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655A -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655A
KR20070105655A KR1020060038096A KR20060038096A KR20070105655A KR 20070105655 A KR20070105655 A KR 20070105655A KR 1020060038096 A KR1020060038096 A KR 1020060038096A KR 20060038096 A KR20060038096 A KR 20060038096A KR 20070105655 A KR20070105655 A KR 20070105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signal
horizontal
vertical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7624B1 (ko
Inventor
송혁규
Original Assignee
(주)디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오컴 filed Critical (주)디오컴
Priority to KR102006003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624B1/ko
Publication of KR2007010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1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using laser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7/00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B7/02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containing distinct electrical or optical devices of particular relevance for their function, e.g.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2201/00Specific applications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 B81B2201/04Optical MEMS
    • B81B2201/047Optical MEMS not provided for in B81B2201/042 - B81B2201/04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입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고자 하는 화질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의 출력 신호인 영상 신호를 영상 데이터 부분과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로 분리하는 영상 신호 분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 분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기초로 레이저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저 제어부와, 상기 레이저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적색, 청색, 녹색 레이저 광을 각각 출력하는 레이저 출력부와, 상기 레이저 광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반사하는 수평 반사부와, 상기 수평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수직 방향으로 조절하여 반사하는 수직 반사부와,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수평 반사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수평 회전 구동부와,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수직 반사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수직 회전 구동부와, 상기 수직 반사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눈으로 확산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형 모니터에 일체형으로 적용가능하며 화면의 크기 및 투사 거리의 조절이 용이하며 정확한 화질 구현 및 화면 조절이 가능하다.
안경형 모니터, 영상 신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레이저, 수평/수직 회전 구동, 반사, 직접 투사형, 간접 투사형

Description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LASER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FOR GLASS TYPE MONI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사용되는 영상 이미지 발생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사용되는 영상 이미지 발생 장치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구현예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구현예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 LCD 디스플레이 112': EL
114: PBS 116: 광원
118: 케이스 123: 볼록 렌즈
126: 오목 렌즈 210: 신호 변환부
220: 영상 신호 분리부 230: 레이저 제어부
240: 레이저 출력부 250: 수평 반사부
255: 수직 반사부 260: 수평 회전 구동부
265: 수직 회전 구동부 270: 확산부
280: 반사부 290: 회전 구동부
본 발명은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안경형 모니터에 일체형으로 적용가능하며 화면의 크기 및 투사 거리의 조절이 용이하며 정확한 화질 구현 및 화면 조절이 가능한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형 모니터는 사용자가 안경처럼 착용하여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모니터 장치로서, 예컨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또는 FMD(Face Mounted Display) 등의 용어로서 지칭되기도 한다.
이러한 안경형 모니터는 처음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군사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컴퓨터 시스템의 고성능화, 소형화 그리고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전, 영상 및 통신 기술의 발전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점차 민간용으로도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의 개발에 따라서 점차 웨어러블 컴퓨터를 위한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의 안경형 모니터의 보급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안경형 모니터는 특히 시-쓰루(see-through) 형태로 구현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구현에 그 효용성이 높을 것으로 예 측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사용되는 영상 이미지 발생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영상 이미지 발생 장치는 LCD와 같은 비자체발광 디스플레이 소자를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시되듯이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이미지 발생 장치는 LCD 디스플레이(112)와, PBS(114)와, 광원(116)과, 케이스(118)를 포함한다.
LCD 디스플레이(112)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LCD 등의 종래 기술에 관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광원(114)은 빛을 방출한다. 일반적인 경우 LCD 디스플레이(112)와 같은 비자체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에 대해서는 광원(114)에서 빛을 조사하고 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항 역시 일반적인 기술에 관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PBS(polarized beam splitter, 116)는 광원(114)에서 방출된 빛을 일부 투과시키고 일부는 LCD 디스플레이(112)로 반사시키며 이후 LCD 디스플레이(112)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일부 투과시켜서 이미지 중계 수단(123, 126)에 제공한다.
케이스(118)는 광원(114)에서 방출되는 빛을 PBS(116)에 인입시키며 LCD 디스플레이(112) 표면에서 반사된 영상 이미지가 PBS(116)를 투과하는 경우 이를 이미지 중계 수단(123, 126)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중계 수단(123, 126)은 PBS(116)를 투과하고 케이스(118)를 통하여 제공되는 영상 이미지를 확대하는 하나 이상의 볼록 렌즈(123)와, 확대된 영상 이미지를 광 파이버 등의 광 전송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정확히 대응하도록 축소하는 하나 이상의 오목 렌즈(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사용되는 영상 이미지 발생 장치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영상 이미지 발생 장치는 EL(electroluminescent)과 같은 자체발광 디스플레이 소자를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구현예는 비자체발광 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광원(114)과 PBS(116)이 필요한 구성인 반면에, 도 2에 도시된 구현예는 자체발광 소자인 EL 디스플레이(212')를 사용하므로 광원(114)과 PBS(116)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경형 모니터는 주로 LCD 디스플레이와 같은 비자체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EL과 같은 자체발광 디스플레이 소자를 통하여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광 파이버 등의 전송 수단을 사용하여 전송한 후 영상 이미지를 반사하는 스크린 또는 렌즈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안경형 모니터의 경우 영상 이미지 생성을 위한 LCD 또는 EL 구성에 의하여 부피 감소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내구성 및 부피를 고려하면 안경형 모니터에 일체형으로 영상 이미지 발생 장치를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형 모니터에 일체형으로 적용가능하며 화면의 크기 및 투사 거리의 조절이 용이하며 정확한 화질 구현 및 화면 조절이 가능한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입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고자 하는 화질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의 출력 신호인 영상 신호를 영상 데이터와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로 분리하는 영상 신호 분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 분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레이저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저 제어부와, 상기 레이저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적색, 청색, 녹색 레이저 광을 각각 출력하는 레이저 출력부와, 상기 레이저 광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반사하는 수평 반사부와, 상기 수평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수직 방향으로 조절하여 반사하는 수직 반사부와,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수평 반사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수평 회전 구동부와,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수직 반사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수직 회전 구동부와, 상기 수직 반사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눈으로 확대하여 투영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로 서, 입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고자 하는 화질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의 출력 신호인 영상 신호를 영상 데이터와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로 분리하는 영상 신호 분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 분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레이저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저 제어부와, 상기 레이저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적색, 청색, 녹색 레이저 광을 각각 출력하는 레이저 출력부와, 상기 레이저 광을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반사하는 반사부와, 상기 수평 동기 신호 또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반사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반사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눈으로 확대하여 투영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반사시켜 상기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시키는 입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배경 영상을 입사시키는 외부 배경 영상 입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사부는 상기 확산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의 일부와 상기 외부 배경 영상을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사용자의 시력에 맞추어 수렴하는 도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분리부와 상기 레이저 제어부와 상기 수평 반사부와 상기 수직 반사부와 상기 수평 회전 구동부와 상기 수직 회전 구동부는 MEMS 공정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분리부와 상기 레이저 제어부와 상기 반사부와 상기 회전 구동부는 MEMS 공정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구현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호 변환부(210)와, 영상 신호 분리부(220)와, 레이저 제어부(230)와, 레이저 출력부(240)와, 수평 반사부(250)와, 수직 반사부(255)와, 수평 회전 구동부(260)와, 수직 회전 구동부(265)와, 확산부(270)를 포함한다.
신호 변환부(210)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고자 하는 화질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영상 신호 분리부(220)는 신호 변환부(210)의 출력 신호인 영상 신호를 영상 데이터와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로 분리한다.
레이저 제어부(230)는 영상 신호 분리부(2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레이저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레이저 프로젝션을 위해서 사용되는 레이저는 예컨대 적색, 청색, 녹색 레이저 광으로 구성되며, 영상 신호에 따라서 각각 온/오프되거나 또는 각각의 출력을 조절하여 화면의 크기 또는 투사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레이저 제어 데이터는 이러한 온/오프 조절, 출력 조절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레이저 출력부(240)는 레이저 제어부(230)의 레이저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레이저 광을 출력한다. 전술하였듯이, 레이저 광은 예컨대 적색(245a), 청색(245b), 녹색 레이저 광(245c)으로 각각 구분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각 적색(245a), 청색(245b), 녹색 레이저 광(245c)의 출력 역시 레이저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조절된다.
레이저 광을 사용하는 경우 레이저의 직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제공될 화면의 상, 하, 좌, 우 위치 조절이 용이하며, 화면의 구성이 점 형태를 가지므로 화질의 구성이 미려하며 점의 크기를 조절하여 화질의 다양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정점이 있다.
수평 반사부(250)는 레이저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예컨대 적색(245a), 청색(245b), 녹색 레이저 광(245c)을 각각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반사시킨다. 즉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기 위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각 픽셀 단위로 수평 방향으로 반사시켜서 원하는 이미지 형태를 형성한다.
수직 반사부(255)는 수평 반사부(250)에서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수직 방향으로 조절하여 반사시킨다.
한편 이러한 수평 반사부(250) 또는 수직 반사부(255)의 방향 조절은 영상 신호 분리부(220)의 출력 신호인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즉 수평 회전 구동부(260)는 수평 동기 신호를 기초로 수평 반사부(250)의 움직임을 제어하며, 수직 회전 구동부(265)는 수직 동기 신호를 기초로 수직 반사부(255)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확산부(270)는 수직 반사부(255)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눈으로 확대하여 투영한다. 확산부(270)는 예컨대 볼록 렌즈 또는 볼록 렌즈의 조합을 통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구현예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호 변환부(210)와, 영상 신호 분리부(220)와, 레이저 제어부(230)와, 레이저 출력부(240)와, 반사부(280)와, 회전 구동부(290)와, 확산부(270)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신호 변환부(210)와, 영상 신호 분리부(220)와, 레이저 제어부(230)와, 레이저 출력부(240)의 구성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구현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사부(280)는 레이저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반사한다.
회전 구동부(290)는 수평 동기 신호 또는 수직 동기 신호를 기초로 반사부(28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즉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구현예의 경우 수평 반사부(250)와, 수직 반사부(255)와, 수평 회전 구동부(260)와, 수직 회전 구동부(265)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우선 수평 반사를 통하여 수평 방향의 조절을 수행하고 이후 수직 반사를 통하여 수직 방향의 조절을 수행하는 구성이지만, 도 4를 참조로 한 구현예의 경우 수평 반사와 수직 반사를 동시에 수행하여 구성을 단순화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확산부(270)는 반사부(280)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눈으로 확대하여 투영한다.
이러한 도 3 또는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구현예는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되는 이미지, 즉 레이저 광이 확산부(270)를 통하여 직접 사용자의 눈으로 투사되는 직접 투사형 안경형 모니터에 적용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눈에 직접 투사되는 것이 아니라, 반사광을 입사시켜서 이미지를 투사하는 간접 투사형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이 가능하다.
즉 도 3 또는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산부(270) 이후에 확산부(27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반사시켜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시키는 입사부(도시되지 않음)를 배치하는 경우 직접 투사형이 아닌 간접 투사형 안경형 모니터의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도 3 또는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구현예는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되는 이미지, 즉 레이저 광만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시-클로스(see-close) 형태의 안경형 모니터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확산부(27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반사시켜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시키는 입사부(도시되지 않음)와, 외부의 배경 영상을 입사시키는 외부 배경 영상 입사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입사부는 확산부(270)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의 일부와 외부 배경 영상 입사부의 외부 배경 영상을 동시에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시키도록 구성하여 시-쓰루(see-through) 형태의 간접 투사형 안경형 모니터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안경형 모니터는 사용자의 시력에 대응하는 영상 이미지를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확산부(270)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사용자의 시력에 맞추어 수렴하는 도수 조절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수 조절부는 예컨대 사용자의 안경 도수에 대응하도록 확산부(270)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수렴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영상 신호 분리부(220)와, 레이저 제어부(230)와, 수평 반사부(250)와, 수직 반사부(255)와, 수평 회전 구동부(260)와, 수 직 회전 구동부(265)는 MEMS 공정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영상 신호 분리부(220)와, 레이저 제어부(230)와, 반사부(280)와, 회전 구동부(290)는 MEMS 공정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MEMS 공정을 통한 구현은 특히 제조 비용 및 소형 경량화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율적인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형 모니터에 일체형으로 적용가능하며 화면의 크기 및 투사 거리의 조절이 용이하며 정확한 화질 구현 및 화면 조절이 가능하다.

Claims (7)

  1.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입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고자 하는 화질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의 출력 신호인 영상 신호를 영상 데이터와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로 분리하는 영상 신호 분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 분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레이저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저 제어부와,
    상기 레이저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레이저 광을 출력하는 레이저 출력부와,
    상기 레이저 광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반사하는 수평 반사부와,
    상기 수평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레이저 광을 수직 방향으로 조절하여 반사하는 수직 반사부와,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수평 반사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수평 회전 구동부와,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수직 반사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수직 회전 구동부와,
    상기 수직 반사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눈으로 확대하여 투영하는 확산부
    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2.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입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고자 하는 화질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의 출력 신호인 영상 신호를 영상 데이터와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로 분리하는 영상 신호 분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 분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레이저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저 제어부와,
    상기 레이저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레이저 광을 각각 출력하는 레이저 출력부와,
    상기 레이저 광을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여 반사하는 반사부와,
    상기 수평 동기 신호 또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반사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반사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눈으로 확대하여 투영하는 확산부
    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반사시켜 상기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시키는 입사부
    를 더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외부의 배경 영상을 입사시키는 외부 배경 영상 입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사부는 상기 확산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의 일부와 상기 외부 배경 영상을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시키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상기 사용자의 시력에 맞추어 수렴하는 도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분리부와 상기 레이저 제어부와 상기 수평 반사부와 상기 수직 반사부와 상기 수평 회전 구동부와 상기 수직 회전 구동부는 MEMS 공정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분리부와 상기 레이저 제어부와 상기 반사부와 상기 회전 구동부는 MEMS 공정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038096A 2006-04-27 2006-04-27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7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096A KR100827624B1 (ko) 2006-04-27 2006-04-27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096A KR100827624B1 (ko) 2006-04-27 2006-04-27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655A true KR20070105655A (ko) 2007-10-31
KR100827624B1 KR100827624B1 (ko) 2008-05-07

Family

ID=3881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096A KR100827624B1 (ko) 2006-04-27 2006-04-27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6264A2 (en) * 2008-04-06 2009-10-15 David Chaum Proximal image projection system
WO2010018953A3 (en) * 2008-08-13 2010-06-03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Head-mounte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9490A (en) 1992-09-16 1994-06-07 Hughes Training, Inc. Helmet mounted display including synchronously moving tilted mechanisms
KR100378359B1 (ko) * 1996-10-31 200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KR100262825B1 (ko) * 1997-08-13 2000-08-01 구자홍 투사형디스플레이장치
KR100261582B1 (ko) * 1997-11-06 2000-07-15 윤종용 3차원 영상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6264A2 (en) * 2008-04-06 2009-10-15 David Chaum Proximal image projection system
WO2009126264A3 (en) * 2008-04-06 2010-03-25 David Chaum Proximal image projection system
WO2010018953A3 (en) * 2008-08-13 2010-06-03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Head-mounted display
CN102099725B (zh) * 2008-08-13 2012-10-03 浦项工科大学校产学协力团 头戴式显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624B1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5631B (zh) 頭部配戴型顯示裝置及頭部配戴型顯示裝置之控制方法
US7595933B2 (en) Head mounted display system
US7436568B1 (en) Head mountable video display
US8570242B2 (en) Image displaying method for a head-mounted type display unit
JP6060512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979271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JP5958689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9128285B2 (en) Head-mounted display including integrated projector
US20150168729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JP2015023381A (ja) 透過型表示装置および透過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2204998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6432197B2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42887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20160021360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program
JP6075083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20160035137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program
JP2016186561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28024B2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27624B1 (ko) 안경형 모니터를 위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JP5742355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2016033763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005031A (ko) 단판식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광학시스템
KR102337212B1 (ko) 홀로그램 광학 소자를 이용한 스마트 글라스 기기
JP2014068096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6031373A (ja) 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