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8844A - Door controllar - Google Patents

Door controll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8844A
KR20070118844A KR1020060053059A KR20060053059A KR20070118844A KR 20070118844 A KR20070118844 A KR 20070118844A KR 1020060053059 A KR1020060053059 A KR 1020060053059A KR 20060053059 A KR20060053059 A KR 20060053059A KR 20070118844 A KR20070118844 A KR 20070118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door
communication unit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0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석희
정지원
Original Assignee
고오아이엠(주)
정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오아이엠(주), 정지원 filed Critical 고오아이엠(주)
Priority to KR1020060053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8844A/en
Publication of KR2007011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8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 door controller is provided to compris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n a doorphone so as to interlock with a home gateway device or a doorlock, thereby notifying a user of visit of an external visitor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of a doorphone outdoor unit in absent state. A doorphone outdoor unit(10) comprises as follows. A doorphone data input unit(110) inputs data for an external visitor. A doorphone data signal processor(120) processes the data inputted from the doorphone data input unit(110). A doorphone data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data processed by the doorphone data signal processor(120), and receives the data. An output unit outputs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Description

도어 제어 장치{Door controllar}Door control device

도 1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도. Figure 1a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oor pho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gatew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oor lock device.

도 2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도. Figure 2a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oor phon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gro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 diagram of the gateway devi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도어폰 실외기 20 : 도어폰 실내기10: door phone outdoor unit 20: door phone indoor unit

30 : 무선 통신 모듈 100 : 실외기 수신부3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0: outdoor unit receiver

110 : 데이터 입력부 120 : 데이터 신호 처리부 110: data input unit 120: data signal processing unit

125 : 무선 송신 모듈 130 : 변조부125: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30: modulator

140 : 무선 송신부 200 : 실외기 수신부140: wireless transmitter 200: outdoor unit receiver

205 : 무선 수신 모듈 210 : 무선 수신부205: wireless receiving module 210: wireless receiving unit

220 : 복조부 230 : 증폭부 220: demodulator 230: amplifier

240 : 스피커 500 : 게이트웨이 장치240: speaker 500: gateway device

510 : 외부 무선 통신부 566 : 이동통신인터페이스부 510: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66: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 도어락 장치 616 : 외부 무선 통신부600: door lock device 616: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30 : 제어부 1010 : 도어폰 실외기 1020 : 도어폰 실내기 1030 : 무선 통신 모듈630: control unit 1010: door phone outdoor unit 1020: door phone indoor unit 103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00 : 실외기 수신부 1110 : 데이터 입력부1100: outdoor unit receiver 1110: data input unit

1120 : 데이터 신호 처리부 1125 : 무선 송신 모듈1120: data signal processor 1125: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130 : 변조부 1140 : 무선 송신부1130: modulator 1140: wireless transmitter

1200 : 실외기 수신부 1205 : 무선 수신 모듈1200: outdoor unit receiver 1205: wireless receiving module

1210 : 무선 수신부 1220 : 복조부1210: wireless receiver 1220: demodulator

1230 : 증폭부 1240 : 스피커 1230: amplifier 1240: speaker

1500 : 도어락 장치 1510 : 외부 무선 통신부      1500: door lock device 1510: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8 : 도어폰 연동 무선 통신부 1520 :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      1518: door phone interworking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20: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530 : 제어부 1600 : 게이트웨이 장치      1530: control unit 1600: gateway device

1610 : 외부 무선 통신부 1666 : 이동통신인터페이스부 1610: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66: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본 발명은 도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폰에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도어락 또는 홈게이트웨이 장치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control device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a door phone to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door lock or a home gateway device.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대부분 인터폰이나 비디오폰과 같은 도어폰을 댁내에 설치하고 있고, 출입문 사용의 편리를 위해서 도어락(Door Lock)을 선택적으로 추가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In general, most homes have door phones, such as interphones or video phones, installed in the house, and door locks (Door Locks) are selectively installed for convenience of door use.

도어락에는 비밀번호 입력방식이나 지문인식, 홍체인식, 음성인식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현재까지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인 디지털 도어락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다른 방식과 겸용한 겸용방식도 보급되고 있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door locks such as password input method, fingerprint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and so on. To date, digital door locks, which are a method of inputting a password, have become mainstream.

특히, 디지털 도어락에서 음성메시지 장치가 탑재되어, 상기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음성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또한, 비밀번호가 틀렸을 경우에도 그에 상응하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제공 하게 된다. 부가적인 기능으로는 댁 내 주인을 대신하여 다양한 인사말과 안내말을 하기도 한다.In particular, a voice message device is mounted in the digital door lock to provide a voice guidance message as the user inputs a password, and to provide a corresponding voice guidance message even when the password is incorrect. Additional features include a variety of greetings and announcements on behalf of your home owner.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폰을 외부 망과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장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nnect the door phone with the external network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equipment needs to be replaced, which causes a problem of high cos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폰에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도록 하여 도어락 또는 홈게이트웨이 장치와 연동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부재중에 도어폰 실외기의 버튼이 누르면 사용자에게 외부 방문자의 방문 사실을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door phone to be interlocked with the door lock or home gateway device so that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of the door phone outdoor unit in the absence of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control device that can notify a visitor of a visi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방문자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어폰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도어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도어폰 데이터 신호 처리부와, 상기 도어폰 데이터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도어폰 데이터 통신부와,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를 구비한 도어폰 실외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oor phone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for the external visitor, the door phone data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door phone data input unit, the door phone data signal And a door phone outdoor device including a door phone dat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and receives the data, and an output unit which generates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방문자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어폰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도어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도어폰 데이터 신호 처리부와, 상기 도어폰 데이터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도어폰 데이터 통신부와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를 구비한 도어폰 실외 장치; 및 상기 도어폰 실외 장치의 상기 도어폰 데이터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도어폰 연동 통신부와,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도어락 외부 통신부와, 사용자가 외출 상태이면 상기 도어폰 실외 장치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도어폰 실외 장치로 전송하는 도어락 제어부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oor phone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on an external visitor, a door phone data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door phone data input unit, and data processed by the door phone data signal processor. A door phone outdoor device having a door phone dat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n output unit for generating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And a door phone interworking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door phone data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phone outdoor device, a door lock exter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user terminal, and data received from the door phone outdoor device when the user is ou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or lock device having a door lock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outside and receiving data from the outside to transmit the received data to the door phone outdoor device.

이제, 도 1a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제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1A, a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도 1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 장치의 구성도이다. Figure 1a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oor pho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 장치는 방문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대문 또는 현관문 등에 설치되는 실외기(10)와, 방문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집안에 고정 설치되는 실내기(2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1a, the video door pho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door unit 10 installed in the front door or the front door for the interface with the visitor, and an indoor unit fixedly installed in the house for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 ( 20).

또한, 실외기(10)와 실내기(20)는 상호 송수신을 위해 4선 또는 2선의 유선 또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연결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utdoor unit 10 and the indoor unit 20 are connected by wires or cables of four or two wires for mutu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wireless connection is also possible.

실외기(10)는 실외기 송신부(100), 실외기 수신부(200)를 포함한다. 실외기 송신부(100)는 데이터 입력부(110),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 무선 송신 모듈(125)을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 입력부(110)는 호출버튼(111), 카메라(112), 마이크(113)을 포함하며,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는 영상처리부(121) 및 음성처리부(122)를 포함하고, 무선 송신 모듈(125)는 변조부(130), 무선 송신부(140)를 포함한다. The outdoor unit 10 includes an outdoor unit transmitter 100 and an outdoor unit receiver 200. The outdoor unit transmitter 100 includes a data input unit 110, a data signal processor 120, and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25. The data input unit 110 includes a call button 111, a camera 112, and a microphone 113. The data signal processor 120 includes an image processor 121 and an audio processor 122. 125 includes a modulator 130 and a wireless transmitter 140.

실외기 수신부(200)는 무선 수신 모듈(205), 증폭부(230), 스피커(240)을 포함하며, 무선 수신 모듈(205)는 무선 수신부(210), 복조부(220)를 포함한다.The outdoor unit receiver 200 includes a wireless receiver module 205, an amplifier 230, and a speaker 240, and the wireless receiver module 205 includes a wireless receiver 210 and a demodulator 220.

이와 같은 구성에서 무선 송신 모듈(125)과 무선 수신 모듈(205)은 무선 통신 모듈(30)로 모듈화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25 and the wireless reception module 205 may be modularized in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

한편, 실내기(20)는 실내기 수신부(300)와 실내기 송신부(400)로 이루어져 있다. 실내기 수신부(300)는 LCD(311)와, 스피커(3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내기 송신부(400)는 마이크(410)로 이루어져 있다.Meanwhile, the indoor unit 20 includes an indoor unit receiver 300 and an indoor unit transmitter 400. The indoor unit receiver 300 includes an LCD 311 and a speaker 312, and the indoor unit transmitter 400 includes a microphone 410.

이와 같은 구성의 비디오 도어폰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방문자가 실외기(10)의 호출버튼(111)을 누르면, 호출버튼(111)은 온신호를 데이터 신호 처리부(120)의 음성 처리부(122)로 전송한다. 그러면, 음성 처리부(122)는 호출버튼의 온신호를 음성 처리하여 실내기(20)의 스피커(312)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video door phone device of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visitor presses the call button 111 of the outdoor unit 10, the call button 111 to the on signal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122 of the data signal processing unit 120 send. Then, the voice processing unit 122 processes the on-signal of the call button by voice and transmits it to the speaker 312 of the indoor unit 20 to be output.

이때, 음성 처리부(122)는 호출버튼(111)의 호출버튼(111)의 온신호를 음성 처리한 후에 무선 송신 모듈(125)를 통하여 홈게이트웨이(도 2의 500)의 외부 무선 통신 모듈(510)의 무선 수신부(510ba)로 전송한다.At this time, the voice processing unit 122 processes the on-signal of the call button 111 of the call button 111 and then the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0 of the home gateway (500 of FIG. 2)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25. ) To the wireless receiver 510ba.

그리고, 실외기(10)의 카메라(112)는 외부 방문자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처리부(121)로 전송하며, 영상 처리부(121)는 카메라(112)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실내기(20)로 전달하여 LCD(311)를 통하여 외부 방문자가 표시되도록 한다.The camera 112 of the outdoor unit 10 captures an image of an external visitor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image processor 121, and the image processor 121 processes the image input from the camera 112 to the indoor unit 20. The external visitor is displayed through the LCD 311.

또한, 실외기(10)의 영상 처리부(121)는 영상 신호를 변조부(130)를 사용하여 변조하여 무선 송신부(140)를 통하여 홈게이트웨이 장치(500)의 외부 무선 통신 모듈(510)의 무선 수신부(510ba)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1 of the outdoor unit 10 modulates the image signal using the modulator 130 to wirelessly receive the external signal of the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0 of the home gateway device 50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140. Send to 510ba.

한편, 실외기(10)의 음성 처리부(122)가 실내기(20)의 스피커(312)로 호출버튼의 온신호를 전송하고, 실외기(10)의 영상 처리부(121)가 외부 영상을 실내기(20)의 LCD(311)으로 전송한 후에 사용자가 마이크(410)를 사용하여 외부 방문자에게 음성을 발성하면 증폭기(230)은 마이크(410)으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수 신하여 증폭하며, 스피커(240)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한다.Meanwhile, the voice processor 122 of the outdoor unit 10 transmits an ON signal of a call button to the speaker 312 of the indoor unit 20, and the image processor 121 of the outdoor unit 10 outputs an external image to the indoor unit 20. After the user transmits the voice to an external visitor using the microphone 410 after transmitting to the LCD 311, the amplifier 230 receives the user's voice from the microphone 410 and amplifies the speaker 240. Outputs the user's voice through

그리고, 실외기(10)의 음성 처리부(122)가 무선 송신부(140)를 통하여 홈게이트웨이 장치(500)의 외부 무선 통신 모듈(510)에 있는 무선 수신부(510ba)로 호출버튼(111)의 온 신호를 전송한 후에, 실외기(10)의 무선 수신부(210)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복조부(220)는 수신한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증폭부(230)로 전송하며, 증폭부(230)는 스피커(240)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Then, the voice processing unit 122 of the outdoor unit 10 transmits the ON signal of the call button 111 to the wireless receiving unit 510ba of the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0 of the home gateway device 50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140. After transmitting the signal, when the wireless receiver 210 of the outdoor unit 10 receives the user's voice signal, the demodulator 220 demodulates the received voice signal and transmits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amplifier 230, and the amplifier 230. The user's voic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240.

물론, 실외기(10)의 무선 송신 모듈(125)는 이동통신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고 있어 홈게이트웨이 장치(500)을 거치지 않고 직접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Of course, since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25 of the outdoor unit 10 has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function,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25 may be implemented to directly perform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ome gateway device 500.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Figure 1b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gatew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 장치는, 와이드 LCD(542)와 터치스크린패드(TSP)(544)가 채용된 대형 터치스크린부(54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ome gatew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rge touch screen unit 540 employing a wide LCD 542 and a touch screen pad (TSP) 544 and is easily used by a user. Can be.

홈게이트웨이 장치(500)는 도어폰 실외기(10)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외부 무선 통신 모듈(510), 홈게이트웨이 제어부(520), 메모리부(530), 대형터치스크린부(540), 방범 입력부(550), 화재 및 가스검출부(552), 키버튼부(554), 국선 인터페이스(562), 인터넷 통신부(564),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566)를 포함하고 있다.The home gateway device 500 includes an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0, a home gateway control unit 520, a memory unit 530, a large touch screen unit 540, and a crime prevention device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oor phone outdoor unit 10. An input unit 550, a fire and gas detector 552, a key button unit 554, a trunk line interface 562, an internet communication unit 564, and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66 are included.

외부 무선 통신 모듈(510)는 무선 송신부(510aa), 변조부(510ab), 무선 수신부(510ba), 복조부(510bb)를 구비하고 있다. 국선 인터페이스(562)는 피가입자측 유선전화기(570a)나 댁내 유선전화기(570b)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570c)와 같은 사용자 단말(570)에 연결되어 있다.The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0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er 510aa, a modulator 510ab, a wireless receiver 510ba, and a demodulator 510bb. The trunk line interface 562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570 such as the subscriber side landline telephone 570a, the indoor landline telephone 570b,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70c.

그리고, 인터넷 통신부(564)는 ADSL/VDSL모뎀을 통해서 인터넷에 연결되는 있다.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566)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570c)에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ternet communication unit 564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ADSL / VDSL modem.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566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70c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방범입력부(550)에는 인체감지기 및 문열림 감지기 등과 같은 감지기들이 연결될 수 있으며, 화재 및 가스 검출부(552)에서는 가스밸브 열림 및 잠금검출, 가스누출감지나 화재 검출을 수행한다.The security input unit 550 may be connected to detectors such as a human body detector and a door open detector, and the fire and gas detector 552 performs gas valve opening and lock detection, gas leak detection or fire detection.

이러한 구성의 홈게이트웨이 장치(500)는 도어폰 실외기(20)의 무선 송신부(140)으로부터 호출버튼(111)의 호출버튼 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부(530)에 지정된 피가입자 유선 전화기(570a)를 호출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570c)를 호출하여 사용자와 외부 방문자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When the home gateway device 500 of the above configuration receives the call button signal of the call button 111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140 of the door phone outdoor unit 20, the home gateway device 500 controls the subscriber wired telephone 570a designated in the memory unit 530. Call 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70c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and the external visitor.

이러한 홈게이트웨이 장치(500)는 화재감지, 가스누출감지, 침입자 감지, 출입문 제어, 홈게이트웨이 기능, PLC가전제어 기능, 방범/방재 및 출동경비 기능, 방문자 영상확인기능 등을 수행하며, 특히 본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무선 통신 모듈(510)을 탑재하여 도 1a의 도어폰(10)과 도 1c의 도어락(600)에 대한 댁내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댁내 유선전화기(570b)나 공중망을 통한 피가입자측 유선단말(570a)이나 휴대폰(570c)에 의한 원격제어 및 원격지로의 모니터링도 가능하게 해준다.The home gateway device 500 performs fire detection, gas leakage detection, intruder detection, door control, home gateway function, PLC home appliance control function, crime prevention / disaster prevention and dispatch guard function, visitor image checking function,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0 is mounted to perform indoor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s for the door phone 10 of FIG. 1A and the door lock 600 of FIG. 1C. In addition, it enables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to the remote site by the landline terminal 570a or the mobile phone 570c through the indoor wired telephone 570b or the public network.

여기에서, 홈게이트웨이 장치(500)는 도어락 장치(600)에 내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도어락 장치(600)에는 홈게이트웨이 장치(500)과 별도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Here, the home gateway device 500 may be implemented to be embedded in the door lock device 600. In this case, the door lock device 600 does not need to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separat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ome gateway device 500.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도이다. Figure 1c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카메라(610)가 내장되고 초인종 버튼(616)이 구비되어 방문자 영상 확인기능과 아울러 방문자에게 편리한 초인종 버튼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도어락 장치(6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612)를 구비하고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610 is embedded and the doorbell button 616 is provided to provide a convenient doorbell button function to the visitor image as well as visitors. In addition, a power supply unit 612 for supplying power to the door lock device 600 is provided.

또한, 도어락 장치(600)는 홈게이트웨이 장치(5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무선 통신부(61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외부 무선 통신부(616)는 무선 송신부(616aa), 변조부(616ab), 무선 수신부(616ba), 복조부(616bb)를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door lock device 600 includes an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6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ome gateway device 500. The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6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er 616aa, a modulator 616ab, a wireless receiver 616ba, and a demodulator 616bb.

또한, 도어락 장치(600)에는 도어락 장치(600)의 사용안내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음성멘트 메모리(622)가 구비되며, 도어 오픈시 요구되는 비밀번호 입력용 키입력부(624)가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메모리(626)와,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오픈모터(door open motor)(628)도 구비된다. 그리고, 도어락 장치(600)에는 전반적인 관련 기기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630)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oor lock device 600 is provided with a voice cement memory 622 provid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 of the door lock device 600, a password input key input unit 624 is required when opening the door, the user Also provided is a password memory 626 for storing the password set by the, and a door open motor (62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the door lock device 6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63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related equipment.

도 2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 장치의 구성도이다. Figure 2a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oor phon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도어폰 장치는 방문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대문 또는 현관문 등에 설치되는 실외기(1010)와, 방 문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집안에 고정 설치되는 실내기(102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A, a video door phon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door unit 1010 installed in a door or front door for an interface with a visitor, and an indoor unit fixedly installed in a house for communication with a visitor. 1020.

또한, 실외기(1010)와 실내기(1020)는 상호 송수신을 위해 4선 또는 2선의 유선 또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연결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utdoor unit 1010 and the indoor unit 1020 are connected by wire or cable of four or two wires for mutu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 wireless connection is also possible.

실외기(1010)는 실외기 송신부(1100), 실외기 수신부(1200)를 포함한다. 실외기 송신부(1100)는 데이터 입력부(1110), 데이터 신호 처리부(1120), 무선 송신 모듈(1125)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부(1110)은 호출버튼(1111), 카메라(1112), 마이크(1113)을 포함하며, 데이터 신호 처리부(1120)는 영상처리부(1121) 및 음성처리부(1122)를 포함하고, 무선 송신 모듈(1125)은 변조부(1130)와 무선 송신부(1140)을 포함한다. The outdoor unit 1010 includes an outdoor unit transmitter 1100 and an outdoor unit receiver 1200. The outdoor unit transmitter 1100 includes a data input unit 1110, a data signal processor 1120, and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125. The data input unit 1110 includes a call button 1111, a camera 1112, a microphone 1113, and the data signal processor 1120 includes an image processor 1121 and an audio processor 1122. 1125 includes a modulator 1130 and a wireless transmitter 1140.

실외기 수신부(1200)는 무선 수신 모듈(1205), 증폭부(1230), 스피커(1240)을 포함하며, 무선 수신 모듈(1205)는 무선 수신부(1210), 복조부(1220)를 포함한다.The outdoor unit receiver 1200 includes a wireless receiver module 1205, an amplifier 1230, and a speaker 1240, and the wireless receiver module 1205 includes a wireless receiver 1210 and a demodulator 1220.

한편, 실내기(1020)는 실내기 수신부(3100)와 실내기 송신부(1400)로 이루어져 있다. 실내기 수신부(1300)는 LCD(1311)와, 스피커(13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내기 송신부(1400)는 마이크(1410)로 이루어져 있다.Meanwhile, the indoor unit 1020 includes an indoor unit receiver 3100 and an indoor unit transmitter 1400. The indoor unit receiver 1300 includes an LCD 1311 and a speaker 1312, and the indoor unit transmitter 1400 includes a microphone 1410.

이와 같은 구성의 비디오 도어폰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방문자가 실외기(1010)의 호출버튼(1111)을 누르면, 호출버튼(1111)은 온신호를 데이터 신호 처리부(1120)의 음성 처리부(1122)로 전송한다. 그러면, 음성 처리부(1122)는 호출버튼의 온신호를 음성 처리하여 실내기(1020)의 스피커(1312)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deo door phone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visitor presses the call button 1111 of the outdoor unit 1010, the call button 1111 sends an on-signal to the voice processor 1122 of the data signal processor 1120. send. Then, the voice processing unit 1122 processes the on-signal of the call button by voice and transmits it to the speaker 1312 of the indoor unit 1020 to be output.

이때, 음성 처리부(1122)는 호출버튼(1111)의 음성 처리된 온신호를 변조부(1130)를 사용하여 변조하여 무선 송신부(1140)를 통하여 도어락(1500)의 도어폰 연동 무선 통신부(1518)의 무선 수신부(1518ba)로 전송한다.At this time, the voice processing unit 1122 modulates the voice processed on-signal of the call button 1111 using the modulating unit 1130 to perform the door phone interworking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8 of the door lock 150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ing unit 1140. To the wireless receiver 1518ba.

그리고, 실외기(1010)의 카메라(1112)는 외부 방문자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처리부(1121)로 전송하며, 영상 처리부(1121)는 카메라(1112)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실내기(1020)로 전달하여 LCD(1311)를 통하여 외부 방문자가 표시되도록 한다.The camera 1112 of the outdoor unit 1010 captures an image of an external visitor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image processor 1121, and the image processor 1121 processes the image input from the camera 1112 to perform the indoor unit 1020. The external visitor is displayed through the LCD 1311.

또한, 실외기(1010)의 영상 처리부(1121)는 영상 신호를 변조부(1130)를 사용하여 변조하여 무선 송신부(1140)를 통하여 도어락(1500)의 도어폰 연동 무선 통신부(1518)의 무선 수신부(1518ba)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121 of the outdoor unit 1010 modulates an image signal by using the modulator 1130 to perform a wireless reception unit of the door phone interworking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8 of the door lock 150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1140. 1518ba).

한편, 실외기(1010)의 음성 처리부(1122)가 실내기(1020)의 스피커(1312)로 호출버튼의 온신호를 전송하고, 실외기(1010)의 영상 처리부(1121)가 외부 영상을 실내기(1020)의 LCD(1311)으로 전송한 후에 사용자가 마이크(1410)를 사용하여 외부 방문자에게 음성을 발성하면 스피커(1240)는 마이크(141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1122 of the outdoor unit 1010 transmits the ON signal of the call button to the speaker 1312 of the indoor unit 1020,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1121 of the outdoor unit 1010 outputs the external image to the indoor unit 1020. After the user transmits the voice to an external visitor using the microphone 1410 after transmitting to the LCD 1311, the speaker 1240 receives the user's voice from the microphone 1410 and outputs the voice.

그리고, 실외기(1010)의 음성 처리부(1122)가 무선 송신부(1140)를 통하여 도어락(1500)의 도어폰 연동 무선 통신부(1518)의 무선 수신부(1518ba)로 호출버튼(1111)의 온 신호를 전송한 후에, 실외기(1010)의 무선 수신부(1210)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복조부(1220)는 수신한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증폭부(1230)로 전송하며, 증폭부(1230)는 스피커(1240)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Then, the voice processing unit 1122 of the outdoor unit 1010 transmits the ON signal of the call button 1111 to the wireless receiving unit 1518ba of the door phone interworking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8 of the door lock 150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1140. After that, when the wireless receiver 1210 of the outdoor unit 1010 receives the user's voice signal, the demodulator 1220 demodulates the received voice signal and transmits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amplifier 1230, and the amplifier 1230 is a speaker. The voice of the user is output through the 1240.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도이다. Figure 2b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카메라(1510)가 내장되고 초인종 버튼(1516)이 구비되어 방문자 영상 확인기능과 아울러 방문자에게 편리한 초인종 버튼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도어락 장치(15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512)를 구비하고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1510 is embedded and the doorbell button 1516 is provided to provide a convenient doorbell button function to the visitor image as well as visitors. In addition, a power supply unit 1512 for supplying power to the door lock device 1500 is provided.

또한, 도어락 장치(1500)는 홈게이트웨이 장치(16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무선 통신부(151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외부 무선 통신부(1516)는 무선 송신부(1516aa), 변조부(1516ab), 무선 수신부(1516ba), 복조부(1516bb)를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door lock device 1500 includes an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6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ome gateway device 1600. Here, the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6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er 1516aa, a modulator 1516ab, a wireless receiver 1516ba, and a demodulator 1516bb.

그리고, 도어락 장치(1500)는 도어폰 실외기(1010)와 무선 통신을 위한 도어폰 연동 무선 통신부(1518)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어폰 연동 무선 통신부(1518)는 무선 송신부(1518aa), 변조부(1518ab), 무선 수신부(1518ba) 그리고 복조부(1518bb)를 포함하고 있다.The door lock device 1500 includes a door phone interworking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8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oor phone outdoor unit 1010. In this case, the door phone interworking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8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er 1518aa, a modulator 1518ab, a wireless receiver 1518ba, and a demodulator 1518bb.

또한, 도어락 장치(150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등과 이동통신을 통하여 음성 통화을 제공하거나 SMS 문자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1520)을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door lock device 1500 is provid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1520 to provide a voice call, SMS text transmission or wireless Interne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ike of the user.

또한, 도어락 장치(1500)에는 도어락 장치(1500)의 사용안내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음성멘트 메모리(1522)가 구비되며, 도어 오픈시 요구되는 비밀번호 입력용 키입력부(1524)가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 호 메모리(1526)와,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오픈모터(door open motor)(1528)도 구비된다. 그리고, 도어락 장치(1500)에는 전반적인 관련 기기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1530)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oor lock device 1500 is provided with a voice cement memory 1522 provided for convenience of the use of the door lock device 1500, a password input key input unit 1524 is require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user Also provided is a password memory 1526 for storing the password set by the, and a door open motor 152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 addition, the door lock apparatus 1500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1530 that is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related devices.

이와 같은 구성을 같는 도어락 장치(1500)의 본 발명과 관련된 동작을 살펴보면, 도어폰 연동 무선 통신부(1518)의 무선 수신부(1518ba)가 도어폰 실외기(1010)의 무선 송신부(1140)로부터 호출버튼 온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530)은 현재 상태가 사용자 외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door lock device 1500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the wireless receiving unit 1518ba of the door phone interlocking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8 is on the call button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1140 of the door phone outdoor unit 1010 Upon receiving the signal and receiving the video signal, the controller 153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a user outing state.

제어부(1530)는 판단 결과 사용자가 외출 상태가 아니면 도어폰 실외기(101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무시한다.The controller 1530 ignor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door phone outdoor unit 1010 when the user is not in the outing state.

그러나, 제어부(1530)는 판단 결과 사용자가 외출 상태이면 외부 무선 통신부(1516)의 변조부(1516ab)와 무선 송신부(1516aa)를 통하여 홈게이트웨이 장치(1600)로 도어폰 실외기(1010)로부터 수신한 호출버튼 신호와 영상 신호를 전송한다.However, the controller 1530 receives the home gateway device 1600 from the door phone outdoor unit 1010 through the modulator 1516ab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1516aa of the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6 when the user is out of the office. Transmit call button signal and video signal.

그리고, 제어부(1530)는 무선 수신부(1516ba)를 통하여 홈게이트웨이 장치(16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면,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도어폰 연동 무선 통신부(1518)의 변조부(1518ab)와 무선 송신부(1518aa)를 통하여 실외기(1010)의 무선 수신부(1210)로 전송하여 스피커(124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한다.When the controller 1530 receives the user's voice from the home gateway device 1600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1516ba, the controller 1530 may transmit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modulator 1518ab of the door phone-associate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8. It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receiver 1210 of the outdoor unit 101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1518aa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240.

또한, 제어부(1530)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1600)로부터 잠근 해제 신호가 무선 수신수(1516ba)를 통하여 수신되면 도어 오픈 모터(1528)을 구동하여 잠금 상태 를 해제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30 releases the locked state by driving the door open motor 1528 when the lock release signal received from the home gateway device 1600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1516ba.

한편, 제어부(1530)는 다른 실시예로서 판단 결과 사용자가 외출 상태이면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1520)를 사용하여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여 방문자와 사용자가 통신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if the user is out of the determination state, the controller 1530 calls the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1520 so that the visitor and the user can communicate.

또는 제어부(1530)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판단 결과 사용자가 외출 상태이면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1520)를 사용하여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방문자의 방문 사실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에 도어락 장치(1500)의 이동통신인터페이스부(1520)에 이동통신번호가 할당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방문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530 may transmit a text message to the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1520 when the user is out of the stat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o that the user may determine the visitor's visit. . In this case, if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is assign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520 of the door lock device 1500, the user can talk to the visito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는 제어부(1530)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판단 결과 사용자가 외출 상태이면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1520)을 사용하여 영상 신호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하여 사용자가 방문자의 방문 사실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에 도어락 장치(1500)의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1520)에 이동통신번호가 할당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방문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53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visits the visitor by transmitting a video signal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essag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1520 when the user is out of the office in another embodiment. Do it. In this case, if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is assign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520 of the door lock device 1500, the user may make a call with the visito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는 제어부(1530)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판단 결과 사용자가 외출 상태이면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1520)를 통한 무선 인터넷, 와이브로 방식 통신들을 하여 특정 웹사이트에서 영상이 제공되도록 하며 그러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경우에 도어락 장치(1500)의 인터페이스부(1520)에 이동통신번호가 할당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방문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5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provide a video on a specific website through wireless Internet or WiBro communic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1520 when the user is out of the office and notify the user of the fact. Allow users to access specific websites and identify visitors. In this case, if th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is assigned to the interface unit 1520 of the door lock device 1500, the user may make a call with the visito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사용자는 무선인터넷, 와이브로 등을 통하여 도어락(1500)의 잠금상태 해제 명령을 전송하여 도어락 장치(15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ser transmits a lock state release command of the door lock 1500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WiBro, and the like so that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1500 is released.

도 2c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Figure 2c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gatew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게이트웨이 장치는, 와이드 LCD(1642)와 터치스크린패드(TSP)(1644)가 채용된 대형 터치스크린부(164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home gatew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rge touch screen unit 1640 employing a wide LCD 1644 and a touch screen pad (TSP) 1644 and is easily used by a user. Can be.

홈게이트웨이 장치(1600)는 도어락 장치(1500)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외부 무선 통신부(1610), 홈게이트웨이 제어부(1620), 메모리부(1630), 대형터치스크린부(1640), 방범 입력부(1650), 화재 및 가스검출부(1652), 키버튼부(1654), 국선 인터페이스(1662), 인터넷 통신부(1664),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1666)를 포함하고 있다.The home gateway device 1600 may include an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10, a home gateway control unit 1620, a memory unit 1630, a large touch screen unit 1640, and a security input unit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oor lock device 1500. 1650, a fire and gas detection unit 1652, a key button unit 1654, a trunk line interface 1662, an Internet communication unit 1664, and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666.

외부 무선 통신부(1610)는 무선 송신부(1610aa), 변조부(1610ab), 무선 수신부(1610ba), 복조부(1610bb)를 구비하고 있다. 국선 인터페이스(1662)는 피가입자측 유선전화기(1670a)나 댁내 유선전화기(1670b)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1670c)와 같은 사용자 단말(1670)에 연결되어 있다.The external radio communication unit 1610 includes a radio transmitter 1610aa, a modulator 1610ab, a radio receiver 1610ba, and a demodulator 1610bb. The trunk line interface 1662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1670 such as a subscriber's wired telephone 1670a, an indoor wired telephone 1670b,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70c.

그리고, 인터넷 통신부(1664)는 ADSL/VDSL모뎀을 통해서 인터넷에 연결되는 있다.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1666)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1670c)에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ternet communication unit 1664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ADSL / VDSL modem. The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1666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70c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방범입력부(1650)에는 인체감지기 및 문열림 감지기 등과 같은 감지기들이 연결될 수 있으며, 화재 및 가스 검출부(1652)에서는 가스밸브 열림 및 잠금검출, 가스누출감지나 화재 검출을 수행한다.Detectors such as a human body detector and a door open detector may be connected to the crime prevention input unit 1650, and the fire and gas detector 1652 performs gas valve opening and lock detection, gas leak detection, or fire detection.

이러한 구성의 홈게이트웨이 장치(1600)는 도어락(1500)의 외부 무선 송신부(1516aa)로부터 도어폰 실외기(1010)의 호출버튼(1111)의 호출버튼 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부(1630)에 지정된 피가입자 유선 전화기(1670a)를 호출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1670c)를 호출하여 사용자와 외부 방문자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home gateway device 16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receives the call button signal of the call button 1111 of the door phone outdoor unit 1010 from the external wireless transmitter 1516aa of the door lock 1500. The wired telephone 1670a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70c is called to allow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external visitor.

이러한 홈게이트웨이 장치(1600)는 화재감지, 가스누출감지, 침입자 감지, 출입문 제어, 홈게이트웨이 기능, PLC가전제어 기능, 방범/방재 및 출동경비 기능, 방문자 영상확인기능 등을 수행하며, 특히 본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무선 통신부(1610)을 탑재하여 도 2a의 도어폰(1010)과 도어락(1500)에 대한 댁내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댁내 유선전화기(1670b)나 공중망을 통한 피가입자측 유선단말(1670a)이나 휴대폰(1670c)에 의한 원격제어 및 원격지로의 모니터링도 가능하게 해준다.The home gateway device 1600 performs fire detection, gas leakage detection, intruder detection, door control, home gateway function, PLC home appliance control function, crime prevention / disaster prevention and dispatch guard function, visitor image checking function,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10 is mounted to perform indoor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s for the door phone 1010 and the door lock 1500 of FIG. 2A. In addition,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to the remote site by the subscriber's wired terminal (1670a) or mobile phone (1670c) through the landline telephone (1670b) or public network.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구축된 장치 및 장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already built devices and equipment, there is an effect to facilitate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한의 변경에 따른 사용이 편리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설치 및 A/S를 할 수 있으며, 가정 및 사무실을 보안 및 네트워크를 손 쉽게 구출할 수 있게 하여 가정 및 사무실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install and A / S with a minimum change, and the home and office can be easily saved and the network can be easily rescu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greatly improved.

Claims (13)

외부 방문자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어폰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도어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도어폰 데이터 신호 처리부와, 상기 도어폰 데이터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도어폰 데이터 통신부와,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를 구비한 도어폰 실외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제어 장치.A door phone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on an external visitor, a door phone data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door phone data input unit, and data transmitted from the door phone data signal processing unit and receiving data And a door phone outdoor device having a door phone data communication unit and an output unit generating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도어폰 데이터 통신부는 사용자 이동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제어 장치.And the door phone data communication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ransmitting data to and receiving data from the user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어폰 데이터 통신부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외부 통신부;A gateway exter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door phone data communication unit;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사용자 단말 통신부; 및A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user terminal; And 상기 도어폰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통신 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 외부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폰 데이터 통신부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홈게이트웨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제어 장치.When the data is received from the door phone data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gateway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h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gateway external communication unit to the door phone data communication unit Doo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home gateway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외부 방문자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어락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도어락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도어락 데이터 신호 처리부와, 상기 도어락 데이터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홈게이트웨이 장치의 게이트웨이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무선 통신부에서 데이터를수신하는 도어락 데이터 통신부와,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를 구비한 도어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제어 장치.A door lock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about an external visitor, a door lock data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door lock data input unit, and data processed by the door lock data signal processor for transmission to the gatewa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home gateway device. And a door lock dat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the gatewa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door lock having an output unit for generating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사용자 단말 통신부는 사용자의 유선 전화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국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제어 장치.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trunk line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ser's landline telephon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사용자 단말 통신부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제어 장치. And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외부 방문자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어락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도어락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도어락 데이터 신호 처리부와, 상기 도어락 데이터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홈게이트웨이 장치의 게이트웨이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제어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도어락 데이터 통신부와,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를 구비한 도어락을 더 포함하며, A door lock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on an external visitor, a door lock data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door lock data input unit, and data processed by the door lock data signal processing unit to a gateway controller of the home gateway device; A door lock dat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the gateway control unit and a door lock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generating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상기 홈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도어락에 내장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제어 장치.And the home gateway device is embedded in the door lock. 외부 방문자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도어폰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도어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도어폰 데이터 신호 처리부와, 상기 도어폰 데이터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도어폰 데이터 통신부와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를 구비한 도어폰 실외 장치; 및 A door phone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on an external visitor, a door phone data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door phone data input unit, and data transmitted from the door phone data signal processing unit and receiving data A door phone outdoor device having a door phone data communication unit and an output unit generating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And 상기 도어폰 실외 장치의 상기 도어폰 데이터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도어폰 연동 통신부와,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도어락 외부 통신부와, 사용자가 외출 상태이면 상기 도어폰 실외 장치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도어폰 실외 장치로 전송하는 도어락 제어부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제어 장치.The door phone interworking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door phone data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phone outdoor device, the door lock exter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user terminal, and the data received from the door phone outdoor device when the user is out And a door lock device having a door lock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outside and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door phone outdoor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도어폰 실외 장치와 도어락 장치는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제어 장치.The door phone outdoor device and the door lock device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도어락 장치의 상기 도어락 외부 통신부는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제어 장치.The door lock external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도어락 외부 통신부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외부 통신부;A gateway exter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door lock external communication unit;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사용자 단말 통신부; 및A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user terminal; And 상기 도어락 외부 통신부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 외부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락 외부 통신부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제어 장치.A door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data received from the door lock external communication unit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and to transmit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door lock external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gateway external communication unit.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사용자 단말 통신부는 사용자의 유선 전화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국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제어 장치.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trunk line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ser's landline telephon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사용자 단말 통신부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 제어 장치. And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60053059A 2006-06-13 2006-06-13 Door controllar KR200701188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059A KR20070118844A (en) 2006-06-13 2006-06-13 Door controll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059A KR20070118844A (en) 2006-06-13 2006-06-13 Door controll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844A true KR20070118844A (en) 2007-12-18

Family

ID=3913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059A KR20070118844A (en) 2006-06-13 2006-06-13 Door controll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884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19Y1 (en) * 2014-04-03 2014-05-27 강봉철 Digital wireless doorphone system
CN108062818A (en) * 2018-02-11 2018-05-22 北京金蝉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osition in storehouse access control equipment and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19Y1 (en) * 2014-04-03 2014-05-27 강봉철 Digital wireless doorphone system
CN108062818A (en) * 2018-02-11 2018-05-22 北京金蝉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osition in storehouse access control equipment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3598B2 (en) Remote control of a speaker phone device as a standalone device or as part of a security system
KR100557895B1 (en) Videophone Having Multi- function
CN101695100A (en) Intelligent household securit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91863A (en) Home network system and intelligent home server control action method and tcp/ip using picture verification control and monitor method
KR100415018B1 (en) System for network-based internet, electronic unmanned guard and home automation service
WO2001055992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elephone circuit, and monitor terminal
JP5291288B2 (en) Intercom system
JP3716171B2 (en) Home security method using mobile devices
KR20070118844A (en) Door controllar
JP2004135200A (en) Interphone system
KR20050014357A (en) Home networking system connected with home automation machine using home gateway and computer
KR100644200B1 (en) Home automation system with digital door lock
KR100756358B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bluetooth and method thereof
KR100700975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emergency door having portable telephone
KR20010108894A (en) Intelligent door video phone and remote door opening system
KR100834127B1 (en) Door controllar
KR20030026443A (en) Web door phone system
KR200380869Y1 (en) Home automation system with digital door lock
KR200184208Y1 (en) Anti-theft device using a mobile phone
KR20090019456A (en) Wireless home server apparatus
KR20050036397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fulfilling function of doorphone
JP3846396B2 (en) Intercom system
KR1006118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of Home Automation System
JP2004266679A (en) Remote control system
JP2006515487A (en) Universal gateway module that interfaces security system controller and external peripher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