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2515A - Method for auto completion of special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auto completion of special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2515A
KR20070112515A KR1020060045500A KR20060045500A KR20070112515A KR 20070112515 A KR20070112515 A KR 20070112515A KR 1020060045500 A KR1020060045500 A KR 1020060045500A KR 20060045500 A KR20060045500 A KR 20060045500A KR 20070112515 A KR20070112515 A KR 20070112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con
input
emoticons
user
special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83466B1 (en
Inventor
원세연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6004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466B1/en
Publication of KR20070112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5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4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An automatic special character comple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search emoticons associated with special characters or words inputted by a user from a DB so as to arrange the searched emoticons to display the emoticons on a separate window, thus a user is able to easily and quickly input the emoticons including the special characters. A controller receives special characters or characters inputted by a user(210), and decides whether the special characters are received(230). If so, the controller performs an automatic emoticon completion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special characters to input emoticons(250). The controller decides whether the currently performed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290). If so, the controller completes the automatic emoticon completion function.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METHOD FOR AUTO COMPLETION OF SPECIAL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Automatic Character Completion of Special Characters in Mobile Devices {METHOD FOR AUTO COMPLETION OF SPECIAL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수문자 자동 완성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cial character automatic comple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mpleting special characters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도 2에 도시한 단계 250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3A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step 250 illustrated in FIG. 2.

도 3B는 도 2에 도시한 단계 270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3B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step 270 illustrated in FIG. 2.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에서 특수문자와 연관된 이모티콘의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4A illustrates a database of emoticons associated with special characters in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mpleting special characters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에서 단어와 연관된 이모티콘 또는 기호의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4B illustrates a database of emoticons or symbols associated with words in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mpleting special characters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5 is a user interface screen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mpleting special characters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키입력부 20 : 표시부10: key input unit 20: display unit

30 : 제어부 40 : 저장부30: control unit 40: storage unit

50 : 송수신부 60 : 코덱50: transceiver 60: codec

70 : 음향입출력부70: sound input and output uni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수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mpleting a special character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mpleting a special character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asily inputting a special character.

이동통신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이에 비례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약칭함)의 이용 인구도 급속히 늘고 있다. SMS는 전자우편과는 달리 발송시점과 수신시점의 시간차가 거의 없으며, 메시지의 저장 및 편집이 가능하고,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수단의 하나로 이미 확고한 자리를 굳힌 상태이다.As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ortable terminals such a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is rapidly spreading, the proportion of users of short message services (SMS) is increasing rapidly. Unlike e-mail, SMS has little time difference between sending time and receiving time, and can store and edit messages, and can be used anytime and anywhere.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글자수의 제한이나 문장만으로는 자신의 감정이나 상황을 적절하게 표현하기 어려울 때는 이모티콘(emoticon)을 문장에 섞어서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이나 의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When sending a text message using a mobile device, when it is difficult to express one's feelings or situation properly by limiting the number of letters or sentences, the emoticon is mixed with the sentence and transmitted. Many times.

이모티콘(emoticon)은 감정(emotion)과 아이콘(icon)을 합성한 말로서 주로 이동통신이나 컴퓨터 통신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문자의 조합 또는 특수문자, 숫자, 문자들의 조합으로써 일일이 글로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거나 자신의 의사를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An emoticon is a combination of emotions and icons. It is a combination of special characters or combinations of special characters, numbers, and characters used mainly to express your emotions in mobile or computer communication. It is not suitable for writing or is used mainly to convey one's intention quickly.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는 일반적인 컴퓨터 키보드에 비해 키의 수가 적고 키가 소형이기 때문에 문자 또는 기호를 포함한 특수문자를 입력하기가 불편하다.Since the keypad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has fewer keys and smaller keys than a general computer keyboard, it is inconvenient to input special characters including letters or symbols.

예를 들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작성하는 도중 이모티콘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메뉴 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특수문자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특수문자 입력 화면에서 입력하기를 원하는 특수문자에 할당된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특수문자를 입력한다.For example, to input an emoticon while writing text using a mobile terminal, display a special character input screen on the display using a menu key, and assign the special character to be input on the displayed special character input screen. Enter special characters by entering numbers.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텍스트 작성 도중 특수문자를 입력할 때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특수문자의 입력이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nput of the special character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above process must be repeated every time the special character is input during text writ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수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mpleting a special character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facilitate the input of the special character.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은 특수문자 및 단어 중의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특수문자 및 단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이모티콘을 검색하는 연관 이모티콘 검색 단계 및 검색된 상기 연관 이모티콘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은 검색된 상기 연관 이모티콘을 정렬하는 정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 단계는 상기 검색된 연관 이모티콘의 사용 빈도수 및 상기 이모티콘이 사용된 시간에 기초하여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정렬된 이모티콘을 상기 이모티콘이 입력될 위치에 별도의 창(window)을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은, 상기 연관된 이모티콘이 검색되지 않으면 입력된 특수문자 및 단어 중 적어도 하나와 입력된 이모티콘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어 연관 이모티콘 검색단계는 상기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단어와 연관된 기호를 검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mpleting a special character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otico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special character and the word in a database when at least one of the special character and the word is input. A related emoticon search step for searching and a display step for displaying the found related emoticon. The special character autocompletion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alignment step of sorting the searched related emoticons. The sorting step may be sor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ound related emoticon and the time at which the emoticon was used. In the displaying step, the aligned emoticon may be displayed at a position where the emoticon is to be input through a separate window. The automatic completion method of the special character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recording at least one of the inputted special characters and words and the input emoticon in the database if the associated emoticon is not searched. The word-related emoticon search step may search for a symbol associated with the word in the database when the word is inpu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수문자 자동 완성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cial character automatic comple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특수문자 자동 완성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키입력부(10), 표시부(20), 제어부(30), 저장부(40), 송수신부(50), 코덱(60) 및 음향입출력부(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pecial character autocomple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10, a display unit 20, a control unit 30, a storage unit 40, and a transceiver unit 50. , A codec 60, and an audio input / output unit 70.

키입력부(10)는 0에서 9까지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숫자키와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를 실행하거나 각종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키를 포함하고, 각각의 숫자키에는 복수의 한글 자음이나 모음 또는 영어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다. The key input unit 1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for inputting a number from 0 to 9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for executing a menu of a portable terminal or execut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Each numeric key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Korean consonants, vowels, or English alphabets are assigned.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키 중 숫자 '5'를 입력하기 위한 키에는 '5' 이외에도 한글 자음과 영어 알파벳 'j', 'k', 'l'이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한글 자음 또는 알파벳을 입력시에는 자판모드 전환에 해당하는 기능키를 사용하여 자판모드를 한글 또는 영어로 전환한 후 해당 키를 누르면 된다.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5', the Korean consonant and the English alphabet 'j', 'k', and 'l' may be used as a key for inputting the number '5' among the plurality of key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located. When the user inputs a Korean consonant or alphabet, the user switches the keyboard mode to Korean or English using a fun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keyboard mode switch and then presses the corresponding key.

키입력부(10)는 사용자에 의해 키가 조작되면 이에 상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자나 숫자 키를 조작하면 키 입력 신호는 조작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숫자 신호가 될 수 있다.When the key is manipulated by the user, the key input unit 10 transmits a corresponding key input signal to the controller. For example, when a user manipulates a letter or numeric key, the key input signal may be a letter or nume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ed key.

표시부(20)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이며,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텍스트 입력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이모티콘이나 기호가 표시된 별도의 창(window)이 표시된다. The display unit 20 i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for example, and displays a user interface such as a menu of a portable terminal or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program, and emotico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 when text is input. A separate window with the or symbol is displayed.

제어부(30)는 키입력부(1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나 특수문자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어 또는 특수문자와 연관된 이모티콘이나 기호를 저장부(4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내용을 사용 빈도수 및 사용 시간에 따라 정렬한 후 정렬된 결과를 표시부(2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0 receives a word or a special character input by the user from the key input unit 10, retrieves an emoticon or a symbol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word or the special character from a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 and uses the searched frequency. And after sorting according to the use time, the sorted resul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또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이모티콘이나 기호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미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이모티콘이나 기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이모티콘이나 기호의 사용 빈도수를 증가시키고, 사용시간을 기록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0 receives an emoticon or a symbol input by the user and records it in a database. When the user inputs an emoticon or symbol that already exists in the databas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input emoticon or symbol is increased, and the database is updated by recording the usage time.

저장부(40)는 제어부(3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40)는 휴대용 단말기의 시스템 프로그램(예를 들면, 운영체제)이나, 응용프로그램,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40 stores the databas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3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40 stores a system program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an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input by a user, and the like.

송수신부(50)는 안테나(ANT)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고주파(RF) 신호를 베이스 밴드(Base Band)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부(50)로부터 출력되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SMS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transceiver 50 convert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 into a base band signal, and converts a base band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 into a radio signal to convert an antenna ( ANT) to output SMS, voice call, etc.

코덱(60)은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형식의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음향 입출력부(70)로 출력하거나, 음향 입출력부(70)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형식의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 어부(30)로 출력한다.The codec 60 converts the digital format voice or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30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to the sound input / output unit 70 or the analog format voice or sound received from the audio input / output unit 70.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format and output to the control unit 30.

음향입출력부(70)는 스피커, 이어폰 단자 및/또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코덱(60)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형식의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스피커 또는 이어폰 단자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코덱(60)으로 출력한다.The audio input / output unit 70 includes a speaker, an earphone terminal, and / or a microphone, and outputs an analog or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codec 60 to the speaker or earphone terminal or is input through a microphone. Is output to the codec 60.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mpleting special characters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30)는 키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특수문자 또는 문자를 수신하고(단계 210), 특수문자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30). Referring to FIG. 2, first, the controller 30 receives a special character or a character input by a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step 210), and determines whether a special character has been received (step 230).

그리고, 특수문자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이모티콘을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된 특수문자와 연관된 이모티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표시부(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모티콘을 직접 입력하지 않고 표시부(20)에 표시된 이모티콘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이모티콘이 입력되도록 하는 특수문자 연관 이모티콘 자동 완성 기능을 수행한다(단계 25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al character has been received,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user inputs the emoticon, and searches the database for the emoticon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special character and displays the search result on the display unit 20 to display the emoticon. The automatic completion of the special character associated emoticon for allowing the emoticon to be input by selecting from among the emotic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without directly inputting (step 250).

그리고 현재 수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290),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210으로 되돌아가고,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특수문자 자동 완성 기능을 종료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step 29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termina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1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al character auto completion function is terminated.

단계 230에서 판단결과, 특수문자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사용자가 단어를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된 단어와 연관된 이모티 콘 또는 기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표시부(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부(20)에 표시된 이모티콘 또는 기호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이모티콘 또는 기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어 연관 이모티콘 또는 기호 자동 완성 기능을 수행한다(단계 270).In operation 2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al character is not input,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user inputs a word, searches the database for an emoticon or symbol associated with the received word, and displays the search result in the display unit 20. ), The user performs a word-related emoticon or symbol auto-completion function so that the user selects from among the emoticon or symbo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step 270).

그리고 현재 수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290),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210으로 되돌아가고,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특수문자 자동 완성 기능을 종료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program is terminated (step 29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termina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1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al character auto completion function is terminated.

도 3A는 도 2에 도시한 단계 250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3A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step 250 illustrated in FIG. 2.

도 3A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입력된 특수문자를 저장부(4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단계 251),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가 입력한 특수문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52). 그리고, 단계 252에서 판단결과 특수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입력된 특수문자와 연관된 이모티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53). Referring to FIG. 3A, the control unit 30 searches for the inputted special characters in the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 (step 251), and determines whether the special characters input by the user exist in the database (step 25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52 that the special character exists,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an emoticon associated with the inputted special character exists (step 253).

즉, 제어부(30)는 사용자가 특수문자를 입력하면 입력된 특수문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된 특수문자로 시작되는 이모티콘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That is,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ted special character exists in the database when the user inputs the special character, and determines whether an emoticon starting with the inputted special character exists in the database.

단계 253에서 연관 이모티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연관 이모티콘들을 사용 빈도수가 높은 순서에서 낮은 순서로 정렬하고, 만약 사용 빈도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이모티콘의 사용 시간을 참조하여 정렬 순서를 결정한다. (단계 254).If it is determined in step 253 that there is an associated emoticon, the controller 30 sorts the related emoticons in order from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nd if the frequency of use is the same, determine the sorting order by referring to the usage time of the emoticon. . (Step 25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관 이모티콘들의 사용 빈도수와 사용 시간에 각각 소정의 가중치를 할당하고 할당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한 후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etermined weights may be assigned to the frequency and time of use of the associated emoticons, and the priority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ssigned weights and then sorted according to the priority.

다음으로, 제어부(30)는 정렬된 이모티콘들을 표시부(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된 이모티콘들 중에서 원하는 이모티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255).Next, the controller 30 displays the sorted emoticons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emoticon from the displayed emoticons (step 255).

그리고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모티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모티콘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단계 256),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이모티콘의 사용 빈도수를 증가시키고, 이모티콘이 사용된 시간을 기록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단계 257).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ich one of the emoticons is selected from the emoticon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step 25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lection is made, the controller 30 increas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emoticon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database, and the emoticons are displayed. The database is updated by recording the time used (step 257).

단계 252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특수문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이모티콘을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58). 그리고 사용자가 이모티콘을 입력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는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이모티콘을 입력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입력한 특수문자와 연관 이모티콘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259).If it is determined in step 252 that the special character input by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database,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puts an emoticon (step 25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nputs an emoticon, this means that the user inputs a new emoticon that does not exist in the database. Therefore, the controller 30 stores the special character and the associated emoticon input by the user in the database (step 259).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연속해서 두 개의 특수문자를 입력하면 이모티콘을 입력한 것으로 간주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nputs two special characters in succession, it is regarded as inputting an emoticon.

단계 253에서 연관 이모티콘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258로 진행하고, 단계 256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연관 이모티콘들 중에서 어느 것도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258로 진행하여 이후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53 that the related emoticon does not exis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58.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56 that the user has not selected any of the related emoticon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58 to perform the subsequent steps Run sequentially.

도 3B는 도 2에 도시한 단계 270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3B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step 270 illustrated in FIG. 2.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입력된 단어를 저장부(4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단계 271),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72). 그리고, 단계 272에서 판단결과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입력된 단어와 연관된 이모티콘 또는 기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73). Referring to FIG. 3B, the controller 30 searches for the input word in a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40 (step 271), and determines whether a word input by the user exists in the database (step 27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72 that the word input by the user exists,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an emoticon or symbol associated with the input word exists (step 273).

즉, 제어부(30)는 사용자가 단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단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된 단어와 상응하는 이모티콘이나 기호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That is,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word exists in the database when the user inputs a word, and determines whether an emoticon or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nput word exists in the database when the user inputs a word.

단계 273에서 연관 이모티콘 또는 기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연관 이모티콘 또는 기호들을 사용 빈도수가 높은 순서에서 낮은 순서로 정렬하고, 만약 사용 빈도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이모티콘이나 기호들의 사용 시간을 참조하여 정렬 순서를 결정한다(단계 274).If it is determined in step 273 that the associated emoticon or symbol is present, the control unit 30 sorts the associated emoticon or symbol from the highest frequency to the lowest frequency, and if the frequency of use is the same, refer to the usage time of the emoticon or symbols. To determine the sort order (step 27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관 이모티콘들의 사용 빈도수와 사용 시간에 각각 소정의 가중치를 할당하고 할당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한 후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etermined weights may be assigned to the frequency and time of use of the associated emoticons, and the priority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ssigned weights and then sorted according to the priority.

다음으로, 제어부(30)는 정렬된 이모티콘 및 기호를 표시부(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된 이모티콘 또는 기호들 중에서 원하는 이모티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275).Next, the controller 30 displays the sorted emoticons and symbols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emoticon from the displayed emoticons or symbols (step 275).

그리고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이모티콘 또는 기호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단계 276),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이모티콘 또는 기호의 사용 빈도수를 증가시키고, 사용된 시간을 기록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단계 277).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selects one of the emoticons or symbol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step 276),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selected one, increas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emoticons or symbols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database. The database is updated by recording the time used (step 277).

단계 272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는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하지 않은 새로운 단어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단어 바로 다음에 이모티콘이나 기호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278), 사용자가 단어 다음에 이코티콘 또는 기호를 입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와 이모티콘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와 기호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단계 279).If it is determined in step 272 that the word entered by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database, this means that the user inputs a new word that has not been used before, and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puts an emoticon or symbol immediately after the word. If it is determined (step 278)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nputs an ecoticon or symbol after the word, the controller 30 records the word and emoticon input by the user or the word and symbol input by the user in the database (step 279). ).

그리고 단계 278에서 판단결과,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다음에 이모티콘이나 기호 중 어느 것도 입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이는 이모티콘이나 기호가 포함되지 않는 단어로만 구성된 문장에 해당하므로 단계 290으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278 that none of the emoticons or symbols are entered after the word input by the us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90 because it corresponds to a sentence composed only of words that do not include emoticons or symbols.

단계 273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에 연관된 이모티콘이나 기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사용자가 단어 바로 다음에 이모티콘이나 기 호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280), 입력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는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단어 다음에 새로운 이모티콘이나 기호를 입력한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이모티콘이나 기호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단계 281).If it is determined in step 273 that the emoticon or symbol associated with the word input by the user does not exist,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puts the emoticon or symbol immediately after the word (step 280), and determines that the input has been made. In this case, since the user inputs a new emoticon or symbol after a word existing in the database, the controller 30 records the emoticon or symbol input by the user in the database (step 281).

그리고 단계 280에서 판단결과,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다음에 이모티콘이나 기호 중 어느 것도 입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이는 이모티콘이나 기호가 포함되지 않는 단어로만 구성된 문장에 해당하므로 단계 290으로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280, if it is determined that none of the emoticons or symbols are entered after the word input by the user, this corresponds to a sentence consisting only of words that do not include emoticons or symbols.

또한, 단계 276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연관 이모티콘 또는 기호들 중에서 하나도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280으로 진행한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76 that the user has not selected any of the associated emoticons or symbol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80.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에서 특수문자와 연관된 이모티콘의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고, 도 4B는 단어와 연관된 이모티콘 또는 기호의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4A illustrates a database of emoticons associated with special characters in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mpleting special character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llustrates a database of emoticons or symbols associated with words.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수문자와 연관된 데이터베이스는 특수문자 필드(F1), 이모티콘 필드(F2), 사용 빈도수 필드(F3) 및 사용 시간 필드(F4)를 포함하고, 단어와 연관된 데이터베이스는 단어 필드(F5), 이모티콘/기호 필드(F6), 사용 빈도수 필드(F7) 및 사용 시간 필드(F8)를 포함한다.4A and 4B, a database associated with a special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cial character field F1, an emoticon field F2, a frequency of use field F3, and a time of use field F4. The database associated with the word includes a word field F5, an emoticon / symbol field F6, a frequency of use field F7, and a usage time field F8.

그리고, 사용 시간 필드(F4 및 F8)는 각각 T1, T2, T3 필드로 구분되고, T1 필드는 6시에서 12시까지, T2 필드는 12시에서 18시까지, T3 필드는 18시에서 6시까지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 시간 필드(F4 및 F8)를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른 시간대로 설정할 수도 있고, 시간대를 더욱 세분화할 수도 있다.The use time fields F4 and F8 are divided into T1, T2, and T3 fields, respectively, and the T1 field is from 6 to 12 o'clock, the T2 field is from 12 to 18 o'clock, and the T3 field is from 18 to 6 o'clock. Is set to.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time fields F4 and F8 may be set to different time zones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or the time zones may be further subdivided.

사용자의 특수문자 입력에 따른 제어부(30)의 데이터베이스 검색 및 정렬의 예를 들면, 사용자가 7시에 특수문자 '^'를 입력하면, 제어부(30)는 도 4A에 도시한 데이터베이스의 특수문자 필드(F1)에서 '^'를 검색하고, 이모티콘 필드(F2)에서 '^'와 연관된 이모티콘을 사용 빈도수 및 사용 시간에 따라 정렬한다.For example of searching and sorting the database by the control unit 30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pecial character of the user, when the user inputs the special character '^' at 7:00, the control unit 30 displays the special character field of the database shown in FIG. 4A. Search for '^' in (F1) and sort the emoticon associated with '^' in emoticon field (F2)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time of use.

도 4A의 이모티콘 필드(F2)에는 특수문자 '^'와 연관된 이모티콘이 4개가 존재하고, 4개의 이모티콘을 사용빈도 및 사용시간에 따라 '^.^', '^-^', '^)^', '^^;;;' 순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순서에 따라 표시부(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한다.In the emoticon field F2 of FIG. 4A, there are four emoticons associated with the special character '^', and the four emoticons are '^. ^', '^-^', '^) ^ Depending on the frequency and time of use. ',' ^^ ;;; ' The screens are arranged in order, and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 according to the sorted order.

도 4A의 이모티콘 필드(F2)에 도시된 이모티콘 중에서 '^)^'와 '^^;;;'는 사용 빈도수가 각각 2회로 동일하므로 사용 시간 필드(F4)에서 현재 시간(7시)이 포함된 T1 필드를 비교하여 '^)^'와 '^^;;;' 순으로 이모티콘을 정렬한다.Of the emoticons shown in the emoticon field F2 of FIG. 4A, '^) ^' and '^^ ;;;' are used twice, so the current time (7 o'clock) is included in the use time field F4. Comparable T1 fields to compare '^) ^' and '^^ ;;;' Sort emoticons in order.

사용자의 특수문자 입력에 따른 제어부(30)의 데이터베이스 검색 및 정렬의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단어 '행복하세요'를 입력하면 제어부(30)는 도 4B에 도시한 데이터베이스의 단어 필드(F5)에서 '행복하세요'를 검색하고, 이모티콘 필드(F6)에서 '행복하세요'와 연관된 이모티콘을 사용 빈도수 및 사용 시간에 따라 정렬한다.For another example of searching and sorting the database by the controller 30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f special characters, if the user inputs the word 'happy', the controller 30 may display the word field F5 in the database shown in FIG. 4B. Search for 'happy' and sort the emoticons associated with 'happy' in the emoticon field (F6) by frequency and time of use.

도 4B의 이모티콘 필드(F2)에는 단어 '행복하세요'와 연관된 이모티콘이 4개가 존재하고, 4개의 이모티콘을 사용빈도 및 사용시간에 따라 ':-)', '*^-^*', '*^^*', '(^-^)' 순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순서에 따라 표시부(20)의 사용자 인터 페이스 화면에 표시한다.In the emoticon field F2 of FIG. 4B, there are four emoticons associated with the word 'happy', and the four emoticons are ':-)', '* ^-^ *', '* depending on the frequency and time of use. ^^ * ',' (^-^) 'sorted in order, and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 according to the sorted order.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5 is a user interface screen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mpleting special characters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키입력부(10)를 통해 '오늘도 좋은'을 입력하면 제어부(30)는 단어 '오늘도'와 '좋은'을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연관 이모티콘이나 기호를 검색하고, 단어 '좋은'과 연관된 이모티콘을 사용 빈도수 및 사용 시간에 따라 정렬하여 정렬된 이모티콘이 표시된 별도의 창(W1)을 단어 이모티콘이 입력될 위치에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user executes a message writing program and inputs 'good today'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the control unit 30 displays the words 'today' and 'good' as shown in FIG. 4B. Search for the associated emoticon or symbol in the word database, and sort the emoticon associated with the word 'goo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time of use, and display a separate window (W1) displaying the sorted emoticon in the position where the word emoticon is to be input.

그리고,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어 '행복하세요'와 연관된 이모티콘 또는 기호를 단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정렬하여 정렬된 이모티콘이 표시된 별도의 창(W2)를 이모티콘이 입력될 위치에 표시한다.Then,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emoticon or symbol associated with the word 'happy' is searched in the word database and the search results are sorted so that a separate window W2 displaying the sorted emoticons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where the emoticon is to be input.

사용자는 이모티콘이 표시된 창(W1 또는 W2)에서 원하는 이모티콘의 번호를 입력하거나 키입력부에 마련된 네비게이션(navigation) 키 또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이모티콘에 반전 막대가 위치하도록 하고 키입력부에 마련된 '확인' 키를 누름으로써 이모티콘을 입력한다.The user inputs the desired emoticon number in the window (W1 or W2) on which the emoticon is displayed, or uses the navigation key or the direction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to position the inversion bar on the desired emoticon and the 'OK'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Enter an emoticon by tapping.

상기와 같은 특수문자 자동 완성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수문자 또는 단어와 연관된 이모티콘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이모티콘을 사용 빈도수 및 사용 시간에 따라 정렬하여 사용자 인 터페이스 화면에 별도의 창으로 표시한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pecial character autocomple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nterface screen is searched for an emoticon associated with the special character or word input by the user in the database, and the searched emoticons are sor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usage time. In a separate window.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특수문자를 포함하는 이모티콘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input an emoticon including a special character in the portable terminal.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ould be.

Claims (6)

특수문자 및 단어 중의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특수문자 및 단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이모티콘(emoticon)을 검색하는 연관 이모티콘 검색 단계; 및An associated emoticon search step of searching for an emotico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special characters and words in a database when at least one of the special characters and words is input; And 검색된 상기 연관 이모티콘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And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searched related emotic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은 검색된 상기 연관 이모티콘을 정렬하는 정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The special character autocompletion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sorting step of sorting the searched related emotic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정렬 단계는 상기 검색된 연관 이모티콘의 사용 빈도수 및 상기 이모티콘이 사용된 시간에 기초하여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And the sorting step is arranged based on a frequency of use of the found related emoticon and a time at which the emoticon is u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정렬된 이모티콘을 상기 이모티콘이 입력될 위치에 별도의 창(window)을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The displaying step is a special character automatic comple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sorted emoticon through a separate window (window) at the position where the emoticon is inpu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은, 상기 연관된 이모티콘이 검색되지 않으면 입력된 특수문자 및 단어 중 적어도 하나와 입력된 이모티콘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The special character autocompletion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recording at least one of the inputted special characters and words and the input emoticon in the database if the associated emoticon is not found. Character autocomple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어 연관 이모티콘 검색단계는 상기 단어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단어와 연관된 기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The word-related emoticon searching step is to automatically search for a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word in the database when the word is input.
KR1020060045500A 2006-05-22 2006-05-22 Method for auto completion of special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KR1008834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500A KR100883466B1 (en) 2006-05-22 2006-05-22 Method for auto completion of special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500A KR100883466B1 (en) 2006-05-22 2006-05-22 Method for auto completion of special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515A true KR20070112515A (en) 2007-11-27
KR100883466B1 KR100883466B1 (en) 2009-02-16

Family

ID=3909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500A KR100883466B1 (en) 2006-05-22 2006-05-22 Method for auto completion of special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46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887B1 (en) * 2011-07-01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130143268A (en)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System for input of contents, terminal, method for input of content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WO2014065551A1 (en) * 2012-10-22 2014-05-01 (주)카카오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chatting area and server for managing chatting data
WO2015194814A1 (en) * 2014-06-16 2015-12-23 주식회사 큐키 Method for simply inputting emoticon or sticker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ethod
KR102227881B1 (en) 2019-12-02 2021-03-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special characters using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936B1 (en) * 2000-12-16 200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emotion ic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887B1 (en) * 2011-07-01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130143268A (en)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System for input of contents, terminal, method for input of content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WO2014065551A1 (en) * 2012-10-22 2014-05-01 (주)카카오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chatting area and server for managing chatting data
US9847955B2 (en) 2012-10-22 2017-12-19 Kakao Corp.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chatting area and server for managing chatting data
US10666586B2 (en) 2012-10-22 2020-05-26 Kakao Corp.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chatting area and server for managing chatting data
WO2015194814A1 (en) * 2014-06-16 2015-12-23 주식회사 큐키 Method for simply inputting emoticon or sticker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ethod
KR102227881B1 (en) 2019-12-02 2021-03-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special characters using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466B1 (en) 2009-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3715A1 (en) Text editing
US714955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or application with a word completion feature
US20080033713A1 (en) Predicting entered text
US200700768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bbreviated text messaging
US20040153975A1 (en) Text entry mechanism for small keypads
US20060206816A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predictive text editing
WO2003044650A2 (en)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editor application
KR100883466B1 (en) Method for auto completion of special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EP1282031A2 (en) A method of entering characters into a text string and a text-editing terminal using the method
US7369843B2 (en) Portable cellular phone having function of searching for operational function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operational function in portable cellular phone
US20070061718A1 (en)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 interpretation mode
JP4334009B2 (en) Data entry method
US2007010649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WO2008132534A1 (en)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command
KR20050068380A (en) Symbol menu display method of mobile handset with message service function
JP2005346462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program
KR20080007180A (en) Method for inputting text in multiple languages
KR100455171B1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1103723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application
KR100575771B1 (en) Special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89190A (en)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KR20050022560A (en) 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shif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18789A (en) Editing method of character for cellular phone
JP5352417B2 (en) Electronic device and application startup method
KR20030032332A (en)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