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370A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370A
KR20070113370A KR1020060046105A KR20060046105A KR20070113370A KR 20070113370 A KR20070113370 A KR 20070113370A KR 1020060046105 A KR1020060046105 A KR 1020060046105A KR 20060046105 A KR20060046105 A KR 20060046105A KR 20070113370 A KR20070113370 A KR 20070113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late
fixing plate
front do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1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6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3370A/en
Publication of KR20070113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3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A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to control horizontality of a front door easily without reassembling an erroneously assembled product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 main body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while forming an inner space. A front door shields a front side of the main body selectively. An upper hinge part is mount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door to be a center of rotation. A lower hinge part(500) is mounted at a lower end of the front door to control height of the front door. The lower hinge part includes an upper fixing plate(520)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front door while forming a top side, an adjusting element controlling the upper fixing plate, a first support plate(540) and a second support plate(580) coupled with the adjusting element while passing the adjusting element, a lower fixing plate(560) installed under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first and fourth frames(530,550,570) coupled with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general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ront door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 구성인 힌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hinge that is a main configuration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체 120. 전면도어100. Main body 120. Front door

122. 디스플레이부 124. 상부힌지홈122. Display unit 124. Upper hinge groove

126. 하부힌지홈 140. 상부힌지부126. Lower hinge slot 140. Upper hinge section

142. 고정편 144. 스크류공142. Retaining Piece 144. Screw Hole

146. 상부힌지돌기 200. 전방프레임146. Upper hinge protrusion 200. Front frame

210. 상면토출구 212. 상면토출루버210. Top discharge outlet 212. Top discharge louver

220. 좌측토출구 222. 좌측토출베인220. Left discharge outlet 222. Left discharge vane

230. 우측토출구 232. 우측토출베인230. Right discharge outlet 232. Right discharge vane

240. 좌측면부 250. 우측면부240. Left side 250. Right side

260. 전면커버 262. 커버수용홈260. Front cover 262. Cover accommodation groove

300. 후방프레임 310. 실내열교환기300. Rear frame 310. Indoor heat exchanger

320. 드레인팬 330. 메인제어부320. Drain pan 330. Main control unit

340. 송풍부 342. 송풍팬340. Blowing unit 342. Blowing fan

344. 팬하우징 350. 집진필터344. Fan housing 350. Dust collector filter

400. 하부프레임 420. 전면흡입구400. Lower frame 420. Front intake

440. 하면필터부 500. 하부힌지부440. Lower filter part 500. Lower hinge part

510. 하부힌지돌기 520. 상부고정판510. Lower hinge projections 520. Upper fixing plate

530. 제1프레임 540. 제1지지판530. First Frame 540. First Support Plate

550. 제2프레임 560. 하부고정판550. Second Frame 560. Lower Fastening Plate

570. 제3프레임 580. 제2지지판570. Third frame 580. Second support plate

590. 제4프레임 B. 조정볼트590. Fourth Frame B. Adjusting Bolt

N. 체결너트 P. 핀N. Tightening Nut P. Pi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도어의 수평 조절이 가능한 힌지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 hinge capable of horizontally adjusting a front door.

공기조화기는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어 보다 편안하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As air conditioners have improved living standards, demand for quality of life has increased, and demand for air conditioners has been increased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This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maintaining the air of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in the most optimal state according to the purpos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주택 등과 같은 실내의 공간에 설치되거나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냉방하거나 난방하게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cooling / heating device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such as an office or a house, or mounted on a wall to cool or heat indoor air, and constitute a series of cycles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do.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In particular, the air conditioner is an outdoor unit (sometimes called 'outdoor' or 'heat sink') mainly installed outdoors, and an indoor unit (sometimes called 'indoor' or 'heat absorbing side') mainly installed indoors. The outdoor unit is provided with a condenser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and the indoor unit is provided with an evaporator (indoor heat exchanger).

그리고, 주지도니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the air conditioner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separately installed,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integrally installed.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최근에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재투입하는 공기 정화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건습공기로 만들어 실내로 재투입하는 제습기능 등 여러가지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These air conditioners, in addition to cooling and heating, have a function of purifying air by sucking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and filtering it back into the room, and a dehumidifying function of re-injecting humid air into the room by making humid air into the room. Several additional features have been add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예를 들어 살펴 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내부 공간을 이루면서 내부 공간에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indoor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figur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formed by the main body 10 in which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mounted in the inner space while forming the inner space.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조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며, 이러한 부품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조화시키는 실내열교환기 등이 구비된다.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parts for inhaling the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to harmonize to the desired state, these parts are provided with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of the main body 10 A blower fan suctioned inside and a heat exchanger for conditioning the air by heat-exchanging air in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sucked by the blower fan are provided.

상기 본체(10)의 외형을 살펴보면, 본체(10)의 전면 하반부에는 전면 하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전면판넬(20)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전면판넬(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고, 외관이 미려하도록 전면이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Looking at the outer shape of the main body 10, the front lower half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lower front panel 20 to form a front lower half appearance, the lower front panel 2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formed into a long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front surface is formed to be rounded forward so that the appearance is beautiful.

상기 하부전면판넬(20)의 상측에는 조작판넬(3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판넬(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 및 작동 환경 등을 표시해주는 표시창(32)과,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직접 조작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작버튼(34)으로 형성된다. 조작판넬(30)의 후측에는 조작판넬(30)의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창(32)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된다. The operation panel 30 is provided above the lower front panel 20. The operation panel 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thicknes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display window 32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and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air conditioner I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34 to. The rear side of the operation panel 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isplay window 32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nel 30.

상기 조작판넬(30)의 상측에는 슬라이딩도어(4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도어(4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전면은 상기 하부전면판넬(20)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면서 중앙부가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도어(40)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단부에 성형되는 전면토출구(5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The sliding door 4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ration panel 30. The sliding door 4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front surface is formed to have a central portion rounded forward whil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lower front panel 20. The sliding door 40 selectively shields the front discharge port 50 formed in the front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while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전면토출구(5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다수의 부품에 의해 조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통로가 되며, 내측면에 좌측단부와 우측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전면토출루버(52)에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이 제어된다. The front discharge port 50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harmonized by a plurality of components inside the main body 10 is discharged into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and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plurality of front discharge louvers 52 is controlled.

또한, 상기 전면토출구(50)의 내측면에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전면토출베인(54)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이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토출루버(52)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제어되며, 전면토출베인(54)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제어된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plurality of front discharge vanes 54,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discharge port 50 is controlled. Therefor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front discharge louver 52 is contro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front discharge vane 54 is contro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전면토출구(50)는 상기 본체(10)의 전반부 상면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60)의 상반부 전면에 성형된다. 상기 전방프레임(60)의 양측면 상단부에는 본체(1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본체(10)의 양측면으로 토출되는 측면토출구(62)가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천공 형성된다. The front discharge port 5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half of the front frame 60 to form both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At both upper end portions of the front frame 60, side discharge holes 62 are formed in the vertically long rectangular shape in which air harmonized inside the main body 10 is discharg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상기 측면토출구(62)에는 측면토출베인(64)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로 체결된다. 상기 측면토출베인(64)에 의해 측면토출구(62)는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측면토출베인(64)의 회동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본체(10)의 측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The side discharge port 62 is fastened by a hinge so that the side discharge vanes 64 can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ide discharge port 62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side discharge vanes 64, and the air harmonized inside the main body 10 is controll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by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ide discharge vanes 64. It is to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한편, 상기 전방프레임(60)의 양측면 하측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는 통로인 측면흡입구(70)가 성형된다. 상기 측면흡입구(70)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성형되며, 측면흡입구(70)에는 대략 그릴 형상으로 성형되는 측면그릴(72)이 장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suction port 70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60 which is a passage for inhaling the air of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into the main body 10. The side suction opening 70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ide suction opening 70 is mounted with a side grill 72 formed in a substantially grill shape.

상기 전방프레임(60)의 후단부에는 후방프레임(80)의 전단부가 접하면서 상기 본체(1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후방프레임(80)은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도록 중앙부가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The front end of the front frame 6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rear frame 80 to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main body 10, the rear frame 80 has a front opening, a number of parts therein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recessed rearward so that it is mounted.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내부의 필터 등을 교체하거나 세척하기 위해서 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서비스가 필요할 경우 상기 전면하부판넬(20)을 회동시켜, 본체(10)의 전면(前面) 하반부를 개방하게 된다.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ront lower panel 20 is rotated in order to replace or wash the internal filter or the like, or when service is requir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Open the lower half.

따라서, 상기 전면하부판넬(20)의 회동을 비교적 자주하게 되며, 전면하부판넬(20)의 회동을 자주하게 되면, 전면하부판넬(20)의 밀착력이 감소하게 되어 전면하부판넬(20)이 하방으로 유동되어 수평이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Therefore, the front lower panel 20 rotates relatively frequently, and when the front lower panel 20 rotates frequently, the adhesion of the front lower panel 20 decreases, so that the front lower panel 20 moves downward. The problem arises that the liquid is not leveled as it flows.

또한, 상기 전면하부판넬(20)이 하방으로 유동되어 수평이 되지 않게 되면, 상기 본체(10)의 전면이 차폐되지 않게 되어 공기 조화의 효율성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front lower panel 20 flows downward and does not become horizontal,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not shielded,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air conditioning is reduced.

그리고, 공기 조화의 효율성이 감소됨에 따라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이 감소되며,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 감소로 인해 유지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ing is reduced, the efficiency of energy use is reduced, and the maintenance cost increas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energy use.

뿐만아니라, 조립 공정에서 전면하부판넬(20)의 수평이 맞지 않게 되면, 재조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재조립으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며, 조립 공정에서 수평이 맞지 않은 채로 출고되면, 제품 전체의 외형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 불만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ont lower panel 20 is not level in the assembling process, a problem arises of reassembling, and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is reduced due to such reassembly, and the factory is shipped out of level in the assembling process. If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umer's emotional complaints about the appearance of the entire product is caus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목적은 전면도어의 수평 조절이 가능한 힌지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 hinge capable of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front doo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前面)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전면도어와, 상기 전면도어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회동 중심이 되는 상부힌지부와, 상기 전면도어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전면도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부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forming an appearance while forming an internal space, the front door to selectively shield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the front door The upper hinge portion is mount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on center and the lower hinge portion is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door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ront door.

상기 하부힌지부는, 상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전면도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상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정수단과; 상기 조정수단이 관통되면서 체결되는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의 하방에 구비되는 하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면에 상단부가 체결되며, 상기 제1지지판의 상반부에 하단부가 체결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판의 하반부에 상단부가 체결되며,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면에 하단부가 체결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판의 하반부에 상단부가 체결되며,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면에 하단부가 체결되는 제3프레임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면에 상단부가 체결되며, 상기 제2지지판의 상반부에 하단부가 체결되는 제4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hinge portion, the upper fixing plate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front door while forming an upper surfac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fixing plate; A first support plate and a second support plate fastened while the adjustment means are penetrated; A lower fixing plate provided below the first supporting plate and the second supporting plate; An upper e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late, and a first frame coupled to an upper half of the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frame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a lower half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xing plate; A third frame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a lower half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xing plate; And a fourth frame having an upper end fasten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late and having a lower end fastened to an upper half of the second support plate.

상기 상부고정판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면도어의 회전 중심이 되는 하부힌지돌기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late, protruding upward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hinge projection which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ront door is molded.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을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조정볼트와,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에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조정볼트가 내삽되면서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n adjustment bolt fastened while penetrating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a nut mounted to be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fastened while the adjustment bolt is interpolated. It features.

상기 상부고정판의 양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oth ends of the upper fix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downwardly molded.

상기 하부고정판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oth ends of the lower fixing plate is bent upwardly shap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전면도어의 수평 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front door is easy.

이하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형을 살펴보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세로 방향으로 긴 대략 팔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 공기 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100)에 의해 외관을 이루게 된다.Looking at the outer shape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pproximately octahedron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n internal space, such The outer space is formed by the main body 100 in which a plurality of parts for air conditioning are mounted in the inner space.

상기 본체(100)의 전면(前面)에는 본체(10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전면도어(120)가 장착된다. 상기 전면도어(1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전면(前面)은 판유리를 강화처리한 강화유리로 성형된다. The front door 120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front door 12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molded into a long rectangular plat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ront surface is formed of tempered glass reinforced with plate glass.

이러한 강화유리(强化琉璃)는 판유리를 연화온도(軟化溫度)에 가까운 500∼600℃로 가열한 다음 압축한 냉각공기에 의해 급랭시켜 유리 표면을 압축 변형시키고 내부를 인장 변형시켜 강화한 유리이다. Such tempered glass is a glass tempered by heating the plate glass to 500 to 600 ° C. close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and then quenching by compressed cooling air to compress and strain the glass surface and to tensilely deform the inside.

또한, 강화유리는 일반적인 유리에 비해 굽힘강도는 3∼5배, 내충격성은 3∼8배 강하며, 내열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강화유리는 판유리를 강화처리 하기 전에 용도와 크기에 알맞은 모양으로 성형하게 된다. 이는 강화처리된 강화유리는 유리 자체가 내부에서 힘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한쪽이 조금만 절단되어도 전체가 작은 파편으로 파괴되므로 강화처리 하기 전에 용도에 알맞은 크기와 모양으 로 성형하여야 한다. In addition, the tempered glass has a bending strength of 3 to 5 times, an impact resistance of 3 to 8 times stronger than general glass, and excellent heat resistance. Therefore, the tempered glass is molded into a shape suitable for use and size before the tempered glass. This tempered tempered glass must be molded into the size and shape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before tempering because the glass itself maintains a balance of power in the interior.

강화 처리된 강화유리로 전면이 성형되는 상기 전면도어(120)는 전면(前面)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성형되거나, 평평한 평판 형상으로 성형되기도 한다. 이러한 전면도어(120)는 색감을 가지도록 색상을 가지는 필름이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일면이나 양면에 코팅되어 성형된다. The front door 120 having a front surface formed of tempered tempered glass may be rounded forwar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or may be molded into a flat plate shape. The front door 120 is formed by coating a film having a color to have a color on either or both sides of the front or rear surface.

상기 전면도어(120)의 전면 상반부 중앙에는 디스플레이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2)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디스플레이부(122)의 전면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공기조화기의 작동이 구현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2)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의 작동 환경 또는 작동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선택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The display unit 12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half of the front door 120. The display unit 12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22 is formed to implement an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 a touch screen manner. The display unit 122 is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check the operating environment or operation state of the main body 100, or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select and operate the air conditioner.

상기 전면도어(120)의 후측 상반부에는 전방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프레임(200)은 전면과 후면이 넓은 팔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전방프레임(200)을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1
"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전방프레임(200)의 상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상면토출구(210)가 성형된다.The front frame 200 is provided at the rear upper half of the front door 120. The front frame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wide octahedron of the front and rear, and when viewed from above the front frame 200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1
It is molded in the shape.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is formed in the top discharge port 210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the air harmonized inside the main body 100.

상기 상면토출구(210)는 가로가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천공 형성되며, 이러한 상면토출구(21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본체(100)의 상방으로 토출되면서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을 조화시키게 된다. The top discharge port 210 is formed in a perforated shape of a long rectangular shape, through the top discharge port 210, the air harmoniz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is discharged upward of the main body 100 to achieve air conditioning To harmonize the space.

상기 상면토출구(210)에는 상면토출구(21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상면토 출루버(212)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체결된다. 즉, 상기 상면토출루버(212)는 좌측면과 우측면이 상면토출구(210)의 좌측 내면과 우측 내면에 힌지로 체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The top soil outlet 212 is rotatably hinged to the top discharge outlet 210 to selectively shield the top discharge outlet 210. That is, the upper surface discharging louver 212 is fastened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by the hinge on the left inner surface and the right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discharge port 210, it is fastened rotatably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상면토출루버(212)의 상하 방향 회동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상방으로 토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면토출루버(212)의 상면은 상면토출구(210)의 넓이와 대응되는 넓이를 가지도록 성형되어 상면토출루버(212)를 회동시킴으로써 상면토출구(210)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By controlling the vertical rotation angle of the top discharge louver 21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harmonized air discharged upward of the main body 100. In additi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discharge louver 212 is formed to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top discharge port 210 to be able to selectively shield the top discharge port 210 by rotating the top discharge louver 212.

따라서, 상기 본체(10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상면토출루버(212)를 회동시켜 상기 상면토출구(210)를 차폐함으로써 본체(100)의 내부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ain body 100 does not operate, the upper discharge louver 212 is rotated to shield the upper discharge port 210 to prevent dust or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main body 100.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좌측면은 좌측방으로 갈수록 후방 경사를 가지면서 경사면이 성형되고, 경사면의 좌측 선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성형된다. 전방프레임(200)의 좌측 경사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좌측토출구(220)가 성형된다. The left side of the front frame 200 is formed to have a rear inclined toward the left side,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nd is formed to be bent backward at the left end of the inclined surface. On the left inclined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a left discharge port 220 is formed in which air harmonized inside the main body 100 is discharged into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상기 좌측토출구(220)는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천공 형성되며, 이러한 좌측토출구(22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조화된 공기가 본체(100)의 외부로 토출되면서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을 조화시키게 된다. The left discharge port 220 is formed in a perforated shape of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ir is harmoniz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intention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left discharge port 220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s it is discharged to the air,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harmonized.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우측면은 우측방으로 갈수록 후방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면이 성형되며, 경사면의 우측 선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전방프레임(200)의 우측 경사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우측토출구(230)가 성형된다. The right side of the front frame 200 is formed to be inclined surface to have a rear inclination toward the right side, and is formed to be bent backward at the right end of the inclined surface. On the right inclined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is formed a right discharge port 230 is discharged to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the air harmonized inside the main body 100.

상기 우측토출구(230)는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천공 형성되며, 이러한 우측토출구(23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조화된 공기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을 조화시키게 된다. The right discharge port 230 is formed in a perforated shape of a long rectangul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ir harmoniz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intention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right discharge port 230 is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It is discharged to match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좌측면 하측에는 좌측면부(240)가 장착되며, 상기 좌측면부(240)의 좌측면은 전방프레임(200)의 좌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또한, 전방프레임(200)의 우측면 하측에는 우측면부(250)가 장착되며, 상기 우측면부(250)의 우측면은 전방프레임(200)의 우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The left side surface portion 240 is mounted below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and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left side surface portion 24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In addition, the right side surface portion 250 is mounted below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and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right side surface portion 250 is 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따라서, 상기 본체(100)의 전반부는 상면과 상반부 측면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200)과,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좌우측면 하측에 구비되어 전반부 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좌측면부(240)와 우측면부(250)로 이루어진다. Therefore, the front half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front frame 200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an upper half side, and a left side 240 and a right side provid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frame 200 to form a part of the front half. Part 250 is made.

상기 전방프레임(200)과 좌측면부(240) 및 우측면부(250)의 후단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300)이 구비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은 전면과 하면이 개구된 사각상자 형상으로 성형되며, 후면보다 전면의 넓이가 넓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방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성형된다. The rear frame 300 is formed at the rear ends of the front frame 200, the left surface part 240, and the right surface part 250 to form a rear exterior of the main body 100. The rear frame 30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box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are opened, and the front frame is formed in a wider shape than the rear surface, and is shaped into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상기 전면도어(120)의 하단부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하부프레임(400)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400)은 본체(100)의 하면 외 관을 형성하면서 본체(100)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The lower frame 400 is provid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front door 120, and more specifically,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lower frame 400 forms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상기 하부프레임(400)은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성형되며, 후반부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단부와 접하면서 체결되고, 전반부 좌측 상단부는 상기 좌측면부(240)의 하단부와 접하면서 체결되며, 전반부 우측 상단부는 상기 우측면부(250)의 하단부와 접하면서 체결된다. The lower frame 40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he latter half is fastened while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rear frame 300, the upper left part is fastened while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left surface part 240 The first half upper right portion is fastened while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right side surface 250.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개구된 전면에는 전면흡입구(420)가 형성되며, 이러한 전면흡입구(420)를 통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흡입된다. 즉, 전면흡입구(420)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 형성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하는 통로가 된다. The front inlet 420 is formed on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lower frame 400, and the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through the front inlet 420. That is, the front suction opening 420 is a passage for sucking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form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0 into the main body 100.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외형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3 looks at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appearance as described abov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면도어(120)의 상면 우측단부와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상면 우측단부는 상부힌지(140)로 체결된다. 즉, 전면도어(120)의 상면 우측단부에는 상부힌지홈(124)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전방프레임(200)의 상면 우측단부에는 상부힌지부(140)가 장착된다. The upper right end of the front door 120 and the upper right end of the front frame 200 are fastened by the upper hinge 140. That is, the upper hinge groove 124 is recessed downward in the upper right end of the front door 120, the upper hinge 140 is mounted on the upper right end of the front frame 200.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상면 우측단부에 장착되는 상기 상부힌지부(140)는 전방프레임(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편(142)과, 상기 고정편(142)의 하면 전단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힌지돌기(146)로 성형되며, 고정편(142)에는 전방프레임(200)과 체결되도록 스크류공(144)이 다수개 천공 형성된다. The upper hinge portion 140 mounted on the upper right end of the front frame 20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142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iece 142 It is formed into the upper hinge protrusion 146 is formed to protrude, the fixing piece 14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crew holes 144 to be fastened to the front frame 200.

따라서, 상기 상부힌지부(14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의 상기 고정편(142)이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상면 우측단부에 스크류가 상기 스크류공(144)을 관통하여 체결되면서 고정된다. 고정편(142)의 하면 전단부에는 상기 상부힌지돌기(146)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상부힌지돌기(146)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된다. Accordingly, the upper hinge portion 140 is fixed while the fixing piece 14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astened to the righ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by screwing through the screw hole 144. do. The upper hinge protrusion 146 protrudes downward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iece 142, and the upper hinge protrusion 146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상기 전면도어(120)의 상면 우측단부에는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힌지홈(124)이 성형되며, 이러한 상부힌지홈(124)에 상기 상부힌지돌기(146)가 내삽되면서 체결되어 전면도어(120)의 회전 중심이 된다. The upper hinge groove 124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in the upper right end of the front door 120, the upper hinge projection 146 is fasten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hinge groove 124, the front door 120 ) Is the center of rotation.

상기 전면도어(120)의 상반부 후측에는 전면커버(260)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커버(26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2)의 전면을 제외한 면을 감싸는 디스플레이커버(도시되지 않음)가 수용되는 커버수용홈(262)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The front cover 26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upper half of the front door 120. The front cover 26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cover receiving groove 262 is accommod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display cover (not shown) surrounding the surface except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122 It is formed recessed backwards.

상기 전면커버(260)는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전면에 장착되며, 전방프레임(200)의 좌측경사면에 성형되는 상기 좌측토출구(220)에는 좌측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좌측토출베인(222)이 장착된다. The front cover 26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200, the left discharge vane 222 to selectively shield the left discharge port to the left discharge port 220 formed on the left inclined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Is fitted.

상기 좌측토출베인(222)은 전방에서 볼 때 대략 " [ "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처럼 성형되는 좌측토출베인(222)의 상면과 하면이 상기 좌측토출구(220)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힌지로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좌측토출베인(222)의 좌측면은 좌측토출구(22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되어 좌측토출베인(222)에 의해 좌측토출구(220)는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The left discharge vane 222 is shaped into an approximately "["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eft discharge vane 222 to be formed are hinged to the inne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eft discharge port 220 and are rotatably faste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left discharge vane 222 is mold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left discharge outlet 220 so that the left discharge outlet 22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left discharge vane 222.

즉, 상기 본체(100)가 운전하지 않을 경우 상기 좌측토출베인(222)에 의해 상기 좌측토출구(220)가 차폐됨으로써 좌측토출구(220)를 통해 먼지 및 이물질이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좌측토출베인(222)의 회동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main body 100 does not operate, the left discharge port 220 is shielded by the left discharge vane 222 so that dust and foreign matter do not flow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left discharge port 220. Will not. Then, by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left discharge vane 22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in which the air harmonized inside the main body 100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우측 경사면에 천공 형성되는 상기 우측토출구(230)에는 우측토출베인(232)이 장착된다. 상기 우측토출베인(232)은 전방에서 볼 때 대략 " ] "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면과 하면이 우측토출구(230)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힌지로 체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In addition, the right discharge vane 232 is mounted to the right discharge port 230 formed in the right inclined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The right discharge vane 23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asten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ight discharge port 230 by a hinge is mounted rotatab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우측토출베인(232)의 우측면은 상기 우측토출구(23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되며, 이러한 우측토출베인(232)의 우측면에 의해 우측토출구(230)는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right discharge vane 232 rotatably moun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right discharge outlet 230, and the right discharge outlet 230 is formed by the right side of the right discharge vane 232. Is optionally shielded.

즉, 상기 본체(100)가 운전하지 않을 경우 상기 우측토출베인(232)에 의해 상기 우측토출구(230)가 차폐됨으로써 우측토출구(230)를 통해 먼지 및 이물질이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우측토출베인(232)의 회동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우측토출구(230)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main body 100 does not operate, the right discharge port 230 is shielded by the right discharge vane 232 so that dust and foreign matter do not flow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right discharge port 230. Will not. An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ight discharge vane 23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in which the air harmonized inside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right discharge port 230 is discharged to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좌측면 하측에는 좌측면부(240)가 구비된다. 상기 좌측면부(240)는 전방프레임(200)의 좌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좌측면부(240)를 상방에서 보면 대략 "┗"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좌측면부(240) 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좌측방 공기를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The left side surface portion 240 is provided below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The left side portion 240 is mol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the front frame 200. That is, when the left side surface part 240 is seen from above, it is shape | molded in substantially "┗" shape. The left side air of the main body 100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left side portion 240.

상기 좌측면부(240)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인 좌측흡입구(도시되지 않음)가 성형되는 좌측프레임(242)과, 상기 좌측흡입구(미도시)의 내측에 장착되는 좌측흡입베인(243)과, 상기 좌측흡입베인(243)의 우측 즉, 상기 좌측프레임(242)의 절곡면 내측에 장착되어 비교적 큰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주는 좌측그릴(244)과, 상기 좌측그릴(244)을 통과하여 흡입되는 비교적 작은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주는 좌측필터(2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eft side part 240 is a left frame 242 formed with a left suction hole (not shown),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and the left suction hole (not shown). The left side suction vane 243 mounted on the inner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left side suction vane 243, that is, the left side grill 244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bent surface of the left frame 242 to filter out relatively large dust and foreign matters 244. And a left filter 245 for filtering relatively small dust and foreign matter sucked through the left grill 244.

상기 좌측흡입구(미도시)는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좌측프레임(242)의 절곡면 다시말해, 후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면에 천공 형성된다. 이러한 좌측흡입구의 내측에 상기 좌측흡입베인(243)이 장착된다. 좌측흡입베인(243)의 좌측면 크기는 좌측흡입구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성형되어 좌측흡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The left suction opening (not shown) is formed in a shape of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bent surface of the left frame 242, that is, is formed perforated in the bent surface that is bent backward. The left suction vane 243 is mounted inside the left suction port. The left side size of the left suction vane 243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left side suction port to selectively shield the left side suction port.

상기 좌측흡입베인(243)은 상면과 하면이 상기 좌측흡입구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힌지로 장착됨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좌측흡입베인(243)에 의해 좌측흡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 left suction vane 243 is rotatably faste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hinged to the inne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eft suction por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hield the left suction port by the left suction vane 243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좌측그릴(244)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좌측흡입구(미도시)를 통해 흡입될 때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다수회 절제되어 성형된다. 다수회 절제되어 성형되는 좌측그릴(244)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좌측그릴(244)은 상기 좌측프레임(242)의 절곡면 내측에 장착된다. The left grill 244 is cut and formed a plurality of times to allow the flow of air when the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through the left inlet (not shown). The left grill 244, which is cut and molded a plurality of times, is molded into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ft grill 244 is mounted inside the bent surface of the left frame 242.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우측면 하측에는 우측면부(250)가 구비된다. 상기 우측면부(250)는 전방프레임(200)의 우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우측면부(250)를 상방에서 보면 대략 "┛"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우측면부(25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우측방 공기를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The right side surface part 250 is provided below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The right side part 250 is mold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of the front frame 200. That is, when the right side surface part 250 is seen from above, it shape | molds in a substantially "┛" shape. The air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right side portion 250.

상기 우측면부(250)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인 우측흡입구(251)가 성형되는 우측프레임(252)과, 상기 우측흡입구(251)의 내측에 장착되는 우측흡입베인(253)과, 상기 우측흡입베인(253)의 우측 즉, 상기 우측프레임(252)의 절곡면 내측에 장착되어 비교적 큰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주는 우측그릴(254)과, 상기 우측그릴(254)을 통과하여 흡입되는 비교적 작은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주는 우측필터(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ight side part 250 includes a right frame 252 in which a right suction opening 251 is formed,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body 100, and an inside of the right suction opening 251. A right side suction vane 253 mounted to the right side, that is, a right side grille 254 mounted on the right side of the right side suction vane 253, ie, inside the bent surface of the right frame 252, to filter out relatively large dust and foreign matter; It comprises a right filter 255 for filtering the relatively small dust and foreign matter sucked through the right grill 254.

상기 우측흡입구(251)는 세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우측프레임(252)의 절곡면 다시말해, 후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면에 천공 형성된다. 이러한 우측흡입구(251)의 내측에 상기 우측흡입베인(253)이 장착된다. 우측흡입베인(253)의 우측면 크기는 우측흡입구(251)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성형되어 우측흡입구(251)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 right suction opening 251 is formed in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bent surface of the right frame 252, that is, formed in the perforated bent surface is bent backward. The right suction vane 253 is mounted inside the right suction port 251. The right side size of the right suction vane 253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right suction opening 251, so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hield the right suction opening 251.

상기 우측흡입베인(253)은 상면과 하면이 상기 우측흡입구(251)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 힌지로 장착됨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우측흡입베인(253)에 의해 우측흡입구(251)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ight suction vane 253 are hinged to the inne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ight suction port 251, the right suction vane 253 is rotatably faste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hield the right suction port 251 by the right suction vane 253 which is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우측그릴(254)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우측흡입구(251)를 통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동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수회 절제되어 성형된다. 이러한 우측그릴(254)은 상기 우측프레임(252)의 절곡면 내측에 장착된다. The right grill 254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into a long rectangular plate shap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flows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right suction opening 251. It is cut and molded a number of times to make it possible. The right grill 254 is mounted inside the bent surface of the right frame 252.

상기 우측그릴(254)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상기 우측필터(255)를 통과하도록 우측그릴(254)의 좌측, 다시말해, 상기 우측프레임(252)의 절곡면 내측에 장착된다. The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that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right grill 254 passes through the right filter 255 to the left of the right grill 254, that is, the right frame. 252 is mounted inside the bent surface.

상기 전방프레임(200)과 좌측면부(240) 및 우측면부(250)의 후단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후반부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300)이 장착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은 전면과 하면이 개구된 사각상자 형상으로 성형되며, 후면의 넓이보다 전면의 넓이가 넓은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방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성형된다. Rear frames 300 are formed at rear ends of the front frame 200, the left surface portion 240, and the right surface portion 250 to form an appearance of the second half of the main body 100. The rear frame 30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box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bottom surfaces are opened, and the front frame is formed into a wider shape than the width of the rear surface, and is shaped into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 내부 공간 즉,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후측에는 실내열교환기(310)가 장착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1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파이프가 다수회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볼 때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실내열교환기(310)의 내부에는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실내열교환기(310)의 원통형 파이프 사이 사이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하게 된다. An indoor heat exchanger 310 is mounted in the upper half of the rear frame 300, that is, the rear side of the front frame 200.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hen the cylindrical pi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bent many times and viewed as a whole. A refrigerant, which is a working fluid, flows inside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while air of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suctioned into the body 100 passes between cylindrical pipes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상기 실 내열교환기(310)의 원통형 파이프 사이 사이를 통과하면서 실내열교환기(310)의 내부를 유동하는 작동 유체인 냉매와 열교환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으로 조화된다. 이처럼 실내열교환기(31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조화된 공기는 상기 상면토출구(210)와 좌측토출구(220) 및 우측토출구(230)를 통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을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조화시키게 된다.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passes through between the cylindrical pipes of the chamber heat exchanger 310 and exchanges heat with a refrigerant, which is a working fluid that flows inside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It is harmonized according to user's desired condition. As such, the air that has been heat-ex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through the upper discharge port 210, the left discharge port 220, and the right discharge port 230, so that the user desires a space. Harmoniz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상기 실내열교환기(310)는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장착된다. 다시 말해, 실내열교환기(310)의 상단부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내측 후면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향하게 되며, 하단부 전면은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후면 후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열교환기(310)를 좌측방에서 보면 대략 "\" 형상으로 장착된다.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is mounted to be inclined forward as it goes downward. In other words,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is fixed to the inner rear side of the rear frame 300, is directed forward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end front portion is located at the rear rear side of the front frame 200. Therefore, when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is viewed from the left side,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is mounted in a substantially "\" shape.

상기 실내열교환기(310)의 하단부 하측에는 드레인팬(32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320)은 대략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좌측면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측 내면에 고정되고, 우측면은 후방프레임(300)의 우측 내면에 고정된다. A drain pan 320 is provid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The drain pan 3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the left side is fixed to the left inner surface of the rear frame 300, the right side is fixed to the right inner surface of the rear frame 300.

상기 드레인팬(320)은 상기 실내열교환기(31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실내열교환기(310)의 사이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때 실내열교환기(310)의 표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해 구비된다. The drain pan 320 passes between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and the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to be sucked into the body 100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While being heat exchanged while being provided to collec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즉,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실내열교환기(310)의 사이 사이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면, 실내열교환 기(310)의 표면에는 실내열교환기(31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응축수는 실내열교환기(310)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낙수된다. 하방으로 낙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하여 상기 드레인팬(320)이 구비된다. That is, when the air of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to be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passes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and heat exchanges with the refrigerant, the indoor heat exchang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The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310, and the condensed water falls down along the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The drain pan 320 is provided to collect condensate that is falling down.

상기 드레인팬(320)의 하측에는 메인제어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제어부(330)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를 담당하는 부분이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어, 내부 공간에 다수의 전장부품이 장착된다. The main controller 330 is provided below the drain pan 320. The main controller 330 is a part in charge of the control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are mounted in the internal space.

상기 메인제어부(330)의 하측에는 송풍부(340)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부(340)는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외부의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팬모터(미도시)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게 되는 송풍팬(342)과, 상기 송풍팬(342)의 외면을 감싸도록 성형되어 송풍팬(342)을 보호하면서, 송풍팬(342)의 회전 운동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팬하우징(3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blower 340 is provided below the main controller 330. The blower 340 is configured to rotate by a fan motor (not shown) that generates rotational power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rotational power generated by the fan motor (not shown)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applied.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blowing fan 34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lowing fan 342 to protect the blowing fan 342, and serves to guide the air flow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owing fan 342 And a fan housing 344.

상기 송풍부(340)의 전방에는 집진필터(350)가 장착된다. 상기 집진필터(35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전면과 후면은 다수회 절제되어 집진필터(350)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고, 정화시킨 공기는 집진필터(350)의 후방으로 유동되도록 성형된다. The dust collecting filter 350 is mounted in front of the blower 340. The dust collecting filter 350 is formed into a square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cut a plurality of times to purify the air flowing into the front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350, and the purified air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filter 350. It is shaped to flow to the rear of the).

상기 집진필터(350)의 하방에는 하부프레임(400)이 구비된다. 이러한 하부프레임(400)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가 지지되며, 본체(10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The lower frame 400 is provided below the dust collecting filter 350.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is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4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forms an outer appearance.

상기 하부프레임(400)은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성형되며, 전반부 좌측면 상단부는 상기 좌측면부(240)의 하단부와 접하면서 체결되며, 우측면 상단부는 상기 우측면부(250)의 하단부와 접하면서 체결된다. 하부프레임(400)의 후반부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단부와 접하면서 체결된다.The lower frame 40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he upper end of the first half of the front surface is fastened while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left side 240,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right side 250 While tightening. The second half of the lower frame 400 is fastened while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rear frame 300.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개구된 전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 형성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인 전면흡입구(420)가 형성되며, 하부프레임(400)의 내부 공간 중앙부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An open front surface of the lower frame 400 is formed with a front suction opening 420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or air conditioning is form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0, and an inner space center of the lower frame 400 is formed. It has a predetermined area and protrudes upward.

이러한 중앙부 전방에는 상기 전면흡입구(42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주는 하면필터부(440)가 장착된다. 상기 하면필터부(440)는 다수개의 필터가 적층되어 성형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다수개의 필터를 통과하면서 먼지 및 이물질이 걸러진다.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is equipped with a lower filter unit 440 for filtering dust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of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suctioned from the front suction port 420. The bottom filter unit 440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ilters, and dust and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while air of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suctioned into the main body 10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s.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좌측면 상단부에는 하부힌지부(50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힌지부(500)는 상기 전면도어(120)와 힌지로 체결되어 전면도어(120)의 회전 중심이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hinge portion 500 is provid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lower frame 400. The lower hinge part 500 is fastened to the front door 120 by a hinge to be a rotation center of the front door 120.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하부힌지부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도어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체결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 구성인 하부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Hereinafter, the lower hinge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ure 4 is a fastening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door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Figure 5 is a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hinge portion, which is a main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is shown.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하부힌지부(500)를 살펴보면, 하부힌지부(500)는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좌측면 상단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하부힌지부(500)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면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힌지돌기(510)가 구비된다. Looking at the lower hinge portion 500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the lower hinge portion 500 is mounted to the upper left side of the lower frame 400. An upper end of the lower hinge part 500 is provided with a lower hinge protrusion 510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protruding upward.

상기 하부힌지돌기(510)는 상기 전면도어(120)의 하면 우측단부에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힌지홈(126)에 내삽되면서 전면도어(12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즉, 하부힌지돌기(510)는 하부힌지홈(126)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성형되어 하부힌지홈(126)에 내삽되면서 전면도어(120)가 회동하여 상기 본체(10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될 때 회전 중심이 된다. The lower hinge protrusion 510 is inserted into the lower hinge groove 126 recessed upward in the lower right end of the front door 120 to become a rotation center of the front door 120. That is, the lower hinge protrusion 510 is molded into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lower hinge groove 126 and inserted into the lower hinge groove 126 so that the front door 120 rotates to selectively select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t becomes the center of rotation when shielded with.

상기 하부힌지돌기(510)의 하단부에는 하부힌지돌기(510)가 지지되는 상부고정판(520)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고정판(520)은 상면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상면의 좌우측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즉, 상부고정판(520)을 전방에서 보면 상면이 평평한 대략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2
" 형상으로 성형된다. An upper fixing plate 520 on which the lower hinge protrusion 510 is supporte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hinge protrusion 510. The upper fixing plate 5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are bent downward to extend. That is, when the upper fixing plate 520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upper surface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2
Molded into shape.

상기 상부고정판(5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면서 상면에 상기 하부힌지돌기(510)가 구비되는 상면부(522)와, 상기 상면부(522)의 좌측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폭을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는 좌측면(524) 및 상면부(522)의 우측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좌측면(524)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우측면(526)으로 성형된다. The upper fixing plate 52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bent downward at an upper end portion 522 having the lower hinge protrusion 510 on the upper surface and a left end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522. And formed into a left side 524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right side 526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524 while being bent downward at the right end of the upper surface 522. do.

상기 상부고정판(520)의 전반부 내측에는 제1프레임(530)의 상단부가 체결된 다. 상기 제1프레임(530)은 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3
"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단부는 상부고정판(520)의 전반부 내측 다시말해, 상기 상면부(522)의 하측에 핀(P)으로 체결된다. An upper end of the first frame 530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half of the upper fixing plate 520. The first frame 530 has a cross section of approximately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3
", And the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half of the upper fixing plate 520, that is, the pin (P)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522).

이처럼, 상기 상부고정판(520)의 전반부 내측에 상기 제1프레임(530)의 상단부가 체결되면, 제1프레임(530)의 상단부 좌측면은 상부고정판(520)의 좌측면(524) 내측에 체결되며, 제1프레임(530)의 우측면은 상부고정판(520)의 우측면(526) 내측에 체결된다. As such, wh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frame 530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half of the upper fixing plate 520, the left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frame 530 is fastened to the left side 524 of the upper fixing plate 520. The right side of the first frame 530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right side 526 of the upper fixing plate 520.

상기 상부고정판(520)에 상단부가 체결되는 상기 제1프레임(530)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면서 체결된다.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체결되는 상부고정판(520)을 우측방에서 보면 대략 " / "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면과 좌측면은 서로 수직되도록 성형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제1프레임(530)의 하단부는 다음에 설명할 제1지지판(540)의 상반부 내측면에 체결된다. The first frame 530 having the upper end fastened to the upper fixing plate 520 is fastene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o have a downward slope toward the front. When viewed from the right side, the upper fixing plate 520, which is fastened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 shape, and the upper and left surfaces ar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re generally formed in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530 is fasten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half of the first support plate 5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지지판(540)은 상기 상부고정판(520)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제1지지판(540)은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로 성형된다. 이러한 제1지지판(540)은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4
" 형상으로 성형되며, 제1지지판(540)의 상반부 내측면에 상기 제1프레임(530)의 하단부가 핀(P)으로 체결된다. The first support plate 540 is located in front of the upper fixing plate 520, the first support plate 540 is bent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to form a front appearance (extension) It is molded into the bent portion formed. This first support plate 540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4
It is molded in the shape,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530 is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half of the first support plate 540 by the pin (P).

상기 제1지지판(540)의 전면(前面) 중앙부에는 다음에 설명할 조정볼트(B)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면서 체결되도록 천공 형성되며, 천공 형성되는 중앙부의 전면에는 상기 조정볼트(B)가 내삽되면서 체결되는 체결너트(N)가 고정되어 구비된다. In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540, the adjustment bolt (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to be perforated while being fasten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the adjustment bolt (B)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to be perforated. A fastening nut (N) to be fastened while being interpolated is provided.

즉, 상기 제1지지판(540)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상기 조정볼트(B)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제1지지판(540)의 전면(前面)이 천공 형성되며, 조정볼트(B)의 직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체결너트(N)가 제1지지판(540)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540 is formed with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djustment bolt (B) fastened penetrating the first support plate 540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the adjustment bolt ( A fastening nut N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B) is mounted to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540.

상기 제1지지판(540)의 하반부 내측에는 다음에 설명할 제2프레임(550)의 상단부가 체결된다. 상기 제2프레임(55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되며, 양측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제2프레임(550)의 횡단면은 대략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5
"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제2프레임(550)의 상단부가 제1지지판(540)의 하반부 내측에 핀(P)으로 체결된다. An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5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to an inner side of the lower half of the first support plate 540. The second frame 550 is mold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molded so that both end portions thereof are bent upward. Thus,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frame 550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5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550 is fastened with the pin P inside the lower half of the first support plate 540.

상기 제2프레임(550)의 하단부는 다음에 설명할 하부고정판(560)의 전반부 내측에 장착된다. 상기 하부고정판(560)은 상기 상부고정판(520)과 대향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하부고정판(560)은 하면을 형성하는 중앙부의 양측면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고정판(560)은 상부고정판(520)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rame 550 is mounted inside the first half of the lower fixing plate 560 to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fixing plate 560 is shaped to face the upper fixing plate 520 and is provided at the opposite position. That is, the lower fixing plate 560 is formed by extending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forming the lower surface upwardly bent. The lower fixing plate 560 is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upper fixing plate 520.

상기 하부고정판(560)은 상기 제1지지판(540)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2프레임(550)이 제1지지판(540)과 하부고정판(560)에 체결되는 형상을 우측방에서 보면 대략 "\" 형상으로 장착된다. The lower fixing plate 560 is positioned behind the first supporting plate 540, and the shape of the second frame 550 fastened to the first supporting plate 540 and the lower fixing plate 560 is seen from the right side. It is mounted in an approximately "\" shape.

상기 하부고정판(560)의 후반부 내측에는 다음에 설명할 제3프레임(570)의 하단부가 체결된다. 상기 제3프레임(570)은 횡단면이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6
"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는 중앙부의 양측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Inside the lower half of the lower fixing plate 560, the lower end of the third frame 570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The third frame 570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6
Shape is formed. That is, both end portions of the center portion formed into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re bent upwards to extend.

상기 제3프레임(570)을 우측방에서 보면 대략 상변의 길이가 길고 하변의 길이가 짧은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된다. 이러한 제3프레임(570)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고정판(560)의 후반부 내측에 핀(P)으로 체결되며, 상단부는 다음에 설명할 제2지지판(580)의 하반부 내측에 핀(P)으로 체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하부고정판(560)과 제2지지판(580)에 체결되는 제3프레임(570)은 우측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으로 체결된다. When viewed from the right side, the third frame 570 has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having a long upper side and a shorter side. The lower end of the third frame 570 is fastened with the pin P inside the rear half of the lower fixing plate 560, and the upper end is fastened with the pin P inside the lower half of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In other words, the third frame 570 fastened to the lower fixing plate 56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is fastened in a substantially "/" shape when viewed from the right side.

상기 제2지지판(580)은 상기 제1지지판(540)과 대향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제2지지판(580)을 상방에서 보면 대략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7
"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면서 제2지지판(580)의 후면을 형성하는 중앙부의 양측단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is molded to have a shape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plate 540. When viewed from above,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7
It is molded in the shape. That is, while forming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both side ends of the central portion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is bent forward to extend.

상기 제2지지판(580)의 후면 중앙부는 상기 조정볼트(B)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천공 형성된다. 다시말해, 제2지지판(580)의 후면 중앙부는 조정볼트(B)가 관통되도록 조정볼트(B)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천공 형성된다. 이러한 제2지지판(580)의 후면 중앙부에는 조정볼트(B)의 직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도록 성형되는 체결너트(N)가 구비된다.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is perforated so that the adjusting bolt B penetrat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other words,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is perforat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djusting bolt B so that the adjusting bolt B penetrates.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nut (N)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djustment bolt (B).

따라서, 상기 조정볼트(B)는 상기 제1지지판(54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체결너트(N)와 체결되면서, 제1지지판(540)을 관통한 다음 상기 제2지지판(580)의 중앙 부를 관통하여 제2지지판(58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체결너트(N)와 체결된다. Therefore, the adjusting bolt (B) is fastened with the fastening nut (N) provid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540,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support plate 540, and then opens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Through and fastened with the fastening nut (N) provid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상기 제2지지판(580)의 상반부 내측에는 다음에 설명할 제4프레임(590)의 하단부가 체결된다. 상기 제4프레임(59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면을 형성하는 중앙부의 양측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성형된다. Inside the upper half of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the lower end of the fourth frame 590 to be described below is fastened. The fourth frame 590 is molded into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bent portion is formed in which both side ends of the central portion forming the upper surface are bent downward.

상기 제4프레임(590)을 우측방에서 보면 대략 상변의 길이가 짧고 하변의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단부는 상기 상부고정판(520)의 우반부 하측 내면에 핀(P)으로 체결되고, 하반부는 상기 상부고정판(520)의 우측면 우반부 내면에 핀(P)으로 체결된다. When the fourth frame 590 is viewed from the right side, the upper side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having a short length and a long length, and the upper end portion is fastened with a pin P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lower half of the upper fixing plate 520. The lower half is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ight half of the upper fixing plate 520 by a pin (P).

상기 제4프레임(590)의 횡단면은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8
"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단부는 상기 상부고정판(520)의 우단부 내측에 장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2지지판(58)의 상반부 내측에 장착된다. The cross section of the fourth frame 590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06035950383-PAT00008
"Shape, the upper end is mounted inside the right end of the upper fixing plate 520, the lower end is mounted inside the upper half of the second support plate (58).

한편, 상기 하부힌지부(500)에 구비되는 각 프레임들의 체결을 전체적으로 측방에서 보면 대략 "◇"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러한 마름모 형상의 상단부에 상기 상부고정판(520)이 장착되고 하단부에 상기 하부고정판(560)이 장착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a whole of the fastening of each frame provided in the lower hinge portion 5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the upper fixing plate 520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rhombus shape and the lower fixing plate at the lower end 560 is mount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외부의 전원을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인가시키게 되면,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부품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된다. First, when a user applies external power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o use an air conditioner,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component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면도어(120)의 상반부 전면 중앙에 장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2)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는, 본체(100)의 내부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메인제어부(330)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고, 메인제어부(330)의 외부 전원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22)의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22)에 전원이 인가된다. When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power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22 mounted on the front center of the upper half of the front door 120. When the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330, and the power of the display unit 122 is applied by the external power of the main controller 330. Power is applied to the display 122.

상기 디스플레이부(122)에 전원이 인가되면, 디스플레이부(122)의 전면에 화면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22)에 화면이 형성되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122)의 화면을 사용자가 보면서 조작하게 된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22, a screen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122. When the screen is formed on the display unit 122, the user operates while view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2 implemented by the touch screen method.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22)를 터치함으로써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게 된다.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팬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외부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송풍팬(342)이 회전 운동하게 된다. The user operates the air conditioner by touching the display 122.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the fan motor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00 generates rotational power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blowing fan 342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power.

상기 송풍팬(342)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흡인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인력에 의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좌측면부(240)와 우측면부(250) 및 전면흡입구(420)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된다. Du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owing fan 342,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the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generated by the suction force on the left side portion 240 and the right side portion 250, and It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front suction opening 420.

또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22)를 터치하여 공기조화기를 작동하게 되면, 상기 좌측흡입구(241)와 우측흡입구(251)를 차폐하고 있는 좌측흡입베인(243)과 우측흡입베인(253)이 회동하여 좌측흡입구(241)와 우측흡입구(251)를 개방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display unit 122 to operate the air conditioner, the left suction vane 243 and the right suction vane 253 shielding the left suction port 241 and the right suction port 251 are provided. By rotating, the left suction opening 241 and the right suction opening 251 are opened.

그리고, 공기조화기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상면토출구(210)를 차폐하고 있는 상면토출루버(212)가 회동하여 상면토출구(210)를 개방하게 되며, 상기 좌측토출구(220)를 차폐하고 있는 좌측토출베인(222) 및 상기 우측토출구(230)를 차폐하고 있는 우측토출베인(232)이 회동하여 좌측토출구(220)와 우측토출구(230)를 개방하게 된다. When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the top discharge louver 212 shielding the top discharge port 210 rotates to open the top discharge port 210, and the left discharge discharges shielding the left discharge port 220. The vane 222 and the right discharge vane 232 shielding the right discharge port 230 rotate to open the left discharge port 220 and the right discharge port 230.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필터에 의해 정화되어 정화된 깨끗한 공기만 상기 송풍팬(342)의 전방으로 흡입되어 상기 팬하우징(344)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방으로 유동된다. The air in the space for the air conditioning to be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is purified by a plurality of filter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the clean air is sucked to the front of the blowing fan 342 It is guided by the fan housing 344 and flows upward.

상기 송풍팬(342)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방으로 유동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310)를 통과하게 되면서 실내열교환기(310)의 내부에 유동되는 작동 유체인 냉매와 열교환된다.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that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and flows upwar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ower fan 342 passes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while being indoor heat exchanger 310. It exchanges heat with the refrigerant, which is the working fluid flowing inside.

상기 실내열교환기(310)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조화된 공기는 상기 전방프레임(200)에 구비되는 상기 좌측토출구(220)와 우측토출구(230) 및 상면토출구(210)를 통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면서 상기 본체(1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조화시키게 된다. The air that is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while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310 has air conditioning through the left discharge port 220, the right discharge port 230, and the top discharge port 210 provided in the front frame 200. It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for the main body 100 is installed to match the space.

또한, 상기 전면도어(120)의 수평이 일치하지 않게 조립된 경우 상기 하부힌지부(500)에 구비되는 상기 조정볼트(B)를 회전시킴으로써 전면도어(120)의 수평이 일치되도록 조정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horizontality of the front door 120 is assembled to be inconsistent, the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front door 120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adjusting bolt B provided in the lower hinge part 500.

예를 들어, 상기 조정볼트(B)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지지판(540)과 제2지지판(580)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제1지지판(540)과 제2지지판(580)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530) 및 제2프레임(550)과, 제3프레임(570) 및 제4프레임(590)의 내측 각도는 커지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adjusting bolt (B)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54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becomes narrow. As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54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is narrowed, the inner angles of the first frame 530 and the second frame 550 and the third frame 570 and the fourth frame 590 are reduced. Becomes large.

상기 제1프레임(530)의 하단부와 상기 제2프레임(550)의 상단부가 이루는 내측 각도와, 제3프레임(570)의 상단부와 제4프레임(590)의 하단부가 이루는 내측 각도가 커지게 되면, 상기 상부고정판(520)과 하부고정판(560)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게 된다. When the inner angle formed by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5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550 and the inner angle formed by the upper end of the third frame 570 and the lower end of the fourth frame 590 become larger,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fixing plate 520 and the lower fixing plate 560 is widened.

상기 하부고정판(560)은 하면이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상부고정판(520)과 하부고정판(560)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게 되면, 상부고정판(52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고정판(52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부고정판(520)의 상면에 지지되는 상기 하부힌지돌기(51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하부힌지돌기(51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부힌지돌기(51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전면도어(120)의 하면 우측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As the lower fixing plate 560 is fixed to and supported by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40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fixing plate 520 and the lower fixing plate 560 is widened, the upper fixing plate 520 is upward. Will be moved to. When the upper fixing plate 520 moves upward, the lower hinge protrusion 510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late 520 moves upward, and when the lower hinge protrusion 510 moves upward, the lower The lower right end of the front door 120, which is located above the hinge protrusion 510, moves upward.

한편, 상기 조정볼트(B)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지지판(540)과 제2지지판(580)의 사이 거리가 넓어지게 된다. 제1지지판(540)과 제2지지판(580)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게 되면, 상기 제1프레임(530)의 하단부와 상기 제2프레임(550)의 상단부가 이루는 내측 각도 및 상기 제3프레임(570)의 상단부와 제4프레임(590)의 하단부가 이루는 내측 각도가 적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justment bolt (B)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54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is widen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54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580 increases, the inner angle formed by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5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550 and the third frame ( The inner angle formed by the upper end of the 570 and the lower end of the fourth frame 590 is reduced.

이처럼, 상기 제1프레임(530)의 하단부와 제2프레임(550)의 상단부가 이루는 내측 각도 및 상기 제3프레임(570)의 상단부와 제4프레임(590)의 하단부가 이루는 내측 각도가 적어지면, 상기 상부고정판(52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고정판(52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전면도어(120)의 하면 우측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As such, when the inner angle formed by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ame 5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550 and the inner angle formed by the upper end of the third frame 570 and the lower end of the fourth frame 590 become smaller, The upper fixing plate 520 is moved downward. When the upper fixing plate 520 is moved downward, the lower end of the front door 120 is moved downward.

이와 같이, 상기 조정볼트(B)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면도어(120)의 하면 우측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면도어(120)의 하면 우측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면도어(120)의 수평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way, by rotating the adjustment bolt (B) it is possible to move the lower right end of the front door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moving the right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door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front door 120 is possibl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전면도어의 수평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horizontally adjust the front door.

이러한 전면도어의 수평조절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조립단계에서 오조립된 제품을 재조립하지 않고 전면도어의 수평 조절이 가능해짐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front door is facilitated, the front door can be horizontally adjusted without reassembling an incorrectly assembled product at the assembly stage,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of the product.

또한, 전면도어의 수평 조절이 용이해짐으로써 전면도어가 상기 본체의 전면을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공기 조화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으며, 공기 조화의 효율성이 향상됨에 따라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ront door can be easily adjusted horizontally, the front door can shield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air conditioning,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energy use as the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ing is improved. There is also an effect.

뿐만아니라, 공기조화기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전면도어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sagging of the front door generated by using the air conditioner for a long time.

상기 전면도어의 수평 조절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Since the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front door is eas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solve the consumer's dissatisfaction with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Claims (6)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The main body forming the exterior while forming an internal space, 상기 본체의 전면(前面)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전면도어와,A front door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전면도어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회동 중심이 되는 상부힌지부와,An upper hinge part mounted to an upper end of the front door and used as a pivot center; 상기 전면도어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전면도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부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door comprises a lower hinge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ront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힌지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hinge portion, 상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전면도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상부고정판과;An upper fixing plate which forms an upper surface and supports a lower end of the front door; 상기 상부고정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정수단과;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fixing plate; 상기 조정수단이 관통되면서 체결되는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과;A first support plate and a second support plate fastened while the adjustment means are penetrated; 상기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의 하방에 구비되는 하부고정판과;A lower fixing plate provided below the first supporting plate and the second supporting plate;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면에 상단부가 체결되며, 상기 제1지지판의 상반부에 하단부가 체결되는 제1프레임과;An upper e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late, and a first frame coupled to an upper half of the first support plate; 상기 제1지지판의 하반부에 상단부가 체결되며,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면에 하단부가 체결되는 제2프레임과;A second frame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a lower half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xing plate; 상기 제2지지판의 하반부에 상단부가 체결되며,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면에 하단부가 체결되는 제3프레임과;A third frame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a lower half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xing plate;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면에 상단부가 체결되며, 상기 제2지지판의 상반부에 하단부가 체결되는 제4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nd a fourth frame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late, and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half of the second support plate.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판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면도어의 회전 중심이 되는 하부힌지돌기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lower hing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late to protrude upward to form a rotation center of the front do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djusting means,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을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조정볼트와,An adjustment bolt fastened while penetrating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에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조정볼트가 내삽되면서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ut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is fastened while the adjustment bolt is interpola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판의 양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both ends of the upper fixing plate are bent downwardly and mold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판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both ends of the lower fixing plate are bent upwardly and shaped.
KR1020060046105A 2006-05-23 2006-05-23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701133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105A KR20070113370A (en) 2006-05-23 2006-05-23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105A KR20070113370A (en) 2006-05-23 2006-05-23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370A true KR20070113370A (en) 2007-11-29

Family

ID=3909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105A KR20070113370A (en) 2006-05-23 2006-05-23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337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673A (en)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조은바람 Ventilator installation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673A (en)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조은바람 Ventilator installation 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1974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70094052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315542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564440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70113370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00051957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070113371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257509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70077842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77408A (en) Stand type air conditioner with a panel for blocking off dust
KR20060020591A (en) Air-cleaner in stand type air-conditioner
KR20070075509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70113376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902926B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KR20070113377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70121953A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KR20070077240A (en) A driving gear of vane for air-conditioner
KR20070113364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50024797A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1162170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626446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80006121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653785B1 (en) Air conditioner
KR100747807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70113372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