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189A -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189A
KR20070119189A KR1020060053478A KR20060053478A KR20070119189A KR 20070119189 A KR20070119189 A KR 20070119189A KR 1020060053478 A KR1020060053478 A KR 1020060053478A KR 20060053478 A KR20060053478 A KR 20060053478A KR 20070119189 A KR20070119189 A KR 20070119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ain body
plate
main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환
Original Assignee
김복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환 filed Critical 김복환
Priority to KR102006005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9189A/ko
Publication of KR2007011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기와 카메라와 MP3 플레이어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송화구 및 통화를 조작하기 위한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액정화면과 수화구가 마련되어 있는 상부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DMB 수신기와 상기 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보조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슬라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액정화면을 보다 크게 시청할 수 있고 디자인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CELLULAR PHONE OF SLIDE TY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의 각 슬라이드 바디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각 슬라이드 바디가 닫힌 상태의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10 : 메인 바디
11 : 송화구 13 : 키패드
20 : 상부슬라이드 바디 21 : 액정화면
23 : 수화구 30 : 하부슬라이드 바디
31 : 보조 키패드 40 : 제1슬라이드모듈
41 : 제1메인플레이트 45 : 제1슬라이드플레이트
49 : 제1스프링 50 : 제2슬라이드모듈
51 : 제2메인플레이트 55 : 제2슬라이드플레이트
59 : 제2스프링 61 : MP3 조작버튼
63 : 카메라 조작버튼 65 : 카메라렌즈
71 : 힌지결합부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바디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슬라이드 바디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보급이 증대됨에 따라, 바 타입의 단말기, 플립 타입 단말기, 플립업 타입의 단말기, 폴더 타입의 단말기 등 다양한 형상의 무선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폴더 타입의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의 액정화면이 구비된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에는 전화기의 고유기능 이외에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기와 카메라와 MP3 플레이어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는, 송화구 및 각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메인 바디와, 메인 바디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액정화면과 수화구와 일부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슬라이드 바디를 가진다.
이에, 종래의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는, 키패드가 설치되어 있는 메인 바디 로부터 액정화면이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바디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된다.
그런데, 종래의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는 단일의 슬라이드 형태를 가지므로 디자인의 제약이 따르며, 특히 액정화면의 하단부에 일부 키패드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액정화면을 보다 크게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여러 가지 기능이 복합된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드 결합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액정화면을 보다 크게 시청할 수 있고 디자인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화면을 보다 크게 시청할 수 있고 디자인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기와 카메라와 MP3 플레이어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송화구 및 통화를 조작하기 위한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액정화면과 수화구가 마련되어 있는 상부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DMB 수신기와 상기 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보조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슬라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선형 이동하고, 상기 하부슬라이드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선형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를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케 하는 제1슬라이드모듈과;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하부슬라이드 바디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슬라이드 바디를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케 하는 제2슬라이드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슬라이드모듈은, 상기 메인 바디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메인플레이트와; 상기 제1메인플레이트에 대향하며,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1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메인플레이트와 상기 제1슬라이드플레이트를 상호 탄성지지하며, 상기 제1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제1슬라이드플레이트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키패드를 개방 및 폐쇄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제1슬라이드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를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스위블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제1슬라이드플레이트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결합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액정화면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모듈은, 상기 메인 바디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2메인플레이트와; 상기 제2메인플레이트에 대향하며, 상기 하부슬라이드 바디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2메인플레이트와 상기 제2슬라이드플레이트를 상호 탄성지지하며, 상기 제2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제2슬라이드플레이트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보조키패드를 개방 및 폐쇄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MP3 플레이어를 조작하기 위한 MP3 조작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슬라이드 바디의 하면에는 카메라렌즈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5)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기와 카메라와 MP3 플레이어가 내장되어 있다.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5)는 메인 바디(10)와, 메인 바디(10)를 사이에 두고 메인 바디(10)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며 대향 배치되는 상부슬라이드 바디(20)와 하부슬라이드 바디(30)를 가진다.
메인 바디(10)는 송화구(11) 및 통화를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키패드(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메인 바디(10)의 측면에는 음량의 조절을 위한 음량조절버튼(15)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슬라이드 바디(20)는 액정화면(21)과 수화구(23)가 마련되어 있으며, 메인 바디(1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하부슬라이드 바디(30)는 DMB 수신기와 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키패드(31)가 마련되어 있으며, 메인 바디(10)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메인 바디(10)와 상부슬라이드 바디(20) 사이에는 제1슬라이드모듈(40)이 마련되어 있으며, 메인 바디(10)와 하부슬라이드 바디(30) 사이에는 제2슬라이드모듈(50)이 마련되어 있다.
제1슬라이드모듈(40)은 상부슬라이드 바디(20)를 메인 바디(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하며, 제2슬라이드모듈(50)은 하부슬라이드 바디(30)를 메인 바디(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1슬라이드모듈(40) 및 제2슬라이드모듈(50)은 이미 공지된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에 적용되는 슬라이드모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그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슬라이드모듈(40)에 대해 설명하면, 제1슬라이드모듈(40)은 메인 바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메인플레이트(41)와, 제1메인플레이트(41)에 대향하며 상부슬라이드 바디(20)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1슬라이드플레이트(45)와, 제1메인플레이트(41)와 제1슬라이드플레이트(45)를 상호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49)을 가진다.
제1메인플레이트(4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슬릿(43)이 형성 되어 있고, 제1슬라이드플레이트(45)에는 제1메인플레이트(41)의 제1슬릿(4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가이드 리브(47)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제1슬라이드플레이트(45)는 제1메인플레이트(41)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스프링(49)으로서 토션스프링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스프링(49)의 양단부는 각각 제1메인플레이트(41)와 제1슬라이드플레이트(45)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어 제1슬라이드플레이트(45), 즉 상부슬라이드 바디(20)의 슬라이딩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부슬라이드 바디(20)를 이동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제1스프링(49)은 상부슬라이드 바디(20)의 슬라이드방향에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부슬라이드 바디(20)를 이동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며, 이 때 제1스프링(49)의 탄성력은, 제1슬라이드플레이트(45)에 고정된 그 일단이 제1메인플레이트(41)에 고정된 타단을 지남에 따라 이동된 상부슬라이드 바디(20), 즉 제1슬라이드플레이트(45)를 지지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제1스프링(49)은 제1슬라이드플레이트(45)가 제1메인플레이트(41) 상에서 이동하는 약 1/2지점에서 가압력의 방향이 바뀌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제1메인플레이트(41)와 제1슬라이드플레이트(45)는 제1스프링(49)의 가압력에 의해 소정의 거리를 선형 왕복이동하며, 메인 바디(10)의 키패드(13)를 개방 및 폐쇄하게 된다.
제2슬라이드모듈(50)은 메인 바디(10)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2메인플레이트(51)와, 제2메인플레이트(51)에 대향하며 하부슬라이드 바디(3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슬라이드플레이트(55)와, 제2메인플레이트(51)와 제2슬라이드플레이트(55) 를 상호 탄성지지하는 제2스프링(59)을 가진다.
제2메인플레이트(5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슬릿(53)이 형성되어 있고, 제2슬라이드플레이트(55)에는 제2메인플레이트(51)의 제2슬릿(5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가이드 리브(57)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제2슬라이드플레이트(55)는 제2메인플레이트(51)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스프링(59)으로서 토션스프링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2스프링(59)의 양단부는 각각 제2메인플레이트(51)와 제2슬라이드플레이트(55)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어 제2슬라이드플레이트(55)의 슬라이딩시 탄성력을 제공하여 하부슬라이드 바디(30)를 이동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제2스프링(59)은 하부슬라이드 바디(30)의 슬라이드방향에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하부슬라이드 바디(30)를 이동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며, 이 때 제2스프링(59)의 탄성력은, 제2슬라이드플레이트(55)에 고정된 그 일단이 제2메인플레이트(51)에 고정된 타단을 지남에 따라 이동된 제2슬라이드플레이트(55)를 지지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제2스프링(59)은 제2슬라이드플레이트(55)가 제2메인플레이트(51) 상에서 이동하는 약 1/2지점에서 가압력의 방향이 바뀌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제2메인플레이트(51)와 제2슬라이드플레이트(55)는 제2스프링(59)의 가압력에 의해 소정의 거리를 선형왕복이동하며, 하부슬라이드 바디(30)의 보조키패드(31)를 개방 및 폐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5)는 메인 바디(10)의 측면에 MP3 플레이어를 조작하기 위한 MP3 조작버튼(6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메인 바디(10)의 측면에는 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버튼(63)이 MP3 조작버튼(61)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다.
하부슬라이드 바디(30)의 하면의 상부영역에는 카메라렌즈(65)가 장착되어 있으며, 하부슬라이드 바디(30)의 하면의 하부영역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7)가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5)는, 상부슬라이드 바디(20)와 제1슬라이드플레이트(45) 사이에 마련되어, 상부슬라이드 바디(20)와 제1슬라이드플레이트(45)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결합부(71)를 더 가진다.
이에, 상부슬라이드 바디(20)가 메인 바디(10)에 대해 스위블가능하게 되어, 일 예로 DMB 시청시 액정화면(21)을 메인 바디(10)에 대해 90도 각도로 스위블할 수 있게 되어, 액정화면(21)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힌지결합부(71)는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5)의 사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상부슬라이드 바디(20)와 메인 바디(10)와 하부슬라이드 바디(30)가 사각통형상으로 중첩된 상태에서, 상부슬라이드 바디(20)를 메인 바디(10)의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부슬라이드 바디(20)는 제1스프링(49)의 탄성력에 의해 메인 바디(10)에 대해 상방으로 선형 이동하여, 메인 바디(10)의 키패드(13)가 개방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키패드(13)를 조작하여 전화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화를 사용한 후, 상부슬라이드 바디(20)를 메인 바디(10)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부슬라이드 바디(20)는 제1스프링(49)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 DMB를 시청하거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상부슬라이드 바디(20)와 메인 바디(10)와 하부슬라이드 바디(30)가 사각통형상으로 중첩된 상태에서, 하부슬라이드 바디(30)를 메인 바디(10)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하부슬라이드 바디(30)는 제2스프링(59)의 탄성력에 의해 메인 바디(10)에 대해 하방으로 선형 이동하여, 하부슬라이드 바디(30)의 보조키패드(31)가 개방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보조키패드(31)를 조작하여 DMB를 시청하거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부슬라이드 바디(20)를 메인 바디(10)에 대해 스위블하면, 액정화면(21)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켜 DMB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DMB를 시청하거나 카메라를 사용한 후, 하부슬라이드 바디(30)를 메인 바디(10)의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하부슬라이드 바디(30)는 제2스프링(59)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MP3를 청취하는 경우, 메인 바디(10)에 대한 상부슬라이드 바디(20)와 하부슬라이드 바디(30)의 선형 이동에 관계없이, 메인 바디(10)의 측면에 마련된 MP3 조작버튼(61)을 조작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바디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슬라이드 바디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액정화면을 보다 크게 시청할 수 있고 디자인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가 제공된다.

Claims (9)

  1.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기와 카메라와 MP3 플레이어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송화구 및 통화를 조작하기 위한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액정화면과 수화구가 마련되어 있는 상부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DMB 수신기와 상기 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보조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슬라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선형 이동하고, 상기 하부슬라이드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선형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를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케 하는 제1슬라이드모듈과;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하부슬라이드 바디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슬라 이드 바디를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케 하는 제2슬라이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모듈은,
    상기 메인 바디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메인플레이트와;
    상기 제1메인플레이트에 대향하며,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1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메인플레이트와 상기 제1슬라이드플레이트를 상호 탄성지지하며, 상기 제1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제1슬라이드플레이트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키패드를 개방 및 폐쇄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제1슬라이드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를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스위블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제1슬라이드플레이트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드모듈은,
    상기 메인 바디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2메인플레이트와;
    상기 제2메인플레이트에 대향하며, 상기 하부슬라이드 바디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2메인플레이트와 상기 제2슬라이드플레이트를 상호 탄성지지하며, 상기 제2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제2슬라이드플레이트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보조키패드를 개방 및 폐쇄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MP3 플레이어를 조작하기 위한 MP3 조작버튼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버튼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슬라이드 바디의 하면에는 카메라렌즈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KR1020060053478A 2006-06-14 2006-06-14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KR20070119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478A KR20070119189A (ko) 2006-06-14 2006-06-14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478A KR20070119189A (ko) 2006-06-14 2006-06-14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189A true KR20070119189A (ko) 2007-12-20

Family

ID=3913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478A KR20070119189A (ko) 2006-06-14 2006-06-14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91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116B1 (ko) * 2008-10-31 2011-02-07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단말기용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116B1 (ko) * 2008-10-31 2011-02-07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단말기용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0416B2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0024B1 (ko) 회전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JP4358843B2 (ja) スライドヒンジ装置およびスライドヒンジ装置を用いた個人携帯端末機
US7567830B2 (en) Rotating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35304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US20080064452A1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US7853301B2 (en) Sliding module for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00843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모듈
KR101101073B1 (ko) 단말기
KR20040062765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761527B1 (ko) 휴대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754594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70119189A (ko) 슬라이드형 무선단말기
KR100648643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100803457B1 (ko)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62443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105944A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100856252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144133B1 (ko) 스플릿 키패드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KR20050109643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1075647B1 (ko) 휴대폰 단말기의 표시패널 슬라이드 회전장치
KR100722203B1 (ko) 스윙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819241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KR20120028679A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