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127A - Tts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Tts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127A
KR20070104127A KR20060036327A KR20060036327A KR20070104127A KR 20070104127 A KR20070104127 A KR 20070104127A KR 20060036327 A KR20060036327 A KR 20060036327A KR 20060036327 A KR20060036327 A KR 20060036327A KR 20070104127 A KR20070104127 A KR 20070104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etermined
voice
vo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36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8408B1 (ko
Inventor
최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20060036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408B1/ko
Publication of KR20070104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40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TS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에 저장된 다양한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TTS 변환하고, 상기 TTS 변환된 데이터를 특정 기능 동작 시 제공되는 오디오 파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벨소리, 각종 알림 톤 등을 차별된 목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TTS, 음성 변환, 녹음, 벨소리, 알람, 부가 기능

Description

TTS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방법{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TEXT TO SPEECH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른 동작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통신 단말기
210: 메모리
220: TTS(Text To Speech) 엔진부
230: 설정부
240: 제어부
250: 무선 통신부
260: 출력 수단
270: 입력 수단
본 발명은 TTS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에 기록된 소정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TTS 변환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특정 기능에 대한 효과음으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파일로 변환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달은 통신 단말기(휴대기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켜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핸드폰, PDA 등의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손쉽게 연락할 수 있게 되어 종래보다 의사 소통이 빈번해지게 되었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들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문자 서비스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욕구에 맞게 보다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통신 단말기는 착신 벨 기능, 메뉴 선택 기능, 알람 기능, 키 입력 기능, 및 효과음 기능 등의 동작 시 스피커를 통해 특정 소리를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메모리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파일을 통해 자신의 개성에 맞게 상기 소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거나 편집하여 차별화된 소리의 출력이 가능하다. 그러나, 통신 단말기에서 소정 소리로 출력 가능한 상기 오디오 파일은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거나 편집하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상기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거나 편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에 소정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상기 소프트웨어의 사용법을 숙지한 다음 상기 오디오 파일을 편집하거나, 기존 음악 파일 등으로부터 상기 오디오 파일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컴퓨터 단말기의 조작에 능숙한 특정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하기에는 상당한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대부분의 오디오 파일은 기존의 소정 음성 파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데, 이는 기존 음성 파일로부터 상기 오디오 파일이 그대로 추출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의 개성을 100% 반영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메모리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TTS 변환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오디오 파일을 특정 기능에 대한 소리로 출력하는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서버 또는 소정 녹음 장치로부터 전달된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TTS 변환하여 착신 벨 기능, 메뉴 선택 기능, 알람 기능, 및 키 입력 기능 등에 따른 효과음으로 출력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TTS 엔진부, 및 상기 변환된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특정 기능에서 동작하는 오디오 파일로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소정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로부터 추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TTS 엔진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로부터 특정인의 목소리에 대한 주파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특정 기능은 착신 벨 기능, 메뉴 선택 기능, 알람 기능, 키 입력 기능, 및 효과음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는 소정 전화 번호와 대응되도록 기록되고, 상기 소정 전화 번호의 단말기로부터 호를 수신하면 해당 오디오 파일이 착신 벨로 출력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모리는 소정 녹음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특정 기능에서 동작하는 오디오 파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는 메모리에 음성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상기 음성 정보는 연예인, 정치인, 및 만화 캐릭터 등, 특정 인물의 음성에 대한 샘플이거나 소정 녹음 장치(130)로부터 전달된 음성에 대한 샘플이다. 또한,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TTS(Text To Speech) 엔진을 구비하여 TTS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메모리에 기 록된 상기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TTS 변환하여 특정 기능에 따른 오디오 파일로 변환한다. 상기 특정 기능은 착신 벨 기능, 메뉴 선택 기능, 알람 기능, 키 입력 기능, 및 효과음 기능 등의 부가 기능이며, 상기 TTS 엔진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각각의 기능에 따른 포맷으로 변환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으로 생성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통신 단말기(100)로 키 패드, 핫키,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TTS 엔진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TTS 변환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TTS 엔진은 상기 음성 정보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거나 목소리의 억양에 따른 진폭 변화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TTS 변환한다.
상기 음성 정보는 통신망(110)을 통해 웹 또는 왑 방식으로 접근 가능한 소정 서버(120)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버(120)는 특정 인물의 음성을 샘플로 기록하고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요청되는 경우에 상기 통신망(110)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이로써, 상기 서버(120)와 관련된 사업자 또는 통신망(110)의 사업자는 이윤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는 메모리(210), TTS 엔진부(220), 설정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이외에도,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본 기능을 위하여, 기지국과 통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250), 및 키 패드 등의 입력 수단(270)이나 스피커,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출력 수단(26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통신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구성 요소들은 제어부(24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10)는 연예인, 정치인, 및 만화 캐릭터 등, 특정 인물의 음성에 대한 샘플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210)는 상기 통신 단말기(200)에 외장형 또는 내장형으로 장착 가능한 다양한 플래시 메모리뿐만 아니라, 자기 테이프 등의 기록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10)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2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210)는 음성 정보 필드, 기능 종류 필드, 오디오 파일 필드, 및 설정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정보 필드는 소정 서버 또는 소정 녹음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기록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소정 서버는 웹 서버 또는 왑 서버이며, 상기 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서버에 기록된 다양한 음성 정보 중에서 원하는 음성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녹음 장치는 음성 녹음기, MP3 플레이어, 마이크로폰, 또 다른 통신 단말기, 및 카세트 플레이어 등의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녹음 장치로부터의 음성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210)에 기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 른 상기 음성 녹음기는 상기 통신 단말기(20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TTS 변환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TTS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어떠한 기능의 동작 시 출력되는 오디오 파일로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기능 종류 필드에 기능 종류로서 기록된다.
또한, 상기 기능 종류에 따라 특정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오디오 파일은 상기 오디오 파일 필드에 기록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사용자는 상기 기능 종류에 따라 상기 오디오 파일이 출력될 설정 정보를 더 입력하고, 상기 설정 정보 필드는 상기 설정 정보를 기록한다.
도 3의 도면 부호 301을 참조하면, 메모리(210)의 음성 정보 필드에 기록된 음성 정보로서 '음성 1'은 '010-111-2222'에 대한 단말기로부터 호를 수신하면 '착신 벨'로 동작한다. 이 때 상기 '착신 벨'로서 '벨소리 1'의 오디오 파일이 출력된다.
상기 TTS 엔진부(220)는 상기 메모리(210)에 기록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단말기(200)의 입력 수단(270)을 통해 입력되거나, 문자 메시지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입력 수단(270)을 통해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210)에 기록된 소정 음성 정보의 주파수 특성 및 억양 등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 데이터로 TTS 변환 된다.
상기 설정부(230)는 상기 변환된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특정 기능에서 동작하는 오디오 파일로 설정한다. 즉, 상기 설정부(230)는 상기 TTS 엔진부(220)가 변환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기능을 위해 동작 가능한 포맷의 오디오 파일로 TTS 변환 한다. 단말기 제조사 및 단말기 모델 등에 따라서 특정 기능에서 동작할 수 있는 오디오 파일의 포맷은 각각 상이하므로 이하 오디오 파일의 포맷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소정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정보 또는 소정 녹음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정보를 상기 메모리(210)에 기록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240)는 종래 통신 단말기(200)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닛(MCU)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TTS 엔진부(220), 설정부(230), 및 제어부(240)의 일부 기능은 소정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가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의 구성 요소는 단말기 제조 시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는 소정 서버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후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410에서 통신 단말기(200)는 소정 서버에 접속하 여 상기 서버에 기록된 음성 정보 목록을 출력한다. 이에, 사용자는 '1. 이효리 음성', '2. 이영애 음성', '3. 짱구 음성', 및 '4. 장동건 음성'의 상기 음성 정보 목록 중에서 원하는 음성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200)로 다운로드 한다.
도면부호 420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210)에 기록하고, 사용자로부터 '전화 받아요'라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또한,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도면부호 430에서 메모리(210)에 기록된 음성 정보 중에서 참조할 음성 정보를 더 선택 입력 받는다.
만약, 상기 메모리(210)에 기록된 음성 정보 중에서 '1. 이영애 음성'이 선택 입력된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이영애 음성'을 기반으로 상기 '전화 받아요'의 텍스트 데이터를 TTS 변환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로써,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특정인의 음성과 유사하게 TTS 변환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가 사용될 특정 기능을 선택 입력 받고, 상기 TTS 변환된 상기 음성 데이터가 상기 선택 입력된 특정 기능의 동작 시 출력될 수 있도록 소정 오디오 파일로 포맷팅한다.
만약, 상기 특정 기능이 착신 벨 기능으로 선택된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TTS 변환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벨소리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벨소리를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른 동작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통신 단말기(200)가 다른 녹음 장치에 기록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하는 실시예이다.
도 5에서, 도면부호 510을 참조하면 녹음 장치는 '홍길동'의 음성을 녹음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200)로 전달한다.
상기 녹음 장치는 음성 녹음기, MP3 플레이어, 마이크로폰, 다른 통신 단말기, 및 카세트 플레이어 등의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도 5에서는 상기 다른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녹음 장치를 설명한다. 통신 단말기(200)에 상기 녹음 장치가 내장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520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녹음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TTS 변환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면부호 530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착신 벨 기능에 사용될 수 있도록 포맷 변환하여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홍길동'의 단말기로부터 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 파일이 착신 벨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홍길동'의 전화번호를 선택한다.
즉, 상기 '홍길동'이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200)로 호 요청하는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사전에 입력된 상기 '홍길동'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변환된 오디오 파일의 벨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1에서 소정 서버 또는 녹음 장치는 통신 단말기(200)에 소정 음성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단계 602에서,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녹음 장치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210)에 기록한다. 이 때, 상기 음성 정보는 소정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이며, 소정 이상의 시간 동안 녹음된 음성 샘플이다.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단계 603에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키 입력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수신된 문자 메시지, 또는 소정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데이터이다.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한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단계 604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210)에 기록된 복수의 음성 정보 중에서 특정 음성 정보를 선택 입력 받고, 단계 605에서, 소정 기능을 선택 입력 받는다. 이에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단계 606에서, 상기 수집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선택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음성 정보는 소정 시간 동안 이상 기록된 특정 목소리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음성 정보로부터 억양 및 주파수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된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선택된 소정 기능의 동작 시에 출력되기 위하여 상기 소정 기능에 대응되는 오디오 파일로 포맷 변환된다.
일례로, 상기 특정 기능이 착신 벨 기능인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벨소리로서 출력되기 위하여 벨소리 오디오 파일로 포맷 변환된다. 만약, 상기 변환된 오디오 파일이 소정 전화 번호와 연관지어 메모리에 기록되는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소정 전화 번호의 단말기로부터 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오디오 파일을 착신 벨로 출력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특정 음성 정보로부터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TTS 변환하여 특정 기능에 대한 소리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편의를 제공하고 이와 더불어 사용자로부터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사업자는 사용자에 의한 음성 정보 다운로드 및 이에 따른 통신망 이용 요금을 과금하여 이윤을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 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로부터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TTS 변환하여 특정 기능에 대한 소리로 출력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사용자의 목소리를 기반으로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TTS 변환하고, 상기 특정 사용자로부터의 호 요청에 따라 상기 TTS 변환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착신 벨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편의를 제공하고 이와 더불어 사용자로부터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지도 높은 인물의 음성 정보를 사용자로 제공하고 통신 요금을 부과함으로써, 통신사 및 관련 사업자는 이윤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서버 또는 소정 녹음 장치로부터 전달된 음성 정보 를 기반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TTS 변환하여 착신 벨 기능, 메뉴 선택 기능, 알람 기능, 키 입력 기능, 및 효과음 기능 등의 소리로 출력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TTS 엔진부; 및
    상기 변환된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특정 기능에서 동작하는 오디오 파일로 설정하는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소정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TS 엔진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로부터 특정인의 목소 리에 대한 주파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착신 벨 기능, 메뉴 선택 기능, 알람 기능, 키 입력 기능, 및 효과음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는 소정 전화 번호와 대응되도록 기록되고, 상기 소정 전화 번호의 단말기로부터 호를 수신하면 해당 오디오 파일이 착신 벨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소정 녹음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8.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기능들을 다양한 음성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특정 기능에서 동작하는 오디오 파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소정 녹음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소정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로부터 특정인의 목소리에 대한 주파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소정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는 소정 전화 번호와 대응되도록 기록되고, 상기 소정 전화 번호의 단말기로부터 호를 수신하면 해당 오디오 파일이 착신 벨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060036327A 2006-04-21 2006-04-21 Tts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798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6327A KR100798408B1 (ko) 2006-04-21 2006-04-21 Tts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6327A KR100798408B1 (ko) 2006-04-21 2006-04-21 Tts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127A true KR20070104127A (ko) 2007-10-25
KR100798408B1 KR100798408B1 (ko) 2008-01-28

Family

ID=3881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36327A KR100798408B1 (ko) 2006-04-21 2006-04-21 Tts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881B1 (ko) * 2012-10-31 2014-09-11 주식회사 스마트아이콘 뮤직 메시지 생성 장치 및 이의 뮤직 메시지 생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3282B2 (en) * 2003-04-18 2006-03-14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text-to-speech processing in a portable device
KR100660063B1 (ko) * 2004-02-10 2006-12-26 주식회사 엠키 문자 메시지의 음성 변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19969A (ko) * 2004-08-30 2006-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메시지를 이용한 미 수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060020881A (ko) * 2004-09-01 2006-03-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881B1 (ko) * 2012-10-31 2014-09-11 주식회사 스마트아이콘 뮤직 메시지 생성 장치 및 이의 뮤직 메시지 생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408B1 (ko) 2008-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5659B2 (en) Personalized text-to-speech synthesis and personalized speech feature extraction
CN111261144B (zh) 一种语音识别的方法、装置、终端以及存储介质
KR20010076508A (ko) Mp3 플레이어 겸용 휴대폰에서 음성 인식에 의한 선곡방법
CN111325039B (zh) 基于实时通话的语言翻译方法、系统、程序和手持终端
KR10067816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N101873548B (zh) 一种用户即时通信在线状态铃音表达系统及方法
RU2324296C1 (ru) Способ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0798408B1 (ko) Tts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방법
CN101640860B (zh) 用于通信的方法、用于通信的相关系统和相关的转换部件
US20080146197A1 (en) Method and device for emitting an audible alert
CN111274828B (zh) 基于留言的语言翻译方法、系统、计算机程序和手持终端
KR100578724B1 (ko) 전화용 음향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94214B1 (ko) 상대 통화자의 감정을 진동으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EP2224703B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novelty voice alteration and related methods
KR20060050071A (ko)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 및 휴대 정보 단말기
KR20030057494A (ko)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기기용 오디오 서비스 방법 및 이의 구현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JP2003202890A (ja) 音声認識装置及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
KR10077448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513040B1 (ko) 음성합성을 이용하여 호출음을 생성하는 무선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Pavlovski et al. Reference architecture for 3G thin client multimodal applications
KR20060072877A (ko)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mp3 파일을 이용한 알람벨 설정방법
CN108173802A (zh) 一种通讯处理方法、装置和终端
KR20060017043A (ko) Mp3 음악을 이용한 휴대폰의 벨소리 서비스방법
KR101054740B1 (ko) 통화 배경음 저장 및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폰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배경음 제공 방법
KR100791509B1 (ko) 휴대폰의 통화음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