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2680A -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2680A
KR20070112680A KR1020060045890A KR20060045890A KR20070112680A KR 20070112680 A KR20070112680 A KR 20070112680A KR 1020060045890 A KR1020060045890 A KR 1020060045890A KR 20060045890 A KR20060045890 A KR 20060045890A KR 20070112680 A KR20070112680 A KR 20070112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vemen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042B1 (ko
Inventor
박준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042B1/ko
Priority to EP07009696A priority patent/EP1860534A1/en
Priority to US11/802,187 priority patent/US20070271528A1/en
Priority to CN2007101051049A priority patent/CN101080068B/zh
Publication of KR2007011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그 움직임에 따라 상기 메뉴를 회전 이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메뉴 구성을 위한 이미지와 그 메뉴의 회전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상기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 제어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RY TYPE MENU FACILITY AND THE MENU CONTROLL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조작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메뉴를 표시한 화면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회전형 메뉴를 표시한 화면의 일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회전형 메뉴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전형 메뉴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무선 통신부 102 : 마이크
103 : 스피커 104 : 음성 입출력부
105 : 메모리부 106 : 키 입력부
107 : 표시부 108 : 제어부
201 : 넘버 키 202 : 네비게이션 키
203 : 회전형 기능키 301~312 : 메뉴 항목 이미지
313 : 외부 영역 314 : 내부 영역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기능 이외에 문자 메시지 전송기능, 메모기능, 폰 북 기능, 알람 기능, 게임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그리고 스케줄 기능과 같은 다양한 부가기능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많은 부가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기능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뉴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메뉴는, 키 패드에 대응하는 유사한 배열 구조로 메뉴를 형성하거나, 상/하로 업/다운되는 구조로 메뉴를 형성하고, 넘버 키 또는 네비게이션 키에 의해 메뉴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넘버 키 또는 네비게이션 키는 단말기에 따라 디자인의 차이는 있지만, 그 동작 방식은 각 키의 상부를 가압하여 동작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메뉴 선택을 위한 키 입력 시 손가락에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 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메뉴 선택을 위한 회전형 기능키를 구비한 후, 상기 회전형 기능키와 유사한 형상으로 회전형 메뉴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형 기능키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형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그 움직임에 따라 상기 메뉴를 회전 이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메뉴 구성을 위한 이미지와 그 메뉴의 회전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상기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 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통신부(101)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 되는 음성 신호를 마이크(102) 및 스피커(103)를 통해 입출 력하는 음성 입출력부(104)와; 단말기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메뉴 표시를 위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05)와; 단말기에 구비된 각종 키를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부(106)와; 단말기의 각종 기능 선택을 위한 메뉴 및 상기 메뉴를 통해 선택된 기능 수행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107)와;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는 메뉴 표시 및 상기 각 기능 블록을 제어하여 상기 메뉴를 통해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08)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기능 블록들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일한 기능블록에서 다른 기능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키 입력부(106)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넘버 키(201), 네비게이션 키(202) 그리고 회전형 기능키(203)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메뉴 조작키로 사용한다.
상기 회전형 기능키(203)는 도2에 도시된 모양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회전형 기능키는 조그 다이얼 또는 휠과 같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키가 직접 회전하지 않더라도 가볍게 터치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 방식 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8)는 메모리부(105)에 저장된 메뉴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형 기능키(203)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회전형 메뉴를 표시부(107)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3에 도시된 상기 회전형 메뉴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시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서, 적어도 내부 영역(314)과 외부 영역(313)의 두 영역으로 구성 하고, 상기 두 영역의 전경 컬러나 배경 컬러 또는 명암 등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두 영역 사이에 경계선을 삽입하거나 소정의 그래픽 효과를 통해 두 영역을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영역(313)에는 각 메뉴 항목에 설정된 기능을 나타내는 소정 크기의 정적 또는 동적 이미지(301 ~ 312)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는 아이콘, 숫자, 텍스트, 사진, 캐릭터 등을 포함한다. 이하, '메뉴 항목 이미지'는 상기 각 메뉴 항목에 설정된 기능을 나타내는 소정 크기의 정적 또는 동적 이미지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영역(314)에는 상기 외부 영역(313)에서 임의의 메뉴 항목이 선택될 경우, 그 선택된 메뉴 항목에 설정된 기능을 나타내는 더 구체적인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회전형 메뉴의 내부 영역(314)에 표시되는 구체적인 기능 정보(313)는 텍스트(315), 단축키(316), 정적 또는 동적 이미지(317) 정보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이 메시지 기능이고 그 단축키 번호가 1번인 경우, 상기 메뉴의 내부 영역에는 단축키 정보인 숫자('1')과 편지 봉투 모양의 이미지와 소정 언어(예 : 영어)로 된 텍스트(messaging)를 조합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내부 영역(314)에 표시되는 이미지(317)와 상기 외부 영역(313)에 표시되는 이미지(301 ~ 312)는 그 형태 또는 컬러를 동일하게 표시할 수도 있고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이미지의 형태를 다르게 표시하더 라도 그 이미지가 나타내는 의미는 서로 연관성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외부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가 닫힌 편지봉투라면, 내부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열린 편지봉투이거나 편지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편지봉투 및 편지지는 편지를 나타내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영역(313, 314)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그 크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표시하거나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영역(313)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흑백 이미지로서 내부 영역(314)에 표시되는 이미지보다 작게 표시하고, 내부 영역(314)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컬러 이미지로서 외부 영역(313)에 표시되는 이미지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와는 반대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내부 영역(314)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영역에서 회전하는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복수의 정적 또는 동적 이미지(411 ~ 413)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411 ~ 413)는 선택된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이미지(412)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소정개의 이미지만 표시하며, 다른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이미지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내부 영역에서 회전되는 메뉴 항목 이미지는 메뉴 조작키의 조작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와 표시되지 않는 이미지가 바뀔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영역에서 회전되는 메뉴 항목 이미지(411 ~ 413)는 외부 영역(313)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형태 또는 컬러와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411 ~ 413) 중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이미지(412)와 선택되지 않은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이미지(411, 413)를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선명도, 컬러, 명암, 크기, 형상 중 적어도 한가지를 다르게 표시하거나 움직임 효과를 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회전형 기능키(203)는 물론, 넘버 키(201), 네비게이션 키(202) 등 메뉴 조작키의 입력을 검출하고, 그 입력된 키에 따라 상기 회전형 메뉴를 회전 이동시켜 표시하거나, 상기 회전형 메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메뉴 항목을 선택받아 실행시킨다.
상기에서 회전 이동 표시는 각 메뉴 항목 이미지의 위치는 고정시킨 채 메뉴 항목의 활성화 상태 표시(500)만을 메뉴 조작키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거나, 메뉴가 선택되는 위치(또는, 활성화 상태 표시 위치)는 고정시킨 채 각 메뉴 항목 이미지를 메뉴 조작키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뉴 항목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활성화 상태 표시(500)는,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이미지와는 다른 정적 또는 동적 이미지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또는, 선택된 메뉴 항목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의 컬러 또는 명암을 다른 메뉴 항목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과 다르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형 기능키(203)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형 메뉴가 회전되게 표시하고, 상기 회전형 기능키(203)가 회전하는 속도 및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회전형 메뉴가 회전되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즉,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형 기능키(203)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형 메뉴를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표시하고,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형 기능키(203)가 왼쪽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형 메뉴를 왼쪽으 로 회전시켜 표시한다.
또한, 상기 회전형 메뉴는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해서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도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또는 하측 네비게이션 키(202a, 202b)가 눌리는 횟수에 따라 상기 회전형 메뉴를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표시하고, 도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상측 네비게이션 키(202c, 202d)가 눌리는 횟수에 따라 상기 회전형 메뉴를 왼쪽으로 회전시켜 표시한다.
물론, 상기 각 네비게이션 키에 대응하는 회전형 메뉴의 동작은 설정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바뀔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표시부(107)는 상기 제어부(108)의 제어를 받아 회전형 메뉴를 표시하며, 통상적으로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되지만,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하나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회전형 기능키를 이용한 메뉴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전형 메뉴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08)는 키 입력부(106)를 통해 메뉴 호출 키(미도시)가 입력될 경우(S101), 메모리부(105)에 저장되어 있는 회전형 메뉴에 관한 제어 프로그램 및 이미지 정보를 인출하여 표시부(107)에 회전형 메뉴를 표시한다(S102).
상기 회전형 메뉴는 단말기에 구비된 회전형 기능키에 연동된다.
상기 제어부는 회전형 메뉴를 표시한 후,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의 종류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회전형 메뉴를 회전 이동시켜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키가 회전형 기능키인 경우(S103, S105), 상기 회전형 기능키의 움직임(예 : 회전방향, 회전속도, 회전각도)를 검출한다(S106). 다음, 상기 검출된 회전형 기능키와 동일한 회전방향, 회전속도 및 회전 각도로 회전형 메뉴를 회전 이동시켜 표시한다(S107).
만약, 상기 입력된 키가 네비게이션 키인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키가 입력된 키의 방향 및 입력된 횟수를 검출한다(S108). 다음, 상기 검출된 방향의 네비게이션 키와 동일한 방향 및 눌린 횟수에 따라 지정된 회전 각도로 회전형 메뉴를 회전 이동시켜 표시한다(S109).
상기에서 회전 이동은 각 메뉴 항목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시켜 표시하거나, 각 메뉴 항목 이미지의 위치는 고정시킨 채 메뉴 항목의 활성화 상태만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형 메뉴에서 원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메뉴 항목에 설정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원하는 메뉴 항목이 활성화 상태에 있을 때 확인키(OK key)를 입력하거나(S104, S110, S111), 상기 회전형 메뉴의 각 메뉴 항목에 지정된 단축키를 입력한다(S104, S110, S112).
상기 확인키(OK key)는 가압 방식 또는 터치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 방식으로 구성된 버튼으로서, 회전형 기능키 또는 네비게이션 키에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버튼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축키는 메뉴 선택에 의 한 명령을 입력할 필요가 없이 그 단축키에 설정된 기능을 간단히 호출하여 실행하는 버튼이다. 상기 회전형 메뉴의 각 메뉴 항목에는 상기 단축키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메뉴 선택을 위한 회전형 기능키를 구비한 후, 상기 회전형 기능키와 유사한 형상으로 회전형 메뉴를 구성하여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형 기능키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형 메뉴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손가락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원하는 메뉴 항목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상기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전형 메뉴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은,
    메뉴 조작키의 회전방향, 회전속도, 회전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 움직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전형 메뉴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의 이동은,
    상기 메뉴와 연동되는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에 따라 미리 지정된 방향, 속도 또는 각도로 회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전형 메뉴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의 회전은,
    상기 메뉴를 구성하는 각 항목 이미지를 메뉴 조작키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각 메뉴 항목 이미지의 위치는 고정시킨 채 메뉴 항목의 활성화 상태만을 메뉴 조작키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전형 메뉴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시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전형 메뉴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적어도 내부와 외부의 두 영역으로 구성하고,
    상기 외부 영역에 각 메뉴 항목에 설정된 기능을 나타내는 소정 크기의 이미지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고,
    상기 내부 영역에 상기 외부 영역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한 기능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전형 메뉴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정보는,
    이미지, 텍스트, 단축키 정보를 조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전형 메뉴 제어 방법.
  8.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그 움직임에 따라 상기 메뉴를 회전 이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메뉴 구성을 위한 이미지와 그 메뉴의 회전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조작키는,
    회전방향, 회전속도, 회전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의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메뉴를 상기 메뉴 조작키의 움직임에 따라 미리 지정된 방향, 속도 및/또는 각도로 회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메뉴를 구성하는 각 메뉴 항목 이미지의 위치를 회전할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각 메뉴 항목 이미지의 위치는 고정시킨 채 메뉴 항목의 활성화 상태만을 회전할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를 구성하는 각 메뉴 항목 중 소정의 메뉴 항목이 활성화 상태에 있을 때 확인키를 입력받거나, 상기 각 메뉴 항목에 지정된 단축키를 입력받아 그 메뉴 항목에 설정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키는,
    메뉴 조작키에 일체로 구성되는 가압 방식 또는 터치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 방식으로 구성된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60045890A 2006-05-22 2006-05-22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제어 방법 KR101146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890A KR101146042B1 (ko) 2006-05-22 2006-05-22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제어 방법
EP07009696A EP1860534A1 (en) 2006-05-22 2007-05-15 Mobile terminal and menu display method thereof
US11/802,187 US20070271528A1 (en) 2006-05-22 2007-05-21 Mobile terminal and menu display method thereof
CN2007101051049A CN101080068B (zh) 2006-05-22 2007-05-22 移动终端和其菜单显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890A KR101146042B1 (ko) 2006-05-22 2006-05-22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680A true KR20070112680A (ko) 2007-11-27
KR101146042B1 KR101146042B1 (ko) 2012-05-14

Family

ID=3890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890A KR101146042B1 (ko) 2006-05-22 2006-05-22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6042B1 (ko)
CN (1) CN10108006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132B1 (ko) * 2006-09-04 2013-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
KR20140097904A (ko) * 2013-01-30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배열방법
KR101510484B1 (ko) * 2009-03-31 201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9432B2 (en) * 2009-05-29 2013-10-01 Apple Inc. Radial menus
EP2270640A1 (fr) * 2009-06-26 2011-01-05 France Telecom Procédé de gestion de l'affichage d'une fenêtre d'une application sur un écran, un programme et un terminal l'utilisant
CN102473066B (zh) * 2009-09-09 2014-03-12 美泰有限公司 在多功能手持设备上显示、导航和选择电子方式存储内容的系统和方法
US20110202873A1 (en) * 2010-02-18 2011-08-18 Alcatel-Lucent Canada Inc. Menu lauching structure
CN102467315A (zh) * 2010-10-29 2012-05-23 国际商业机器公司 控制具有触摸式信号输入装置的电子设备的方法和系统
CN102479028A (zh) * 2010-11-24 2012-05-30 上海三旗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待机功能的方法
CN102591630B (zh) * 2011-01-18 2016-08-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信息功能整合系统及方法
CN102118514A (zh) * 2011-03-31 2011-07-06 深圳市五巨科技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及其菜单设置方法
CN102331932A (zh) * 2011-09-08 2012-01-25 北京像素软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菜单界面实现方法
KR20130051234A (ko) * 2011-11-09 2013-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비주얼 프레젠테이션 방법 및 장치
CN102609187A (zh) * 2012-01-11 2012-07-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菜单的方法及终端设备
CN103257789B (zh) * 2012-02-20 2017-02-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和图标管理方法
CN103365888A (zh) * 2012-03-31 2013-10-23 上海移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手表样式的搜索方法
TWI585670B (zh) * 2012-04-25 2017-06-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呈現應用程式選單之方法、電子裝置及電腦可讀取媒體
CN102799374A (zh) * 2012-07-03 2012-11-2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和应用程序的控制方法
CN102981698A (zh) * 2012-10-23 2013-03-20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在便携式终端中管理应用的方法和设备
CN103870145B (zh) * 2012-12-17 2017-03-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3034408A (zh) * 2012-12-21 2013-04-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用户界面的页面切换方法及移动终端
CN103257786B (zh) * 2013-04-28 2018-07-27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界面显示方法及终端
CN103268193B (zh) * 2013-07-02 2017-03-08 成都西可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设备旋转式功能切换法
CN103646043B (zh) * 2013-11-19 2018-01-23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资源的查找定位方法及装置
CN103616987B (zh) * 2013-12-02 2018-01-23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智能终端用户界面的控制方法和智能终端
CN103941965B (zh) * 2014-05-15 2018-08-14 成都品果科技有限公司 一种转盘式交互方法
CN104065816A (zh) * 2014-06-16 2014-09-24 深圳市东信时代信息技术有限公司 转盘式导航菜单装置及其实现方法
CN105518603A (zh) 2014-09-30 2016-04-20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操作界面处理方法及显示装置
CN104407782A (zh) * 2014-12-11 2015-03-11 张蜀军 菜单显示方法
CN105808130A (zh) * 2014-12-31 2016-07-27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界面切换方法及应用界面切换方法的电子装置
KR102343365B1 (ko) * 2015-01-26 2021-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객체표시 방법
CN104965668B (zh) * 2015-06-19 2018-03-27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界面操作的方法和装置
CN105068712B (zh) * 2015-08-06 2019-04-30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的菜单选择实现方法及系统
CN105516505B (zh) * 2015-12-25 2019-08-06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应用同步使用的方法、系统及智能手机
CN106484243A (zh) * 2016-09-20 2017-03-08 天津海量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多个对象节点显示不同属性的轮盘式菜单显示方法
CN106648313A (zh) * 2016-11-22 2017-05-10 杭州联络互动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手表桌面应用程序的排布方法和装置
EP3564802B1 (en) * 2017-01-26 2023-08-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terminal
CN108920084B (zh) * 2018-06-29 2021-06-1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游戏中的视野控制方法和装置
CN110297563A (zh) * 2019-06-28 2019-10-01 无锡睿勤科技有限公司 屏幕显示控制方法及智能手表
CN111625158B (zh) * 2020-05-22 2022-05-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交互平板、菜单展示方法及书写工具属性的控制方法
CN111984166A (zh) * 2020-07-08 2020-11-24 福建亿能达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菜单的环形转动交互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3885744B (zh) * 2021-09-10 2023-05-05 荣耀终端有限公司 菜单选项显示方法及智能手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208B1 (ko) * 1996-11-14 1999-11-15 구자홍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메뉴선택 제어방법
GB9920327D0 (en) * 1999-08-28 1999-11-0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nu display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0386294B1 (ko) * 2001-06-27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되는 휴대용 단말기
US7036090B1 (en) 2001-09-24 2006-04-25 Digeo, Inc. Concentric polygonal menus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0560940B1 (ko) * 2003-12-22 2006-03-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이드 키 운용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132B1 (ko) * 2006-09-04 2013-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
KR101510484B1 (ko) * 2009-03-31 201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097904A (ko) * 2013-01-30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배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042B1 (ko) 2012-05-14
CN101080068B (zh) 2012-01-11
CN101080068A (zh)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2680A (ko)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제어 방법
KR100727790B1 (ko) 무선 통신용 단말기 및 이와 같은 단말기의디스플레이상에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079007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빠른 접근 방법및 장치
CA2821093C (en) Mobile device with user interface
US8434020B2 (en) Computing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for applications
US9342235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EP3125095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pages used for a home screen
JP5422042B2 (ja) クロームレス・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US9310834B2 (en) Full screen mode
EP2153631B1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271528A1 (en) Mobile terminal and menu display method thereof
US20150012885A1 (en) Two-mode access linear ui
US2016023920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20100162160A1 (en) Stage interaction for mobile device
US20080207188A1 (en)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00064212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User Input Interface Opposite a Display
KR10138008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US20140019895A1 (en) Electronic device
KR20080084208A (ko) 전자장치와 전자장치의 동작모드 제어방법 및이동통신단말기
JP3887567B2 (ja) 携帯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1203976B1 (ko) 회전 가능한 메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작동방법
KR1004551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선택에 따른 도움말 표시방법
KR101179947B1 (ko) 휴대전화 및 그 메뉴 표시방법
KR101346889B1 (ko) 조이스틱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 처리방법
KR20170042218A (ko) 전자 디바이스 및 복수개의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