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131A -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131A
KR20050026131A KR1020030063086A KR20030063086A KR20050026131A KR 20050026131 A KR20050026131 A KR 20050026131A KR 1020030063086 A KR1020030063086 A KR 1020030063086A KR 20030063086 A KR20030063086 A KR 20030063086A KR 20050026131 A KR20050026131 A KR 2005002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rtable terminal
authentication data
personal
persona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235B1 (ko
Inventor
안성민
Original Assignee
(주)잉카엔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잉카엔트웍스 filed Critical (주)잉카엔트웍스
Priority to KR1020030063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23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47Migration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동기화에 있어서, 인증된 개인 휴대 단말기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휴대 단말기 측에서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보호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억세스 가능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하는 단계;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된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유효성을 판단 받는 단계; 및 상기 인증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A METHOD OF SYNCHRONIZING DATA OF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동기화에 있어서 인증된 개인 휴대 단말기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휴대 단말기 측에서 소정의 디지털 저작권 보호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P3 플레이어, PDA, 핸드헬드(handheld) PC,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C) 대 개인 휴대 단말기 간의 데이터 및 파일의 동기화 방법이 있었다. 이러한 동기화 방법은 통상 크래들(cradle) 동기화라고 불리는 직렬(serial) 포트 또는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 등의 유선 방식을 이용한 개인용 컴퓨터 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연결 방식, 또는 적외선 포트, 블루투스(Bluetooth), Wi-Fi 등의 무선 방식을 이용한 개인용 컴퓨터 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연결 방식이 있다. 또한, 현재 널리 활성화되고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등을 통하여 연결되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하나의 대용량 저장장치로 인식하여 파일 또는 데이터를 자유롭게 전송하도록 하는 UMS(USB Mass Storage)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당업자라면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UMS 방식을 통한 파일 또는 데이터 전송은 단순히 파일 또는 데이터의 전송만을 수행할 뿐, 전송되는 파일 또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또는 디지털 저작권 보호를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전혀 지원되고 있지 아니한 실정이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원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안출되고 있다. 즉, 디지털 콘텐츠 자체도 하나의 저작물로서 취급하고, 저작권자의 권리를 보호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종래 디지털 콘텐츠는 무료라고 생각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인식이 바뀌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방법으로서 다음의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제시되는 방법 중 하나가 워터마킹(watermarking) 기술로서, 디지털 콘텐츠 자체에 저작권 관련 정보를 은닉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워터마킹 기술은 크게 1) 저작권 보호, 즉 지적 재산권의 보호를 위해서 콘텐츠 소유자가 자신의 콘텐츠에 저작권 정보를 나타내는 워터마크를 삽입하고, 누군가 자신의 저작권을 침해했을 때 법정에서 자신의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정보로 이용될 수 있고, 2) 핑거 프린팅(finger printing), 즉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의 원천지를 추적하기 위해서 콘텐츠 소유자는 콘텐츠를 공급 받는 사용자마다 ID나 일련변호와 같은 다른 워터마크를 삽입함으로써 라이센스 계약을 위반하고 불법 배포를 한 사용자를 찾아내는데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3) 워터마크 내에 저장된 정보는 복제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직접 디지털 기록장치를 제어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에서의 다양한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CP)로부터 고객(Client)에게 안전하게 전달하고 이 고객이 불법적으로 콘텐츠를 유통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구현 기술을 의미한다. DRM시스템에서 있어 가장 중요한 기술은 암호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데, 고객의 비밀 번호 혹은 고객 컴퓨터의 고유 번호를 암호화/복호화 키 값 데이터로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복호화하므로,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를 무단 복사하여 제3자에게 배포하여도 상기 키 값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아니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키 값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1) 고객 컴퓨터의 고유 식별자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방법 또는 2) 고객의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키나 은닉된 개인 키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보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DRM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예로서, DRM 센터(120)는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와, 지불 시스템(Payment Gateway)(130)을 연결하여 저작권이 보호되는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사용자(140)에게 제공한다. 사용자(140)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미지나 오디오, 비디오 등의 디지털 콘텐츠의 열람 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면 지불 시스템(130)에서는 지불 승인을 통보하게 되고, DRM 센터(120)에서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하여 사용자(140)에게 제공한다.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실행 파일을 이용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소스 코드를 복원하는 템퍼링(tempering) 기술이 나오고 있어서 DRM 센터(130)에는 이러한 탬퍼링 등의 해킹 기법을 효과적으로 막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는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 측에서 수행되는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으로서, 그 특성상 다양한 콘텐츠 제공자들 사이에서 하나의 표준으로 통합 운영되기에 어려운 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상술한 탬퍼링 기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의 무력화로 인해 디지털 콘텐츠의 원저작권자의 권리가 부당하게 침해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방법은 서버 단에서 많은 전처리(pre-processing)가 수행되므로, 디지털 콘텐츠의 양 또는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구현 비용 및 시스템의 부하가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 측에서 수행될 수 있는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에 대한 새로운 기술이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 측에서 구현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인증 데이터를 기록하여 인증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만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인증되지 아니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복제 또는 배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은 현재 그 활용도가 증대되고 있는 UMS(USB Mass Storage) 방식의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전송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별도의 드라이버가 없어도 양 디바이스 간의 원활한 데이터 전송은 물론 전송되는 데이터의 디지털 저작권 보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억세스 가능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하는 단계;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된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유효성을 판단 받는 단계; 및 상기 인증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상기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 -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인증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에서 억세스 가능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함 -; 상기 전송된 인증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핸드헬드(handheld) PC, 전자 사전, 휴대폰 등과 같이 소정의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또한, 데이터 동기화(synchronization)라 함은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한 데이터 일관성(consistency) 유지는 물론,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소정의 데이터 또는 파일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해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 및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200)는, 소정의 펌웨어(Firmware)(210),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인식할 수 없도록 설정된 제1 메모리 영역(220),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콘텐츠 및 제1 메모리 수단(220)에서 로드된 상기 인증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제2 메모리 영역(230), 및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250)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모리 영역(220)에는 개인 휴대 단말기(200)를 인증하기 위한 소정의 인증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이 인증 데이터는 소정의 버전 정보,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단말기 식별자(ID), 소정의 상태 코드(status code), 개인용 컴퓨터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암호화 또는 복호화를 위한 키(key) 값 데이터, 및 상기 단말기 식별자 또는 상기 키 값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을 체크하기 위한 소정의 체크섬 비트(checksum bit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데이터의 구체적인 일예는 도 5a 및 도 5b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다. 또한,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초기 출시 상태에서는 제1 메모리 영역(220)은 아무런 데이터가 기록되지 아니하는 NULL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출시 상태의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경우에는 펌웨어(210)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에서 소정의 상태 코드를 갖는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250)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52)와 통신하고, 소정의 인증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250)으로부터 전송 받아 이를 제1 메모리 영역(220)에 기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2 메모리 영역(230)에는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콘텐츠가 기록된다. 또한, 개인 휴대 단말기(200)에서 개인용 컴퓨터와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 제2 메모리 영역(230)에는 제1 메모리 영역(220)에 저장된 인증 데이터가 로드된다.
제1 메모리 영역(220) 및 제2 메모리 영역(230)은 하나의 메모리 수단에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1 메모리 영역(220)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억세스할 수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메모리 영역(220)을 배드 블록(bad block)으로 설정함으로써, 개인 휴대 단말기(200)가 개인용 컴퓨터에서 범용 직렬 버스 대용량 저장장치(USB Mass Storage)로 인식되는 경우에도 개인용 컴퓨터에서 제1 메모리 영역(220) 자체를 인식할 수 없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 메모리 영역(220)은 제2 메모리 영역(230)과는 별도의 메모리 수단으로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제1 메모리 영역(220)은 개인용 컴퓨터에서 인식할 수 없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가 사용자의 조작 미숙 등의 원인으로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펌웨어(210)는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ROM 등의 메모리 수단에 기록되어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 등을 수행하는 일종의 운영 체계로서, 필요시에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의 일종이다. 상기 ROM은 업데이트된 펌웨어의 기록 및 이전 펌웨어의 소거가 가능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일 수 있다.
펌웨어(210)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211),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 디코더(213), 복호화 모듈(214), 및 제어 모듈(215)로 구성될 수 있다.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211)은 제1 메모리 영역(220)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의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제1 메모리 영역(220)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를 읽어 이를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로 전송하고,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로부터 전송된 인증 데이터를 제1 메모리 영역(220)에 기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은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211)로부터 전송된 인증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제2 메모리 영역(230)으로 로드하기 위한 모듈이다.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211)로부터 전송된 인증 데이터에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제2 메모리 영역(230)으로 로드한다. 또한,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은 제1 메모리 영역(220)에 기록되는 체크섬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주지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체크섬 비트를 통하여 해당 데이터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은 상기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결함이 있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 대신에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제2 메모리 영역(230)으로 로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의 일예는 도 5a 및 도 5b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다.
디코더(213)은 압축 또는 인코딩된 디지털 콘텐츠를 복원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예로, mp3(MPEG Layer 3), wma(window media audio file), wav(wave file), avi(audio video interleaved), 또는 asf(MS advanced streaming format file) 등의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된 디지털 콘텐츠를 디코딩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복호화 모듈(214)은 상기 인증 데이터의 키 값 데이터를 이용하여 암호화(encryption)된 디지털 콘텐츠를 개인 휴대 단말기(200)에 기록된 키 값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개인 휴대 단말기(200)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에 포함되는 키 값 데이터가 유효하지 아니하다면, 어플리케이션(250)의 암호화 모듈(253)에서 상기 키 값 데이터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복호화할 수 없게 된다.
제어 모듈(215)은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동작 및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이다. 제어 모듈(215)에는 통상의 펌웨어가 갖는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이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250)은 개인 휴대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되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엔티티(entity)이다. 어플리케이션(200)은 개인 휴대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하고,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어플리케이션(200)은 USB 대용량 저장장치 자동 감지 모듈(251),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52), 및 암호화 모듈(253)로 구성될 수 있다.
USB 대용량 저장장치 자동 감지 모듈(251)은 개인 휴대 단말기(200)가 범용 직렬 버스를 통하여 접속된 경우, 접속을 감지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200)을 대용량 저장장치로 인식하도록 동작한다. 당업자라면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범용 직렬 버스(USB)는 개인용 컴퓨터의 주변 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으로서, USB 허브, USB 노드, 및 USB 호스트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USB 대용량 저장장치 자동 감지 모듈(251)에서 대용량 저장장치로 인식하는 것은 제2 메모리 영역(230)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52)은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제2 메모리 영역(230)에 로드된 인증 데이터를 전송 받고, 상기 인증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제2 메모리 영역(230)으로 로드된 인증 데이터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212)에서 생성되어 제2 메모리 영역(230)으로 로드된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신규 인증 데이터를 개인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암호화 모듈(253)은 개인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인증 데이터에 포함되는 키 값 데이터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암호화 모듈(253)에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는 개인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는 개인 휴대 단말기(200)의 복호화 모듈(214)에서 복호화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 영역에 로드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ON되는 경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은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를 검색하여 인증 데이터를 독출한다(단계 301). 독출된 인증 데이터는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로 전송되고,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에서는 상기 독출된 인증 데이터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2). 단계 302에서 독출된 인증 데이터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상태 코드를 검사할 수 있다. 즉, 인증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태 코드는 상기 인증 데이터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는데, 일예로 상태 코드가 0x00인 경우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 초기 상태를, 상태 코드가 0x01인 경우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상태 코드가 0x02인 경우는 새로운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요청하여야 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도록 구현될 수 있고, 개인 휴대 단말기의 펌웨어에서는 이와 같이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된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상태 코드를 판독하여 해당 코드에 맞는 루틴(routine)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코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a에서 후술한다.
단계 302에서 인증 데이터가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포함된 인증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체크섬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토한다(단계 303).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304), 인증 데이터에 결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한다(단계 305).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단계 303 및 단계 304에서 수행되는 인증 데이터 무결성 검사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301 내지 단계 305가 수행됨으로써,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인식 가능한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되고, 소정의 연결 방식(일예로 UMS 연결)에 의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전처리(preprocessing)가 완료될 수 있다. 단계 302에서 제1 메모리 영역에서 독출한 인증 데이터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단계 304에서 제1 메모리 영역에서 독출한 인증 데이터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루틴으로 분기하게 된다(단계 306).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개인 휴대 단말기는 범용 직렬 버스 등을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고,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 동기화를 요청한다(단계 351). 단계 301의 데이터 동기화 요청은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물리적인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ON 하거나,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명령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고(단계 352),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세션을 설정한다(단계 35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션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범용 시리얼 버스 대용량 저장장치(USB Mass Storage; UMS)로 인식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의 세션이 설정되면, 도 3a의 단계 305에서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된 인증 데이터는 UMS 연결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고(단계 354),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에서는 상기 인증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한다(단계 355 및 단계 356). 단계 356에서 상기 전송된 인증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고(단계 357), 해당 동기화 루틴은 종료된다. 단계 356에서 상기 인증 데이터가 유효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개인 휴대 단말기는 인증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하고 데이터 동기화 루틴을 종료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방법은 시계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3b의 단계 351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가 데이터 동기화를 요청하고, 단계 353에서 개인용 컴퓨터의 어플리케이션과 세션이 설정된 이후에 도 3a에 도시된 인증 데이터의 제2 메모리 영역 로드가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의 단계 306에서 분기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은 제2 메모리 영역으로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로드하고, 상기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는 UMS 연결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된다(단계 401).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402), 수신된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로 전송한다.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에서는 상기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에 따라 선정된(predetermined) 또는 새로 작성된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규 인증 데이터를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단계 404),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전송된 신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을 통해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단계 405). 단계 405에서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것은 신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제2 메모리 영역에 기록해 두었다가, 개인 휴대 단말기가 리셋되거나 전원이 다시 ON 되는 경우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신규 인증 데이터가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면,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재연결시 다시 도 3a의 단계 301으로 분기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전처리(preprocessing) 루틴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되는 인증 데이터(a) 및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의 데이터 구조(b) 및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된 신규 인증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c)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의 (a)를 참조하면, (a)는 제1 메모리 영역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되는 인증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예이다. 제1 메모리 영역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되는 인증 데이터는 인증 데이터의 버전 정보 2 바이트, 상태 코드(status code) 1 바이트, 단말기 식별자 8 바이트, 키 값 데이터 16 바이트, 및 체크섬(checksum) 비트 16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버전 정보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와 개인용 컴퓨터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 간의 버전 호환을 위해 기록되는 정보이다.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된 인증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에서 최신 버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되는 인증 데이터와 버전이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코드는 제2 메모리 영역에 로드된 인증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코드로서, 일예로 (a)의 경우 상태 코드가 0x01가 될 수 있고, 상기 상태 코드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는 해당 개인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유일한 식별자일 수 있고 도 5a의 (a)와 같이 단말기 식별자의 크기가 8 바이트인 경우 2의 64승 만큼의 유니크한 단말기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키 값 데이터는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복호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체크섬 비트는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사하기 위해 삽입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크섬 비트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코드일 수 있다.
도 5a의 (b)를 참조하면, (b)는 제1 메모리 영역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존재하지 아니하거나, 기록되어 있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에 결함이 있는 경우(체크섬 비트를 통한 무결성 검사) 어플리케이션에 신규 인증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의 데이터 구조의 일예이다. 이 경우 상태 코드는 일예로, 0x02가 될 수 있고, 상기 상태 코드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지 아니하여 신규 인증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a의 (c)를 참조하면, (c)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규 인증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예이다. 신규 인증 데이터는 버전 정보 2 바이트, 상태 코드 1 바이트, 단말기 식별자 8 바이트, 키 값 데이터 16 바이트, 난수(random number) 4 바이트, 및 체크섬 비트 16 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수는 상기 전송된 신규 인증 데이터의 보안, 즉 신규 인증 데이터가 인증 요청 정보를 전송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예로, 개인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요청하는 경우 소정의 난수를 발생시키고, 이를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와 함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상기 전송된 난수를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어플리케이션에서는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정보와 함께 수신된 난수를 신규 인증 데이터 전송시 함께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재전송한다. 새로운 인증 데이터를 수신한 개인 휴대 단말기가 전원 리셋된 경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제1 메모리 영역을 검사하고,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 받은 신규 인증 데이터를 제2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난수와 신규 인증 데이터와 함께 수신된 난수를 비교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의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난수 비교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로 로드된 인증 데이터가 불법 유출 또는 불법 복제되어 제3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경우라도 상기 난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인증 데이터의 유효성을 쉽게 검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증 데이터의 보안을 기할 수 있게 된다. (c)의 경우, 상태 코드는 일예로, 0x03일 수 있고, 상기 상태 코드를 분석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은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을 통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를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으로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시 상기 상태 코드를 0x01, 즉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로 조정하여 기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b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개인 휴대 단말기의 초기 출시 상태에서는 제1 메모리 영역은 아무 것도 기록되어 있지 아니한 NULL 상태일 수 있다. 초기 출시 상태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가 최초로 데이터 동기화 요청을 하는 경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은 상태 코드를 0x00으로 조정하여 이를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하고,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상태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개인 휴대 단말기에 대한 인증 데이터 - 도 5a의 (c)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음 - 를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현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a)는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설정된 경우,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예이다. 정상적으로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설정된 경우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는, 일예로 상태 코드 1 바이트, 단말기 식별자 8 바이트, 키 값 데이터 16 바이트, 및 체크섬 비트 16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 코드는 0x01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b)는 제1 메모리 영역에 단말기 식별자 또는 키 값 데이터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예이다. 이 경우, 인증 데이터는 상태 코드 1 바이트와 상술한 난수 4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난수는 상술한 도 5a의 (b)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포함되는 난수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 코드는 0x02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은 램(RAM: Random Access Memory)(660)과 롬(ROM: Read Only Memory)(67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4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67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램(66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램(660) 및 롬(67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61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64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61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62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64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63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6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5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개인 휴대 단말기 측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개인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인증 데이터를 기록하여 인증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만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인증되지 아니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복제 또는 배포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현재 그 활용도가 증대되고 있는 UMS(USB Mass Storage) 방식의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전송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별도의 드라이버가 없어도 양 디바이스 간의 원활한 데이터 전송은 물론 전송되는 데이터의 디지털 저작권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보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 및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 영역에 로드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는 인증 데이터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Claims (10)

  1.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억세스 가능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하는 단계;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된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유효성을 판단 받는 단계; 및
    상기 인증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2.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동기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상기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 -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인증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에서 억세스 가능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함 -;
    상기 전송된 인증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억세스 가능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상기 인증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소정의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신규 인증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신규 인증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서 데이터를 전송 받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상기 인증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부터 인증 데이터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신규 인증 데이터를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MP3 플레이어, PDA, 휴대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범용 시리얼 버스 대용량 저장장치(USB Mass Storage; UMS)로 인식함으로써 설정되고,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인식할 수 없는 배드 블록(bad block) 처리된 메모리 영역이고,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UMS로 인식 가능한 메모리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는 버전 정보,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 상태 코드 - 상기 상태 코드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제1 메모리에 상기 인증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른 비트값을 가짐 -, 암/복호화 키 값 데이터, 및 상기 단말기 식별자 또는 상기 키 값 데이터의 무결성을 체크하기 위한 소정의 체크섬 비트(checksum bit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인증 데이터는 버전 정보,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식별자, 상태 코드, 암/복호화 키 값 데이터, 소정의 크기를 갖는 난수(random number) 데이터, 및 상기 단말기 식별자 또는 상기 키 값 데이터의 무결성을 체크하기 위한 소정의 체크섬 비트(checksum bit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수행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개인용 컴퓨터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과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인식할 수 없도록 설정된 제1 메모리 영역;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및 상기 제1 메모리 수단에서 로드된 상기 인증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2 메모리 영역; 및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펌웨어(firmware)를 포함하고,
    상기 펌웨어는,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인증 데이터의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출력 모듈;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제2 메모리 수단으로 로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관리 모듈;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인증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소정의 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decryption)하기 위한 복호화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KR1020030063086A 2003-09-09 2003-09-09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86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086A KR100886235B1 (ko) 2003-09-09 2003-09-09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086A KR100886235B1 (ko) 2003-09-09 2003-09-09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131A true KR20050026131A (ko) 2005-03-15
KR100886235B1 KR100886235B1 (ko) 2009-02-27

Family

ID=3738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086A KR100886235B1 (ko) 2003-09-09 2003-09-09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23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098B1 (ko) * 2005-07-22 2006-09-12 (주)북토피아 전자 컨텐츠 제공 시스템, 전자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방법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0625653B1 (ko) * 2004-07-01 2006-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기업용 무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싱크 시스템 및그 처리방법
KR100713364B1 (ko) * 2005-06-13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메모리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데이터 관리 방법
KR100727090B1 (ko) * 2006-01-12 2007-06-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이미지 전송 방법,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0765480B1 (ko) 2006-10-23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drm 파일 재생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방법
KR101240261B1 (ko) * 2006-02-07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장치 및 방법
KR101506577B1 (ko) * 2007-08-23 2015-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웨어 이동 장치와 로컬 호스트간에 상호 인증하는방법, i/o 채널 형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522884B1 (ko) * 2008-11-24 2015-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8779A (ja) 2001-03-13 2002-09-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0813944B1 (ko) * 2001-07-11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권리 운영을 수행하기 위하여 휴대용 기기와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KR100443621B1 (ko) * 2002-02-25 2004-08-09 주식회사 마크애니 개인용 컴퓨터 기반의 고유 아이디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인증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030039347A (ko) * 2003-03-24 2003-05-17 한국전자북 주식회사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저작권 보호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53B1 (ko) * 2004-07-01 2006-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기업용 무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싱크 시스템 및그 처리방법
KR100713364B1 (ko) * 2005-06-13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메모리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데이터 관리 방법
KR100623098B1 (ko) * 2005-07-22 2006-09-12 (주)북토피아 전자 컨텐츠 제공 시스템, 전자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방법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0727090B1 (ko) * 2006-01-12 2007-06-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이미지 전송 방법,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1240261B1 (ko) * 2006-02-07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통화 장치 및 방법
KR100765480B1 (ko) 2006-10-23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drm 파일 재생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방법
US8195572B2 (en) 2006-10-23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M content player and play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KR101506577B1 (ko) * 2007-08-23 2015-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웨어 이동 장치와 로컬 호스트간에 상호 인증하는방법, i/o 채널 형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522884B1 (ko) * 2008-11-24 2015-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235B1 (ko) 200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6190B2 (ja) デジタル権管理(drm)システムを有する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のセキュアビデオカード
US9906509B2 (en) Method for offline DRM authentication and a system thereof
US8881274B2 (en) Method for providing data to a personal portable device via network and a system thereof
US7624451B2 (en) Binding a digital license to a portable or the like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MR) system and checking out/checking in the digital license to/from the portable device or the like
US7272858B2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encryption and data-protection for content on a relatively simple device
US7080043B2 (en) Content revocation and license modification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on a computing device
EP1367475B1 (en) Software application protection by way of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JP4615832B2 (ja) 対話式認証なしのデバイス上のコンテンツに関するデジタル権利管理(drm)暗号化およびデータ保護方法
US7080410B2 (en) Protecting decrypted compressed content and decrypted decompressed content at a digital rights management client
US7239708B2 (en) Protecting decrypted compressed content and decrypted decompressed content at a digital rights management client
US7383205B1 (en) Structure of a digital content package
US7010808B1 (en) Binding digital content to a portable storage device or the like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US8065521B2 (en) Secure processor architecture for use with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on a computing device
JP5036187B2 (ja) コンテンツ権利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柔軟なライセンス供与アーキテクチャ
US7353209B1 (en) Releasing decrypted digital content to an authenticated path
US20060212363A1 (en) Rendering digital content in an encrypted rights-protected form
US20050005149A1 (en) Semiconductor memory card and data reading apparatus
JP2005536951A (ja) デジタル機器においてデジタル文書にセキュリティ保護を施す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40005922A (ko) 디지털 전자 콘텐츠의 안전하고 편리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86235B1 (ko)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