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8880A -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8880A
KR20070118880A KR1020060053137A KR20060053137A KR20070118880A KR 20070118880 A KR20070118880 A KR 20070118880A KR 1020060053137 A KR1020060053137 A KR 1020060053137A KR 20060053137 A KR20060053137 A KR 20060053137A KR 20070118880 A KR20070118880 A KR 20070118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extinguishing agent
fire extinguishing
aqueous solution
sodium 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2723B1 (ko
Inventor
김동현
이명보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06005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723B1/ko
Publication of KR2007011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35Aqueous solutions
    • A62D1/0042"Wet" water, i.e. containing surfac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12Organ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불 진화용 소화용 약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제조방법은 (1)계면활성제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을 얻는 단계, (2)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요소 및 구연산이 포함된 혼합물을 상기의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 첨가하고 교반 후 냉각하여 가열을 중지하고, 그 후에 교반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제조방법{Forest fire extinguishant and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에 대한 육상식물생장시험 전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에 대한 육상식물생장시험 1개월 후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산불 진화용 소화용 약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림에서 발생하는 화재인 산불은 산림(山林)에서 인간이나 자연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된 발화원으로 인해 산림내의 가연 물질의 연소로 정의되며, 산림내에서 낙엽, 낙지, 초류, 임목 등이 연소되는 현상이다. 산림화재의 원인으로는 입산 자에 의한 실화, 발화, 농산 폐기물의 소각, 군 사격훈련 및 낙뢰 등을 들 수 있으며 대부분 사소한 부주의에서 발생되는 인재에 의해 주로 발생하고 있다.
산불 전파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연소물, 지형, 기상을 들 수 있으며, 연소물의 경우 화재의 전파에 가장 중요한 영향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연소물의 형태, 크기, 배열, 밀도, 상태의 종속적인 변수에 따라 화염 전파속도, 확대 면적 등 화재의 양상에 관여하게 된다. 또한 산림의 전체적인 형상 내지 산림의 기울기와 같은 지형의 상태와 산림화재시의 풍속, 습도, 온도 등의 기상 상태의 영향을 받아 화세, 화염 진행 방향 및 속도가 변화될 수 있다.
우리나라 산의 지형은 경사가 급하고 기복이 많아 화염의 전파속도가 평지의 약 8배 정도 빠르다. 특히 1970년대 들어 정부의 산림육성정책에 따라 산림이 울창하고, 지표에 낙엽이 많이 쌓여있어 봄철 건조기에 계절풍의 영향으로 화재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있다. 이러한 영향인자들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산불이 발생하게 되며 매우 빠르게 확산되어 막대한 피해를 주게 된다. 산불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요인 중 가장 중요한 인자는 산불진화 시간이다. 진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화재를 보다 빨리 진화시킬 수 있는 고성능의 소화약제가 필요하며, 산림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소화약제는 일반적으로 대량 사용함에 따라 소화약제 사용에 따른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시켜야 하므로 환경에 대한 독성이 낮아야 한다.
소화약제는 화재 및 사용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그 중 대기로부터의 산소공급을 차단하는 질식효과와 물의 냉각효과를 이용하여 소화 작용을 하는 포 소화약제는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대규모화재에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포를 생성시키기 위한 물의 사용량이 과다하여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가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유류화재용 약제를 A급 화재에 적용하기 위하여 합성계면활성제 및 습윤제(침윤제)를 사용한 것으로써 산림화재 전용 소화약제라는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며, 환경유해성 등의 2차적인 문제의 해결이 불가피하다.
제1인산암모늄,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등을 주원료로 한 분말소화약제의 경우, 열분해 시 암모니아, 탄산가스 및 물을 생성시키며 그 중 암모니아와 탄산가스는 공기를 희석시켜 산소 공급을 억제하고 이와 동시에 물의 냉각작용에 의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또한 분말소화제의 무수물은 일반적으로 가연물(연소물)의 표면에 융착되어 피막을 형성, 산소 공급을 억제하여 소화효과를 배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제1인산암모늄은 피부 및 눈에 접촉시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15분 이내에 세척해야할 필요가 있다. 섭취시에는 구토 및 설사증세는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제1인산암모늄의 사용시 연분해에 의한 맹독성물질인 인산화합물, 질소산화물(NOx), 암모니아 증기가 발생되어 사용상 주의를 요하고 있다.
제1인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ABC 분말소화제는 일반화재, 유류화재, 전기화재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산림화재 진화 후 산림에 비료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인산암모늄은 흡수성의 특성이 있어 장기간 보존시 고화, 변질되는 문제 및 소화성능 대비 부피비가 과대하여 소화기의 부피가 크다는 문제점과 함께 국내 소방헬기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1990년대에 들어 산림화재에 아주 효과적이면서 쉽고 완전하게 진화 할 수 있는 소화약제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인산소다, 중탄산나트륨 및 요소 등을 주원료로 한 여러 종류의 액체상 소화약제가 개발되었다. 이들 액체상 소화약제는 화재 적용 시 화학반응으로 탄산가스와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을 통한 질식소화 효과와 함께, 물의 표면장력을 저하시키고 침윤제의 사용으로 물이 가연물 표면 및 심부에 부착·침투하여 재발화를 방지하여 물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침윤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anion surfactant)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nonion surfactant)를 주로 사용하며, 발포력이 뛰어나 포소화약제의 발포력 조절용 첨가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동절기에도 사용가능 하도록 부동액을 첨가하고 있으며, 이 영향에 의하여 소화제가 동결, 응결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들 부동액으로 사용되고 있는 첨가제들은 알콜계 성분들로써 소화약제의 제조시 분말상의 첨가제들이 쉽게 용해, 분산되도록 하는 역할이 있다. 포소화약제의 경우 발생된 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첨가제들을 포안정에 및 증점제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화약제들 대부분이 주로 약한 산성 또는 염기성으로 소방차나 사방헬기 등의 소화제 수용용기인 금속제 탱크를 급속히 부식시킴에 따라 부식억제제를 미량 첨가되어 있다. 따라서 제조단가가 비교적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 사용중인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는 유류화재용 소화약제를 기반으로 개선한 경우에 속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산림에서 발생하는 산불 전용의 환경친화적인 소화약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환경친화적이며, 산림화재 진화에 적합한 소화약제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첨가제의 선택 및 생분해성 계면활성제를 선정하고, 혼합시험을 수행하여 환경친화적인 산림화재 진화용 소화약제를 제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경친화적이며, 산림에서 발생하는 화재 진화에 적합한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 제조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 제조방법은 (1)계면활성제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을 얻는 단계,
(2)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요소(urea) 및 구연산(citric acid)이 포함된 혼합물을 상기의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 첨가하고 교반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소화약제 제조방법을 각각의 단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1)단계는 계면활성제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은 계면활성제 중량 대비 1/4∼1/2의 정제수를 계면활성제에 첨가하고 45∼55℃의 온도로 20∼40분 동안 가열하여 얻을 수 있다.
(2)단계는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요 소(urea) 및 구연산(citric acid)이 포함된 혼합물을 첨가하교 교반하여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인산나트륨, 요소 및 구연산이 포함된 혼합물을 상기의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 중량 대비 5∼15%의 함량으로 상기의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 첨가하고 100∼200rpm으로 1∼3시간 동안 교반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요소(urea) 및 구연산(citric acid)이 포함된 혼합물에 있어서 이들의 혼합물은 인산나트륨 : 요소 : 구연산이 1∼8:1∼8:1:∼8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단계에서 언급한 계면활성제는 야자유에서 추출한 계면활성제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야자유에서 추출한 계면활성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야자유에서 추출한 계면활성제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야자유에서 추출한 계면활성제 제품의 성분은 야자유 95% 및 미량 성분 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야자유에서 추출한 계면활성제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야자유에서 추출한 계면활성제 제품의 성분 중에서 미량 성분은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 아시트아민,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의 미량성분 함량은 에틸렌 옥사이드는 0.5∼3.5%, 아시트아민 0.5∼1.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는 0.5∼4% 포함되어질 수 있다.
상기 (2)단계에서 언급한 인산나트륨은 제1인산나트륨(무수)(NaH2PO4), 제2인산나트륨(무수)(Na2HPO4), 제3인산나트륨(무수)(Na3PO4), 제1인산나트륨(결정)(NaH2PO4·2H2O), 제2인산나트륨(결정)(Na2HPO4·12H2O), 제3인산나트륨(결정)(Na3PO4·12H2O)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제2인산나트륨(결정)(Na2HPO4·12H2O)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 제조시 다양한 성분, 함량 및 조건으로 소화약제를 제조한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성분, 함량 및 조건으로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를 제조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계면활성제 중량 대비 1/4의 정제수를 계면활성제에 첨가하고 50℃의 온도로 30분 동안 가열하여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을 얻었다.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요소(urea) 및 구연산(citric acid)이 포함된 혼합물을 상기의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 중량 대비 10%의 함량으로 상기의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 첨가하고 100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요소(urea) 및 구연산(citric acid)이 포함된 혼합물은 인산나트륨 : 요소 : 구연산이 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계면활성제는 야자유에서 추출한 것으로서 야자유 95%, 에틸렌 옥사이드 2.3%, 아시트아민 0.7%,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2%으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인산나트륨은 제2인산나트륨(결정)(Na2HPO4·12H2O)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야자유에서 추출한 계면활성제로서 야자유 95%, 에틸렌 옥사이드 3%, 아시트아민 1%,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1%으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인산나트륨을 제2인산나트륨(결정)(Na2HPO4·12H2O)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야자유에서 추출한 계면활성제로서 야자유 95%, 에틸렌 옥사이드 4%, 아시트아민 0.5%,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0.5%으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인산나트륨을 제2인산나트륨(결정)(Na2HPO4·12H2O)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기초물성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에 대한 기초물성시험으로 pH, 빙점, 비중, 표면장력, 점도와 같은 기초물성 시험을 측정하였다.
각 물성시험방법의 경우 pH는 KS M 0011 "수용액의 pH 측정방법", 빙점은 KS M 0003 "화학제품의 어는점 측정방법", 비중은 KS M 0004 "화학 제품의 비중 측정방법", 점도는 KS M 2014 "석유제품 동점도 및 점도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위의 시험 결과값을 가지고 현장에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pH 측정시험은 KS M 0011 "수용액의 pH 측정방법"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을 때, 그 결과값이 알칼리성이어야 하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의 pH는 8.3를 나타내어 알칼리성을 나타내었다.
빙점 측정시험은 동절기에 소화약제를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시험으로 KS M 0003 "화학 제품의 어는점 측정 방법"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시험 을 수행하였을 때 그 결과값이 영하 20℃ 이하 이어야 한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의 빙점은 -25℃ 이하로 나타내어 시험규격에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비중 측정시험은 KS M 0004 "화학제품의 비중 측정 방법"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을 때 그 결과값이 20±2℃에서 측정시 설계값의 ±0.02이어야 한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의 비중은 시험규격에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표면장력 측정 시험은 소화대상물질에 대한 침투성과 포(foam)의 생성에 관계되는 시험으로 듀누이 표면장력계를 이용하여 액면과 백금 고리의 장력을 눈금도수로 산출하는 시험방법이다. 소화약제로서의 기능을 하기 위한 검정기준은 33dyne/cm 미만이 되어야 한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의 표면장력은 26.67dyne/cm 값을 나타내어 검정기준에 부합되는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점도 측정시험은 KS M 2014 "석유제품 동점도 및 점도시험방법"에 의거하여 B형 점도계로 상온에의 측정시 설계값의 ±30%이어야 하는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의 점도는 160cp를 나타내어 검정기준에 부합하는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 부식성 시험
이 시험은 헬기에의 적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을 하였다. 헬기의 특성상 소화약제를 담는 용기가 따로 탑재되어 있는데, 소화약제가 금속용기에 담겨져 있을 때 소화약제가 금속용기를 손실시키지 않게 하기 위하여 수행한 시험으로, KOFEIS 0102 "소화약제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제 6조 5항에 의거하여 시험을 수행하고, 이 경우 검정기준은 금속 시험편의 중량손실이 각각 1일 3mg/20cm2 이하 이어야한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에 대한 부식성 여부에 대한 시험은 현재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용기의 재질인 Al, Fe, Cu, Mg, Stainless Steel(STS) 등 5종을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치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소화약제의 부식성 시험
금속종류 부식전(mg) 부식 기간 1일 중량감소 (mg/day)
7일(mg) 14일(mg) 21일(mg)
Al 0.5% 7053.0 7052.8 7053.2 7050.0 0.14
1.0% 7421.3 7420.7 7420.7 7417.2 0.19
원액 7095.1 7094.2 7099.0 7089.1 0.29
Fe 0.5% 22828.7 22828.8 22830.1 22817.9 0.51
1.0% 22651.7 22652.6 22640.7 22640.7 0.53
원액 23044.2 23043.1 23048.1 23035.2 0.43
Cu 0.5% 23205.5 23205.4 23206.7 23195.3 0.49
1.0% 23099.9 23099.4 23100.0 23087.6 0.59
원액 23137.5 23138.3 23137.8 23122.9 0.69
Mg 0.5% 4089 4083 4076 4072 0.8
1.0% 4093 4089 4081 4075 0.88
원액 4098 4091 4083 4077 1.02
STS 0.5% 20804.6 20801.7 20797.9 20778.5 1.24
1.0% 20280.0 20274.2 20270.0 20252.7 1.3
원액 20311.9 20311.8 20313.8 20312.3 -0.02
상기 표 1의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의 경우 부식석 시험에 대한 검정기준을 통과하고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는 헬기를 이용하여 산불 진화에 사용할 수 있다.
<시험예 3> 노화 시험(Aging test)
본 시험은 가혹한 환경에서 소화약제를 사용할 경우 원래의 성질을 얼마나 유지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노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를 65±2℃로 216시간 유지한 후 실온으로 환원, 다시 18±2℃로 24시간 유지한 후 실온으로 환원하여 그 침전량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검정기준이 0.2wt% 이하의 침전량을 보여야 한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의 침전량은 없었고 외관적인 색상이 변화도 없었으며,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변질촉진시험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의 물리적 특성을 재시험하였으며, 노화 시험 전과 후의 변화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2. 실시예 1 소화약제의 노화 전후의 소화약제의 색상 변화
항목 색상
노화 전 노화 후
실시예 1 미색 변화없음
표 3. 실시예 1 소화약제의 노화 전후에 따른 물리적 특성의 변화
물리적 특성 노화 전 노화 후
pH 8.5 8.6
점도(cp) 160 186
표면장력(dyne/cm) 217.74 259.5
침전량 - 침전 없음
<시험예 4> 환경 특성 평가(1)
본 발명에서 제조한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가 환경친화적인 특성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어류급성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에 물을 첨가하여 3% 희석액을 사용하였다.
시험방법은 어류가 살고 있는 수조 등의 공간에 시약을 투입하고 96시간 동안 어류의 반수가 살아남는 농도를 구하는 것을 이용하였다.
비이커에 송사리를 넣고 실시예 1의 소화약제를 투여하는 것을 반복 수행하여 96시간 후 LC50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소화약제에 대한 96시간 후 LC50의 농도는 2774ppm으로 어류급성독성시험의 경우 환경부의 기준인 2000ppm 이상을 나타내고 있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화약제는 환경친화적 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환경 특성 평가(2)
본 발명에서 제조한 산불진화용 소화약제가 환경친화적인 특성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육상식물생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육상식물생장시험은 도 1과 같이 총 3개의 군으로 나누어 A군은 실시예 1의 소화약제를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 B군은 실시예 1의 소화약제 희석액을 10cc 투여한 군, C군에는 실시예 1의 소화약제 원액을 10cc 투여하여 상온에서 1주일에 2회 100cc를 주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으로 생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생장실험 1개월 후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대조군인 A군에 비하여 실시예 1의 소화약제를 투입한 B군과 C군의 식물들의 생장 차이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조한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는 육상식물생장에도 영향 을 미치지 않아 환경친화적임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시험예의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는 소화약제로서 필요한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으며, 특히 어류급성독성시험 및 육상식물생장시험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환경친화적인 소화 약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불이 발생하였을 경우 헬기를 이용하여 산불을 진화할 수 있으며 산불 소화 후에 잔존하는 소화약제에 대한 환경 위해성이 없는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1)계면활성제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을 얻는 단계,
    (2)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요소 및 구연산이 포함된 혼합물을 상기의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 첨가하고 교반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단계는 계면활성제 중량 대비 1/4∼1/2의 정제수를 계면활성제에 첨가하고 45∼55℃의 온도로 20∼40분 동안 가열하여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2)단계는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요소(urea) 및 구연산(citric acid)이 포함된 혼합물을 상기의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 중량 대비 5∼15%의 함량으로 상기의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 첨가하고 100∼200rpm으로 1∼3시간 동안 교반 후 상온으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요소(urea) 및 구연산(citric acid)이 포함된 혼합물은 인산나트륨 : 요소 : 구연산이 1∼8:1∼8:1:∼8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야자유에서 추출한 계면활성제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인산나트륨은 제2인산나트륨(결정)(Na2HPO4·12H2O)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
KR1020060053137A 2006-06-13 2006-06-13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KR10082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137A KR100822723B1 (ko) 2006-06-13 2006-06-13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137A KR100822723B1 (ko) 2006-06-13 2006-06-13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880A true KR20070118880A (ko) 2007-12-18
KR100822723B1 KR100822723B1 (ko) 2008-04-17

Family

ID=3913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137A KR100822723B1 (ko) 2006-06-13 2006-06-13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7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9707A (zh) * 2021-04-12 2021-07-06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锂电池火灾凝胶干水灭火剂的制备方法
CN115569342A (zh) * 2022-08-26 2023-01-06 广东自由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能灭火器料液的生产方法及制得的料液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081B1 (ko) * 2015-11-27 2018-02-0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유를 활용한 포소화약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808B1 (ko) * 2002-01-18 2004-11-18 주식회사 파이어앤텍 친환경적인 일반화재용 중성계 강화액 소화약제 및 이의제조방법
KR100696874B1 (ko) * 2003-11-28 2007-03-20 윤욱열 방염용 및 소화용 약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9707A (zh) * 2021-04-12 2021-07-06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锂电池火灾凝胶干水灭火剂的制备方法
CN115569342A (zh) * 2022-08-26 2023-01-06 广东自由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能灭火器料液的生产方法及制得的料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723B1 (ko)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6286B1 (en) A fire retardant and a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20100181084A1 (en) Blocking composition against fire action and advance in diverse surfaces,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process thereof
KR100457808B1 (ko) 친환경적인 일반화재용 중성계 강화액 소화약제 및 이의제조방법
CN105688361A (zh) B类火灾用灭火剂
WO2009012546A1 (en) Blocking composition against fire action and advance in diverse surfaces,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process thereof
CN105688360A (zh) A类火灾用灭火剂
CN102921140B (zh) 扑救食用油火灾的液体灭火剂
CN107412997B (zh) 适用于-1℃~55℃的水系灭火剂原液、灭火剂及其制备方法
KR20170037417A (ko) 강화액 소화약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7715363A (zh) 一种环保型水系灭火剂
CN107648786A (zh) 水系灭火剂
KR100822723B1 (ko)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EP4094811A1 (en) Fire retardant and blocking composition for use in forest fires, and resulting preparation method
KR20120054245A (ko) 화제진압용 소화약제
KR20110135482A (ko) 강화액 소화약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US5005355A (en) Method of suppressing formation of contrails and solution therefor
US5061383A (en) Emulsifying film foam
KR100822720B1 (ko)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KR100822721B1 (ko)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CN107376181A (zh) 适用于‑20℃~55℃的水系灭火剂及其制备方法
KR101718917B1 (ko) 이온성 용액을 이용한 친환경 소화약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617428A (zh) 一种无氯水成膜泡沫灭火剂及其制备方法
KR20110113407A (ko) 폐 유동상 촉매성 촉매(에프씨씨 촉매)를 이용한 메카노케미스트리 기술과 알카리프리팅에 의한 화재 진화용 소화약제 제조 방법
US11452896B1 (en) Fire fighting agent compositions
WO2024050251A1 (en) Fire fighting agent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