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2084A -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 - Google Patents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2084A
KR20070102084A KR1020060033768A KR20060033768A KR20070102084A KR 20070102084 A KR20070102084 A KR 20070102084A KR 1020060033768 A KR1020060033768 A KR 1020060033768A KR 20060033768 A KR20060033768 A KR 20060033768A KR 20070102084 A KR20070102084 A KR 20070102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floor
frame
choir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1389B1 (ko
Inventor
서영석
Original Assignee
서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석 filed Critical 서영석
Priority to KR1020060033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389B1/ko
Publication of KR20070102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 E04H3/28Shiftable or portabl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2001/024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folded up when not in use or ope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는 상단부에 사람이 올라 갈 수 있는 플로어가 바닥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플로어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1 몸체에서 돌출 및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몸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플로어가 마련되어 있은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플로어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2 몸체에서 돌출 및 삽입되도록 상기 제2 몸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플로어가 마련되어 있는 제3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2 및 제3 몸체가 제1 및 제2 몸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돌출 및 삽입되므로, 다단무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및 제3 몸체가 제1 몸체에 삽입되므로, 다단무대의 부피가 작아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슬라이딩, 무대, 다단, 합창

Description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SLIDING TYPE MULTI-STAGE FOR CHORAL SOCIE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의 제2 및 제3 몸체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의 플로어를 제거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의 제2 및 제3 몸체가 삽입된 상태의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의 제2 및 제3 몸체가 돌출된 상태의 평단면도이고,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다단무대 11 : 보조롤러
20 : 제1 몸체 30 : 제2 몸체
40 : 제3 몸체 50 : 유동방지수단
본 발명은 공연, 행사 등에서 사용되는 다단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대를 슬라이딩식으로 용이하게 단차지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공연장이나 전시장 등과 같이 여러 가지 행사나 공연을 진행하는 곳에서는 관람객들이 공연, 행사 등을 잘 볼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무대가 설치되어 있다. 무대는 통상 관객들이 위치하는 지면보다 높게 설치되어 있으며, 행사나 공연의 성격에 따라서 단층 또는 다단으로 제작되는 등 그 형태 또한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그리고 다단으로 제작되어 있는 무대는 주로 합창단과 같이 많은 수의 공연자가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공연을 하거나, 오케스트라 공연과 같이 공연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악기를 사용할 때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합창단이나 오케스트라 공연 등에서 다단으로 제작된 무대를 사용하는 것은 모든 공연자가 시야의 가림이 없이 지휘자를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다단무대는 높이가 다른 다수의 무대를 단차지게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무대가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쉽게 움직이게 되거나 무대가 쓰러지게 되어 공연자가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안전사고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대를 앵글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조립한 형태의 다단무대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무대는 그 부피가 너무 커 운반이나 보관이 매우 어려운 단점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무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그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는 상단부에 사람이 올라 갈 수 있는 플로어가 바닥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플로어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1 몸체에서 돌출 및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몸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플로어가 마련되어 있은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플로어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2 몸체에서 돌출 및 삽입되도록 상기 제2 몸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플로어가 마련되어 있는 제3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10)는 제1 몸체(20)와, 이 제1 몸체(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돌출 및 삽입되는 제2 몸체(30)와, 제2 몸체(30)에 돌출 및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3 몸체(4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제2 및 제3 몸체(40)의 상면에는 사람이 올라 갈 수 있도록 플로어(Floor: 21, 31, 41)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10)는 제1 몸체(20)에 사용자가 지면으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난간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제1 몸체(20)는 플로어(21)를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제1 프레임(23)과, 이 제1 프레임(23)의 후단부의 양측에 수직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프레임(25)과, 이 제2 프레임(25)에 결합되어 지면에 접촉되어 있는 지지프레임(27)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몸체(20)의 제1 프레임(23)의 양측 하면 및 지지프레임(27)의 내측에는 가이드홈(23a, 27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홈(23a, 27a)의 전방부에는 제2 몸체(30)에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롤러(23b, 27b)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롤러(23b, 27b)들은 제1 몸체(20)의 전방측에 부착되어 있다.
제2 몸체(30)는 상면에 플로어(33)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상면이 제1 몸체(20)의 제1 프레임(21)의 하면에 접촉되어 있는 제1 프레임(33)과, 이 제1 프레임(33)의 양측에 수직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프레임(35)과, 외측이 제1 몸체(20)의 지지프레임(27) 내면과 접촉되어 있는 지지프레임(37)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몸체(30)의 제1 프레임(33)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홈(33a, 33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1 가이드홈(33a)은 제1 몸체(20)의 제1 프레임(23)의 가이드홈(23a)과 대향된다. 제2 몸체(30)의 지지프레임(37)의 내면 및 외면에는 제3 및 제4 가이드홈(37a, 37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3 가이드홈(37a)은 제1 몸체(20)의 지지프레임(27)의 가이드홈(27a)과 대향된다. 제2 몸체(30)의 제1, 제2, 제3 및 제4 가이드홈(33a, 33b, 37a, 37b)들에는 가이드롤러(39)들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제1 및 제3 가이드홈(33a, 37a)에 부착되는 가이드롤러(39)는 제2 몸체(30)의 후방부에 위치되고, 제2 및 제4 가이드홈(33b, 37b)에 부착되는 가이드롤러(39)는 제2 몸체(30)의 전방부에 위치되어 있다.
제2 몸체(30)의 제1 및 제2 가이드홈(33a, 37a)에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롤러(39)는 제1 몸체(20)의 제1 프레임(23) 및 지지프레임(27)의 가이드홈(23a)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제2 몸체(30)의 제1 및 제2 가이드홈(33a, 37a)에는 제1 몸체(20)의 제1 프레임(23) 및 지지프레임(27)의 가이드롤러(23b, 27b)가 각각 삽입된다.
제3 몸체(40)의 상면 및 측면에는 제2 몸체(30)의 제2 및 제4 가이드홈(33b, 37b)과 대향되도록 제1 및 제2 가이드홈(41, 4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가이드홈(41, 43)에는 가이드롤러(45)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제3 몸체(40)의 제1 및 제2 가이드홈(41, 43)에 부착된 가이드롤러(45)는 제2 몸체(30)의 제2 및 제4 가이드홈(33b, 37b)에 각각 삽입된다. 제3 몸체(40)의 제1 및 제2 가이드홈(41, 43)에는 제2 몸체(30)의 제2 및 제4 가이드홈(33b, 37b)에 부착된 가이드롤 러(39)가 각각 삽입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제3 몸체(40)는 가이드롤러(45)가 제2 몸체(30)의 제2 및 제4 가이드홈(33b, 37b)에 부착된 가이드롤러(39)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제2 몸체(30)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몸체(30)는 제1 및 제3 가이드홈(33a, 37a)에 부착된 가이드롤러(39)가 제1 몸체(20)의 가이드롤러(23b, 27b)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제1 몸체(20)에 결합되어 있다. 이는 제3 및 제2 몸체(40, 30)를 제2 및 제1 몸체(20, 30)에서 슬라이딩시킬 때 제3 및 제2 몸체(40, 30)가 제2 및 제1 몸체(20, 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몸체(20)의 가이드홈(23a, 27a)과 제2 몸체(30)의 제1 및 제2 가이드홈(33a, 37a) 사이에는 제2 몸체(30)가 제1 몸체(20)에서 더욱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보조롤러(1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2 몸체(30)의 제3 및 제4 가이드홈(33b, 37b)과 제3 몸체(40)의 제1 및 제2 가이드홈(41, 43) 사이에도 제3 몸체(40)가 제2 몸체(30)에서 더욱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보조롤러(1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단무대(10)는 제2 및 제3 몸체(40)가 제1 및 제2 몸체(30)에서 슬라이딩될 때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유동방지수단(50)이 더 구비되어 있다.
유동방지수단(50)은 일측이 제1 몸체(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제2 몸체(3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제1 및 제2 완충실린더(51, 53)와, 일측은 제2 몸체(3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제3 몸체(40)에 회 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제3 및 제4 완충실린더(55, 57)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완충실린더(51, 53, 55, 57)는 실린더바(51a, 53a, 55a, 57a)와, 제2 및 제3 몸체(4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실린더바(51a, 53a, 55a, 57a)에서 신축되는 로드(51b, 53b, 55b, 57b)와, 이 로드(51b, 53b, 55b, 57b)가 실린더바(51a, 53a, 55a, 57a)에서 신축될 때 로드(51b, 53b, 55b, 57b)를 탄성지지 하는 완충스프링(51c, 53c, 55c, 57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완충실린더(51, 53, 55, 57)의 로드(51b, 53b, 55b, 57b)는 일단이 실린더바(51a, 53a, 55a, 57a)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으며, 완충스프링(51c, 53c, 55c, 57c)은 실린더바(51a, 53a, 55a, 57a)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완충실린더(51, 53, 55, 57)의 완충스프링(51c, 53c, 55c, 57c)은 제2 및 제3 몸체(40)가 슬라이딩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바(51a, 53a, 55a, 57a)의 내부에서 로드(51b, 53b, 55b, 57b)의 단부를 탄성지지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제2, 제3 및 제4 완충실린더(51, 53, 55, 57)들은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제2 및 제3 몸체(40)에는 제1, 제2, 제3 및 제4 완충실린더(51, 53, 55, 57)를 고정할 수 있도록 브래킷(420a, 30a, 40a)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1 완충실린더(51) 및 제2 완충실린더(53)의 실린더바(51a, 53a)는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부가 힌지(58)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그 일측은 제1 몸체(20)의 브래킷(20a)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완충실린더(51, 53)의 로드(51b, 53b)는 제2 몸체(30)의 브래킷(30a)에 각각 고정되 어 있다.
제3 완충실린더(55)와 제4 완충실린더(57)의 실린더바(55a, 57a) 또한 중앙부가 서로 교차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힌지(59)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그 일측은 제2 몸체(30)의 브래킷(30a)에 고정되어 있다. 제3 및 제4 완충실린더(55, 57)의 로드(55b)는 제3 몸체(40)의 브래킷(40a)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실시예에 따른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및 제3 몸체(4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단무대(10)를 설치하고자하는 곳에 다단무대(10)를 위치시킨 후, 제2 몸체(30)를 다단무대(10)의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면, 제2 몸체(30)가 제1 몸체(20)에서 돌출되면서, 제2 몸체(30)의 플로어(31)와 제1 몸체(20)의 플로어(21)가 단차를 이루게 된다.
제2 몸체(30)를 제1 몸체(20)에서 슬라이딩시키면, 제2 몸체(30)의 제1 및 제3 가이드홈(33a, 37a)에 부착된 가이드롤러(39)는 제1 몸체(20)의 가이드홈(23a, 27a)을 따라 이동되고, 제2 몸체(30)의 제1 및 제2 가이드홈(33a, 37a)은 제1 몸체(20)의 가이드롤러(23b, 27b)에 지지되면서 제2 몸체(30)가 제1 몸체(20)에서 슬라이딩된다. 이때, 제1 및 제2 완충실린더(51, 5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51b, 53b)가 완충스프링(51c, 53c)에 의하여 실린더바(51a, 53a)에서 신장되면서 양단부가 힌지(58)를 중심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제2 몸체(30)는 제1 및 제2 완충실린더(51, 53)의 실린더바(51a, 53a)에서 신장되는 로드(51b, 53b)에 의하 여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몸체(30)가 제1 몸체(20)에서 완전하게 돌출되면, 제3 몸체(40)도 제2 몸체(30)와 마찬가지로 다단무대(10)의 전방측으로 잡아당겨 제3 몸체(40)를 제2 몸체(30)에서 슬라이딩시켜 돌출시킨다. 그러면, 제3 몸체(40)의 플로어(41)와 제2 몸체(30)의 플로어(31)가 단차를 이루게 되어 다단무대(10)가 3단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제3 몸체(40)를 제2 몸체(30)에서 슬라이딩될 때 제3 몸체(40)의 가이드롤러(45)는 제2 몸체(30)의 제2 및 제4 가이드홈(33b, 37b)을 따라 이동되고, 제3 몸체(40)의 제1 및 제2 가이드홈(41, 43)은 제2 몸체(30)의 제2 및 제4 가이드홈(33b, 37b)에 부착된 가이드롤러(39)에 지지되면서 제3 몸체(40)가 제2 몸체(30)에서 슬라이딩된다. 이때, 제3 및 제4 완충실린더(55, 5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55b, 57b)가 완충스프링(55c, 57c)에 의하여 실린더바(55a, 57a)에서 신장되면서 양단부가 힌지(59)를 중심으로 벌어지게 된다. 제3 몸체(40)는 제3 및 제4 완충실린더(55, 57)의 실린더바(55a, 57a)에서 신장되는 로드(55b, 57b)에 의하여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다단무대(10)를 옮기거나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제3 몸체(40)와 제2 몸체(30)를 제2 몸체(30)와 제1 몸체(2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단무대(10)는 다수를 좌우로 연속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연장 등에서 관객들이 앞 사람에 의하여 시야가 가리지 않도록 관객용 객석으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단무대(10)의 폭을 작게 하여 제작할 경우에는 노약자나 유아 등이 승합차 등과 같이 높은 곳에 승차할 때 편리하게 승차하거나, 또는 화물차 등에 물건을 적재할 때 물건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다단계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에 의하면, 제2 및 제3 몸체가 제1 및 제2 몸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돌출 및 삽입되므로, 다단무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및 제3 몸체가 제1 몸체에 삽입되므로, 다단무대의 부피가 작아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단부에 사람이 올라 갈 수 있는 플로어가 바닥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플로어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1 몸체에서 돌출 및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몸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플로어가 마련되어 있은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플로어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2 몸체에서 돌출 및 삽입되도록 상기 제2 몸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플로어가 마련되어 있는 제3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무대는 상기 제2 및 제3 몸체가 상기 제1 및 제2 몸체에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2 및 제3 몸체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유동방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는 상기 플로어가 설치되어 있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수직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어 지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몸체의 제1 프레임의 상면은 상기 제1 몸체의 제1 프레임의 하면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몸체의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 몸체의 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몸체의 상면 및 측면은 상기 제2 몸체의 제1 프레임의 하면 및 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몸체의 상호 접촉되는 부위에는 가이드홈이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에는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롤러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일측은 상기 제1 몸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 몸체에 회동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에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신축되며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완충실린더와, 일측은 상기 제2 몸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3 몸체에 회동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몸체가 상기 제2 몸체에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신축되며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어 있는 제3 및 제4 완충실린더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실린더는 실린더바와, 상기 실린더바에서 신축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가 상기 실린더바에서 신축 및 완충되도록 상기 실린더바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를 탄성지지하는 완충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
KR1020060033768A 2006-04-13 2006-04-13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 KR100781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768A KR100781389B1 (ko) 2006-04-13 2006-04-13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768A KR100781389B1 (ko) 2006-04-13 2006-04-13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084A true KR20070102084A (ko) 2007-10-18
KR100781389B1 KR100781389B1 (ko) 2007-11-30

Family

ID=3881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768A KR100781389B1 (ko) 2006-04-13 2006-04-13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3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09B1 (ko) * 2012-05-11 2013-11-04 주식회사디자인상 가변구조를 갖는 다기능 열린 공간 시스템
WO2015060469A1 (ko) * 2013-10-21 2015-04-30 오정석 가변구조를 갖는 다기능 열린 공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3383A (zh) * 2018-10-09 2019-01-01 林凤娟 一种舞台板侧面滑道布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360U (ja) * 1992-02-29 1993-09-28 株式会社コトブキ 伸縮式階段状観覧席のスライド式サイドパネル
JP3766790B2 (ja) 2001-08-06 2006-04-19 弘高 春田 収納式階段台
KR20040038400A (ko) * 2002-10-31 2004-05-08 최길윤 이동용 합창무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09B1 (ko) * 2012-05-11 2013-11-04 주식회사디자인상 가변구조를 갖는 다기능 열린 공간 시스템
WO2015060469A1 (ko) * 2013-10-21 2015-04-30 오정석 가변구조를 갖는 다기능 열린 공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389B1 (ko) 200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0908C (en) Foldable, multi-level staging and seating support
US5392718A (en) Wheel lifting assembly for mobile folding stage unit
US20060071510A1 (en) Foldable chair for bathroom
KR100781389B1 (ko) 합창단용 슬라이딩식 다단무대
KR101078913B1 (ko) 펜스에 설치되는 가변형 벤치
CN112343414A (zh) 一种可任意调节高度的升降装置及遮挡系统
AU2006233559B2 (en) Device for partitioning off a space
KR20120115065A (ko) 펜스에 설치되는 가변형 벤치
JP4370436B2 (ja) 移動棚装置
KR100605563B1 (ko) 이동식 용적가변형 구조물
CN218668809U (zh) 一种折叠式隔声屏障
JPH0842169A (ja) 伸縮式階段状移動観覧席のサイドパネル構造
KR200359122Y1 (ko) 이동식 용적가변형 구조물
AU781566B2 (en) Adjustable panel for use in partitions
KR102168945B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걸고리형 수납식 관람석
JPS6316440Y2 (ko)
KR19990038041U (ko) 자전거 보관대의 자전거 고정장치
JP4153437B2 (ja) 階段状観覧席における床形成装置
KR0118557Y1 (ko) 경기장용 울타리형 의자
KR20230054936A (ko) 가림막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JPH0571360U (ja) 伸縮式階段状観覧席のスライド式サイドパネル
JPS5843017Y2 (ja) グランドピアノにおける鍵盤おさ
JPH10195850A (ja) 可動式ラック棒座屈防止用受桁
JP3079328U (ja) 琴の保管台
JPS6363866A (ja) 伸縮移動式階段状観覧席における手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