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1587A -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1587A
KR20070111587A KR1020060044543A KR20060044543A KR20070111587A KR 20070111587 A KR20070111587 A KR 20070111587A KR 1020060044543 A KR1020060044543 A KR 1020060044543A KR 20060044543 A KR20060044543 A KR 20060044543A KR 20070111587 A KR20070111587 A KR 20070111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battery
voltage
switching
equa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6457B1 (ko
Inventor
이진형
금만희
Original Assignee
(주) 다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다쓰테크 filed Critical (주) 다쓰테크
Priority to KR1020060044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457B1/ko
Publication of KR20070111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at least two simultaneously operating switches on the input side, e.g. "double forward" or "double (switched) flyback"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고효율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는 2차측 정류단의 구조가 전류원 타입인 다중 출력 하프-브리지 플라이백 컨버터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전압을 균등화 시킴으로서 배터리 수명의 연장과 충전 효율을 상승시킨다.
Figure 112006034613962-PAT00001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 비대칭 펄스폭 변조방식, 다중 출력 하프-브리지 플라이백 컨버터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Battery charging equalizer}
제 1도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수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을 등화 시키는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의 회로도
제 2도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의 확장 실시 예
컴퓨터, 통신장비, 공정제어 시스템 등과 같이 전원에 민감한 장비들에 대 해 데이터의 손실, 통신서비스의 장애 및 생산 공정의 장시간 중단 등과 같 은 심각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무정전 전원장치 (uninterruptible power supply)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현재 무정전 전원장치의 주된 에너지 저장 수단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 러한 복수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들은 주변 환경의 온도와 충전 및 방전 과 정에서 전하 불균형 상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 셀들의 전하 불 균형 상태는 각 배터리 셀들의 전기적 상태를 변화시키고, 전압 차를 유발 한다. 따라서 재충전 시, 일부 배터리 셀들은 높은 전압으로 충전되는 반 면, 다른 일부 배터리 셀들은 낮은 전압으로 충전된다. 높은 전압의 셀들은 전해물 (electrolyte)의 손실로 배터리의 과열을 발생시키고, 낮은 전압의 셀들은 배터리 전극 (electrode)의 용해로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 제를 지닌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을 충전시키고, 각 배터리 셀의 전 압을 균등화시키기 위한 배터리 충전 균등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배터리 수명의 연장과 충전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직렬 연결된 배 터리들의 전하를 균등히 분배시키는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가 필요하다. 따 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들의 전압을 균등화 시키는 고효율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를 제안 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수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들의 전압을 균등화시키는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제 안하는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는 다중 출력 하프-브리지 플라이백 (half-bridge flyback) 컨버터로 구성되며, 소프트 스위칭 기법이 적용된 다. 제 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출력 하프-브리지 플라이백 컨버터 는 스위치 소자 (S 1 , S 2 ), 공진 콘덴서 (C r ), 트랜스포머 (T)와 각각의 m 개의 배터리 셀 전압에 대한 출력 다이오드 (D o1, D o2, .....D om ) 및 직렬 연결되는 출력 콘덴서 (C o1, C o2, .....C om )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프-브리지 플라이백 컨버터의 스위치 소자는 고정 주파수 하에서 서로 반대 신호로 제어하는 비대칭 펄스폭 변조방식 (asymmetrical pulse-width modulation)에 의하여 동작된다. 하프-브리지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비대칭 펄스폭 변조 방식을 이용하게 되면, 공진 콘텐서 (C r )와 트랜스포머 (T)의 자화 인덕턴스 (magnetizing inductance) 및 누설 인덕턴스 (leakage inductance)간의 공진 (resonance)을 통하여 스위치 소자에서 영전압 스위칭과 출력 다이오드에서 영전류 스위칭을 이룰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효율을 상승시킨다. 뿐만 아니라, 전류원 타입의 단순한 2차측 정류단의 구조로 인해 다중 출력을 갖는 컨버터로서의 이점을 지닌다.
제 1도의 m 개의 배터리 셀 전압에 대한 다중 출력 하프-브리지 플라이백 컨버터는 하나의 출력 전압 (V o1 )을 궤환 (feedback)하여 일정 출력 전압으로 제어하고, 다른 출력 전압 (V o2, V o3, .....V om )들은 별도의 제어 회로 없이 출력 전압 (V o1 )과 동일한 전압의 정류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직렬 연결된 전체 배터리 전압 (V BT )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체 배터리 전압을 통하여, 낮은 전압의 배터리 셀들은 많은 양의 전류로 충전되고, 높은 전압의 배터리 셀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류로 충전됨으로써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들의 전압을 균등화 시킬 수 있다.
제 2도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의 확장 실시 예를 나타내는 회로이다. 즉, 임의의 n x m 개의 동일한 출력 전압을 얻어 각각의 n x m 개의 배터리 셀을 등화 시킬 수 있도록 n 개의 트랜스포머의 병렬 조합과 m 개의 출력 다이오드 및 직렬 연결되는 출력 콘덴서가 각각 배열되고, 각 n 개의 트랜스포머들은 각 트랜스포머의 1차권선 간에 병렬로 연결 되어진다. 병렬 조합되는 각각의 트랜스포머 (T 1, T 2, .....T n )들의 1차 전압은 트랜스포머 (T o )의 1차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생성되는 특징을 지닌다. 제 2도의 충전 균등화기는 하나의 트랜스포머 (T o )에 대한 2차 출력 전압 (V oT )을 궤환하여 일정 출력 전압으로 제어하고, 각각의 동일한 2차 출력 전압 (V oT, V 1T, .....V nT )과 일정한 n x m 개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들에 일정한 출력 전압 (V o1, V o2, .....V nm )을 공급한다. 따라서 제 2도의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는 전체 배터리 전압 (V BT )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제 1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체 배터리 전압을 통하여, 임의의 n x m 개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들의 전압을 균등화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을 충전시키고, 각 배터리 셀의 전압을 균등화시키기는 제 2도의 다중 출력 하프-브리지 플라이백 컨버터는 고효율의 복수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의 충전 균등화기이다.
본 발명에서의 고효율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는 2차측 정류단의 구조가 전류원 타입인 다중 출력 하프-브리지 플라이백 컨버터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전압을 균등화 시킴으로서 배터리 수명의 연장과 충전 효율을 상승시킨다.

Claims (1)

  1. 복수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을 충전시키고, 각 배터리 셀의 전압을 균등 화시키기 위한 고효율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로서 2차측 정류단의 구조가 전 류원 타입인 다중 출력 플라이백 컨버터로 구성된 제 1도의 회로도이다.
KR1020060044543A 2006-05-18 2006-05-18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 KR100836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543A KR100836457B1 (ko) 2006-05-18 2006-05-18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543A KR100836457B1 (ko) 2006-05-18 2006-05-18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587A true KR20070111587A (ko) 2007-11-22
KR100836457B1 KR100836457B1 (ko) 2008-06-09

Family

ID=3909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543A KR100836457B1 (ko) 2006-05-18 2006-05-18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4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336A3 (en) * 2008-04-22 2010-01-14 Sk Energy Co., Ltd. Two-stage charge eq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ies-connected battery string
CN103312041A (zh) * 2012-03-12 2013-09-18 三星Sdi株式会社 电池系统及包括该电池系统的能量存储系统
WO2015079188A1 (fr) * 2013-11-29 2015-06-04 Commissariat à l'énergie atomique et aux énergies alternatives Dispositif d'equilibrage de charge des elements d'une batterie de puissance
US10008861B2 (en) 2012-05-15 2018-06-26 Renault S.A.S. Charge balancing in a battery
KR20200021368A (ko)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뷰커뮤니케이션 셀 충전 전류 기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127B1 (ko) * 2003-02-13 2005-01-27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균등 충전장치
KR200359024Y1 (ko) * 2004-05-10 2004-08-21 주식회사 코캄엔지니어링 개별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충전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336A3 (en) * 2008-04-22 2010-01-14 Sk Energy Co., Ltd. Two-stage charge eq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ies-connected battery string
CN102017357A (zh) * 2008-04-22 2011-04-13 Sk能源株式会社 用于串联电池串的两级充电均衡化方法和装置
US8779722B2 (en) 2008-04-22 2014-07-15 Sk Innovation Co., Ltd. Two-stage charge eq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ies-connected battery string
CN103312041A (zh) * 2012-03-12 2013-09-18 三星Sdi株式会社 电池系统及包括该电池系统的能量存储系统
US9041345B2 (en) 2012-03-12 2015-05-26 Samsung Sdi Co., Ltd. Battery system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same
US10008861B2 (en) 2012-05-15 2018-06-26 Renault S.A.S. Charge balancing in a battery
WO2015079188A1 (fr) * 2013-11-29 2015-06-04 Commissariat à l'énergie atomique et aux énergies alternatives Dispositif d'equilibrage de charge des elements d'une batterie de puissance
FR3014253A1 (fr) * 2013-11-29 2015-06-0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quilibrage de charge des elements d'une batterie de puissance
US10003202B2 (en) 2013-11-29 2018-06-19 Commissariat à l'énergie atomique et aux énergies alternatives Device for balancing a power battery element load
KR20200021368A (ko)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뷰커뮤니케이션 셀 충전 전류 기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457B1 (ko) 2008-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8977B2 (en) Battery equalization circuits for series charging/discharging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KR101188944B1 (ko) 다중 변압기의 2차 권선을 병렬로 연결한 전하 균일 장치
KR101168078B1 (ko)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KR101174166B1 (ko) 다중 변압기의 1차 권선을 병렬로 연결한 전하 균일 장치
KR101251064B1 (ko) 고승압비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US96857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lancing multi-cell batteries with a transformer and a rectifier circuit
KR101397026B1 (ko)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Lu et al. Isolate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with quasi-resonant zero-voltage switching for battery charge equalization
US8269455B2 (en) Charge balancing system
KR101863717B1 (ko) 배터리용 충전 균일화 시스템
US20130020982A1 (en) Equalization system for accumulator batteries
US20110057626A1 (en) Power supply and charging circuit for high energy capacitors
JP2015154606A (ja) 蓄電状態調整回路、蓄電状態調整システム、及び電池パック
KR100836457B1 (ko) 배터리 충전 균등화기
CN114336911A (zh) 一种串联电池均衡充电电路
JP5285322B2 (ja) 電圧均等化装置並びに充電装置、組蓄電装置、充電システム
TWI455445B (zh) 電源管理系統
JP2004064977A (ja) 無停電電源装置
US20030227364A1 (en) Power transforming apparatus with multiple parallel-connected transformers
JP2010098782A (ja) 直列セルの電圧バランス補正回路および蓄電装置
TW201914184A (zh) 具隔離式高升壓轉換器及串聯電池平衡模組的電力裝置
Karnjanapiboon et al. The high efficiency charge equalized system for serially connected VRLA battery string using synchronous flyback converter
CN113708442A (zh) 旁路型电池均衡装置及控制方法
US11095128B2 (en) Voltage balance correction circuit
JP5604947B2 (ja) 電源装置及び電圧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