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865A -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865A
KR20070099865A KR1020060031178A KR20060031178A KR20070099865A KR 20070099865 A KR20070099865 A KR 20070099865A KR 1020060031178 A KR1020060031178 A KR 1020060031178A KR 20060031178 A KR20060031178 A KR 20060031178A KR 20070099865 A KR20070099865 A KR 20070099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information
exchange
usb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8139B1 (ko
Inventor
박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오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오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오일
Priority to KR102006003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139B1/ko
Publication of KR20070099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ina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은, 소정의 정보 수신수단에서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요청 단말장치로부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와 교환 요청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단계와, 소정의 정보 인증수단에서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또는 교환 요청자를 인증하는 인증 처리단계와, 소정의 정보 확인수단에서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를 근거로 하여,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를 확인하는 교환 대상 확인단계 및 소정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수단에서 상기 확인된 교환 대상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교환 요청자 및 교환 대상자 간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을 상호 교환해주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단계를 포함한다.
전자음원, 음악 파일, 교환

Description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Electronic Sound Source(or Sound Files)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의 기기 구성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USB 대응 장치의 간단한 기능 구성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메모리 식별과 데이터 기록, 판독 및 소거를 위한 데이터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 초기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정보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정보검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의 기능 구성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장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의 기능 구성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고객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와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전자음반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일 실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웹서버 105 : 웹 인터페이스부
110 : 웹페이지 운용부 115 : 전자음반 인증부
120 : 고객 인증부 125 : 정보 수신부
130 : 정보 확인부 135 : 정보 저장부
140 : 수수료 처리부 145 : DRM 처리부
150 : 음원 교환부 155 : 음원 추출부
160 : 전자음반 장치 165 : USB 대응 장치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를 통해 소정의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USB 대응 장치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USB 대응 장치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교환하는 전자음반 교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초의 음반은 음성이나 음악 등 소리를 마이크를 통해 전기신호로 바꾼 후 이것을 음반의 바깥 원으로부터 안쪽으로 일련의 소용돌이 모양의 음구를 파고 전기신호(음성신호)에 따라 그 홈의 가로 세로 또는 상하의 변화로 음을 기록하는 것으로서, 1877년 토머스 엘바 에디슨이 주석박 원통형 레코드를 발명한 이후, 1887년 에밀 벌리너가 평원반형 레코드로 발전하였다.
이후, 1925년 전기녹음방식이 개발되었고, 1948년 LP(Long Playing)가 개발되었으며, 1954년 최초로 스테레오 레코드가 발매되기 시작하였으며, 1972년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으로 이루어진 음반이 제작되면서부터 현재의 디지털 음반이 출시되기 시작하였고, 80년대에 들어와서 오늘날의 CD(Compact Disk)가 개발되었다.
한편, 정보통신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대부분의 개인컴퓨터 및/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상기 CD-ROM이 기본적인 주변저장장치로 탑재되면서, 상기 CD에 저장된 음원은 용이하게 불법적으로 복사/복제되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향후, 상기와 같은 음반은 NAND형 메모리에 디지털화된 음원을 저장하여 제공하는 전자음반의 형태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한 전자음반의 판매 및/또는 반납 및/또는 교환 및/또는 직거래 등이 제공될 것으로 예 상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자음반에 저장될 디지털화된 음원은, 종래 디지털화된 컨텐츠의 파일 복사와 같이, 상기 CD 방식의 음반보다 불법적인 무손실 복사/복제가 훨씬 용이한 심각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무손실 복사/복제에 대응하는 신뢰할만한 저작권 보호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한, 상기와 같은 전자음반이 상용화 및/또는 활성화되기에는 난해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요청 단말장치로부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와 교환 요청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또는 교환 요청자를 인증하는 정보 인증수단과,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를 근거로 하여,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 및 상기 확인된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교환 요청자 및 교환 대상자 간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을 상호 교환해주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은, 소정의 정보 수신수 단에서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요청 단말장치로부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와 교환 요청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단계; 소정의 정보 인증수단에서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또는 교환 요청자를 인증하는 인증 처리단계; 소정의 정보 확인수단에서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를 근거로 하여,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를 확인하는 교환 대상 확인단계; 및 소정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수단에서 상기 확인된 교환 대상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교환 요청자 및 교환 대상자 간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을 상호 교환해주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은, 소정의 정보 수신수단에서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요청 단말장치로부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와 교환 요청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단계; 소정의 정보 인증수단에서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또는 교환 요청자를 인증하는 인증 처리단계; 소정의 정보 확인수단에서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를 근거로 하여,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를 확인하는 교환 대상 확인단계; 및 소정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중계수단에서 상기 확인된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교환 요청자 및 교환 대상자 간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을 중계 처리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중계 처리단 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은, 소정의 결제처리수단에서 상기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에 대응되는 수수료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은, 소정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처리수단에서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을 상기 교환 요청자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플레이어 장치 및 교환 대상자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플레이어 장치에 제각기 적합하도록 가공 처리 및/또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시스템은,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요청 단말장치로부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와 교환 요청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또는 교환 요청자를 인증하는 정보 인증수단; 상기 교환 대 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를 근거로 하여,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 및 상기 확인된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교환 요청자 및 교환 대상자 간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을 상호 교환해주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시스템은, 상기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에 대응되는 수수료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처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시스템은,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을 상기 교환 요청자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플레이어 장치 및 교환 대상자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플레이어 장치에 제각기 적합하도록 가공 처리 및/또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처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를 통해 소정의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USB 대응 장치(16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교환하는 전자음반 교환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중계서버가 웹서버(100)인 경우, 상기 웹서버(100)에서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중계하여 교환하도록 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를 통해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교환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소정의 USB 커넥터와, 제어기(Controller) 및 메모리를 구비한 USB 장치의 메모리 상에 디지털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제어기에서 상기 USB 커넥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음원 데이터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전자음반 단말(170)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 이외에 삭제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 상에 디지털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예컨대, 각 단말에 대응하는 DRM이 적용된 음원 데이터)가 저장 및/또는 재생되는 모든 종류의 장치 및/또는 단말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 휴대용 음원 출력장치, 가정용 음원 출력장치, 차량용 음원 출력장치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예컨대, 각 단말에 대응하는 DRM이 적용된 음원 데이터)가 저 장 및/또는 재생되는 단말장치 기능 구성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와, USB 시스템 프로그램(예컨대, USB 드라이브 프로그램, 호스트 드라이버 프로그램) 및/또는 USB 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USB 커넥터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와 인터페이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3a와 도면3b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USB 응용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할 수 있는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하여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전자음반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예컨대, 인증정보 D/B)에 등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를 통해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USB 응용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통해 연결하여 통신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커넥터와, USB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USB 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한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및/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커넥터와, USB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USB 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또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커넥터와, USB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USB 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하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 및/또는 IEEE 802.16x 기반의 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된 휴대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방식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데이터통신 단말 등과 같은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 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커넥터와, USB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USB 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정용 음원 출력장치, 휴대용 음원 출력장치, 차량용 음원 출력장치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 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은,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를 통한 소정의 전자음반 장치(160)와 다른 전자음반 장치(160) 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 및/또는 USB 대응 장치(165)를 통한 소정의 전자음반 장치(160)와 소정의 전자음반 단말(170) 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 소정의 전자음반 단말(170)과 다른 전자음반 단말(170) 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정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 대상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해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 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 방식은, 소정 의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중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선택하여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등록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 단말(170)에서 메모리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중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선택하여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등록한 후, 상기 저장매체에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 사이에 소정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 합의가 이루어지면, 상기 저장매체에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한 USB 대응 장치(165)와 연결된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된 교환대상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및/또는 상기 저장매체에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한 전자음반 단말(170)의 메모리에 저장(또는 기록)된 교환대상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삭제한 후,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소정의 음원 D/B로부터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원 데이터를 각각의 교환대상 전자음반 장치(160)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에 대응하는 DRM을 적용한 후, 상기 DRM이 적용된 음원 데이터를 각각의 교환대상 전자음반 장치(160)가 연결된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하거나, 및/또는 상기 DRM이 적용된 음원 데이터를 각각의 교환대상 전자음반 단말(170)로 전송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또는 기록)하여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해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 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 방식은,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중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선택하여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등록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 단말(170)에서 메모리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중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선택하여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등록한 후, 상기 저장매체에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 사이에 소정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 합의가 이루어지면, 상기 저장매체에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한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된 교환대상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추출 및 삭제하고, 상기 추출된 음원 데이터에 적용되어 있는 DRM을 해제한 후, 상기 교환대상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하여 저장(또는 기록)거나, 및/또는 상기 저장매체에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한 전자음반 단말(170)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또는 기록)된 교환대상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 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추출 및 삭제하고, 상기 추출된 음원 데이터에 적용되어 있는 DRM을 해제한 후 상기 교환대상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하여 저장(또는 기록)하여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웹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과 소정의 웹 통신 프로토콜을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상기 웹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웹 인터페이스부(105)와, 상기 통신채널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할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소정의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제공하는 웹페이지 운용부(110)와, 상기 웹페이지를 수신한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25)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3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 사이에 상기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의 교환 합의가 이루어지면, 소정의 음원D/B로부터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는 음원 추출부(155)와, 상기 추출된 음원 데이터가 상호 교환되어 저장(또는 기록)될 각각의 전자음반 장치(160)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에 대응하는 DRM을 적용하는 DRM 처리부(145) 와,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교환대상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하거나, 및/또는 상기 음원 데이터를 교환대상 전자음반 단말(170)로 전송하여 메모리에 저장(또는 기록)하도록 하는 음원 교환부(1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는 상기 통신채널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연결된 경우,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할 상기 웹페이지에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USB Controller)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또는 기록) 하는 소정의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정보 수신부(125)는 상기 웹페이지를 수신한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는 상기 통신채널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연결된 경우,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할 소정의 웹페이지에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USB Controller)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 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또는 기록)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정보 수신부(125)는 상기 웹페이지를 수신한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대응하는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정보 수신부(125)를 통해 상기 장치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전자음반 인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는 상기 통신채널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연결된 경우,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할 상기 웹페이지에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USB Controller)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전자음반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상기 웹 인터페이 스부(10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정보 수신부(125)는 상기 웹페이지를 수신한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정보 수신부(125)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고객이 기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고객 인증부(1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 교환을 위해 소정의 교환 수수료를 과금 처리하는 수수료 처리부(14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고객 인증부(120)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는 경우, 상기 고객이 기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에게 상기 전자음반 교환에 대응하는 인센티브 제공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13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만약 인센티브 제공이 확인되면, 상기 수수료 처리부(140)는 상기 확인된 인센티브를 상기 교환 수수료에 적용하여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에게 과금 처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교환 수수료를 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가 상기 웹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소스 및/또는 웹 컨텐츠 소스를 연계하여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웹소스 D/B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상기 웹소스 D/B와 연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정보 수신부(125)로 수신되는 고객 인증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소정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인증정보 D/B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및/또는 상기 인증정보 D/B와 연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웹서버(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후,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 사이에 교환될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원D/B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상기 음원D/B와 연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는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소정의 브라우져 프로그램이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 말(170))와 웹서버(100) 간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웹 인터페이스와,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하기 위한 웹 인터페이스와,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폼(Form) 양식을 통해 입력(및/또는 선택)되어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100)에서 수신하기 위한 웹 인터페이스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가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및/또는 노트북과 같은 유선 단말이고,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가 상기 웹서버(1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네트워크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인터넷인 경우,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TCP/IP를 기반으로 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와 웹서버(100) 간 통신채널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에 의해 생성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웹페이지(예컨대, *.htm, *.xml, *.asp, ...)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폼 양식을 통해 입력(및/또는 선택)되어 전송되는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HTTP를 기반으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예컨대,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및/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및/또는 WCDMA(Wide-CDMA) 호환 단말기 및/또는 CDMA 2000 호환 단말기 및/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단말기 등)이고,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가 상기 웹서버(1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네트워크가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인 경우,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CDMA를 기반으로 하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와 웹서버(100) 간 통신채널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에 의해 생성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웹페이지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폼 양식을 통해 입력(및/또는 선택)되어 전송되는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WAP 및/또는 이동 통신용 HTTP를 기반으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인터넷 단말(예컨대, IEEE 802.16x 지원 단말기)이고,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가 상기 웹서버(1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네트워크가 IEEE 802.16x 기반의 고속 무선 인터넷인 경우,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IEEE 802.16x를 기반으로 하는 휴대 인터넷용 HTTP을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와 웹서버(100) 간 통신채널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에 의해 생성된 HTML 호환 웹페이지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부터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폼 양식을 통해 입력(및/또는 선택)되어 전송되는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휴대 인터넷용 HTTP를 기반으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가 상기 예시된 실시예 이외의 다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는 상기 웹서버(100)에 구비된(또는 상기 웹서버(100)와 연계된) 소정의 웹소스 D/B로부터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소스(예컨대, HTML 기반의 웹문서 생성 소스 등)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 컨텐츠 소스(예컨대, HTML 기반의 웹문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 그(Tag)를 통해 포함될 문서 컨텐츠, 및/또는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소스와 웹 컨텐츠 소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웹페이지를 생성한 후(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와 웹 컨텐츠 소스를 포함하여 상기 웹서버(100) 및/또는 웹소스 D/B에 기 저장되어 있는 웹 페이지를 추출한 후),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웹 페이지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웹서버(100)가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통신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가 생성하는 웹페이지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웹페이지를 수신한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를 기반으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웹서버(100)가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통신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가 생성하는 웹페이지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와 연동하여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추출/입력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웹페이지를 수신한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를 기반으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와 연동하여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를 추출/입력한 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가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를 생성(또는 추출)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25)는 상기 웹페이지를 수신한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된 웹페이지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선택된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수신부(125)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부(125)는 상기 웹페이지를 수신한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대응하는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된 웹페이지에는 상기 통신채널이 연결된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할 소정의 웹페이지에 상 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USB Controller)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또는 기록)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수신부(125)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Integrated Circuit)칩)에 저장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인증정보 D/B에 상기 정보 수신부(125)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장치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인증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방법에서 상기 정보 수신부(125)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칩)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 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인증부는 상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상기 장치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인증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장치 인증 정보와 전자음반 인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접속한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장치 인증 정보가 소정의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인증 정보는 상기 식별코드와 매칭되는(또는 비교/인증이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인증 정보가 상기 장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인증 정보는 상기 장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또는 비교/인증이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인증 정보가 상기 음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인증 정보는 상기 음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또는 비교/인증이 가능한) 정보하며, 상기 장치 인증 정보가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인증 정보는 상기 고유정보와 매칭되는(또는 비교/인증이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펌웨어(Firmware) 및/또는 IC칩에서 동적으로 생성되는 난수 및/또는 OTP(One Time Password) 코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 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난수는 상기 전자음반 인증부에서 생성(예컨대, 웹서버(100)에서 난수를 생성하여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로 제공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상기 난수를 암호화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는 인증 방식)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생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와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상기 USB 대응 장치(165) 중 어느 하나에서 생성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장치 인증 정보가 상기 OTP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OTP 생성에 필요한 OTP 생성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인증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 및 관리되거나(예컨대, 시간 동기(Time-Synchoronous) 기반 OTP 인증 방식),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인증부에서 동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로 제공되는(예컨대, 챌린지-리스폰스(Challenge-Response) 기반 OTP 인증 방식)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실시 방법에서 상기 동적으로 생성된 난수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USB 대응 장치(165))에서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후, 상기 평문 형태의 난수와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 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난수가 함께 상기 정보 수신부(125)를 통해 수신되는데, 이 때 상기 전자음반 인증부는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적용된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한 후 상기 평문 형태의 난수와 비교하거나, 또는 상기 평문 형태의 난수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적용된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한 후 상기 암호화된 난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접속한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방법에서 상기 정보 수신부(125)를 통해 상기 OTP 코드를 포함하는 장치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인증부는 상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상기 OTP 코드와 매칭되는 소정의 OTP 생성 정보를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인증부에서 생성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한 OTP 생성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OTP 인증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OTP 코드와 상기 생성된 OTP 인증 코드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접속한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추출된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동적으로 생성된 정보 이외에,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접속한(또는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동적으로 생성된 정보, 및/또는 상 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저장장치로부터 추출된 정보,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키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전자음반 인증 정보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생성 및/또는 추출 및/또는 입력된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실시 방법에서 상기 정보 수신부(125)를 통해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생성 및/또는 추출 및/또는 입력된 정보가 더 포함되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인증부는 상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생성 및/또는 추출 및/또는 입력된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추출 및 비교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접속한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소정의 대칭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암호화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암호화 방식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어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정보 수신부(125)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소정의 대칭키 방식, 및/또는 공개키 방식, 및/또는 키교환 방식, 및/ 또는 전자봉투 방식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된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정보 수신부(125)로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소정의 대칭키 방식, 및/또는 공개키 방식, 및/또는 키교환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방식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된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가 접속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정보 수신부(125)로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대칭키 방식, 및/또는 공개키 방식, 및/또는 키교환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방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 및/또는 상술된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미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장치 인증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 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인증부는 상기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복호화함으로써, 평문 형태의 장치 인증 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대칭키 방식, 및/또는 공개키 방식, 및/또는 키교환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방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 및/또는 상술된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상기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장치 인증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미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 및/또는 USB 대응 장치(165)에서 소정의 전자서명이 첨부(예컨대, 소정의 개인키를 통해 생성된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장치 인증 정보에 첨부)된 후,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정보 수신부(125)로 수신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장치 인증 정보에 소정의 전자서명이 첨부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인증부는 상기 전자서명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접속한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소정의 전자서명을 첨부하는 방법, 및/또는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첨부된 전자서명을 확인하는 방법을 이미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장치 인증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되거나, 및/또는 소정의 전자서명이 첨부되기 위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에는 상기 암호화 및/또는 전자서명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장치 인증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되거나, 및/또는 소정의 전자서명이 첨부되기 위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에는 상기 암호화 및/또는 전자서명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가 구비한 공인인증서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장치 인증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되거나, 및/ 또는 소정의 전자서명이 첨부되기 위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펌웨어(및/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되는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는 상기 암호화키를 통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거나, 및/또는 전자서명을 첨부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거나, 및/또는 전자서명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음반 인증 정보에는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 및/또는 전자서명을 확인하기 위한 전자음반 장치(160)(및/또는 USB 대응 장치(165)) 측 공개키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및/또는 USB 대응 장치(165)) 측 공개키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칩)으로 상기 공인인증서를 발급한 인증기관의 디렉토리 서버(도시생략)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해, 상기 전자음반 인증 정보에는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를 구비한 공인인증서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암호화되거나, 및/또는 전자서명이 첨부되어 수신된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거나, 및/또는 전자서명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음반 인증부는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호화키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복호화키를 통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부(125)는 상기 웹페이지를 수신한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된 웹페이지에는 상기 통신채널이 연결된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할 상기 웹페이지에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USB Controller)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기 구매(및/또는 교환, 및/또는 교체)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전자음반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겨우 상기 정보 수신부(125)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전송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전자음반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Integrated Circuit)칩)에 저장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인증정보 D/B에 상기 정보 수신부(125)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소정의 전자음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방법에서 상기 정보 수신부(125)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칩)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자음반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을 구매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객 인증부(120)는 상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상기 고객 인증 정보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매칭되는 소정의 고객 정보를 추출하고, 및/또는 상기 고객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전자음반 정보와 상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추출된 전자음반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정보가 소정의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는 전자음반 정보는 상기 식별코드와 매칭되는(또는 비교/인증이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음반 정보가 상기 장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는 상기 전자음반 정보는 상기 장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또는 비교/인증이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음반 정보가 상기 음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는 상기 전자음반 정보는 상기 음반 고유정보와 매칭되는(또는 비교/인증이 가능한) 정보하며, 상기 전자음반 정보가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는 상기 전자음반 정보는 상기 고유정보와 매칭되는(또는 비교/인증이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전자음반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펌웨어(Firmware) 및/또는 IC칩에서 동적으로 생성되는 난수 및/또는 OTP(One Time Password) 코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음반 정보에 포함되는 난수는 상기 고객 인증부(120)에서 생성(예컨대, 웹서버(100)에서 난수를 생성하여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로 제공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상기 난수를 암호화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는 인증 방식)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생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와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상기 USB 대응 장치(165) 중 어느 하나에서 생성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정보가 상기 OTP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OTP 생성에 필요한 OTP 생성 정보는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된 전자음반 정보에 포함되어 관리(예컨대, 시간 동기(Time-Synchoronous) 기반 OTP 인증 방식), 및/또는 상기 고객 인증부(120)에서 동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로 제공되는(예컨대, 챌린지-리스폰스(Challenge-Response) 기반 OTP 인증 방식)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실시 방법에서 상기 동적으로 생성된 난수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USB 대응 장치(165))에서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후, 상기 평문 형태의 난수와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난수가 함께 상기 정보 수신부(125)를 통해 수신되는데, 이 때 상기 고객 인증부(120)는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적용된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한 후 상기 평문 형태의 난수와 비교하거나, 또는 상기 평문 형태의 난수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적용된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한 후 상기 암호화된 난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방법에서 상기 정보 수신부(125)를 통해 상기 OTP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음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객 인증부(120)는 상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상기 OTP 코드와 매칭되는 소정의 OTP 생성 정보를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 인증부(120)에서 생성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한 OTP 생성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OTP 인증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OTP 코드와 상기 생성된 OTP 인증 코드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추출되거나(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에 저장하는 경우),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저장장치로부터 추출되거나(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경우),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키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이 상기 웹서버(100)에 등록한 회원정보(예컨대, ID/PW를 포함하는 계정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 및/또는 IC칩에 저장된 공인인증서 정보(예컨대, 공인인증서 소유자 정보, 공인인증서 프로파일 정보, 공인인증서 고유정보 등)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에 포함된 저작권 정보(예컨대, DRM 정보, 및/또는 핑거 프린트 정보 등)로부터 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는 소정의 대칭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암호화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암호화 방식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어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정보 수신부(125)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소정의 대칭키 방식, 및/또는 공개키 방식, 및/또는 키교환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방식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된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정보 수신부(125)로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소정의 대칭키 방식, 및/또는 공개키 방식, 및/또는 키교환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방식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된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가 접속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정보 수신부(125)로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대칭키 방식, 및/또는 공개키 방식, 및/또는 키교환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방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 및/또는 상술된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미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 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고객 인증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객 인증부(120)는 상기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함으로써, 평문 형태의 고객 인증 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대칭키 방식, 및/또는 공개키 방식, 및/또는 키교환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방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 및/또는 상술된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상기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미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 및/또는 USB 대응 장치(165)에서 소정의 전자서명이 첨부(예컨대, 소정의 개인키를 통해 생성된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고객 인증 정보에 첨부)된 후,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정보 수신부(125)로 수신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고객 인증 정보에 소정의 전자서명이 첨부되는 경우, 상기 고객 인증부(120)는 상기 전자서명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소정의 전자서명을 첨부하는 방법, 및/또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첨부된 전자서명을 확인하는 방법을 이미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고객 인증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되거나, 및/또는 소정의 전자서명이 첨부되기 위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에는 상기 암호화 및/또는 전자서명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고객 인증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되거나, 및/또는 소정의 전자서명이 첨부되기 위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에는 상기 암호화 및/또는 전자서명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가 구비한 공인인증서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객 인증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되거나, 및/또는 소정의 전자서명이 첨부되기 위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펌웨어(및/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되는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는 상기 암호화키를 통해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거나, 및/또는 전자서명을 첨부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거나, 및/또는 전자서명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인증정보 D/B에 고객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전자음반 정보에는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 및/또는 전자서명을 확인하기 위한 전자음반 장치(160)(및/또는 USB 대응 장치(165)) 측 공개키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및/또는 USB 대응 장치(165)) 측 공개키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칩)으로 상기 공인인증서를 발급한 인증기관의 디렉토리 서버(도시생략)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해, 상기 인증정보 D/B에 고객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전 자음반 정보에는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를 구비한 공인인증서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암호화되거나, 및/또는 전자서명이 첨부되어 수신된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거나, 및/또는 전자서명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고객 인증부(120)는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호화키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복호화키를 통해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부터 상기 정보 수신부(125)를 통해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고객 정보와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는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포함되어 제공되며, 이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 간 전자음반 교환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 간 전자음반 교환 합의는 각각의 USB 대응 장치(165)(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된 웹페이지를 통해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상기 교환 합의가 이루어지면, 상기 음원 추출부(155)는 소정의 음원D/B로부터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RM 처리부(145)는 상기 음원 추출부(155)를 통해 상기 음원D/B로부터 추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에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정의되는(및/또는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DRM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각의 DRM 기술적 특징에 따라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DRM을 적용하는 방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절차는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정보 확인부(130)(13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통해 상호 교환되는 각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판독 및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되는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확인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통해 상호 교환되는 각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가수(또는 연예인)가 동일하거나 및/또는 매칭되는(예컨대, 상기 교환되는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가수가 상기 가수그룹으로부터 솔로로 데뷔한 경우)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되는 전자음반에 대한 교환 수수료 할인 및/또는 면제 등과 같은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인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통해 상호 교환되는 각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가수(또는 연예인)의 소속사(또는 연예기획사)가 동일하거나 및/또는 매칭되는(예컨대, 계열사 관계)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되는 전자음반에 대한 교환 수수료 할인 및/또는 면제 등과 같은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인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통해 상호 교환되는 각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반제작사(또는 투자회사)가 동일하거나 및/또는 매칭되는(예컨대, 계열사 관계)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되는 전자음반에 대한 교환 수수료 할인 및/또는 면제 등과 같은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인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통해 상호 교환되는 각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작곡자/작사자/편곡자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되는 전자음반에 대한 교환 수수료 할인 및/또는 면제 등과 같은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인결과 본 발명에 따라 전자음반을 교환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상기 전자음반과 관련된 멤버쉽 회원이거나, 및/또는 커뮤니티 회원인 경우,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되는 전자음반에 대한 교환 수수료 할인 및/또는 면제 등과 같은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확인부(130)(130)는 상기 예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당업자의 의도에 따른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판독 및 비교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되는 전자음반에 대한 교환 수수료 할인 및/또는 면제 등과 같은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수수료 처리부(140)는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되는 상기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교환 수수료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확인부(130)(130)에 의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에게 소정의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과금 처리 과정에서 교환 수수료 할인 및/또는 면제 등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의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결제수단, 체크카드 결제수단, 직불카드 결제수단, 무통장 입금 결제수단, 계 좌이체 결제수단, 전자화폐 결제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수료 처리부(140)에 의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된 상기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과금 처리가 완료되거나 및/또는 면제된 경우, 상기 음원 교환부(150)는 상기 저장매체에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한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소정의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교환대상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다른 전자음반 장치(160)(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 교환하여 제공할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하고, 상기 USB 대응 장치(165)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되어 저장(또는 기록)될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교환을 통해 전자음반 장치(160)로 제공될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상기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교환을 통해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될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또는 기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원 데이터가 상기 전자음반 장 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위한 메모리 제어 기능(예컨대, 메모리 속성 제어를 통한 저작권 보호 기능, 및/또는 메모리 영역 제어를 통한 저작권 보호 기능 등)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원 교환부(150)는 상기 저장매체에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한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소정의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교환대상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다른 전자음반 장치(160)(및/또는 전자음반 단말(170))로 교환하여 제공할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하고, 상기 전자음반 단말(170)로 전송되어 저장(또는 기록)될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교환을 통해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될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상기 전자음반 단말(170)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단말(170)에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메모리에 상기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교환을 통해 전자음반 단말(170)의 메모리에 저장(또는 기록)될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또는 기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원 교환부(150)는 상기 교환 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이중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정보 저장부(135)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하는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된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 후 상기 비활성화된 음원 데이터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 측의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와 교환되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또는 기록)되는 과정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된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를 통해 삭제된다.
만약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교환되지 않는 경우(또는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의 교환을 취소하는 경우), 상기 비활성화된 음원 데이터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된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를 통해 재활성화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재활성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음원 교환부(150)는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이중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정보 저장부 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하는 전자음반 장치(160)로 제공된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단말(170)의 메모리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 후 상기 비활성화된 음원 데이터는 상기 전자음반 단말(170) 측의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와 교환되어 상기 전자음반 단말(170)의 메모리에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또는 기록)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된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를 통해 삭제된다.
만약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교환되지 않는 경우(또는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의 교환을 취소하는 경우), 상기 비활성화된 음원 데이터는 상기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된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를 통해 재활성화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단말(170)에 구비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재활성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원 교환부(150)는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이중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정보 저장부(135)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교환대상 음 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하는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된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교환되지 않는 경우(또는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의 교환을 취소하는 경우), 상기 삭제된 음원 데이터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된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를 통해 상기 음원 D/B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재저장(또는 재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음원 교환부(150)는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이중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정보 저장부(135)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하는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된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단말(170)의 메모리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예컨대,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교환되지 않는 경우(또는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의 교환을 취소하는 경우), 상기 비활성화된 음원 데이터는 상기 전자음반 단말(170)로 제공된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를 통해 상기 음원 D/B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전자음반 단말(170)의 메모리에 재저장(또는 재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160)의 기기 구성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 상에서 상기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소정의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싱하는 전자음반 장치(160)의 바람직한 기기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싱하는 전자음반 장치(160)의 기기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싱하는 전자음반 장치(160)는, USB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커넥터(235)(USB Connector)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40)와,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USB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인터페이싱하며,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는 제어기(205)(Controller)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음원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작권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저작권 정보는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적용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정보, 워터마크(Watermark) 정보, 핑거 프린트(Finger Print)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함하며, 특정 저작권 정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저작권 정보가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적용되는 기술적 사항을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240)는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포함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240)는 상기 제어기(205)가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관리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키(및/또는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인증키 및/또는 인증정보는 상기 제어기(205)(및/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 및/또는 소정의 OTP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OTP(One Time Password) 생성 코드와 생성 알고리즘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제어기(205)가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관리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키(및/또는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IC칩(255)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인증키 및/또는 인증정보는 상기 제어기(205)(및/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 및/또는 소정의 OTP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OTP(One Time Password) 생성 코드와 생성 알고리즘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의 전자 음반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240)는 상기 제어기(205)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관리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키(및/또는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인증키 및/또는 인증정보는 상기 제어기(205)(및/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 및/또는 소정의 OTP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OTP(One Time Password) 생성 코드와 생성 알고리즘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제어기(205)가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관리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키(및/또는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IC칩(255)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인증키 및/또는 인증정보는 상기 제어기(205)(및/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 및/또는 소정의 OTP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OTP(One Time Password) 생성 코드 와 생성 알고리즘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제어기(205) 및/또는 메모리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클록을 발생시키는 클록 소스(245)(Clock Source)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클록 소스(245)는 수정 발진기(Crystal Oscillator) 또는 주파수 합성기(Frequency Synthesizer)와 같은 임의의 클록 발생 회로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클록 소스(245)는 상기 제어기(205) 내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소정의 음원 신호를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음원 단자(2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이외에 배터리(도시생략)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상기 증폭기와 음원 단자(250) 및/또는 배터리(도시생략)가 더 구비된 경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전자음반 재생기의 기능을 더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보다 효율적인 전자음반 재생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205)에 의해 제어되는 소정의 LCD를 포함하는 화면 출력기(도시생략), 및/또는 상기 제어기(205)로 소정의 음원 선택 및/또는 재생 및/또는 정지 등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 입력기(도시생략)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제어기(205)에 상기 화면 출력기(도시생략) 및/또는 키 입력기(도시생략)를 구비하는 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본 도면2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예컨대, 전자음반의 보안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IC칩(255) 모듈, 메모리 확장을 위한 확장 소켓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추가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2에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USB 커넥터(235)는 물리적으로 타겟용 USB 커넥터(235)에 해당하는 타입 A(Type A), 및/또는 호스트용 USB 커넥터(235)에 대응하는 타입 B(Type B), 및/또는 OTG(On-The-Go)용 USB 커넥터(235)에 대응하는 미니-AB(Mini-A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235) 규격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기적으로 상기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제어기(205) 및/또는 메모리 및/또는 클록으로 인가하는 기능과, 또한 상기 커넥 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상기 제어기(205)로 이송하는 기능과, 상기 제어기(205)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상기 물리적 커넥터(235)를 통해 USB 대응 장치(165)로 이송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는 NAND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메모리 구조 상 비트 선과 접지선 사이에 셀이 직렬로 배치된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메모리 구조 상 비트 선과 접지선 사이에 셀이 병렬로 배치된 플래시 메모리), 또는 상기 NOR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변형된 AND 플래시 메모리, DINOR 플래시 메모리, VGA(Virtual Ground Array)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메모리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음원 데이터 이외에 소정의 저작권 정보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컨텐츠(예컨대,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악보와 같은 문자/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뮤직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읽기전용/숨김 속성으로 저장하도록 하 는 메모리 제어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작권 보호를 위한 상기 메모리 제어 기능은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증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만 접근하거나, 및/또는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읽기전용/숨김 속성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속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인증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에 의해서만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외에 다른 응용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의 운영체제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되는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과, 일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메모리 제어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작권 보호를 위한 메모리 제어 기능은 상기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증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만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되는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소정의 압축코덱으로 압축되거나, 및/또는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40)에는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에의 불법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소정의 DRM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DRM 정보의 속성 및/또는 저장영역 역시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마찬가지로 상기 저작권 보호를 위한 메모리 제어 기능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240)에는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음반 정보는 음반명칭 정보(예컨대, 홍길동 1집), 가수 정보, 음원 데이터 정보(예컨대, 각 음원 제목과 재생 시간 등), 음원 데이터 별 작곡자 정보 및/또는 작사자 정보 및/또는 편곡자 정보, 음반 고유정보(예컨대, 음반에 할당된 상품번호, 또는 일련번호, 또는 바코드 정보(Barcode),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코드 정보 등)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240)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와 연결되는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소정의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최초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 속성은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마찬가지로 상기 저작권 보호를 위한 메모리 제어 기능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240)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소정의 전자음반 관련 프로그램(예컨대, 음원 재생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관련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기(205)로 제공되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240)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와 연결되는 USB 대응 장치(165)가 소정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 상기 USB 대응 장치(165)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추가 구매, 반납, 교환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240)에는 상기 전자음반을 구매한 고객에 대응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구매자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되는 음원 데이터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가 교환대상으로 등록되었는지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플래그를 더 포함하여 저장(또는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음원 데이터가 다른 전자음반 구매 고객과 교환(또는 교환합의)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가 교환(또는 교환합의)된 경우, 상기 교환대상 음원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로부터 상기 교환된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또는 기록)하는 기능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205)(Controller)는 USB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통신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 회로 구성의 전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도면2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추가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2에 도시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기(205)는 프로세서와 프로그램 메모리를 포함하는 원칩(One Chip)과 이를 구성하는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 방법, 또는 프로세서와 프로그램 메모리를 포함하는 원칩을 포함하되 이를 구성하는 회로를 상기 원칩 외부에 포함하는 실시 방법, 또는 프로세서와 이를 구성하는 회로를 내부에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를 외부에 구성하는 실시 방법, 또는 상기 프로세서와 프로그램 메모리 및 이를 구성하는 회로를 각각 구성하는 실시 방법 등, 다양하게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제어기(205)는 상술된 특정 실시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에 의해서도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205)는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제어기(205)를 인터페이싱하는 USB 인터페이스와, 상기 메모리와 제어기(205)를 인터페이싱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USB 통신에 필요한 연산처리 기능과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제어 및 관리 기능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처리에 필요한 연산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가 연산처리 하는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기(205)는 상기 IC칩(255)과 제어기(205)를 인터페이싱하는 IC칩(255)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USB 커넥터(235)와 상기 제어기(205) 사이의 패킷 교환을 위한 회로 구성으로서, 상기 USB 커넥터(235)와 상기 제어기(205)를 전기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어기(205)와 메모리 사이의 명령 및/또는 정보 교환을 위한 회로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기(205)에서 칩 활성화, 판독 및 기록 신호와 같은 다양한 제어 신호를 상기 메모리로 인가하여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제어 버스(control BUS)와, 상기 제어기(205)와 메모리 간 정보 교환을 위한 주소 버스(Address BUS) 및/또는 데이터 버스(Data 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IC칩(255) 인터페이스는 ISO/IEC 7816 규격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기(205)와 IC칩(255) 사이의 명령 및/또는 정보 교환을 위환 회로 구성으로서, 상기 IC칩(25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점(예컨대, 전원 공급(VCC) 접촉점, 리셋 신호(RST) 접촉점, 클록 신호(CLK) 접촉점, 데이터(D+) 접촉점, 접지(GND) 접촉점, 입출력(I/O) 접촉점 및 데이터(D-) 접촉점 등)과 상기 제어기(205)를 연결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되는 CPU(Central Process Unit)로서,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을 처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정의된 펌웨어 프로그램의 기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저장용 메모리로서, 하드웨어적으로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메모리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USB 인터페이스 및/또는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통신하는 기능과,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를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처리에 필요한 기능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ROM 및/또는 EPROM 및/또는 EEPROM 및/또는 NOR 계열을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게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 및/또는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통신하는 기능과,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를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처리에 필요한 기능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펌웨어 프로그램이 저장 및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RAM 및/또는 SRAM 및/또는 DRA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및/또는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통신하는 기능과,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를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처리에 필요한 기능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펌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 기 메모리에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로 로딩되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가 EEPROM 및/또는 NOR 계열의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로서 상기 펌웨어가 저장 및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또는 상기 메모리가 NAND 계열의 메모리이지만, 상기 NAND 계열의 메모리에서도 프로그램 실행이 가능한 경우, 상기 펌웨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 및 실행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펌웨어 프로그램에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은,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소정의 USB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USB 패킷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판독하고, 상기 프로토콜 스택으로부터 소정의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SB 인터페이스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은, 상기 제어기(205) 내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및/또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되는 데이터에 소정의 프로토콜 스택을 적용하여 USB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USB 패킷을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펌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USB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 및/또는 플래그를 설정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 및/또는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웨어 프로그램에서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메모리에 대한 입출력 관련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읽어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은 연동하여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를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펌웨어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 및/또는 플래그를 설정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 및/또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웨어 프로그램에서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 속성 제어를 통해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능은, 상기 메모리에 소정의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기록(또는 저장)되는 경우,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소정의 저작권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소정의 저작권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을 읽기전용/숨김 속성으로 강제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의 속성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은, 상기 메모리에 읽기전용/숨김 속성으로 저장된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을 읽기전용/숨김 속성으로 고정하고,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속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인증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에 의해서만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외에 다른 응용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의 운영체제에 의해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의 속성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은, 상기 제어기(205)에서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연결된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 변경 권한이 인증되는 음원용 응용프로그램만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읽기전용/숨김 속성을 변경하도록 허락 및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 증되지 않은 일반 응용프로그램은 물론 상기 USB 대응 장치(165)의 운영체제에 의해서도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읽기전용/숨김 속성이 변경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웨어 프로그램에서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 영역 제어를 통해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능은, 상기 메모리를 논리적으로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과, 일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 영역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은, 상기 제어기(205)에서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연결된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이 인증되는 음원용 응용프로그램만 상기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에 접근하는 것을 허락 및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증되지 않은 일반 응용프로그램은 일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에 접근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웨어 프로그램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처리에 필요한 기능은, 상기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를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을 위해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연결된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읽기전용/숨김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인증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처리에 필요한 기능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소정의 DRM이 적용되고, 상기 DRM이 상기 제어기(205)에 의해 확인 및 처리되는 경우, 상기 음원 데이터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적용된 DRM을 확인 및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처리에 필요한 기능은, 상기 음원 데이터가 상기 제어기(205) 내에서 재생되어 소정의 음원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추출 및 재생하여 소정의 음원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구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음원 데이터가 상기 제어기(205) 내에서 재생되어 소정의 음원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음원 신호는 상기 증폭기로 전달되어 증폭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증폭된 음원 신호는 상기 음원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USB 통신 규격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소정의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는 전자음반 모드, 또는 상기 USB 대응 장 치(165)와 USB 통신 규격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 상의 데이터 저장 영역을 상기 USB 대응 장치(165)의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확장하는 데이터 저장 모드, 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증폭기와 음원 단자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전자음반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로 선택되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USB 통신 규격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소정의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는 전자음반 모드,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USB 통신 규격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 상의 데이터 저장 영역을 상기 USB 대응 장치(165)의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확장하는 데이터 저장 모드,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증폭기와 음원 단자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전자음반 재생 모드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동작모드가 동시에 실행되는 다중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전자음반 모드와 데이터 저장 모드가 동시에 실행되거나, 및/또는 전자음반 재생 모드와 데이터 저장 모드가 동시에 실행되거나, 및/또는 전자음반 모드와 전자음반 재생 모드가 동시에 실행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모드와 데이터 저장 모드 및 전자음반 재생 모드가 동시에 실행 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도면3a와 도면3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USB 대응 장치(165)의 간단한 기능 구성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a와 도면3b는 USB 통신 규격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와 연결되는 USB 대응 장치(165)에 대한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3a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소정의 통신 프로그램이 상기 스크립트/플러그인을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음원 데이터 저장(또는 기록)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 인증 및/또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면3b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소정의 통신 프로그램이 소정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음원 데이터 저장(또는 기록)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 인증 및/또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a와 도면3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USB 통신 규격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와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의 USB 대응 장치(165)(예컨대, 개인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유선 단말, PDA 및/또는 PMP와 같은 휴대 단말, CDMA 기반의 이동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x 기반의 휴대인터넷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데이터통신단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정용 음원 출력장치, 휴대용 음원 출력장치, 차량용 음원 출력장치 등)에 대한 상세한 기능 구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3a와 도면3b에 도시된 실시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USB 커넥터(235)와 소정의 USB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커넥터(235)와, 상기 USB 대응 장치(165) 상에서 모든 USB 통신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USB 제어기(20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예컨대, USB 규격을 숙지한 자)라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되는 상기 USB 커넥터(235)와 USB 제어기(205)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 명세를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3a와 도면3b를 참조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USB 제어 기(205)를 USB 통신을 제어하는 연동하는 USB 시스템 프로그램과, 상기 USB 시스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기능에 접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SB 시스템 프로그램은 USB 규격의 시스템 구조 상에서 USB 시스템 소프트웨어 계층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운영체제에 대응하여 상기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는 USB 드라이브 프로그램 및/또는 호스트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예컨대, USB 규격을 숙지한 자)라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되는 상기 USB 시스템 프로그램의 기술적 특징을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USB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USB 시스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기능에 접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으로서,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음원 데이터 저장(또는 기록)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 인증 및/또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기능 수행하는 통신 프로그램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원용 응용프로그램과, 상기 전 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일반 데이터(및/또는 일반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접근하는 일반 응용프로그램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전자음반 관련 서비스(및/또는 전자음반 관련 멤버쉽 서비스, 및/또는 전자음반 관련 커뮤니티 서비스)를 위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되는 브라우져 프로그램, 및/또는 P2P(Peer-To-Peer) 기반의 전자음반 관련 서비스(및/또는 전자음반 관련 멤버쉽 서비스, 및/또는 전자음반 관련 커뮤니티 서비스)를 위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되는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 등과 같은 범용 통신 프로그램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그램은 상기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에서 전자음반 관련 서비스(및/또는 전자음반 관련 멤버쉽 서비스, 및/또는 전자음반 관련 커뮤니티 서비스)를 위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배포하여 설치하는 전용 통신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그램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되는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에 상기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음원 재생 서비스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자음반 관련 서비스(및/또는 전자음반 관련 멤버쉽 서비스, 및/ 또는 전자음반 관련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a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프로그램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와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음원 데이터 저장(또는 기록)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 인증 및/또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스크립트 및/또는 플러그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3b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프로그램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와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음원 데이터 저장(또는 기록)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 인증 및/또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메모리 식별과 데이터 기록, 판독 및 소거를 위한 데이터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 치(160)와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음원 데이터 저장(또는 기록)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 인증 및/또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 간 송수신하는 USB 패킷 중 소정의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전자음반 장치(160) 간 송수신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패킷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a와 도면4b는 메모리 식별 관련 데이터 패킷 구조에 대한 일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도면4a와 같이 PID와 메모리 식별 요구 명령(CMD)과 CRC를 포함하는 메모리 식별 요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하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 식별 요구 명령(CMD)을 판독 및 이에 대응하는 메모리 식별 절차를 수행한 후, 도면4b와 같이 PID와 메모리 식별 재생 명령(CMD)과 메모리 크기 및 메모리의 삭제 유닛 크기(Erase Unit Size; EUS)와 CRC를 포함하는 메모리 식별 재생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한다.
도면4c와 도면4d는 메모리에 데이터 쓰기 관련 데이터 패킷 구조에 대한 일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도면4c와 같이 PID와 기록 요구 명 령(CMD)과 주소(ADDR)와 길이(LEN)와 데이터(DATA) 및 CRC를 포함하는 기록 요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하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기록 요구 명령(CMD)과 데이터가 기록될 주소(ADDR)를 판독한 후, 상기 데이터(DATA)를 상기 주소(ADDR)에 기록(또는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DATA) 저장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도면4d와 같이 PID와 기록 상태 명령(CMD)과 주소(ADDR)와 길이(LEN)와 기록 상태(STATUS) 및 CRC를 포함하는 기록 상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한다.
도면4e와 도면4f는 메모리에 데이터 읽기 관련 데이터 패킷 구조에 대한 일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도면4e와 같이 PID와 판독 요구 명령(CMD)과 주소(ADDR)와 및 CRC를 포함하는 판독 요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하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판독 요구 명령(CMD)과 데이터가 판독될 주소(ADDR)를 판독하고, 상기 메모리의 주소(ADDR)로부터 상기 데이터(DATA)를 판독 및 추출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DATA) 판독(또는 추출)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도면4f와 같이 PID와 판독 상태 명령(CMD)과 주소(ADDR)와 상기 판독(또는 추출)된 데이터 길이(LEN)와 상태(STATUS)와 상기 판독(또는 추출)된 데이터(DATA) 및 CRC를 포함하는 판독 상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USB 대응 장 치(165)로 전송한다.
도면4g와 도면4h는 메모리에 데이터 삭제 관련 데이터 패킷 구조에 대한 일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도면4g와 같이 PID와 소거 요구 명령(CMD)과 주소(ADDR)와 및 CRC를 포함하는 소거 요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하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소거 요구 명령(CMD)과 데이터가 소거될 주소(ADDR)를 판독하고, 상기 메모리의 주소(ADDR)로부터 상기 데이터(DATA)를 삭제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 삭제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도면4h와 같이 PID와 소거 상태 명령(CMD)과 주소(ADDR)와 상태(STATUS) 및 CRC를 포함하는 소거 상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160) 초기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소정의 USB 단말장치에 구비된 USB 커넥터(235)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USB 커넥터(23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초기화되는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초기화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의 초기화 과정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소정의 USB 커넥터(235)를 통해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소정의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개시된다(5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소정의 배터리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의 초기화 과정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의 제어기(205)로 소정의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개시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전자음반 장치(16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드라이버 모듈의 정보를 초기화하고, 필요에 따라 내부 태스크(Task) 및 동기 오브젝트의 생성, 드라이버 초기화, 제어기(205) 및 관련 하드웨어의 각종 레지스터의 초기화, 우선처리 루틴을 등록하거나, 콜 백 루틴의 등록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데, 상기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전자음반에 포함된 음원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메모리 제어 기능을 우선 처리 루틴에 포함 시킨다(505).
만약 상기와 같은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510),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초기화 과정에서 우선 처리 루틴에 포함된 메모리 제어 기능을 설정한다(5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원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메모리 제어 기능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읽기전용/숨김으로 강제 설정(또는 고정)하는 메모리 속성 제어 기능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를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과 일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메모리 영역 제어 기능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메모리 제어 기능 설정이 완료되면(520),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접속 통지 절차를 수행하며(525), 이에 의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USB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USB 장치로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530).
이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와 연동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된 음원 데이터 재생과,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음원 데이터 저장(또는 기록)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 인증 및/또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는 편의상 전자음반 장치(160)와 전자음반 장치(160) 간 전자음 반 교환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전자음반 장치(160)와 전자음반 장치(160) 간 전자음반 교환으로 한정되는 것을 결코 아니며, 본 발명은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를 통한 소정의 전자음반 장치(160)와 다른 전자음반 장치(160) 간 전자음반 교환, 및/또는 USB 대응 장치(165)를 통한 소정의 전자음반 장치(160)와 소정의 전자음반 단말(170) 간 전자음반 교환, 소정의 전자음반 단말(170)과 다른 전자음반 단말(170) 간 전자음반 교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교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정 전자음반 교환 대상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정보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전자음반 교환 시스템 구성을 기반으로 소정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소정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다른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와 교환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해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정보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두 명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선 교환합의 후 교환하는 실시 방법, 및/또는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에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한 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비활성화(또는 삭제)하는 실시 방법 등과 같이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6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를 편의상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웹서버(100)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웹서버(100)에 접속(및/또는 로그인)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 서비스를 요청하면(600), 상기 웹서버(100)는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소정의 정보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생성하고(605), 상기 생성된 웹페이지에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 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음원 데이터 중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스크립트를 포함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음원 데이터 중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설치한다(610).
이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정보등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대상 음원 데이터를 선택하고(615), 상기 선택된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한다(620).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수신한 웹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정보와 상기 고객 정보(예컨대, 상기 웹서버(100) 접속 및 로그인 과정에서 확인된 고객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한다(6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되는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예컨대, 다른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와 교환하고자 하는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수신하여 저장(또는 기록)하고자 하는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할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등록된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한 교환 합의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소정의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등록된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한 교환 합의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한다(630).
만약 상기 등록된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한 교환 합의가 이루어지면(635),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도면8과 같은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두 명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한 선 교환합의 후 교환하는 경우, 상기 등록된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한 교환 합의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정보검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소정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다른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와 교환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해 상기 도면6과 같은 과정을 통해 다른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등록된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검색 및 교환 합의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정보검색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두 명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선 교환합의 후 교환 하는 실시 방법 등과 같이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7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를 편의상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웹서버(100)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웹서버(100)에 접속(및/또는 로그인)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 서비스를 요청하면(700), 상기 웹서버(100)는 전자음반 교환을 위해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검색하는 소정의 정보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생성하고(705), 상기 생성된 웹페이지에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음원 데이터 중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스크립트를 포함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음원 데이터 중 소정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설치한다(710).
이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정보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와 교환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선택하고(715),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 중에서 상기 선택된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와 교환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선택하고(720), 상기 정보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된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와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선택된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한다(725).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수신한 웹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검색된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와 USB 대응 장치(165)에서 선택된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함으로써(730),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교환대상 음반 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한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에 대한 교환 합의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에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등록한 전자음반 구매 고객은 상기 고객이 이용하는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등록된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한 교환 합의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소정의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등록된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한 교환 합의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6과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두 명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소정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이 합의된 후, 각각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이용하는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를 통해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삭제 및 상기 다운로드된 음원 데이터를 저장(또는 기록)함으로써,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두 명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교환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음원 데이터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두 명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선 교환합의 후 교환하는 실시 방법 등과 같이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8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를 편의상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웹서버(100)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6과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두 명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소정의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이 합의되면,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음원 D/B로부터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고(800), 상기 추출된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에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정의된(및/또는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과 호환되는) 소정의 DRM를 적용 및 처리한다(805).
이후, 상기 웹서버(100)는 소정의 전자음반 장치(160) 인증 및/또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을 위한 소정의 웹페이지를 생성한다(810).
또한,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웹페이지에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또는 기록)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스크립트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또는 기록)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설치한다(815).
또한,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웹페이지에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전자음반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스크립트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전자음반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설치한다(815).
이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와 연동하여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 및/또는 고객 인증 정보를 추출 및/또는 생성 및/또는 입력하여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고(820),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수신된 장치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거나, 및/또는 상기 수신된 고객 인증 정보를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825).
만약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 및/또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830), 상기 웹서버(100)는 도면9와 같은 전자음반 교환 서비스 절차를 더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웹서버(100)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과정(810~83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10과 도면11과 도면12와 도면1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 및/또는 상기 웹서버(100)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는 과정(810~83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14와 도면15와 도면16a와 도면16b와 도면17과 도면18과 도면19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8과 같은 전자음반 교환 과정이 수행된 후, 각각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이용하는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중계서버를 통해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삭제 및 상기 다운로드된 음원 데이터를 저장(또는 기록)함으로써,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두 명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교환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전자음반 교환을 위한 음원 데이터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두 명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선 교환합의 후 교환하는 실시 방법 등과 같이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b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8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추출되어 DRM이 적용되고, 상기 음원 데이터가 저장(또는 기록)될 전자음반 장치(160)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고, 및/또는 상기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구매하는 고객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웹서버(100)는 각각의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를 비교 및 확인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에게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지 여부를 확인한다(9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통해 상호 교환되는 각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가수(또는 연예인)가 동일하거나 및/또는 매칭되는(예컨대, 상기 교환되는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가수가 상기 가수그룹으로부터 솔로로 데뷔한 경우)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되는 전자음반에 대한 교환 수수료 할인 및/또는 면제 등과 같은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통해 상호 교환되는 각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가수(또는 연예인)의 소속사(또는 연예기획사)가 동일하거나 및/또는 매칭되는(예컨대, 계열사 관계)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되는 전자음반에 대한 교환 수수료 할인 및/또는 면제 등과 같은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통해 상호 교환되는 각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반제작사(또는 투자회사)가 동일하거나 및/또는 매칭되는(예컨대, 계열사 관계)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되는 전자음반에 대한 교환 수수료 할인 및/또는 면제 등과 같은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교환을 통해 상호 교환되는 각각의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작곡자/작사자/편곡자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되는 전자음반에 대한 교환 수수료 할인 및/또는 면제 등과 같은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전자음반을 교환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상기 전자음반과 관련된 멤버쉽 회원이거나, 및/또는 커뮤니티 회원인 경우,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교환되는 전자음반에 대한 교환 수수료 할인 및/또는 면제 등과 같은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확인결과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에게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확인되지 않으면(905),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교환 수수료를 상기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 서비스에 대응하는 과금금액으로 산출한다(910).
반면 상기 확인결과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에게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확인되면(905),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교환 수수료에 상기 확인된 인센티브를 적용하여 상기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 서비스에 대응하는 과금금액으로 산출한다 (915).
예컨대, 상기 인센티브가 상기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 서비스에 교환 수수료 할인금액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에 대응하는 교환 수수료에서 상기 할인금액을 차감하여 과금한다.
또는, 상기 인센티브가 상기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 서비스에 교환 수수료 면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에 대응하는 교환 수수료를 면제한다.
이후,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연동하여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소유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산출된 과금금액에 대한 과금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920).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센티브 제공에 의해 상기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 교환에 대응하는 교환 수수료를 면제하는 경우,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과금 처리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과금 처리 절차가 완료되거나, 및/또는 생략되면(925),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교환대상 음반정보(및/또는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에 대응하는 DRM 처리가 수행된 음원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고(930), 상기 USB 대응 장 치(165)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교환대상 음원 데이터를 삭제한 후, 상기 수신된 음원 데이터를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또는 기록)한다(935).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160)의 기능 구성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 상에서 상기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소정의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싱하는 전자음반 장치(160)의 바람직한 기능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예컨대,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펌웨어)에서 생성(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로부터 추출,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255)으로부터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전자음반 장치(160)에 대한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 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의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255)에서 생성(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펌웨어에서 생성하여 IC칩(255)으로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상기 IC칩(255) 내에서 추출(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에서 추출하여 IC칩(255)으로 제공)한 후, 상기 IC칩(255)에서 상기 생성(및/또는 추출)된 장치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는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예컨대,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펌웨어)에서 생성(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로부터 추출,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255)으로부터 추출)한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10에 도시된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기기 구성을 따르는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되는 펌웨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160)로 동작하는 기본적인 기능 구성에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 하도록 하는 기능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도면10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 기능 구성의 효율적인 설명을 위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기기 구성 중 편의상 USB 커넥터(235)와 메모리만을 도시하였다.
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의 기능 구성은 본 도면10에 도시된 기능 구성 이외에,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 구성, 및/또는 상기 음원 데이터의 DRM을 확인 및 처리하기 위한 기능 구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전자음반 장치(160) 간 USB 패킷을 통신하는 USB 통신부(1000)와, 상기 USB 패킷을 USB 통신 규격에 대응하여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10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USB 통신부(1000)는 상기 USB 통신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전자음반 장치(160) 간 USB 패킷을 송수신하는 패킷 송수신부(1005)와, 상기 USB 패킷 중 상기 토큰 패킷을 처리하는 토큰 패킷 처리부(10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및/또는 상기 패킷 처리부(1015)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수신된 USB 패킷으로부터 소정의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패킷 추출부(1020)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할 USB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10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패킷 추출부(1020)에 의해 추출된 명령을 판독 및/또는 해석하는 명령 판독부(10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패킷 추출부(1020)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입출력부(1055)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상기 메모리 입출력부(1055)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처리부(10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의 메모리 주소 체계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메모리 주소 체계로 변환하는 주소 변환부(103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의 상태 변경을 확인 및 판독하고, 그 결과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반환하는 상태 처리부(104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입출력을 처리하는 메모리 입출력부(105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소정의 IC칩(255)이 구비된 경우, 상기 IC칩(255) 규격에 대응하는 APDU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소정의 인 증키(및/또는 인증정보)를 독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255)에 구비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동작하여 그 결과를 독출하는 IC칩(255) 처리부(10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인증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10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에 구비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를 통해 상기 IC칩(255)에 구비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생성(및/또는 추출)된 장치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 처리부(106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킷 송수신부(1005)는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소정의 USB 패킷을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소정의 USB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USB 관련 규격을 참조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전자음반 장치(160) 간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는 패킷으로서, 상기 패킷은 프레임(Frame) 또는 트랜젝션(Transaction)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패킷은 토큰 패킷(Token Packet), 데이터 패킷(Data Packet), 핸드셰이크 패킷(Handshake Packet) 및 특별 패킷(Special Packet)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패킷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Fiel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USB 패킷에 포함되는 주요한 필드에는, SYNC 필드, PID(Packet IDentifier) 필드, ADDR(ADDRess) 필드, ENDP(END Point) 필드, 데이터 필드 및 CRC 필드 등이 있으며, 여기서 상기 SYNC 필드는 포든 패킷의 시작 위치를 동기화하는 필드로서 NRZI(Non Return to Zero Inverted) 엔코딩 방식에 따라 IDLE 상태 다음에 나타나며, PID 필드는 해당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필드로서 상기 SYNC 필드 다음에 위치하며, ADDR 필드는 각각의 USB 장치를 구분하는 필드이고, ENDP 필드는 각각의 USB 장치 내 엔드포인트(Endpoint)를 구분하는 필드이고, 데이터 필드는 실제 송수신 데이터가 적재되는 필드로서 최대 1023 바이트의 크기 내에서 자유롭게 정의될 수 있으며, CRC 필드는 상기 패킷에 포함된 각 필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첵섬(Checksum)에 해당하는 필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패킷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예컨대, SYNC 필드, PID 필드, ADDR 필드, ENDP 필드, 데이터 필드 및 CRC 필드 등)를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토큰 필드는 8비트의 PID 필드와, 7비트의 ADDR 필드와, 4비트의 ENDP 필드와, 5비트의 CRC5 필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데이터 필드는 8비트의 PID 필드와, 1023 바이트 이내의 데이터 필드와, 16비트의 CRC16 필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드셰이크 필드는 8비트의 PID 필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패킷 송수신부(1005)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전자음반 장치(160) 사이에 송수신되는 USB 패킷 중 데이터 패킷과 핸드셰이크 패킷을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토큰 패킷은 상기 토큰 패킷 처리부(1010)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패킷 송수신부(1005)를 통해 송수신되 는 USB 패킷 중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필드는 최대 1023 바이트 이내에서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데,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도면4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상기 패킷 추출부(1020)는 상기 패킷 송수신부(100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소정의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 필드로부터 추출된 명령은 상기 명령 판독부(1030)로 제공되고, 상기 데이터 필드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040)로 제공된다.
상기 명령 판독부(1030)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추출된 명령을 판독 및 해석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요청된 명령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명령이 상기 메모리와 관련된 것이라면, 상기 명령 판독부(1030)는 상기 판독된 명령을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로 제공하며, 이후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제어 기능에 따라 상기 명령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명령이 상기 메모리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면, 상기 명령 판독부(1030)는 상기 판독된 명령을 각각의 명령 실행부(도시생략)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요청된 명령을 수행한다.
만약 상기 명령의 수행 결과 상기 전자음반장치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할 소정의 데이터가 생성(또는 추출)되면, 상기 패킷 생성부(1025)는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패킷 생성부(1025)는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패킷 송수신부(1005)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040)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용도에 맞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입출력부(1055)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기록(또는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와 관련된 것이라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1040)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로 제공하며, 이후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제어 기능에 따라 상기 명령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1040)는 상기 데이터를 각각의 데이터 운용부(도시생략)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주소 변환부(1035)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에 의해 제어되는 메모리의 메모리 주소 체계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메모리 주소 체계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저장장치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 상태 처리부(1045)는 상기 메모리의 상태 변경을 확인 및 판독하고, 그 결과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상태 처리부(1045)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에 의해 제어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인증되지 않은 응용프로그램에서 확인할 수 없도록 처리함으로써, 상기 인증되지 않은 응용프로그램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메모리 입출력부(1055)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의 메모리 속성 제어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및/또는 일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명령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출력 절차는 상기 메모리 구성에 대응하여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가 NAND 메모리인 경우, 상기 메모리 모듈은 8개의 입출력 핀(I/O0, I/O1, I/O2, ..., I/O7)(예컨대, 데이터 버스를 구성하는 핀), CLE(Command Latch Enable) 핀, ALE(Address Latch Enable) 핀, CE(Chip Enable) 핀, RE(Read Enable) 핀, WE(12rite Enable) 핀, WP(12rite Protect) 핀, R/B(Ready/Busy) 핀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메모리 입출력부(1055)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의 메모리 속성 제어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 모듈의 핀 구성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입출력 명령(예컨대, READ1, READ2, READ ID 등), 및/또는 초기화 명령(RESET), 및/또는 프로그램 명령(PROGRAM PAGE), 및/또는 삭제 명령(BLOCK ERASE), 및/또는 상태 확인 명령(READ STATUS) 등을 처리하며, 이에 의해 상기 메모리로부터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메모리에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및/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의 속성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음원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읽기전용/숨김 속성으로 저장하도록 강제 설정(또는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및/또는 상기 음원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를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과, 일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음원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읽기전용/숨김 속성으로 저장하도록 강제 설정(또는 고정)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증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만 상기 읽기전용/숨김 속성의 음원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읽기전용/숨김 속성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속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인증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에 의해서만 변경되며, 이외에 다른 응용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의 운영체제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음원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를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과, 일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증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만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소정의 IC칩(255)이 구비된 경우, ISO/IEC 7816 규격에 대응하는 IC칩(255)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IC칩(255)을 초기화하고, APDU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소정의 인증키(및/또는 인증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인증키 및/또는 인증정보는 상기 제어기(205)(및/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 및/또는 소정의 OTP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OTP(One Time Password) 생성 코드와 생성 알고리즘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C칩(255)에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가 구비된 경우,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는 상기 APDU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정보 추출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IC칩(255)에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IC칩(255)에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는 상기 APDU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C칩(255)에 구비된 장치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도록 요청한 후,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독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IC칩(255)에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 생성 기능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IC칩(255)에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는 상기 APDU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C칩(255)에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장치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도록 요청한 후,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독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IC칩(255)에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는 상기 APDU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C칩(255)으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도록 요청한 후,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독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에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인증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255)에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인증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를 통해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생성부는 소정의 난수 및/또는 OTP(One Time Password) 코드를 포함하는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생성부는 소정의 난수 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임의의 난수를 생성하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생성부(및/또는 암호 처리부(1065))는 상기 생성된 난수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한 후, 상기 평문 형태의 난수와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연접하여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은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포함된 평문 형태의 난수를 상기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한 후, 상기 암호화된 난수와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암호화된 난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은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암호화된 난수를 상기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난수와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평문 형태의 난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난수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생성되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로부터 생성되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제공된 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정보 생성부는 소정의 OTP 생성 정보와 OTP 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소정의 OTP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OTP 생성 알고리즘은 시간 동기(Time-Synchoronous) 방식 OTP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챌린지-리스폰스(Challenge-Response) 방식 OTP 생성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암호 처리부(1065)는 상기 정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장치 인증 정보, 및/또는 상기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장치 인증 정보를, 대칭키(또는 비밀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암호화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암호화 방식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장치 인증 정보, 및/또는 상기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장치 인증 정보, 및/또는 상기 암호 처리부(1065)에 의해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패킷 처리부(1015)의 패킷 생성부(1025)를 통해 소정의 USB 패킷(예컨대, 데이터 패킷)으로 처리되어, 상기 USB 통신부(1000)의 패킷 송수신부(1005)를 통해 상기 USB 커 넥터(235)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되며, 이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추출부 및/또는 정보 생성부 및/또는 암호 처리부(1065)는 IC칩(255)용 프로그램(예컨대, 카드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상기 IC칩(255)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IC칩(255)에서 추출 및/또는 생성 및/또는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를 통해 독출되고, 상기 패킷 처리부(1015)의 패킷 생성부(1025)를 통해 소정의 USB 패킷(예컨대, 데이터 패킷)으로 처리되어, 상기 USB 통신부(1000)의 패킷 송수신부(1005)를 통해 상기 USB 커넥터(235)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되며, 이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추출부 및/또는 정보 생성부 및/또는 암호 처리부(1065)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정보 추출부는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저장장치로부터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정보 생성부는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USB 대응 장치(165) 에 구비된 암호 처리부(1065)는 상기 추출 및/또는 생성된 장치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실시 방법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장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전자음반 장치(160) 간 송수신하는 USB 패킷 중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패킷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통신 프로그램에 포함된 스크립트/플러그인, 및/또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프로그램은 도면11a와 같이 PID와, 정보 요청 명령(CMD) 및 CRC를 포함하는 장치 인증 정보 요청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하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 추출/생성 및/또는 암호화 절차를 수행한 후, 도면11b와 같이 PID와 정보 제공 명령(CMD)과 상기 추출/생성 및/또는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ADATA) 및 CRC를 포함하는 장치 인증 정보 제공 데이터 패킷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며,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로 전송한다.
도면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160)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생성하고, 상기 추출/생성된 장치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에서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일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 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각각의 장치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에서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은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자음반 인증 정보를 소정의 인증정보 D/B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자음반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소정의 고객에게 판매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소정의 고객에게 판매된 후 상기 전자음반에 대한 네트워크 등록 과정을 통해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은 상기 장치 인증 정보(예컨대, OTP 코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자음반 인증 정보(예컨대, OTP 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OTP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인증정보 D/B에는 상기 전자음반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 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2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을 편의상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웹서버(100)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면1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 인증을 위해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할 웹페이지에 소정의 스크립트를 포함하여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소정의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원격으로 설치하는데(1205), 여기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생성하여 암호화하도록 하고,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한다(121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예컨대, USB 통 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장치를 검색하는 기술적 사항을 이해하는 자라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도면5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하는 상세한 기술적 사항을 이해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만약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색되지 않는다면(1215),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소정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1220),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하는 과정을 반복한다(1210).
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색되면(1215),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요청한다(12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도면11a에 도시된 USB 패킷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고(1230), 상기 추출/생성된 장치 인증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 처리한다(12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Integrated Circuit)칩)에 저장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펌웨어(Firmware) 및/또는 IC칩(255)에서 동적으로 생성되는 난수 및/또는 OTP(One Time Password) 코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은 대칭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 식, 및/또는 전자봉투 암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다른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255)으로부터 추출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255)에서 생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255)에서 암호화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한다(124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도면11b에 도시된 USB 패킷에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수신한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웹서버(100)로 전송하고(1245),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 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처리되어 있는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소정의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복호화 처리한다(12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은 대칭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복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복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다른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수신된 장치 인증 정보가 복호화되면,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복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유효성 확인 절차를 수행한다(125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장치 인증 정보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칩(255))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상기 장치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음반 인증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장치 인증 정보와 전자음반 인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접속한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장치 인증 정보가 상기 평문 형태의 난수와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적용된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한 후 상기 평문 형태의 난수와 비교하거나, 또는 상기 평문 형태의 난수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적용된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한 후 상기 암호화된 난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접속한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장치 인증 정보가 소정의 OTP 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상기 OTP 코드와 매칭되는 소정의 OTP 생성 정보를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인증부에서 생성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한 OTP 생성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OTP 인증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OTP 코드와 상기 생성된 OTP 인증 코드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접속한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대한 유효성 확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면(1260),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도면9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160)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3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생성하여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여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에서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일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각각의 장치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에서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3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기 위 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은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자음반 인증 정보를 소정의 인증정보 D/B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자음반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소정의 고객에게 판매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소정의 고객에게 판매된 후 상기 전자음반에 대한 네트워크 등록 과정을 통해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은 상기 장치 인증 정보(예컨대, OTP 코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자음반 인증 정보(예컨대, OTP 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OTP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인증정보 D/B에는 상기 전자음반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3은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및/또는 단말을 편의상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웹서버(100)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면1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 인증을 위해 상기 웹서버(100) 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할 웹페이지에 소정의 스크립트를 포함하여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소정의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원격으로 설치하는데(1305), 여기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생성한 후,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한다(131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예컨대,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장치를 검색하는 기술적 사항을 이해하는 자라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도면5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하는 상세한 기술적 사항을 이해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만약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색되지 않는다면(1315),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소정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1320),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하는 과정을 반복한다(1310).
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색되면(1315),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요청한다(13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도면11a에 도시된 USB 패킷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소정의 장치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 인증 정보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고(1330), 상기 추출 및/또는 생성된 장치 인증 정보를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한다(13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Integrated Circuit)칩)에 저장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펌웨어(Firmware) 및/또는 IC칩(255)에서 동적으로 생성되는 난수 및/또는 OTP(One Time Password) 코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255)으로부터 추출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255)에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추출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생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키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도면11b에 도시된 USB 패킷에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수신한 USB 대응 장치(165)는, 장치 인증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 처리한다(134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장치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은 대칭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암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다른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웹서버(100)로 전송하고(1345),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처리되어 있는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소정의 복호화 방식(및/또 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복호화 처리한다(13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은 대칭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복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복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다른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수신된 장치 인증 정보가 복호화되면,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복호화된 장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유효성 확인 절차를 수행한다(135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장치 인증 정보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칩(255))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상기 장치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인증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장치 인증 정보와 전자음반 인증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접속한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장치 인증 정보가 상기 평문 형태의 난수와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적용된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한 후 상기 평문 형태의 난수와 비교하거나, 또는 상기 평문 형태의 난수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적용된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한 후 상기 암호화된 난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접속한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장치 인증 정보가 소정의 OTP 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상기 OTP 코드와 매칭되는 소정의 OTP 생성 정보를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인증부에서 생성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한 OTP 생성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OTP 인증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OTP 코드와 상기 생성된 OTP 인증 코드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접속한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대한 유효성 확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장치 인증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면(1360),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도면9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160)의 기능 구성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4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 상에서 상기 소정의 USB 대응 장치(165)와 소정의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싱하는 전자음반 장치(160)의 바람직한 기능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예컨대,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펌웨어)에서 생성(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로부터 추출,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255)으로부터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전자음반 장치(160)에 대한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 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의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4에 도시된 실시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255)에서 생성(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펌웨어에서 생성하여 IC칩(255)으로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상기 IC칩(255) 내에서 추출(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에서 추출하여 IC칩(255)으로 제공)한 후, 상기 IC칩(255)에서 상기 생성(및/또는 추출)된 고객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는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예컨대,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펌웨어)에서 생성(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로부터 추출, 및/또는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255)으로부터 추출)한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14에 도시된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기기 구성을 따르는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되는 펌웨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음반 장치(160)로 동작하는 기본적인 기능 구성에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 하도록 하는 기능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도면14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 기능 구성의 효율적인 설명을 위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기기 구성 중 편의상 USB 커넥터(235)와 메모리만을 도시하였다.
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의 기능 구성은 본 도면14에 도시된 기능 구성 이외에,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 구성, 및/또는 상기 음원 데이터의 DRM을 확인 및 처리하기 위한 기능 구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전자음반 장치(160) 간 USB 패킷을 통신하는 USB 통신부(1000)와, 상기 USB 패킷을 USB 통신 규격에 대응하여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10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USB 통신부(1000)는 상기 USB 통신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전자음반 장치(160) 간 USB 패킷을 송수신하는 패킷 송수신부(1005)와, 상기 USB 패킷 중 상기 토큰 패킷을 처리하는 토큰 패킷 처리부(10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및/또는 상기 패킷 처리부(1015)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수신된 USB 패킷으로부터 소정의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패킷 추출부(1020)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할 USB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10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패킷 추출부(1020)에 의해 추출된 명령을 판독 및/또는 해석하는 명령 판독부(10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패킷 추출부(1020)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입출력부(1055)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상기 메모리 입출력부(1055)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처리부(10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의 메모리 주소 체계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메모리 주소 체계로 변환하는 주소 변환부(103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의 상태 변경을 확인 및 판독하고, 그 결과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반환하는 상태 처리부(104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입출력을 처리하는 메모리 입출력부(105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소정의 IC칩(255)이 구비된 경우, 상기 IC칩(255) 규격에 대응하는 APDU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소정의 인증키(및/또는 인증정보)를 독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255)에 구비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동작하여 그 결과를 독출하는 IC칩(255) 처리부(10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인증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10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에 구비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를 통해 상기 IC칩(255)에 구비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칩(255))으로부터 추출(또는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제공)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칩(255))으로부터 추출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10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생성(및/또는 추출)된 고객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 처리부(106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킷 송수신부(1005)는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소정의 USB 패킷을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커넥터(23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소정의 USB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USB 관련 규격을 참조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전자음반 장치(160) 간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는 패킷으로서, 상기 패킷은 프레임(Frame) 또는 트랜젝션(Transaction)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패킷은 토큰 패킷(Token Packet), 데이터 패킷(Data Packet), 핸드셰이크 패킷(Handshake Packet) 및 특별 패킷(Special Packet)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패킷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Fiel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USB 패킷에 포함되는 주요한 필드에는, SYNC 필드, PID(Packet IDentifier) 필드, ADDR(ADDRess) 필드, ENDP(END Point) 필드, 데이터 필드 및 CRC 필드 등이 있으며, 여기서 상기 SYNC 필드는 포든 패킷의 시작 위치를 동기화하는 필드로서 NRZI(Non Return to Zero Inverted) 엔코딩 방식에 따라 IDLE 상태 다음에 나타나며, PID 필드는 해당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필드로서 상기 SYNC 필드 다음에 위치하며, ADDR 필드는 각각의 USB 장치를 구분하는 필드이고, ENDP 필드는 각각의 USB 장치 내 엔드포인트(Endpoint)를 구분하는 필드이고, 데이터 필드는 실제 송수신 데이터가 적재되는 필드로서 최대 1023 바이트의 크기 내에서 자유롭게 정의될 수 있으며, CRC 필드는 상기 패킷에 포함된 각 필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첵섬(Checksum)에 해당하는 필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패킷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예컨대, SYNC 필드, PID 필드, ADDR 필드, ENDP 필드, 데이터 필드 및 CRC 필드 등)를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토큰 필드는 8비트의 PID 필드와, 7비트의 ADDR 필드와, 4비트의 ENDP 필드와, 5비트의 CRC5 필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데이터 필드는 8비트의 PID 필드와, 1023 바이트 이내의 데이터 필드와, 16비트의 CRC16 필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드셰이크 필드는 8비트의 PID 필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패킷 송수신부(1005)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전자음반 장치(160) 사이에 송수신되는 USB 패킷 중 데이터 패킷과 핸 드셰이크 패킷을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토큰 패킷은 상기 토큰 패킷 처리부(1010)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패킷 송수신부(1005)를 통해 송수신되는 USB 패킷 중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필드는 최대 1023 바이트 이내에서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데,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도면4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상기 패킷 추출부(1020)는 상기 패킷 송수신부(1005)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소정의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 필드로부터 추출된 명령은 상기 명령 판독부(1030)로 제공되고, 상기 데이터 필드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040)로 제공된다.
상기 명령 판독부(1030)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추출된 명령을 판독 및 해석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요청된 명령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명령이 상기 메모리와 관련된 것이라면, 상기 명령 판독부(1030)는 상기 판독된 명령을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로 제공하며, 이후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제어 기능에 따라 상기 명령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명령이 상기 메모리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면, 상기 명령 판독부(1030)는 상기 판독된 명령을 각각의 명령 실행부(도시생략)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요청된 명령을 수행한다.
만약 상기 명령의 수행 결과 상기 전자음반장치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할 소정의 데이터가 생성(또는 추출)되면, 상기 패킷 생성부(1025)는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패킷 생성부(1025)는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패킷 송수신부(1005)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040)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용도에 맞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입출력부(1055)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기록(또는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와 관련된 것이라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1040)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로 제공하며, 이후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제어 기능에 따라 상기 명령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1040)는 상기 데이터를 각각의 데이터 운용부(도시생략)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주소 변환부(1035)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에 의해 제어되는 메모리의 메모리 주소 체계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메모리 주소 체계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저장장치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 상태 처리부(1045)는 상기 메모리의 상태 변경을 확인 및 판독하고, 그 결과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상태 처리부(1045)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에 의해 제어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인증되지 않은 응용프로그램에서 확인할 수 없도록 처리함으로써, 상기 인증되지 않은 응용프로그램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메모리 입출력부(1055)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의 메모리 속성 제어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및/또는 일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명령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출력 절차는 상기 메모리 구성에 대응하여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가 NAND 메모리인 경우, 상기 메모리 모듈은 8개의 입출력 핀(I/O0, I/O1, I/O2, ..., I/O7)(예컨대, 데이터 버스를 구성하는 핀), CLE(Command Latch Enable) 핀, ALE(Address Latch Enable) 핀, CE(Chip Enable) 핀, RE(Read Enable) 핀, WE(16rite Enable) 핀, WP(16rite Protect) 핀, R/B(Ready/Busy) 핀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메모리 입출력부(1055)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의 메모리 속성 제어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메모리 모듈의 핀 구성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입출력 명령(예컨대, READ1, READ2, READ ID 등), 및/또는 초기화 명령(RESET), 및/또는 프로그램 명령(PROGRAM PAGE), 및/또는 삭제 명령(BLOCK ERASE), 및/또는 상태 확인 명령(READ STATUS) 등을 처리하며, 이에 의해 상기 메모리로부터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메모리에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및/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의 속성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음원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읽기전용/숨김 속성으로 저장하도록 강제 설정(또는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및/또는 상기 음원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를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과, 일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음원 데이터의 저작 권 보호를 위해 읽기전용/숨김 속성으로 저장하도록 강제 설정(또는 고정)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증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만 상기 읽기전용/숨김 속성의 음원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읽기전용/숨김 속성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속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인증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에 의해서만 변경되며, 이외에 다른 응용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의 운영체제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음원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상기 메모리를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과, 일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 중 상기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증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만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소정의 IC칩(255)이 구비된 경우, ISO/IEC 7816 규격에 대응하는 IC칩(255)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IC칩(255)을 초기화하고, APDU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소정의 인증키(및/또는 인증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인증키 및/또는 인증정보는 상기 제어기(205)(및/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USB 대응 장 치(165))에서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키(예컨대, 대칭키, 공개키, 개인키 등), 및/또는 소정의 OTP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OTP(One Time Password) 생성 코드와 생성 알고리즘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C칩(255)에 소정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가 구비된 경우,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는 상기 APDU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정보 추출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IC칩(255)에 소정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IC칩(255)에 소정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는 상기 APDU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C칩(255)에 구비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도록 요청한 후,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독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IC칩(255)에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 생성 기능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IC칩(255)에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는 상기 APDU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C칩(255)에서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고객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도록 요청한 후,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독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IC칩(255)에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는 상기 APDU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IC칩(255)으로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도록 요청한 후,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독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에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음반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정보 추출부(1075)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1050)를 통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255)에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음반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정보 추출부(1075)는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를 통해 상기 IC칩(255)으로부터 상기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생성부(1060)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칩(255))으로부터 추출(또는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제공)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칩(255))로부터 추출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10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생성부(1060)는 소정의 난수 및/또는 OTP(One Time Password) 코드를 포함하는 소정의 전자음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 등이 상기 정보 추출부(1075)에 의해 추출되어 상기 정보 생성부(1060)에 의해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로 생성되면, 상기 암호 처리부(1065)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대칭키(또는 비밀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 환 암호화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암호화 방식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추출부(1075)에 의해 추출되어 상기 정보 생성부(1060)에 의해 생성된 고객 인증 정보, 및/또는 상기 암호 처리부(1065)에 의해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는, 상기 패킷 처리부(1015)의 패킷 생성부(1025)를 통해 소정의 USB 패킷(예컨대, 데이터 패킷)으로 처리되어, 상기 USB 통신부(1000)의 패킷 송수신부(1005)를 통해 상기 USB 커넥터(235)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되며, 이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추출부(1075) 및/또는 정보 생성부(1060) 및/또는 암호 처리부(1065)는 IC칩(255)용 프로그램(예컨대, 카드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상기 IC칩(255)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IC칩(255)에서 추출 및/또는 생성 및/또는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는 상기 IC칩(255) 처리부(1070)를 통해 독출되고, 상기 패킷 처리부(1015)의 패킷 생성부(1025)를 통해 소정의 USB 패킷(예컨대, 데이터 패킷)으로 처리되어, 상기 USB 통신부(1000)의 패킷 송수신부(1005)를 통해 상기 USB 커넥터(235)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되며, 이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추출부(1075) 및/또는 정보 생성부(1060) 및/또는 암호 처리부(1065)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정보 추출부(1075)는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저장장치로부터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정보 생성부(1060)는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암호 처리부(1065)는 상기 추출 및/또는 생성된 고객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실시 방법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고객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5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와 전자음반 장치(160) 간 송수신하는 USB 패킷 중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패킷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5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5를 참조하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통신 프로그램에 포함된 스크립트/플러그인, 및/또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프로그램은 도면15a와 같이 PID와, 정보 요청 명령(CMD) 및 CRC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 요청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하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 추출/생성 및/또는 암호화 절차를 수행한 후, 도면15b와 같이 PID와 정보 제공 명령(CMD)과 상기 추출/생성 및/또는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ADATA) 및 CRC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 제공 데이터 패킷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며,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면15a에서 상기 정보 요청 명령(CMD)은 상기 전장음반 장치에 구비된 전자음반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도면15b에서 상기 정보 제공 명령(CMD)은 전자음반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도면15b에서 상기 고객 인증 정보(ADATA)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되어 있는 전자음반 정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수신된 전자음반 정보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추출(및/또는 입력)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6a와 도면16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전자음반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일 실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6a와 도면16b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소정의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전자음반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등록하는 일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6a와 도면16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전자음반 정보를 등록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 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6a와 도면16b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6a와 도면16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의 메모리에 저장(또는 기록)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가 소정의 서버(예컨대, 전자음반 판매 서버(도시생략), 전자음반 교환 서버(도시생략) 등) 및/또는 단말(예컨대, 소정의 전자음반 교환/판매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된 전자음반을 원 소유하고 있던 고객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저장(또는 기록)되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 다운로드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전자음반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등록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이와 같은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6a와 도면16b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6a와 도면16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구매한 고객이 소정의 고객 단말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예컨대,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전자음반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등록하는 정보등록 서버(도시생략))에 접속하여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전자음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 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이와 같은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6a와 도면16b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6a와 도면16b에 도시된 정보 등록 과정의 일부 순서를 변형하여,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전자음반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등록하는 다른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이와 같은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6a와 도면16b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6은 상기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인증정보 D/B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6a를 참조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소정의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면(1600),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한다(1605).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예컨대,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장치를 검색하는 기술적 사항을 이해하는 자라면),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도면5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하는 상세한 기술적 사항을 이해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만약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소정의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색되지 않는다면(1610),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 검색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고(1615),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을 재생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만약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소정의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색되면(1610),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생 대상 음원 데이터를 요청하는데(1620),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는 음원 데이터 접근 권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6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음원 데이터 접근 권한 인증 절차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에서 소정의 인증 데이터(예컨대, 전자음반 장치(160)의 펌웨어 및/또는 IC칩(255)에서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 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하도록 정의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하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의 펌웨어 및/또는 IC칩(255)에서 상기 인증 데이터를 판독 및 인증함으로써,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이 인증되지 않으면(1630),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소정의 음원 데이터 접근 권한 오류 메시지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여 출력하고(1635),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을 재생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만약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이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이 인증되면(1630),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상의 인증정보 D/B에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예컨대, 상기 인증정보 D/B에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164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D/B에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의 메모리에는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가 저장된다.
만약 상기 인증정보 D/B에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1645),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도면16b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상기 인증정보 D/B에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인증정보 D/B에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면(1645),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생 대상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고(1670),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추출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한다(167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는 소정의 DRM이 적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음원 데이터 재생 과정에서 상기 DRM을 확인하는 과정이 수행될 것이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음원 데이터에 적용된 DRM을 확인하는 과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본 도면16a에서는 상기 DRM 확인 과정에 대한 상세한 절차는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을 따라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음원용 응용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전자음반 정보를 등록하는 도면16b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6a에서 상기 인증정보 D/B에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1645),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인증정보 D/B에 등록하도록 요청한다(1650).
만약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인증정보 D/B에 등록하지 않는다면(예컨대, 다른 정보 등록 방법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인증정보 D/B에 등록한다면)(1652),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생 대상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고(1670),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추출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한다(1675).
반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인증정보 D/B에 등록하는 것을 승인하면(1652),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소정의 전자음반 정보를 요청하고(1654),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요청 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한다(1656).
이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에게 소정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한다(1658).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 및/또는 IC칩(255)으로부터 소정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예컨대, 공인인증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1660),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생 대상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고(1670),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추출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한다(1675).
반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1660),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예컨대, 정보등록 서버(도시생략))로 전송함 으로써, 상기 인증정보 D/B에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인증정보 D/B에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가 정상적으로 저장되었는지 확인한다(1662).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D/B에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동일한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는 상기 인증정보 D/B에 정상적으로 등록될 것이다.
만약 상기 인증정보 D/B에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가 정상적으로 저장된 것이 확인되면(1664),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의 메모리(및/또는 IC칩(255))에 저장하며(1666), 이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생 대상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고(1670),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음원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추출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한다(1675).
도면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7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여 암호화 처리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는 일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각각의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전자음반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7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와 전자음반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인증정보 D/B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객 정보와 전자음반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소정의 고객에게 판매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소정의 고객에게 판매된 후 상기 전자 음반에 대한 네트워크 등록 과정을 통해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7은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편의상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웹서버(100)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면1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을 위해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할 웹페이지에 소정의 스크립트를 포함하여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소정의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원격으로 설치하는데(1705), 여기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추출 및/또는 생성하여 암호화하도록 하고,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한다(171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예컨대,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장치를 검색하는 기술적 사항을 이해하는 자라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도면5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하는 상세한 기술적 사항을 이해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만약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색되지 않는다면(1715),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소정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1720),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하는 과정을 반복한다(1710).
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색되면(1715),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요청한다(17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도면15a에 도시된 USB 패킷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 및/또는 IC칩(255)으로부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고(1730), 상기 추출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1735), 상기 생성된 고객 인증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 처리한다(174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Integrated Circuit)칩)에 저장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객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Integrated Circuit)칩)에 저장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의 회원정보(예컨대, ID/PW를 포함하는 계정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 및/또 는 공인인증서 정보(예컨대, 공인인증서 소유자 정보, 공인인증서 프로파일 정보, 공인인증서 고유정보 등) 및/또는 고객 고유 정보(예컨대, 고객 성명, 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과 같은 개인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판매 과정 및/또는 전자음반 판매후 등록 과정에서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고유 번호(코드) 등)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에 포함된 저작권 정보(예컨대, DRM 정보, 및/또는 핑거 프린트 정보 등)로부터 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은 대칭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암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다른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255)으로부터 추출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255)에서 생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255)에서 암호화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한다(17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도면15b에 도시된 USB 패킷에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수신한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웹서버(100)로 전송하고(1750),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처리되어 있는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소정의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복호화 처리한 후, 상기 복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75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은 대칭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복 호화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복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복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다른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객 인증 정보의 전자음반 정보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칩(255))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상기 복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전자음반 고객 정보와 매칭되는 고객 정보를 확인 및 인증하고, 상기 고객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자음반 정보와 상기 복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전자음반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한다.
만약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인증되면(1760),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도면9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과 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8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소정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추출/입력하여 전자음반 장치(160)로 제공하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소정의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자음반 정보와 USB 대응장치로부터 제공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암호화 처리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는 일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각각의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전자음반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8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와 전자음반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인증정보 D/B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객 정보와 전자음반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소정의 고객에게 판매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소정의 고객에게 판매된 후 상기 전자음반에 대한 네트워크 등록 과정을 통해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8은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편의상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웹서버(100)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면18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을 위해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할 웹페이지에 소정의 스크립트를 포함하여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소정의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원격으로 설치하는데(1805), 여기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소정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추출/입력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제공하고,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서 소정의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자음반 정보와 USB 대응장치로부터 제공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암호화 처리 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한다(181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예컨대,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장치를 검색하는 기술적 사항을 이해하는 자라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도면5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하는 상세한 기술적 사항을 이해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만약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색되지 않는다면(1815),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소정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1820),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 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하는 과정을 반복한다(1810).
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색되면(1815),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소정의 저장장치로부터 소정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소정의 키 입력장치를 통해 소정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입력받고(1825), 상기 추출/입력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분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요청한다(183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의 회원정보(예컨대, ID/PW를 포함하는 계정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 및/또는 공인인증서 정보(예컨대, 공인인증서 소유자 정보, 공인인증서 프로파일 정보, 공인인증서 고유정보 등) 및/또는 고객 고유 정보(예컨대, 고객 성명, 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과 같은 개인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판매 과정 및/또는 전자음반 판매후 등록 과정에서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고유 번호(코드) 등)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에 포함된 저작권 정보(예컨대, DRM 정보, 및/또는 핑거 프린트 정보 등)로부터 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도면15a와 도면15b에 도시된 USB 패킷을 참조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데이터 패킷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 및/또는 IC칩(255)으로부터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자음반 정보와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부터 제공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1835), 상기 생성된 고객 인증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 처리한다(184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전자음반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Integrated Circuit)칩)에 저장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은 대칭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 전자봉투 암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다른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255)으로부터 추출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255)에서 생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255)에서 암호화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한다(18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도면15b에 도시된 USB 패킷에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수신한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웹서버(100)로 전송하고(1850),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처리되어 있는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소정의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복호화 처리한 후, 상기 복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85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은 대칭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복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복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다른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객 인증 정보의 전자음반 정보가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칩(255))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 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상기 복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전자음반 고객 정보와 매칭되는 고객 정보를 확인 및 인증하고, 상기 고객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자음반 정보와 상기 복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전자음반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한다.
만약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인증되면(1860),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도면9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9는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소정의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추출/입력한 후,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암호화 처리 후,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한 후, 상기 복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는 일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각 각의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전자음반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9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는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구매한 전자음반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와 전자음반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인증정보 D/B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객 정보와 전자음반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소정의 고객에게 판매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가 소정의 고객에게 판매된 후 상기 전자음반에 대한 네트워크 등록 과정을 통해 상기 인증정보 D/B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9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편의상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웹서버(100)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면19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을 위해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제공할 웹페이지에 소정의 스 크립트를 포함하여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소정의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원격으로 설치하는데(1905), 여기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은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제어기(205)와 연동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출하고,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소정의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추출/입력한 후, 상기 전자음반 정보와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암호화 처리 후,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웹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한다(191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예컨대,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장치를 검색하는 기술적 사항을 이해하는 자라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도면5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하는 상세한 기술적 사항을 이해할 것 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만약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색되지 않는다면(1915),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소정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1920),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음반 장치(160)를 검색하는 과정을 반복한다(1910).
반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에서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전자음반 장치(160)가 검색되면(1915),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스크립트(및/또는 플러그인,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소정의 전자음반 정보를 요청한다(19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도면15a에 도시된 USB 패킷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로 소정의 전자음반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메모리 및/또는 IC칩(255)으로부터 상기 요청된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자음반 정보를 상기 USB 통 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한다(1930).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전자음반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Integrated Circuit)칩)에 저장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전자음반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IC칩(255)으로부터 추출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255)에서 생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IC칩(255)에서 암호화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는 상기 도면15b에 도시된 USB 패킷에 상기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USB 대응 장치(165)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소정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키 입력장치로부터 소정의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를 입력받고(1935), 상기 추출/입력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와 상 기 전자음반 장치(160)로부터 추출된 전자음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고객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1940), 상기 생성된 고객 인증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 처리한다(19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의 회원정보(예컨대, ID/PW를 포함하는 계정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 및/또는 공인인증서 정보(예컨대, 공인인증서 소유자 정보, 공인인증서 프로파일 정보, 공인인증서 고유정보 등) 및/또는 고객 고유 정보(예컨대, 고객 성명, 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과 같은 개인 정보, 및/또는 상기 전자음반 판매 과정 및/또는 전자음반 판매후 등록 과정에서 상기 고객에게 할당된 고유 번호(코드) 등)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정보는 상기 전자음반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에 포함된 저작권 정보(예컨대, DRM 정보, 및/또는 핑거 프린트 정보 등)로부터 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은 대칭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암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다른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생성한 USB 대응 장치(165)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웹서버(100)로 전송하고(1950),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 인증 정보에 처리되어 있는 암호화 방식(및/또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소정의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복호화 처리한 후, 상기 복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음반 구매 고객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95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은 대칭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공개키 복호화 방식, 및/또는 전자봉투 복호화 방식, 및/또는 키교환 복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 이외에 다른 복호화 방식(및/또는 복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객 인증 정보의 전자음반 정보가 상 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구비된 메모리(및/또는 IC칩(255))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식별코드 및/또는 장치 고유정보 및/또는 음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전자음반이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기록(또는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음반 장치(160)에 할당된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인증정보 D/B로부터 상기 복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전자음반 고객 정보와 매칭되는 고객 정보를 확인 및 인증하고, 상기 고객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저장된 전자음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자음반 정보와 상기 복호화된 고객 인증 정보에 포함된 전자음반 정보를 비교 및 인증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한다.
만약 상기 고객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음반 구매 고객이 인증되면(1960), 상기 웹서버(100)는 상기 도면9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단간 인증 방식을 통해 전자음반 구매 고객을 인증한 후,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인증된 전자음반 구매 고객 간 전자음반(및/또는 음원 데이터) 교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을 활성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단간 인증 방식을 통해 전자음반 장치(160)를 인증한 후,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인증된 전자음반 장치(160) 간 전자음반(및/또는 음원 데이터) 교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자음반을 활성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소정의 정보 수신수단에서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요청 단말장치로부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와 교환 요청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단계;
    소정의 정보 인증수단에서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또는 교환 요청자를 인증하는 인증 처리단계;
    소정의 정보 확인수단에서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를 근거로 하여,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를 확인하는 교환 대상 확인단계; 및
    소정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수단에서 상기 확인된 교환 대상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교환 요청자 및 교환 대상자 간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을 상호 교환해주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2. 소정의 정보 수신수단에서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요청 단말장치로부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와 교환 요청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단계;
    소정의 정보 인증수단에서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또 는 교환 요청자를 인증하는 인증 처리단계;
    소정의 정보 확인수단에서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를 근거로 하여,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를 확인하는 교환 대상 확인단계; 및
    소정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중계수단에서 상기 확인된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교환 요청자 및 교환 대상자 간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을 중계 처리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중계 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소정의 결제처리수단에서 상기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에 대응되는 수수료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소정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처리수단에서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을 상기 교환 요청자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플레이어 장치 및 교환 대상자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플레이어 장치에 제각기 적합하도록 가공 처리 및/또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6.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요청 단말장치로부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와 교환 요청자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또는 교환 요청자를 인증하는 정보 인증수단;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정보를 근거로 하여,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 및
    상기 확인된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및 교환 대상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교환 요청자 및 교환 대상자 간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을 상호 교환해주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에 대응되는 수수료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처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대상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을 상기 교환 요청자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플레이어 장치 및 교환 대상자의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플레이어 장치에 제각기 적합하도록 가공 처리 및/또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처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 시스템.
KR1020060031178A 2006-04-06 2006-04-06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828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178A KR100828139B1 (ko) 2006-04-06 2006-04-06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178A KR100828139B1 (ko) 2006-04-06 2006-04-06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865A true KR20070099865A (ko) 2007-10-10
KR100828139B1 KR100828139B1 (ko) 2008-05-08

Family

ID=3880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178A KR100828139B1 (ko) 2006-04-06 2006-04-06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1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501A (ko) * 2004-03-02 2005-09-07 이석주 뮤직박스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139B1 (ko)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380B1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01935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통해 데이터 보안 기억 및 알고리즘기억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
US8763110B2 (en) Apparatuses for binding content to a separate memory device
CN101578608B (zh) 用于基于会话票证存取内容的方法及设备
CN101595488A (zh) 用于将内容绑定到单独的存储器装置的方法和设备
JP2001094554A (ja) 情報送信システム、情報送信装置、情報受信装置、情報送信方法
JP2010509696A (ja) コンテンツを別のメモリデバイスに結合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5174113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管理プログラム及び管理方法
KR101043255B1 (ko) Usb 허브 보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보안 방법
KR101128225B1 (ko) 전자음반 장치 인증 시스템
KR100828139B1 (ko)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교환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811130B1 (ko) 전자음반 장치 구매 고객정보 등록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811157B1 (ko) 전자음반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857126B1 (ko) 전자음반(또는 음원)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50026131A (ko)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11153B1 (ko) 전자음반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70114688A (ko)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판매 중계 시스템
KR20240007443A (ko) 전자음반 또는 음원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830519B1 (ko) 전자음반 장치 인증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CN101617318A (zh) 用于将内容与许可证链接的方法及设备
KR100811161B1 (ko) 전자음반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70121616A (ko) 전자음반(또는 음원) 처리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070099866A (ko) 전자 음원(또는 음악 파일) 판매 중계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70099867A (ko) 전자 음악 파일(또는 컨텐츠) 중계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069321B1 (ko) 전자음반 데이터 속성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