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510A -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 - Google Patents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510A
KR20070114510A KR1020060048189A KR20060048189A KR20070114510A KR 20070114510 A KR20070114510 A KR 20070114510A KR 1020060048189 A KR1020060048189 A KR 1020060048189A KR 20060048189 A KR20060048189 A KR 20060048189A KR 20070114510 A KR20070114510 A KR 20070114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voice
digital
output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3971B1 (ko
Inventor
여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971B1/ko
Publication of KR20070114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8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udi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04N7/52Systems for transmission of a pulse code modulated video signal with one or more other pulse code modulated signals, e.g. an audio signal or a synchronizing signal
    • H04N7/54Systems for transmission of a pulse code modulated video signal with one or more other pulse code modulated signals, e.g. an audio signal or a synchronizing signal the signals being synchrono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04N2007/246Bitstream transpor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받아 상기 패킷 내 음성 데이터의 신호 형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신호 형태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는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은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받아 상기 패킷 내 음성 데이터를 그 음성 데이터의 신호 형태에 따라 해당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원한다. 그리고 복원한 서로 다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들이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도록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시킨다. 그에 따라,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은 서로 다른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각 구비된 출력 인터페이스의 출력 방식에 따라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복잡한 구성을 가지지 않는다.
음성 데이터, 수신 모듈, 디지털 음성 신호, 출력 인터페이스

Description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An audio data receiving module}
도 1은 영상/음성 출력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서로 다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HDMI 수신모듈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 302 : 디코더
304 : 신호 변환부 306 : 다중화기(MUX)
308 : 신호 출력부 310 : 제어부
312 : 커넥터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받아 상기 패킷 내 음성 데이터의 신호 형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신호 형태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는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TV, LCD 모니터, PDP 등과 같은 디지털 가전 기기의 보급 확산에 따 라 주변 기기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고대역 비압축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송 가능한 DVI(Digital Video Interface)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DVI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 및 디지털 영상 신호를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DDWG(Digital Display Working Group)에서 만든 규격으로, 현재 PC, TV, DVD 플레이어 등의 제품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디지털 음성 신호의 지원이 미흡하고 또한 커넥터(Connecter)의 크기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DVI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기술로 디지털 영상 신호와 디지털 음성 신호를 5Gbps 이상의 대역폭을 가지며 전송 가능한 HDMI 기술이 개발되었다.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는 차세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서 고선명 영상 및 음성 신호의 지원이 가능하고, 그 커넥터의 케이블 수가 적고 크기가 작아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HDMI는 디지털 TV, STB(Set-Top Box;셋톱박스),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은 여러 가전 제품에 적용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최근에 개발된 HDMI 1.2는 PCM(Pulse Coded Modulation) 형태(Format)의 디지털 음성 신호 전송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DSD(Direct Stream Digital)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 전송도 지원하여 SACD(Super Audio Compact Disk)와의 오디오 인터페이스 호환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HDMI의 오디오 인터페이스 호환성이 증대됨에 따라 HDMI 수신모듈이 HDMI 송신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서로 다른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해서 복수 개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각 구비된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신호 출력을 제어해야 하므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데 복잡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원한 서로 다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들이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도록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은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받아 상기 패킷 내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의 신호 형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신호 형태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 또는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원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에서 복원된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신호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디코더에서 복원된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 또는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기; 상기 다중화기에서 출력된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 출력에 필요한 오디오 클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오디오 클록 및 상기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신호 출력 방식에 따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데이터 패킷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데이터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는 PCM(Pulse Coded Modulation)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는 DSD(Direct Stream Digital)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에서 상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와 동기되는 오디오 클록을 생성하는 피엘엘(PLL)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영상/음성 출력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로, HDMI 수신모듈을 통해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받아 해당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기기의 구성을 일 예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음성 출력 기기(100)는 HDMI 커넥터(102)와, HDMI 수신모듈(104)과, 영상 신호 처리부(106)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음성 신호 처 리부(108)와, 스피커(112)와, 제어부(114)로 구성된다.
HDMI 커넥터(102)는 HDMI 규격에 따른 외부 기기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그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HDMI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아 HDMI 수신모듈(104)로 전송한다.
HDMI 수신모듈(104)은 입력된 HDMI 데이터 패킷을 디코딩하여 HDMI 데이터 패킷 내에 포함된 디지털 영상 신호 및 디지털 음성 신호를 분리한다. 그리고 디지털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106)로 전송하고, 디지털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처리부(108)로 전송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106)는 HDMI 수신모듈(10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 및 처리하고, 음성 신호 처리부(108)는 HDMI 수신모듈(104)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112)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 및 처리한다.
제어부(114)는 영상/음성 출력 기기(100)의 각 부 동작을 제어하며, HDMI 수신모듈(104)을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스피커(112)에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HDMI 수신모듈(104)이 음성 신호 처리부(108)로 전송하는 디지털 음성 신호는 PCM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 또는 DSD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일 수 있다.
도 2는 서로 다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HDMI 수신모듈(200)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MI 수신모듈(200)은 I2S(Inter-IC Sound) 출력 인터페이스(202)와 DSD 출력 인터페이스(204)를 구비하고 있다.
I2S 출력 인터페이스(200)는 CD 플레이어, DSP, 디지털 TV 음향 기기 등의 디지털 음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로, I2S 출력 인터페이스에서는 음성 신호를 클록 신호와 분리하여 처리한다. 음성 신호와 클록 신호의 분리는 지터(Jitter)를 유발하는 시간과 관련된 에러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 주어, I2S 출력 인터페이스는 지터 방지 장치가 필요없는 장점을 가진다.
I2S 출력 인터페이스(200)는 PCM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시키는 인터페이스 방식 중 하나로, 시분할 다중화 신호 채널을 위한 회선(I2S_DATA)과, 워드 클록(Word Clock)을 위한 회선(I2S_LR)과, 그리고 오디오 클록을 위한 회선(I2S_CLK)으로 모두 세 종류의 직렬 버스 회선으로 구성된다.
HDMI 수신모듈(200)에서 이와 같은 I2S 출력 인터페이스(202)를 통해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DMI 수신모듈(200)은 외부 기기로부터 HDMI 커넥터(206)를 통해 입력받은 데이터 패킷, 예를 들면 HDMI 데이터 패킷 내에 포함된 헤더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HDMI 데이터 패킷의 헤더 정보 내에 포함된 음성 신호의 형태를 확인하여, 그 확인된 음성 신호의 형태가 PCM 형태인 경우 상기 HDMI 데이터 패킷 내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PCM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원한다.
HDMI 수신모듈(200)은 복원한 좌측(Left)과 우측(Right) 채널의 PCM 디지털 음성 신호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I2S 출력 인터페이스(202)에 구비된 시분할 다중화 신호 채널 회선(I2S_DATA)으로 출력한다.
또한 HDMI 수신모듈(200)은 I2S 출력 인터페이스(202)의 시분할 다중화 신호 채널 회선(I2S_DATA)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가 좌측 채널 신호인지 우측 채널 신호인지를 알려주는 워드 클록을 생성하여 I2S 출력 인터페이스(202)에 구비된 워드 클록 회선(I2S_LR)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I2S 출력 인터페이스(202)의 워드 클록 회선에서 출력되는 워드 클록을 이용하여 시분할 다중화 신호 채널 회선(I2S_DATA)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가 좌측 채널에 해당하는 신호인지 우측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리고 HDMI 수신모듈(200)은 복원한 PCM 디지털 음성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에 동기되는 오디오 클록을 생성하여 I2S 출력 인터페이스(202)에 구비된 오디오 클록 회선(I2S_CLK)으로 출력한다.
도면상에는 4 채널의 PCM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각각의 채널에 대한 시분할 다중화 신호 채널 회선(I2S_CHx_DATA, x는 0,1,2,3 임)과 워드 클록(Word Clock) 회선(I2S_CHx_LR, x는 0,1,2,3 임)을 구비하고, 하나의 오디오 클록 회선(I2S_CLK)을 구비하고 있는 I2S 출력 인터페이스(202)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DSD 출력 인터페이스(204)는 DSD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 좌측 채널의 DSD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회선(DSD_L)과, 우측 채널의 DSD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회선(DSD_R)과, 오디오 클록을 출력하는 회선(DSD_CLK)으로 모두 3 종류의 회선으로 구성된다.
HDMI 수신모듈(200)에서 이와 같은 DSD 출력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DMI 수신모듈(200)은 외부 기기로부터 HDMI 커넥터(206)를 통해 입력받은 데이터 패킷, 예를 들면 HDMI 데이터 패킷 내에 포함된 헤더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HDMI 데이터 패킷의 헤더 정보 내에 포함된 음성 신호의 형태를 확인하여, 그 확인된 음성 신호의 형태가 DSD 형태인 경우, HDMI 데이터 패킷 내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DSD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원한다.
DSD는 샘플링 주파수가 2.8224MHz로 일반 CD가 지닌 44.1Hz의 64배에 이르며 1초에 2.8224*1,000,000번의 반복을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1 비트(bit)의 디지털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HDMI 수신모듈(200)은 이와 같은 DSD 방식으로 변환된 디지털 음성 신호의 좌측 채널 음성 신호 및 우측 채널 음성 신호를 각각 DSD 출력 인터페이스(204)에 구비된 해당 채널의 신호를 출력하는 회선(DSD_L,DSD_R)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HDMI 수신모듈(200)은 DSD 디지털 음성 신호의 출력에 필요한 클록으로 DSD 디지털 음성 신호와 동기되는 2.8224KHz의 오디오 클록을 생성하여 그 생성된 오디오 클록을 DSD 출력 인터페이스(204)에 구비된 오디오 클록 회선(DSD_CLK)으로 출력한다.
도면상에는 8 채널의 DSD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각 음성 채널의 좌측 채널과 우측 채널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회선들(DSD_CHx_L,DSD_CHx_R, x는 0부터 7까지의 정수)과 클록을 출력하는 회선(DSD_CLK)을 구비한 DSD 출력 인터페이스(DSD_CLK)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HDMI 수신모듈(200)은 서로 다른 형태(PCM 형태, DSD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 각각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구비된 출력 인터페이스의 방식에 따라 해당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시킨다.
따라서 HDMI 수신모듈(200)의 디지털 음성 신호 출력에 있어서 복잡한 구성을 가지게 되는 단점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300)은 복원한 서로 다른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들이 하나의 신호 형태로 변환되어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300)은 디코더(302)와, 신호 변환부(304)와, 다중화기(MUX)(306)와, 제어부(310)로 구성된다.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300)의 각 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디코더(302)는 커넥터(312)를 통해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 예를 들면 HDMI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패킷 내에 포함된 헤더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 정보 내에 포함된 음성 신호의 형태를 확인한다.
디코더(302)는 상기 확인 결과, 음성 신호의 형태가 제1 신호 형태이면, 상기 데이터 패킷 내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원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 음성 신호의 형태가 제2 신호 형태이면, 상기 데이터 패킷 내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원한다.
디코더(302)는 복원한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 또는 제 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신호 변환부(304)는 디코더(302)로부터 출력되는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받은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신호 변환부(304)는 디코더(302)에서 출력되는 서로 다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가 하나의 동일한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출력되도록 신호 형태를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여기서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는 PCM 디지털 음성 신호이고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는 DSD 디지털 음성 신호이거나 그 반대의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다중화기(306)는 디코더(302)로부터 출력되는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 또는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시킨다.
신호 출력부(308)는 다중화기(306)로부터 출력되는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소정 신호 출력 방식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입력받은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 출력에 필요한 오디오 클록을 생성하여 소정 신호 출력 방식에 따라 상기 변환한 디지털 음성 신호와 함께 출력한다.
신호 출력부(308)는 피엘엘(PLL)를 구비하여 출력할 디지털 음성 신호와 동기되는 오디오 클록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는 PCM 디지털 음성 신호이고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는 DSD 디지털 음성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신호 출력부(308)에 구비된 피엘엘은 DSD 디지털 음성 신호의 출력에 필요한 클록으로 DSD 디지털 음성 신호와 동기되는 2.8224KHz의 오디오 클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호 출력부(308)에서 소정 신호 출력 방식에 따라 출력된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처리부(미도시)에 입력된다. 그리고 음성 신호 처리부에서 스피커(미도시)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 및 처리된 후, 스피커로 출력된다.
제어부(310)는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10)는 디코더(302)에서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신호 변환이 수행되도록 신호 변환부(304)를 제어하고 다중화기(306)가 신호 변환부(304)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신호 출력부(308)가 다중화기(306)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소정 신호 출력 방식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 출력에 필요한 오디오 클록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10)는 디코더(302)에서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 는 경우, 다중화기(306)가 디코더(302)에서 출력되는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언급한 바와 동일하게 신호 출력부(308)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300)은 서로 다른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인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와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해야 하는 경우에,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결과적으로 하나의 신호 형태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300)은 서로 다른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 각각의 신호 형태에 따른 디지털 음성 신호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300)이 각각의 신호 형태에 따라 디지털 음성 신호에 대한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면 구비된 각 출력 인터페이스의 출력 방식에 따라 디지털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를 변환하고 상기 신호의 출력에 필요한 오디오 클록을 생성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300)은 서로 다른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하나의 신호 형태로 변환하고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300)은 그 구비된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서만 디지털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를 변환하고 상기 신호의 출력에 필요한 오디오 클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보다 단순한 구성을 가진 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은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받아 상기 패킷 내 음성 데이터를 그 음성 데이터의 신호 형태에 따라 해당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원한다. 그리고 복원한 서로 다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들이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도록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시킨다.
그에 따라,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은 서로 다른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또한 각 구비된 출력 인터페이스의 출력 방식에 따라 디지털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복잡한 구성을 가지지 않는다.

Claims (4)

  1.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받아 상기 패킷 내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의 신호 형태를 확인하고, 그 확인한 신호 형태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 또는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복원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에서 복원된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신호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디코더에서 복원된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 또는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기;
    상기 다중화기에서 출력된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 출력에 필요한 오디오 클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오디오 클록 및 상기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신호 출력 방식에 따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데이터 패킷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데이터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는 PCM(Pulse Coded Modulation)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는 DSD(Direct Stream Digital)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2 신호 형태의 디지털 음성 신호와 동기되는 오디오 클록을 생성하는 피엘엘(PLL)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모듈.
KR1020060048189A 2006-05-29 2006-05-29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 KR100783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189A KR100783971B1 (ko) 2006-05-29 2006-05-29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189A KR100783971B1 (ko) 2006-05-29 2006-05-29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510A true KR20070114510A (ko) 2007-12-04
KR100783971B1 KR100783971B1 (ko) 2007-12-10

Family

ID=3914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189A KR100783971B1 (ko) 2006-05-29 2006-05-29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97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3417A (ko) * 1996-07-18 1998-04-30 구자홍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0517502B1 (ko) * 2003-05-26 2005-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Dvi/hdmi 병용 커넥터 사용시의 신호 재생 장치및 방법
KR100550429B1 (ko) * 2003-07-25 2006-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에서의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 및 그장치
KR100538849B1 (ko) * 2003-11-19 2005-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블루투스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및 방법
JP3973635B2 (ja) 2004-03-08 2007-09-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971B1 (ko) 200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474B1 (ko)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데이터 수신 장치
US8891013B2 (en) Repeater being utilized between a source and sink device for Lip-syncing in an HDMI system
CN1905655B (zh) 通过标准视频电缆提供音频
US20130002953A1 (en) Transmission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and receiving method
KR20100106567A (ko) 모바일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와 시스템
US10593337B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JP2009100412A (ja) 映像伝送装置、映像送信装置および映像受信装置
JP4785989B2 (ja) 映像音声送信装置および映像音声受信装置
US1098607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KR20030026347A (ko) 베이스밴드 영상 전송 시스템
KR100819439B1 (ko) 멀티미디어신호 직렬 전송장치
CN107925794B (zh) 发送设备、发送方法、接收设备和接收方法
JP6777071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100783971B1 (ko) 음성 데이터 수신모듈
JP7452526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20140106885A (ko) 에이치디엠아이 신호의 전송방식 변환 전송장치
US11942103B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audio signal including a mixed signal simultaneously transmitted by mixing a compressed audio signal and a linear pulse code modulation signal
KR20130001829U (ko) 영상음성 변환출력장치
WO2019225449A1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11012736B2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WO2016163327A1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20230082685A1 (en) Integrated circuitry of speaker
KR20160128139A (ko) 셋톱박스에 적용되는 신호 출력 방법
CN114630065A (zh) 多媒体中继装置音讯转换装置及音讯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