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2231A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 and methods and protocols for use therein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 and methods and protocols for use ther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2231A
KR20070112231A KR1020077022448A KR20077022448A KR20070112231A KR 20070112231 A KR20070112231 A KR 20070112231A KR 1020077022448 A KR1020077022448 A KR 1020077022448A KR 20077022448 A KR20077022448 A KR 20077022448A KR 20070112231 A KR20070112231 A KR 20070112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ra
wla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4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포스톨리스 살킨트지스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2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2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200, 300) comprise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operably coupled to a private mobile radio system (160) and arranged such tha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2, 116) is capable of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private mobile radio system (160) over th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referably, the private mobile radio system is a TETRA system.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와, 그것에서의 사용을 위한 방법 및 프로토콜{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 AND METHODS AND PROTOCOLS FOR USE THEREIN}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 AND METHODS AND PROTOCOLS FOR USE THEREI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와, 그것에서의 사용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기술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 통신 시스템 내에서 WLAN 특징을 용이하게 하고 지원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and a method for use therei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echnology b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but is not limited to, facilitating and supporting WLAN features in TETRA (Terrestrial Trunked RAdio) communication systems.

지난 수년에 걸쳐, 무선 통신의 발전은 극적이었다. 다수의 무선 통신은, 모든 통신 유닛들이 특정 통신 필드에서 동일한 레벨의 성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이한 제조업자들 간의 통신의 상호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표준화되어 왔다. 이러한 빠른 발전 및 표준화를 겪기 위한 하나의 기술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이다. WLAN의 목적은 100Mbps 보다 빠른 비트 속도에서의 무선 연결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WLAN은 또한 향상된 보안, 향상된 이동성 관리, 셀룰러 네트워크와의 상호-동작 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WLAN 기술은 향후 수년간 무선 데이터 시장에서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Over the years,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s has been dramatic. Many wireless communications have been standardized so that not only all communication units provide the same level of performance in a particular communication field, but also facilitate the interopera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manufacturers. One technique for undergoing this rapid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i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he purpose of a WLAN is to provide wireless connectivity at bit rates faster than 100 Mbps. WLANs also provide improved security, improved mobility management, inter-operation with cellular networks, and the like. Thus, WLAN technology i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the wireless data market for years to come.

더욱이, WLAN는 보증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를 제공하도록 현재 향상되고 있으며, 이는 IEEE 표준 802.11e/D6.0, "파트 Ⅱ: 무선 매체 액세스 제어(MAC) 및 물리층(PHY) 명세: MAC QoS 향상"(2003년 11월)에서 볼 수 있다. 이는 음성 및 비디오용 WLAN 솔루션이 데이터 시장에서 빠르게 생성되는 추가적 이유이다.Moreover, WLANs are currently being enhanced to provide guaranteed quality of service (QoS), which is an IEEE standard 802.11e / D6.0, "Part II: Wireless Media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 : MAC QoS Enhancements "(November 2003). This is an additional reason why WLAN solutions for voice and video are quickly created in the data market.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셀룰러 텔레포니 또는 사설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 링크가 복수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을 포함하는 시스템 기반구조와 복수의 가입자 유닛 또는 단말기(종종 이동국(mobile station; MS)으로 언급됨) 간에 정렬되도록 제공한다. 존/셀-기반(zone/cell-base)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는 TETRA 시스템이며, 이는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에 의해 정의된 TETRA 표준 및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시스템이다. TETRA 장치에 대한 주요 초점은, TETRA가 급파(dispatch) 및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비상 서비가 된다는 것이다. TETRA 시스템의 시스템 기반구조는 포괄적으로 스위칭 및 관리 기반구조(SwMI)로 언급되며, 이는 실질적으로 MS로부터 떨어져 있는 통신 구성요소 모두를 포함한다.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g., cellular telephony or private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system infrastructure i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transceiver stations and a plurality of subscriber units or terminals (often a mobile station). ; Referred to as MS)). An example of a zone / cell-bas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the TETRA system, which operates according to the TETRA standards and protocols defined by the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ETSI). The main focus for TETRA devices is that they are emergency services because TETRA provides dispatch and control services. The system infrastructure of the TETRA system is referred to generically as the Switching and Management Infrastructure (SwMI), which includes substantially all of the communication components away from the MS.

통신 네트워크는 기반구조와 MS 간의(또는 기반구조를 통한 MS들 간의) 정보의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이러한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알려진 형태이다. 특히, 정보는 스피치(speech), 사운드, 데이터, 화상 또는 비디오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데이터 정보는 주로 손으로 쓰인 단어, 숫자 등을 나타내는 디지털 정보(즉, 개인용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사용자 정보의 유형)이다. 추가로, 시그널링 메시지가 전달된다. 이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가 TETRA와 같은 선택된 산업적 프로토콜에 따라 전달되는 방식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자체에 관련된 메시지이다. 상이한 채널을 사용하여 상이한 형태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provide wireless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the infrastructure and the MS (or between MSs through the infrastructure), which information is any known form in which such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may represent speech, sound, data, picture or video information. Data information is primarily digital information (ie, the type of user information processed on a personal computer) representing handwritten words, numbers, and the like. In addition, signaling messages are delivered. These are messag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system itself, for example for controlling how user information is conveyed in accordance with selected industrial protocols such as TETRA. Different channels can be used to convey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데이터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전송되도록, 통신 단말기 처리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통신 유닛에 주소가 할당되는데, 이 주소는 통신 브리지(bridge), 게이트웨이 및/또는 라우터에 의해 판독되어 데이터가 주소지정된 목적지 통신 유닛에 어떻게 전송되는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은 제한된 통신 자원의 사용을 최적화하도록 효율적이고 능률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현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가장 인기있는 프로토콜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이다.A communication terminal processing protocol is required so that data is transmitted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In general, an address is assigned to a communication unit, which is read by a communication bridge, gateway and / or router to determine how data is transmitted to an addressed destination communication unit. Such data transmission needs to be provided efficiently and efficiently to optimize the use of limited communication resources. Currently, the most popular protocol used to transmit data in communication systems is the Internet Protocol (IP).

IP는 전송층으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데이터 헤더를 추가한다. 결과의 데이터 패킷은 인터넷 다이어그램으로 알려져 있다. 다이어그램의 헤더는 목적지 및 소스(source) IP 주소, IP 프로토콜의 버전 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각각의 데이터 교환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업링크 채널 상에서 송신하는 것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다운링크 채널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TETRA 네트워크 내의 PDCH(Packet Data CHannel)는 동시에 몇 개의 MS를 서비스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PDCH의 자원은 통계적 다중송신 기반 상의 채널 상에서 MS들 간에 공유된다. 이는 무선 인터페이스 자원이 최적의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P adds a data header to the information conveyed from the transport layer. The resulting data packet is known as an internet diagram. The header of the diagram contains information such as the destination and source IP address and the version number of the IP protocol. Each data exchange typically includes transmitting one or more data packets on an uplink channel and transmitting one or more data packets on a downlink channel. A Packet Data CHannel (PDCH) in a TETRA network can serve several MSs at the same time. In this regard, the resources of the PDCH are shared between MSs on a channel on a statistical multicast basis. This allows air interface resources to be used in an optimal manner.

PDCH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되는 TETRA 알려진 시그널링 절차는, 우선 MS가 제어 시그널링 메시지를 주요로 송신하는 주 제어 채널(main control channel; MCCH)를 통해 PDCH에의 액세스 요구하도록 요구한다. SwMI에 의한 액세스 승인을 뒤따르고 MS에 적절한 시그널링 메시지를 송신하여, 그 후 시그널링 메시지의 수신에 의해 MS가 데이터 패킷이 교환되는 PDCH로 이동될 수 있다.The TETRA known signaling procedure used to access the PDCH first requires the MS to request access to the PDCH via a main control channel (MCCH), which primarily transmits a control signaling message. Following an access grant by SwMI and sending the appropriate signaling message to the MS, the MS can then be moved to the PDCH where data packets are exchanged by the receipt of the signaling message.

TETRA 패킷 데이터 통신에서, 물리 데이터 채널은 시스템 제어 시그널링 및 데이터 페이로드(payload; 사용자 전달 정보) 모두를 전달한다. 이들 주로 보다 높은 우선순위가 할당되는 제어 시그널링과 함께 2가지 유형의 트래픽에는 상이한 속성이 주어질 수 있다. TETRA 패킷 데이터 통신은 현재 최고 28.8kbits/sec에서 동작하는데, 이는 WLAN과 같은 몇몇의 다른 무선 통신 기술보다 상당히 느린 것이다.In TETRA packet data communication, the physical data channel carries both system control signaling and data payload (user delivery information). The two types of traffic can be given different attributes along with control signaling, which is primarily assigned higher priority. TETRA packet data communication is now at up to 28.8kbits / sec, which is considerably slower than some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WLAN.

따라서 발명자는 (전술된 단점/제한이 경감될 수 있는) TETRA-가능 통신 유닛에 제공되는 데이터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메커니즘 및 관련 장치, 방법 및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함을 인식한다.The inventors thus recognize that there is a need for improved mechanisms and associated apparatus, methods and communication protocols for improving the data rate provided to TETRA-capable communication units (where the disadvantages / limitations described above can be mitigated).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설 모바일 무선 시스템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무선 통신 유닛이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걸쳐 사설 모바일 무선 시스템과의 사설 모바일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operatively connected to a private mobile wireless system and configured to enable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private mobile wireless system ove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본 발명의 제2, 제3 및 제4 양태에 따라, 전술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및 TETRA 시스템 등의 사설 모바일 무선 시스템에 걸친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엑세스 게이트웨이(WAG), 상호동작 기능(InterWorking Function; IWF) 및 무선 단말기가 각각 제공된다.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third and four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onfigured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cross a private mobile wireless system such a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 TETRA system in the aforemention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 access gateway (WAG), an interworking function (IWF), and a wireless terminal are each provided.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라, WLAN 및 사설 모바일 무선 시스템에 걸쳐 동작할 수 있는 듀얼-모드 단말기(dual-mode terminal)에 의해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사설 모바일 무선 시스템 간에 통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식별된 특정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사용하여 WLAN과의 연관을 요구하는 듀얼-모드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WLAN을 통해 단말기로의 또는 단말기로부터의 사설 모바일 무선 통신을 라우팅하도록 터널을 생성하는 단계; 및 단말기로의 또는 단말기로부터의 통신을 라우팅하도록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할당된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할당된 주소에 응답하여 단말기로 또는 단말기로부터 패킷을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달된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mmunicating betwee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 private mobile wireless system by a dual-mode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across a WLAN and a private mobile wireless system. do.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a message from a dual-mode terminal requesting association with a WLAN using the identified particular service set identifier (SSID); Creating a tunnel to route private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to or from the terminal via a WLAN; And assigning an address to route communication to or from the terminal. The method includes extracting an assigned address; And processing the forwarded packet comprising routing the packet to or from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extracted assigned address.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라,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사설 모바일 무선 시스템 간의 전술된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ocol is provided for facilitating the aforementioned communication betwee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 private mobile wireless system.

본 발명의 추가적 특징은 종속 청구항에 정의된다.Further features of the invention are defined in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인 방식으로서 설명될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TETRA 스위칭 및 관리 기 반구조(SwMI)와 상호-동작하는 WLAN의 개요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LAN inter-operating with TETRA switching and management infrastructure (SwMI)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다양한 논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TETRA 스위칭 및 관리 기반구조(SwMI)와 상호-동작하는 WLAN의 추가적인 개요도.FIG. 2 is a further schematic diagram of a WLAN inter-operating with TETRA switching and management infrastructure (SwMI) including various logical interfaces. FIG.

도 3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터널링된 ToW 단말기들 간의 트래픽 흐름의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3 illustrates the mechanism of traffic flow between ToW terminals tunneled through an IP network.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oW 단말기의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도면.4 illustrates a protocol architecture of a ToW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WLAN 아키텍처를 통해 TETRA 내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패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5 illustrates a preferred packet structure for use within TETRA over WLAN architecture,

도 6은 D-SETUP 메시지를 포함하는, IWF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판 패킷(control-plane packet)의 바람직한 패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6 illustrates a preferred packet structure of a control-plane packet transmitted by the IWF, including a D-SETUP message.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WLAN 시스템에 걸친 TETRA의 예시적인 시그널링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7 and 8 illustrate an exemplary signaling flow of TETRA across a WLAN system,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요약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WLAN 기술을 사설 모바일 무선 시스템과 통합하도록 제안하는데, 사설 모바일 무선 시스템은 ETSI에 의해 정의된 TETRA 시스템 등이다. TETRA 스위칭 및 관리 기반구조(SwMI)와 상호 동작하는 WLAN 모두의 제안된 시스템 구조는 도 1의 개요도에 나타나 있다.In summar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integrate WLAN technology with a private mobile radio system, which is a TETRA system defined by ETSI and the like. The proposed system architecture of both WLANs interoperating with TETRA switching and management infrastructure (SwMI) is shown in the schematic diagram of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듀얼-모드 무선 통신 유닛을 제안한다. 듀얼-모드 동작은 TETRA와 같은 제1 사설(또는 공중) 모바일 무선 기술 및 제2 WLAN 기 술을 사용한다. 이하 ToW(TETRA over WLAN) 단말기(116)로 언급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는 WLAN 무선 인터페이스(115)를 거쳐 TETRA 스위칭 및 관리 기반구조(SwMI; 160)와 인터페이싱한다. 이는 종래의 TETRA 무선 인터페이스 및 통신 링크(135)에 걸처 종래의 TETRA 향상된 기반 송수신국(EBTS; 1354을 통해 TETRA SwMI(160)과 인터페이싱하는 종래의 TETRA 단말기(132)와 대비된다. 이에 따라, 듀얼-모드 TETRA 및 WLAN 지원된 단말기가 설명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ual-mod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ual-mode operation uses a first private (or air) mobile radio technology such as TETRA and a second WLAN technology.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TRA over WLAN (TOW) terminal 116, interfaces with a TETRA switching and management infrastructure (SwMI) 160 via a WLAN air interface 115. This is in contrast to a conventional TETRA terminal 132 that interfaces with the TETRA SwMI 160 via a conventional TETRA Enhanced Base Transceiver (EBTS) 1354 over a conventional TETRA air interface and communication link 135. Thus, dual Mode TETRA and WLAN supported terminals are described.

본 발명의 문맥에서, ToW 단말기(116)는 TETRA SwMI(160)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고 본원에 설명된 프로토콜 및 기능에 의해 TETRA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임의의 WLAN 단말기이다. ToW 단말기(116)는 특정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사용함으로써 WLAN에 연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oW terminal 116 is any WLAN terminal capable of interfacing with TETRA SwMI 160 and configured to use TETRA services by the protocol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ToW terminal 116 is preferably associated with a WLAN by using a specific service set identifier (SSID).

SSID의 바람직한 예는, "무선 LAN 매체 액세스 제어(MAC) 및 물리층(PHY) 명세"란 명칭의, IEEE 표준 802.11, 1999년 판에 설명되어 있다. 이 특정 SSID에 의해, WLAN은 ToW 단말기와 ToW가 아닌 단말기 사이를 구별하여, 상이한 라우팅 및/또는 액세스 제어 폴리시(policy)들을 적용할 수 있다.Preferred examples of SSIDs are described in IEEE Standard 802.11, 1999, entitled "Wireless LAN Media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 By this particular SSID, the WLAN can distinguish between ToW terminals and non-ToW terminals to apply different routing and / or access control policies.

WLAN은 ToW 단말기(116)에 대해 특정 라우팅 시행 폴리시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WLAN 터널은 Ft 터널을 통해 모든 ToW 단말기(116)로부터 상호동작 기능(IWF; 150)으로 패킷을 업링킹한다. 따라서, Ft 인터페이스는 WAG(142)와 IWF(150) 사이에서 동작하고, WAG(142)와 IWF(150) 사이에서 IP 네트워크(140)를 통해 IP 패킷을 터널링하는 터널링 스킴(tunnelling scheme)을 구현하도록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LAN preferably implements a specific routing enforcement policy for the ToW terminal 116. That is, the WLAN tunnel uplinks packets from all ToW terminals 116 to the Interoperation Function (IWF) 150 via the Ft tunnel. Thus, the Ft interface operates between the WAG 142 and the IWF 150 and implements a tunneling scheme for tunneling IP packets through the IP network 140 between the WAG 142 and the IWF 150. Is preferably used.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기술에 알려진 바와 같은 'Ft 터널'을 사용하지만, 예를 들어, IP 캡슐화, GRE 등의 임의의 가능한 터널링 스킴이 사용될 수 있었다는 것이 파악된다. IWF(150)가 빌린 선(leased line)을 통해 WAG(142)와 상호연결된 경우, 터널링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ToW 단말기(116)로부터 발생되는 패킷은 Ft 터널을 통해 IWF(150)에 라우팅된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 uses a 'Ft tunnel' as known in the art, it is understood that any possible tunneling scheme could be used, for example IP encapsulation, GRE, and the like. If IWF 150 is interconnected with WAG 142 via a leased line, tunneling may be eliminated. Thus, packets originating from any ToW terminal 116 are routed to IWF 150 via an Ft tunnel.

도 3은 ToW 단말기로부터의 트래픽이 어떻게 IWF(150)로 터널링되는지 및 모든 다른 단말기로부터의 트래픽이 어떻게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으로 라우팅되는지의 바람직한 메커니즘을 나타낸다.3 illustrates a preferred mechanism of how traffic from ToW terminals is tunneled to IWF 150 and how traffic from all other terminals is routed to the Internet or intranet.

모든 ToW 단말기는 후술된 프로토콜 아키텍처 및 절차를 구현하여, WLAN에 걸친 TETRA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리적으로, ToW(116)는 WLAN 인터페이스를 갖는 임의의 종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즉, 개인용 컴퓨터(PC), 랩톱(laptop), PDA, 듀얼-모드 WLAN/TETRA 단말기 등)일 수 있다는 것이 파악된다.All ToW terminals preferably implement the protocol architecture and procedures described below to support TETRA services over the WLAN. Physically, it is understood that the ToW 116 may be any kind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e, personal computer (PC), laptop, PDA, dual-mode WLAN / TETRA terminal, etc.) having a WLAN interface. .

SwMI 관점에서부터, ToW 단말기(116)는 임의의 TETRA 단말기로 고려될 수 있다. 즉, ToW 단말기(116)에는 TETRA ISSI(Individual Short Subscriber Identity)가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ToW 단말기(116)는 개시되어 그룹 호출에 참여할 수 있고, SDS(Short Data Service) 메시지를 수신/송신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TETRA SwMI(160)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인증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ToW 단말기(116)는 SwMI(160) 내의 가입자 프로파일(profile)에 따라 배정기(dispatcher), PSTN 사용자 및 다른 TETRA 엔티티에 의해, 종래의 TETRA 단말기로 다른 ToW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From the SwMI point of view, the ToW terminal 116 may be considered any TETRA terminal.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ToW terminal 116 is assigned a TETRA ISSI (Individual Short Subscriber Identity). Accordingly, the ToW terminal 116 can be started to participate in a group call and receive / receive a Short Data Service (SDS) message.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generally use any authenticated service provided by TETRA SwMI 160. Thus, the ToW terminal 116 may communicate with other ToW terminals by a conventional TETRA terminal by a dispatcher, a PSTN user, and other TETRA entities according to a subscriber profile in the SwMI 160.

ToW 단말기(116)는 그룹 호출, SDS 메시징, 패킷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모든 알려진 TETRA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wMI 관점에서, ToW 단말기(116)는 임의의 다른 종래의 TETRA 단말기(132)와 상이하지 않다.ToW terminal 116 preferably utilizes all known TETRA services, including group calls, SDS messaging, packet services, and the like. In terms of SwMI, ToW terminal 116 is no different from any other conventional TETRA terminal 132.

유익하게도, WLAN 무선 인터페이스(115)의 특성은 고속 데이터 서비스, 동시적인 음성 및 데이터, 향상된 음성 품질, 감소된 호출 셋업 및 음성 전송 지연, 여러 그룹 호출의 동시 수신,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주 제어 채널(MCCH) 트래픽 모니터링하기 등의 확장된 능력 및 새로운 특징들을 인에이블링(enable)한다. 따라서, TETRA 단말기(예를 들어, ToW 단말기(116))는 WLAN 기술의 알려진 장점으로부터 혜택을 받는다.Advantageous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LAN air interface 115 include high speed data services, simultaneous voice and data, improved voice quality, reduced call setup and voice transmission delays, simultaneous reception of multiple group calls, voice and / or data Enables new features and extended capabilities such as monitoring primary control channel (MCCH) traffic. Thus, TETRA terminals (eg, ToW terminals 116) benefit from the known advantages of WLAN technology.

ToW 단말기(116)는 WLAN 사이트에서 동작하며, WLAN 사이트는 WLAN 적용범위가 제공되며 단일 WLAN 액세스 게이트웨이(142)에 의해 제어되는 지리학적 영역으로 고려될 수 있다. WLAN 사이트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AP를 포함한다. ToW 단말기(116)는 WLAN 액세스 포인트(114)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WLAN 액세스 포인트(114)는, 예를 들어, IEEE 802.11 WLAN 기술을 사용하여, 임의의 종류의 W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WLAN 단말기와 인터페이싱하는데, 이는 "무선 LAN 매체 액세스 제어(MAC) 및 물리층(PHY) 명세"란 명칭의 문서, IEEE 표준 802.11, 1999년 판에 IEEE에 의해 공개된다. WLAN 액세스 포인트는 하나 이상의 WLAN 액세스 게이트웨이(142)를 통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140)로의 인터페이스(115)를 갖는다. IP 네트워크(140)는 제안된 시스템의 핵심 컴포넌트(즉, 상호동작 기능(IWF))를 통해 TETRA SwMI(160)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다.ToW terminal 116 operates at a WLAN site, which may be considered a geographic area where WLAN coverage is provided and controlled by a single WLAN access gateway 142. WLAN sites typically include one or more APs. ToW terminal 116 has a wireless interface to WLAN access point 114. The WLAN access point 114 interfaces with the WLAN terminal via any kind of WLAN interface, for example using IEEE 802.11 WLAN technology, which is a " wireless LAN media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 Is published by the IEEE in the IEEE Standard 802.11, 1999 edition. The WLAN access point has an interface 115 to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140 through one or more WLAN access gateways 142. IP network 140 is operably connected to TETRA SwMI 160 via key components of the proposed system (ie, interworking function (IWF)).

IWF(150)는 TETRA 종래 기지국(134)과 유사한 방식으로 SwMI와 인터페이싱(155)하도록 구성된다. IWF(150)는 또한 하나 이상의 WLAN 액세스 게이트웨이(WAG; 142)와 인터페이싱한다. 사실상, WAG(142)는 라우터, 또는 라우터와 이더넷 스위치의 조합으로서, 단일 WLAN 사이트를 제어한다. WAG는 전형적으로 이더넷 100BaseT 매체를 통해 하나 이상의 AP(114)와 인터페이싱한다. 하나의 WAG가 각각의 WLAN 사이트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LAN 사이트 내에 ToW 단말기가 있을 때, WAG(142)는 IWF(150)과의 Ft 터널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알려진 터널 구축 프로토콜, 예를 들어, PPTP, L2TP, IPsec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파악된다. 그 후 WAG(142)는 적절한 라우팅 시행 폴리시를 적용한다(도 3에 나타낸 바람직한 예). 추가로, WLAN 사이트 내에 더 이상 ToW 단말기가 없으면, 용량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WAG(142)는 Ft 터널을 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적으로 생성되고/풀리지 않는 고정 Ft 터널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파악된다.IWF 150 is configured to interface 155 with SwMI in a manner similar to TETRA conventional base station 134. IWF 150 also interfaces with one or more WLAN access gateways (WAGs) 142. In effect, the WAG 142 controls a single WLAN site as a router, or a combination of routers and Ethernet switches. The WAG typically interfaces with one or more APs 114 over Ethernet 100BaseT media. Preferably, one WAG is assigned to each WLAN site. When there is a ToW terminal in the WLAN site, the WAG 142 preferably creates an Ft tunnel with the IWF 150. It is understood that any known tunnel establishment protocol may be used, for example PPTP, L2TP, IPsec. WAG 142 then applies the appropriate routing enforcement policy (the preferred example shown in FIG. 3). In addition, when there are no more ToW terminals in the WLAN site, the WAG 142 preferably releases the Ft tunnel to free up capacity.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fixed Ft tunnels that are created / unresolved dynamically.

명백하게, WAG 및 AP 모두는 기성품 디바이스(off-the-shelf device)이며, TETRA SSID를 지원하고 SSID의 결정에 따라 이러한 TETRA 통신을 라우팅하도록 구성된 신호 처리 기능을 제외한 그들의 구성은 알려진 WAG 및 AP에 전형적인 것이다.Clearly, both WAGs and APs are off-the-shelf devices, and their configuration is typical for known WAGs and APs, except for signal processing functions that support TETRA SSIDs and are configured to route these TETRA communications as determined by the SSID. will be.

IWF(150)는 알려진 IP 멀티캐스팅 기술을 사용하여, 제어 패킷 데이터 유닛(PDU) 및 음성 패킷을 ToW 단말기(116)에 전송한다.IWF 150 transmits a control packet data unit (PDU) and voice packet to ToW terminal 116 using known IP multicasting techniques.

따라서, 이 방식에서, 모바일 또는 고정된 ToW 단말기(116)는 당업자에 의해 명백해질 바와 같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드라이버 및 어플리케이션과 WLAN 네트워 크 인터페이스(115)에 의해 TETRA SwMI(160)이 제공하는 전형적인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ToW 단말기(116)는 다수의 TETRA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재사용하는데, 이는 ETSI 문서 - EN 300 392-2 v2.3.10, "TETRA; 음성 + 데이터(V+D); 파트 2: 무선 인터페이스(AI)", ETSI(2003년6월)에 나타나 있다. 명백하게, ToW 단말기(116)는 WLAN 무선 인터페이스의 상부에서 다수의 TETRA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재사용한다. TETRA SwMI(160)는 IP 멀티캐스트 및 VoIP(Voice-over-IP) 기술 상에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IWF(150)와의 인터페이싱은 상대적으로 일직선적이며, 이는 또한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Thus, in this manner, the mobile or fixed ToW terminal 116 is provided to the typical services provided by the TETRA SwMI 160 by corresponding software drivers and applications and the WLAN network interface 115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ccessed. ToW terminal 116 reuses a number of TETRA air interface protocols, which are described in ETSI document-EN 300 392-2 v2.3.10, "TETRA; Voice + Data (V + D); Part 2: Air Interface (AI)". , ETSI (June 2003). Clearly, the ToW terminal 116 reuses multiple TETRA air interface protocols on top of the WLAN air interface. TETRA SwMI 160 is preferably built on IP multicast and Voice-over-IP (VoIP) technology, so interfacing with IWF 150 is relatively straightforward and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호동작 기능(IWF; 150)은 사유 인터페이스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TETRA SwMI(160)와 인터페이싱하고 또한 Ft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WAG(142)와 인터페이싱하는 핵심 기능 구성요소이다. 명백하게, IWF(150)의 하나의 기능은 SwMI(160)로부터 WLAN의 특성을 숨겨 그들이 SwMI(160)과 용이하게 통합되게 하는 것이다.Interaction function (IWF) 150 is a key functional component that interfaces with TETRA SwMI 160 via any suitable interface, such as a proprietary interface, and also interfaces with one or more WAGs 142 via an Ft interface. Clearly, one function of the IWF 150 is to hi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LAN from the SwMI 160 so that they are easily integrated with the SwMI 160.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TETRA 스위칭 및 관리 기반구조(SwMI)와 상호동작하는 WLAN의 추가적 개요도가 나타나 있으며, 이는 도 1의 시스템의 논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시스템/기반구조 구성요소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와 유사하다. 따라서, 그들은 본원에는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Referring now to FIG. 2, a further schematic diagram of a WLAN interoperating with TETRA switching and management infrastructure (SwMI) is shown, which includes the logical interface of the system of FIG. 1. As can be seen, many system / infrastructure components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us, they will not be described further herein.

또 다시, WLAN은 바람직하게 Ft 터널을 통해 업링크 패킷을 모든 ToW 단말기로부터 상호동작 기능(IWF; 150)으로 터널링함으로써 ToW 단말기에 대한 특정 라우 팅 시행 폴리시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Ft 인터페이스는 WAG(142, 225)와 IWF(150) 사이에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유 인터페이스(155)는 TETRA SwMI(160)와 IWF(150) 사이에 나타나 있다. IWF(150)는 또한 Ut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ToW 단말기(112, 116)로의 논리 링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파악된다. 이에 관련하여, Ut 인터페이스(210)는 ToW(112, 116)과 IWF(150)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는 프로토콜 및 절차를 지원한다. 후술된 바와 같이, 새로운 프로토콜은 이 논리 인터페이스(210) 상에서 동작한다.Again, the WLAN preferably implements a specific routing enforcement policy for the ToW terminal by tunneling uplink packets from all ToW terminals to the Interworking Function (IWF) 150 via the Ft tunnel. Thus, the Ft interface preferably operates between the WAGs 142, 225 and the IWF 150. The private interface 155 is shown between TETRA SwMI 160 and IWF 150. It is appreciated that IWF 150 may also use logical links to ToW terminals 112 and 116 via Ut interface 210. In this regard, the Ut interface 210 supports protocols and procedures for manag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ToWs 112 and 116 and the IWF 150. As described below, the new protocol operates on this logical interface 210.

또한, 논리 인터페이스(Wt)는 WAG(142, 225)와 ToW 단말기 사이의 통신 링크에 적용된다. Wt 인터페이스는 (고정된 또는 모바일) ToW 단말기와 AP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는 프로토콜 및 절차를 지원한다. 이 인터페이스는 IEEE 802.11 기초 명세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gical interface Wt is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 WAGs 142 and 225 and the ToW terminal. The Wt interface supports protocols and procedures for managing communication between (fixed or mobile) ToW terminals and APs. This interface preferably conforms to the IEEE 802.11 basic specification.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IP 네트워크를 통해 터널링된 ToW 단말기들 사이의 트래픽 흐름에 대한 바람직한 메커니즘이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ToW 단말기(116)는 TETRA SwMI(160)와 통신하길 원하고, 액세스 포인트(114)에 SSID=TETRA와의 연관 요청을 전송하고, 연관된 WAG(142)에게 그 요청을 중계한다.Referring now to FIG. 3,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mechanism for traffic flow between ToW terminals tunneled through an IP network is shown. As shown in FIG. 3, the ToW terminal 116 wants to communicate with the TETRA SwMI 160, sends an association request with SSID = TETRA to the access point 114, and relays the request to the associated WAG 142. do.

전술된 바와 같이, ToW 단말기의 SSID는 잘 알려진 미리 정의된 것, 예를 들어, "TETRA", "Dimetra", "TETRAoverWLAN"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ToW가 아닌 것에 의해 사용되는 SSID는 "Public", "Motorola™", "Wireless-HotSpot", "ANY", "Operator-A"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ToW SSID와 ToW가 아닌 SSID 사이의 차이점은 단지 WLAN가 그들을 상이하게 다루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와 달리, 그들은 바람직하게 802.11 명세를 따르는 영숫자식 스트링(alphanumeric string) 모두이다. WLAN 서비스 공급자는 그의 선호하는 ToW SSID를 선택하고 그 SSID를 그의 고객에게 알려주는 것에 자유로운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고객은 이 ToW를 단말기로 구성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SID of the ToW terminal is preferably a well-known predefined one, for example, "TETRA", "Dimetra", "TETRAoverWLAN" and the like. Similarly, the SSID used by non-ToW may be such as "Public", "Motorola ™", "Wireless-HotSpot", "ANY", "Operator-A", and the like. In this regard, the difference between ToW SSIDs and non-ToW SSIDs is that the WLAN is only configured to handle them differently. In contrast, they are preferably all alphanumeric strings that conform to the 802.11 specification. The WLAN service provider is preferably free to select his preferred ToW SSID and inform his customer of the SSID. The customer will then configure this ToW as a terminal.

전형적으로, AP는 상이한 SSID로부터/로 트래픽을 매핑(map)하여, 이더넷 인터페이스 상에서 WLAN을 구별할 것이다.Typically, the AP will map traffic from / to different SSIDs to differentiate the WLAN on the Ethernet interface.

WAG(142)는 WLAN으로부터의 ToW 단말기(즉, ToW SSID에 관련된 것)로부터의 모든 이러한 트래픽을 IWF(150)로 터널링하고, 그들을 Ft 터널을 통해 IP 네트워크(140)에 걸쳐 송신한다. 그 후 IWF(150)는 그들을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사유 인터페이스(155)를 통해 TETRA SwMI(160)에 포워딩(forword)한다.The WAG 142 tunnels all such traffic from the ToW terminal (ie related to the ToW SSID) from the WLAN to the IWF 150 and transmits them over the IP network 140 via the Ft tunnel. The IWF 150 then forwards them (as indicated) to the TETRA SwMI 160, preferably via the proprietary interface 155.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WLAN 시스템을 통하는 TETRA 통신에 연관된 통신층의 개요가 나타나 있다. 바람직한 통신 아키텍처는 ETSI EN 300 392-2 TETRA 명세와 비슷하다. 즉, 제어판(410) 정보는 SNDCP(415),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MM; 420) 및 호출 관리 제어 엔티티(CMCE; 425)를 포함한다. 모바일 링크 엔티티(MLE; 430) 및 논리 링크 제어(LLC)층(435)도 또한 지원된다.Referring now to FIG. 4, an overview of a communication layer associated with TETRA communication via a WLAN system is shown. The preferred communication architecture is similar to the ETSI EN 300 392-2 TETRA specification. That is, the control panel 410 information includes the SNDCP 415, mobility management (MM) 420, and call management control entity (CMCE) 425. Mobile link entity (MLE) 430 and logical link control (LLC) layer 435 are also supported.

사용자판(440)에서, 실시간 프로토콜(RTP) 또는 압축 RTP 프로토콜(450)을 사용하여, ETS 300 395에 따른 TETRA ACELP(Adaptive Code Excited Linear Predicted) 엔코딩된 음성 블럭(445)을 ToW와 IWF 사이에서 전송한다. 통상, 하나의 음성 블럭은 매 30초 마다 생성된다. 제어판에서, WLAN 무선 액세스에 적용불 가능한 TETRA MAC 및 물리층 프로토콜을 제외한 모든 TETRA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이 재사용된다. LLC층은 기초 링크 서비스 및 진보된 링크 서비스 모두를 지원하며, 이는 ETTSI, EN 300 392-2 v2.3.10, "TETRA; 음성+데이터(V+D); 파트 2: 무선 인터페이스(AI)", ETSI(2003년 6월)에 설명되어 있다. LLC층은 ToW 및 IWF 내에서 (부분적으로 SwMI 내에서) 동작한다.In the user edition 440, using a real-time protocol (RTP) or compressed RTP protocol 450, a TETRA ACELP (Adaptive Code Excited Linear Predicted) encoded speech block 445 according to ETS 300 395 is placed between the ToW and IWF. send. Typically, one voice block is generated every 30 seconds. At the control panel, all TETRA air interface protocols are reused except TETRA MAC and physical layer protocols, which are not applicable to WLAN radio access. The LLC layer supports both basic link services and advanced link services, which are described in ETTSI, EN 300 392-2 v2.3.10, "TETRA; Voice + Data (V + D); Part 2: Air Interface (AI)", ETSI (June 2003). The LLC layer operates within ToW and IWF (partially within SwMI).

명백하게, 통신의 새로운 층, 즉, 적응층(460)이 ToW 시스템에 특정된다. 적응층(460)은 TETRA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WLAN에 걸쳐 동작시키도록 요구하는데 필요한 적응 기능을 제공한다. 적응층(460)은 ToW 및 IWF 내에 구현되며 TETRA MAC층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서브세트(subset)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TETRA-순응 암호화 및 TETRA SSI를 사용하는 주소지정을 지원한다.Clearly, a new layer of communication, namely the adaptation layer 460, is specific to the ToW system. The adaptation layer 460 provides the adaptation functionality required to require the TETRA air interface protocol to operate over the WLAN. The adaptation layer 460 is implemented in ToW and IWF and provides a service that includes a subset of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TETRA MAC layer. In particular, it supports addressing using TETRA-compliant encryption and TETRA SSI.

적응층은 제어-판-서비스 액세스 포인트(CP-SAP; 465)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판-서비스 액세스 포인트(UP-SAP; 470)를 통해 UDP층과 인터페이싱한다. CP-SAP(465)는 항상 존재하며 진행중인 호출에 연관되지 않는 제어-판 트래픽을 전달한다, 즉, 통상 TETRA MCCH 또는 SCCH 상에서 전달되는 트래픽을 제어한다.The adaptation layer interfaces with the UDP layer via a control-panel-service access point (CP-SAP) 465 and one or more user-panel-service access point (UP-SAP) 470. CP-SAP 465 always forwards control-panel traffic that is present and not associated with an ongoing call, ie, typically controls traffic carried on TETRA MCCH or SCCH.

각각 MCCH-multicastMCCH -port로 언급되는 잘 알려진(미리 정의된) 멀티캐스트 IP 주소 및 포트 숫자를 사용하여 이러한 종류의 트래픽을 전송한다.Well-known (predefined) which are respectively referred to as MCCH-multicast and MCCH -port multicast IP address and a port number used to transmit this kind of traffic.

반대로, 사용자판 트래픽은 UP-DSP(470) 상에서 전달된다. 새로운 호출의 시작에서, 새로운 UP-SAP(470) 인스턴스(instance)가 생성되어 그 특정 호출을 지원한다. UP-SAP(470) 인스턴스는 동적으로 할당되는 멀티캐스트 IP 주소 및 포트 숫자를 사용한다. 후술된 바와 같이, 이 멀티캐스트 IP 주소 및 포트 숫자는 IWF 에 의해 할당되고 새로운 호출의 시작을 시그널링하는 패킷 내에서 ToW에 전달된다. UP-SAP(470)는 동적으로 생성되어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 및 호출 연관 제어 트래픽을 지원한다. 명백하게, UP-SAP(470)는 또한 진행중인 호출에 연관된 제어-판 트래픽(410)을 지원한다(예를 들어, D-TX-CEASED PDU). 적응층을 사용하여 동일한 UP-SAP 상의 사용자-판 트래픽과 호출-연관 제어 트래픽 사이를 구별한다.In contrast, user plane traffic is carried on the UP-DSP 470. At the start of a new call, a new UP-SAP 470 instance is created to support that particular call. The UP-SAP 470 instance uses a dynamically assigned multicast IP address and port number. As described below, this multicast IP address and port number are assigned by the IWF and passed to the ToW in a packet signaling the start of a new call. The UP-SAP 470 is dynamically generated to support user data, traffic and call association control traffic. Obviously, the UP-SAP 470 also supports control-panel traffic 410 associated with an ongoing call (eg, D-TX-CEASED PDU). The adaptation layer is used to distinguish between user- edition traffic and call-associated control traffic on the same UP-SAP.

ToW 내의 적응층(460)은 모든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고 (나타낸 SSI에 기초하여) 그것이 더 처리되어야 하는지 또는 드롭(drop)되어야 하는지를 인식한다. 더 처리되도록 요구되면, 적응층은 복호화가 적용되어야 하는지 아닌지를 지시하고(즉,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된 경우), 그 수신된 패킷이 UP-SAP를 통해 수신된 ㄱ것이면, 그것은 수신된 패킷을 LLC 엔티티 또는 RTP 엔티티로 포워딩한다.The adaptation layer 460 in the ToW analyzes every received packet and recognizes whether it should be further processed or dropped (based on the indicated SSI). If further processing is required, the adaptation layer indicates whether decryption should be applied (ie, if the received message is encrypted), and if the received packet is received via UP-SAP, then it receives the received packet. Forward to LLC entity or RTP entity.

도 4는 ToW 단말기의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추가적 양태를 나타낸다. WLAN 물리층(490) 및 WLAN MAC층(485)을 사용하여 AP와의 광대역 무선 연결을 구축한다. 이들 층들은, "무선 LAN 매체 액세스 제어(MAC) 및 물리층(PHY) 명세"란 명칭의 IEEE 표준 802.11, 1999년 판에 공개된 문서에 설명된 IEEE 802.11 명세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임의의 WLAN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파악된다.4 shows a further aspect of the protocol architecture of a ToW terminal. The WLAN physical layer 490 and the WLAN MAC layer 485 are used to establish a broadband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AP. These layers are preferably in accordance with the IEEE 802.11 specification described in the document published in IEEE Standard 802.11, 1999, entitled "Wireless LAN Media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 However, it is understood that any WLAN can be used.

이들 층들은 또한, IEEE 표준 802.11e/D6.0, "파트Ⅱ: 무선 매체 액세스 제어(MAC) 및 물리층(PHY) 명세: 매체 액세스 제어(MAC) 및 서비스 품질(QoS) 향상" (2003년 11월) 내에 특정된 서비스 품질(QoS) 향상을 따른다.These layers are also described in IEEE Standard 802.11e / D6.0, "Part II: Wireless Media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 Media Access Control (MAC) and Quality of Service (QoS) Enhancements" (11 November 2003). Follow a specific quality of service (QoS) improvement within a month).

이들 층들은 또한, IEEE, "포트-기반 네트워크 액세스 제어", IEEE 표준 802.1x, 2001년 판, 및 IEEE 표준 802.11i/D7.0, "파트Ⅱ: 무선 매체 액세스 제 어(MAC) 및 물리층(PHY) 명세: 매체 액세스 제어(MAC) 및 보안 향상" (2003년 10월)에 특정된 보안 특징들을 지원할 수 있다.These layers are also referred to as IEEE, "Port-Based Network Access Control", IEEE Standard 802.1x, 2001 Edition, and IEEE Standard 802.11i / D7.0, "Part II: Wireless Media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 PHY) specification: media access control (MAC) and security enhancements "(October 2003).

IWF와의 연결은 서비스 라우팅 및 주소지정에 의해 IP층에 의하여 제공되는데, 이는 1981년 9월 RFC 791에 공개된 "인터넷 프로토콜"이란 명칭의 J. Postel의 논문에 나타나 있다.Connection to the IWF is provided by the IP layer by service routing and addressing, as shown in J. Postel's paper entitled "Internet Protocol" published in RFC 791 in September 1981.

UDP층은 오류 탐지 및 멀티플렉싱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는 1980년 RFC 0768에 공개된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이란 명칭의 J. Postel의 논문에 나타나 있다.The UDP layer provides error detection and multiplexing services, as shown in a paper by J. Postel entitled "User Datagram Protocol" published in RFC 0768 in 1980.

IP층은 ToW 단말기, IWF 및 중간 IP 네트워크에 구현된다(도 1 참조). IP층은 ToW로부터/로의 모든 IP 데이터그램이 IWF로/로부터 라우팅되는 것을 보증한다. 필요하면, 그것은 또한 그들 각각의 IP 헤더에 있는 서비스 유형(ToS)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IP 데이터그램으로의 상이한 서비스 품질(QoS) 라우팅을 인에이블링할 수 있다. 이러한 QoS 서비스는 음성 패킷을 전달하는 IP 데이터그램에 선호되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The IP layer is implemented in ToW terminals, IWF and intermediate IP networks (see FIG. 1). The IP layer ensures that all IP datagrams from / to ToW are routed to / from IWF. If necessary, it can also enable different quality of service (QoS) routing to different kinds of IP datagrams, depending on the type of service (ToS) in their respective IP header. Such QoS service may be required to provide a preferred transport service for IP datagrams carrying voice packets.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ToW 아키텍처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패킷 구조(500)가 나타나 있다. 도 5에서, Ut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되는 (즉, IWF와 ToW 단말기 사이에 전송되는) 제어-판(510) 및 사용자-판(550) 패킷의 일반적인 포맷이 나타나 있다.Referring now to FIG. 5, there is shown a preferred packet structure 500 for use in a ToW architecture. In FIG. 5, the general format of the control-panel 510 and user-panel 550 packets exchanged over the Ut interface (ie, transmitted between the IWF and ToW terminals) is shown.

제어-판 패킷(510)은 IP/UDP로 캡슐화된 통상의 TETRA LLC PDU(530)를 전달한다. 적응층 헤더의 구조는 본원에 설명된 발명 개념의 핵심 컴포넌트이다. 모 든 다른 프로토콜 필드(예를 들어, IP(515), UDP(520), RTP, LLC, CMCE, MLE, MM, SNDCP(535))의 구조는 알려진 프로토콜 명세에 따르도록 디자인된다.The control-panel packet 510 carries a conventional TETRA LLC PDU 530 encapsulated in IP / UDP. The structure of the adaptation layer header is a key component of the inventive concept described herein. The structure of all other protocol fields (eg, IP 515, UDP 520, RTP, LLC, CMCE, MLE, MM, SNDCP 535) is designed to comply with known protocol specifications.

즉, LLC, CMCE, MLE, MM 및 SNDCP 프로토콜 필드는 문서 ETSI, EN 300 392-2 v2.3.10, "TETRA; 음성+데이터(V+D); 파트 2: 무선 인터페이스(AI)", ETSI (2003년 6월)에 더 설명되어 있다. IP 프로토콜 필드는 J. Postel의 논문, "인터넷 프로토콜", RFC 791(1981년 9월)에 더 설명되어 있다. UDP 프로토콜 필드는 J. Postel의 논문, "사용자 다이어그램 프로토콜", RFC 0768(1980년)에 더 설명되어 있다.That is, the LLC, CMCE, MLE, MM, and SNDCP protocol fields are described in document ETSI, EN 300 392-2 v2.3.10, "TETRA; Voice + Data (V + D); Part 2: Air Interface (AI)", ETSI ( June 2003). The IP protocol field is further described in J. Postel's article, "Internet Protocol", RFC 791 (September 1981). The UDP protocol field is further described in J. Postel's article, "User Diagram Protocol", RFC 0768 (1980).

다른 종류의 TETRA PDU도 또한, 예를 들어, CCK(Common Cipher Key) 식별자 또는 SCK(Static Cipher Key) 버전 번호와 같은 보안 관련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제어-판 패킷에 캡슐화될 수 있다는 것이 파악된다.It is understood that other kinds of TETRA PDUs may also be encapsulated in control-panel packets to broadcast security related information such as, for example, Common Cipher Key (CCK) identifiers or Static Cipher Key (SCK) version numbers. .

적응층 헤더(525, 565)는 통상 TETRA MAC 헤더에 포함되는 중요 정보와 함께 파퓰레이팅(populate)된다. 특히, 적응층 헤더(525, 565)는 포함된 LLC 또는 RTP PDU가 암호화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암호화 모드 필드 및 TETRA SSI 필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운링크 방향에서, TETRA SSI는 패킷 수신자(들)의 TETRA 주소를 식별하고, 업링크 방향에서는, 패킷 발생자의 TETRA 주소를 식별한다.Adaptation layer headers 525 and 565 are populated with the critical information typically contained in the TETRA MAC header. In particular, the adaptation layer headers 525, 565 preferably include an encryption mode field and a TETRA SSI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included LLC or RTP PDU is encrypted. In the downlink direction, the TETRA SSI identifies the TETRA address of the packet receiver (s), and in the uplink direction, the TETRA address of the packet originator.

추가로, 적응층(525, 565)은 (임의의 종류의) 새로운 호출의 발생을 시그널링하는 추가 정보를 패킷 내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적응층(525, 565)은 또한 금번(upcoming) 호출의 음성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멀티캐스트 주소포트 숫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적응층 헤더(525, 565)는 패킷에 캡슐화된 LLC PDU 또는 RTP PDU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daptation layers 525 and 565 preferably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packet that signals the occurrence of a new call (of any kind). In this case, the adaptation layers 525 and 565 also preferably include the multicast address and port number used to transmit the voice packet of the upcoming call. Finally, the adaptation layer headers 525 and 565 preferably include an information field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LLC PDU or RTP PDU encapsulated in the packet.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알려진 TETRA D-SETUP 메시지를 전달하는 패킷(600)에 다양한 헤더들이 어떻게 파퓰레이팅되는지의 예가 나타나 있다.Referring now to FIG. 6, an example of how the various headers are populated in a packet 600 carrying a known TETRA D-SETUP message is shown.

패킷(610)은, 예를 들어, IWF에 의해 송신된다. 패킷(610)은 SSID=46을 갖는 단말기가 GSSI=8388888로의 그룹 호출을 생성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IWF의 IP 주소(615)는 x.y.z.w이고, 잘 알려진 MCCH 주소 및 MCCH 포트(620)에 대응하는 멀티캐스트 주소 및 포트는 각각 MCCH - mcastMCCH -port로 지정된다. 이 패킷은 IWF에 의해 미리 Ft 터널을 구축한 모든 WAG로 송신된다. 따라서, 패킷은 궁극적으로 이 IWF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WLAN 사이트에 브로드캐스팅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사이트 내의 모든 ToW 단말기는 패킷을 수신하고 디코딩할 것이다. 따라서, GSSI=8388888에 속한 ToW 단말기는 새로운 UP-SAP 인스턴스를 생성함으로써 이 그룹 호출에 대한 금번 사용자-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적응층 헤더의 새로운 UP-SAP(620)는 멀티캐스트 주소 g1.g2.g3.g4 및 포트 Gp에 바인딩(bind)된다.The packet 610 is transmitted by the IWF, for example. Packet 610 indicates that a terminal with SSID = 46 makes a group call to GSSI = 8388888. IP address of the IWF 615 is xyzw, and the multicast address and port corresponding to the well-known MCCH address and MCCH port 620, are each MCCH - is designated by mcast -port and MCCH. This packet is sent by the IWF to all WAGs that have already established Ft tunnels. Thus, the packet will ultimately be broadcast to all WLAN sites controlled by this IWF. Thus, all ToW terminals in these sites will receive and decode the packets. Thus, the ToW terminal belonging to GSSI = 8388888 will be configured to receive this user-version information for this group call by creating a new UP-SAP instance. The new UP-SAP 620 of the adaptation layer header is bound to the multicast address g1.g2.g3.g4 and port Gp.

또한, 패킷(650)은, 예를 들어, ToW에 의해 송신된다. 패킷(650)은 ToW 단말기가 GSSI=8388888 그룹에 속하기 위해 SSI=46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ToW의 IP 주소(655)는 a.b.c.d로 지정된다. 이 패킷(650)에서, 적응층(665)은 멀티캐스트 IP 주소 및 포트 쌍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하며, 이는 패킷이 새로운 호출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packet 650 is transmitted by ToW, for example. Packet 650 indicates that the ToW terminal has SSI = 46 to belong to GSSI = 8388888 group. ToW's IP address 655 is designated as a.b.c.d. In this packet 650,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daptation layer 665 does not include a multicast IP address and port pair, since the packet does not generate a new call.

이제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oW 시스템의 예시적인 시스널링 흐름이 나타나 있다. 특히, 도 7은 WLAN 연관 및 위치 갱신을 포함하는 시그널링 흐름(700)을 나타낸다.Referring now to FIGS. 7 and 8, an exemplary signaling flow of a ToW system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particular, FIG. 7 illustrates a signaling flow 700 that includes WLAN association and location update.

시그널링 흐름(700)은 ToW 단말기(710)와, WAL(715)의 AP 및 WAG와, IWF(720) 사이의 통신을 나타낸다. 단계(725)에서, WALN 단말기가 SSID="TETRA"를 사용하여 WLAN과의 연관을 요청할 때의 메시지 시퀀스가 발생한다. 이는, WLAN 단말기가 전력공급될 때, 또는 즉, TETRA 사이트를 떠나 WLAN 사이트에 조인(join)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기술을 바꾸고자 선택할 때 발생한다. 단계(730)에서 WLAN은 요청을 수신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gnaling flow 700 illustrates communication between ToW terminal 710, AP and WAG of WAL 715, and IWF 720. In step 725, a message sequence occurs when the WALN terminal requests an association with the WLAN using SSID = "TETRA". This occurs when the WLAN terminal is powered up, ie when it chooses to change the radio access technology to leave the TETRA site and join to the WLAN site. In step 730, the WLAN preferably acknowledges the request.

지점 1(735)에서, 그곳에 기존에 IWF(720)의 미리 정의된 주소를 갖는 Ft 터널이 없으면, WAG(715)는 그러한 터널을 생성한다. WAG(715)는 또한 포워딩 기능을 생성하여, Ft 터널을 통해 ToW(710)로부터 IWF(720)로 다음 패킷을 포워딩한다. 다음으로, 단계(740 및 745)에 나타난 바와 같이, ToW(710)는 DCHP 절차를 개시하고 IP 주소를 획득한다. 단계(745)에서 IWF(720)에 의해 전형적으로 할당된 이 IP 주소는 내부 DCHP 서버 또는 가능하다면 외부 DHCP 서버를 사용한다.At point 1 735, if there is no existing Ft tunnel with a predefined address of IWF 720, WAG 715 creates such a tunnel. The WAG 715 also generates a forwarding function to forward the next packet from the ToW 710 to the IWF 720 via the Ft tunnel. Next, as shown in steps 740 and 745, ToW 710 initiates a DCHP procedure and obtains an IP address. This IP address, typically assigned by IWF 720 at step 745, uses an internal DCHP server or possibly an external DHCP server.

지점 2(750)에서, ToW(710)는 CP-SAP를 인에이블링하고 MCCP -멀티캐스트와 동일한 목적지 IP 및 MCCP -포트와 동일한 UPD 포트를 갖는 패킷을 수신하기 시작한다. MCCH-multicast 및 MCCF-포트의 값은 ToW(710) 내에 미리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ToW(710)에 이들 매개변수를 송신하기 위한 다른 수단들이 또한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이 파악된다.At point 2 750, ToW 710 enables CP-SAP and begins receiving packets with a destination IP equal to MCCP -multicast and a UPD port equal to MCCP -port . The values of the MCCH-multicast and MCCF-ports are assumed to be preconfigured in the ToW 710. However, it is appreciated that other means for transmitting these parameters to ToW 710 may also be developed if necessary.

지점 2(750) 이후, ToW(710) 내의 적응층은 통상 MCCH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TETRA 트래픽을 포함하는 패킷(755, 760, 765)을 수신하고 처리하기 시작한다.After point 2 750, the adaptation layer in ToW 710 begins to receive and process packets 755, 760, and 765, which typically include TETRA traffic transmitted on the MCCH channel.

지점 3(770)에서, ToW(710)는 IWF(720)에 U-LOCATION-UPDATE-DEMAND PUD(775)를 송신하여 SwMI가 그것의 위치를 갱신하도록 요구한다. 이 PDU(775)는 CP-SAP 상에서 전송되고, 이에 따라 목적지 IP 주소는 MCCH-multicast와 동일하고 목적지 UDP 포트는 MCCH-port와 동일하다. D-LOCATION-UPDATE ACCEPT PDU(775)는 IWF(720)로부터 ToW 단말기(710)로 송신된다.At point 3 770, ToW 710 sends U-LOCATION-UPDATE-DEMAND PUD 775 to IWF 720 to request SwMI to update its location. This PDU 775 is transmitted on the CP-SAP, whereby the destination IP address is the same as MCCH-multicast and the destination UDP port is the same as the MCCH-port. The D-LOCATION-UPDATE ACCEPT PDU 775 is transmitted from the IWF 720 to the ToW terminal 710.

당업자는 도 7이 단지 연관 요청 및 위치 갱신 메시지의 간단한 예만을 나타낼 뿐, 모든 가능한 통신을 보이기 위한 것은 아님을 인식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FIG. 7 shows only simple examples of association request and location update messages, and is not intended to show all possible communications.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그룹 호출 개시 및 참여를 위한 메시지 시퀀스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흐름(800)이 나타나 있다. 시그널링 흐름(800)은 ToW 단말기(805)와, WLAN(810)의 AP 및 WAG와, IWF(815) 사이의 통신을 나타낸다.Referring now to FIG. 8, a signaling flow 800 is shown that includes a message sequence for initiating and joining a group call. The signaling flow 800 represents communication between the ToW terminal 805, the AP and WAG of the WLAN 810, and the IWF 815.

그룹 '8388888'에 속하는 ToW 단말기에 대한 새로운 그룹 호출(820)의 표식이 IWF(815)에서 수신된다. 패킷(825)의 목적지 멀티캐스트 주소 및 목적지 UDP 포트(새로운 그룹 호출에 관련됨)는 각각 잘 알려진 MCCH-mcast 및 MCCH-port이다. 이 패킷 내의 적응층 헤더는 새로운 그룹 호출이 IP 멀티캐스트 주소 g1.g2.g3.g4 및 UDP 포트 Gp를 사용할 것임을 나타낸다. 이는 IWF(815)로부터 ToW 단말기(805)로의 MCCH D-SETUP 메시지(825)에 나타나 있다. IWF의 WLAN 영역 내의 모든 ToW 단말기는 그들이 호출에 관련되는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이 패킷을 수신한다. 그룹 '8388888'에 속하고 이 그룹 호출에 참여하고자 하는 ToW 단말기는 새로운 UP-SAP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그것을 지정된 멀티캐스트 주소 및 UDP 포트(즉, g1.g2.g3.g4/Gp)에 바인딩할 것이다. SSI='90'을 갖는 ToW 단말기(805)는 이 그룹 호출을 수신한다.An indication of a new group call 820 for ToW terminals belonging to group '8388888' is received at IWF 815. The destination multicast address and destination UDP port (associated with the new group call) of packet 825 are the well-known MCCH-mcast and MCCH-port, respectively. The adaptation layer header in this packet indicates that the new group call will use the IP multicast address g1.g2.g3.g4 and UDP port Gp. This is shown in the MCCH D-SETUP message 825 from the IWF 815 to the ToW terminal 805. All ToW terminals in the WLAN area of the IWF receive this packet whether or not they are involved in the call. ToW terminals belonging to group '8388888' and wishing to participate in this group call will create a new UP-SAP instance and bind it to the specified multicast address and UDP port (ie g1.g2.g3.g4 / Gp). . ToW terminal 805 with SSI = '90 'receives this group call.

MCCH D-SETUP 메시지(825)를 수신한 후, 일련의 IP 멀티캐스트 다이어그램이 IWF(815)로부터 ToW(805)로 전송된다. 각각의 다이어그램(830, 835)이 발생자로부터 음성 패킷을 전달한다. 다이어그램(830, 835) 및 가능하다면 다음의 다이어그램은 적응층 헤더에 그들이 GSSI=8388888를 갖는 그룹에 대한 암호화된 RTP PDU를 전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After receiving the MCCH D-SETUP message 825, a series of IP multicast diagrams are sent from the IWF 815 to the ToW 805. Each diagram 830, 835 carries a voice packet from the generator. Diagrams 830 and 835, and possibly the following diagrams, indicate in the adaptation layer header that they carry encrypted RTP PDUs for groups with GSSI = 8388888.

다이어그램 메시지(840)는 D-TX 종료 PDU를 전달하는 호출-연관 제어 패킷이다. ToW(805) 내의 적응층은, 이것이 (RTP PDU와는 달리) LLC PDU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그것을 정보 필드 내에 나타낸 LLC층에 포워딩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다이어그램 메시지(840) 이후, 고려되는 ToW(805)는 그룹 호출의 제어를 취하기로 결정하고 이에 따라 업링크 호출-연관 제어 패킷(845)을 송신한다. 업링크 호출-연관 제어 패킷(845)은 SwMI로부터 허가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U-TX 요청 PDU를 전달한다.Diagram message 840 is a call-associated control packet carrying a D-TX end PDU. The adaptation layer in ToW 805 understands that it carries the LLC PDU (unlike RTP PDUs) and thus forwards it to the LLC layer indicated in the information field. After the diagram message 840, the ToW 805 under consideration decides to take control of the group call and accordingly sends an uplink call-associated control packet 845. The uplink call-associated control packet 845 carries a U-TX request PDU requesting to send a grant from SwMI.

이에 응답하여, SwMI는 D-TX 승인 메시지(850)로 ToW(805)로의 전송 허가를 승인한다. 이에 따라, 메시지(855)로부터 시작하여, ToW(805)는 암호화된 RTP PDU를 포함하는 일련의 사용자-판 패킷을 전송한다.In response, SwMI grants permission to transmit to ToW 805 with a D-TX grant message 850. Accordingly, starting from message 855, ToW 805 sends a series of user-version packets containing an encrypted RTP PDU.

본 발명의 향상된 실시예에서, 보안 및 인증 절차는 용이하게 ToW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인증 절차는 ToW와 IWF 사이에서 적절한 층-3 메시지, 예를 들 어, D-AUTHENTICATION DEMAND 및 U-/D-ANTHENTICATION RESPONSE를 교환함으로써 용이하게 지원될 수 있으며, 이는 ETSI, EN 300 392-7 v2.1.1, "TETRA; 음성+데이터(V+D); 파트 7: 보안"(2001년 2월)에 설명되어 있다.In an improv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urity and authentication procedures can be easily integrated into the ToW system. The authentication process can be easily supported by exchanging the appropriate layer-3 messages, such as D-AUTHENTICATION DEMAND and U- / D-ANTHENTICATION RESPONSE, between the ToW and the IWF, which are ETSI, EN 300 392-7 v2. .1.1, "TETRA; Voice + Data (V + D); Part 7: Security" (February 2001).

이 절차 동안, ToW 내의 적응층은 적절한 보안 알고리즘을 동작시기고 DCK(Derived Ciphering Key)를 생성하도록 응답한다. 이 키(key)는 실질적으로 적응층에 의해 사용되어 Ut 인스턴스를 통한 모든 LLC 및 PDU를 암호화 및 복호화한다. SCK 및 CCK의 지원이 또한 가능하다. CCK는 SwMI에 의해 생성되어, SSI 식별정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그룹 주소지정된 시그널링 및 트래픽을 보호한다.During this procedure, the adaptation layer in the ToW responds to activate the appropriate security algorithm and generate a Derived Ciphering Key (DCK). This key is used substantially by the adaptation layer to encrypt and decrypt all LLCs and PDUs over the Ut instance. Support for SCK and CCK is also possible. The CCK is generated by SwMI, which not only protects SSI identification, but also protects group addressed signaling and traffic.

추가로, 본 발명의 아직 추가의 향상된 실시예가 전술된 그룹 호출에 대한 시그널링 흐름에 대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개별 및 전화 상호연결 호출을 지원할 것이다. 당업자는, 다른 절차 및 대응하는 시그널링 흐름(예를 들어, SDS 및 패킷 데이터 전송/수신에 대한 것)이 전술된 원리 및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적응 및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In addition, yet further improv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support individual and telephone interconnect calls in a manner similar to that for the signaling flow for group call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other procedures and corresponding signaling flows (eg, for SDS and packe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an be readily adapted and integrated using the principles and protocols described above.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은 TETRA 네트워크에 WLAN 기술을 통합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이에 따라 TETRA 제품 및 서비스에 이러한 WLAN 기술의 장점을 제공한다. 제안된 메커니즘은 IP 멀티캐스트 및 VoIP 기술에 기초한다.Accordingly,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chanism for integrating WLAN technology into a TETRA network, thus providing the advantages of such WLAN technology to TETRA products and services. The proposed mechanism is based on IP multicast and VoIP technology.

전술된 발명 개념을 구현하는 전술된 아키텍처, 디바이스, 기능 구성요소, 프로토콜 및 시그널링 흐름은 다음의 장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The foregoing architectures, devices, functional components, protocols and signaling flows that implement the inventive concepts described above tend to provi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advantages:

(ⅰ) WLAN와 TETRA 네트워드와의 통합은 차이 및 경쟁적 장점을 생성할 광범 위한 새로운 능력 및 이점을 제공한다.(Iv) Integration of WLAN and TETRA networks offers a wide range of new capabilities and benefits that will create differences and competitive advantages.

(ⅱ) 사무직원 및 다른 비지니스 사용자는 사무실 환경 내에서 및/또는 사설 WLAN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그 필드 내에서 듀얼-모드 TETRA/WLAN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Ii) Office clerks and other business users may use dual-mode TETRA / WLAN terminals in their fields as well as within an office environment and / or over a private WLAN.

(ⅲ) 공항, 호텔, 쇼핑 구역 등의 전략적 위치에서, TETRA 서비스는 WLAN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보다 나은 실내 적용범위, 증가된 성능, 새로운 서비스 등을 인에이블링한다.(Iii) At strategic locations such as airports, hotels, shopping areas, etc., TETRA services may be provided via WLAN. This enables better indoor coverage, increased performance, new services and more in a cost effective manner.

(ⅳ) WLAN를 통해, 향상된 서비스가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Iii) With WLAN, enhanced services are provided to end users. E.g:

(a) 훨씬 개선된 음성 품질을 제공하도록 향상된 음성 엔코딩 스킴(즉, TETRA TCH/S에 의해 제공되는 7.2kpbs 성능에 대한 제약이 필요 없음);(a) an enhanced speech encoding scheme (ie no need for the constraints of 7.2 kbps performance provided by TETRA TCH / S) to provide much improved speech quality;

(b)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음;(b) broadband data services may be supported;

(c)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음;(c) voice and data services may be provided simultaneously;

(ⅴ) 통상 TETRA MCCH 상에서 전송되는 제어 트래픽은 음성 및/또는 데이터 세션이 활성인 동안 이제 수신될 수 있다. 종래의 TETRA에서, 음성 세션 내의 단말기는 또한 주 제어 채널(MCCH) 상에서 제어 트래픽을 수신할 수 없는데, 이는 음성 및 MCCH 트래픽이 상이한 채널 상에서 전송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WLAN을 통한 TETRA 통신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것은 이제 가능하다.(Iii) Control traffic typically sent on the TETRA MCCH may now be received while the voice and / or data session is active. In conventional TETRA, terminals in a voice session are also unable to receive control traffic on the main control channel (MCCH) because voice and MCCH traffic are sent on different channels. How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ith TETRA communication over WLAN, this is now possible.

(ⅵ) 당업자는, IP 멀티캐스트에 의해, 여러 그룹 호출이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모니터링되는 등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Iii)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by IP multicast, multiple group calls can be monitored simultaneously by one user, and the like.

(ⅶ) WLAN 특징 무선 인터페이스 성능을 확장시키고 따라서 다수의 동시적 TETRA 음성/데이터 호출을 능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다.(I) WLAN Features Extends air interface performance and can therefore support multiple simultaneous TETRA voice / data calls in an efficient and cost effective manner.

(ⅷ) 당업자는 또한, 호출 셋업 지연 및 음성 전송 지연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WLAN이 보다 높은 비트 속도를 지원함으로써, 제어 메시지 및 음성 데이터그램이 보다 빠르게 전송된다.(Iii)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lso recognize that call setup delay and voice transmission delay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us, as WLANs support higher bit rates, control messages and voice datagrams are transmitted faster.

(ⅸ) 저렴한 가입자 디바이스가 지원될 수 있다 - 임의의 PC, PDA 또는 WLAN 어뎁터를 갖는 셀룰러가 사용될 수 있다.(Iii) Inexpensive subscriber devices may be supported—cellular with any PC, PDA or WLAN adapter may be used.

(ⅹ) 듀얼-모드 WLAN/셀룰러 모바일 단말기가 시장에 빠르게 통합되고, 이들 단말기는 또한 WLAN을 걸쳐 TETRA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Iii) Dual-mode WLAN / cellular mobile terminals are rapidly integrated into the market, and these terminals can also support TETRA services across the WLAN.

(ⅹⅰ) WLAN 액세스와 종래의 TETRA 액세스 사이의 고른(seamless) 로밍을 지원할 가능성: 즉, 모바일이 WLAN 영역에 엔터링(enter)하는 것은 새로운 그들이 TETRA 위치 영역에 엔터링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취급되는데, 그 새로운 TETRA 위치 영역에서, 그들은 전형적인 TETRA 이동성 관리 절차를 사용하여 SwMI를 그들의 새로운 위치로 갱신한다.(Iv) the possibility of supporting seamless roaming between WLAN access and conventional TETRA access: that is, mobile enters into the WLAN area is treated in a similar manner as new ones enter into the TETRA location area. In the new TETRA location area, they update the SwMI to their new location using a typical TETRA mobility management procedure.

(ⅹⅱ) 보충적인 TETRA 특징(예를 들어, 늦은 엔트리(Late Entry) 등)이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 그들 중 몇몇은 적은 SwMI 처리 또는 중재(예를 들어, 우선순위 모니터링)를 적게 갖는다.(Iii) Supplemental TETRA features (eg, Late Entry, etc.) can easily support-some of them have less SwMI processing or intervention (eg, priority monitoring).

(ⅹⅲ) TETRA 단말기는 그룹 호출(들), 데이터 세션(들)에 동시에 참여할 수 있고, 또한 통상 MCCH 상에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이는 종래의 TETRA 무선 시스템에서는 불가능한 새로운 성능을 생성한다.(Iii) A TETRA terminal may simultaneously participate in group call (s), data session (s), and also typically receives information transmitted on the MCCH. This creates new performance that is not possible with conventional TETRA radio systems.

(ⅹⅳ) WLAN은 주로 TETRA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 PDU의 전송의 위한 새로운 무선 액세스 스킴으로서 사용된다.(Iii) WLAN is mainly used as a new radio access scheme for the transmission of TETRA control and user data PDUs.

(ⅹⅴ) 바람직한 아키텍처는 TETRA SwMI에 최소한의 영향을 준다. IWF는 SwMI 코어와 용이하게 인터페이싱할 수 있는 특정 종류의 TETRA 기지국 제어기로서 고려될 수 있다.(Iii) The preferred architecture has minimal impact on TETRA SwMI. IWF can be considered as a particular kind of TETRA base station controller that can easily interface with the SwMI core.

(ⅹⅵ) WLAN 영역 내의 로컬 사이트 트런킹(Local Site Trunking)은 적절한 IWF 공학에 의해 용이하게 지원받을 수 있다.(Iii) Local Site Trunking in the WLAN area can be easily supported by appropriate IWF engineering.

(ⅹⅶ) 2개의 단말기는 임의의 다른 TETRA 단말기와 비슷한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는데, 즉, 새로운 가입자 프로파일이 필요 없다.(Iii) The two terminals can be managed in a similar manner as any other TETRA terminal, i.e. no new subscriber profile is required.

(ⅹⅷ) ToW 단말기와 종래의 TETRA 단말기 사이의 완벽한 호환성이 유지된다.(Iii) Full compatibility between ToW terminals and conventional TETRA terminals is maintained.

본 발명의 특정 구현이 설명됐지만,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의 영역에 속하는 이러한 구현들의 변형 및 수정도 또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고 있다.While specific implementation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clearly recognize that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of those implementation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may also be readily applied.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액세스 게이트웨이(WAG), 상호동작 기능(IWF) 및 전술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및 TETRA 시스템과 같은 사설 모바일 무선 시스템에 걸친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응된 무선 단말기가 설명된다.Thus, communication across wireless mobile systems,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ccess gateways (WAGs), interoperability functions (IWFs), and private mobile wireless systems such as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and TETRA systems with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described above. A wireless terminal adapted to facilitate this is described.

또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사설 모바일 무선 시스템 사이에서 WLAN과 사설 모바일 무선 시스템에 걸쳐 동작할 수 있는 듀얼-모드 단말기 및 그에 대한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방법이 종래 기술 절차에 의해 행해졌던 그러한 스케줄링 의 단점을 경감시키는 경향이 있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In addition, a dual-mode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across a WLAN and a private mobile wireless system betwee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 private mobile wireless system, and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the protocol therefor, has been developed by such prior art procedure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tends to alleviate the disadvantages.

Claims (10)

무선 통신 시스템(100, 200, 300)에 있어서,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200, 300),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이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 무선 시스템(160)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무선 통신 유닛(112, 116)이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거쳐 상기 TETRA 무선 시스템(160)과 TETRA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배치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 200, 300).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is operably connected to a TERE (Terrestrial Trunked RAdio) wireless system 160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112 and 116 communicate with TETRA wireless system 160 via th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200, 300) arranged to b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 200, 300)은 WLAN에 걸쳐 TETRA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116)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116)은 상기 WALN이 WLAN에 걸쳐 TETRA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단말기(116)과 WALN에 걸쳐 TETRA 무선 통신을 할 수 없는 단말기 사이를 구별할 수 있도록 특정 서비스 세트 식별정보(Service Set IDentifier; SSID)를 사용하여 상기 WLAN과 연관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200, 300).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200, 300) includes a terminal 116 capable of TETRA wireless communication over a WLAN, the terminal 116 is a terminal capable of TETRA wireless communication over the WLAN (WALN) 116)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200, 300 associated with the WLAN using a specific service set identifier (SSID) to distinguish between terminals that are not capable of TETRA wireless communication over the WALN.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WLAN은 상기 WLAN과 상기 TETRA 무선 시스템(160) 사이에 통신을 인터페이싱(interface)하도록 배치된 WLAN 액세스 게이트웨이(WAG; 142) 및 상호동작 기능(IWF; 150)을 포함하거나 그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 200, 300).The WLAN includes or is operably connected to a WLAN access gateway (WAG) 142 and an interworking function (IWF) 150 arranged to interface communication between the WLAN and the TETRA wireless system 160.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100, 200, 300.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WALN은 WLAN에 걸쳐 TETRA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116)로부터 상기 상호동작 기능(IWF; 150)으로 업링크 패킷들을 터널링(tunnel)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들(116)에 대한 특정 라우팅 시행 폴리시(policy)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200, 300).The WALN provides a specific routing enforcement policy for the terminals 116 to tunnel uplink packets from the terminal 116 capable of TETRA wireless communication over the WLAN to the interworking function (IWF) 150.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200, 300) for implementing a policy).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WLAN과 상기 TETRA 무선 시스템(160) 사이의 통신은 제어-판-서비스 액세스 포인트(CP-SAP; 465)와 하나 이상의 판-서비스 액세스 포인트들(UP-SAP; 470)과 인터페이싱하는 적응층(460)에 의해 지원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200, 300).Communication between the WLAN and the TETRA wireless system 160 may include an adaptation layer that interfaces with a control-panel-service access point (CP-SAP) 465 and one or more plate-service access points (UP-SAP) 470.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200, 300, supported by 46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적응층은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 상의 사용자-판 트래픽과 호출-연관된 제어 트래픽 사이를 구별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 200, 300).The adaptation layer is configured to distinguish between user- plate traffic and call-associated control traffic on the same access point.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적응층 메시지의 헤더는 TETRA SSID 및/또는 암호 모드 필드를 포함하고, 다운링크 방향에서, 상기 TETRA SSID는 데이터 패킷 수신자의 TETRA 주소를 식별하고/하거나, 업링크 방향에서, 상기 TETRA SSID는 데이터 패킷 발생자의 TETRA 주소를 식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200, 300).The header of the adaptation layer message includes a TETRA SSID and / or cryptographic mode field, in the downlink direction, the TETRA SSID identifies the TETRA address of the data packet receiver and / or in the uplink direction, the TETRA SSID is a data packet.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0, 200, 300) identifying a generator's TETRA address.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적응층 메시지는 그룹 호출을 셋업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 200, 300).The adaptation layer message is configured to set up a group call.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상기 적응층 메시지는 상기 패킷 내에 캡슐화된 논리 링크 제어(LLC) 패킷 데이터 유닛(PDU) 또는 RTP PDU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200, 300).The adaptation layer message includes an information field for identifying whether an Encapsulated Logical Link Control (LLC) Packet Data Unit (PDU) or RTP PDU is present in the packet. WLAN 및 TETRA 무선 시스템(160)에 걸쳐 동작할 수 있는 듀얼-모드 단말기(dual-mode terminal; 116)로 상기 WALN과 상기 TETRA 무선 시스템(160) 사이에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1. A method of communicating between the WALN and the TETRA wireless system 160 in a dual-mode terminal 116 capable of operating across a WLAN and TETRA wireless system 160. 예를 들어, 서비스 세트 식별정보(SSID)를 사용하여 상기 WLAN과의 연관을 요구하는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725);Receiving (725) a message from the dual-mode terminal requesting association with the WLAN using, for example, service set identification (SSID); 상기 WLAN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사설 모바일 무선 통신들을 라우팅하도록 터널을 생성하는 단계(735);Creating (735) a tunnel to route private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to or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WLAN; 상기 단말기로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통신들을 라우팅하도록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740, 745);Assigning an address (740, 745) to route communications to or from the terminal; 상기 할당된 주소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달된 패킷들을 처리하는 단계(755, 760, 765); 및Processing (755, 760, 765) the forwarded packets comprising extracting the assigned address; And 상기 추출된 할당된 주소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로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패킷들을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WALN과 TETRA 무선 시스템 사이의 통신 방법.Routing packets to or from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extracted assigned address.
KR1020077022448A 2005-03-01 2006-02-28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 and methods and protocols for use therein KR2007011223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504149A GB2423888B (en) 2005-03-01 2005-03-01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 and methods and protocols for use therein
GB0504149.6 2005-03-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231A true KR20070112231A (en) 2007-11-22

Family

ID=3443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448A KR20070112231A (en) 2005-03-01 2006-02-28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 and methods and protocols for use therein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856928A4 (en)
KR (1) KR20070112231A (en)
CN (1) CN101133663A (en)
CA (1) CA2599007A1 (en)
GB (1) GB2423888B (en)
WO (1) WO200609408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31270B1 (en) * 2007-04-12 2010-06-25 Teltronic, S.A.U. SYSTEM AND METHOD OF INTERCONNECTION BETWEEN NETWORK INFRASTRUCTURES.
GB0801594D0 (en) * 2008-01-29 2008-03-05 Sepura Plc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US9674635B2 (en) 2010-03-29 2017-06-0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applications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for an expanded operating mode
US8504090B2 (en) * 2010-03-29 2013-08-06 Motorola Solutions, Inc. Enhanced public safety communication system
US8380160B2 (en) 2010-03-29 2013-02-1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safety in a public safety communication system
HUE049209T2 (en) * 2011-08-31 2020-09-28 Airbus Defence & Space Oy Delivering information needed for a secure network connection
CN103188617B (en) * 2011-12-27 2016-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Realize the method for group service, entity and system
US9100988B2 (en) 2012-10-22 2015-08-04 Motorola Solutions, Inc. Mobile repeater system based ad hoc trunked sites
GB2518581A (en) * 2013-04-17 2015-04-01 Ranjit Singh Rai SRGW1 TCP/IP TETRA gatewa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9992593A (en) * 1999-12-02 2001-06-03 Nokia Networks Oy Call routing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020136226A1 (en) * 2001-03-26 2002-09-26 Bluesocke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seamless roaming of mobile devices among wireless networks
US7206294B2 (en) * 2001-08-15 2007-04-17 Meshnetworks, Inc. Movable access points and repeaters for minimizing coverage and capacity constrai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US8576878B2 (en) * 2002-06-04 2013-11-05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parties in real-time data communication
KR100625654B1 (en) * 2002-08-29 2006-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ecision Method Of Access System Based On WLAN Signal Strength In Wireless LAN and Mobile Interworking System and Mobile Terminal Equipment Therefor
US7835751B2 (en) * 2002-10-18 2010-11-16 Ibe Oliver C Method of seamless roaming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nd cellular carrier networks
FI20030429A0 (en) * 2003-03-24 2003-03-24 Nokia Corp Group traffic on a mobile network
CN1549634A (en) * 2003-05-09 2004-11-24 �ʼҷ����ֵ��ӹɷ����޹�˾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roaming between radio wide area net and radio local area 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94088B1 (en) 2006-11-09
EP1856928A4 (en) 2014-02-19
GB0504149D0 (en) 2005-04-06
WO2006094088A1 (en) 2006-09-08
CA2599007A1 (en) 2006-09-08
CN101133663A (en) 2008-02-27
GB2423888B (en) 2007-06-06
GB2423888A (en) 2006-09-06
EP1856928A1 (en)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321B1 (en) Radio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devices, and methods and protocols for use therein
KR20070112231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 and methods and protocols for use therein
EP1234418B1 (en) Call routing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7203482B2 (en) Authentication of mobile devices via proxy device
US7542455B2 (en) Unlicensed mobile access (UMA) communications using decentralized security gateway
US8054165B2 (en) Mobile station messaging for channel activation in an un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200112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 mobile station to sense and select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or a wide area mobile wireless network (WWAN)
US82650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generic access network functiona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80192925A1 (en) Means and Method for Ciphering and Transmitting Data in Integrated Networks
US20030134638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ity management of a mobile station in WLAN and WWAN environments
US20070121540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stations with access to service providing networks
US20030133421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WAN services to a mobile station serviced by a WLAN
US20010046860A1 (en) Call originating service method in a public and private comm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US20100273475A1 (en) Data access
US7697956B2 (en) Management of LAN devices behind firewalls via dual mode mobile device
Salkintzis Evolving public safety communication systems by integrating WLAN and TETRA networks
KR20060015477A (en) Tight coupling signaling connection management for coupling a wireless network with a cellular network
US20090296673A1 (e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pseudo-basic service set (bss)-like network over an independent basic service set (ibss) mode air interface
US20090296671A1 (en) Communications between a client device and an infrastruture device
US20090296672A1 (en) Methods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a client device and an infrastructure device
US116068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CN GW and X2 GW realizations for enterprise deploy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