지출에 대한 과잉지출 여부 등도 판단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해 준다.
본 도면은 지출 분류, 지출 항목, 상점(코드), 지출 금액, 지출 일시 등이 테이블 형태로 웹상에서 출력하게 되는 화면 예시도로써, 상기 분류 항목은 클라이언트 또는 지출 관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기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도면에서 제시한 분류 항목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는 PTD(135)를 이용하여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결제처리 단말기로부터 거래내역을 제공받아 지출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상기 기술한 예와는 달리, 클라이언트가 금융결제가 가능하며, 소정의 데이터 저장공간을 보유한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를 이용하여, 결제처리 단말기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 저장공간에 기록 또는 저장하고 있다가, 스마트 카 드(또는 IC카드) 리더기 등을 구비한 클라이언트 PC(또는 인터넷 단말기 등) 및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와 연동하는 무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지출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면6은 지출 관리 서버(100) 및 통신망(145)을 통해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와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와,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로 거래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결제처리 단말기(140)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본 도면은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 매장 내에 위치하며, 클라이언트의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를 이용한 결제처리 및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로 거래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결제처리 단말기(140)와, 금융결제가 가능하며, 소정의 데이터 저장공간을 보유하는 클라이언트 소지의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 및, 유무선 통신망 상에 위치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하여, 전자적으로 지출 내역을 관리하는 지출 관리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통해,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를 이용한 지출 내역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 매장의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따른 결제거래내역 정보를 상기 클 라이언트 소유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내 저장된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기 결제거래내역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분류,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분류, 저장된 결제거래내역 정보(또는 지출 내역)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출분류 내역에 대한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가 소지한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는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의 획득을 위해 소정의 데이터 저장공간을 보유하고 있으며, 결제처리 단말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에 저장된 클라이언트 결제거래내역 정보는 유무선을 통해서 지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출 관리 서버로 제공된다.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에 저장된 거래내역 정보는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를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 리더기를 구비한 PC 또는 정보 단말기(KIOSK)등을 통해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에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와 연동되는 무선 단말기를 통해서도 상기 지출 관리 서버로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에 저장된 거래내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결제처리 단말기(140)에서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로 전송되는 거래내역 정보는 상기 결제처리 단말기(140)와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간의 트랜잭션 기록(Transaction Record) 또는 전자적인 영수증(Electronic Receipt)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이 트랜잭션 기록에는 상호, 등록번호(사업자 등록번호), 단말기 번호, 거래일시, 결제비용, 상품 또는 서비스 명(또는 코드) 등의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트랜잭션 기록은 상기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를 통해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전송된다.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트랜잭션 기록 또는 전자적인 영수증 등을 포함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와 연결되며, 상기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로부터 제공받은 트랜잭션 기록 또는 전자적인 영수증 데이(600)터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지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가 포함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개인정보는 클라이언 트가 소유한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 정보, 단말기 정보, 클라이언트 ID, 지출 관리 서버 접속 패스워드, 이동통신번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출 관리 서버(100)는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 매장 등에 위치한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구매한 상품 등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를 제공받은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로부터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 인증부(105), 지출정보 확인부(110), 지출정보 저장부(115), 지출관리 평가부(120) 및 클라이언트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125), 지출정보 데이터베이스(130)로 구성이 된다.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인증부(105)는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125)와 연동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로부터 전송되는 거래내역 정보의 수신에 앞서,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 및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 사용 클라이언트의 인증을 확인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인증부(105)는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와 연계하여, 클라이언트 PC 또는 정보 단말기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인증코드(패스워드 등) 등의 확인 및,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의 카드번호, 클라이언트 PC IP, 단말기번호, 상기 IC칩 일련번호 등을 통한 인증이 가능하다.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지출정보 확인부(110)는 상기 인증부(105)를 통해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 및 클라이언트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로부터 제공된 클라이언트 거래내역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지출정보 확인부(110)는 상기 거래내역 정보에 포함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상호, 등록번호(사업자 등록번호), 단말기 번호, 거래일시, 결제비용, 상품 또는 서비스 명(상품 또는 서비스 코드(바코드 포함)) 등의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지출분류 항목별로 분류하여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지출정보 저장부(115)로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지출분류 항목은 클라이언트 또는 지출 관리 서버(100)에 의해 기 정해지며, 일시별, 장소(지역)별, 상점별, 상품별, 금액별로 설정이 가능하다.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지출정보 저장부(115)는 상기 지출정보 확인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지출분류 항목별로 분류된 클라이언트의 지출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저장된 클라이언트의 지출관리 내역은 유무선 통신망(145)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지출관리 평가부(120)는 전월대비 또는 특정기간 대비하여, 클라이언트의 지출내역 중에서, 늘어난 지출(과잉지출) 등을 항목별 또는 지출분류별로 파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125)는 클라이언트 ID, 접속 패스워드,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번호, 클라이언트 PC IP정보, 단말기번호,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에 탑재된 IC칩 일련번호, 상기 IC칩에 기록된 개인인증정보 등을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지출 관리 서버(100)와 연동하는 지출정보 데이터베이스(130)는 기 설정 가능한 지출분류 항목 및 상기 지출분류 항목에 따라 분류된 클라이언트 지출 관리 내역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는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매장에 위치하는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거래내역 정보(트랜잭션 기록(Transaction Record) 또는 전자적인 영수증(Electronic Receipt) 등)를 제공받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는 금융결제 정보가 기록된 IC칩 등을 포함하고 있다.
결제처리 단말기(140)는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 매장에 위치한 POS(Point Of Sales) 단말기, 신용카드 단말기(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등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를 이용한 금융결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로 결제거래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도면7은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가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획득하여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 매장에서 클라이언트가 금융결제 기능의 IC칩 기반의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를 이용하여, 구매한 상품 또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 요청을 결제처리 단말기(140)로 실시하게 되면(700), 먼저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와 결제처리 단말기(140)는 금융결제를 위한 유효성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705).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와 결제처리 단말기(140)간의 금융결제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710), 결제처리 단말기는 클라이언트의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결제처리를 실시하고, 결제거래내역 정보를 생성한다(715).
결제거래내역 정보를 생성한 결제처리 단말기는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의 소정의 데이터 저장영역에 상기 결제거래내역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720).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본인의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로 수신한 클라이언트는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통한 지출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지출 관리 서버로 접속을 요청한다(725). 클라이언트는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 리더기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PC 또는 키오스크를 통해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와 연계하여 동작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PC(또는 인터넷 단말기 등), 키오스크 및 무선 단말기는 상기 과정을 이루기 위해,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의 인식 및 동작을 관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다.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를 이용하여 지출 관리 서버(100)에 접속이 가능하다면(730),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에 저장된 클라이언트 거래내역 정보의 전송을 알리고(735),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인증부(105)는 상기 클라이언트 및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의 인증을 실시한다(740).
상기 인증부(105)의 클라이언트 및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 인증은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 내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에 기록된 개인인증 정보,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와 연계하여 클라이언트 PC 등으 로부터 입력되는 인증코드(패스워드 등),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의 이동통신번호, 모바일 IP, 단말기번호, 카드번호, 상기 IC칩 일련번호 등의 확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인증부(105)를 통해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 및 클라이언트 인증이 완료되면(745),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지출정보 확인부(110)는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에 저장되어, 인터넷 단말기 등을 통해 전송되는 거래내역 정보를 확인하고(750),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하여 지출항목별로 분류를 실시한다(755).
상기 거래내역 정보의 지출항목별 분류를 위해, 상기 지출정보 확인부(110)는 지출정보 데이터베이스(130)와 연동하며, 상기 지출정보 데이터베이스(130) 내에는 지출분류를 위한 분류옵션(항목별, 날짜별, 지역별, 상점별 등)이 기록되어 있다.
상기 지출정보 확인부(110)를 통해 거래내역 정보가 지출분류되면, 지출 관리 서버(100) 내의 지출정보 저장부(115)는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 정보 또는 클라이언트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분류된 지출항목별로 거래내역을 저장하도록 한다(760).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는 지출관리 평가부(120)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지출항목별 거래내역을 참조하여 월별 또는 기타 특정 기간별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지출항목들에 대한 평가를 제공한다. 상기 평가는 전월에 비해 과잉지출을 하거나, 많은 비용지출이 든 항목을 선정하고(765), 상기 항목들에 대한 메시지를 제공하게 되고, 클라이언트는 유무선 통신망(145)을 통해 상기 지출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평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770).
도면8은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로 전송되어, 지출 관리 서버(100)로 제공되는 거래내역 정보 데이터에 대한 간단한 예시도이다.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는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에 대한 결제처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결제처리 트랜잭션 기록 또는 전자적 영수증 형태의 거래내역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의 소정의 데이터 저장공간에 저장을 하는데, 본 도면은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클라이언트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로 제공되는 거래내역 정보 데이터에 대한 간단한 예시도이다.
상기 결제처리 트랜잭션 기록 또는 전자적 영수증 형태의 거래내역 정보에는 상호, 등록번호(사업자 등록번호), 단말기 번호, 거래일시, 결제비용, 상품 또는 서비스 명(또는 코드)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결제처리 단말기(140)로부터 상기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600)로 제공된 거래내역 정보를 통신망(145)을 통해 지출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로부터 운용 및 동작되며, 결제처리 단말기와 연동하여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통한 거래 및 상기 거래내역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적외선 결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이하 PTD;Personal Trusted Device)(또는 스마트 카드(또는 IC카드))와, 상기 PTD와 상호작용을 통한 결제처리 기능 및 상기 결제에 대한 거래내역 정보의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결제처리 단말기 및 유무선 통신망 상에 위치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PTD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참조하여, 전자적으로 지출 내역을 관리하는 지출 관리 서버를 통해, 근거리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수단으로 하여, 결제처리 단말기로부터 거래내역 정보를 상기 PTD로 수신하고, 수신된 거래내역 정보를 지출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지출 관리 서버부터 상기 거래내역 정보에 대한 지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클라이언트)는 가계부 작성을 위해 지출 항목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보다 편리하게 지출 항목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클라이언트의 상품 구매(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내역정보(또는 영수증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휴대폰으로 제공하는 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휴대폰으로부터 결제내역정보(또는 영수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결제내역(또는 영수증)을 항목별로 분류하고,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클라이언트의 지출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개인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항목별로 분류된 클라이언트의 지출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통신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
KR1020070113955A 2007-11-08 2007-11-08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 KR20070120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955A KR20070120074A (ko) 2007-11-08 2007-11-08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955A KR20070120074A (ko) 2007-11-08 2007-11-08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013A Division KR20040040252A (ko) 2002-11-05 2002-11-08 고객 거래내역 정보를 이용한 지출 내역 관리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074A true KR20070120074A (ko) 2007-12-21

Family

ID=3913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955A KR20070120074A (ko) 2007-11-08 2007-11-08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200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1244A1 (en) * 2011-12-31 2013-07-0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tive receipt management
KR101491797B1 (ko) * 2008-03-14 2015-02-11 주식회사 케이티 거래 내역 갱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797B1 (ko) * 2008-03-14 2015-02-11 주식회사 케이티 거래 내역 갱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01244A1 (en) * 2011-12-31 2013-07-0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tive receipt management
TWI616832B (zh) * 2011-12-31 2018-03-01 英特爾公司 用於主動收據管理之方法及系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924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yment management for supporting mobile payments
US202000510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token-based payments
US8538885B2 (en) Encryption switch processing
WO201509551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token-based payments
US20170352095A1 (en) Portfolio optimized offers for mobile device
KR20040040779A (ko) 스마트 카드(또는 아이씨카드)를 이용한 지출 내역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070120074A (ko) 휴대폰을 이용한 지출관리 시스템
AU20122382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receipts
KR20040040252A (ko) 고객 거래내역 정보를 이용한 지출 내역 관리 방법 및시스템
KR20070112100A (ko) 지출 내역 관리 서버
KR100916967B1 (ko) 의약품 구매 대출 처리 시스템
KR100914662B1 (ko) 의약품 구매에 대응하는 캐쉬백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70120073A (ko) 아이씨 카드를 이용한 지출 관리 방법
KR101049558B1 (ko) 정산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90036623A (ko) 현금카드를 이용한 실시간 결제 정산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90097839A (ko) 가상계좌를 이용한 체크카드 결제 처리 시스템
KR20090001452A (ko) 전자가계부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90057189A (ko) 출금분류 코드 별 상점 회계정보 관리 서버
KR20090107460A (ko) 체크카드 발급 시스템
KR20090020979A (ko) 상품권 계좌(또는 계정) 이용 내역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90013459A (ko) 기록형 계좌를 이용한 출금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925A (ko) 기업 현금흐름 분석에 의한 지불결제수단 정보제공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90057191A (ko) 출금분류 코드 별 상점 회계정보 제공 서버
KR20090000801A (ko) 구매자금 대출 결제 처리 단말장치와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090060240A (ko) 구매자금 대출 결제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705

Effective date: 2012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