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560A - 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shif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shif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560A
KR20050022560A KR1020030057529A KR20030057529A KR20050022560A KR 20050022560 A KR20050022560 A KR 20050022560A KR 1020030057529 A KR1020030057529 A KR 1020030057529A KR 20030057529 A KR20030057529 A KR 20030057529A KR 20050022560 A KR20050022560 A KR 20050022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button
character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범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57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2560A/en
Publication of KR20050022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56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shift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less press by using the shift key while inputting characters, thereby raising convenience and utility of a character inputting method. CONSTITUTION: In a state of a character input mode(301), if a control unit perceives a press by a key input(302), the control unit confirms whether a key input prior to the current key input is performed by a shift key(303). If not, the current input key is processed through an existing key input method(304). If a key input prior to the current key input is performed by a shift key button 1(305), the current input key is perceived as the second allocated character(306), and processed through an existing key input method(304). If a key input prior to the current key input is performed by a shift key button 2(307), the current input key is perceived as the third allocated character(308), and processed through an existing key input method(304).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환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shif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shif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환키(shift key)를 사용하여 문자 입력시 적은 회수의 키 누름으로 문자 입력 방식의 간편화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simplicity and utiliz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by using a small number of key presses during character input using a shift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서 문자 입력 방식은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한 표현에 불과할 뿐, 실제 단말기 상에서는 이의 표시 행위를 기준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xt input method is merely an express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osition, and is based on its display behavior on an actual terminal.

현재, 이동통신 호출기로부터 시작하여 셀룰라 폰(cellular phone), 개인휴대전화기(PCS)를 거쳐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기반의 이동통신까지 최근 몇 년 사이에 이동통신 환경은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전과 함께 단말기를 통해 가능한 부가 서비스에 대한 모색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Nowadays, from mobile pagers to cellular phones, personal mobile phones (PCS),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and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based mobile communications in recent years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developing at a tremendous speed, and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search for additional services available through the terminals is actively being developed.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중화되고 기능이 많아짐에 따라 단말기에 저장하는 정보의 양이 많아지고 단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사용률은 예전의 10대와 20대 뿐만 아니라 여러 연령층으로 확대되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메일 보내기와 포토메일 기능도 첨가되어 단말기에 문자 입력의 사용률은 갈수록 증대될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그에 따라 널리 사용하게 될 문자 입력을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사용자가 이용하도록 하려면, 사용자가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식이 필요하다. In particular,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come more popular and have more functions, the amount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s increases, and the use rate of short message service (SMS) has expanded to various age groups as well as teenagers and 20s. . In addition, the mail sending and photomail functions are also added, and the usage rate of the text input to the terminal is expected to increase. Accordingly, in order for a user to efficiently and simply use a character input that will be widely used accordingly, a character input method that can be easily input by the user is required.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키패드의 버튼을 수회 눌러서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구조상 문자의 수와 키 버튼(button)의 수가 같지 않아서 여러 문자를 하나의 키 버튼으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Nevertheless,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user presses a button of a keypad several times in order to input characters.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characters and the number of key buttons are not the same in the keypad structure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several characters are represented by one key button.

그럼,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키패드의 기본 배치 구조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종래 문자 입력 방식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Then, the basic layout structure of a general keypa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based on this,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will be described.

숫자 "1"에 할당된 키 버튼에는, 한글 자음 "ㄱ", "ㅋ" 및 "ㄲ", 영문 알파벳 "Q" 및 "Z", 기호 "."이 할당된다. To the key buttons assigned to the numeral "1", the Korean consonants "ㄱ", "ㅋ" and "ㄲ", the English alphabet "Q" and "Z", and the symbol "." Are assigned.

숫자 "2"에 할당된 키 버튼에는, 한글 모음 "ㅡ", "ㅣ" 및 "ㅢ", 영문 알파벳 "A", "B" 및 "C"가 할당된다. To the key button assigned to the number "2", the Korean vowels "-", "|" and "ㅢ", the English alphabet "A", "B" and "C" are assigned.

숫자 "3"에 할당된 키 버튼에는, 한글 모음 "ㅏ" 및 "ㅑ", 영문 알파벳 "D", "E" 및 "F"가 할당된다. To the key buttons assigned to the numeral "3", the Korean vowels "ㅏ" and "ㅑ", the English alphabet "D", "E" and "F" are assigned.

숫자 "4"에 할당된 키 버튼에는, 한글 자음 "ㄷ", "ㅌ" 및 "ㄸ", 영문 알파벳 "G", "H" 및 "I"가 할당된다. To the key buttons assigned to the numeral "4", the Korean consonants "c", "ㅌ" and "ㄸ", the English alphabets "G", "H" and "I" are assigned.

숫자 "5"에 할당된 키 버튼에는, 한글 자음 "ㄴ" 및 "ㄹ", 영문 알파벳 "J", "K" 및 "L"이 할당된다. To the key buttons assigned to the number " 5 ", Korean consonants "b " and " d ", English alphabets " J ", " K " and " L "

숫자 "6"에 할당된 키 버튼에는, 한글 모음 "ㅓ" 및 "ㅕ", 영문 알파벳 "M", "N" 및 "O"가 할당된다. To the key buttons assigned to the numeral "6", the Korean vowels "ㅓ" and "ㅕ", the English alphabets "M", "N" and "O" are assigned.

숫자 "7"에 할당된 키 버튼에는, 한글 자음 "ㅁ", "ㅅ" 및 "ㅆ", 영문 알파벳 "P", "R" 및 "S"가 할당된다. To the key buttons assigned to the numeral "7", Korean consonants "ㅁ", "ㅅ" and "ㅆ", the English alphabet "P", "R" and "S" are assigned.

숫자 "8"에 할당된 키 버튼에는, 한글 자음 "ㅂ", "ㅍ" 및 "ㅃ", 영문 알파벳 "T", "U" 및 "V"가 할당된다. To the key buttons assigned to the number " 8 ", Korean consonants " ㅂ ", " " and " ㅃ ", the English alphabets " T ", " U " and " V "

숫자 "9"에 할당된 키 버튼에는, 한글 모음 "ㅗ" 및 "ㅛ", 영문 알파벳 "W", "X" 및 "Y"가 할당된다. To the key buttons assigned to the numeral "9", the Korean vowels "모음" and "ㅛ", the English alphabet "W", "X" and "Y" are assigned.

숫자 "0"에 할당된 키 버튼에는, 한글 자음 "ㅇ" 및 "ㅎ"이 할당된다. The Hangul consonants "ㅇ" and "ㅎ" are assigned to the key button assigned to the number "0".

기호 "*"에 할당된 키 버튼에는, 한글 자음 "ㅈ", "ㅊ" 및 "ㅉ"이 할당된다. The Korean consonants "ㅈ", "ㅊ" and "ㅉ" are assigned to the key button assigned to the symbol "*".

마지막으로, 기호 "#"에 할당된 키 버튼에는, 한글 모음 "ㅜ" 및 "ㅠ"가 할당된다. Finally, the Hangul vowels "TT" and "ㅠ" are assigned to the key button assigned to the symbol "#".

이와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숫자 "1"이 할당된 키 버튼에 기본 자음 "ㄱ", 거센소리 자음 "ㅋ", 된소리 자음 "ㄲ"이 함께 할당되어 있어, 키 버튼의 순차적인 누름에 따라 "ㄱ→ㅋ→ㄲ→ㄱ"으로 순환된다. 따라서, 만약 된소리 자음 "ㄲ"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3번의 입력 키 누름이 필요하다.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described above, the basic consonant "ㄱ", the rough consonant "ㅋ", and the old consonant "ㄲ" are assigned to the key button to which the number "1" is assigned, and according to the sequential pressing of the key button. It is circulated as "ㄱ → ㅋ → ㄲ → ㄱ". Therefore, if you want to select the consonant "ㄲ", it is necessary to press three input keys.

예를 들면,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에 따라 한글 문자 "날짜"를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8번(즉, "5,3,5,5 + *,*,*,3")의 입력 키 누름이 필요하다. For example, in the structure of a keypad as shown in FIG. 1, when a Korean character "date" is to be writte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the number 8 (that is, "5,3,5,5 + *, * Press the *, 3 ") input key.

한편,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에 따라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영어 문자 "SCHOOL"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18번(즉, "7,7,7 + 2,2,2 + 4,4 + 6,6,6 + 커서이동키 + 6,6,6 + 5,5,5")의 입력 키 누름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ure 1, if you want to write the English character "SCHOOL" on the assumption that the case is not case-sensitiv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18 (ie, "7,7, 7 + 2,2,2 + 4,4 + 6,6,6 + cursor movement key + 6,6,6 + 5,5,5 ").

이처럼, 기본적으로 키 패드 구조상 문자의 수와 키 버튼(button)의 수가 같지 않아서 여러 문자를 하나의 키 버튼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에 따르면 키 입력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number of characters and the number of key buttons are not the same in the key pad structure, several characters are represented by one key button, an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key inpu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환키(shift key)를 사용하여 문자 입력시 적은 회수의 키 누름으로 문자 입력 방식의 간편화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haracter input to increase the ease and utiliz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by a small number of key presses when the character input using the shift key (shift ke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입력키 중 적어도 두 개를 변환키(shift key)로 동작되도록 설정하는 제 1 단계; 현재 입력키의 눌림 감지시에, 상기 현재 입력키 바로 이전 키로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이 있었는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입력키 바로 이전 키로서 제1 변환키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현재 입력키를 상기 현재 입력키의 두 번째 할당 문자로 인식하여 공지의 키 입력 방식에 따라 처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입력키 바로 이전 키로서 제2 변환키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현재 입력키를 상기 현재 입력키의 세 번째 할당 문자로 인식하여 공지의 키 입력 방식에 따라 처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irst step of setting at least two of input keys to operate as a shift key in a character input mode; A second step of, upon detecting a press of a current input key, check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two conversion keys has been input as a key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input key;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hecking of the second step, when a first conversion key is input as a key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input key, the current input key is recognized as the second assigned character of the current input key and a known key input method. Processing according to the third step; And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version key being input as a key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input key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of the second step, recognizing the current input key as the third assigned character of the current input key and inputting a known key. And a fourth step of processing according to the method.

본 발명은 한글 혹은 영어 문자 작성시 하나의 버튼(예를 들면, 숫자 "2" 키 버튼에 한글 모음 "ㅡ", "ㅣ" 및 "ㅢ", 영문 알파벳 "A", "B" 및 "C"가 할당됨)에 여러 문자가 설정되어 있어 한 버튼을 여러 번 누르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변환키(shift key)를 이용한다. 통상 하나의 버튼이 한글 혹은 영어 문자 최대 3개 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첫 번째 문자를 기본으로 하고, 나머지 두 번째 및 세 번째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변환키(shift key)를 2개 사용한다. 이는 단말기 키패드와 같이 입력하려는 문자보다 버튼의 수가 적을 경우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writing Korean or English characters, one button (for example, the Korean alphabet vowels "ㅡ", "ㅣ" and "ㅢ" in the number "2" key button, the English alphabet "A", "B" and "C" "Is assigned", so use a shift key to avoid pressing a button multiple times. Since one button usually represents up to three Korean or English characters, the first character is used as the basis, and two shift keys are used to select the second and third characters. This may be more useful when the number of buttons is smaller than a character to be input, such as a terminal keypad.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의 제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이루게 된다. The controller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controls the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n, control of various components provided is achieved.

음성 메모리(11)는 각종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voice memory 11 stores various voice data.

메모리(12)에는 제어부(1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메모리(12)는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The memory 12 stores an operation program and a system program of the controller 10, and the operation program and the system program are usually stored in a ROM area included therein and can be erased as necessary. Electrically erasable ROMs include EEPROM and flash memory. The memory 12 also includes a RAM that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various operating programs.

특히, 메모리(12)에는 본 발명의 변환키(shift key)에 의한 문자 입력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In particular, the memory 12 stores a character input program by a shift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키 입력부(13)는 다수의 숫자키(문자키)와 메뉴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 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키 입력부(13)는 문자 입력시의 변환키(shift key) 버튼1,2를 구비하는데, 이 변환키(shift key) 버튼1,2로 기존 키패드 중 문자 메시지 작성 중 사용되지 않는 버튼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환키(shift key) 버튼1,2의 위치로, 문자 메시지 작성 중 사용되지 않는 전화번호부와 문자 메시지 바로가기 버튼을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외 기존 키패드 중 문자 메시지 작성 중 사용되지 않는 버튼을 변환키(shift key) 버튼1,2로 지정해 둘 수도 있으며, 단말기 상에 별도의 키를 새로 부가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비록, 메뉴의 기능을 인덱스로 하여 메인 메뉴 및 그의 서브 메뉴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키 입력의 회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존 키패드 버튼 중 문자 메시지 작성 중 사용되지 않는 버튼 혹은 별도의 키 버튼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별도의 키 버튼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문자 메시지 작성 중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좌 하단에 변환키(shift key) 버튼1을, 우 하단에 변환키(shift key) 버튼2를 별도로 설정해 둘 수 있고, 혹은 좌 상단에 변환키(shift key) 버튼1을, 우 상단에 변환키(shift key) 버튼2를 별도로 설정해 둘 수도 있다. The key input unit 13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letter keys), menu keys, and function key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nd outputs key data to the controller 10 by external operations. In particular, the key input unit 13 includes shift key buttons 1 and 2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the shift key buttons 1 and 2 are used for a button which is not used during the creation of a text message among existing keypads. Can be specified. For example, as a position of the shift key buttons 1 and 2, a phone book and a text message shortcut button which are not used during the writing of the text message can be designated.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ate a button not used during text message writing among the existing keypads as shift key buttons 1 and 2, and add a new key on the terminal. Although the menu function can be configured as a main menu and its submenus as an index, it is preferable to set a button that is not used during text message writing or a separate key button among existing keypad buttons to reduce the number of key inputs. Do. In this case, when setting a separate key button, a shift key button 1 can be set at the bottom left and a shift key button 2 at the bottom right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during text message writing. Alternatively, a shift key button 1 may be set at the upper left and a shift key button 2 at the upper right.

표시부(14)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등을 표시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4 i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display unit 1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 to display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progress of the program. That is, the overall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put user information are displayed.

따라서, 제어부(10)는 키 입력부(13)에 의한 사용자의 문자 입력 요구에 따라 해당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메모리(12)로부터 독출하여,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조합하여 표시부(14)에 표시한다. 즉, 키 입력부(13)는 통상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숫자키(문자키)와 기능키 등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절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구비된 각 키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키 각각에 있어 해당되는 고유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부(10)로 전달함으로써, 제어부(10)에서 해당 키 입력에 따른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메모리(12)에서 독출하여,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키 입력부(13)의 키 입력 동작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조합하여 표시부(14)에 표시하게 된다. Therefore, the control unit 10 reads ou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program from the memory 12 according to the user's character input request by the key input unit 13, and displays the characters input by the user's key operation based on the character input program. Combin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That is, the key input unit 13 is a conventional user information input mean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suitab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applied, such a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letter keys) and function keys, and if there is an input of each of the provided keys, By outputting the unique key data corresponding to each input key to the control unit 10, the control unit 10 reads the character input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from the memory 12, and based on the character input program. Characters, numbers, symbols, and the like inputted through the key input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13 are combin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RF부(15)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15)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RF unit 1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 and converts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 into a radio signal. In addition, the RF unit 15 converts the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a desired signal and outputs it.

착신음 발생부(16)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발생한다. The ring tone generator 16 generates a ring tone through the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음성처리부(17)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5)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음성 메모리(11)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The voice processor 17 modulate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convert the voice signal into voice data, demodulates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RF unit 15 and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voice memory 11 into voice signals. Sound is output through a speaker.

특히, 기본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는 하나의 키 버튼에 여러 문자가 설정(예를 들면, 숫자 "2" 버튼에 한글 모음 "ㅡ", "ㅣ" 및 "ㅢ", 영문 알파벳 "A", "B" 및 "C"가 할당됨)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의 키 입력부(13) 중 변환키(shift key) 버튼1은 문자 입력 모드에서 한글 혹은 영어 모드에서 두 번째 할당되어 있는 문자(예를 들면, 숫자 "2" 버튼의 경우 한글 모음 "ㅣ" 혹은 영문 알파벳 "B")를 지정할 때 사용되고, 변환키(shift key) 버튼2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한글 혹은 영어 모드에서 세 번째 할당되어 있는 문자(예를 들면, 숫자 "2" 버튼의 경우 한글 모음 "ㅢ" 혹은 영문 알파벳 "C")를 지정할 때 사용된다. In particular,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asically set a number of characters on one key button (for example, the Korean vowels "ㅡ", "ㅣ" and "ㅢ", the English alphabet "A", Since " B " and " C " are assigned, the shift key button 1 of the key input unit 13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cond assigned character in the Korean or English mode in the character input mode (for example, For example, the number "2" button is used to specify the Korean vowel "ㅣ" or the English alphabet "B"), and the shift key button 2 is assigned a third time in the Korean or English mode in the character input mode. Used to specify a character (for example, the Korean vowel "ㅢ" or the English alphabet "C" for the number "2" button).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숫자 "1"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ㄱ" 혹은 영문 모드에서 기호 "."를 의미하고, (변환키(shift key) 버튼1 + 숫자 "1"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ㅋ"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Q"를 의미하며, (변환키(shift key) 버튼2 + 숫자 "1"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ㄲ"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Z"를 의미한다.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the (number "1" button) means the Korean consonant "a" in the Korean mode or the symbol "." In the English mode, and (shift key button 1 + number "). 1 "button) means Hangul consonant" ㅋ "in Hangul mode or the English alphabet" Q "in English mode, and (shift key button 2 + number" 1 "button) means Hangul consonant" 한글 "in Hangul mode. Or "Z" in English mode.

또한,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숫자 "2"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모음 "ㅣ"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A"를 의미하고, (변환키(shift key) 버튼1 + 숫자 "2"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모음 "ㅡ"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B"를 의미하며, (변환키(shift key) 버튼2 + 숫자 "2"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모음 "ㅢ"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C"를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the (number "2" button) means the Korean vowel "ㅣ" in the Korean mode or the English alphabet "A" in the English mode, and (shift key button 1). + Number "2" button) means Korean vowel "ㅡ" in Korean mode or English letter "B" in English mode, (shift key button 2 + number "2" button) in Korean mode The vowel "ㅢ" or the English alphabet "C" in English mode.

또한,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숫자 "3"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모음 "ㅏ"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D"를 의미하고, (변환키(shift key) 버튼1 + 숫자 "3"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모음 "ㅑ"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E"를 의미하며, (변환키(shift key) 버튼2 + 숫자 "3" 버튼)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F"를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number "3" button) means the Korean vowel "ㅏ" in the Korean mode or the English alphabet "D" in the English mode, and (shift key button 1). + Number "3" button) means Korean vowel "ㅑ" in Korean mode or the English alphabet "E" in English mode, and (shift key button 2 + number "3" button) in English mode Means the alphabet "F".

또한,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숫자 "4"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ㄷ"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G"를 의미하고, (변환키(shift key) 버튼1 + 숫자 "4"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ㅌ"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H"를 의미하며, (변환키(shift key) 버튼2 + 숫자 "4"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ㄸ"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I"를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number "4" button) means Korean consonant "c" in Korean mode or English alphabet "G" in English mode, and (shift key button 1). + Number "4" button) means Korean consonant "ㅌ" in Korean mode or English letter "H" in English mode, and (shift key button 2 + number "4" button) in Korean mode Consonant "ㄸ" or English letter "I" in English mode.

또한,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숫자 "5"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ㄴ"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J"를 의미하고, (변환키(shift key) 버튼1 + 숫자 "5"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ㄹ"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K"를 의미하며, (변환키(shift key) 버튼2 + 숫자 "5" 버튼)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L"를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number "5" button) means Korean consonant "n" in Korean mode or English alphabet "J" in English mode, and (shift key button 1). + Number "5" button) means Korean consonant "ㄹ" in Korean mode or English alphabet "K" in English mode, (shift key button 2 + number "5" button) in English mode Means the letter "L".

또한,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숫자 "6"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모음 "ㅓ"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M"를 의미하고, (변환키(shift key) 버튼1 + 숫자 "6"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모음 "ㅕ"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N"를 의미하며, (변환키(shift key) 버튼2 + 숫자 "6" 버튼)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O"를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number "6" button) means the Korean vowel "ㅓ" in the Korean mode or the English alphabet "M" in the English mode, and (shift key button 1). + Number "6" button) means Korean vowel "ㅕ" in Korean mode or English alphabet "N" in English mode, (shift key button 2 + number "6" button) in English mode Means the alphabet "O".

또한,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숫자 "7"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ㅁ"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P"를 의미하고, (변환키(shift key) 버튼1 + 숫자 "7"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ㅅ"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R"를 의미하며, (변환키(shift key) 버튼2 + 숫자 "7"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ㅆ"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S"를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number "7" button) means Korean consonant "ㅁ" in Korean mode or English alphabet "P" in English mode, and (shift key button 1). + Number "7" button) means Korean consonant "ㅅ" in Korean mode or English alphabet "R" in English mode, (shift key button 2 + number "7" button) in Korean mode Consonant "ㅆ" or English letter "S" in English mode.

또한,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숫자 "8"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ㅂ"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T"를 의미하고, (변환키(shift key) 버튼1 + 숫자 "8"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ㅍ"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U"를 의미하며, (변환키(shift key) 버튼2 + 숫자 "8"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ㅃ"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V"를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the (number "8" button) means the Korean consonant "ㅂ" in the Korean mode or the English alphabet "T" in the English mode, and (shift key button 1). + Number "8" button) means Korean consonant "" "in Korean mode or English alphabet" U "in English mode, and (shift key button 2 + number" 8 "button) in Korean mode Consonant "ㅃ" or English letter "V" in English mode.

또한,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숫자 "9"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모음 "ㅗ"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W"를 의미하고, (변환키(shift key) 버튼1 + 숫자 "9"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모음 "ㅛ" 혹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X"를 의미하며, (변환키(shift key) 버튼2 + 숫자 "9" 버튼)은 영문 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Y"를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number "9" button) means the Korean vowel "ㅗ" in the Korean mode or the English alphabet "W" in the English mode, and (shift key button 1). + Number "9" button) means Korean vowel "ㅛ" in Korean mode or English alphabet "X" in English mode, (shift key button 2 + number "9" button) in English mode Means the letter "Y".

또한,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숫자 "0"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ㅇ"를 의미하고, (변환키(shift key) 버튼1 + 숫자 "0"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ㅎ"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number "0" button) means Hangul consonant "ㅇ" in Hangul mode, and (shift key button 1 + number "0" button) means Hangul. Hangul consonant "ㅎ" in the mode.

또한,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기호 "*"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ㅈ"을 의미하고, (변환키(shift key) 버튼1 + 기호 "*"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ㅊ"을 의미하며, (변환키(shift key) 버튼2 + 기호 "*"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자음 "ㅉ"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symbol "*" button) means Hangul consonant "ㅈ" in Hangul mode, and (shift key button 1 + sign "*" button) means Hangul. The Korean consonant "음" in the mode means (shift key button 2 + "*" button) means the Korean consonant "ㅉ" in the Korean mode.

마지막으로,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기호 "#"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모음 "ㅜ"를 의미하고, (변환키(shift key) 버튼1 + 기호 "#" 버튼)은 한글 모드에서 한글 모음 "ㅠ"를 의미한다.Finally,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symbol "#" button) means Hangul vowel "TT" in Hangul mode, and (shift key button 1 + sign "#" button) In Hangul mode, the Hangul vowel means "ㅠ".

상기 (변환키(shift key) 버튼 + 숫자 혹은 기호 버튼)의 의미는 변환키(shift key)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숫자 혹은 기호 버튼을 누르거나, 변환키(shift key) 버튼을 누른후 숫자 혹은 기호 버튼을 누르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meaning of the (shift key button + number or symbol button) means that the number or symbol is pressed while the shift key button is pressed, or the shift key button is pressed. This includes pressing a button.

상기 변환키(shift key) 버튼1,2는 기존에 쓰던 문자 입력 방식을 그대로 두고 기능만 추가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한글에서 종성과 다음의 초성이 같은 버튼에 있을 경우 또는 영문에서 같은 알파벳이 연속해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굳이 커서 이동키를 누르지 않음으로써 기존의 문자 입력 방식보다 적은 키 입력을 이룰 수 있다. The shift key buttons 1 and 2 can be selected by the user by adding a function while leaving the existing character input method intact. Even when the same alphabet is used continuously, fewer key inputs can be achieved than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by not pressing the cursor movement key.

따라서,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식에 따라 한글 문자 "날짜"를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7번(즉, "5,3,변환키(shift key) 버튼1,5 + *,변환키(shift key) 버튼2,*,3")의 입력 키 누름이 필요하다. Therefore,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when the Korean character "date" is to be written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7 (that is, "5, 3, shift key button 1) Press the input key of the shift key buttons 2, *, 3 ").

또한, 도 1과 같은 키패드의 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식에 따라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영어 문자 "SCHOOL"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12번(즉, "변환키(shift key) 버튼2,7 + 변환키(shift key) 버튼,2 + 변환키(shift key) 버튼14 + 변환키(shift key) 버튼2,6 + 변환키(shift key) 버튼2,6 + 변환키(shift key) 버튼2,5")의 입력 키 누름이 필요하다.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1, when the English character "SCHOOL" is to be prepar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haracter case is not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12 (that is, "conversion key ( shift key button 2,7 + shift key button, 2 + shift key button 14 + shift key button 2,6 + shift key button 2,6 + shift Pressing the input key of the shift key buttons 2 and 5 "

이처럼, 본 발명은 변환키(shift key) 버튼1,2를 이용하여 한글/영어 문자를 쉽고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and simple to input Korean / English characters using the shift key buttons 1,2.

그럼, 도 3을 참조하여 변환키(shift key)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Next,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shift ke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변환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conversio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문자메시지 작성, 메일 작성, 스케쥴 작성 등의 문자 입력 모드 상태에서(301), 제어부(10)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눌림을 감지하면(302), 바로 현재 키 바로 이전의 키 입력이 변환키(shift key)에 의한 키 눌림이 있었는지를 확인한다(303).First, in a text input mode state such as writing a text message, writing a mail, or writing a schedule (301), if the control unit 10 detects a press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302), a key input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key is input.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key press by the shift key (303).

확인 결과, 현재 키 바로 이전 키 입력이 변환키(shift key)에 의한 입력이 아니면, 즉 일반 숫자 혹은 기호 키 버튼에 의한 입력이 있으면 현재 입력 키를 공지의 키 입력 방식에 따라 처리한다(304).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key input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key is not an input by a shift key, that is, when there is an input by a general numeric or symbol key button, the current input key is processed according to a known key input method (304). .

확인 결과, 현재 키 바로 이전 키 입력이 변환키(shift key) 버튼1에 의한 입력이면, 현재 입력키를 현재 입력키의 두 번째 할당 문자로 인식하여(305,306), 공지의 키 입력 방식에 따라 처리한다(304). 즉, 현재 입력키로 숫자 "2" 버튼가 눌린 경우, 바로 이전 키 입력으로서 변환키(shift key) 버튼1의 입력이 있으면, 문자 입력 모드에서 한글 혹은 영어 모드에서 두 번째 할당되어 있는 문자(한글 모음 "ㅣ" 혹은 영문 알파벳 "B")로 인식하여 처리한다.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key input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key is input by the shift key button 1, the current input key is recognized as the second assigned character of the current input key (305, 306) and processed according to a known key input method. (304) That is, when the number "2" button is pressed with the current input key, and if there is an input of the shift key button 1 as the previous key input, the second assigned character (Hangul Vowel " "Or the English alphabet" B ").

확인 결과, 현재 키 바로 이전 키 입력이 변환키(shift key) 버튼2에 의한 입력이면, 현재 입력키를 현재 입력키의 세 번째 할당 문자로 인식하여(307,308), 공지의 키 입력 방식에 따라 처리한다(304). 즉, 현재 입력키로 숫자 "2" 버튼가 눌린 경우, 바로 이전 키 입력으로서 변환키(shift key) 버튼2의 입력이 있으면, 문자 입력 모드에서 한글 혹은 영어 모드에서 세 번째 할당되어 있는 문자(한글 모음 "ㅢ" 혹은 영문 알파벳 "C")로 인식하여 처리한다.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key input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key is input by the shift key button 2, the current input key is recognized as the third assigned character of the current input key (307,308) and processed according to a known key input method. (304) That is, when the number "2" button is pressed with the current input key, if there is an input of the shift key button 2 as the previous key input, the third character (Korean character " ㅢ "or the English letter" C ").

이러한 과정은 문자 입력 모드 상태(301)에서 언제든지 가능하다(302~309).This process is possible at any time in the text input mode state 301 (302 ~ 309).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환키(shift key)를 사용하여 문자 입력시 적은 회수의 키 누름으로도 문자 입력 방식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어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input method can be simplified even with a small number of key presses during the character input using a shift ke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increasing its utilization. .

도 1 은 일반적인 키패드를 나타낸 배치 예시도.1 is an exemplary layout showing a typical keypad.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변환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Figure 3 is a flow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onversio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 제어부 11 : 음성 메모리10 control unit 11: voice memory

12 : 메모리 13 : 키 입력부12: memory 13: key input

14 : 표시부(LCD) 15 : RF부14: LCD 15: RF

16 : 착신음 발생부 17 : 음성 처리부 16: ring tone generator 17: voice processing unit

Claims (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In the text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문자 입력 모드에서, 입력키 중 적어도 두 개를 변환키(shift key)로 동작되도록 설정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setting at least two of the input keys to operate as a shift key in the character input mode; 현재 입력키의 눌림 감지시에, 상기 현재 입력키 바로 이전 키로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이 있었는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A second step of, upon detecting a press of a current input key, check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two conversion keys has been input as a key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input key;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입력키 바로 이전 키로서 제1 변환키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현재 입력키를 상기 현재 입력키의 두 번째 할당 문자로 인식하여 공지의 키 입력 방식에 따라 처리하는 제 3 단계; 및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hecking of the second step, when a first conversion key is input as a key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input key, the current input key is recognized as the second assigned character of the current input key and a known key input method. Processing according to the third step; And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입력키 바로 이전 키로서 제2 변환키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현재 입력키를 상기 현재 입력키의 세 번째 할당 문자로 인식하여 공지의 키 입력 방식에 따라 처리하는 제 4 단계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hecking of the second step, when a second conversion key is input as a key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input key, the current input key is recognized as the third assigned character of the current input key and a known key input method. 4th step to process according to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환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conversion ke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변환키 버튼의 위치로,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rsion key button, 공지의 입력키 버튼 중, 문자 메시지 작성 중 사용되지 않는 전화번호부와 문자 메시지 바로가기 버튼을 지정하거나, Among the well-known input key buttons, designate phone book and text message shortcut buttons not used during text message creation, 단말기 상에 별도의 키로서, 좌우 하단 혹은 좌우 상단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환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onversion ke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key on the terminal, which is add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or upper left and right.
KR1020030057529A 2003-08-20 2003-08-20 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shif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225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529A KR20050022560A (en) 2003-08-20 2003-08-20 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shif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529A KR20050022560A (en) 2003-08-20 2003-08-20 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shif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560A true KR20050022560A (en) 2005-03-08

Family

ID=3723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529A KR20050022560A (en) 2003-08-20 2003-08-20 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shif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256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9260A1 (en) * 2008-02-05 2009-08-13 Yoon-Jung Choi Inputt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1025200A2 (en) * 2009-08-23 2011-03-03 (주)티피다시아이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extension key
WO2012115492A2 (en) * 2011-02-27 2012-08-30 Park Taeun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an extension ke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9260A1 (en) * 2008-02-05 2009-08-13 Yoon-Jung Choi Inputt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1025200A2 (en) * 2009-08-23 2011-03-03 (주)티피다시아이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extension key
WO2011025200A3 (en) * 2009-08-23 2011-07-07 (주)티피다시아이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extension key
US10936086B2 (en) 2009-08-23 2021-03-02 Tp-I Co., Ltd.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WO2012115492A2 (en) * 2011-02-27 2012-08-30 Park Taeun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an extension key
WO2012115492A3 (en) * 2011-02-27 2012-12-27 Park Taeun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an extension key
CN103608751A (en) * 2011-02-27 2014-02-26 朴泰运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extension ke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1656B2 (en) Improved data input device
US200400677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tering text
US20060282583A1 (en) Phonetic input using a keypad
JP2002099379A (en) Improved data input device
JP20085335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ve text editing
KR1006513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y input in a personal device
GB2391654A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100883466B1 (en) Method for auto completion of special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KR20050022560A (en) 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shif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86944B1 (en)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KR20050110329A (en) Input device of character for mobilephone and the method thereof
JP2000276288A (en) Portable terminal
KR20050007677A (en) 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repetition ke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89190A (en)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KR1003534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code of portable phone
KR20040003092A (en)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KR100607256B1 (en) Character input method of correspond phone
KR20030094811A (en) Multi language input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91815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ey by using motion sensor
KR20030035403A (en) Device and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in Mobile Telephone
KR20040000052A (en)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by sense key and method thereof
KR20000020185A (en) Korean language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KR10142425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therefor
JP2009239872A (en) Input control method in external keyboard input of mobile phone
JP2001005589A (en) Key inputting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