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889A - 전지용 벤트 캡 - Google Patents

전지용 벤트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889A
KR20070103889A KR1020060035797A KR20060035797A KR20070103889A KR 20070103889 A KR20070103889 A KR 20070103889A KR 1020060035797 A KR1020060035797 A KR 1020060035797A KR 20060035797 A KR20060035797 A KR 20060035797A KR 20070103889 A KR20070103889 A KR 20070103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pring
safety valve
battery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규
송치훈
김인중
Original Assignee
현대에너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에너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에너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3889A/ko
Publication of KR20070103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25Re-sealable arrangements comprising deformable valve members, e.g. elastic or flexible valve members
    • H01M50/333Spring-loaded vent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전지용 벤트 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의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하부에 끼워지는 탄력성의 안전밸브와,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안전밸브의 상단에 안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캡본체는, 그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배기통로가 형성되고, 그의 하부에는 상기 안전밸브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의 내부에는 상기 끼움홈과 연통하여 상기 스프링이 내장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밸브는 판상의 형상을 가지되, 적어도 하면은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전지용 벤트 캡을 제공한다. 상기 안전밸브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원반형이고, 그의 종단면이 타원형이다. 본 발명은 벤트 캡을 구성하는 구성부품이 최소화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단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전지, 벤트 캡, 가스, 전해액, 안전밸브, 피스톤, 스프링

Description

전지용 벤트 캡 {Vent cap for batter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지용 벤트 캡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지용 벤트 캡을 보인 것으로, 상기 도 1이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벤트 캡을 보인 것으로서, 전조의 커버에 결합되는 모습을 상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벤트 캡을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요부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벤트 캡을 보인 것으로서,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벤트 캡이 벤트 홀에 조립되는 모습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립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0 : 캡본체 124 : 상판
123 : 삽입홈 125 : 가스 배기통로
126 : 끼움홈 130 : 스프링
140 : 안전밸브 142 : 하면
144 : 상면 150 : 피스톤부재
152 : 지지판 154 : 중심유지축
156 : 스프링결합축 160 : 패킹
200 : 전조 300 : 커버
350 : 벤트 홀 354 : 바닥부
355 : 배기홀
본 발명은 전지의 커버에 결합되어,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적정 압력 이상이 되면 배기시키는 전지용 벤트 캡(vent cap)에 관한 것으로, 벤트 캡을 구성하는 구성부품을 최소화시키고, 작동 압력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는 전지용 벤트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축 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등과 같은 2차전 지, 그리고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등에 사용되는 축전지, 예를 들어 전기이중층 캐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등과 같은 전지는 기본적으로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박판 형태의 양극판 및 음극판을 교호로 적층하여 전조에 내장한 후, 전해액이 함침된 상태에서 전조의 상부에 커버를 밀봉, 결합함으로써 제작된다. 전지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형태 및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지는데, 원통형 또는 다각주형(일례로, 직사각형) 등과 같은 전지가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전지는 단락이나 충방전이 일어나게 되면, 화학반응에 의해 가스가 발생된다. 발생된 가스는 전조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예를 들어, 밀폐 고정형 납축전지에서 과충전이 일어나면 전해액이 전기분해되어 수소와 산소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의 내압이 증가된다. 그리고 니켈-수소 전지에서 과충전이 일어나면 전해액 중의 OH-가 분해되어 산소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의 내압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전지의 내부에서는 필연적으로 가스가 발생하며, 가스 발생에 의한 압력 상승은 전지의 성능을 감소시킴은 물론 폭발의 위험성을 수반하게 한다.
위와 같이, 전조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가스를 배기시켜 내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전조의 커버에는 벤트 캡(vent cap)이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벤트 캡을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지용 벤트 캡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지용 벤트 캡을 보인 것으로, 상기 도 1이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벤트 캡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벤트 캡은, 일반적으로 커버에 형성된 벤트 홀에 나사 결합되는 외부캡(1)과, 상기 외부캡(1)의 내측에 결합되는 중간캡(2)과, 상기 중간캡(2)에 끼워지는 컵형의 안전밸브(3)와, 이 안전밸브(3)를 밀착시키면서 상기 중간캡(2)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부캡(4)과, 커버의 벤트 홀에 밀봉되도록 상기 외부캡(1)의 외주연부에 끼워지는 O-링(O-ring, 5)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캡(1)의 외주연부에는 케이스 커버의 벤트 홀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캡(2)의 내측에는 안전밸브(3)가 끼워지는 돌출부(2a)가 형성되고, 돌출부(2a)에는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홈(2a-1)이 마련되어 있다. 안전밸브(3)는 수축, 이완이 자유로운 탄력성으로 주로 고무재가 많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내부캡(4)은 안전밸브(3)를 돌출부(2a)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그 중앙에 하향 돌출된 돌기(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외부캡(1), 중간캡(2) 및 내부캡(4)은 각각 접착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내부캡(4)에는 가스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그 가장자리에 배출공(4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조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가스의 압력에 의해 안전밸브(3)가 순간적으로 이완되어 내부캡(4)의 배출공(4b)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캡을 구성하는 구성부품이 외부캡(1), 중간캡(2), 안전밸브(3) 및 내부캡(4) 등으로 구성되어, 그 개수가 많음에 따라 이들 각각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공정과 상호간을 접착하기 위한 결합 공정이 많아져 제조공정이 복잡하다 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안전밸브(3)는 내부캡(4)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4a)에 의해서만 돌출부(2a)에 밀착됨에 따라 그 밀착력이 약하여 전해액의 누액을 완전 차단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상기 안전밸브(3)는 컵(cup) 형상으로서 쉽게 이완됨에 따라 8기압 이상의 높은 압력에서는 사용되지 못하고, 일반적으로 0.1기압 ~ 0.2 기압 내에서 작동되어 전해액이 쉽게 고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전조 내부에서는 산소의 재결합이 일어나야 하는 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밸브(3)는 그 작동 압력이 낮아 산소의 재결합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잉여분의 산소가 전지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결국 전해액이 쉽게 고갈되게 하여 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작동 압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컵 형상의 안전밸브(3)의 벽 두께를 크게 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벤트 캡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벤트 캡을 구성하는 구성부품을 최소화시키고, 작동 압력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는 전지용 벤트 캡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지용 벤트 캡에 있어서,
원통형의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하부에 끼워지는 탄력성의 안전밸브와;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안전밸브의 상단에 안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캡본체는, 그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배기통로가 형성되고, 그의 하부에는 상기 안전밸브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의 내부에는 상기 끼움홈과 연통하여 상기 스프링이 내장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밸브는 판상의 형상을 가지되, 적어도 하면은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전지용 벤트 캡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안전밸브는 그의 평면 형상은 원반형이고, 그의 종단면은 긴 타원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지용 벤트 캡에 있어서,
원통형의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에 중심유지축을 가지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피스톤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피스톤부재의 중심유지축에 끼워지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캡본체는, 그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배기통로가 형성되고, 그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부재와 스프링이 내장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전지용 벤트 캡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벤트 캡이 전조의 커버에 결합되는 모습을 상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벤트 캡을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요부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서, 벤트 캡(100)은 캡본체(120)와, 이 캡본체(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캡본체(12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는 안전밸브(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스프링(130)은 안전밸브(140)의 상단에 중심이 일치되도록 안착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200은 전조이고, 300은 전조(200)에 밀봉, 결합되는 커버이며, 410은 단자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420은 O-링(O-ring)이고, 430은 와셔이며, 440은 너트이다.
상기 캡본체(120)는 커버(300)의 중앙에 형성된 벤트 홀(vent hole, 350)에 결합된다. 이때, 벤트 홀(350)의 바닥부(354)에는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홀(3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본체(120)와 벤트 홀(350)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본체(120)의 외주연에 나사산(122a)이 형성됨과 동시에 벤트 홀(350)의 내주연에도 나사산(350a)이 형성되어 캡본체(120)와 벤트 홀(350)은 나사산(122a)(350a)에 의해 회전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나사산(122a)(350a)에 의해 회전 결합되는 경우, 캡본체(120)와 벤트 홀(350)은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면서,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캡본체(120)는, 그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배기통로(125)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의 하부에는 안전밸브(140)가 끼워지는 끼움홈(126)이 형성되고, 그의 내부에는 스프링(130)이 내장되는 삽입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126)과 삽입홈(123)은 연통되어지되, 끼움홈(126)의 직경보다 삽입홈(123)의 직경이 더 작다. 이때, 상기 가스 배기통로(125)는 전조(2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곳으로, 도면에서는 2개가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캡 본체(120)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외주연에 나사산(122a)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122)와, 상기 본체(122)의 상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본체(1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상판(124)을 가지며, 상기 본체(122)의 측면에는 가스 배기통로(125)가 형성되고, 하부와 내부에는 끼움홈(126)과 삽입홈(123)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상판(124)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벤트 홀(350)에는 상판(124)이 안착되는 밀착턱(352)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상판(124)에는 스크루 드라이버(screw driver), 렌치(wrench), 스패너(spanner) 등을 끼워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분리할 수 있도록 회전홈(124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123)의 상단 중앙에는 스프링(130)의 상단이 끼워지는 스프링결합돌기(124b)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프링결합돌기(124b)는 스프링(130)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프링(130)이 중심선 상에 위치되 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판(124)으로부터 일체로 하향하여 형성된다.
상기 안전밸브(140)는 캡본체(120)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126)에 끼워지며, 이는 판상의 형상을 가지되, 적어도 그의 하면(142)은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142)은 아래로 볼록하고, 상면(144)은 위로 볼록하여, 그의 종단면이 거의 긴 타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타원형은 완전한 타원형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말단이 수직면(141)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밸브(140)는 평면 형상이, 구체적으로 상면(144) 또는 하면(142)에서 바라본 모습이 원형으로서, 원반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전밸브(140)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캡본체(120)에 형성된 끼움홈(126)은 그 단면이 원형으로서 안전밸브(140)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스프링(130)과 안전밸브(140)는 탄력성의 재질이면 본 발명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전밸브(140)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의 탄성체를 사용할 있다. 스프링(130)과 안전밸브(140)는 설정된 압력에서 벤트될 수 있도록 그의 탄력성(경도)과 크기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130)과 안전밸브(140)는 0.2기압 이상, 바람직하게는 5 ~ 8기압에서 벤트될 수 있도록 그의 탄력성(경도)와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0.2기압 이상에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례로, 상기 안전밸브(140)를 내산성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 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재질로서 경도 35(HSA : Hardness Shore A type)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벤트 캡은, 전조(200) 내부에 가스가 발생되면, 가스의 압력에 의해 스프링(130) 및 안전밸브(140)가 수축된다. 그리고 가스는 가스 배기통로(125)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트 캡은, 캡본체(120), 스프링(130) 및 안전밸브(140)로 구성되어 종래의 기술(도 1 및 도 2)보다 그 구성부품의 개수가 현저히 감소되고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안전밸브(140)는 판상 형상(바람직하게는 원반형)으로서, 가스의 압력을 몸체 전체가 지지하므로, 종래의 컵 형상(가스의 압력을 측벽이 지지함)보다 작동 압력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 압력이 크면, 전조(200) 내에서 산소의 재결합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전해액의 조기 고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캡본체(120)의 외주연에 나사산(122a)이 형성된 경우, 캡본체(120)는 벤트 홀(350)과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회전 결합됨과 동시에, 이는 또한 그 회전 결합정도에 따라 가스의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벤트 캡을 보인 것으로서, 도 8은 벤트 캡을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벤트 홀에 조립되는 모습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조립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서, 벤트 캡은 원통형의 캡본체(120)와, 상기 캡본체(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피스톤부재(150)와 상기 캡본체(120)의 내부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피스톤부재(150)의 상단에 안착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단에 위치되는 패킹(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캡본체(120)는 나사산(122a)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배기통로(125)가 형성되고, 그의 내부에는 스프링(130)과 피스톤부재(150)가 삽입되는 삽입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캡 본체(120)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외주연에 나사산(122a)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122)와, 상기 본체(122)의 상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본체(1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상판(124)을 가지며, 상기 본체(122)의 측면에는 가스 배기통로(125)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프링(130)과 피스톤부재(150)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2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판(124)에는 회전홈(12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부재(150)는 상하 길이방향의 중간에 형성된 원반형의 지지판(152)과, 이 지지판(152)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중심유지축(154)과, 상기 지지판(152)의 상부에 연장 형성된 스프링결합축(156)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심유지축(154)은 벤트 홀(350)의 바닥부(354)에 형성된 배기홀(355)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되면서 피스톤부재(150)의 중심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결합축(156)은 스프링(130)의 하단이 끼워져 스프링(130)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프링(130)의 중심을 유지시킨다.
상기 스프링(130)은 전지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 한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탄 성력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전조 내부의 압력이 5 ~ 8기압이 되면 수축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160)은 밀폐력이 우수한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각형 단면을 갖거나 원형 단면을 갖는 링(ring)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갖는 고무재 O-링(O-ring)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패킹(160)은 피스톤부재(150)의 중심유지축(154)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판(152)과 바닥부(354)에 밀착된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벤트 캡은 전조(200) 내부에 가스가 발생되면, 가스의 압력에 의해 스프링(130)이 수축되어 피스톤부재(150)가 상부로 이동되며, 이에 의해 지지판(152)과 패킹(16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기홀(355)로부터 유입된 가스는 상기 공간을 통과한 다음 가스 배기통로(125)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벤트 캡을 구성하는 구성부품이 최소화되어 각 부품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공정과 상호간을 결합시키는 공정이 단축되어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작동 압력을 크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전해액의 손실을 억제하여 전지의 수명을 월등히 향상시키며, 벤트 캡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전지용 벤트 캡에 있어서,
    원통형의 캡본체(120)와; 상기 캡본체(120)의 하부에 끼워지는 탄력성의 안전밸브(140)와; 상기 캡본체(120)의 내부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안전밸브(120)의 상단에 안착되는 스프링(130);을 포함하고,
    상기 캡본체(120)는, 그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배기통로(125)가 형성되고, 그의 하부에는 상기 안전밸브(140)가 끼워지는 끼움홈(126)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의 내부에는 상기 끼움홈(126)과 연통하여 상기 스프링(130)이 내장되는 삽입홈(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밸브(140)는 판상의 형상을 가지되, 적어도 하면(142)은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벤트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140)는 그의 평면 형상이 원반형으로서, 하면(142)은 아래로 볼록하고, 상면(144)은 위로 볼록하여 그의 종단면이 긴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벤트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23)의 상단 중앙에는 스프링(130)의 상단이 끼워지는 스프링결합돌기(124b)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전지용 벤트 캡.
  4. 전지용 벤트 캡에 있어서,
    원통형의 캡본체(120)와; 상기 캡본체(120)의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에 중심유지축(154)을 가지는 피스톤부재(150)와; 상기 캡본체(120)의 내부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피스톤부재(150)의 상단에 안착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피스톤부재(150)의 중심유지축(154)에 끼워지는 패킹(160);을 포함하고,
    상기 캡본체(120)는, 그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배기통로(125)가 형성되고, 그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부재(150)와 스프링(130)이 내장되는 삽입홈(1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벤트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재(150)는 원반형의 지지판(152)과, 상기 지지판(152)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벤트 홀(350)의 바닥부(354)에 형성된 배기홀(355)에 끼워져 피스톤부재(150)의 중심을 유지시키는 중심유지축(154)과, 상기 지지판(152)의 상부 에 연장 형성되고, 스프링(130)의 하단이 끼워져 스프링(130)의 중심을 유지시키는 스프링결합축(15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벤트 캡.
KR1020060035797A 2006-04-20 2006-04-20 전지용 벤트 캡 KR20070103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797A KR20070103889A (ko) 2006-04-20 2006-04-20 전지용 벤트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797A KR20070103889A (ko) 2006-04-20 2006-04-20 전지용 벤트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889A true KR20070103889A (ko) 2007-10-25

Family

ID=3881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797A KR20070103889A (ko) 2006-04-20 2006-04-20 전지용 벤트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38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6263A (zh) * 2011-10-10 2013-04-10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口组件及灯具
JP2016031934A (ja) * 2014-07-29 2016-03-07 エスケー イノベーシ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k Innovation Co.,Ltd. パウチ型リチウム二次電池のベンティングシステム
KR20180045623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인팩 유체제어부를 구비한 체크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6263A (zh) * 2011-10-10 2013-04-10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口组件及灯具
JP2016031934A (ja) * 2014-07-29 2016-03-07 エスケー イノベーシ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k Innovation Co.,Ltd. パウチ型リチウム二次電池のベンティングシステム
KR20180045623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인팩 유체제어부를 구비한 체크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778B1 (ko) 2차전지의 배기장치
KR101097229B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전기 자동차
US7842416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cap assembly
US9425448B2 (en) Sealed battery and safety valve
JP7387031B2 (ja) 貫通孔をシールするためのシールコンポーネント、電池単体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CN108468067B (zh) 电解器间隔件和配备有这种间隔件的电解器
KR100494360B1 (ko) 전지용 벤트 캡
JP2006128091A (ja) 二次電池
CN112820987A (zh) 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和制造系统、电池以及用电装置
KR100776766B1 (ko) 상부 단자식 전지
CN116169304A (zh) 端盖组件、储能装置、用电设备及户用储能系统
KR20070103889A (ko) 전지용 벤트 캡
JP5147151B2 (ja) 制御弁式鉛蓄電池
CN208336404U (zh) 电池及其顶盖片组件
US20230253666A1 (en) Integrated valve plug and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5372480B2 (ja) 安全弁
CN115425346B (zh) 端盖组件、电池单体、电池模组及用电设备
KR101268294B1 (ko) 축전지용 벤트 캡
CN206282917U (zh) 一种设有排气口的电池壳及电池
KR102326317B1 (ko) 고전압용 파우치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CN221100322U (zh) 一种圆柱电池爆破测试工装
CN219643091U (zh) 电池、电池模组及电动设备
CN218274975U (zh) 电池单体、电池及用电装置
KR20160069580A (ko) 축전지용 벤트 캡
CN217214829U (zh) 一种旋转式锂电池盖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