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375A -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375A
KR20070107375A KR1020060039784A KR20060039784A KR20070107375A KR 20070107375 A KR20070107375 A KR 20070107375A KR 1020060039784 A KR1020060039784 A KR 1020060039784A KR 20060039784 A KR20060039784 A KR 20060039784A KR 20070107375 A KR20070107375 A KR 20070107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ans
main body
multimedia player
portable multimedi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3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7375A/ko
Publication of KR20070107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제 1 접속부가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수단과,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동영상의 데이터를 통해서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하되, 장착공간내의 디스플레이수단에 영상 신호가 수신되도록 제 1 접속부와 접속하는 제 2 접속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디스플레이수단이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시 본체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받도록 하는 원격접속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수단을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에 비하여 작은 중량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수단을 원하는 위치에 쉽게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며, 디스플레이수단을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수직 구조물에 쉽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야각을 확보에 유리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디스플레이수단, 거치부, 원격접속수단, 블루투스모듈

Description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HAVING A DETACHABLE DISPLAY MEAN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디스플레이수단 111 : 제 1 접속부
112 : 거치부 120 : 본체
121 : 장착공간 122 : 제 2 접속부
123 : 조작스위치 124 : 스피커
125 : 이어폰 126 : 케이블
127 : 분리홈 130 : 원격접속수단
131 : 제 1 커넥터 132 : 제 2 커넥터
133 : 접속케이블 134 : 제 1 블루투스모듈
135 : 제 2 블루투스모듈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수단을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에 비하여 작은 중량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수단을 원하는 위치에 쉽게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들의 재생을 위한 기기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영상 및 음성을 용이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최근에는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여 휴대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는 본체(11)의 정면에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수단(12)이 설치되고, 본체(11)의 일측에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는 스피커(13)와 각종 기능과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조작스위치(14)가 구비되며, 본체(11)의 내부에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와 구동 및 제어를 위한 회로 및 제어수단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는 내부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디스플레이수단(12)과 스피커(13)를 통해서 영상과 음성을 각각 출력한다. 그리고, 종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는 동영상의 감상을 위하여 지면에 설치할 경우 디스플레이수단(12)이 사용자의 정면을 향하도록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수단(12)을 일정 각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이 때, 종래 대부분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에 보호를 위해 착용되는 파우치(15) 후면에 지지대(16)를 마련하여 지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는 밧데리, 메모리부 등을 포함하게 됨으로써 중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수평이 아니거나 면적이 협소한 곳에 설치시 거치가 불안정하여 설치하는데 장애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는 수평으로 이루지는 지면에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만을 가질 뿐 수직을 이루는 피고정체에 거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수단을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에 비하여 작은 중량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수단을 원하는 위치에 쉽게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며, 디스플레이수단을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수직 구조물에 쉽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야각을 확보에 유리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있어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제 1 접속부가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수단과,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동영상의 데이터를 통해서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하되, 장착공간내의 디스플레이수단에 영상 신호가 수신되도록 제 1 접속부와 접속하는 제 2 접속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디스플레이수단이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시 본체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받도록 하는 원격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0)는 제 1 접속부(111)가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수단(110)과, 디스플레이수단(110)이 장착 되기 위한 장착공간(1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제 1 접속부(111)와 접속되는 제 2 접속부(122)가 마련되는 본체(120)와, 디스플레이수단(110)과 본체(120)를 원격으로 접속시키는 원격접속수단(1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수단(110)은 도 4에 되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마련되는 제 1 접속부(111)를 통해서 본체(12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받아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수단(11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는데, 접촉에 의해서 조작 신호를 입력하여 제 1 및 제 2 접속부(111,122) 또는 원격접속수단(130)에 의해 본체(120)로 전달하도록 화면에 터치패널(touch panel)이라는 장치를 덧붙임으로써 접촉에 의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터치스크린임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수단(110)은 후면에 거치를 위한 거치부(112)가 마련되는데, 수평의 설치면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나 열차의 좌석에 마련되는 시트나 주머니 등과 같이 수직의 설치면을 가지는 피고정체에 끼워지는 클립이다.
본체(120)는 디스플레이수단(11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간(121)이 정면에 마련되고, 일측면에 조작을 위한 조작스위치(123)가 구비되며, 동영상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메모리부와 조작스위치(123)의 조작에 따라 동영상의 데이터를 통해서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등 구동 및 제어를 위한 회로 및 제어수단이 내부에 각각 마련된 다.
본체(120)는 음성 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별도의 스피커(124)가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어폰(125)의 케이블(126)이 접속되기 위한 이어폰잭(미도시)이 마련된다.
장착공간(121)은 디스플레이수단(110)을 용이하게 빼내도록 일측에 분리홈(127)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장착된 디스플레이수단(110)의 제 1 접속부(111)에 되기 위한 제 2 접속부(122)가 내측에 마련되며, 바닥면에 거치부(112)가 삽입되기 위한 거치부삽입홈(128)이 형성된다.
원격접속수단(130)은 디스플레이수단(110)이 장착공간(121)으로부터 분리시 본체(12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받도록 하며, 이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수단(110)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접촉에 의한 각종 조작 신호를 본체(120)의 제어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해 신호의 양방향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원격접속수단(130)은 디스플레이수단(110)의 측부에 마련되는 제 1 커넥터(131)(도 4에 도시)와, 본체(120)에 마련되는 제 2 커넥터(132)와, 제 1 및 제 2 커넥터(131,132)를 서로 접속시키는 접속케이블(133)을 포함한다.
제 2 커넥터(132)는 본체(120)에 직접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20)에 접속되는 이어폰(125)의 케이블(126)에 마련된다.
원격접속수단(130)은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수단(110)과 본체(120)간에 케이블없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수 단(110) 및 본체(120)에 각각 마련되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수신받음으로써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블루투스모듈(134,13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제 1 블루투스모듈(134)은 제 2 블루투스모듈(135)로부터 무선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받아서 디스플레이수단(110)이 영상을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블루투스모듈(134)은 디스플레이수단(110)에 접촉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등의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고, 이를 제 2 블루투스모듈(135)이 수신받아 본체(120의 제어수단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설치면이 수직이거나 본체(120)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는 위치에 디스플레이수단(110)을 설치하기 위하여 분리홈(127)을 통해서 디스플레이수단(110)을 본체(120)의 장착공간(121)으로부터 분리하여 원하는 장소에 간편하게 설치하게 되며, 이 때, 차량이나 열차의 시트나 이에 마련되는 주머니 등과 같은 수직의 피고정체에 클립인 거치부(11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수단(110)을 수직되게 설치할 수 있다.
본체(120)로부터 분리된 디스플레이수단(110)은 원격접속수단(130)에 의해 본체(12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받거나 디스플레이수단(110)에 가해지는 접촉에 의한 조작 신호 등을 본체(120)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원격접속수단(130)은 접속케이블(133)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커넥터(131,132)를 서로 접속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수단(110)과 본체(120)를 서로 접속시킬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블루 투스모듈(134,135)에 의해 접속케이블(133)을 사용하지 않고서 무선에 의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수단(110)과 본체(120)를 서로 접속시킬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접속수단(130)의 제 2 커넥터(132)가 이어폰(125)의 케이블(126)에 마련됨으로써 접속케이블(133)의 확장에 도움을 준다.
디스플레이수단(110)은 본체(120)의 장착공간(121)에 장착하여 사용시 제 1 접속부(111)가 제 2 접속부(122)에 접속됨으로써 본체(12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받음과 아울러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됨에 따라 접촉에 의한 조작 신호를 본체(12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는 디스플레이수단을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에 비하여 작은 중량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수단을 원하는 위치에 쉽게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며, 디스플레이수단을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수직 구조물에 쉽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야각을 확보에 유리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7)

  1.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있어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 제 1 접속부가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동영상의 데이터를 통해서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장착공간내의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상기 영상 신호가 수신되도록 상기 제 1 접속부와 접속하는 제 2 접속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이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시 상기 본체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받도록 하는 원격접속수단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접촉에 의해 조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 또는 상기 원격접속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터치스크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일측에 거치를 위한 거치부가 마련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수직되게 고정시키도록 피고정체에 끼워지는 클립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접속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마련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 2 커넥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서로 접속시키는 접속케이블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본체에 접속되는 이어폰의 케이블에 마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 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접속수단은,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접속수단은,
    디스플레이수단 및 본체에 각각 마련되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수신받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블루투스모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KR1020060039784A 2006-05-03 2006-05-03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KR20070107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784A KR20070107375A (ko) 2006-05-03 2006-05-03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784A KR20070107375A (ko) 2006-05-03 2006-05-03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75A true KR20070107375A (ko) 2007-11-07

Family

ID=3906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784A KR20070107375A (ko) 2006-05-03 2006-05-03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737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41B1 (ko) * 2008-03-03 2010-02-22 장두환 영상출력장치
KR20100117380A (ko) * 2009-04-24 2010-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70630B1 (ko) * 2008-03-06 2014-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텔레비젼 시스템
CN109413468A (zh) * 2018-09-29 2019-03-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分体式电子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41B1 (ko) * 2008-03-03 2010-02-22 장두환 영상출력장치
KR101470630B1 (ko) * 2008-03-06 2014-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텔레비젼 시스템
KR20100117380A (ko) * 2009-04-24 2010-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09413468A (zh) * 2018-09-29 2019-03-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分体式电子设备
CN109413468B (zh) * 2018-09-29 2021-02-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分体式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8810B2 (en) Portable speaker system for electric string instruments
US9671827B2 (en) Vehicle, driving assistance system and driving assistance device
US20040021619A1 (en) Head-mounted audio/video playback system
CN101210826A (zh) 电子装置和电子系统
KR20070107375A (ko) 디스플레이수단이 착탈 가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JP2014508353A (ja) 携帯端末機を結合可能な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216064B1 (ko) 복수의 전자 장치를 연결시키는 연결 장치
US20060288378A1 (en)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with quick service disconnect from headrest
US10845847B2 (en) Head-mounted display
KR20080101639A (ko) 표시장치가 부착된 휴대용 하드케이스 가방
US8325966B2 (en) Detachable loudspeaker structure having both audio and supporting functions
US20130169653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JP4414862B2 (ja) 車両通信システム及び車載コネクタ
JP2014232177A (ja) 乗物用オーディオ装置
JP2005130398A (ja) 放送受信装置
WO2009125610A1 (ja) 車載機器
US8831398B2 (en) In-vehicle reproduc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JP5166950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システム
KR200440831Y1 (ko) 어학기가 일체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CN210694151U (zh) 电视机
KR20060086043A (ko) 탈부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차량용a/v시스템
EP1988361A1 (en) Multimedia system
JP2007158437A (ja) データファイル再生装置
US2010010299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EP1985500A1 (en) Electronic interface device between a digital file drive and the audio system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