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5125A - 면취기 - Google Patents

면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5125A
KR20070115125A KR1020060049062A KR20060049062A KR20070115125A KR 20070115125 A KR20070115125 A KR 20070115125A KR 1020060049062 A KR1020060049062 A KR 1020060049062A KR 20060049062 A KR20060049062 A KR 20060049062A KR 20070115125 A KR20070115125 A KR 2007011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urved
workpiece
hole
chamf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689B1 (ko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이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수 filed Critical 이명수
Priority to KR102006004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689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6Portable devices or machines for chamfer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05Guide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다양한 크기를 갖는 공작물의 직선부 및 곡선부 모서리를 균일하고 정확한 치수로 면취 가공할 수 있는 면취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면취기는 상면에 공작물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직선가이드와 공작물이 놓이는 곡선테이블이 각각 설치되는 몸체를 구비한다. 직선가이드에는 공작물을 다각도로 안내하기 위한 다각안내부가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곡선테이블에는 공작물을 안내하기 위한 공작물안내부가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직선가이드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몸체에는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도록 직선면취날이 설치되는 직선면취부가 구비된다. 곡선테이블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몸체에는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도록 곡선면취날이 구비되는 곡선면취부가 구비된다. 몸체의 내부에는 직선면취날과 곡선면취날을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면취기는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를 갖는 공작물의 직선부 및 곡선부 모서리를 균일하고 정확한 치수로 면취 가공을 할 수 있고, 공작물의 면취 가공시 발생하는 장치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면취기, 직선면취부, 곡선면취부, 공작물

Description

면취기{A CHAMFE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면취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각안내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작물안내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직선면취부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곡선면취부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면취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안내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면취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안내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사시도,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0A,10B : 제 1,2관통공
12 : 직선가이드 14 : 곡선테이블
16 : 방진부재 20 : 다각안내부
30 : 공작물안내부 40 : 직선면취부
60 : 곡선면취부 70 : 동력전달부
본 발명은 면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면취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를 갖는 공작물의 직선부 및 곡선부 모서리에 균일한 면취 가공을 용이하게 실시하고, 공작물의 면취 가공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면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의 직선부 및 곡선부 모서리를 절삭하여 균일한 모따기를 형성하는 면취 가공은 공작물의 가공후 발생되는 날카로운 모서리를 다듬는 것으로, 공작물의 모서리를 매끄럽게 다듬어 작업자가 공작물의 거칠고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작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 상기한 면취 가공은 줄이나 샌드페이퍼를 사용하여 공작물의 모서리를 절삭하는 수작업과 모터의 동력을 이용한 핸드면취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밀링머신과 같은 자동절삭기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공작물의 모서리에 대한 면취 가공에서, 줄이나 샌드페이퍼를 이용하거나 핸드면취기를 사용하는 수작업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고도의 숙련된 기술과 경험 없이는 공작물의 모서리를 균일하게 절삭하지 못하므로 미관을 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핸드면취기와 밀링머신을 사용하는 기계작업에서는 비교적 부피가 큰 공작물은 모서리를 균일하게 절삭하였지만, 이에 비해 부피가 작은 공작물은 모서리에 대한 면취 가공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모서리를 균일하게 절삭하지 못하므로 작업능률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를 갖는 공작물의 직선부 및 곡선부 모서리에 정확한 치수와 균일한 면취 가공을 용이하게 실시하고, 공작물의 면취 가공시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두께가 얇은 공작물의 모서리에 대한 면취 가공시 발생하는 공작물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 일측과 타측에 제 1,2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관통공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제 1관통공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와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마주보는 면의 내각이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가이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가이드로 이루어져 공작물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직선가이드, 상기 제 2관통공에 위치되고 중앙영역에 출몰공이 형성되 어 공작물이 놓이는 곡선테이블이 구비된 몸체; 상기 안내홈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공작물을 다각도로 안내하기 위한 다각안내부; 상기 곡선테이블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공작물을 안내하기 위한 공작물안내부; 상기 제 1관통공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로 노출되는 직선면취날에 의해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직선면취부; 상기 곡선테이블과 결합되도록 상기 제 2관통공에 설치되고, 상기 출몰공을 통하여 출몰되는 곡선면취날에 의해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곡선면취부; 및 상기 직선면취부와 곡선면취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내에 설치되고, 상기 직선면취날과 곡선면취날이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에 따른 면취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면취기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다각안내부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공작물안내부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직선면취부의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1에 도시된 곡선면취부의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1에 도시된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면취기는 상면 일측과 타측에 제 1,2관통공(10A,10B)이 각각 형성되고 제 1관통공(10A)의 양측에 공작물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직선가이드(12)가 설치되며 제 2관통공(10B)에 공작물이 놓이는 곡선테이블(14)이 구비된 몸체(10), 몸체(10)의 직선가이드(12)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공작물을 다각도로 안내하기 위한 다각안내부(20), 곡선테이블(14)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공작물을 안내하기 위한 공작물안내부(30), 제 1관통공(10A)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몸체(10)내에 설치되어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직선면취부(40), 곡선테이블(14)이 결합되도록 제 2관통공(10B)에 설치되고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곡선면취부(60), 그리고 직선면취부(40)와 곡선면취부(6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7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면취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는 내부가 중공되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몸체(10)의 상면 일측과 타측에는 제 1,2관통공(10A,10B)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몸체(10)의 제 1관통공(10A) 양측에는 공작물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고정가이드(12A)와 이동가이드(12B)로 이루어진 직선가이드(12)가 구비된다. 고정가이드(12A)의 일측에는 개구부(13A)가 형성되고, 개구부(13A)의 양측에는 고정가이드(12A)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서로 평행한 장공형상의 간격조절공(13B)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가이드(12A)는 몸체(10)의 제 1관통공(10A)과 개구부(13A)가 연통되도록 제 1관통공(10A)의 양측 중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고정가이드(12A)는 평평한 몸체(10)의 상면에 대해 45°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가이드(12A)에는 제 1관통공(10A)의 타측에 위치되어 고정가이드(12A)와 마주보는 면의 내각이 직각을 이루도록 이동가이드(12B)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가이드(12B)의 내면에는 다각안내부(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3C)이 형성된다. 이동가이드(12B)의 외면에는 고정가이드(12A)의 개구부(13A)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판(13D)이 결합된다. 차폐판(13D)은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시 발생하는 칩이 몸체(10)의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동가이드(12B)는 간격조절공(13B)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고정가이드(12A)의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가이드(12B)의 이동거리는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대략 5㎜∼10㎜정도 면취 가공할 수 있는 거리이다.
상기한 몸체(10)의 제 2관통공(10B)에는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해 공작물이 놓이는 곡선테이블(14)이 구비된다. 곡선테이블(14)의 상면 중앙영역에는 출몰공(14A)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곡선테이블(14)의 저면에는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결합부(14B)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곡선테이블(14)은 결합부(14B)에 의해 후술할 곡선면취부(60)와 나사결합된다.
상기한 몸체(10)의 내부에는 공작물의 면취 가공시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부재(16)가 구비된다. 이러한 방진부재(16)는 몸체(10)를 하나로 결속하도록 내측면에 설치되어 공작물의 면취 가공에 따른 몸체(10)의 자체 진동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몸체(10)의 저면에는 공작물의 면취 가공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흡수부재(18)가 각각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진동흡수재(18)는 몸체(10)의 저면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진동흡수부재(18)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각안내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12B)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홈(13C)에 설치되어 공작물을 직선가이드(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다각도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안내홈(12C)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이동구(22), 이동구(22)의 상면에 결합되어 공작물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판(24), 안내판(24)의 상면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분도기(26), 이동구(22)의 일측에 설치되어 분도기(26)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조임부재(28)를 포함한다.
이동구(22)는 이동가이드(12B)의 안내홈(13C)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안내홈(13C)을 따라 이동가이드(12B)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구(22)의 일측 상면에는 나사(22A)와 고정핀(22B)이 돌출되게 각각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안내판(24)은 이동구(22)의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안내판(24) 상에는 공작물이 놓이게 되어 이동가이드(12B)와의 마찰에 의한 공작물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분도기(26)는 안내판(24)의 중간부 상면에 회동되도록 힌지로 결합된다. 분도기(26)의 일측에는 공작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26A)이 수직하게 돌출 하여 형성된다. 분도기(26)의 타측 상면에는 각도눈금(26B)이 형성된다. 이러한 분도기(26)는 안내홈(13C)에 삽입된 이동구(22)에 의해 직선가이드(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힌지에 의해 회동되어 안내면(26A)에 밀착된 공작물을 다양한 각도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한 이동구(22)의 일측 상면에는 이동구(22)의 중간부에 힌지로 결합된 분도기(26)를 이동구(22)에 고정/해제시키도록 조임구(28A)와 조임핸들(28B)을 구비한 조임부재(28)가 설치된다. 조임구(28A)는 이동구(22)의 일측 상면에 돌출되도록 고정 결합된 나사(22A)와 고정핀(22B)에 각각 끼워져 나사(22A)가 조임구(28A)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분도기(26)의 타측과 접촉되는 조임구(28A)의 일측에는 분도기(26)의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단이진 수용부(29A)가 형성된다. 조임구(28A)의 일측 상면에는 수용부(29A)의 일부분이 수용된 분도기(26)의 각도눈금(26B)과 일치시켜 정확한 각도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기준눈금(29B)이 형성된다. 조임구(28A)의 상부에는 조임구(28A)를 관통하여 돌출된 나사(22A)에 조임과 풀림이 자유롭게 나사결합되는 조임핸들(28B)이 설치된다. 이러한 조임핸들(28B)을 조임하거나 풀림하는 과정에 의해 분도기(26)가 이동구(22)에 고정/해제된다.
즉, 이동구(22)의 상면에 결합된 분도기(26)의 일부분이 조임구(28A)의 수용부(29A)에 수용되므로 조임구(28A)의 상면으로 돌출된 나사(22A)에 결합된 조임핸들(28B)을 조임하면 조임구(28A)가 조임핸들(28B)에 의해 이동구(22)에 압착되면서 수용부(29A)에 일부분이 수용된 분도기(26)를 압착하게 되므로 분도기(26)가 이동구(22)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조임핸들(28B)을 풀림하면 조임구(28A)의 압착상태가 해제되면서 수용부(29A)에 일부분이 수용된 분도기(26)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조임구(28A)는 이동구(22)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고정핀(22B)에 의해 좌,우로 유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각안내부(20)는 안내홈(13C)에 삽입되어 이동가이드(12B)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구(22)의 상면에 힌지로 결합된 분도기(26)로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에 면취 가공하거나 또는 공작물의 선택된 모서리부를 면취 가공할 경우, 다양한 각도로 변화시켜서 조임부재(28)로 고정/해제시킬 수 있으며, 공작물에 따라서 안내홈(13C)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공작물안내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테이블(1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시 공작물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곡선테이블(14)의 상면에 설치되어 공작물의 안내하기 위한 안내바(32), 및 안내바(32)를 곡선테이블(1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6)를 포함한다.
안내바(32)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안내바(32)의 일측 중앙부에는 출몰공(14A)과 동일한 위치에 반원홈(34)이 형성된다. 반원홈(34)은 곡선테이블(14)의 출몰공(14A)을 통하여 노출되는 곡선면취부(60)의 곡선면취날(66B)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안내바(32)에 의해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시 공작물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36)는 안내바(32)를 곡선테이블(1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안내바(32)의 양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나사(36A)가 각각 설치되고, 고정나사(36A)에는 조임과 풀림에 따라 안내바(32)를 곡선테이블(14)에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고정블록(36B)이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부재(36)에 의해 안내바(32)를 곡선테이블(1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작물안내부(30)는 곡선테이블(1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 또는 공작물의 내경 및 외경의 모서리를 면취 가공시 공작물을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주므로 다양한 형상의 곡선부에 대한 면취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적 작은 공작물을 직선방향으로 안내하여 직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할 수도 있다.
한편, 직선면취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가이드(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에 면취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0)의 제 1관통공(10A)에 설치되는 지지부재(44)와 이 지지부재(44)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싱부재(46)와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직선면취날(48A)이 개구부(13A)로 노출되도록 부싱부재(4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직선회전축(48)을 구비하는 직선면취날 지지부재(42), 그리고 지지부재(44)에 설치되어 개구부(13A)로 노출된 직선면취날(48A)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직선회전축(48)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지지부재(44)는 몸체(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 1관통공(10A)에 설치된다. 지지부재(44)의 내부에는 제 1관통공(10A)과 연통되는 제 1설치부(44A)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지지부재(44)의 외주면에는 제 1설치부(44A)와 직교되게 연통되는 제 2설치부(44B)가 형성된다.
그리고 부싱부재(46)는 지지부재(44)의 제 1설치부(44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부싱부재(46)의 외주면에는 제 2설치부(44B)와 동일한 위치에 사각형의 캠홈(47)이 절삭되어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재(44)의 제 1설치부(44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부싱부재(46)에는 직선회전축(48)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직선회전축(48)의 일측에는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직선면취날(48A)이 결합된다. 이때, 직선면취날(48A)은 개구부(13A)로 노출된다. 부싱부재(46)의 일측과 접하는 직선면취날(48A)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지지부재(44)의 제 1설치부(44A) 입구에 걸림되기 위한 걸림단(48B)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단(48B)에 의해 직선면취날(48A)이 제 1설치부(44A)의 입구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한 높이조절수단은 지지부재(44)의 제 2설치부(44B)에 설치되어 개구부(13C)로 노출된 직선면취날(48A)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직선회전축(48)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부싱부재(46)의 캠홈(47) 내로 삽입되는 캠(51)이 형성되는 작동부재(50), 작동부재(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 2설치부(44B)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52), 직선회전축(48)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하로 높이조절되도록 작동부재(50)를 회전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핸들(54)을 포함한다.
작동부재(50)의 일측에는 캠홈(47)에 삽입되는 캠(51)이 형성된다. 이러한 작동부재(50)는 지지브라켓(52)에 의해 제 2설치부(44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작동부재(50)의 타측은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지지브라켓(52)의 상면에는 기준눈금(53)이 형성된다. 작동부재(50)의 타측에는 캠홈(47)내 에 삽입된 캠(51)의 회전을 통해 직선회전축(48)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하로 높이조절되도록 작동부재(50)를 회전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핸들(54)이 결합된다. 높이조절핸들(54)의 외주면에는 지지브라켓(52)의 기준눈금(53)과 일치시켜 정확한 높이 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치수눈금(5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직선회전축(48)의 높이를 조절하려는 경우, 직선면취날(48A)의 걸림단(48B)이 지지부재(44)의 제 1설치부(44A) 입구와 접촉된 상태에서 높이조절핸들(54)을 회전시키면 작동부재(50)가 회전되어 캠홈(47)내에 삽입된 캠(51)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캠(51)의 회전에 의해 캠홈(47)이 형성된 부싱부재(46)가 캠(51)의 궤적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직선회전축(48)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에 면취 가공하기 위해 개구부(13A)로 노출된 직선면취날(48A)의 높이가 조절된다.
여기에서 높이조절핸들(54)의 회전에 따라 직선회전축(48)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정해진 범위는 직선면취날(48A)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단(48B)이 지지부재(44)의 제 1설치부(44A) 입구와 접촉된 상태(0㎜)를 기준으로 하여 상방으로 5㎜정도이다. 따라서, 높이조절핸들(54)을 이용하여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에 면취 가공할 수 있는 범위는 대략 0㎜∼5㎜이다.
상기한 높이조절수단에는 높이조절핸들(54)의 회전이 고정/해제되도록 작동부재(5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가압수단이 구비된다. 가압수단은 작동부재(50)의 일측 내부에 결합되어 캠홈(47)에 밀착되게 가압되는 가압구(50A), 작동부재(50)의 타측에 결합되어 가압구(50A)를 캠홈(47)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 (50B), 및 가압부재(50B)에 결합되어 작동부재(50)의 회전을 고정/해제하기 위한 가압핸들(50C)을 포함한다.
가압구(50A)는 작동부재(50)의 일측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구(50)는 외력에 의해 캠홈(47)에 밀착되게 가압된다.
그리고 가압부재(50B)는 작동부재(50)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가압부재(50B)는 가압구(50A)를 캠홈(51)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가압핸들(50C)은 가압부재(50B)를 작동부재(5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압부재(50B)에 나사를 통해 결합되어 작동부재(50)의 회전을 고정/해제시키게 된다.
즉, 가압핸들(50C)을 정회전시키면 가압부재(50B)가 캠홈(47)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압구(50A)를 캠홈(47)방향으로 가압하고, 이로 인해 가압구(50A)가 캠홈(47)에 밀착되게 가압되므로 작동부재(50)의 회전이 고정되어 높이조절핸들(54)을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반면에, 가압핸들(50C)을 역회전시키면 가압부재(50B)가 캠홈(47)의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압구(50A)에 대한 가압상태가 해제되고, 이로 인해 캠홈(47)에 밀착되게 가압된 가압구(50A)의 가압력이 소멸되므로 작동부재(50)의 고정이 해제되어 높이조절핸들(54)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곡선면취부(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테이블(14)에 놓이는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 내,외면나사부(64A,64B)가 형성되어 몸체(10)의 제 2관통공(10B)에 설치되는 연결부재(64)와 곡선면취날(66B)이 결합되어 연결부재(6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곡선회전축(66) 이 구비되는 곡선면취날 지지부재(62), 및 연결부재(64)의 외면나사부(64B)에 결합되어 곡선면취날(66B)이 출몰공(14A)을 통하여 출몰되도록 연결부재(64)의 내면나사부(64A)에 나사결합되는 곡선테이블(1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68)를 포함한다.
연결부재(64)는 일측에 내,외면나사부(64A,64B)가 형성되어 몸체(10)의 제 2관통공(10A)에 설치된다. 이때, 내,외면나사부(64A,64B)가 형성된 연결부재(64)의 일측은 몸체(10)의 상면으로 노출된다. 연결부재(64)의 외면나사부(64B) 하측에는 기준눈금(65)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64)의 내면나사부(64A)에는 곡선테이블(14)의 결합부(14B)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곡선회전축(66)은 제 2관통공(10B)에 설치된 연결부재(6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곡선회전축(66)의 일측에는 곡선면취날(66B)을 교체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척(66A)이 형성된다. 이러한 척(66A)에 의해 공작물의 곡선부 면취 가공시 다양한 형상의 곡선면취날(66B)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재(68)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부재(64)의 외면나사부(64B)에 나사결합된다. 높이조절부재(68)의 외주면에는 연결부재(64)의 기준눈금(65)과 일치되어 정확한 높이 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치수눈금(69)이 형성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재(68)는 연결부재(64)의 내면나사부(64A)에 나사결합되는 곡선테이블(14)의 출몰공(14A)을 통하여 곡선회전축(66)에 결합된 곡선면취날(66B)이 출몰되도록 곡선테이블(1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곡선테이블(14)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곡선테이블(14) 저면이 연결부 재(64)의 일측과 접촉되도록 나사결합되어 조임된 상태에서 내면나사부(64A)에 나사결합된 곡선테이블(14)의 결합부(14B)가 풀림되도록 회전시켜 곡선테이블(14)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외면나사부(64B)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부재(68)를 회전시켜 원하는 치수눈금(69)을 기준눈금(65)과 일치시킨다. 그리고 곡선테이블(14)이 연결부재(64)에 다시 조임되도록 나사결합하여 곡선테이블(1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곡선테이블(14)의 높이조절에 따라 출몰공(14A)을 통하여 출몰되는 곡선면취날(66B)은 곡선테이블(14)이 연결부재(64)의 상방으로 이동될수록 적게 노출되고, 곡선테이블(14)의 저면이 연결부재(64)의 일측과 접촉되도록 조임된 상태에서 가장 많이 노출되며, 곡선테이블(14)의 높이조절에 따라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에 면취 가공할 수 있는 범위는 대략 0㎜∼2㎜ 정도이다.
상기한 곡선테이블(14)과 연결부재(64)에는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시 발생하는 칩을 배출하기 위한 칩 배출수단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서 칩 배출수단은 곡선테이블(14)의 결합부 내에 형성되는 칩유도홈(14C), 곡선테이블(14)과 나사결합되는 연결부재(64)에 형성되는 칩배출홈(64C)을 포함한다.
칩유도홈(14C)은 곡선테이블(14)의 결합부(14B)내에 형성되도록 출몰공(14A)의 하방에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칩배출홈(64C)은 연결부재(64)의 내면나사부(64A)내의 바닥면 양측에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칩배출홈(64C)은 칩유도홈(14C)에 의해 유도되는 칩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칩 배출수단에 의해 곡선테이블(14)에서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시 발생되는 칩은 출몰공(14A)과 칩유도홈(14C)에 의해 하방으로 유도되고, 칩배출홈(64C)을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한편, 동력전달부(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면취부(40)와 곡선면취부(60)에 각각 구비되는 직선면취날(48A)과 곡선면취날(66B)이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직선회전축(48)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1피동부재(72), 곡선회전축(66)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피동부재(74), 제 1피동부재(72)와 제 2피동부재(74)에 각각 연결되는 구동부재(76B)가 구비되어 몸체(10)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76), 및 몸체(1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76)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스위치(78)를 포함한다.
이때, 구동모터(76)에 구비되는 모터축(76A)은 선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구동부재(76B)와 결합된다. 이러한 모터축(76A)에 의해 구동부재(76B)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 1피동부재(72)와 제 2피동부재(74)는 구동부재(76B)와 기어, 체인, 벨트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벨트로 연결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49, 67은 베어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면취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작은 치수 범위 내에서 면취 가공할 경우에 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에 원하는 치수로 면취 가공할 수 있도록 직선면취부(40)에 구비되는 높이조절핸들(54)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높이조절핸들(54)과 결합된 작동부재(50)가 회전되고, 작동부재(50)의 캠(51)이 삽입되도록 캠홈(47)이 형성된 부싱부재(46)가 캠(51)의 궤적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이에 의해 부싱부재(46)에 결합된 직선회전축(48)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고정가이드(12A)의 개구부(13A)로 노출된 직선면취날(48A)이 원하는 높이로 높이조절된다.
계속해서, 직선면취날(48A)의 높이가 조절되면 작동부재(50)에 구비된 가압핸들(50C)을 정회전시킨다. 그러면, 가압핸들(50C)에 의해 가압부재(50B)가 캠홈(47)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압구(50A)를 캠홈(47)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가압구(50A)는 캠홈(47)에 밀착되게 가압되므로 작동부재(50)의 회전이 고정되어 높이조절핸들(54)을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반면에, 가압핸들(50C)을 역회전시키면 가압부재(50B)가 캠홈(47)의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압구(50A)에 대한 가압상태가 해제되고, 이로 인해 캠홈(47)에 밀착되게 가압된 가압구(50A)의 가압력이 소멸되므로 작동부재(50)의 고정된 회전상태가 해제되어 높이조절핸들(54)을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높이조절핸들(54)의 회전에 의해 직선면취날(48A)이 원하는 높이로 높이조절되고, 가압핸들(50C)에 의해 높이조절핸들(54)의 회전이 고정되면 동력전달부(70)의 구동스위치(78)를 온 시킨다. 그러면, 구동모터(76)의 구동에 따라 구동모터(76)와 모터축(76A)으로 연결된 구동부재(76B)가 회전되고, 구동부재(76B) 와 벨트로 연결된 제 1피동부재(72)가 회전되며, 이에 의해 직선회전축(48)이 회전되어 직선면취날(48A)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모터축(76A)은 선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구동부재(76B)와 결합되므로 구동부재(76B)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 방지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공작물을 직선가이드(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개구부(13A)로 노출된 직선면취날(48A)로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원하는 치수로 면취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시 발생하는 칩은 이동가이드(12B)의 저면에 개구부(13A)를 차폐하도록 결합된 차폐판(13D)에 의해 몸체(10)의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핸들(54)에 의한 직선면취날(48A)의 높이조절에 따라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에 대략 0㎜∼5㎜ 정도의 면취 가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큰 치수 범위 내에서 면취 가공할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12B)가 고정가이드(12A)에 결합되도록 조임된 볼트를 풀어 이동가이드(12B)를 고정가이드(12A)의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볼트로 조임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면, 이동가이드(12B)의 이동에 따라 직선가이드(12)로 안내되는 공작물이 직선면취날(48A)과 많이 접촉되는 상태가 되므로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더욱 크게 면취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이동가이드(12B)가 고정가이드(12A)의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개구부(13A)의 양측에 고정가이드(12A)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서로 평행한 장공형상의 간격조절공(13B)이 형성되고, 간격조절공(13B)으 로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이동가이드(12B)가 고정가이드(12A)에 결합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가이드(12A)에 설치된 이동가이드(12B)의 이동에 따라 공작물 직선부 모서리에 대략 5㎜∼10㎜ 정도의 면취 가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다각안내부(20)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다양한 각도로 안내하면서 직선부 모서리 또는 선택된 모서리부에 면취 가공을 할 경우에는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12B)에 형성된 안내홈(13C)에 다각안내부(20)를 설치하고, 이동구(22)의 상면에 결합된 안내판(24)에 설치되는 분도기(26)를 이동구(22)에 직각되게 조절한 후, 조임부재(28)를 조임하면 조임구(28A)가 조임핸들(28B)에 의해 압착되면서 분도기(26)가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작물의 직선부 중 일면이 분도기(26)의 안내면(26A)에 밀착되도록 안내판(24)상에 올려놓은 후, 분도기(26)를 이동가이드(12B)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분도기(26)는 이동구(22)가 안내홈(13C)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관계로 공작물을 직선가이드(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분도기(26)에 의해 이동되는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는 고정가이드(12A)의 개구부(13A)로 노출된 직선면취날(48A)에 의해 면취 가공되는 것이다.
반면에, 이동구(22)에 설치된 분도기(26)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고, 조임부재(28)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면취 가공될 공작물의 선택된 모서리부가 직선면취날(48A)과 접촉하도록 공작물의 일면을 분도기(26)의 안내면에 밀착시킨 다음, 분도기(26)를 이동가이드(12B)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분도기(26)는 이동구(22)가 안내홈(13C)을 따라 이동하는 관계로 공작물을 이동가이드(12B)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분도기(26)에 이동되는 공작물의 선택된 모서리부는 고정가이드(12A)의 개구부(13A)로 노출된 직선면취날(48A)에 의해 면취 가공되는 것이다.
상기한 공작물은 안내판(24)상에 놓인 상태로 다각안내부(20)에 의해 이동가이드(12B)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이동가이드(12B)와의 직접적인 마찰에 의한 표면 손상이 방지된다.
한편,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할 경우에는 도 9a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테이블(14)의 저면이 연결부재(64)의 일측과 접촉되도록 나사결합되어 조임된 상태에서 내면나사부(64A)에 나사결합된 곡선테이블(14)의 결합부(14B)가 풀림되도록 회전시켜 곡선테이블(14)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연결부재(64)의 외면나사부(64B)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부재(68)를 회전시켜 원하는 치수눈금(69)을 기준눈금(65)과 일치시킨 다음, 곡선테이블(14)을 연결부재(64)에 다시 조임하여 곡선테이블(14)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러면, 곡선회전축(66)의 척(66A)에 결합된 곡선면취날(66B)이 곡선테이블(14)의 출몰공(14A)을 통하여 원하는 높이로 노출된다. 이때, 곡선테이블(14)의 높이조절에 따라 출몰공(14A)을 통하여 출몰되는 곡선면취날(66B)은 곡선테이블(14)이 연결부재(64)의 상방으로 이동할수록 적게 노출되고, 곡선테이블(14)의 저면이 연결부재(64)의 일측과 접촉되도록 조임된 상태에서 가장 많이 노출된다.
계속해서, 곡선테이블(14)의 높이조절에 의해 곡선면취날(66B)이 출몰공 (14A)을 통하여 원하는 높이로 노출되면, 동력전달부(70)의 구동스위치(78)를 온 시킨다. 그러면, 구동모터(76)의 구동에 따라 구동모터(76)와 모터축(76A)으로 연결된 구동부재(76B)가 회전되고, 구동부재(76B)와 벨트로 연결된 제 2피동부재(74)가 회전되며, 이에 의해 곡선회전축(66)이 회전되어 곡선면취날(66B)이 회전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곡선테이블(14)의 상면에 공작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 또는 공작물의 내경 및 외경에 대해 면취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곡선테이블(14)에 놓인 공작물에서 발생하는 칩은 출몰공(14A)과 칩유도홈(14C)에 의해 곡선테이블(14)의 하방으로 유도되고, 연결부재(64)에 형성되는 칩배출홈(64C)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몸체(10)의 내부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곡선테이블(14)의 높이조절에 따라 출몰공(14A)으로 곡선면취날(66B)을 출몰시켜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에 대략 0㎜∼2㎜ 정도의 면취 가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공작물안내부(60)를 이용하여 곡선테이블(14)상에서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할 경우에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테이블(14)의 상면 원하는 위치에 안내바(32)를 위치시키고, 안내바(3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고정부재(36)를 조임하면 고정블록(36B)이 고정나사(36A)에 의해 곡선테이블(14)에 압착되면서 안내바(32)가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작물의 일면을 안내바(32)에 지지시키고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게 된다. 따라서, 공작물안내 부(30)에 의해 안내되는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는 곡선테이블(14)의 출몰공(14A)을 통하여 노출되는 곡선면취날(66B)에 의해 안정적으로 면취 가공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공작물안내부(3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을 직선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곡선테이블(14)상에 위치시키고, 비교적 작은 공작물을 직선방형으로 안내하여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작물안내부(30)는 곡선테이블(1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 또는 공작물의 외경 모서리를 면취 가공시 공작물을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주므로 다양한 형상의 곡선부에 대한 면취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작은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면취기는 상면 일측과 타측에 제 1,2관통공(10A,10B)이 각각 형성되고 제 1관통공(10A)의 양측에 공작물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직선가이드(12)가 설치되며 제 2관통공(10B)에 공작물이 놓이는 곡선테이블(14)이 구비된 몸체(10), 몸체(10)의 직선가이드(12)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공작물을 다각도로 안내하기 위한 다각안내부(20), 곡선테이블(14)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공작물을 안내하기 위한 공작물안내부(30), 제 1관통공(10A)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몸체(10)내에 설치되어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직선면취부(40), 곡선테이블(14)이 결합되도 록 제 2관통공(10B)에 설치되고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곡선면취부(60), 그리고 직선면취부(40)와 곡선면취부(6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7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면취기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면취기의 구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이동가이드(12B)와 마주보는 고정가이드(12A)의 내면에는 두께가 얇은 공작물의 진동이 방지되도록 공작물을 누르기 위한 누름부재(80)가 구비된다.
상기한 누름부재(80)는 고정가이드(12A)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구(82), 회동구(82)에 나사결합되어 공작물의 표면을 누르기 위한 누름구(84), 및 누름구(84)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회동구(82)에 나사결합되는 회동방지구(86)를 포함한다.
회동구(82)의 일측에는 볼트(82A)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결합공(82B)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구(82)는 볼트(82A)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가이드(12A)의 내면에 설치되고, 볼트(82A)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회전상태가 고정/해제된다.
그리고 누름구(84)는 결합공(82B)에 나사결합되고, 그 선단에는 직선가이드(12)에 의해 안내되는 공작물의 표면을 누르기 위한 볼(85)이 결합된다.
또한, 결합공(82B)에는 누름구(84)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누름구(84)를 가압하기 위한 회전방지구(86)가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면취기는 볼트 (82A)를 중심으로 회동구(82)를 회전시켜 누름구(84)에 결합된 볼(85)로 직선가이드(12)의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두께가 얇은 공작물의 표면을 눌러줌으로써,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시 발생하는 공작물의 진동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안정적인 면취 가공을 통해 두께가 얇은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균일하게 면취 가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면취기는 직선면취날과 곡선면취날의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를 갖는 공작물의 직선부와 곡선부의 모서리에 대해 정확한 치수로 면취 가공을 할 수 있고, 공작물을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공작물의 직선부와 곡선부 모서리를 균일하게 면취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작물의 면취 가공시 발생하는 장치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얇은 공작물의 모서리를 면취 가공시 발생하는 공작물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상면 일측과 타측에 제 1,2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관통공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제 1관통공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와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마주보는 면의 내각이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가이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가이드로 이루어져 공작물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직선가이드, 상기 제 2관통공에 위치되고 중앙영역에 출몰공이 형성되어 공작물이 놓이는 곡선테이블이 구비된 몸체;
    상기 안내홈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공작물을 다각도로 안내하기 위한 다각안내부;
    상기 곡선테이블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공작물을 안내하기 위한 공작물안내부;
    상기 제 1관통공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로 노출되는 직선면취날에 의해 공작물의 직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직선면취부;
    상기 곡선테이블과 결합되도록 상기 제 2관통공에 설치되고, 상기 출몰공을 통하여 출몰되는 곡선면취날에 의해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곡선면취부; 및
    상기 직선면취부와 곡선면취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내에 설치되고, 상기 직선면취날과 곡선면취날이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방진부재가 구비되고, 이에 의해 공작물의 면취 가공시 발생하는 진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가이드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서로 평행한 간격조절공이 각각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이동가이드는 상기 고정가이드에 대해 상기 간격조절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각안내부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이동구;
    상기 이동구의 상면에 결합되어 공작물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판;
    상기 안내판의 상면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공작물의 안내면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분도기; 및
    상기 분도기의 타측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일측에 단이진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구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나사와 고정핀에 상기 나사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끼워지는 조임구, 상기 조임구의 상측으로 돌출된 나사에 조임과 풀림이 자유롭게 나사결합되어 상기 분도기를 상기 이동구에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조임핸들로 이루어져 상기 분도기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안내부는,
    상기 곡선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어 공작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바; 및
    상기 안내바의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고정나사에 의해 조임과 풀림되어 상기 안내바를 상기 곡선테이블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블록이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선면취부는,
    상기 몸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관통공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 1관통공과 연통되는 제 1설치부가 관통하여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 1설치부와 직교되게 연통되는 제 2설치부가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제 1설치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 2설치부와 동일한 위치에 캠홈이 형성되는 부싱부재, 일측에 결합되는 직선면취날이 상기 개구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부싱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직선회전축이 구비되는 직선면취날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제 2설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로 노출된 상기 직선면취날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직선회전축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높이조 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재의 일측과 접하는 상기 직선면취날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제 1설치부 입구에 걸림되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직선면취날이 상기 제 1설치부의 입구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일측에 상기 부싱부재의 상기 캠홈 내로 삽입되는 캠이 형성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 2설치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작동부재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직선회전축이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하로 높이조절되도록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작동부재의 일측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캠홈에 밀착되게 가압되는 가압구;
    상기 작동부재의 타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압구를 상기 캠홈방향으로 가 압하기 위한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을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가압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선면취부는,
    일측에 형성되는 내,외면나사부가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2관통공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곡선면취날이 교체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척이 형성되는 곡선회전축이 구비되는 곡선면취날 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외면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곡선면취날이 상기 출몰공을 통하여 출몰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내면나사부에 결합부가 나사결합되는 상기 곡선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곡선테이블과 상기 연결부재에는 공작물의 곡선부 모서리를 면취 가공시 발생하는 칩을 배출하기 위한 칩 배출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칩 배출수단은,
    상기 곡선테이블의 상기 결합부 내에 상기 출몰공과 연통되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칩유도홈;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내면나사부 내의 바닥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칩유도홈에 의해 유도되는 칩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칩배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직선회전축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1피동부재;
    상기 곡선회전축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피동부재;
    상기 제 1피동부재 및 상기 제 2피동부재와 각각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와 결합되는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은 선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에 의해 구동부재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14.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6, 청구항 10,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와 마주보는 상기 고정가이드의 내면에는 얇은 판재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누름부재는,
    일측에 볼트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가이드의 내면에 상기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볼트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그 회전상태가 고정/해제되는 회동구;
    상기 누름부재의 상기 결합공에 나사결합되고, 선단에 상기 판재의 표면을 누르기 위한 볼이 결합되는 누름구; 및
    상기 누름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공에 나사결합되는 회전방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15. 상면 일측과 타측에 제 1,2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관통공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제 1관통공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와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고 마주보는 면의 내각이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가이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가이드로 이루어져 공작물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직선가이드, 상기 제 2관통공에 위치되고 중앙영역에 출몰공이 형성되어 공작물이 놓이는 곡선테이블이 구비된 몸체;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이동구, 상기 이동구의 상면에 결합되어 공작물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판, 상기 이동구의 상면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공작물의 안내면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분도기, 상기 분도기의 타측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일측에 단이진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구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나사와 고정핀에 상기 나사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끼워지는 조임구, 상기 조임구의 상측으로 돌출된 나사에 조임과 풀림이 자유롭게 나사결합되어 상기 분도기를 상기 이동구에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조임핸들로 이루어진 다각안내부;
    상기 곡선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어 공작물의 안내하기 위한 안내바, 상기 안내바의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나사에 의해 조임과 풀림되어 상기 안내바를 상기 곡선테이블에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진 공작물안내부;
    상기 몸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관통공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 1관통공과 연통되는 제 1설치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 1설치부와 직교되게 연통되는 제 2설치부가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제 1설치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 2설치부와 동일한 위치에 캠홈이 형성되는 부싱부재와 일측에 결합되는 직선면취날이 상기 부싱부재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부싱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직선회전축이 구비되는 직선면취날 지지부재, 일측에 상기 부싱부재의 상기 캠홈 내로 삽입되는 캠이 형성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 2설치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작동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직선회전축이 상기 캠의 회전을 통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하로 높이조절되도록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높이조절핸들로 이루어진 직선면취부;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가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2관통공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곡선면취날이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척이 형성되는 곡선회전축이 구비되는 곡선면취날 지지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곡선면취날이 상기 출몰공으로 출몰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곡선테 이블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로 이루어진 곡선면취부;
    상기 직선회전축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1피동부재, 상기 곡선회전축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피동부재, 상기 제 1피동부재 및 상기 제 2피동부재와 각각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스위치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 및
    일측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가이드의 내면에 상기 나사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나사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회전상태가 고정/해제되는 회동구, 상기 결합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판재를 누르기 위한 누름구, 상기 누름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공에 나사결합되는 회전방지구로 이루어진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KR1020060049062A 2006-05-30 2006-05-30 면취기 KR100810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062A KR100810689B1 (ko) 2006-05-30 2006-05-30 면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062A KR100810689B1 (ko) 2006-05-30 2006-05-30 면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125A true KR20070115125A (ko) 2007-12-05
KR100810689B1 KR100810689B1 (ko) 2008-03-07

Family

ID=3914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062A KR100810689B1 (ko) 2006-05-30 2006-05-30 면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6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559B1 (ko) * 2010-11-10 2013-01-29 주식회사 공영 면취기
KR20220072492A (ko) * 2020-11-25 2022-06-02 원규일 정밀한 가공이 가능한 휴대용 밀링 면취기 장치
KR102406419B1 (ko) * 2020-12-30 2022-06-07 박나희 면취기
CN116652259A (zh) * 2023-07-27 2023-08-29 山西兴旺达锻压有限公司 一种大直径风电法兰螺栓孔定位标记线加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977B1 (ko) 2012-04-09 2013-10-17 한성웰텍 (주) 철판모서리 면취장치
KR102402838B1 (ko) 2022-03-04 2022-05-26 박용식 필릿 면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371U (ko) * 1999-06-28 2001-01-15 이구택 백업롤 에지부의 모따기가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559B1 (ko) * 2010-11-10 2013-01-29 주식회사 공영 면취기
KR20220072492A (ko) * 2020-11-25 2022-06-02 원규일 정밀한 가공이 가능한 휴대용 밀링 면취기 장치
KR102406419B1 (ko) * 2020-12-30 2022-06-07 박나희 면취기
CN116652259A (zh) * 2023-07-27 2023-08-29 山西兴旺达锻压有限公司 一种大直径风电法兰螺栓孔定位标记线加工装置
CN116652259B (zh) * 2023-07-27 2023-09-29 山西兴旺达锻压有限公司 一种大直径风电法兰螺栓孔定位标记线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689B1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689B1 (ko) 면취기
US7717653B2 (en) Processing tool
EP1987916B1 (en) A grinding machine and a grinding jig therefore
US6592307B2 (en) Planing device for removing weld beads on car sheet metal
US10518434B2 (en) Structure of power carpentry feeder machine
KR20130034075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밀링 머신용 바이스
KR100644400B1 (ko) 면취기의 직선구간용 면취장치
KR20110077547A (ko) 회전수단을 가지는 연마가공물 고정용 지그
KR101227559B1 (ko) 면취기
KR100587843B1 (ko)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샌딩장치
KR200454203Y1 (ko) 다이아몬드 다이스 연마 가공기
KR101116564B1 (ko) 테이블 타입 면취기
KR200386898Y1 (ko) 휴대용 면취기
KR102095742B1 (ko) 다양한 원뿔각의 연마가공이 가능한 텅스텐 용접봉 연마기
US5725419A (en) Apparatus for removing excess material from workpieces
KR20050087091A (ko) 판재 절단장치
KR20170058016A (ko) 핸디형 유리 면취 장치
CN217194301U (zh) 刀具修复装置
KR20090029498A (ko) 면취장치
KR20040077237A (ko) 연마 가공물 고정용 지그
CN217045690U (zh) 一种磨钻机的钻头定位装置
JP2013056395A (ja) ブレード着脱補助治具
KR102335070B1 (ko) 경사홈 가공을 위한 지그장치
KR0185812B1 (ko) 전동기용 모따기 기계
KR20170067388A (ko) 구두굽 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