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214A -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색역을 자동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색역을 자동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214A
KR20070105214A KR1020060037375A KR20060037375A KR20070105214A KR 20070105214 A KR20070105214 A KR 20070105214A KR 1020060037375 A KR1020060037375 A KR 1020060037375A KR 20060037375 A KR20060037375 A KR 20060037375A KR 20070105214 A KR20070105214 A KR 20070105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ut
color space
image data
space information
os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5214A/ko
Publication of KR20070105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소정 색역내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색공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검출된 색공간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을 변환하는 색역 변환부, 변환된 색역내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이미지데이터의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을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메타정보, 색공간 변환(색역 변환), OSD,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색역을 자동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Display system for converting a color gamut and displaying by using a meta data, and method thereof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영상처리 시스템에서의 색변환과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영상처리 시스템,
도 4는 도3의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메타정보 OSD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5의 영상처리 시스템과 연동하는 호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 방법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영상처리 시스템 110 : 검출부
120 : 색역변환부 130 : 출력부
240 : 제어부 250 : OSD처리부
360 : 인터페이스부 370 : 저장부
380 : 입력부 400 : 호스트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색공간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을 자동으로 변환시켜주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소형 휴대용 기기들이 개발, 보급되고 있다. 이 중 대표적인 것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들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폰과 같은 통신 기기에 촬영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휴대 기기를 이용하여 촬영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촬영 기기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는 촬영 기 기에 구비된 메모리 카드 등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다. 이 경우, 촬영 일시, 촬영 기기 제조 업체 정보, 카메라 세팅 값, 색공간 정보, 기타 사용자 메모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저장된다. 이러한 정보들은 통상적으로 메타 정보(meta data)라 한다.
한편,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는 촬영 기기 자체에 구비된 LCD나 외부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따르면, 자체 색역을 그대로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표현한다. 따라서, 촬영 당시의 색감을 그대로 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정확한 색상 표현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사진 정보를 사용자가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판단하고, 사용자는 별도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색역을 그에 맞게 조정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종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사진의 메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EXIF를 분석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JPG 확장자를 가진 이미지 데이터 파일의 메타 정보를 직접 검출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그리고 나서, 메타 정보 중 색공간 정보를 확인하여, 그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분석한 후,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색역을 분석된 색공간 정보에 따라 세팅해 주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시스템 조정에 미숙한 경우에는, 정확한 색상 표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미지데이터의 촬영일시, 제조 업체 등과 같은 다양한 메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EXIF 분석 프로그램과 같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데이터의 색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을 자동으로 변환하게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정확한 색공간에서 표현된 색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화면에 OSD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은, 이미지 데이터의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색역 내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영상처리 시스템은,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색공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색공간 정보에 따라 상기 색역을 변환하는 색역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색역 내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된 색공간 정보를 포함한 메타정보를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OSD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된 색공간 정보를 기초로 색역 변환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상기 색역 변환이 가능하면 상기 색역 변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색역을 변환하고, 상기 색역 변환이 불가능하면 변환 전 색역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메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검출부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기 설정된 색공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색공간 변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색공간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을 변환하여 소정의 색역내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 방법은 (a)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색공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색공간 정보에 따라 상기 색역을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변환된 색역 내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된 색공간 정보를 포함한 메타정보를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된 색공간 정보를 기초로 색역 변환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단계는, 판단 결과 상기 색역 변환이 가능한 경우에만 상기 색역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메타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 된 메타 정보로부터 상기 색공간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영상처리 시스템은 검출부(110), 색역변환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본 영상처리 시스템(100)은 모니터, TV, 촬영기기 자체에 구비된 LCD 디스플레이 수단, 노트북PC, PC, P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미도시).
검출부(110)는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데이터의 색공간 정보를 검출한다.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을 하게 되면 이미지가 메모리카드에 파일로 저장된다. 이 때 파일 내부에 이미지내용뿐만 아니라 촬영에 관련된 정보도 함께 저장되는데 이를 메타정보라고 한다. 메타 정보는 보통 EXIF규격(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 디카의 찰영 정보를 이미지에 기록하는 표준 규칙)에 의해 저장되므로 EXIF정보라고도 하나, 메타 정보에는 각 카메라 제조사가 EXIF정보로는 부족한 부분을 기록하고 있는 MakerNote라는 부분도 포함되어 있다. 대개 메타정보에는 카메라 제조사, 모델, 이미지처리 S/W명, 촬영날짜/시각, 이미지 사이즈, 압축비, 셔터스피드, 조리개 수치, ISO수치, 초점거리등이 저장되어 있다. 한편, 검출부(110)는 이미지데이터의 메타 정보를 직접 리딩하거나 호스트에 의해 리딩된 메타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데이터의 색공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색역변환부(12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색공간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을 변환한다.
색역(color gamut)이란 프린터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상 재현 범위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색공간(color space)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색역은 RGB (red, green, blue), CMYK( cyan, magenta, yellow, black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RGB 색공간에는 sRGB, adobe RGB, bruce RGB, CIE RGB 등이 있다. 이 중 sRGB는 대부분의 Windows용 모니터의 대표로 정의된 색공간으로 일반적인 컬러 TV의 색공간과도 매우 비슷하다. 최근 Web페이지 상에 나타나는 화상의 표준 색공간이기도 하지만, 색역이 좁고 특히 청색의 색역이 좁은 특징이 있다. 그 밖에, adobe RGB는 Adobe Phtoshop 5.0에서 정의 색공간으로 sRGB 에 비해 색역이 넓고, 대부분 프린터의 CMYK 색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화상이 가지는 색정보를 남기는 일 없이 표현할 수 있다.
색역의 폭( Color Reproduction Range, CRR ) 이란 CIE 색도도에서 측정된 3원색의 각 좌표를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을 그렸을 때 이 삼각형의 면적을 계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는데, 얼마나 다양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삼각형의 면적이 넓을수록 보다 다양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고 간주한다.
도 2는 본 영상처리 시스템의 출력 색역이 Adobe RGB 규격으로 기 설정된 상태에서, sRGB 규격으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때의 색변환 과정을 CIE-XY 색도도 상에 표시한 그래프이다. CIE-XY 색도도란 CIE 표준 측색 시스템(CIE[국제조명위원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가 제정한 측색 시스템으로 빛의 3원색에 의해 만들어지는 이론상의 모델로, 빛의 3원색인 R(적)· G(녹)·B(청)를 X·Y·Z의 양으로 나타낸다.)의 구성요소 중에서 X와 Y를 각각 X축, Y축으로 하여 도표로 만든 것이다.
도 2에 따르면, Adobe RGB 색역 상의 각 점은 sRGB 색역 상의 각 점으로 매칭된다. 구체적으로, (R, G, B)=(255, 0, 0)인 A 점에 대응되는 (x, y) 좌표를 A'(x', y') 지점으로 매칭시킨다. 이러한 색변환 작업은 다양한 색변환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환은 LED BLU 디스플레이나 CCFL이 적용된 디스플레이와 같은 광색역 디스플레이(WGD : Wide Gamut Display)에서 이미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때에 특히 유용하다.
출력부(130)는 색역변환부(120)에 의해 변환된 색역내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촬영당시의 색공간 정보를 그대로 적용하여 이미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므로, 원래 색상이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의 영상처리 시스템은 검출부(210), 색역변환부(220), 출력부(230), 제어부(240), OSD처리부(250) 및 사용자 입력부(260)를 포함한다. 검출부(210), 색역변환부(220), 출력부(230)의 기능은 도 1에서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제어부(240)는 상기 검출된 색공간 정보를 기초로 색역 변환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색역 변환이 가능하면 색역 변환부(220)를 제어하여 색역을 변환하고, 색역 변환이 불가능하면 변환 전 색역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출력부(23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사진이 Adobe RGB 색역에서 촬영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sRGB색역을 갖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지털 사진의 촬영 색영역에 비해 협색역을 갖기 때문에 색역 변환이 불가능하므로 변환전 색역인 sRGB 색역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사용자 입력부(260)는 사용자로부터 OSD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OSD처리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60)로부터 OSD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OSD검출된 색공간 정보를 포함한 메타정보를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OSD처리부(250)는 KEY등을 통하여 OSD요청 신호가 입력되거나, 색역 변환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OSD메세지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카메라 제조사, 모델, 촬영날짜, 색공간 등의 메타 정보가 OSD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OK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메타정보 OSD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의 영상처리 시스템(300)은 검출부(310), 색역 변환부(320), 출력부(330), 제어부(340), OSD처리부(350), 인터페이스부(360), 저장부(370)및 입력부(380)를 포함한다. 호스트(400)는 PC, 노트북, PDA, 디지털 카메라, 메모리 카드 리더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40)의 기능은 도 3에서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5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360)는 외부 기기(호스트)(400)로부터 메타 정보를 수신하여 검출부(310) 또는 저장부(37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부(370)는 인터페이스부(360)로부터 수신된 메타 정보 또는 기 설정된 색공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검출부(310)는 인터페이스부(360)로부터 수신된 메타 정보나 저장부(370)에 의해 저장된 메타정보로부터 색공간 정보를 검출한다.
색역변환부(320)는 입력부(380)에 의해 색공간 변환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검출부(310)에 의해 검출된 색공간 정보 및 저장부(370)에 저장되었던 기 설정된 색공간 정보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을 변환한다.
출력부(330)는 색역변환부(320)에 의해 변환된 색역 내에서 이미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저장부(370)에 저장되었던 색공간 정보를 포함한 메타정보는 OSD처리부(350)에 의해 OSD 메세지 형태로 출력되고 출력부(330)는 OSD 메세지 형태의 메타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OSD처리부(350)는 예를 들면, 기존의 Magic Tune 소프트 웨어를 실행하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agic Tune은 OSD버튼을 눌러 하던 모든 조정작업을 마우스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다. Magic Tune은 DDC/IC(Display Data Channel Command Interface)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서, 영상처리 시스템과 호스트를 연결하는 신호 케이 블을 통해 사용자가 모니터의 OSD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영상처리 시스템과 연동하는 호스트(400)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에 따르면, 호스트(400)는 이미지데이터 저장부(410), 메타 정보 검출부(420) 및 전송부(430)를 포함한다.
이미지데이터 저장부(410)는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다.
메타정보 검출부(420)는 이미지데이터 저장부(410)에 의해 저장된 이미지데이터로부터 메타정보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전송부(430)는 검출된 메타 정보를 영상처리 시스템(3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메타정보는 영상처리 시스템(300)의 인터페이스부(360)를 통해 전송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먼저 이미지데이터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색공간 정보를 검출한다(S510). 이어서, 검출된 색공간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을 변환한다(S520). 이에 따라, 변환된 색역 내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53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먼저 검출부(210)가 이미지데이터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색공간 정보를 검출한다(S610).
이러한 상태에서, 메타정보를 OSD상으로 디스플레이하라는 제어신호가 입력 되면(S620:Y), 색공간 정보를 포함한 메타정보를 OSD 메세지 형태로 출력한다. 이어서 검출된 색공간정보에 따라(S610)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을 변환하게 된다(S640), 이에 따라, 변환된 색역내에서 이미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한편, OSD 메세지를 이용하여 메타정보를 OSD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650).
메타정보를 OSD상으로 디스플레이하라는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S620:N), 검출된 색공간 정보에 따라(S610)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을 변환하게 된다(S640). 이에 따라, 변환된 색역 내에서 이미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650). 도 8의 실시 예에서, 메타 정보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어 신호가 별도로 입력되지 않더라도, 색역이 변환되면 메타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색공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710)는 도 8에서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9의 실시 예에 따르면, 검출된 색공간 정보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한 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720). 이에 따라, 검출된 색공간 정보를 기초로 색역변환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S720:Y), 검출된 색공간 정보에 따라(S710)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을 변환한다(S730).이에 따라, 변환된 색역 내에서 이미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740).
검출된 색공간 정보를 기초로 색역변환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S720:N), 변환전 색역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750). 도 9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색역 변환이 수행될 수 없음을 알리는 OSD 메시지를 표시하여, 원 촬영 색상과 표현된 색상이 다를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후속 조치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촬영 시의 색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색역을 변환하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추가하여,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색공간 변환 명령을 입력하여 색역을 임의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이미지 데이터의 색공간 정보를 검출하여(S810), 이에 따라, 색역을 자동으로 변환한 상태(S820)에서, 색공간 변환명령이 입력되면(S830:Y), 기 설정된 다음 색공간 정보 중 하나를 검출한다(S840). 기 설정된 다음 색공간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원래 출력 색역에 대한 색공간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나서, 검출된 색공간 정보(S84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을 변환한다(S850). 이에 따라, 변환된 색역내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860). 색공간 변환 명령이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그 때마다 색공간 변환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색공간 변환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S820:N), 이미지 데이터 내의 메타정보에 따라 변환된 색역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면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한다(S860).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정확한 색공간에서 표현된 색상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데이터의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공간 변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메타정보를 사용자가 별도로 분석하여 색공간 세팅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색공간 정보를 읽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공간을 변환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데이터의 메타정보를 OSD를 통해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이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7)

  1. 소정 색역 내에서 이미지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색공간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색공간 정보에 따라 상기 색역을 변환하는 색역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색역 내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OSD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OSD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검출된 색공간 정보를 포함한 메타정보를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OSD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색공간 정보를 기초로 색역 변환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상기 색역 변환이 가능하면 상기 색역 변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색역을 변환하고, 상기 색역 변환이 불가능하면 변환 전 색역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 플레이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4. 소정 색역 내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영상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색공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색공간 정보에 따라 상기 색역을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변환된 색역 내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OSD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OSD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된 색공간 정보를 포함한 메타정보를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색공간 정보를 기초로 색역 변환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판단 결과 상기 색역 변환이 가능한 경우에만 상기 색역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메타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메타 정보로부터 상기 색공간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방법.
KR1020060037375A 2006-04-25 2006-04-25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색역을 자동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05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375A KR20070105214A (ko) 2006-04-25 2006-04-25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색역을 자동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375A KR20070105214A (ko) 2006-04-25 2006-04-25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색역을 자동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214A true KR20070105214A (ko) 2007-10-30

Family

ID=3881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375A KR20070105214A (ko) 2006-04-25 2006-04-25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색역을 자동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52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497A1 (ko) * 2014-11-14 2016-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그에 따른 기록매체
US10216398B2 (en) 2015-04-16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497A1 (ko) * 2014-11-14 2016-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그에 따른 기록매체
US10277783B2 (en) 2014-11-14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mage display based on metadata,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10216398B2 (en) 2015-04-16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11137890B2 (en) 2015-04-16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11749151B2 (en) 2015-04-16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6895B2 (en) Image output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output an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e
US7455229B2 (en) Direct print system
US7483168B2 (en) Apparatus, method, signal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onfigured to provide output image adjustment of an image file
JP4677322B2 (ja) 画像処理パラメータ設定装置
US87367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llowing remote operation of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567721B2 (en) Using a light color sensor to improve a representation of colors in captured image data
JP2012083572A (ja) 表示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US723369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040040363A (ko) 화상송수신 시스템, 화상송신장치 및 화상수신장치
JP2002314863A (ja) 電子カメラ
US87049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different save destin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098003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ata transfer dynamic adjustment in response to usage scenarios,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3029356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product
KR20070105214A (ko)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색역을 자동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06237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2969088A (zh) 投屏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8044965B2 (en) Color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9286836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output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JP7036139B2 (ja) 画像加工装置、投影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加工方法
CN106993213B (zh) 一种子画面的设定装置及设定方法
JP5026731B2 (ja) 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の半透明実現装置、実現システム及び実現方法
JP4805532B2 (ja) デバイス機器
JP2013198095A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220752A (ja) 情報処理装置
CN219418469U (zh) 一种校正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