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5211A -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5211A
KR20070115211A KR1020060049303A KR20060049303A KR20070115211A KR 20070115211 A KR20070115211 A KR 20070115211A KR 1020060049303 A KR1020060049303 A KR 1020060049303A KR 20060049303 A KR20060049303 A KR 20060049303A KR 20070115211 A KR20070115211 A KR 20070115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x
detachable
side plat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박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우 filed Critical 박정우
Priority to KR102006004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5211A/ko
Publication of KR20070115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2Containers provided with decoration or information elements which are displaced to display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4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areas coated with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것으로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하부측부판(12)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박스부(10); 박스부(10)에 덮여지는 것으로서, 상부판(21)과 그 상부판(2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측부판(22)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구되는 덮개부(20); 및 덮개부(20)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상부측부판(22)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32)를 가지는 일체형포장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박스{an wrapping box}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덮개부의 발췌 사시도로서, 탈부착부에 접착면, 제1비접착면 및 제2비접착면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덮개부의 발췌 사시도로서, 탈부착부에 접착면, 비접착테이프 및 제2비접착면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탈부착부가 박스부의 하부판에 부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포장용 박스에 광택면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5의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탈부착부가 박스부의 하부판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7의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탈부착부가 박스부의 전,후방부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탈부착부가 박스부의 하부측부판 및 하부판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박스부 11 ... 하부판
12 ... 하부측부판 20 ... 덮개부
21 ... 상부판 22 ... 상부측부판
22a ... 광택면 23 ... 상부판
24 ... 상부측부판 25a, 25b ... 상,하부판
26a, 26b ... 측부판 27 ... 상부판
28 ... 절곡판 30 ... 일체형포장지
32 ... 탈부착부 32a ... 접착면
32b ... 제1비접착면 32c ... 제2비접착면
33 ... 비접착테이프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보다 용이한 포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다이어리나 화장품등과 같이 포장대상물은 주로 박스에 포장되어 유통되며, 이러한 박스는, 포장대상물이 수납되는 상부박스와, 상부박스에 덮여지는 하부박스로 이루어진다. 이때 포장대상물을 선물하고자 할 경우에는, 포장대상물이 담겨진 박스가 열려지지 않도록 포장지로 포장을 하여야 한다. 또한 포장대상물을 다른 지역으로 배송할 경우에, 포장지의 표면에 수신자의 주소를 기재하여야 하였다.
그런데, 포장대상물이 담겨진 박스가 열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박스를 포장지로 포장하여야 하는데, 박스를 포장하는 데는 많은 포장기술이 필요하였고 숙련된 사람이 아니고는 세련되게 포장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포장기술이 없는 사람에 의하여 세련되게 포장되지 않았을 때는 오히려 포장대상물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포장대상물을 다른 사람에게 배송하기 위하여 수신자의 주소가 필요한데, 포장지에는 주로 많은 무늬가 인쇄되어 있어 수신자의 주소를 직접 기재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별도의 종이에 수신자의 주소를 기재한 후 그 종이를 포장지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곤 하였는데, 종이에 주소를 기재하고 이후에 그 종이를 포장지에 부착하는 방식은 많은 번거로움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포장대상물의 포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자의 주소를 직접 기재할 수 있도록 하여 배송에 따른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 일체화되어 상기 박스부에 접착되는 일체형포장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10)는, 상기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것으로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하부측부판(12)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박스부(10)에 덮여지는 것으로서, 상부판(21)과 그 상부판(2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측부판(22)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일체형포장지(30)는, 상기 덮개부(20)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상기 상부측부판(22)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3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10)는. 상기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것으로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하부측부판(12)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박스부(10)의 일측에 연결되어 그 박스부(10)에 덮여지는 상부판(23)과, 그 상부 판(23)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측부판(24)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일체형포장지(30)는, 상기 덮개부(20)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상기 상부측부판(24)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32)를 가지는 것;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10)는, 상기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것으로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하부측부판(12)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20)는, 박스부(10)가 삽입되어 넣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부판(25a)(25b)과, 그 상,하부판(25a)(25b)의 양 가자리를 연결하는 측부판(26a)(26b)으로 이루어져 전후방으로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일체형포장지(30)는, 상기 덮개부(20)의 전후방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상기 상,하부판(25a)(25b) 및/또는 측부판(26a)(26b)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3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10)는,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것으로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하부측부판(12)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20)는, 박스부(10)의 일측에 연결되어 그 박스부(10)에 덮여지는 상부판(27)과, 그 상부판(27)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절곡판(28)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일체형포장지(30)는 상기 덮개부(20)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상기 상부판(27)의 내측면과 상기 절곡판(28)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3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32)는 사용자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 록 그 탈부착부(32) 면에는 접착면(32a)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32)의 가장자리가 부착되지 않도록, 그 탈부착부(32)의 가장자리는 상기 접착면(32a)이 형성되지 않은 제1비접착면(32b)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32)의 가장자리가 부착되지 않도록, 그 탈부착부(3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접착면(32a)으로부터 분리되는 비접착테이프(33)가 부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부판 또는 측부판 또는 상부판 또는 절곡판의 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탈부착부(32)의 내측면에 상기 접착면(32a)이 형성되지 않은 제2비접착면(32c)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32)가 상기 상부측부판 또는 측부판 또는 상부판 또는 절곡판의 내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상부측부판 또는 측부판 또는 상부판 또는 절곡판의 내측면에는 광택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 또는 박스부(10)의 표면에는 엽서(Post Card)가 인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기본적으로,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박스부와, 박스부를 덮는 덮개부와, 덮개부에 일체화되어 박스부에 접착되는 일체형포장 지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덮개부의 발췌 사시도로서, 탈부착부에 접착면, 제1비접착면 및 제2비접착면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덮개부의 발췌 사시도로서, 탈부착부에 접착면, 비접착테이프 및 제2비접착면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탈부착부가 박스부의 하부판에 부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1실시예는,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것으로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하부측부판(12)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박스부(10)와; 박스부(10)에 덮여지는 것으로서, 상부판(21)과 그 상부판(2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측부판(22)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구되는 덮개부(20)와; 덮개부(20)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상부측부판(22)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32)를 가지는 일체형포장지(30);를 포함한다.
일체형포장지(30)에 있어서 탈부착부(32)는 상부측부판(22)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다가 사용자에 의하여 상부측부판(22)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탈부착부(32)는 덮개부(20)가 박스부(10)를 닫았을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부(10)의 하부판(11)에 부착된다. 이를 위하여 탈부착부(32) 면에는 그 탈부착부(32)가 상부측부판(22)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면(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가 탈부착부(32)를 상부측부판(22)의 내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탈부착부(32)의 가장자리는 상부측부판(22)에 부착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은 다양한데,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부(32)의 가장자리에 접착면(32a)이 형성되지 않은 제1비접착면(32b)을 형성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부(32)의 접착면(32a) 가장자리에 비접착테이프(33)를 부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탈부착부(32)가 상부측부판(22)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을 때라도 제1비접착면(32b) 또는 비접착테이프(33)가 상부측부판(22)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비접착면(32b) 또는 비접착테이프(33)를 잡아당김으로써 탈부착부(32)를 상부측부판(22)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탈부착부(32)가 상부측부판(22)의 내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상부측부판(22)의 내측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광택면(22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광택면(22a)은 수지나 비닐등과 같은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그 특성상 접착면(32a)이 형성된 탈부착부(32)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탈부착부(32)는 수회가량 상부측부판(22)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부측부판(22)의 단부에 대응되는 탈부착부(32)의 내측면에 제2비접착면(32c)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2비접착면(32c)은 탈부착부(32)의 내측이 상부측부판(22)의 가장자리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2비접착면(32c)을 채용함으로서, 탈부착부(32)를 박스부(10)의 하부판(11)에 부착할 때 박 스부(10)의 모서리 부분이 깔끔하게 마무리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덮개부 또는 박스부,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20)에는 엽서(Post Card)가 인쇄되어 있다. 엽서에는 수신자의 주소나 우편번호, 내용등이 기재될 수 있는 부분이 인쇄되어 있다. 엽서가 인쇄됨으로서 별도의 종이를 사용하지 않고 포장용 박스에 수신자의 주소나 우편번호, 간단한 내용등을 기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덮개부(20)가 박스부(10)를 덮은 상태에서, 탈부착부(32)가 박스부(10)의 하부판의 가장자리측에 부착됨으로써, 별도의 포장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본원의 포장용 박스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포장용 박스에 광택면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의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탈부착부가 박스부의 하부판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2실시예는,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것으로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하부측부판(12)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박스부(10)와; 박스부(10)의 일측에 연결되어 그 박스부(10)에 덮여지는 것으로서, 상부판(23)과 그 상부판(23)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측부판(24)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구되는 덮개부(20)와; 덮개부(20)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상부측부판(24)의 내측면에 탈부 착되는 탈부착부(32)를 가지는 일체형포장지(30);를 포함한다. 상기한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덮개부(20)가 박스부(1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탈부착부(32)는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부측부판(24)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다가 사용자에 의하여 상부측부판(24)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접착면(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탈부착부(32)를 상부측부판(24)의 내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탈부착부(32)의 가장자리에 제1비접착면(32b)을 형성하거나, 탈부착부(32)의 접착면(32a) 가장자리에 비접착테이프(33)가 부착된다. 또한, 탈부착부(32)가 상부측부판(24)의 내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상부측부판(24)의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광택면(22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부측부판(24)의 단부에 대응되는 탈부착부(32)의 내측면에는 그 탈부착부(32)의 내측이 상부측부판(24)의 가장자리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제2비접착면(3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리고, 덮개부(20) 또는 박스부(10)에는 엽서(Post Card)가 인쇄되어 있어, 수신자의 주소나 우편번호, 내용등을 기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덮개부(20)가 박스부(10)를 덮은 상태에서, 탈부착부(32)가 박스부(10)의 하부판의 가장자리측에 부착됨으로써, 별도의 포장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본원의 포장용 박스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탈부착부가 박스부의 전,후방부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1,2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3실시예는,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것으로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하부측부판(12)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박스부(10)와; 박스부(10)가 삽입되어 넣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부판(25a)(25b)과, 그 상,하부판(25a)(25b)의 양 가자리를 연결하는 측부판(26a)(26b)으로 이루어져 전후방으로 개구되는 덮개부(20); 및 덮개부(20)의 전후방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상,하부판(25a)(25b) 및/또는 측부판(26a)(26b)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32)를 가지는 일체형포장지(30);를 포함한다.
상기한 제3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덮개부(20)는 박스부(10)가 전후방측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기 위하여, 상,하부판(25a)(25b)과, 그 상,하부판(25a)(25b)의 양 가자리를 연결하는 측부판(26a)(26b)으로 이루진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박스부(10)가 덮개부(20)에 삽입되어 넣어진 상태에서, 탈부착부(32)가 박스부(10)의 전후방측에 부착됨으로써, 별도의 포장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본원의 포장용 박스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탈부착부(32)는 제1,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하부 판(25a)(25b) 및/또는 측부판(26a)(26b)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다가 사용자에 의하여 상,하부판(25a)(25b) 및/또는 측부판(26a)(26b)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접착면(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탈부착부(32)를 상,하부판(25a)(25b) 및/또는 측부판(26a)(26b)의 내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탈부착부(32)의 가장자리에 제1비접착면(32b)을 형성하거나, 탈부착부(32)의 접착면(32a) 가장자리에 비접착테이프(33)가 부착된다. 또한, 탈부착부(32)가 상,하부판(25a)(25b) 및/또는 측부판(26a)(26b)의 내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상,하부판(25a)(25b) 및/또는 측부판(26a)(26b)의 내측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광택면(22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하부판(25a)(25b) 및/또는 측부판(26a)(26b)의 단부에 대응되는 탈부착부(32)의 내측면에는 그 탈부착부(32)의 내측이 상,하부판(25a)(25b) 및/또는 측부판(26a)(26b)의 가장자리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제2비접착면(3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리고, 덮개부(20) 또는 박스부(10)에는 엽서(Post Card)가 인쇄되어 있어, 수신자의 주소나 우편번호, 내용등을 기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박스부(10)를 덮개부(20)에 삽입한 상태에서, 탈부착부(32)가 박스부(10)의 전,후방측에 부착됨으로써, 별도의 포장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본원의 포장용 박스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탈부착부가 박스부의 하부측부판 및 하부판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제4실시예는,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것으로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하부측부판(12)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박스부(10)와; 박스부(10)의 일측에 연결되어 그 박스부(10)에 덮여지는 상부판(27)과, 그 상부판(27)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절곡판(28)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부(20)와; 덮개부(20)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상부판(27)의 내측면과 절곡판(28)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32)를 가지는 일체형포장지(30);를 포함한다. 상기한 제4실시예가 제1,2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부판(27)의 전방에 절곡판(28)이 형성된 것이다.
탈부착부(32)는 상부판(27)의 내측 및 절곡판(28)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다가, 사용자에 의하여 상부판(27) 및 절곡판(28)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접착면(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탈부착부(32)를 상부판(27) 및 절곡판(28)의 내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탈부착부(32)의 가장자리에 제1비접착면(32b)을 형성하거나, 탈부착부(32)의 접착면(32a) 가장자리에 비접착테이프(33)가 부착된다. 또한, 탈부착부(32)가 상부판(27) 및 절곡판(28)의 내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상부판(27) 및 절곡판(28)의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광택면(22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부판(27) 및 절곡판(28)의 단부에 대응되는 탈부착부(32)의 내측면에는 그 탈부착부(32)의 내측이 상부판(27) 및 절 곡판(28)의 가장자리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제2비접착면(3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리고, 덮개부(20) 또는 박스부(10)에는 엽서(Post Card)가 인쇄되어 있어, 수신자의 주소나 우편번호, 내용등을 기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덮개부(20)가 박스부(10)를 덮은 상태에서, 탈부착부(32)가 박스부(10)의 하부판(11) 및 하부측부판(12)에 부착됨으로써, 별도의 포장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본원의 포장용 박스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타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따르면, 덮개부에 일체형포장지가 부착됨으로써, 포장에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더라도 별도의 포장지 없이 포장대상물이 담겨진 박스부를 세련되게 포장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엽서가 덮개부에 직접 인쇄되어 있어 별도의 종이 없이 수신자의 주소, 우편번호, 내용등을 기재할 수 있어 배송에 따른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 일체화되어 상기 박스부에 접착되는 일체형포장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10)는, 상기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것으로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하부측부판(12)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박스부(10)에 덮여지는 것으로서, 상부판(21)과 그 상부판(2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측부판(22)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일체형포장지(30)는, 상기 덮개부(20)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상기 상부측부판(22)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3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10)는. 상기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것으로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하부측부판(12)으로 이루어져 상부 가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박스부(10)의 일측에 연결되어 그 박스부(10)에 덮여지는 상부판(23)과, 그 상부판(23)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측부판(24)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일체형포장지(30)는, 상기 덮개부(20)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상기 상부측부판(24)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32)를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10)는, 상기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것으로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하부측부판(12)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20)는, 박스부(10)가 삽입되어 넣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부판(25a)(25b)과, 그 상,하부판(25a)(25b)의 양 가자리를 연결하는 측부판(26a)(26b)으로 이루어져 전후방으로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일체형포장지(30)는, 상기 덮개부(20)의 전후방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상기 상,하부판(25a)(25b) 및/또는 측부판(26a)(26b)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3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10)는, 포장대상물이 담겨지는 것으로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는 하부측부판(12)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20)는, 박스부(10)의 일측에 연결되어 그 박스부(10)에 덮여지는 상부판(27)과, 그 상부판(27)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절곡판(28)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일체형포장지(30)는 상기 덮개부(20)의 외측면에 부착된 후 상기 상부판(27)의 내측면과 상기 절곡판(28)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3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6.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32)는 사용자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그 탈부착부(32) 면에는 접착면(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32)의 가장자리가 부착되지 않도록, 그 탈부착부(32)의 가장자리는 상기 접착면(32a)이 형성되지 않은 제1비접착면(3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32)의 가장자리가 부착되지 않도록, 그 탈부착부(3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접착면(32a)으로부터 분리되는 비접착테이프(33)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부판 또는 측부판 또는 상부판 또는 절곡판의 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탈부착부(32)의 내측면에 상기 접착면(32a)이 형성되지 않은 제2비접착면(3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0. 제2항 또는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32)가 상기 상부측부판 또는 측부판 또는 상부판 또는 절곡판의 내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상부측부판 또는 측부판 또는 상부판 또는 절곡판의 내측면에는 광택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11.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 또는 박스부(10)의 표면에는 엽서(Post Card)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KR1020060049303A 2006-06-01 2006-06-01 포장용 박스 KR20070115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303A KR20070115211A (ko) 2006-06-01 2006-06-01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303A KR20070115211A (ko) 2006-06-01 2006-06-01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211A true KR20070115211A (ko) 2007-12-05

Family

ID=3914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303A KR20070115211A (ko) 2006-06-01 2006-06-01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52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955A (ko) * 2016-11-25 201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포장재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장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955A (ko) * 2016-11-25 201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포장재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장 방법
US11129288B2 (en) 2016-11-25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cking materials for display apparatus and packing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1909B2 (en) Packaging arrangement
US20070201772A1 (en) Gift container
EP3294565B1 (en) Personalized sound box, e.g. as greeting card
US20060151340A1 (en) Magnetic card and envelope
WO2010151568A1 (en) Audio envelopes
US20060261591A1 (en) Customizable board book and kit
KR20070115211A (ko) 포장용 박스
US20060062494A1 (en) Bag with card holder
US7407053B2 (en) Media holding package
US9694925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stening a communication message to an article
US20020139693A1 (en) Foo-foo box
US20090152153A1 (en) Bound Envelopes
JP2005522344A (ja) シート品でのおよびシート品に関する改良
GB0415620D0 (en) Carton leaflet composite
CN211469279U (zh) 一种红包
KR200248870Y1 (ko) 에이3용지 수용부가 구비된 비닐파일
US20210078766A1 (en) Structurally enhanced envelope
AU2020203873A1 (en) Gift wrapping system
JP3214473U (ja) ブック型容器
JP3113669U (ja) 別冊本付き合本
RU58103U1 (ru) Упаковка
JP4023537B2 (ja) コンテナ付き冊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04004U (ja) マスコット付グリーティングカード
KR200235844Y1 (ko) 선물용 포장상자
KR200280201Y1 (ko) 문서의 제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