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818A - 국부 발진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국부 발진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818A
KR20070114818A KR1020077023830A KR20077023830A KR20070114818A KR 20070114818 A KR20070114818 A KR 20070114818A KR 1020077023830 A KR1020077023830 A KR 1020077023830A KR 20077023830 A KR20077023830 A KR 20077023830A KR 20070114818 A KR20070114818 A KR 20070114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ocal oscillator
bias control
level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리 칼 앤더슨
제프리 엠 자찬
제프리 해처
Original Assignee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2Details
    • H03B5/04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compensate for variations in physical values, e.g. power supply, load,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9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by improving strong signa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when strong unwanted signals are present at the receiver inp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국부 발진기(LO) 체인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국부 발진기 체인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는 국부 발진기의 잡음 파라미터에 의존하여 국부 발진기에 대한 바이어스 제어 신호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레벨은 적당한 국부 발진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를 도출하기 위해 분석되고, 이것은 국부 발진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
국부 발진기, 소모 전력, 바이어스, 잡음 파라미터, 바이어스 제어

Description

국부 발진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LOCAL OSCILLA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은 국부 발진기의 잡음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국부 발진기(LO; local oscillator)로의 바이어스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LO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효율적이고, 저비용의 전자 모듈이 더욱 더 이용가능해짐에 따라, 단방향(one-way) 이동통신 시스템 및 양방향(two-way) 이동통신 시스템은 더욱 더 널리 보급되고 있다. 무선 호출기와 같은 단방향 통신 장치 및 동물들에 이식되거나 원격지에 위치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트랙킹 및 퍼포먼스 데이터를 제공한다. 셀룰러 텔레폰 및 양방향 라디오와 같은 양방향 통신 장치는 증가하기만 하는 많은 사용자들에게 통신 능력을 제공한다.
휴대용 트랜시버라고도 언급되는 전화기와 유사한 휴대형 통신 핸드셋에 양방향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주파수, 전송 방식, 변조 기술, 및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많은 다양한 통신 방식들이 존재한다. 상이한 변조 방식 및 전송 방식들 각각은 장점과 단점이 있다.
이런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발되고 배치되면서, 이런 시스템들이 준수해야하는 많은 상이한 표준들이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많은 휴대용 통신 시스템이, 특정 변조 방식 및 액세스 포맷의 사용을 요구하는 IS-136 표준을 따른다. IS-136의 경우, 변조 방식은 협대역 오프셋 π/4 차동 4위상 편이 변조(π/4 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π/4-DQPSK)이고, 액세스 포맷은 TDMA이다.
유럽에서는, 이동통신(GSM) 표준에 대한 국제 시스템은 일정 엔벨로프 변조 방법(constant envelope modulation methodology)을 사용하는 협대역 TDMA 액세스 환경에서의 가우시안 최소 편이(GMSK; 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변조 방식의 사용을 요구한다.
또한, 협대역 TDMA 기술을 사용하는 전형적인 GSM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GMSK 변조 방식은, 대개 발진기로부터 직접적으로, 저잡음 위상 변조된(PM) 전송 신호를 비선형 전력 증폭기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고효율 비선형 전력 증폭기가 사용될 수 있어 위상-변조된 신호의 효율적인 변조를 허용하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 변조된 신호는 발진기로부터 직접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전력 증폭기 전 또는 후에 필터링할 필요성이 최소화된다. 또한, GSM 트랜시버의 출력은 비선형 증폭에 따르는 일정 엔벨로프(즉, 시불변 진폭) 변조 신호이다. 발진기로부터의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 출력은 더 낮은 이득 증폭을 허용하고, 이는 전형적으로 더 효율적이면서 잡음이 더 적은 전력 증폭기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되는 변조 방법의 타입에 상관없이, 이런 모든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실질 적으로 배터리와 같은 제한된 전원을 사용하여 동작한다. 휴대용 통신 장치의 동작 시간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휴대용 통신 장치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량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당한 양의 전력을 소모하는 휴대용 트랜시버 내의 시스템들 중 하나는 발진기로서, 전송 신호를 기저대역으로부터 적당한 전송 주파수로 변환하고,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수신 전용 장치에서, 발진기는 수신된 신호를 저주파 변환(downconvert)하는 데에만 사용된다. 발진기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는 전형적으로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 신호 또는 "LO" 신호로 언급된다. 이와 같은 발진기는 "전압 제어형 발진기" 또는 "VCO"로서 언급되는 것이다. VCO는 전형적으로, 원하는 출력 주파수가 "튜닝 포트"에 인가되는 전압에 주로 의존하도록 설계된다. VCO의 전형적인 구현에서, 전압-가변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턴스 (따라서 공진 주파수)는 그 튜닝 포트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변한다. 주어진 LO 회로 설계에 대해, 측파대 잡음 성능은 전형적으로 대기 전력(quiescent power), 즉 회로에 의해 소모되는 바이어스 전력의 함수이다. 증가한 바이어스 전력은 일반적으로 발진기에 후속하는 부회로에 대한 이득 또는 입력 전력을 상승시키거나 슬루율(slew rate)을 감소시켜, 전형적으로 부가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바이어스 신호의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전자 기기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량도 증가한다. 이와 같은 구현에서는, 전력 소모가 감소하는 반면, ["가역혼합(reciprocal mixing)이라 불리는 것을 통해] 측파대 잡음이 부가된다고 하는 이율배반적 관계가 있게된다.
휴대용 트랜시버의 수신부에서, 또는 단방향 "수신 전용" 통신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저주파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LO 신호를 발현시키기 위해 국부 발진기가 사용된다. 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이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추출된다. 이것은 소위 "직접 변환 수신기"의 경우에서와 같이 한단계 프로세스이거나, 수신된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저주파 변환하기 이전에 "중간 주파수(IF;intermediate frequency )"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단계 프로세스일 수 있다. 다단계 프로세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의 저주파 변환 주파수들, 또는 고속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저주파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에 상관없이, 많은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때, 휴대용 트랜시버는 엄격한 표준들을 충족해야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GSM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때, 휴대용 트랜시버의 수신기는 때때로 "폐색" 신호로 불리는 간섭 신호의 존재하에서 원하는 신호를 수신, 저주파 변환, 및 디코딩할 수 있어야한다. 폐색 신호는 측파대 잡음이 원하는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바뀌도록 하여, 수신기의 기저 잡음(noise floor)을 효율적으로 올려주므로, 수신기의 신호 대 잡음비(SNR)를 열화시키고 원하는 신호를 디코딩하기 어렵게 만든다. 폐색 신호가 잡음 또는 변조가 없는 사인파라면, LO 및 임의의 LO 위상 잡음의 공칭 주파수(nominal frequency)는 그 폐색 신호를 변조할 것이다. 저주파 변환된 신호 경로에서, 폐색 신호는 공칭 LO 주파수에 의해 결 정된 주파수에서 나타날 것이다. 또한, LO로부터의 위상 잡음은 저주파 변환된 신호 경로의 폐색 신호에 중첩될 것이다. 이 위상 잡음 중 일부는 원하는 신호 주파수에서 나타날 것이고, 이는 "가역혼합"으로 귀결된다. 폐색 신호가 변조 또는 잡음을 포함한다면, 폐색 신호는 LO 위상 잡음으로부터의 효과와 결합될 것이다. 간섭의 효과는 원하는 신호의 강도, 폐색 신호의 상대적 강도, 수신기의 기저 열잡음, 및 LO에 존재하는 위상 잡음의 정도에 의존할 것이다.
GSM 표준 테스트들 중 하나는, 폐색 신호가 휴대용 트랜시버에 원하는 신호로부터 약 3MHz 떨어져 도입될 것을 요구하며, 수신기는 그 원하는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어야한다. 수신기가 원하는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은, LO 위상 잡음에 기인하는 잡음 열화가 무시할 정도가 되도록 LO 회로로의 바이어스 신호의 레벨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동작 환경에서, 원하는 수신 신호는 LO에 의해 추가되는 위상 잡음이 최소한의 충격을 가질 정도로 충분히 강하기 때문에, 높은 SNR을 수신기에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LO는 상기 기술한 "폐색 신호"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 요구되는 신호 강도 또는 상대적으로 약한 수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도할 때 사용하는 신호 강도보다 훨씬 작은 바이어스 신호 강도를 사용하여 수신기를 동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수신 신호가 약할 때는 LO로의 전력을 상승시키지만, 수신 신호 강도가 높을 때는 LO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휴대용 통신 장치에 위치한 국부 발진기(LO) 체인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수신기에 위치한 수신 신호 강도 판단 소자, 및 수신 신호 강도 판단 소자에 응답하는 국부 발진기 전력 제어 소자를 포함한다. 국부 발진기 전력 제어 소자는 국부 발진기에 바이어스 제어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그 바이어스 제어 신호 레벨은 수신 신호의 상대적 신호 강도에 의해 결정된다.
그 관련된 동작 방법도 역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이점은 후속되는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모든 추가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이점들은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며,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보호되도록 의도되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의 컴포넌트들은 반드시 실제의 비율로 축척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원리를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강조된 부분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상이한 도면들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국부 발진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간략화된 휴대용 트랜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수신 신호 강도 표시기(RSSI;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 소자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대안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픽이다.
휴대용 트랜시버를 특별히 참조하여 기술하지만,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바꾸기 위해 국부 발진기를 사용하는 임의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는 전문화된 하드웨어 소자 및 논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부분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적절한 명령어 실행 시스템(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현은, 데이터 신호에 대한 논리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 게이트를 구비한 별도의 논리 회로(들), 적절한 논리 게이트를 구비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프로 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PGA),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등과 같은 모두 당업계에 잘 알려진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 또는 그 기술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논리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정렬된 목록의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이들과 연계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로는 컴퓨터-기반의 시스템, 프로세서 내장 시스템, 또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로부터 명령어를 꺼내오고 그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기타의 시스템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computer-readable medium)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거나 이들과 연계하여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포함, 저장, 전달, 전파, 또는 이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디바이스이거나 전파 매체일 수 있지만, 이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들(비한정적 목록)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를 구비한 전기 접속(전자적),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자기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자기적), 광섬유(광학적), 및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CDROM)(광학적)를 포함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컴 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는 프로그램이 인쇄되어 있는 종이 또는 다른 적절한 매체가 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그 프로그램이 예를 들어 그 종이 또는 다른 매체의 광학 스캐닝을 통해 전자적으로 캡처된 다음, 필요하다면, 컴파일되거나, 인터프리팅되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처리되고, 그 다음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간략화된 휴대용 트랜시버(10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트랜시버(100)는 휴대용 트랜시버를 간략하게 묘사한 것이고 다양한 트랜시버 아키텍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트랜시버(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주파수(IF)를 사용하여 신호의 고주파 변환(upconversion) 및 저주파 변환(downconversion)을 구현한 트랜시버일 수도 있고, 기저대역 전송 신호가 무선 주파수(RF) 전송 레벨로 직접적으로 변환되는 직접 발송 송신기(direct launch transmitter), DCR로도 언급되는 바와 같이, RF 수신 신호가 직접적으로 기저대역으로 변환되는 직접 변환 수신기(direct conversion 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트랜시버(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국부 발진기가 송신 및 수신 (DCR의 경우에서처럼) 모두를 위해 사용되거나 각각의 LO가 송신 및 수신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휴대용 트랜시버(100)는 스피커(102), 디스플레이(104), 키보드(106), 및 마이크로폰(108)을 포함하고, 이들 모두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10)에 접속된다. 직류(DC) 배터리 또는 다른 전원일 수 있는 전원(142)도 휴대용 트랜시버(1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접속(141)을 통해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10)에 접속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휴대용 트랜시버(100)는 이동/셀룰러-타입 텔레폰과 같은 휴대용 전기통신 핸드셋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피커(102) 및 디스플레이(104)는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10)으로부터 각각 접속(112 및 114)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유사하게, 키보드(106) 및 마이크로폰(108)은 접속(116 및 118)을 통해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10)에 각각 신호를 공급한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10)은 버스(128)를 통해 통신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μP)(120), 메모리(122), 아날로그 회로(124),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126)를 포함한다. 버스(128)는, 단일 버스로서 도시되지만,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10) 내의 서브시스템들 사이에서 필요에 따라 접속되는 다중 버스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22)는 휴대용 트랜시버(100)에 대해 신호 타이밍, 처리 및 저장 기능들을 제공한다. 아날로그 회로(124)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10) 내의 신호들에 대해 아날로그 처리 기능들을 제공한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10)은 접속(132)을 통해 무선 주파수(RF) 서브시스템(130), 특히 아래에 기술될 합성기(148)에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단일 접속(132)으로서 도시되지만, 제어 신호는 DSP(126)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0)로부터 올 수 있고 RF 서브시스템(130) 내의 다양한 지점들에 공급된다. 명료성을 위해, 휴대용 트랜시버(100)의 기본 컴포넌트들만이 여기에 도시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10)은 또한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ADC)(134), 디지털 대 아날로그 컨버터(DAC)(136), 및 LO 전력 제어 소자(204)를 포함한다. ADC(134), DAC(136), 및 LO 전력 제어 소자(204)는 또한 버스(128)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20), 메모리(122), 아날로그 회로(124), 및 DSP(126)와 통신한다. DAC(136)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10) 내의 디지털 통신 정보를, 접속(140)을 통해 RF 서브시스템(130)에 전송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접속(140)은, 2개의 방향이 정해진 화살표들로서 도시되어 있는데, 디지털 도메인으로부터 아날로그 도메인으로의 변환 후 RF 서브시스템(130)에 의해 전송될 정보를 포함한다.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일부분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메모리(122)는 또한 LO 제어 프로그램(310)을 포함한다. LO 제어 프로그램(310)은 일반적으로 메모리(122)에 저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디바이스나 프로세서에서 실행된다. 예를 들어, LO 제어 프로그램(310)은 DSP(126)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서, 아래에 기술될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 소자(208)는 휴대용 트랜시버(100)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상대적 전력 레벨을 판단한다. RSSI 소자(208)는 그 전력 레벨 정보를 버스(128)를 통해 LO 전력 제어 소자(204)에 전달한다. 상기 수신된 전력 레벨 및 수신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NR)에 기초하여, LO 전력 제어 소자(204)는 접속(132)을 통해 LO 바이어스 제어를 설정할 적정 레벨을 판단하고, 수신기에서 적절한 신호 대 잡음비를 유지하면서 LO 회로의 다양한 소자들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LO 바이어스 제어의 레벨은, 수신기에서 수용할만한 신호 대 잡음비 중 가장 낮은 레벨에 맞춰진다.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대안으로서의 실시예에서, LO 제어 프로그램(310)은 합성기(148)에 위치한 LO에 인가될 적정 바이어스 제어 레벨을 결정한다. LO 전력 제어 소자(204)는 LO 제어 프로그램(310)으로부터의 명령을 실행하고 바이어스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 그에 따라 합성기(148)의 LO의 전력 소모를 제어하기 위해, 접속(132)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LO 바이어스 레벨은, 이동 트랜시버에 의해 제공되는 RSSI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트랜시버(100)가 통신하는 기지국에 의해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RF 서브시스템(130)은 변조기(146)를 포함하고, "국부 발진기" 신호 또는 "LO" 신호라고도 불리는 주파수 기준 신호를 접속(150)을 통해 합성기(148)로부터 수신한 후, 그 수신된 아날로그 정보를 변조하고 그 변조된 신호를 접속(152)을 통해 업컨버터(154)에 제공한다. 일정 엔벨로프 변조 방식에서, 변조된 전송 신호는 대체적으로 위상 정보만을 포함한다. 가변 엔벨로프 변조 시스템에서, 변조된 전송 신호는 위상 및 진폭 정보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업컨버터(154)는 또한 접속(156)을 통해 합성기(148)로부터 주파수 기준 신호(LO 신호)를 수신한다. 합성기(148)는 업컨버터(154)가 접속(152) 상의 변조된 신호를 변환할 적당한 주파수를 결정한다. 구현에 따라, 업컨버터(154)는 RF 주파수로의 고주파 변환 이전에 변조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고주파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시스템에서, 업컨버터(154)는 변조된 신호를 곧바로 RF 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변조 및 고주파 변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필터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명료성을 위해 도 1에서는 생략되었다.
업컨버터(154)는 접속(158)을 통해 변조된 신호를 전력 증폭기(160)에 공급한다. 전력 증폭기(160)는 접속(158) 상의 변조된 신호를 접속(162)을 통해 안테나(164)에 전송하기 위해 적당한 전력 레벨까지 증폭한다. 실례로서, 스위치(166)는 접속(162) 상의 증폭된 신호가 안테나(164)에 전달될지의 여부 또는 안테나(164)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필터(168)에 공급될지의 여부를 제어한다. 스위치(166)의 동작은, 접속(132)을 통해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1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대안으로서,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스위치(166)는 전송신호 및 수신신호 양자의 동시 통과를 허용하는 한 쌍의 필터(예, 듀플렉서)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명료성을 위해 생략되었지만, 접속(162) 상의 증폭된 전송 신호 에너지의 일 부분은 전송될 신호의 출력 전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전력 제어 소자에 공급될 수 있다.
안테나(164)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수신 필터(168)에 안내된다. 수신 필터(168)는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하고 접속(174) 상의 필터링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기(LNA;low noise amplifier)(176)에 공급한다. 수신 필터(168)는 대역 통과 필터로서, 휴대용 트랜시버(100)가 동작하는 특정 셀룰러 시스템의 모든 채널을 통과시킨다. 한 예로서, 900 MHz GSM 시스템에 대해, 수신 필터(168)는 935.2MHz부터 959.8MHz까지의 모든 주파수를 통과시켜, 각각 200kHz의 인접하는 124개의 채널들 모두를 커버한다. 이런 필터의 목적은 원하는 영역 밖의 모든 주파수를 거부하는 것이다. LNA(176)는, 접속(174) 상의 비교적 약한 신호를, 다운컨버터(178)가 그 신호를 전송된 주파수로부터 IF 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는 레벨까지 증폭한다. 대안으로서, LNA(176) 및 다운컨버터(178)의 기능은, 제한을 두려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저잡음 블럭 다운컨버터(LNB;low noise block downconverter)와 같은 다른 소자들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다운컨버터(178)는 접속(180)을 통해 합성기(148)로부터 "국부 발진기" 신호 또는 "LO" 신호라고도 불리는 주파수 기준 신호를 수신한다. LO 신호는, 접속(182)을 통해 LNA(176)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저주파 변환시킬 적절한 주파수에 대해 다운컨버터(178)에게 명령을 내린다. 신호는 우선 중간 주파수 또는 IF로 변환될 수 있다. 다운컨버터(178)는 저주파 변환된 신호를 접속(184)을 통해 "IF 필터"라고도 불리는 채널 필터(186)에 전송한다. 채널 필터(186)는 저주파 변환된 신호를 필터링하고 그것을 접속(188)을 통해 증폭기(190)에 공급한다. 채널 필터(186)는 원하는 채널 하나를 선택하고 다른 모든 채널들은 거부한다. 예시로서의 GSM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제로 124개의 인접 채널들 중 하나만이 수신될 것이다. 모든 채널들이 수신 필터(168)에 의해 통과되고 다운컨버터(178)에 의해 저주파 변환된 후, 하나의 원하는 채널만이 채널 필터(186)의 공칭 중심 주파수에 나타날 것이다. 합성기(148)는, 접속(180) 상에서 다운컨버터(178)에 공급되는 국부 발진기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선택 채널을 결정한다. 증폭기(190)는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고 그 증폭된 신호를 접속(192)을 통해 복조기(194)에 공급한다. 복조기(194)는 전송된 아날로그 정보를 복구하고 이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접속(196)을 통해 ADC(134)에 공급한다. ADC(134)는 이 아날로그 신호들을 기저대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 고 추가 처리를 위해 그 신호를 버스(128)를 통해 DSP(126)에 전달한다. 대안으로서, 접속(184)에서 저주파 변환된 캐리어 주파수(IF 주파수)는 공칭 0Hz이고, 이 경우 수신기는 "직접 변환 수신기"로서 언급된다. 이와 같은 경우, 채널 필터(186)는 로우 패스 필터로서 구현되고 복조기(194)는 생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RSSI 소자(208)를 포함한다. RSSI 소자(208)는 접속(212)을 통해 증폭기(190)의 출력 또는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복조기(194)의 출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상대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RSSI 소자(208)는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기저대역 RSSI 신호를 도출하고, 기저대역 RSSI 신호를 접속(214)을 통해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10)에 전송한다. 기저대역 RSSI 신호는 LO 전력 제어 소자(204)에 의해 처리되고, 이것은 접속(132)을 통해 합성기(148) 내의 국부 발진기에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발현한다. 이 실시예에서, 국부 발진기에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수신된 신호의 상대 전력 레벨에 의존적이어서, 수신된 신호 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을 때, LO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신호의 레벨이 감소될 수 있다.
LO 회로에 의해 소모되는 바이어스 전력의 양은 수신기의 잡음 파라미터에 의존한다. 잡음 열화는 폐색 신호의 존재 및 국부 발진기에서의 가역 혼합에 기인하여 발생한다. 다음과 같은 입력, 출력, 및 시스템 값들은 가정된 것이다:
입력:
S 원하는 신호, dBm.
N 열잡음, dBm/BWn.
B 특정 오프셋에서의 차단 또는 간섭 인자, dBm.
출력:
So 원하는 저주파 변환된 신호, dBm.
No 저주파 변환 + 수신기 잡음, dBm.
시스템 특성들:
BWn 수신기의 등가 잡음 대역폭, kHz.
BWndB 수신기의 등가 잡음 대역폭, dB.
BPF 수동 사전 선택기 대역 통과 필터 손실, dB.
NF BPF를 제외한 수신기의 잡음 수치
G 주어진 안테나 입력 레벨에 대해 선택된 수신기 이득(=G1+G2+...+Gk), dB.
D 신호대 잡음비의 허용가능한 열화, dB.
PHI 특정 주파수 오프셋에서의 LO의 위상 잡음, dBc/Hz.
가역 혼합의 효과를 제외하면, 수신기 출력에서의 신호대 잡음비 So-No = (S-BPF+G) - (N+G+NF) = (S-BPF)-(N+NF)이고 폐색 신호는 수신기 중간 주파수 필터 또는 로우 패스 필터에 의해 거부될 것으로 추측된다. 주어진 So-No 열화에 대해, 수신기 출력 So-No는 So-No = (S-BPF)-(N+NF+D)이다.
위상 잡음 및 열잡음은 출력에서 더해져, 인수 (N+NF+D)는 10^((N+NF+D)/10) = 10^((N+NF)/10+10^((B-BPF+PHI)/10)으로서의 선형 유닛으로 표현되고, 이 식은 PHI[dBc/Hz]에 대해 그 해가 구해진다. 전형적인 AGC 수신기는 가장 낮은 안테나 입력 레벨에서 3.5dB의 최소 NF, 및 3.5dB의 보존 BPF 손실을 갖는다.
이득 압축(gain compression)과 같은 비선형 효과는 앞서 도시되지 않았다. 소신호 이득이 감소된다면, 충분한 SNR을 유지하기 위해 허용가능한 열화 D가 감소할 것이다. 또한, 소신호 이득이 폐색 신호의 대신호 이득보다 적다면, 폐색 신호(blocker signal)로 변조되는 위상 잡음은 원하는 신호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다. 그러나, 원하는 신호 입력이 증가함에 따라, AGC 설정들은 더 높은 입력 전력을 제공하여, 이런 효과들을 감소시킬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수 D는 낮은 안테나 입력에서의 비선형 효과를 위해 준비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D=4dB, NF=3.5dB, BPF=3.5dB, G=94dB, 원하는 안테나 신호는 -100dBm이라면, 3MHz 오프셋에서의 위상 잡음 -139.2dBc/Hz는 비선형 효과를 제외하고 기저대역에서 10dB SNR을 제공한다.
도 2는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RSSI) 신호가 생성되는 방식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복조기(194)에 공급되는 접속(192) 상의 수신 신호는 또한 RSSI 소자(208)에도 공급된다. RSSI 소자(208)는 당업계에 알려진 소자들 및 알고리즘들에 따라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 신호를 발현한다. 접속(214) 상의 RSSI 소자(208)의 출력은 LO 전력 제어 소자(204)에 공급된다. 한 실시예에서, LO 전력 제어 소자(204)는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LO 회로의 다양한 소자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신호를 RSSI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발현한다. 대안으로서, 접속(196) 상의 복조기(194)의 출력은 RSSI 소자(208)로의 입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휴대용 트랜시버(100)의 LO 회로 내의 다양한 소자들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이어스 제어 네트워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바이어스 제어 네트워크(300)는 발진기(222)를 포함하는 합성기(148)를 포함한다. 발진기(222)는 휴대용 트랜시버(100)의 다양한 소자들에 공급되는 LO 신호를 발현한다. 바이어스 제어 네트워크(300)는 또한 증폭기(308) 및 복수의 분배 증폭기들(3141 내지 314N)을 포함하는 분배 소자(306)를 포함한다. 주파수 fREF에서의 기준 신호는 접속(302)을 통해 발진기(222)에 공급된다. 접속(304) 상의 발진기(222)의 출력은 원하는 중간 주파수(IF) 또는 국부 발진기(LO) 주파수에서의 신호이고, fSYNTH로서 언급된다.
접속(304) 상의 LO 신호는 증폭기(308)에 공급되고, 증폭기(308)는 접속(312) 상의 출력을 분배소자(306)의 분배 증폭기(314)들 각각에 공급한다. 분배 증폭기(314) 각각의 출력은, 국부 발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이한 소자 또는 소자들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에서, 접속(3161) 상의 출력은 제1 믹서(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될 수 있고, 접속(3162) 상의 출력은 제2 믹서(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 예에서, 접속(316N) 상의 출력은 주파수 체감기(318)에 공급된다. 주파수 체감기(318)는 접속(316N) 상의 신호를 정수 J로 나눈다. 주파수 체감기(318)의 출력은 접속(322)을 통해 주파수 체배기(multiplier)(324)에 공급된다. 주파수 체배기(324)는 접속(322) 상의 신호를 정수 K로 곱하여, 접속(180) 상에서 다운컨버터(178)에 공급되는 국부 발진기 신호를 도출한다. 다운컨버터(178)는 수신 체인의 일부이고, 접속(182)을 통해 LNA(176)의 출력을 수신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다운컨버터(178)의 출력은 접속(184)을 통해 필터(186)(도 1) 및 수신 체인의 다른 소자들에게 공급된다. 대안으로서, LO 신호는 전송 체인의 소자 또는 소자들에 공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속(132)에 접속되고 그것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바이어스 버스(35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류 소스들을 포함하며, 이 전류 소스들은 CS0-N으로 축약해서 나타내고 참조 번호 3541 내지 354N을 사용하여 참조된다. 전류 소스 CSN은 이산적인 상태를 갖거나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는 의존적인 전류 소스로서 언급된다. 대안으로서, 전류 소스 대신에 전압 소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류 소스 354N는, 합성기(148), 분배소자(306), 주파수 체감기(318), 주파수 체배기(324), 및 다운컨버터(178)를 포함하는 LO 회로 내의 소자들 각각에 결합된다. 전류 소스들 (354N) 각각에 대응하는 접속(352N)들은, 각각의 전류 소스(354N)들이 바이어스 제어 네트워크(300) 내의 각각의 전력 소모 소자들을 제어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 바이어스 버스(350)는 전류 소스(354)가 끌어들인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아날로그 제어 신호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각각의 전류 소스(354)와 연관된 각각의 바이어스를 개별적으로 또는 통합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바이어스 버스(350)가 전류 소스(354)를 어드레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전류 소스에 접속된 각각의 컴포넌트가 소모하는 전류량을 결정하기 위해 전류 소스(354) 각각의 전류를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3개의 도체 어드레스 버스(conductor address bus)로서 바이어스 버스(350)가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바이어스 버스(350)는 바이어스 제어 네트워크(300)의 모든 컴포넌트들의 전류를 전반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제어될 수 있다. 바이어스 버스(350)로의 입력은, LO 전력 제어 소자(204) 내에 포함되거나 그것에 접속되어 있는 디코더로부터(도시되지 않음) 수신될 수 있다. 이 디코더는 상기 기술한 RSSI 신호의 레벨에 의존하여 또는 LO 제어 프로그램(310)(도 1)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LO 회로 내의 소자들 각각이 끌어들인 전류량을 결정한다. 최소의 바이어스 전력을 사용하여 수신기에 적절한 신호 대 잡음비를 제공하기 위해, LO 회로 내의 소자들의 전력 소모는 RSSI 신호, 및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수신기의 잡음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도 4는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한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 순서도의 블럭들은 도시한 순서대로, 또는 도시한 순서와 다르게, 또는 실질적으로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블럭(402)에서, 수신된 신호는 처리되어 RSSI 소자(208)에 공급된다. 블럭(404)에서, RSSI 소자(208)는 RSSI 신호를 생성한다. 블럭(406)에서, RSSI 신호는 다양한 LO 위상 잡음 바이어스 제어하에, 신호 대 잡음비 대 안테나 입력에 대한 앞서 수신한 특징/시뮬레이션 정보와 비교된다. 블럭(408)에서, LO 전력 제어 소자(204)는 다양한 위상 잡음 설정 들에 대한 신호 대 잡음비 대 안테나 입력을 분할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에 기초하여 바이어스 버스(350) 상에 신호를 출력한다. 이런 방식으로, 수신기의 충분한 신호 대 잡음비를 보장하면서, LO 회로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는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블럭(502)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마스터 트랜시버로부터 명령이 수신된다. 그 명령은 이동 유닛의 RSSI 신호 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기지국 마스터 트랜시버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를 반영한다. 블럭(504)에서, LO 제어 프로그램(310)(도 1)은 적당한 바이어스 설정을 결정하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사용하여 룩업을 수행한다. 블럭(506)에서, 이동 유닛으로부터 보고된 RSSI신호에 기초하여, 마스터 트랜시버는 원하는 바이어스 설정을 표시하고 LO 전력 제어 소자(204)에게 바이어스 버스(350) 상에 적당한 신호를 배치하도록(도 3) 명령한다.
도 6은 LO(222)에 대한 3개의 예시로서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수직축은 기저대역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SNR)를 dB로 나타내고, 수평축은 수신된 신호 강도를 dBm 단위의 안테나 입력 레벨로서 나타낸다. 트레이스(602)는 3개의 동작 상태로 나눠진다. 단지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3개의 동작 상태가 선택된다. LO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더 적은 또는 더 추가된 동작 상태들이 시스템의 범위 내에 구현될 수 있다. 곡선(602)의 제1 부분(604)은 안테나 입력이 적정 레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제1 동작 상태를 가리킨다. 제1 동작 상태에서 동작 할 때, LO의 위상 잡음은 수신된 신호에 상당한 간섭을 주어 LO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SNR의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낮은 입력 신호 레벨을 극복하기 위해 LO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늘림으로써 LO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 한 동작 상태의 절단 지점(1)은 신호 대 잡음비 약 30dBc/Hz를 갖는 약 -70dBm인 지점이다. 곡선(602)의 부분(606)은, 입력 신호 전력 레벨 상승으로부터 발생하는 LO의 향상된 SNR에 기인하여 LO(222)에 공급되는 전력이 감소될 수 있는 경우인 제2 동작 상태를 가리킨다. 곡선(602)의 제3 부분(608)은 안테나로의 입력이 약 -55dBm 또는 그보다 크고 복조기에 부여되는 SNR 비율이 대체적으로 30dB 이상인 제3 동작 상태를 가리킨다. 제3 동작 상태에서, LO(222)로의 전력은 LO의 위상 잡음에 기인하는 신호 열화 없이 최소로 설정될 수 있다.
3MHz 오프셋은 예로서 사용된다. 특정 통신 채널/방식마다 다양한 오프셋들이 특징을 이루거나 중요하게 간주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런 예들 또한 커버하도록 의도되었다. 다양한 서브시스템 블럭의 위상 잡음 기여도는, 일반적으로 회로 및 아키텍처에 의존하므로, 바이어스 제어 전류 소스는, 주된 기여자로서 결정된 서브 시스템 블럭 또는 컴포넌트들 상에서만 동작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되었지만, 더 많은 실시예와 구현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속되는 청구항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22)

  1. 국부 발진기(LO;local oscillator) 체인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국부 발진기의 잡음 파라미터에 의존하여 국부 발진기(LO)에 대한 바이어스 제어 신호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국부 발진기 체인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파라미터는 수신 신호의 강도에 의존하는 것인, 국부 발진기 체인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가 약할 때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의 레벨을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국부 발진기 체인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가 강할 때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의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국부 발진기 체인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국부 발진기(LO)에 대한 바이어스 제어 신호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수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국부 발진기 체인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국부 발진기(LO) 수단에 대한 바이어스 제어 신호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수신된 신호의 검출된 전력 레벨에 응답하는 것인, 국부 발진기 체인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국부 발진기(LO)에 대한 바이어스 제어 신호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기저대역 LO 전력 제어 소자에 따라 LO 바이어스 제어 신호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국부 발진기 체인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국부 발진기(LO) 수단에 대한 바이어스 제어 신호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기저대역 LO 전력 제어 소자에 응답하는 것인, 국부 발진기 체인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
  9. 국부 발진기(LO) 체인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기의 잡음 파라미터에 의존하여 국부 발진기(LO)에 대한 바이어스 제어 신호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부 발진기(LO) 체인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파라미터는 수신 신호의 강도에 의존하는 것인, 국부 발진기(LO) 체인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가 약할 때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의 레벨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국부 발진기(LO) 체인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가 강할 때 바이어스 제어 시스템의 레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국부 발진기(LO) 체인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국부 발진기(LO) 체인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국부 발진기(LO)에 대한 바이어스 제어 신호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신호의 검출된 전력 레벨에 응답하는 것인, 국부 발진기(LO) 체인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기저대역 LO 전력 제어 소자를 사용하여 LO 바이어스 제어 신호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국부 발진기(LO) 체인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LO 전력 제어 소자에 따라 국부 발진기(LO)에 대한 바이어스 제어 신호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국부 발진기(LO) 체인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7. 휴대용 통신 장치에 위치한 국부 발진기(LO) 체인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상기 수신기에 위치한 수신 신호 강도 판단 소자; 및
    상기 수신 신호 강도 판단 소자에 응답하는 LO 전력 제어 소자로서, 바이어스 제어 신호를 국부 발진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 레벨은 상기 수신 신호의 상대 신호 강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LO 전력 제어 소자
    를 포함하는 바이어스 전력 제어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 레벨은 상기 수신 신호가 약할 때 상승되는 것인, 바이어스 전력 제어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 레벨은 상기 수신 신호 강도가 강할 때 감소되는 것인, 바이어스 전력 제어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 레벨은, 상기 수신 신호의 상대 신호 강도가 미리 결정된 레벨에 도달할 때 감소되는 것인, 바이어스 전력 제어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 레벨을 상기 수신 신호의 상대 신호 강도가 -70dBm에 도달할 때 감소시키는 것인, 바이어스 전력 제어 시스템.
  22. 국부 발진기(LO) 제어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 강도 판단 소자에 응답하고 바이어스 제어 신호를 국부 발진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LO 전력 제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어스 제어 신호 레벨은 상기 수신 신호의 상대 강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국부 발진기(LO) 제어기.
KR1020077023830A 2005-03-22 2006-03-21 국부 발진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KR20070114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86,107 2005-03-22
US11/086,107 US20060217098A1 (en) 2005-03-22 2005-03-22 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local oscil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818A true KR20070114818A (ko) 2007-12-04

Family

ID=3702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830A KR20070114818A (ko) 2005-03-22 2006-03-21 국부 발진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17098A1 (ko)
EP (1) EP1861930A4 (ko)
KR (1) KR20070114818A (ko)
WO (1) WO200610228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4004B2 (en) 2010-03-12 2017-01-10 Sunrise Micro Devices, Inc. Power efficient communications
EP2674002B1 (en) * 2011-02-08 2018-06-06 Marvell World Trade Ltd. Wlan channel allocation
JP6278306B2 (ja) 2011-03-14 2018-02-14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アシスト型の位置ベースの無線スペクトル割り当て
US8606194B2 (en) * 2011-08-15 2013-12-10 Renesas Mobile Corporation Receiver
US8803568B2 (en) 2011-11-28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Dividing a frequency by 1.5 to produce a quadrature signal
US11943818B2 (en) * 2016-01-27 2024-03-26 Starry, Inc. Nodes for high frequency fixed wireless acc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4943C2 (sv) * 1994-01-12 2001-05-21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 Sätt vid energibesparing i en batteridriven sändare - mottagare
US7151915B2 (en) * 2001-09-26 2006-12-19 Nokia Corporation Dual mod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controllable bias modes and power consumption
US6687491B2 (en) * 2002-01-18 2004-02-03 Sony Corporation Direct conversion of low power high linearity receiver
US20050134336A1 (en) * 2002-10-31 2005-06-23 Goldblatt Jeremy M. Adjustable-bias VCO
US7043226B2 (en) * 2003-12-17 2006-05-09 Motorola, Inc. Variable expiration parameter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upon signal str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17098A1 (en) 2006-09-28
EP1861930A2 (en) 2007-12-05
EP1861930A4 (en) 2009-02-18
WO2006102288A2 (en) 2006-09-28
WO2006102288A3 (en)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86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antenna impedance matching
US6795712B1 (en) System for allowing a TDMA/CDMA portable transceiver to operate with closed loop power control
US7787570B2 (en) Polar loop radio frequency (RF) transmitter having increased dynamic range amplitude control
KR100789203B1 (ko) 폐쇄 전력 제어 피드백 루프를 사용하여 증폭기로부터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컴퓨터에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7483678B2 (en) Single chip GSM/EDGE transceiver architecture with closed loop power control
KR20040005855A (ko) 무선 트랜시버 전력 증폭기로의 변조 주입을 포함하는연속 폐루프 전력 제어 시스템
EP2055013B1 (en) Adaptive predistortion for controlling an open loop power amplifier
US67181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nonlinear distortion in an automatic gain control system
JP2011521508A (ja) 適応的アンテナインピーダンス整合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US7512392B2 (en) System for adaptively filtering a received signal in a wireless receiver
US20170195005A1 (en) Method and radio node for controlling radio transmission
US7248845B2 (en) Variable-loss transmitter and method of operation
JP3618055B2 (ja) 携帯移動端末および送信装置
KR20070114818A (ko) 국부 발진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US73698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a TDMA/CDMA portable transceiver to operate with closed loop power control
US6633751B1 (en) System for a dual feedback translation loop for power amplifier feedback control
US6480700B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at reduced level of current consumption
US6982594B2 (en) System for developing a secondary control signal in a power amplifier control loop
CN204190761U (zh) 一种高集成度超短波电台收发前端模块
US73664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the bias level of a mixer in a transmitter
US20020119763A1 (en) Smart current system for dynamically varying the operating current of a frequency source in a receiver
JP2009267653A (ja) 無線通信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