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144A -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144A
KR20070110144A KR1020077023329A KR20077023329A KR20070110144A KR 20070110144 A KR20070110144 A KR 20070110144A KR 1020077023329 A KR1020077023329 A KR 1020077023329A KR 20077023329 A KR20077023329 A KR 20077023329A KR 20070110144 A KR20070110144 A KR 20070110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t
information
virtual
dots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0110B1 (ko
Inventor
켄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켄지 요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0642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11014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켄지 요시다 filed Critical 켄지 요시다
Priority to KR102007702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110B1/ko
Publication of KR2007011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2019/06215Aspects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 G06K2019/06234Aspects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miniature-c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물 등 매체면에,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사각형 영역을 블록으로 하고, 이 블록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직선을 기준 격자선으로 하고, 상기 기준 격자선 상의 소정 간격마다 가상 기준 격자점을 설치하고, 상기 가상 기준 격자끼리를 연결하며 상기 기준 격자선과 병행하는 직선을 격자선으로 하고, 격자선 끼리의 교점을 가상 격자점으로 하고, 이 가상 격자점을 기준으로 거리와 방향을 갖는 도트를 각각 배치한 도트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도트 패턴을 화상정보로서 광학 독취 수단으로 읽어 들이고, 상기 도트 패턴을 수치화하고, 상기 수치화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억수단으로부터 읽어내서 출력하도록 했다.
도트 패턴, 정보 도트

Description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INFORMATION INPUT/OUTPUT METHOD USING DOT PATTERN}
본 발명은, 인쇄물 등에 형성된 도트 패턴(dot pattern) 정보를 광학적으로 독취함으로써, 여러 가지 정보나 프로그램을 입출력시키는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인쇄물 등에 인쇄된 바코드(bar code)를 독취하여 음성 등의 정보를 출력시키는 정보 출력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리 기억수단에 부여된 키(key)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기억시켜 두고, 바코드 리더(bar code reader)로 읽어 들인 키로부터 검색하여 정보 등을 출력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많은 정보나 프로그램을 출력할 수 있도록, 미세한 도트를 소정의 법칙으로 정렬시켜 도트 패턴을 생성하고, 인쇄물 등에 인쇄된 도트 패턴을 카메라에 의하여 화상 데이터로서 수납하고, 디지털화하여 음성 정보를 출력시키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바코드에 의하여 음성 등을 출력시키는 방법은, 인쇄물 등에 인쇄된 바코드가 눈에 거슬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코드가 크면, 지면의 일부를 점유하기 때문에, 일부분의 문장 또는 사진, 그림, 그래픽의 화상 속에 등장하는 의미를 가진 캐릭터나 대상물마다 인식하기 쉬운 수많은 바코드를 할당한다는 것은 레이아웃(layout) 상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도트 패턴을 카메라에 의하여 화상 데이터로서 수납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무채색의 256 계조로 디지털화하고, 도트를 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계조의 변화를 미분하고 도트의 엣지(edge)를 샤프(sharp)하게 한다. 다음에 256 계조의 데이터를 흑 또는 백으로 2치화(2値化)한다. 이처럼 2치화하면, 도트를 지면에 인쇄할 때, 인쇄의 엇갈림이나 퍼짐, 화소화했을 때의 엇갈림이 원인이 되어 도트 인쇄에 에러(error)가 생긴다. 종래에는 그러한 인쇄 에러를 패리티 체크(parity check)에 의하여 체크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에러 체크는, 도트마다의 인쇄 에러 체크가 아니라, 복수의 도트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의 덩어리에 대해 에러 체크를 하여, 어느 도트에 인쇄 에러가 발생했는지 확정할 수 없다는 문제와 카메라의 촬상 범위를 넓게 취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렌즈의 왜곡이나 비스듬한 촬상, 지면의 신축, 매체 표면의 만곡, 인쇄시의 일그러짐에 의해 촬상된 도트 패턴에 왜곡이 생겨, 이를 보정하기 위한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물 등에 표시된 도트 패턴의 각 도트에 상이한 정보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다량의 데이터를 도트 패턴으로 정의하고, 그 도트 패턴으로부터 정보화할 때 방향성을 인식하여 신속히 정보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트의 배치 상태의 에러를 체크할 수 있어, 한층 안전성(security)을 높일 수 있는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인쇄물 등의 매체면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사각형(矩形) 영역을 블록(block)으로 하고, 상기 블록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직선을 기준 격자선으로 하고, 상기 기준 격자 선상의 소정 간격마다 가상 기준 격자점을 설정하고, 가상 기준 격자점 상에 기준 격자점 도트를 배치하고, 상기 가상 기준 격자점끼리 연결하면서 상기 기준 격자선과 병행하는 직선을 격자선으로 하고, 격자선 끼리의 교점을 가상 격자점으로 하고, 상기 가상 격자점을 기준으로 거리와 방향을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정보 도트를 각각 배치한 도트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도트 패턴을 화상 정보로서 광학 독취 수단으로 읽어 들이고, 상기 도트 패턴을 수치화하고, 상기 수치화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억수단으로부터 읽어내 출력하는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이다.
청구항 1에 따르면, 블록 내에서 다량으로 형성되는 격자점(제1 가상 격자점)마다 정보 도트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정보를 블록 내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방향마다의 가상 기준 격자점이란, 종방향 또는 횡방향의 일정 간격을 의미하는데, 종방향과 횡방향에서의 간격을 다르게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는, 상기 블록에 있어서, 사선 방향의 가상 기준 격자점끼리 연결하는 사선 방향 격자선을 더 설정하고, 상기 사선 방향 격자선끼리의 교점도 가상 격자점(제2 가상 격자점)으로 하고, 그 가상 격자점을 기준으로 거리와 방향을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도트가 배치된 청구항 1에 기재한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이다.
청구항 2에 따르면, 사선 방향의 격자선 끼리의 교점인 가상 격자점 마다도 정보 도트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많은 정보를 블록 내에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은, 상기 도트 패턴은, 상기 가상 격자점을 기준으로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지 없는지로서 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이다.
청구항 3에 따르면, 도트를 배치하지 않는 영역을 의도적으로 생성하여 배치함으로써, 인쇄면 상의 영역을 격성(隔成)하는 마스크의 바깥 테두리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영역 내의 모든 가상 격자점 상에 도트를 배치함으로써 획일적인 배경 정보로서 인식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가상 격자점 상에 도트가 있는지 없는지로서 정보를 정의하는 제1 알고리즘과, 가상 격자점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는 정보 도트에 의한 제2 알고리즘을 혼재시킬 수 있어, 보다 많은 정보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는, 상기 블록을 구성하는 기준 격자선 상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 격자점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상기 블록의 방향을 정의한 키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이다.
이와 같이, 키 도트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블록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키 도트를 이용하면 광학 독취 수단의 독취 축에 대해 소정 방향의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독취한 도트 패턴 화상을 보정하거나 기울기의 각도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키 도트를 배치했을 경우에는, 그 부분(가상 기준 격자점 상의 기준 격자점 도트)은 키 도트로 대체되기 때문에 존재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는, 상기 블록 내에 있어서 소정 위치의 정보 도트를 키 도트로 하고, 상기 블록 중심을 축으로 하여, 상기 키 도트가 소속하는 사각형 영역을 90도씩 회동(回動)시킨 위치에 있는 각각의 사각형 영역에 배치되는 정보 도트는, 상기 키 도트를 정의시키기 위해 필요한 방향을 제외한 방향 또는 거리로서 정보가 정의되고 있는 청구항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이다.
여기에서, 블록 중심 이외의 정보 도트를 키 도트로 한 경우, 블록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90도씩 회동시켰을 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정보 도트는 광학 독취 수단으로 읽어낸 경우, 키 도트와 구별할 수 없게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으나, 본 청구항 5에 따르면, 키 도트 이외의 사각형 영역에서는 정보 도트를 부여하는 방법을 다르게 함으로써, 키 도트와 정보 도트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키 도트는 가상 격자점으로부터 종횡 방향만의 벡터(vector)로서 배치해 두고, 90도마다 회동한 위치에 있는 다른 사각형 영역에서는 사선 방향으로 정보를 정의하면 된다.
또한, 키 도트는 벡터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로 해 두고, 90도마다 회동한 위치에 있는 다른 사각형 영역에서는 다른 길이의 벡터로서 정보를 정의하여 두어도 된다.
이와 같이 키 도트가 배치될 가능성이 있는 영역에 대해 미리 정보 도트의 정의 방법을 키 도트와는 다르도록 정해 둠으로써, 키 도트 이외의 영역에 정보 도트를 배치할 수 있어, 낭비가 없는 도트 패턴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블록 중심에 키 도트를 배치했을 경우에는, 블록 내의 다른 정보 도트는 종방향, 횡방향, 사선방향 중 하나로서 정보를 정의해도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은, 상기 블록의 정보 도트에 있어서, 상기 정보 도트의 블록 내의 위치에 의하여, 정보 도트 마다 상기 가상 격자점으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을 임의로 한정하여 정보가 정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5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이다.
청구항 6에 따르면, 가상 격자점으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을 임의로 한정해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도트에 의한 정보의 정의의 방법을, 예를 들면 상기 도트 패턴을 사용하는 업종마다(제조업마다, 서비스업마다 또는 도트 패턴을 사용하는 기업마다)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트 패턴을 한정된 용도마다 구별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호 안전성를 확보할 수 있다. 즉, 한정하여 정의된 정보는, 이에 대응한 광학 독취 수단으로 밖에 읽어낼 수 없게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트 패턴의 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도트 패턴의 정보 도트의 한 예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의 (a), (b), (c)는, 키 도트와 정보 도트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정보 도트 및 여기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정보 도트 및 여기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예이며, (a)는 도트를 2개, (b)는 도트를 4개, (c)~(e)는 도트를 5개, (f)는 7개 배치했을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블록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며, (a)는 2×3=6개의 사각형 영역, (b)는 3×3=9개의 사각형 영역, (c)는 4×3=12개의 사각형 영역, (d)는 5×5=25개의 사각형 영역의 각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하위 비트에 ‘0’과 ‘1’을 할당하여 정보 도트의 에러를 체크하는 방법의 설명도.
도 8은 정보 도트의 안전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진치(眞値) K와 안전성 테이블 R와 정보 도트 I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더미(dummy) 도트와 빈 도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1은 더미 도트의 설명도, (a)-2는 빈 도트의 설명도, (b) 및 (c)는 인쇄물의 한 예, (d)-1은 빈 도트로 2개의 마스크의 경계를 규제하고 있는 도트 패턴의 배치예, (d)-2는 빈 도트로 마스크와 배경의 경계를 규제하고 있는 도트 패턴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의 (a)는 정보 도트를 입력하는 순번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b)는 도트 패턴을 읽어 들여 X, Y 좌표치를 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블록의 바깥 테두리를 구성하는 기준 격자선과 기준 격자점 도트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격자선, 사선 방향 격자선 및 가상 격자점 및 정보 도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가상 격자점을 기준으로 한 정보 도트(3)의 탐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블록의 방향과 키 도트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트 패턴의 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도트 패턴의 정보 도트 및 거기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한 예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a), (b), (c)는 키 도트와 정보 도트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은, 도트 패턴(1)의 인식과 이 도트 패턴(1)으로부터 정보 및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즉, 도트 패턴(1)을 카메라에 의하여 화상 데이터로서 수납하고, 우선, 기준 격자점 도트(4)를 추출하고, 이를 가상 기준 격자점(6)의 위치로 판정하고, 이들 가상 기준 격자점(6)을 연결하는 직선을 기준 격자선(7)으로 한다. 그리고, 이 기준 격자선(7) 상에서, 본래 기준 격자점 도트(4)가 있어야 할 가상 기준 격자점(6) 의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가상 기준 격자점(6)의 주변의 도트를 추출하고, 이를 키 도트(2)(블록의 네 귀퉁이 각진 부분)로 한다. 그리고, 다음으로 상기 가상 기준 격자점(6) 끼리를 연결하는 종횡의 격자선(8a), (8b)를 설정하고, 그 격자선(8a), (8b) 끼리의 교점을 가상 격자점(11)(제1 가상 격자점)으로 한다. 그리고 그 가상 격자점(11)의 주위의 도트를 탐색하고, 그 가상 격자점으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으로 정의되는 정보 도트(3)를 추출한다.
또한, 가상 기준 격자점(6) 끼리를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사선 방향 격자선(8c)을 설정하고, 그 비스듬한 격자선(8c) 끼리의 교점도 가상 격자점(12)(제2 가상 격자점)로 한다. 그리고 그 가상 격자점(12)의 주위의 도트도 탐색하고, 그 가상 격자점(12)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으로 정의되는 정보 도트(3)를 추출한다.
다음에, 키 도트(2)의 가상 기준 격자점(6) 또는 가상 격자점(11)으로부터의 방향에 따라 상기 블록의 방향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키 도트(2)가 가상 격자점으로부터+y 방향으로 어긋나 있을 경우에는 종방향을 정위(正位)로 하여 블록 내의 정보 도트(3)를 인식하면 된다.
또한, 키 도트(2)가 가상 기준 격자점(6) 또는 가상 격자점(11)으로부터 -y 방향으로 어긋나 있으면 상기 블록을 블록 중심을 축으로 180도 회전시킨 방향을 정위로 하여 블록 내의 정보 도트(3)를 인식하면 된다.
또한, 키 도트(2)가 가상 기준 격자점(6) 또는 가상 격자점(11)으로부터 -x 방향으로 어긋나 있으면 상기 블록을 블록 중심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 시킨 방향을 정위로 하여 블록 내의 정보 도트(3)를 인식하면 된다.
또한, 키 도트(2)가 가상 기준 격자점(6) 또는 가상 격자점(11)으로부터 +x 방향으로 어긋나 있으면 상기 블록을 블록 중심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방향을 정위로 하여 블록 내의 정보 도트(3)를 인식하면 된다.
광학 독취 수단으로 독취한 도트 패턴의 화상이 프레임 버퍼(frame buffer)에 축적되면, 상기 광학 독취 수단의 중앙 처리장치(CPU)는, 프레임 버퍼의 도트를 해석하고, 각 정보 도트(3)의 가상 격자점(11), (12)으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에 따라 정보 도트(3)마다 정의된 수치를 복호한다. 그리고 이들의 수치는 xy 좌표 또는 코드로서 광학 독취 수단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메모리에 격납된 정보와 대조하여, 상기 xy 좌표 또는 코드에 대응하는 음성, 화상, 동영상, 문자, 프로그램 등이 독취되고, 표시수단, 음성화상 출력수단 등으로부터 출력된다.
본 발명의 도트 패턴(1)의 생성은, 도트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음성 등의 정보를 인식시키기 위해 미세한 도트, 즉, 키 도트(2), 정보 도트(3), 기준 격자점 도트(4)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열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물 등의 매체면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사각형 영역을 블록 1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 1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직선을 기준 격자선(7)(도 1에서 굵은선으로 나타낸 선)으로 하고, 상기 기준 격자선(7) 상의 소정간격마다 가상 기준 격자점(6)을 설정하고, 가상 기준 격자점(6) 상에 기준 격자점 도트(4)를 배치한다. 다음에, 상기 가상 기준 격자점(6) 끼리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기준 격자선(7)과 병행하는 직선을 격자 선(8a), (8b)으로 하고, 격자선(8a), (8b) 끼리의 교점을 가상 격자점(11)(제1 가상 격자점)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가상 기준 격자점(6) 끼리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사선 방향 격자선(8c)을 더 설정하고, 그 사선 방향 격자선(8c) 끼리의 교점도 가상 격자점(12)(제2 가상 격자점)으로 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격자점을 기준으로 거리와 방향을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정보 도트(3)를 각각 배치하여 도트 패턴을 생성한다.
카메라로 이 도트 패턴(1)을 화상 데이터로서 수납할 때에, 카메라 렌즈의 왜곡이나 비스듬한 촬상, 지면의 신축, 매체 표면의 만곡, 인쇄 시의 왜곡을 상기 기준 격자점 도트(4)에 의하여 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왜곡된 4점의 가상 격자점을 원래의 정사각형으로 변환하는 보정용의 함수(Xn, Yn)=f(X′n, Y′n)를 구하고, 그와 동일한 함수로 정보 도트를 보정하여, 올바른 정보 도트(3)의 벡터를 구한다.
도트 패턴(1)에 기준 격자점 도트(4)를 배치하면, 도트 패턴(1)을 카메라로 수납한 화상 데이터는, 카메라가 원인이 되는 왜곡을 보정하므로, 왜곡률이 높은 렌즈를 부착한 보급형 카메라로 도트 패턴(1)의 화상 데이타를 수납할 때에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트 패턴(1)의 면에 대해서 카메라를 기울여서 읽어 내더라도, 도트 패턴(1)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키 도트(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 모양으로 배치한 가상 격자 점의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 있는 1개의 가상 격자점(11)을 기준으로 거리와 방향에 따라 배치된 도트이다. 이 키 도트(2)는, 하나로 묶은 정보 도트군을 나타내는 1블록 분의 도트 패턴(1)의 대표점이다. 예를 들면, 도트 패턴(1)의 블록의 중심의 가상 격자점으로부터 상방으로 0.2㎜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 도트(3)가 가상 격자점으로부터의 X, Y 좌표치로 정의되는 경우에는, 키 도트(2)로부터 하방으로 0.2㎜의 거리의 위치가 가상 격자점(좌표점)이 된다. 단, 이 수치(0.2㎜)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트 패턴(1) 블록의 대소에 대응하여 변할 수 있다.
정보 도트(3)는 여러 가지의 정보를 인식시키는 도트이다. 이 정보 도트(3)는, 도 1의 경우, 키 도트(2)를 대표점으로 하고, 그 주변에 배치함과 동시에, 4점의 가상 격자점(11)(제1 가상 격자점)으로 둘러싸인 중심을 가상 격자점(12)(제2 가상 격자점)으로 하고, 이를 시점으로 하고 벡터에 의하여 표현한 종점에 배치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이 정보 도트(3)는, 가상 격자점(11), (12)로 둘러싸이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가상점으로부터 0.2㎜ 떨어진 도트는, 벡터로 표현되는 방향과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 45도씩 회전시켜 8 방향으로 배치하고, 3 비트를 표현하고 있다.
이 그림에 따르면, 1 블록의 도트 패턴(1)으로 3 비트×16개=48 비트를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도시예에서는 8 방향으로 배치하여 3 비트를 표현하고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 않고, 16 방향으로 배치해 4 비트를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여러 가지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키 도트(2), 정보 도트(3) 또는 기준 격자점 도트(4)의 도트의 직경은, 외관, 지질에 대한 인쇄의 정밀도, 카메라의 해상도 및 최적의 디지털화를 고려해 0.1㎜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촬상 면적에 대한 필요한 정보량과, 각종 도트(2), (3), (4)의 오인을 고려하여 기준 격자점 도트(4)의 간격은 세로 및 가로 1㎜ 전후가 바람직하다. 기준 격자점 도트(4) 및 정보 도트(3)과의 오인을 고려하여, 키 도트(2)의 어긋남은 격자 간격의 20% 전후가 바람직하다.
이 정보 도트(3)와 가상 격자점(11), (12)과의 간격은, 인접하는 가상 격자점(11), (12)간의 거리의 15~30% 정도의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도트(3)와 가상 격자점(11), (12) 간의 거리가 그 간격보다 멀면, 도트끼리가 큰 덩어리로 시인(視認)되기 쉽고, 도트 패턴(1)으로서 보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정보 도트(3)와 가상 격자점(11), (12) 간의 거리가 그 간격보다 가까우면,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가상 격자점(11), (12)을 중심으로 하여 벡터 방향성을 갖게 한 정보 도트(3)의 인정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도 3은, 블록 내에 있어서의 정보 도트(3)의 독취 순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 중 원 안의 숫자는, 각각 가상 격자점(11), (12)마다 배치된 정보 도트(3)의 배치 영역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3(a)의 경우, 블록 중심의 ‘1’(도면 중 원 안의 숫자 ‘1’을 의미한다. 이하, 마찬가지이다)을 중심으로 하여, 거기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1’부터 ‘25’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의 격자 간격은 예를 들면 1㎜이며, 4㎜×4㎜에서 3비트×16=48비트를 표현한다.
도 3(b)은, 블록의 왼쪽 위의 사각형 영역의 정보 도트 ‘1’로부터 종방향으로 순차적으로 ‘4’까지 배치한 후, 종횡 방향의 격자선 끼리의 교점에 배치된 정보 도트 ‘5’~‘7’을 배치하고 있다.
도 3(c)은, 블록의 왼쪽 위의 사각형 영역의 정보 도트 ‘1’로부터 종방향으로 ‘16’까지 순차적으로 배치한 후, 종횡 격자선 끼리의 교점에 배치된 정보 도트 ‘17’~‘25’를 배치하고 있다.
도 4는 정보 도트(3) 및 여기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예로서,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정보 도트(3)에 대해 기준 격자점 도트(4)로 둘러싸인 가상 격자점(11), (12)로부터 장(長)(도 4의 하단), 단(短)(도 4의 상단)의 2 종류를 사용하여, 벡터 방향을 8 방향으로 하면, 4 비트를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긴 쪽이 인접하는 가상 격자점(11), (12)간의 거리는 25~30%정도, 짧은 쪽은 15~20% 정도가 바람직하다. 다만, 장, 단의 정보 도트(3)의 중심 간격은, 이들 도트의 직경보다 길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점의 가상 격자점(11), (12)으로 둘러싸인 정보 도트(3)는, 외관을 고려해, 1 도트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외관을 무시하고, 정보량을 많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1 벡터마다 1 비트를 할당하여 정보 도트(3)를 복수의 도트로 표현함으로써, 다량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심원 8 방향의 벡터에서는, 정보 도 트(3)로 28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고, 1 블록의 정보 도트 16개로 2128이 된다.
도 5는 정보 도트(3) 및 여기에 정의된 데이터의 비트 표시의 예로서, (a)는 도트를 2개, (b)는 도트를 4개, (c)~(e)는 도트를 5개, (f)는 7개 배치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은 도트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블록 내에 정보 도트(3)를 8개 배치한 것, (b)는 정보 도트(3)를 13개 배치한 것, (c)는 정보 도트(3)를 18개 배치한 것, (d)는 정보 도트(3)를 41개 배치한 것이다.
상술한 도 1과 도 3에 나타낸 도트 패턴(1)은, 1 블록에 25개의 정보 도트(3)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정보 도트(3)는 1 블록에 25개 배치하는 데 한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로 하는 정보량의 대소 또는 카메라의 해상도에 따라, 정보 도트(3)를 1 블록에 8개 배치한 것[도 6(a)], 정보 도트(3)를 1 블록에 13개 배치한 것[도 6(b)], 정보 도트(3)를 1 블록에 18개 배치한 것[도 6(c)], 또는 정보 도트(3)를 1 블록에 41개 배치한 것[도 6(d)]이 있다.
도 7은 하위 비트에 ‘0’과 ‘1’을 할당하여 정보 도트의 에러를 체크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또한, 1개의 정보 도트(3)를 빠짐없이 배치함과 동시에, 에러 체크에 사용하기 위해서 하위 비트에 ‘0’과 ‘1’을 교대로 할당함으로써, 정보 도트(3)의 에러를 체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에러 체크 방식으로는, 상하, 좌우로 45도 경사 방향으로 교대로 정보 도트가 생성되어, 도트 패턴의 규칙성을 없앨 수 있다. 즉, 하위 비트에 ‘0’과 ‘1’을 교대로 할당한 정보 도트(3)는, 항상 가상 격자점(11), (12)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좌우 또는 45도 경사 방향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정보 도트(3)가 상하, 좌우 또는 45도 경사 방향 이외의 방향에 위치할 때에는 적정 위치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정보 도트(3)가, 가상 격자점(11), (12)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에 어긋나서 입력된 에러는 확실히 체크할 수 있다.
한편, 정보 도트(3)를 8 방향(45도 간격)이며 또한 장, 단으로 했을 때에는(도 4 참조), 4 비트 중, 하위 1 비트를 ‘0’ 또는 ‘1’로 하면 근접하는 3점{(동심원±45도 회전 위치 2점)+(장, 단 중 어느1점)}의 도트의 위치에 어긋났을 경우에는, 이를 에러로 할 수 있어, 에러를 100% 체크할 수 있다.
도 8은 정보 도트의 안전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정보 도트 I1로부터 I25까지를 병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도트 패턴(1)의 데이터를 육안으로 읽을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정보 도트(3)의 In에 대해 함수 f(Kn)로 표현된 연산을 실시하여, In=Kn+Rn을 도트 패턴(1)으로 표현하고, 도트 패턴 In를 입력한 후, Kn=In―Rn을 구한다.
또는, 도트 패턴(1)의 데이터를 육안으로 읽을 수 없도록 하기 위해, 키 도트(2)를 대표점으로 복수의 정보 도트(3)를 1열로 배치하고, 또한 이 1열을 복수열로 배치하여, 서로 인접하는 2열의 데이터 차분을 정보 도트(3)의 데이터로 함으로 써, 각 블록의 도트 패턴(1)의 규칙성이 없어지도록, 각 정보 도트(3)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매체면에 인쇄한 도트 패턴(1)을 육안으로 읽을 수 없게 되어 안전성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트 패턴(1)을 매체면에 인쇄했을 때, 정보 도트(3)가 랜덤(random)하게 배치되어, 무늬가 없어지고, 도트 패턴이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9는 더미 도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더미 도트의 설명도, (b)는 인쇄물의 한 예, (c)는 인쇄물에 있어서의 영역, (d)는 더미 도트로서 마스크의 경계를 규제하고 있는 도트 패턴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4점의 가상 격자점(11)(제1 가상 격자점)의 중심 위치(제2 가상 격자점)에 도트를 배치하고, 이 도트를 정보가 부여되지 않은 더미 도트(5)로 한다[도 9(a)]. 이 더미 도트(5)는, 수치 데이터, 또는 X, Y 좌표치가 정의된 영역과 영역의 경계나, 수치 데이터, 또는 X, Y 좌표치가 정의되지 않는 영역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물에 작은 곰, 하마와 태양 등 3 종류의 도안을 인쇄하고, 이 3개의 도안에 대응한 영역을,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1, 마스크 2, 마스크 3과 같이 배치한다. 도 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1, 마스크 2의 경계에 빈 도트를 배치한다.
한편, 더미 도트(5)를 경계에 사용하는 경우, 대응하는 위치의 블록 모두를 더미 도트(5)로 할 필요는 없고, 경계를 나타내기 위해 최소한의 도트를 더미 도트로 하면 된다.
또한, 마스크 이외의 영역에 더미 도트를 배치하고, 정보가 정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트 패턴(1)을 카메라에 의하여 화상 데이터로서 수납할 때, 정보의 대표점인 키 도트(2)의 위치에 있어서 X, Y 좌표치를 산정한 후에, 키 도트(2)로부터 얻어지는 도트 패턴(1)의 방향과 인접하는 대표점에 있어서의 X, Y 좌표치의 증분치(增分値) 및 촬상 중심으로부터 X, Y 좌표치가 산정된 키 도트(2)까지의 거리에 의하여 좌표치를 보완함으로써, 촬상 중심의 X, Y 좌표치를 산정한다.
또는, 도트 패턴(1)의 블록을 카메라에 의하여 화상 데이터로서 수납할 때, 각 블록에 동일한 데이터가 정의되어 있는 영역, 또는 X, Y 좌표치가 정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 카메라의 촬상 중심의 주위에 있는 정보 도트(3)부터 읽기 시작하고, 순차적으로 정보 도트(3)를 읽어 들여, 1 블록분에 상당하는 정보 도트(3)를 읽어 들임으로써, 카메라의 촬상 중심으로부터 최소의 영역에서 도트 패턴(1)을 독취하고, 촬상 중심 위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산정한다.
도 10(a)은, 카메라의 촬상 중심으로부터 최소의 영역에서 1 블록분에 상당하는 정보 도트를 입력하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시계방향으로 세로 4개×4열=16개의 정보 도트를 입력한다.
도 10(b)은 도트 패턴을 읽어 들여 X, Y 좌표치를 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하는 X, Y 좌표치는 카메라의 촬상 중심이 있는 블록의 X, Y 좌표치로 한다. X, Y 좌표치는, 블록마다 증분치가 Ⅹ방향(우측방향), Y방 향(윗방방향)으로 +1로 정하면, 다른 블록으로부터 입력한 정보 도트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Ⅹ 좌표치를 나타내는 K8 K7 K6 K5(i16 i15 i14 i13 i12 i11 i10 i9)와 Y 좌표치를 나타내는 K4 K3 K2 K1(i8 i7 i6 i5 i4 i3 i2 i1)가 보정의 대상이 되고 그 이외의 K16~K9(i32~i17)는 어느 블록에서도 동일한 값이 되어, 보정할 필요는 없다.
이들 계산은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하여 구해진다. []안의 계산에 따라 자리수가 올라가더도, [] 앞의 비트의 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정보 도트 I 중에서 에러 체크 비트를 제외한 것을 K로 한다.
(1) 11I11이 출발점인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X 좌표=11K8·11K7·11K6·21K5
Y 좌표=12K4·12K3·12K2·[22K1+1]
(2) 11I15가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12K8·12K7·12K6·22K5-1
Y 좌표=12K4·12K3·12K2·[22K1+1]
(3) 12I3이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12K8·12K7·12K6·22K5
Y 좌표=12K4·12K3·12K2·[22K1+1]
(4) 12I7이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12K8·12K7·12K6·22K5
Y 좌표=12K4·12K3·12K2·[22K1+1]
(5) 11I12가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11K8·11K7·21K6·21K5
Y 좌표=12K4·12K3·[22K2·22K1+1]
(6) 11I16이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12K8·12K7·22K6·22K5-1
Y 좌표=12K4·12K3·[22K2·22K1+1]
(7) 12I4가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12K8·12K7·22K6·22K5
Y 좌표=12K4·12K3·[22K2·22K1+1]
(8) 12I8이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12K8·12K7·22K6·22K5
Y 좌표=12K4·12K3·[22K2·22K1+1]
(9) 21I9가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11K8·21K7·21K6·21K5
Y 좌표=12K4·[22K3·22K2·22K1+1]-1
(10) 21I13이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12K8·22K7·22K6·22K5-1
Y 좌표=12K4·[22K3·22K2·22K1+1]-1
(11) 22I1이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12K8·22K7·22K6·22K5
Y 좌표=12K4·[22K3·22K2·22K1+1]-1
(12) 22I5가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12K8·22K7·22K6·22K5
Y 좌표=12K4·[22K3·22K2·22K1+1]-1
(13) 21I10이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21K8·21K7·21K6·21K5
Y 좌표=22K4·22K3·22K2·22K1
(14) 21I14가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22K8·22K7·22K6·22K5-1
Y 좌표=22K4·22K3·22K2·22K1
(15) 22I2가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22K8·22K7·22K6·22K5
Y 좌표=22K4·22K3·22K2·22K1
(16) 22I6이 출발점의 경우(카메라의 촬상 중심)
Ⅹ 좌표=22K8·22K7·22K6·22K5
Y 좌표=22K4·22K3·22K2·22K1
도트 패턴(1)을 카메라에 의하여 화상 데이터로서 수납할 때, 정보 도트(3)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 정보 도트(3)에 상당하는 가장 가까운 정보 도트(3)를 읽어 들여 에러 수정을 함으로써, 카메라의 촬상 중심으로부터 최소의 영역에서 도트 패턴(1)을 독취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의 독취 방법을 이용해, XY 좌표를 사용한 타블렛(tablet)이나 디지타이저(digitizer), 입력 인터페이스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블렛, 디지타이저는 도트 패턴(1)을 인쇄한 투명 시트(sheet)를 대상물에 겹쳐 놓고, 카 메라로 촬상하여, 도트 패턴(1)의 XY 좌표치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도 11~도 14를 사용해, 도 1과는 다른 위치에 키 도트(2)를 배치했을 경우 및 그 경우의 정보 도트(3)와 키 도트(2)의 탐색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매체면에 조사된 조사광의 반사광을 광학 촬상 수단(예를 들면 펜형 독해 장치)의 CCD나 CMOS 등의 촬상 소자가 촬상하면, 당해 촬상 데이터(화상 데이터)가 메모리의 프레임 버퍼 상에 전개된다. 다음에, 프레임 버퍼 상에 전개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광학 촬상 수단의 중앙처리장치(CPU)가 메모리로부터 독취한 탐색 프로그램에 의하여 탐색을 개시한다.
이 때, 블록의 바깥 테두리를 구성하는 기준 격자점 도트(4)는 소정간격대로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도트를 연결하여 거의 직선이 되는지 아닌지를 중앙처리장치(CPU)는 판단한다(도 11 참조).
그리고, 기준 격자선(7) 상에 있는 도트가 소정의 길이마다 배치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 이 때, 도트 간의 거리가 동등하면 기준 격자점 도트(4)라고 판정한다. 또한, 다르게 배치되고 있는 도트가 있는 경우, 키 도트(2)로 판정한다(도 14).
다음에, 상하 좌우 방향의 기준 격자점 도트(4) 끼리[가상 기준 격자(6) 끼리]를 직선[격자선(8a), (8b)]으로 연결하고, 그 교점을 가상 격자점(11)(제1 가상 격자점)으로 한다. 다음에, 경사 방향의 가상 기준 격자점(6)을 연결하여 경사 방향 격자선(8c)로 하고, 이들 경사 방향 격자선(8c)의 교점을 다시 가상 격자 점(12)(제2 가상 격자점)으로 한다.
다음에, 상기 2 종류의 가상 격자점(11), (12)중 어느 하나를 시점으로 하여 나선상으로 정보 도트를 탐색한다(도 13 참조).
다음에, 블록 내에서 키 도트(2)가 배치될 가능성이 있는 4개소(도 14에서는 블록 중심으로부터 상하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의 위치에 있는 4개의 가상 격자점)에 대해서 당해 가상 격자점으로부터 각각의 정보 도트(3)의 방향과 길이를 보고, 어느 것이 키 도트(2)인지를 판정한다. 이에 따라, 방향이 파악되고, 각 정보 도트(3)가 가지고 있는 정보가 확정된다.
여기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중심 이외의 정보 도트(3)를 키 도트(2)로 한 경우[도 14의 경우, 블록 중심으로부터 1가상 격자점만큼 상방으로 어긋난 위치를 키 도트(2)의 배치 위치로 했을 경우], 블록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90도씩 회동시켰을 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정보 도트(3)는 광학 독취 수단으로 읽어냈을 경우, 키 도트(2)와 구별할 수 없게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으나, 키 도트(2) 이외의 사각형 영역에서는 정보 도트(3)에 부여되는 방법을 다르게 함으로써, 키 도트(2)와 정보 도트(3)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도트(2)는 가상 기준 격자점(6)으로부터 종횡 방향만의 벡터로서 배치해 두고, 90도마다 회동한 위치에 있는 다른 사각형 영역에서는 경사 방향으로 정보를 정의하여 두면 된다.
또한, 키 도트(2)는 벡터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로 해 두고, 90도마다 회동한 위치에 있는 다른 사각형 영역에서는 다른 길이의 벡터로 정보를 정의하여 두어도 된다.
한편, 블록 중심에 키 도트(2)를 배치한 경우에는, 다른 정보 도트(3)는 종방향, 횡방향, 경사 방향 중 어느 것으로든지 정보를 정의하여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트 패턴(1)을, 그림책, 텍스트 등의 인쇄물에 인쇄함으로써, 이 카메라로 화상 데이터로서 수납하고, 이 화상 데이터로부터 각 정보 도트의 위치를 탐색해, 그 위치의 정보로부터, 코드나 XY 좌표를 복호하여, 이 코드나 XY 좌표에 대응한 음성, 정지영상, 동영상, 문자, 프로그램 등을 PC, 정보 출력장치, PDA(Personal Data Assistant) 또는 휴대전화 등의 액정표시장치, 스피커, 음성 및 화상 출력 단자 등으로부터 출력시킨다.
한편, 상기 블록의 정보 도트(3)에 있어서, 정보 도트(3) 블록 내의 위치에 의하여, 정보 도트(3)마다 상기 가상 격자점(11), (12)으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을 임의로 한정하여, 정보를 정의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트 패턴을 사용하는 업종마다(제조업마다, 서비스업마다 또는 이 도트 패턴을 사용하는 기업마다) 상기 가상 격자점(11), (12)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을 변경한 사양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트 패턴을 한정된 용도마다 구별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의 업종 간, 기업 간의 정보 누설, 코드 체계 누설 등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한정하여 정의된 정보는, 이에 대응한 광학 독취 수단으로 밖에 읽어 낼 수 없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도트 패턴(1)의 각 도 트(2), (3), (4)에 다른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다량의 데이터를 도트 패턴으로 정의하고, 방향성을 인식해 신속히 정보화함으로써, 소정의 정보나 프로그램을 출력시켜 여러 가지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면,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하 좌우 방향의 격자선(8a), (8b)의 교점[가상 격자점(11)]을 기준으로 배치되는 도트[정보 도트(3)나 키 도트(2)]는 가상 격자점(11)으로부터 격자선(8a), (8b) 상으로 비켜놓으면 된다. 또한, 사선 방향 격자선(8c) 상의 교점 상에 배치되는 도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사선 방향격자선(8c) 상에 배치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각 격자선(8a), (8b), (8c) 상에 반드시 도트를 배치해 둠으로써, 격자선(8a), (8b), (8c)를 탐색하는 독해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간단화할 수 있고, 또한 독해 효율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은, 도트 패턴을 카메라에 의하여, 우선 기준 격자점도트를 인식하여 키 도트를 추출하고, 키 도트로 방향성을 인식하여, 그 방향을 파라미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이 키 도트의 주위에 배치한 정보 도트를 추출함으로써, 신속히 정보 및 프로그램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도트 패턴에 기준 격자점 도트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카메라로 이 도트 패턴을 화상 데이터로서 수납할 때, 카메라의 렌즈의 왜곡이나 사선 방향으로부터의 촬상, 지면의 신축, 매체 표면의 만곡, 인쇄 시의 왜곡에 의해 촬상된 도트 패턴의 왜곡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도트의 배치 상태의 에러를 체크할 수 있어 한층 더 안전성를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인쇄물 등의 매체면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사각형 영역을 블록으로 하고,
    상기 블록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직선을 기준 격자선으로 하고, 상기 기준 격자 선상의 소정간격마다 가상 기준 격자점을 설정하고, 가상 기준 격자점 상에 기준 격자점 도트를 배치하고, 상기 가상 기준 격자점 끼리 연결하면서 상기 기준 격자선과 병행하는 직선을 격자선으로 하고, 격자선 끼리의 교점을 가상 격자점으로 하고,
    상기 가상 격자점을 기준으로 거리와 방향을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정보 도트를 각각 배치한 도트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도트 패턴을 화상 정보로서 광학 독취 수단으로 읽어 들여, 상기 도트 패턴을 수치화하고, 상기 수치화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억수단으로부터 읽어내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 있어서, 사선 방향의 가상 기준 격자점 끼리를 연결하는 사선 방향 격자선을 더 설정하고, 상기 사선 방향 격자선 끼리의 교점도 가상 격자점으로 하고, 이 가상 격자점을 기준으로 거리와 방향을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도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패턴은 상기 가상 격자점을 기준으로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지 없는지로서 정보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을 구성하는 기준 격자선 상의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 격자점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상기 블록의 방향을 정의한 키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내에 있어서 소정 위치의 정보 도트를 키 도트로 하고, 상기 블록 중심을 축으로 하고, 상기 키 도트가 소속하는 사각형 영역을 90도씩 회동시킨 위치에 있는 각각의 사각형 영역에 배치되는 정보 도트는, 상기 키 도트를 정의시키기 위해 필요한 방향을 제외한 방향 또는 거리로 정보가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정보 도트에 있어서, 상기 정보 도트의 블록 내의 위치에 따라, 정보 도트 마다 상기 가상 격자점으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을 임의로 한정하여, 정보가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 트 패턴을 사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KR1020077023329A 2007-10-11 2005-04-28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KR100860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3329A KR100860110B1 (ko) 2007-10-11 2005-04-28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3329A KR100860110B1 (ko) 2007-10-11 2005-04-28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144A true KR20070110144A (ko) 2007-11-15
KR100860110B1 KR100860110B1 (ko) 2008-09-25

Family

ID=3906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329A KR100860110B1 (ko) 2007-10-11 2005-04-28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3850A1 (ko) * 2012-06-05 2013-12-12 (주)펜제너레이션즈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자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872B1 (ko) 2020-10-05 2022-10-05 에르미 주식회사 도트 패턴 및 도트 패턴 인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7445C2 (sv) * 1999-10-01 2002-06-04 Anoto Ab Positionsbestämning på en yta försedd med ett positionskodningsmöns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3850A1 (ko) * 2012-06-05 2013-12-12 (주)펜제너레이션즈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자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110B1 (ko)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1375B2 (en) Information input/output method using dot pattern
JP3706385B2 (ja) 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入出力方法
JP5848464B2 (ja) 二次元コード、二次元コードの作成システムおよび解析プログラム
KR930012137B1 (ko) 기계광학 판독 가능한 동적 가변 2진 코드 판독장치, 2진 코드의 크기 및 밀도 결정장치 및 2진 코드 생성장치
JP6397977B2 (ja) ドットパターン、ドットパターン形成媒体、ドットパターンの画像データを生成するプログラム、ドットパターン形成装置、光学装置、光学読み取り装置、情報入出力装置、ドットパターン読み取り装置
US20130020386A1 (en) Information input output method using dot pattern
US20110011940A1 (en) Code pattern
KR100860110B1 (ko)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KR100591300B1 (ko)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KR100591301B1 (ko)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JP3858051B6 (ja) ドットパターンを用いた情報入出力方法
AU2012241078A1 (en) Printed Material Printed with a Dot Pattern
AU2016200846A1 (en) Printed Material Printed with a Dot Patt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622

Effective date: 201206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50311

Effective date: 201507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8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27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129

Effective date: 201703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347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519

Effective date: 2017092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16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1019

Effective date: 2017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