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847A - Method of navigating an aircraft to land on a runway - Google Patents

Method of navigating an aircraft to land on a run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847A
KR20070114847A KR1020077026117A KR20077026117A KR20070114847A KR 20070114847 A KR20070114847 A KR 20070114847A KR 1020077026117 A KR1020077026117 A KR 1020077026117A KR 20077026117 A KR20077026117 A KR 20077026117A KR 20070114847 A KR20070114847 A KR 20070114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runway
access
access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1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86404B1 (en
Inventor
제랄드 제이 블록
알버트 조셉 버든
Original Assignee
샌델 애비아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샌델 애비아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샌델 애비아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077026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404B1/en
Publication of KR20070114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8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4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2Automatic approach or landing aids, i.e. systems in which flight data of incoming planes are processed to provide landing data
    • G08G5/025Navigation or guidance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5/04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01C5/005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altimeters for aircraf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control
    • G01S13/91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control for landing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73Surveillance aids
    • G08G5/0086Surveillance aids for monitoring ter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 system for reducing nuisance alerts and warnings in a terrain awareness and warning system for an aircraft, including determining if the aircraft is within a predetermined geometric volume (300) surrounding an airport. If the aircraft is within the geometric volume (300), then determining the aircraft's current projected flight path for a selected distance or time and comparing it with at least one approach volume (300) extending from a runway (202) at the airport towards an outer boundary of the geometric volume (300). If the aircraft's current projected flight path is such that the aircraft is expected to be within the approach volume (300) and stay within the approach volume (300) to runway (200), then inhibiting selected alerts and warnings associated with non-threatening therein.

Description

항공기가 활주로에 착륙하도록 항행하는 방법{METHOD OF NAVIGATING AN AIRCRAFT TO LAND ON A RUNWAY}How to fly an aircraft to land on a runway {METHOD OF NAVIGATING AN AIRCRAFT TO LAND ON A RUNWAY}

본 발명은 항공전자공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형 인식 및 경고 시스템(Terrain Awareness and Warning Systems, TAWS)과 항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vionics, and more particularly, to terrain awareness and warning systems (TAWS) and navigation systems.

항공기를 위한 종래의 지형 인식 시스템(terrain awareness system)용 고도 디스플레이는 파일롯에게 항공기 하부 일정 거리(예컨대, 2000')내의 지형뿐만 아니라, 항공기보다 높은 고도의 지형에 대한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만일 항공기가 지형에 부딪히거나 상대적으로 가까이 가려는 것으로 보이면, 다양한 경보 및 경고가 생성된다(예컨대, Conner 등의 미국특허 6,138,060 참조). 본원에서 사용된 대로, 경고는 경보보다 더 위협적인 조건에 관련된다. 각각은 사용자에게 가청, 가시적 또는 기타 유형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An altitude display for a conventional terrain awareness system for an aircraft provides the pilot with a visual display of terrain at higher altitudes than the aircraft, as well as terrain within a certain distance below the aircraft (eg, 2000 '). If the aircraft appears to be hitting or relatively close to the terrain, various alerts and warnings are generated (see, eg, US Pat. No. 6,138,060 to Conner et al.). As used herein, a warning relates to a more threatening condition than an alarm. Each may include an audible, visible or other type of indication to the user.

종래 시스템의 한 가지 문제는 항공기가 활주로에 착륙하는 것을 준비할 때 오류 또는 불필요한 경보 및 경고가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항공기가 하강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지형(활주로)으로 향하는 것으로 보이게 되는데, 불필요한 경보 및 경고가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지형이 여전히 항행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 결과, 착륙 중 스크린이 위협적이지 않은 지형 데이터로 클러터(clutter)될 수 있다.One problem with conventional systems is that errors or unnecessary alarms and warnings may be generated when the aircraft prepares to land on the runway. That is, as the aircraft descends, it naturally appears to be heading for the terrain (runway), which can cause unnecessary alarms and warnings. In addition, the terrain can still be displayed on the navigation display unit. As a result, the screen may clutter with non-threatening terrain data during landing.

본 발명은 일정 구현예에서 상기 언급된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in some embodiments.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공항 주위의 소정 기하 공간 내에 항공기가 있는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공기용 지형 인식 및 경고 시스템에서 불필요한 경보 및 경고를 감소하기 위한 시스템을 지향한다. 항공기가 상기 기하 공간 내에 있다면, 정해진 거리 또는 시간 동안의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를 항공기 활주로로부터 기하 공간의 외부 경계를 향해 연장한 하나 이상의 접근 공간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가, 항공기가 접근 공간내에 있고 활주로까지 접근 공간내에서 머무를 것으로 예상된다면, 위협적이지 않은 지형과 관련된 정해진 경보 및 경고를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ystem for reducing unnecessary alerts and warnings in a terrain recognition and warning system for an aircraft,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aircraft is in a given geometric space around the airport. If the aircraft is within the geometric space, determining a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of the aircraft for a given distance or time, and comparing it with one or more access spaces extending from the aircraft runway toward the outer boundaries of the geometric space; . If the aircraft's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is to be in the access space and is expected to stay in the access space up to the runway, then prohibiting certain alerts and warnings associated with non-threatening terrain.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에 기초한 소정 가시 전방 영역내의 지형을 디스플레이하고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 이내 또는 근접한 지형에 대한 경보 및 경고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최소한 하기 조건하에서 상기 경보, 경고 및 지형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을 금지하는 금지 모듈을 포함하는 항공기용 지형 인식 및 경고 시스템을 지향한다: 항공기가 공항 주위의 소정 기하 공간내에 있고,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가, 항공기가 공항의 활주로로부터 상기 기하 공간의 외부 경계를 향해 연장되는 접근 공간내에 있고 활 주로로까지 접근 공간내에서 머무를 것으로 예상된다.In another aspect, the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terrain within a predetermined visible forward area based on an aircraft's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and generating alerts and warnings for terrain within or near the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of the aircraft; And a prohibition module for prohibiting one or more of said alerts, warnings, and terrain displays under at least the following conditions: the aircraft is in a predetermined geometric space around an airport and is currently estimated flight of the aircraft; The route is expected to be in an access space extending from the runway of the airport towards the outer boundary of the geometry and stay in the access space up to the runway.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공기가 공항 주위의 소정 기하 공간내에 있는가를 결정하는 단계; 항공기가 상기 기하 공간내에 있다면 정해진 거리 또는 시간동안의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를 공항의 활주로로부터 상기 기하 공간의 외부 경계로 연장한 접근 공간과 비교하는 단계;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가, 항공기가 상기 접근 공간내에 있고 활주로까지의 접근 공간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라면, 항공기가 착륙을 위한 적합한 코스상에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단계;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가, 항공기가 상기 접근 공간내에 있지 않거나 또는 활주로까지 접근 공간내에 머물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라면, 항공기라 착륙을 위한 적합한 코스상에 있지 않다는 것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공기가 활주로에 착륙하도록 항행시키는 방법을 지향한다.In another aspect,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n aircraft is in a predetermined geometric space around an airport; Determining a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of the aircraft for a given distance or time if the aircraft is in the geometric space; Comparing the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of the aircraft with an access space extending from the runway of the airport to the outer boundary of the geometric space; Presenting that the aircraft is on a suitable course for landing if the aircraft's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is that the aircraft is within the access space and is expected to stay in the access space to the runway; If the aircraft's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is that the aircraft is not in the access space or is not expected to stay in the access space until the runway, then the aircraft includes the step of suggesting that the aircraft is not on a suitable course for landing. Aim for a way to land on.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항공기의 지형 인식 및 경고 시스템 또는 항행 시스템의 사용을 위한 활주로로의 접근 공간을 계산하는 방법을 지향한다: (a) 활주로 주위의 소정 기하 공간을 세팅하는 단계; (b) 지면점 인터셉트(ground point intercept, GPI)인 활주로상의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c) 가장 바람직한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을 선택하는 단계; (d) 상기 접근 공간을 위한 측면 경계를 선택하는 단계; (e) 상기 GPI와 교차하고 상기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보다 예각인 소정의 각으로 상기 기하 공간의 외부 경계로 연장되는 시험적 하부 접근 경로면을 고려하는 단계; (f) 상기 시험적 하부 접근 경로면이 소정 세이프티 마진(safety margin)까지 GPI로부터 기하 공간의 외부 경계로의 모든 지형을 배제하는가를 결정하고, 만일 그렇다면 상기 시험적 하부 접근 경로면을 실질 하부 접근 경계면으로 선택하고,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을 증가시키고 실질 하부 접근 경계면이 선택될 때까지 단계 (e) 및 (f)를 반복하는 단계; (g) 상부 접근 경로면이 접근 경로 공간을 위하여 바람직한 최대 접근 경로면을 나타내도록 하는 각도로 활주로상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기하 공간의 외부 경계를 향해 연장된 상부 접근 경로면을 선택하는 단계.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calculating an access space to a runway for use of a terrain recognition and warning system or a navigation system of an aircraft, comprising: (a) setting a predetermined geometry around the runway; step; (b) selecting a location on the runway that is a ground point intercept (GPI); (c)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approach path slide inclination angle; (d) selecting a side boundary for the access space; (e) considering an experimental lower access path surface extending to an outer boundary of the geometric space at a predetermined angle that intersects the GPI and is an acute angle than the approach path slide inclination angle; (f) determine whether the experimental lower access path surface excludes all terrain from the GPI to the outer boundary of the geometric space up to a predetermined safety margin, and if so Selecting as the interface, if not increasing the approach path slide inclination angle and repeating steps (e) and (f) until the real lower access boundary is selected; (g) selecting an upper access path surface extending toward an outer boundary of the geometric space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unway at an angle such that the upper access path surface represents a desired maximum access path surface for the access path spac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에 기초하여 소정 가시 전방 영역내의 지형을 디스플레이하고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 이내의 또는 근접한 지형에 대한 경보 및 경고를 생성하는 수단; 및 최소한 하기 조건들하에서 상기 경보, 경고 및 지형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을 금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항공기용 지형 인식 및 경고 시스템을 지향한다: 항공기가 공항 주위의 소정의 기하 공간내에 있고,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가, 항공기가 공항의 활주로로부터 상기 기하 공간의 외부 경계를 향해 연장되는 접근 공간내에 있고 활주로까지 접근 공간내에서 머무를 것으로 예상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eans for displaying terrain within a predetermined visible forward area based on an aircraft's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and generating alerts and warnings for terrain within or near the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of the aircraft; And means for prohibiting one or more of said alerts, warnings, and terrain displays under at least the following conditions: the aircraft is in a predetermined geometric space around an airport, and the aircraft's current estimate The flight path is expected to be in an access space that extends from the runway of the airport towards the outer boundary of the geometry and stay in the access space up to the runway.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항공기가 공항 주위의 소정 기하 공간내에 있는가를 결정하는 단계; (b) 항공기가 상기 기하 공간내에 있다면 정해진 거리 또는 시간동안의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c)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를 공항의 활주로로부터 상기 기하 공간의 외부 경계로 연장한 하나 이상의 접근 공간과 비교하는 단계; 및 (d)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가, 항공 기가 상기 접근 공간과 교차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정해진 파라미터 하에서 항공기가 활주로까지 접근 공간내에서 머무르도록 상기 접근 공간내에서 운항할 수 있는가를 결정하는 단계; (e) 단계 (d)의 상기 결정이 긍정이라면 지형과 관련된 정해진 경보 및 경고 중 하나 이상을 금지하고 단계 (d)를 반복하는 단계; (f) 단계 (d)의 결정이 부정이라면, 이전에 금지된 단계 (e)의 경보 및 경고를 재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공기용 지형 인식 및 경고 시스템에서 불필요한 경보 및 경고 중 하나 이상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지향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an aircraft is in a predetermined geometric space around an airport; (b) determining the aircraft's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for a given distance or time if the aircraft is in the geometric space; (c) comparing the aircraft's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with one or more access spaces extending from an airport runway to an outer boundary of the geometric space; And (d) if the aircraft's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is to cause the aircraft to intersect the access space, then determining whether the aircraft can operate within the access space to stay in the access space up to the runway under defined parameters; (e) prohibiting one or more of the defined alerts and warnings associated with the terrain and repeating step (d) if the determination of step (d) is positive; (f) if the determination of step (d) is negative, reducing one or more of the unnecessary alerts and warnings in the aircraft terrain recognition and warning system comprising reactivating the alerts and warnings of step (e) previously prohibited. We aim at how to do i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도입할 수 있는 지형 인식 및 경고 시스템(TAWS)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100이 도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100은 본 발명의 양수인이 소유하고 그 전체가 본 출원에 참고적으로 포함된 미국특허 제 6,259,378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LCD 후방 프로젝션 스크린일 수 있는 스크린 디스플레이 102를 채용한다.Referring to FIG. 1, a display device 100 for a terrain recognition and warning system TAWS that can be int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Display device 100 employs screen display 102, which may be an LCD rear projection screen as disclosed in US Pat. No. 6,259,378, owned by the assigne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예시적 배치를 이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에 설명된 특정 버튼 및 기능 배치는 단순히 예시이고 본 발명이 그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생각하여야 한다.An exemplary arrangement of the display device 100 will now be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specific button and function arrangements described below are merely examples an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토글 버튼 104을 누르면,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지형도 디스플레이 및 상대 고도 디스플레이사이에서 토글(toggle)할 수 있다. 예측 고도 디스플레이(predictive altitude display, "PRED") 버튼 106을 누르면, 스크린 디스플레이 102가 PRED 디스플레이로 바뀌고, 이는 "예측 고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라는 제목의 함께 계류중인 미국특허 출원(변호사 명부 번호 0300/012)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When the toggle button 104 is pressed, the screen display can toggle between the topographical display and the relative altitude display. Pressing the predictive altitude display ("PRED") button 106 changes the screen display 102 to a PRED display, which is pending with a 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lawyer number 0300 /). 012).

트래픽 디스플레이 버튼 108은 항공기 근방에서 지역 공중 트래픽의 디스플레이를 가져온다. 이 기능은 해당 항공기의 라디오 범위내에서 작동하는 항공기상의 트랜스폰더(transponder)로부터의 센서 감지를 인풋으로 채용할 수 있다. 보조 버튼 110은 날씨와 같은 다양한 정보, 부수적 항행 보조장치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raffic display button 108 brings a display of local aerial traffic in the vicinity of the aircraft. This function can take as input the sensor detection from a transponder on an aircraft operating within the aircraft's radio range. The auxiliary button 11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such as weather, ancillary navigation aids, and the like.

기능 버튼 126은 사용자가 다양한 기타 버튼들로부터 통상의 인풋(들) 이상의 것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버튼 126은 사용자의 능력을 증대시켜 본 장치의 셋업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경보 또는 경고의 도중에, 기능 버튼 126을 누르면 경보 또는 경고를 묵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보 상태가 제시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 102가 파일롯이 가장 효율적으로 상황에의 해결책을 찾도록 하는 기능의 디스플레이로 스위치될 것이다. 많은 경우에, PRED 기능은 이러한 디스플레이에 가장 적합할 것이다.Function button 126 may allow a user to select more than the typical input (s) from various other buttons. For example, function button 126 can be used to increase the user's ability to perform setup of the device. As another example, during an alert or alert, pressing function button 126 may silence the alert or alert. Preferably, if an alarm condition is presented, display screen 102 will switch to the display of the function that allows the pilot to find the solution to the situation most efficiently. In many cases, the PRED function will be best suited for such displays.

광센서 120이 가시성 개선을 위해 스크린 디스플레이 120의 선명도 및 명암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채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USB 포트 118가 디스플레이 장치 100으로부터 데이터의 외부 인풋/아웃풋을 허용하기 위하여 채용될 수 있다.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듯이, 공항 활주로 정보, 지형도 데이터 및 활주로 접근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가 사용 이전에 디스플레이 장치 100에 업로드될 수 있다. 본 정보의 업데이트가 주기적으로 필요할 수 있고, 기타 방법 및 장치들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지만 본 마이크로-USB 포트 118가 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데이터는 무선 링크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An optical sensor 120 may be employ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sharpness and contrast of the screen display 120 to improve visibility. Micro-USB port 118 may be employed to allow external input / output of data from display device 100.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various data such as airport runway information, topographical data and runway access data may be uploaded to the display device 100 prior to use. Updates to this information may be needed periodically, and other methods and device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is micro-USB port 118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the data may be updated by a wireless link.

마지막으로 레인징 버튼 122이 디스플레이를 줌인 또는 줌아웃할 수 있고, VUE 버튼 124가 360°디스플레이 및 예컨대 70°의 전방 아크 디스플레이 사이에서 디스플레이를 토글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특히 버튼 104, 106 및 108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들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Finally, ranging button 122 may zoom in or zoom out of the display, and VUE button 124 may toggle the display between the 360 ° display and the front arc display, for example, 70 °. This selection may be particularly useful for the functions performed by buttons 104, 106 and 108.

일반적으로, 사용중에 디스플레이 장치 100는 항공기 위치에 관한 데이터, 그것의 지면상 트랙, 측면 트랙, 비행 경로, 고도,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및 기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데이터는 추정 비행 경로에 기초하여 정해진 가시 전방 거리 또는 시간내에서 항공기에 근접하게될 지형뿐만 아니라 항공기에 근접한 지형에 관하여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된다. 바람직한 가시 전방 거리 또는 시간은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의해서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은 10초의 가시 전방으로 정해질 수 있는데, 이는 현재 방향, 기류 속도, 지면 트랙 등을 포함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는 추정 비행 경로에 기초하여, 차후 10 초 후에 항공기가 근접하게 될 지형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것이다. 본 시스템은 비행의 위상에 기초하여 가시 전방 거리/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In general,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data regarding aircraft position, tracks on its ground, side tracks, flight paths, altitude, height from the ground and other data during use. This data is compared with previously stored data regarding the terrain that is close to the aircraft as well as the terrain that will be close to the aircraft within a predetermined visible forward distance or time based on the estimated flight path. The preferred visual distance or time can be dynamically adjusted by the user or the system. For example, the system can be set to 10 seconds ahead, based on an estimated flight path that can be calculated based on data including current direction, airflow speed, ground tracks, and the like, so that the aircraft will be approached in the next 10 seconds. It will provide a display of the terrain. The system can adjust the visible forward distance / time based on the phase of the flight.

본원에서 사용된 지형은 인공의 장애물 및 지형물뿐만 아니라 자연적인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높은 빌딩, 높은 철망 타워 및 산맥이 모두 본원에서 이용되는 지형이다.As used herein, the terrain includes natural as well as artificial obstacles and features. For example, high buildings, high wire mesh towers, and mountain ranges are all topography used herein.

항공기의 지형에 대한 관계(또는 추정 관계)에 따라서, 지형은 디스플레이 장치 100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항공기가 어느 지형으로 날아가거나 매우 근접하게 되는 것으로 보이면, 지형은 디스플레이 장치 100에 적색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있거나 기타 기준에 맞게 되면 가청 경고가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위험을 경보할 수 있다. 다소 비위협적인 상황에서, 지형은 황색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있거나 가청 경보가 상기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항공기가 지형에 대하여 위협적인 관계가 아닌 상황에서, 지형은 녹색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항공기로부터 충분히 거리가 있는(항공기 비행 경로보다 훨씬 하부에 있거나 멀리 떨어져 있는) 지형에 대하여 지형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or presumed relationship) to the terrain of the aircraft, the terrain may or may not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if an aircraft appears to fly to or become very close to a terrain, the terrain may be displayed in red on the display device 100 and / or an audible alert may be generated to alert the user if the criteria is met. In a somewhat unthreatening situation, the terrain may be displayed in yellow and / or an audible alert may be generated as above. In situations where the aircraft is not in a threatening relationship to the terrain, the terrain may be displayed in green and the terrain may not be displayed for terrain that is sufficiently far from the aircraft (much lower or farther away than the aircraft flight path).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항공기가 착륙을 준비할 때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다. 항공기가 공항 활주로에 접근함에 따라, 항공기는 지형(예컨대, 활주로, 근접 활주로, 항공기 트래픽 제어 타워, 근접 언덕 등)에 자연스럽게 가까워진다. 그 결과, 시스템이 보통 모드의 동작을 계속하면, 안전한 착륙 접근의 경우에 대해서조차도 가청 경보 및/또는 경고가 생성되고 많은 지형이 위협적인 것(예컨대, 적색 또는 황색)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 100 시계의 거의 모든 영역이 적색 도는 황색으로 되고, 실제 위협적인 것(예컨대, 공항 근처의 산맥)과 위협적이지 않은 것(예컨대, 공항이 착륙할 활주로) 사이에 식별을 제공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special situations arise when the aircraft prepares for landing. As the aircraft approaches the airport runway, the aircraft naturally approaches the terrain (eg, runway, close runway, aircraft traffic control tower, close hill, etc.). As a result, if the system continues to operate in normal mode, an audible alert and / or warning may be generated and even many terrains may be displayed as threatening (eg red or yellow) even in the case of a safe landing approach. Thus, almost all areas of the display device 100 field of view become red or yellow and can provide an identification between what is really threatening (e.g., mountains near the airport) and what is not threatening (e.g., the runway where the airport will land). none.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듯이, 본 시스템은 서로 다른 활주로들에 대하여 소정의 활주로 접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항공기가 착륙할 수 있는 각 활주로에 대한 접근 공간이 생성된다.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system may provide certain runway access data for different runways. In one embodiment, an access space is created for each runway that the aircraft can land on.

항공기가 접근 공간 이내 도는 그에 진입하도록 추정되고, 항공기의 추정 비행 경로가 활주로로의 접근 공간 이내라면, 항공기는 착륙할 것으로 추측되고 지형 경고 및 경보는 금지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100이 어떠한 지형도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지형물 디스플레이가 또한 금지된다.If the aircraft is estimated to enter or enter an access space, and the aircraft's estimated flight path is within the access space to the runway, the aircraft is supposed to land and terrain warnings and alerts may be prohibited. In some embodiments, the display of the feature is also prohibited such that the display device 100 does not display any feature.

많은 공항이 다수의 활주로를 갖고 있고, 많은 경우 항공기는 주어진 활주로의 양 방향으로 착륙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접근 공간이 각 공항에 생성될 수 있다.Since many airports have multiple runways, and in many cases the aircraft can land in both directions of a given runway, multiple access spaces can be created at each airport.

항공기가 공항에 가까워지면서, 시스템은 항공기가 가장 착륙할 것같은 활주로를 결정(즉, 적합한 접근 공간을 결정)할 수 있다.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듯이, 이는 수개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특정 활주로가 (예컨대, 비행 관리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시스템으로 입력된다면, 관련 접근 공간이 쉽게 선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시스템은 항공기의 현재 비행 경로를 모니터하고 항공기가 착륙할 활주로를 예상하고 관련 접근 공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서, 복수의 접근 공간이 예상 및 등급화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As the aircraft approaches the airport, the system can determine which runway the aircraft is most likely to land in (ie, determine the appropriate access space). A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below, this can be done in several ways. For example, if a particular runway is entered into the system (eg, by interface with a flight management system), the associated access space can be easily selected. Optionally, the system can monitor the aircraft's current flight path, anticipate the runway from which the aircraft will land, and select the associated access space. In some implementations, multiple access spaces can be expected and rated, or can be used simultaneously.

일정 구현예에서, 항공기가 비행의 이륙 단계에 있지 않고 소정의 공항 구역 200으로 들어갈 때 적절한 공간 검색에 대한 검색 단계가 개시 또는 유발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search phase for an appropriate spatial search is initiated or triggered when the aircraft enters a given airport zone 200 without being in the takeoff phase of flight.

도 2A는 예시적 공항 구역 200을 도해한다. 공항 구역 200은 활주로 202의 말단으로부터 전방향으로 소정 거리 Z1 및 활주로 202 상의 소정 높이 Z2에 대하여 확장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Z1은 5 항해 마일(nautical miles, NM)이고 Z2는 1900 내지 5000 피트의 범위로부터 선택된다. 별도의 접근 공간 300 및 300'은 활주로 202의 각 말단에 대하여 도시된다.2A illustrates an example airport zone 200. Airport zone 200 may extend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Z1 in a forward direction from the end of runway 202 and for a predetermined height Z2 on runway 202. In one embodiment, Z 1 is 5 nautical miles (NM) and Z 2 is selected from the range of 1900 to 5000 feet. Separate access spaces 300 and 300 ′ are shown for each end of runway 202.

다수의 오버랩되는 구역 200이 만들어지도록 별도의 공항 구역 200이 공항의 각 활주로에 대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B는 Z1이 5 NM이고 3개의 활주로 202, 202' 및 200''이 존재하는 배치의 평면도를 도해한다. 또한 도시되듯이, 각 활주로 200-200''에 대한 각 말단에 대한 별도의 접근 공간 300이 있다.A separate airport zone 200 can be created for each runway at the airport so that multiple overlapping zones 200 are created. 2B illustrates a top view of a layout where Z1 is 5 NM and three runways 202, 202 'and 200' 'are present. As also shown, there is a separate access space 300 for each end for each runway 200-200 ''.

접근 공간 300이 보다 상세히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근 공간이 주어진 활주로 202에 대한 바람직한 착륙 접근에 기초하는데, 바람직한 착륙 접근에 대하여 전방향으로의 소정 정도의 변동 구역을 제공한다.The access space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general, the access space is based on a preferred landing approach for a given runway 202, which provides a certain amount of variation in all directions for the desired landing approach.

도 3은 활주로 202의 한 말단과 관련된 예시적 접근 공간 300을 도해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직선 접근이 가정되고 일정한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 302가 도시된다. 즉, 항공기는 전체 공항 구역 200을 통해 활주로로 직선으로 비행할 수 있고 상기 활주 경사각 302를 유지하면서 장애물 또는 지형을 안전하게 배제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각도 302는 3°이다. 오프셋 접근 및 드롭다운(drop-down) 활주 경사각이 있는 보다 복잡한 예가 이후에 논의된다.3 illustrates an example access space 300 associated with one end of runway 202.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a straight approach is assumed and a constant approach path slide inclination angle 302 is shown. That is, the aircraft may fly straight through the entire airport zone 200 onto the runway and safely exclude obstacles or terrain while maintaining the run slope angle 302. In this example, the angle 302 is 3 degrees. More complex examples with offset approach and drop-down slide tilt angles are discussed later.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서 접근 공간 300이 도 3에 도시된 웨지상(wedge-like) 형태를 가지나, 접근 공간 300이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원뿔 또는 기타 임의의 적합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space 300 has a wedge-like shape shown in FIG. 3, but the access space 300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For example, cones or any other suitable form can be used.

도 3에서 보이듯이, 접근 공간 300은 상부 접근 경로면 304 및 하부 접근 경 로면 3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서, 활주로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상부 접근 경로면 304는 활주로 202 위의 일정한 높이로 수평적일 수 있다. 이로써, 상부 접근 경로면 304는 직선 304c에서 교차하는 두 별도의 기하 평면 304a 및 304b로 기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듯이, 드롭다운(drop down) 각도 영역이 사용된다면 하부 접근 경로면 306은 다수의 기하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접근 경로면들(304, 306)은 접근 경로 활주 경사면 308의 위와 밑에 각각 있다.As shown in FIG. 3, the access space 300 may include an upper access path surface 304 and a lower access path surface 306. In some embodiments, at a distance from the runway, the upper access path surface 304 may be horizontal to a constant height above runway 202. As such, the upper access path surface 304 may be technically comprised of two separate geometric planes 304a and 304b that intersect at a straight line 304c. In addition,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lower access path face 306 may have multiple geometric planes if a drop down angle region is used. Upper and lower access path surfaces 304, 306 are above and below the access path slide slope 308, respectively.

접근 공간 300을 결정하는 한 방법을 이제 설명한다; 그러나 접근 공간 300을 결정하는 기타 방법도 본 발명의 범주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One method of determining the access space 300 is now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methods of determining access space 300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지면점 인터셉트(ground point intersept, GPI)가 위치한다. 이것은 항공기가 터치다운(touch down)하고 활주로 종점으로부터 거리 309인 것으로 생각될 수 있는 활주로상의 바람직한 위치이다. 활주로 종점은 착륙에 사용될 수 있는 활주로의 최외각 부위이다. 도 3의 예에서, 활주로 종점은 활주로의 실제 말단에 해당하지만, 이후에 도시되듯 오프셋이 종종 존재한다.Ground point intersept (GPI) is located. This is the preferred location on the runway where the aircraft touches down and can be thought of as a distance 309 from the runway endpoint. The runway endpoint is the outermost part of the runway that can be used for landing. In the example of FIG. 3, the runway endpoint corresponds to the actual end of the runway, but there is often an offset as shown later.

GPI는 출판된 기구 착륙 시스템(Instrument Landing System, ILS) 가이드라인 또는 기타 수단에 기초할 수 있다. GPI는 또한 활주로 종점 위의 소정 높이(예컨대, 55 피트)에서의 지점을 선택하고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이 그 지점을 통과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The GPI may be based on published Instrument Landing System (ILS) guidelines or other means. The GPI can also be calculated by selecting a point at a certain height (eg, 55 feet) above the runway endpoint and confirming that the approach path runway tilt angle passes through that point.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 308은 GPI (또는 활주로 종점)에서 생겨 활주로 202로부터 바람직한 활주 경사각 30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공항 구역 200의 외부 경계로 연장될 수 있다. 하부 접근 경로면 306은 또한 GPI (또는 활주로 종점)에서 시작하여, 활주 경사각 302 미만의 소정 크기 310인 하부 접근 경로 각도로 활주로 20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3°의 활주 경사각 302에 대하여 소정 크기 310은 0.7°이고, 하부 접근 경로각은 2.3°이다.The approach path runway tilt angle 308 can occur at the GPI (or runway end point) and extend from runway 202 to the desired runway tilt angle 302. Preferably, it may extend to the outer boundary of the airport zone 200. Lower access path surface 306 may also extend from runway 202, starting at the GPI (or runway endpoint), at a lower access path angle of a predetermined size 310 less than slide slope angle 302. In one embodiment, for a slide inclination angle 302 of 3 °, the predetermined size 310 is 0.7 ° and the lower approach path angle is 2.3 °.

상부 접근 경로 각도 304는 고려중인 접근 공간을 통해 착륙하는 항공기에서 보이는 활주로 202의 최종 말단 204에서 시작할 수 있다. 상부 접근 경로면 304는 이후 활주로 202로부터 공항 구역 200의 외부 경계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일정 구현예에서, 상부 접근 경로면 304의 활주로 위의 높이는 공항 구역 200의 최대 높이 Z2를 초과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이로써, 두 교차 기하 평면인 304b 및 304c를 형성하도록 상부 접근 경로면 304는 직선 304c에서 도 3에 도시되는 일정 높이로 가늘어질 수 있다.The upper approach path angle 304 may begin at the final end 204 of runway 202 as seen by an aircraft landing through the access space under consideration. The upper access path surface 304 may then extend from runway 202 to the outer boundary of the airport zone 200. However, in some embodiments, the height above the runway of the upper access path face 304 is not allowed to exceed the maximum height Z2 of the airport zone 200. As such, the upper access path surface 304 can be tapered to a constant height shown in FIG. 3 in a straight line 304c to form two intersecting geometric planes 304b and 304c.

접근 공간의 측면 경계는, 소정 폭 312가 활주로 종점 위치에서의 공간에 포함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The side boundary of the access space may be selected such that a predetermined width 312 is included in the space at the runway endpoint position.

적합한 폭 312을 보장하기 위하여, 활주로 202의 최종 말단 204로부터 소정 거리에서의 측면 경계 정점 314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정점 314는 활주로 202의 중심선 206상에 있다. 측면 경계각 316은 바람직한 폭 312가 얻어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각 316은 각각의 측면 접근 경로 경계 318a 및 318b로의 중심선으로부터 측정된다. 한 구현예에서, 측면 경계 318a 및 318b사이의 각이 각 316의 두배, 또는 7.7°이도록, 각 316은 +/-3.85°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폭 312가 900 피트라면, 활주로 종점으로부터 정점 314까지의 거리 320은 6686 피 트가 될 것이다. 이는 하기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To ensure a suitable width 312, a side boundary vertex 314 at a distance from the last end 204 of the runway 202 is used. Preferably, vertex 314 is on centerline 206 of runway 202. Lateral boundary angle 316 may be selected such that a desired width 312 is obtained. Each 316 is measured from the centerline to the respective side access path boundaries 318a and 318b. In one embodiment, each 316 is +/- 3.85 ° such that the angle between lateral boundaries 318a and 318b is twice the angle 316, or 7.7 °. That is, in this embodiment, if the preferred width 312 is 900 feet, the distance 320 from runway end point to vertex 314 would be 6686 feet. This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tan(3.85°) = (900 x 0.5)/(거리 320)tan (3.85 °) = (900 x 0.5) / (distance 320)

이 식을 다시 쓰면:Rewrite this expression:

거리 320 = 450/tan(3.85°) = 450/0.0673 =6686 피트.Distance 320 = 450 / tan (3.85 °) = 450 / 0.0673 = 6686 feet.

측면 접근 경로 경계 318a 및 318b는 활주로 202로부터 공항 구역 200의 외부 경계로 연장될 수 있다.Lateral access path boundaries 318a and 318b may extend from runway 202 to the outer boundary of airport zone 200.

특정 상수의 실시예가 상기 제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316은 바람직하게는 1.5°내지 4°범위일 수 있고,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 302는 바람직하게는 3°내지 5°의 범위일 수 있다.Although certain constant embodiments have been presented abov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preferred embodiments. For example, each 316 may preferably range from 1.5 ° to 4 °, and the approach path slide inclination angle 302 may preferably range from 3 ° to 5 °.

도 4는 상기 주어진 상수의 실시예를 사용하고 활주로 종점으로부터 활주로 202 말단까지의 0이 아닌 종점 오프셋을 갖는 접근 공간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a front view of an access space using an embodiment of the constants given above and having a nonzero end offset from runway end to runway 202 end.

어떠한 접근 공간은 지형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모든 활주로 202에 대하여 (심지어 동일 활주로의 다른 말단으로부터 접근할 때도) 동일한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 302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 결과, 보다 급한 다른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 302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주어진 접근 공간에 대하여 정확한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 302를 결정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해한다.Since some access spaces may include terrain, it is not possible to use the same access path slide slope angle 302 for all runways 202 (even when approach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ame runway). As a result, a more urgent approach path slide inclination angle 302 can be used. 5 illustrates a flowchart for determining the correct approach path slide inclination angle 302 for a given access space.

본 방법은 단계 400에서 시작하고,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 302 (도 5에서 GA로 지칭)는 초기에 가장 바람직한 각도로 설정된다. 상기 주어진 실시예에서, GA 는 초기 3°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404에서, 전체 하부 접근 경로면 306이, 주어진 GA에 대하여 소정 세이프티 마진(safety margin)까지, 공항 구역 200의 개시점으로부터 GPI로의 모든 장애물을 배제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세이프티 마진은 전체 접근 공간에 대하여 동일한 크기(예컨대, 75 피트)일 수 있고, 활주로 202에 가까운 접근 공간 부위에 대하여 변화할 수도 있다(예컨대, 공항 구역 200의 외부 경계부터 활주로 종점으로부터 10,000 피트까지는 75 피트이고, 그 이후는 25 피트).The method begins at step 400 and the approach path slide inclination angle 302 (referred to as GA in FIG. 5) is initially set to the most preferred angle. In the example given above, GA may be set to an initial 3 °. In step 404, the entire lower access path surface 306 determines whether to exclude all obstacles from the initiation point of the airport zone 200 to the GPI, up to a certain safety margin for a given GA. The safety margin may be the same size (eg 75 feet) for the entire access space and may vary for areas of the access space close to runway 202 (eg, 75 to 10,000 feet from the runway endpoint from the outer boundary of airport zone 200). Feet and 25 feet later).

단계 404에서의 답이 '예'라면, 접근 공간은 현재 GA를 사용하여 단계 408에서 설정된다.If the answer to step 404 is yes, then the access space is set at step 408 using the current GA.

단계 404에서의 답이 '아니오'라면, GA는 증분(예컨대, 0.5°) 만큼 단계 410에서 증가된다. 단계 412에서, 새로운 GA가 최대 허용가능한 GA(바람직하게는 5°; 선택적으로 항공기 성능에 따라 5.5°까지) 이하인가를 결정한다. 단계 412에서의 답이 '예'라면, 본 방법은 단계 404에서 반복된다. 단계 412에서의 답이 '아니오'라면, 직선 접근 공간이 사용되고 활주로의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인 부위를 최소한 갖는 접근 공간이 사용될 것인가가 단계 413에서 결정된다. 오프셋인 부위를 최소한 갖는 접근 공간을 결정하는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한다.If the answer to step 404 is no, then the GA is increased in step 410 by an increment (eg, 0.5 °). In step 4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ew G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allowable GA (preferably 5 °; optionally up to 5.5 ° depending on aircraft performance). If the answer to step 412 is yes, then the method repeats at step 404. If the answer to step 412 is no, then it is determined at step 413 whether a straight access space is used and an access space with at least an area offset from the runway's centerline. A method of determining an access space having at least an area that is offset is described below.

도 6은 오프셋 접근 공간 300' 및 보정 오프셋 접근 공간 300''의 정면도를 도해한다. 도 6에서, 직선 접근 공간의 측면 경계는 활주로 중심선 206 및 활주로 종점이 만나는 지점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는 접근 오프셋 각도 322를 갖는 오프셋 접근 공간 300'를 가져온다. 일정 구현예에서, 직선 접근에서 사용된 것과 동 일한 활주로 종단에서의 폭 312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오프셋 접근 공간 300'가 그 자신의 중심선을 따라 이동하여 활주로 종점에서의 폭은 폭 312와 동일하다. 이는 보정 오프셋 접근 공간 300''를 가져온다.6 illustrates a front view of the offset access space 300 ′ and the corrected offset access space 300 ″. In FIG. 6, the lateral boundary of the straight access space rotates about the point where runway centerline 206 and runway endpoint meet. This results in an offset access space 300 'with an approach offset angle 322. In some embodiments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width 312 at the same runway end as used in the straight approach. Thus, the offset access space 300 'moves along its own centerline so that the width at the runway endpoint is equal to the width 312. This results in a calibrated offset access space 300 ''.

도 7에 도시되듯이, 단축 직선 접근 공간 324가 보정 오프셋 접근 공간 300''를 사용하여 또한 계산될 수 있다. 공항 구역 200의 외부 경계로 거리 Z1 동안 연장된 보정 오프셋 접근 공간 300''와 달리, 단축 직선 접근 공간 324는 활주로 종점으로부터 단축 거리 Z3만 연장된다(예컨대, 1NM 또는 지형과 교차하지 않고 최대한 멀리). 실제로, 항공기는 보정 오프셋 접근 공간 300''을 따라 활주로 202로부터 대략 거리 Z3만큼 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항공기는 착륙을 위해 단축 직선 접근 공간 324로 조종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the shortened linear access space 324 can also be calculated using the correction offset access space 300 ″. Unlike the calibrated offset access space 300 '' which extends over the distance Z1 to the outer boundary of the airport zone 200, the shortened straight access space 324 extends only the shortened distance Z3 from the runway end point (e.g. as far as possible without intersecting 1NM or terrain). . Indeed, the aircraft may fly along runway offset access space 300 " by approximately distance Z3 from runway 202. The aircraft then steers into a uniaxial straight access space 324 for landing.

도 8은 보정 오프셋 접근 공간 300''를 결정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해한다. 단계 500에서 본 방법은 시작한다. 단계 502에서, 접근 오프셋 각도 322(도 8에서 OA로 지칭)는, 도 5의 직선 접근 계산을 막기 위하여 지형으로부터 각을 이루도록, 초기값으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초기값은 활주로 중심선으로부터 0°내지 0.5°이다. 단계 504에서, 활주 슬로프 각도 GA는 가장 바람직한 값(예컨대, 3°)로 재설정된다. 단계 506에서, 주어진 GA 및 OA에 대하여 소정 세이프티 마진까지, 전체 하부 접근 경로면 306이 공항 구역 200의 처음부터 활주로 종점으로의 모든 지형을 배제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세이프티 마진은 전체 접근 공간에 대하여 동일한 크기(예컨대, 75 피트)일 수 있고, 활주로 202에 가까운 접근 공간 부위에 대하여 변화할 수도 있다(예컨대, 공항 구역 200의 외부 경계부터 활주로 종점으로부터 10,000 피트까지는 75 피트이고, 그 이후는 25 피트).8 illustrates a flowchart for determining a correction offset access space 300 ''. In step 500 the method begins. In step 502, the approach offset angle 322 (referred to as OA in FIG. 8) is set to an initial value to angle from the terrain to prevent the straight approach calculation of FIG. Preferably, this initial value is between 0 ° and 0.5 ° from the runway centerline. In step 504, the slide slope angle GA is reset to the most desirable value (eg 3 °). In step 50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ntire lower access path surface 306 excludes all terrain from the beginning of the airport zone 200 to the runway endpoint, up to a predetermined safety margin for a given GA and OA. The safety margin may be the same size (eg 75 feet) for the entire access space and may vary for areas of the access space close to runway 202 (eg, 75 to 10,000 feet from the runway endpoint from the outer boundary of airport zone 200). Feet and 25 feet later).

단계 506에서의 답이 '예'라면, 보정 오프셋 접근 공간 300''이 현재의 GA 및 OA를 사용하여 단계 508에서 설정된다.If the answer to step 506 is yes, then the calibration offset access space 300 '' is set in step 508 using the current GA and OA.

단계 404에서의 답이 '아니오'라면, GA는 증분(예컨대, 0.5°) 만큼 단계 512에서 증가된다. 단계 514에서, 새로운 GA가 최대 허용가능한 GA(바람직하게는 5°; 선택적으로 항공기 성능에 따라 5.5°까지) 이하인가를 결정한다. 단계 514에서의 답이 '예'라면, 본 방법은 단계 506에서 시작하여 반복된다.If the answer to step 404 is no, then the GA is increased in step 512 by an increment (eg, 0.5 °). In step 51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ew G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allowable GA (preferably 5 °; optionally up to 5.5 ° depending on aircraft performance). If the answer to step 514 is yes, the method repeats beginning with step 506.

단계 514에서의 답이 '아니오'라면, OA는 증분(예컨대, 0.5°) 만큼 단계 516에서 증가된다. 단계 518에서, 새로운 OA가 최대 허용가능한 OA(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인가를 결정한다. 단계 518에서의 답이 '예'라면, 본 방법은 단계 504에서 시작하여 반복된다.If the answer to step 514 is no, then the OA is increased in step 516 by an increment (eg, 0.5 °). In step 51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ew OA is below the maximum allowable OA (preferably 30 °). If the answer to step 518 is yes, the method repeats beginning with step 504.

단계 518에서의 답이 '아니오'라면, 적절한 접근 공간이 단계 520에서 활용가능한가 및 본 방법이 단계 510에서 종료할 것인가를 결정한다.If the answer to step 518 is no, then determine whether an appropriate access space is available at step 520 and whether the method ends at step 510.

단축 직선 접근 공간 324가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설명한 보정 오프셋 접근 공간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접근 활주 경사각을 갖는다. 단축 직선 접근 공간에 대한 지형 삭제가 수행될 수 있고,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각도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Single axis straight access space 324 preferably has the same approach slide inclination angle as used in the correction offset access space described above. Terrain deletion may be performed for the shortened straight access space, an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the angle may be adjusted as needed.

설명한 오프셋 접근 공간 시나리오 또는 도 3-5 참조로 설명한 직선 접근 공간 시나리오에서, 스텝-다운(step down) 활주 경사각이 제공되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항공기는 공항 구역 202내의 대부분의 거리에서 일정한 접근 활주 경사각 302로 진행하는데, 일정 구현예에서는 항공기가 착륙 직전에 보다 예리한 접근 활주 경사각까지 스텝-다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offset access space scenario described or the linear access space scenario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5, a modification may be made in which a step down slide inclination angle is provided. That is, the aircraft proceeds at a constant approaching slide inclination angle 302 at most of the distance within the airport zone 202, where in some embodiments it may be desirable for the aircraft to step down to a sharper approaching slide inclination angle just before landing.

도 9는 스텝-다운 접근 활주 경사각의 접근 공간의 측면도를 도해한다. 편의를 위해 상부 접근 경로면 304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보여지듯이, 접근 활주 경사각 308은 GPI에서 시작하여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 302으로 이전에 논한 바와 같이 외부로 연장된다. 하부 접근 경로면 306은 유사하게 (각 302 - 각 310) 중의 각으로 GPI로부터 연장된다. 활주로 종점으로부터 거리 Z4에서, 보다 예각의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이 도입되어 하부 접근 경로면 306이 각 326으로 스텝-다운한다. 이는 Z4로부터 GPI로의 거리에 대한 지면 방향 상에서 접근 공간의 높이를 두껍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각 326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논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지형 삭제에 대하여 입증된다.9 illustrates a side view of the approach space of the step-down approach slide inclination angle. For convenience the upper access path surface 304 is not shown in the figure. As can be seen, the approach slide inclination angle 308 starts at the GPI and extends outward as previously discussed to the approach path slide inclination angle 302. The lower access path surface 306 similarly extends from the GPI at an angle of (each 302-angle 310). At a distance Z4 from the runway endpoint, a more sharp approach path slide inclination angle is introduced so that the lower approach path surface 306 steps down to 326 each. This has the effect of thickening the height of the access space on the ground direction relative to the distance from Z4 to GPI. Each 326 is verified for terrain deletion in the same manner as discuss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부가적으로, 스텝-다운 경사가 실제 계단형 함수로서 보여지지만, 상기 하부 접근 경로면 306에의 보다 곡선적 또는 연속적 조정 또한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tep-down slope is shown as an actual stepped function, more curved or continuous adjustments to the lower access path surface 306 may also be used.

상기의 설명은 접근 공간이 각각의 활주로 접근에 대하여 어떻게 계산되는가를 설명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접근 공간들은 "노선에서 벗어나(off line)", 즉 항공기가 그 루트를 비행하지 않는 동안에 계산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 계산들은 노선상에서(on-line)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정보는 비행 중 참고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 100에 이후 저장된다. 본 정보는 항공기 정비의 동안,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USB를 통해 업로드함으로써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위성 또는 기타 무선 링크에 의해 원격적으로 업데이 트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explains how the access space is calculated for each runway approach. Preferably, these access spaces are calculated "off line", ie while the aircraft is not flying its route; However, these calculations can be made on-line. Preferably, this information is then stored on display device 100 for reference during flight. This information can be updated regularly during aircraft maintenance, such as by uploading via the micro-USB shown in FIG. 1. Optionally, it can be updated remotely by satellite or other wireless link.

상기 설명한 대로, 그리고 본원과 동일자로 제출된 "예측 고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라는 제목의 계류중인 출원(변호사 명부 03300/012)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현재 추정 비행 경로에 기초하여 항공기 부근이 될 지형이 경보 및 경고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가시 전방 TAWS 시스템에서 이 데이터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지형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이들 경고 및 경보를 금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항공기가 접근 공간 이내이거나 진입하고, 활주로 202까지 그 안에 머무르는 방향이라면, 일정 경보 및 경고가 금지된다. 게다가, 위협적이지 않은 지형이 또한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금지되거나 상기 설명한 적색 또는 황색에 반대되는 녹색으로만 디스플레이된다.As described above, and based on the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described in more detail in a pending application (lawyer list 03300/012) entitled "Predictive Altitud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iled on the same day as the present application, This data is preferably used in a visible front TAWS system where the terrain is used to generate alerts and warn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rohibit these warnings and alerts as well as the display of terrain data. That is, certain alerts and warnings are prohibited if the aircraft is within or approaching the approach space and staying there until runway 202. In addition, non-threatening terrain is also prohibited from being displayed or only displayed in green as opposed to the red or yellow described above.

한 구현예에서, 항공기가 상기 접근 공간에 있는 동안 생성될 모든 경보 및 경고가 금지된다. 더욱이, 항공기가 접근 공간 이내에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될 모든 지형이, 디스플레이 장치 100의 가시 전방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금지된다. 물론, 사용자는 이 모드의 작동을 선택 또는 비선택할 수 있다. 이 데이터의 기타 사용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 이내이다.In one embodiment, all alerts and warnings to be generated while the aircraft is in the access space are prohibited. Moreover, all terrain to be displayed while the aircraft is within the access space is prohibited from being displayed on the visible front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100. Of course, the user can select or deselect the operation of this mode. Other uses of this data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항공기의 가능한 착륙 접근의 평면도를 도해한다. 도 10에서 도시되듯이, 항공기는 종종 공항 구역 200으로 활주로 202에 근사한 직선 또는 직선으로 진입하지 않는다. 종종, 항공기는 도시된 패턴으로 활주로 202로 접근하는데, 접근은 3 세그먼트를 갖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세그먼트 600은 바람방향의(downwind) 세그먼트이고, 종종 활주로 20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후, 항공 기는 기초 세그먼트 602에서 활주로를 향해 돌고, 최종 접근 세그먼트 604에서 활주로 202와 실질적으로 일렬이 된다. 세그먼트 604는 종종 활주로 종점에 상대적으로 가까울 수 있다(즉, 1-2 NM).10 illustrates a top view of a possible landing approach of an aircraft. As shown in FIG. 10, the aircraft often does not enter a straight or straight line close to runway 202 into airport zone 200. Often, the aircraft approaches runway 202 in the pattern shown, which can be thought of as having three segments. Segment 600 is a downwind segment and is often substantially parallel to runway 202. The aircraft then turns towards the runway at base segment 602 and is substantially aligned with runway 202 at final approach segment 604. Segment 604 can often be relatively close to runway endpoints (ie, 1-2 NM).

따라서,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서, 항공기가 아직 그 기초 세그먼트 602 내부에 있는 동안, 본 시스템은 항공기가 접근 공간으로 진입하는가를 예상한다. 실제로, 일정 구현예에서, 현재 항공기 비행 경로(예컨대, 측면 트랙 및 수직 트랙)가 활성 접근 공간과 교차한다면, 일정 파라미터를 만족시키는 동안(30°이하의 뱅크각(bank angle) 및 1 "G" 가속하에서; 3 파라미터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항공기가 접근 공간으로 들어가지 않는가를 결정할 때까지, 경고 및 지형 디스플레이가 금지된다. 예컨대, 접근 공간의 반대측면 상의 어떠한 경보, 경고 또는 지형 디스플레이가 금지될 수 있다.Thus, in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hile the aircraft is still inside its base segment 602, the system anticipates whether the aircraft enters the access space. Indeed, in some embodiments, if the current aircraft flight path (eg, side track and vertical track) intersects the active access space, while satisfying certain parameters (bank angle of less than 30 ° and 1 "G") Under acceleration; 3 parameters can be adjusted by the user or the system) Warnings and terrain display are prohibited until the aircraft determines that it does not enter the access space. For example, any alert, warning or terrain displa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ccess space may be prohibited.

도 11이 이러한 개념을 도해하는데, 여기서 P가 항공기가 돌아야 하는 지점이다. 유사하게, 도 12를 참조하면, 항공기는 접근 공간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면, 항공기가 일정 파라미터를 만족하면서(예컨대, 0.25 "G" 이하의 감속 및 현재 지면 속도 유지) 접근 공간으로 상승할 수 있는가를 시스템이 결정할 때까지 동일한 정보가 금지된다. 이는 도 12의 Q 지점으로 도해된다. 편의를 위해, 하부 접근 경로면만이 도 12에 도시된다.Fig. 11 illustrates this concept, where P is the point at which the aircraft should turn. Similarly, referring to FIG. 12, if the aircraft appears to be falling into the access space, the system can determine if the aircraft can rise to the access space while satisfying certain parameters (eg, deceleration below 0.25 " G " and maintaining the current ground speed). The same information is prohibited until this decision. This is illustrated by point Q in FIG. For convenience, only the lower access path surface is shown in FIG. 12.

도 13은 본 발명의 구현예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일정 경보 및 경고를 금지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해한다.FIG. 13 illustrates a flowchart for determining whether to inhibit certain alerts and warnings of an aircraft u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방법은 단계 700에서 시작한다. 단계 702에서, 항공기가 공항 구역 202 이내이고 비행 이륙 상태가 아닌가를 결정한다. 답이 아니오라면, 반복한다. 답이 예라면, 단계 704에서 추정 비행 경로가 활성 접근 공간 베어링의 소정 각 이내(예컨대, 110°이내)이고 그 추정 비행 경로가 접근 공간과 교차할 것인가(또는 그 내부에 머무를 것인가)를 결정한다.The method begins at step 700. In step 7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ircraft is within the airport zone 202 and is not in flight takeoff. If the answer is no, repeat. If the answer is yes, then at step 704 the estimated flight path is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eg, within 110 °) of the active access space bearing and determines whether the estimated flight path intersects (or stays within) the access space. .

단계 704의 답이 아니오라면, (하기에 설명된) 임의의 금지된 경보 및 경고가 단계 706에서 재설정될 수 있다. 답이 예라면, 항공기가 활성 접근 공간의 이내이고 그 추정 비행 경로가 활성 접근 공간의 베어링의 제2 소정 각도(예컨대, 45°) 이내인가가 단계 708에서 결정된다.If the answer to step 704 is no, then any forbidden alerts and warnings (described below) may be reset at step 706. If the answer is yes, then it is determined at step 708 whether the aircraft is within the active access space and its estimated flight path is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angle (eg, 45 °) of the bearing of the active access space.

단계 708에서의 답이 아니오라면, 항공기가 기초 비행 세그먼트에 있는 것으로 보이고 경보 및 경고의 제1 세트가 단계 710에서 금지될 수 있는가가 결정된다. 그리고 나서, 단계 712에서, 항공기가 정해진 기준(도 11 및 12에 대하여 상기 논한 기준)을 만족시키면서 접근 경로로 진입하고 그 이내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가를 결정한다. 답이 예라면, 본 방법은 단계 708에서 시작하여 반복한다. 답이 아니오라면, 임의의 비활성화 경보 및 경고가 단계 714에서 재활성화되고 본 방법은 단계 702로부터 반복한다.If the answer at step 708 is no, then the aircraft appears to be in the base flight segment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set of alerts and warnings may be prohibited at step 710. Then, at step 7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ircraft can enter and maintain its position within the access path while satisfying the defined criteria (the criteria discuss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11 and 12). If the answer is yes, the method repeats beginning with step 708. If the answer is no, then any deactivation alerts and warnings are reactivated in step 714 and the method repeats from step 702.

단계 708에서의 답이 예라면, 항공기는 착륙 접근하는 것으로 보이고 경보 및 경고의 제2 세트는 단계 716에서 금지된다. 단계 710과 비교하여 항공기가 단계716에서 착륙하는 것을 본 시스템이 보다 확신하기 때문에, 제2 세트는 경보 및 경고의 제1 세트보다 복잡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이후 단계 702로부터 반복된다.If the answer at step 708 is yes, then the aircraft appears to be approaching landing and the second set of alerts and warnings is prohibited in step 716. The second set may be more complex than the first set of alerts and warnings because the system is more confident that the aircraft lands in step 716 compared to step 710. The method then repeats from step 702.

게다가, 지형 디스플레이도 유사한 방식으로 금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rain display may be prohibited in a similar manner.

또한, 상기 설명이 경보 및 경고를 금지하는데 관련되지만, 본 발명은 경보 및 경고를 가능하게 하고/하거나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공기가 접근 공간 이내이고 활주로 근처라면, 랜딩 기어가 내려오지 않거나 플랩(flap)이 내려오지 않을 경우 경보는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above description relates to prohibiting alerts and warn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enable and / or make alerts and warnings. For example, if the aircraft is within the access space and near the runway, an alert may be generated if the landing gear does not descend or the flap does not descend.

게다가, 본 발명은 경보, 경고 및 지형 디스플레이를 금지하는 측면에서 상기에서 설명했지만, 접근 경로 공간은 또한 항행 가이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ILS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항공기를 활주로로 가이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는 항공기를 착륙하는데 사용하도록 파일롯에게 접근 공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n terms of prohibiting alerts, warnings and terrain display, the access route space can also be used as a navigation guide. That is, instead of (or in addition to) IL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guide an aircraft to a runway. In particular, the display device may display the access space to the pilot for use in landing the aircraft.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일정한 구현예에 관한 것이라고 이해된다. 본 설명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이는 단순히 가시화된 본 발명의 폭넓은 범주의 대표예이고, 상기 구현예의 수많은 변형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져 있거나 알려질 수 있고, 명백하거나 명백할 수 있으며, 이들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폭넓은 범주내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역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만 한정된다. 이들 청구범위에서, 단수의 요소를 지칭한 것이, 명확히 진술하지 않았다면, "단지 하나"를 의미하려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려는 것이다.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 공지 또는 이후에 공지가 될, 상기 설명한 바람직한 구현예의 요소의 모든 구조적 기능적 균등물은 명백히 본원에 참고적으로 포함되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의도한다. 게다가, 장치나 방법이 본 발명이 해결하려한 모든 각각의 문제점에 주목하거나,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필수적이지는 않다. It is understood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directed to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description can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erely representative of a broad scope of the invention as visualized, and numerous variations of the embodiment can be known o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may be apparent or obvious, and all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broa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In these claims, reference to the singular element is not intended to mean "only one", unless expressly stated. Moreover, it is intended to mean "one or more." All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the elements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hich will b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later thereafter, are expressly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nd are intended to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In addition,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apparatus or the method pay attention to each and every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or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더욱이, 본 발명의 어떠한 요소, 성분, 또는 방법 단계가 그 요소, 성분, 또는 방법 단계가 명료하게 본 청구항에서 인용되느냐에 무관하게 공중에 제공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어떠한 청구항 요소도, 그 요소가 명료하게 "수단"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인용하지 않았다면, 35 미국법 112조 6항의 조항하에서 해석되지 않는다.Moreover, no element, ingredient, or method step of the invention is intended to be offered to the public regardless of whether the element, ingredient, or method step is expressly recited in the claims. No claim element herein is to be construed under the provisions of Article 112, paragraph 6 of 35 United States law, unless the element is expressly recited using the phrase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및 버튼 배치를 나타낸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particular showing a display and button arrangement;

도 2A는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공항 구역을 도해한 것이다;2A illustrates an exemplary airport zone that may be used in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 따른 복수의 교차 공항 구역의 평면도를 도해한 것이다;2B illustrates a top view of a plurality of cross airport zones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s;

도 3은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 따라 활주로와 관련된 예시적 접근 공간을 도해한 것이다;3 illustrates an example access space associated with a runway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 따른 접근 공간의 평면도를 도해한 것이다;4 illustrates a top view of an access spa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s;

도 5는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 따른 직선 접근 경로 활주 경사각을 결정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해한 것이다;5 illustrates a flowchart for determining a straight approach path slide inclination angle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 따른 오프셋 접근 공간 및 보정된 오프셋 접근 공간의 평면도를 도해한 것이다;6 illustrates a top view of an offset access space and a corrected offset access space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 따른 오프셋 접근 공간 및 단축 직선 접근 공간을 오버랩시킨 원근도를 도해한 것이다;7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overlapping an offset access space and a shortened straight access spa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s;

도 8은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 따른 보정 오프셋 접근 공간을 결정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해한 것이다;8 illustrates a flowchart for determining a correction offset access space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 따른 스텝-다운(step-down) 접근 활주 경사각을 갖는 접근 공간의 측면도를 도해한 것이다;9 illustrates a side view of an access space having a step-down approach slide inclination angle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 따른 항공기의 가능한 착륙 접근의 평면도를 도해한 것이다;10 illustrates a top view of a possible landing approach of an aircraf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s;

도 11은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 따른 접근 공간의 측면으로의 추정 비행 경로를 갖는 항공기의 평면도를 도해한 것이다;11 illustrates a top view of an aircraft having an estimated flight path to the side of an access spa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s;

도 12는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 따른 접근 공간의 정상부로의 추정 비행 경로를 갖는 항공기의 측면도를 도해한 것이다; 및12 illustrates a side view of an aircraft having an estimated flight path to the top of an access space in accordance wit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13은 본 발명의 일정 구현예에 따른 항공기의 경보 및 경고를 금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해한 것이다.FIG. 13 illustrates a flowchart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hibit alerts and warnings of an aircraf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s. FIG.

Claims (1)

항공기가 활주로에 착륙하도록 항행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navigating an aircraft to land on a runway, 항공기가 공항 주위의 소정 기하 공간내에 있는가를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whether the aircraft is in a predetermined geometric space around the airport; 항공기가 상기 기하 공간내에 있다면 정해진 거리 또는 시간동안의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of the aircraft for a given distance or time if the aircraft is in the geometric space;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를 공항의 활주로로부터 상기 기하 공간의 외부 경계로 연장한 접근 공간과 비교하는 단계; Comparing the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of the aircraft with an access space extending from the runway of the airport to the outer boundary of the geometric space;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가, 항공기가 상기 접근 공간내에 있고 활주로까지의 접근 공간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라면, 항공기가 착륙을 위한 적합한 코스상에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단계; 및Presenting that the aircraft is on a suitable course for landing if the aircraft's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is that the aircraft is within the access space and is expected to stay in the access space to the runway; And 항공기의 현재 추정 비행 경로가, 항공기가 상기 접근 공간내에 있지 않거나 또는 활주로까지 접근 공간내에 머물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라면, 항공기라 착륙을 위한 적합한 코스상에 있지 않다는 것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가 활주로에 착륙하도록 항행하는 방법Presenting that the aircraft's current estimated flight path is not on a suitable course for landing if the aircraft is not in the access space or is expected to remain in the access space up to the runway. To fly an aircraft to land on the runway
KR1020077026117A 2007-11-09 2001-10-11 Method of navigating an aircraft to land on a runway KR1008864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6117A KR100886404B1 (en) 2007-11-09 2001-10-11 Method of navigating an aircraft to land on a run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6117A KR100886404B1 (en) 2007-11-09 2001-10-11 Method of navigating an aircraft to land on a runwa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048A Division KR100819370B1 (en) 2000-10-10 2001-10-11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alse taws warnings and navigating landing approach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847A true KR20070114847A (en) 2007-12-04
KR100886404B1 KR100886404B1 (en) 2009-03-02

Family

ID=3914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117A KR100886404B1 (en) 2007-11-09 2001-10-11 Method of navigating an aircraft to land on a run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4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429A (en) * 2021-09-07 2023-03-14 인천국제공항공사 Airport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aircraft on rou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1226B2 (en) * 2020-01-13 2023-08-08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Terrain database carving around runway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1130B1 (en) * 1994-06-14 1996-07-12 Sextant Avionique Collision avoidance device for aircraft, in particular with ground with reduced energy balance.
US5839080B1 (en) * 1995-07-31 2000-10-17 Allied Signal Inc Terrain awareness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429A (en) * 2021-09-07 2023-03-14 인천국제공항공사 Airport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aircraft on rou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404B1 (en) 200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3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alse taws warnings and navigating landing approaches
US68891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alse taws warnings and navigating landing approaches
JP4866904B2 (en) Method and system to assist in maneuvering aircraft flying at low altitudes
EP3182395B1 (en) Aircraft display system pertaining to energy management
US8145365B2 (en) Air navigation aid method and system making it possible to maintain vertical margins
EP22242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a primary flight display having a conformal terrain avoidance guidance element
US824979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iding navigation for an aircraft in relation to obstacles
US9646504B2 (en) Flight deck displays to enable visual separation standard
US20030107499A1 (en) Visual display of ground collision avoidance devices for aircraft
US20150307207A1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stabilisation of the approach phase of an aircraft to a landing runway, associate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1899938A1 (en) Method, apparatus, and database products for automated runway selection
GB2496524A (en) Helicopter warning system displaying electricity transmission lines obtained from a database and confirmed by EM sensors
US10242582B1 (en) Visualization of glide distance for increased situational awareness
EP1057160A1 (en) Assistance system for avoiding terrain collision for an aircraft
US953643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the limits of flight margins for an aircraft
KR100886404B1 (en) Method of navigating an aircraft to land on a runway
EP1739014B1 (en) Smart altitude callout for helicopters
KR100886408B1 (en) Method of calculating an approach volume for runway for use with a terrain awareness and warning system or navigation system in an aircraft
AU20022392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alse taws warnings
JP4472739B2 (en) Landing navigation on the runway of aircraft and calculation method of approach volume
Vȧ et al. Simulation of Enhanced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using VHD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