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109A - Connector spring - Google Patents
Connector sp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99109A KR20070099109A KR1020060030074A KR20060030074A KR20070099109A KR 20070099109 A KR20070099109 A KR 20070099109A KR 1020060030074 A KR1020060030074 A KR 1020060030074A KR 20060030074 A KR20060030074 A KR 20060030074A KR 20070099109 A KR20070099109 A KR 200700991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male terminal
- connector spring
- terminal
- elastic contact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ankl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2—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reinforcing fibres, e.g. carbon, polyamide fibr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1—Special aerodynamic features, e.g. airfoil shapes, wings or air pass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스프링이 암단자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state where the connector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fema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스프링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spr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스프링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spr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스프링이 암단자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n a state where a connector spr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female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스프링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spr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 스프링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spr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커넥터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전기 자동차에서 대용량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 접속되는 암단자에 삽입되어 숫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커넥터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sp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spring that is inserted into a female terminal to which a large current flows in a electric vehicle, such as a hybrid vehicle, is connected to a male terminal.
전기 자동차의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에는 대용량의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그러한 대용량 전류가 흐르는 전선 등을 접속시키는 구조가 필요하다. 숫단자(male terminal)이 삽입되어 전선과 접속하도록 하는 종래의 암단자(female terminal; 100)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암단자(100)은 일본특허출원공개 특개평8-31488호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이다. 암단자(100)는 단자 본체(110)와 접속부(120)와, 접속부(1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커넥터 스프링(130)과, 접속부(120)의 단부에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캡(1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숫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캡(150)이 제공되는 단부측으로 삽입하면 커넥터 스프링(130)과 숫단자가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다.A large amount of current flows through a wiring harness of an electric vehicle, and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wire or the like through which such a large amount of current flows is required. A conventional
캡(150)은 커넥터 스프링(130)이 암단자(100) 외측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커넥터 스프링(130)이 걸리게 되어 있는 턱을 가지고 있어서 커넥터 스프링(13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암단자(100)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커넥터 스프링(130)을 암단자 본체(120) 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암단자(100)에 의하면 캡(150)이라는 추가적인 부품을 필요로 하였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암단자에 사용되는 캡(150)을 제거함으로써 부품수를 저감시켜 제품의 원가를 낮출 수 있고, 조립 공정에 있어서도, 캡(150)의 탈 착이 필요없이 커넥터 스프링의 장착만으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커넥터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by removing th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스프링은, 일단부에 숫단자(male terminal)가 삽입되며 타단부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는 통상(筒狀)의 암단자(female terminal)의 상기 일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숫단자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부품이다. 암단자의 일단부의 외측벽에는 제1 걸림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스프링은 상기 암단자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숫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와, 상기 탄성 접촉부가 상기 암단자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일단부의 외측으로 꺽이는 꺽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꺽임부에는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려서 상기 커넥터 스프링이 암단자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가 제공된다.The connector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ale terminal (male terminal) is inserted into one end and the electric wire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female terminal) It is a part that is inserted into the one end of the) and arranged to contact the male terminal. The first locking step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one end of the female terminal. The connector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astic contact portion which is arranged inside the female terminal and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male terminal, and a bent portion that is bent to the outside of the one end whe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do. The bent portion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which prevents the connector spring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female terminal by being caught by the first locking jaw.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스프링(5)이 암단자(1)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스프링(5)은 암단자(1)의 내측 공간(11)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숫단자(도시되지 않음)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52)와, 꺽임부(54)를 포함한다. 꺽임부(5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단자(1)에 삽입되었을 때에 암단자(1)의 외측으로 꺽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꺽임부(54)의 상세한 구성은 도 2를 참조하면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암단자(1)의 외측벽에는 제1 걸림턱(3)이 형성되어 있고, 꺽임부(54)는 암단자(1)의 외측벽을 감싸면서 꺽이는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꺽임부(54)에는 암단자(1)의 제1 걸림턱(3)에 걸려서 커넥터 스프링(5)이 암단자(1)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54b)가 제공된다.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암단자(1)의 내측벽에는 제2 걸림턱(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2 걸림턱(2)에는 탄성 접촉부(52)가 걸려서, 커넥터 스프링(5)이 암단자(1)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It is preferable that a
꺽임부(5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형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꺽임부(54)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개구(54a)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스프링(5)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금속 판재를 둥글게 하는 공정이 필요한데, 프레스 성형 공정상 이 공정에서 판재에 주름이 발생되거나 판재가 파단될 수 있다. 개구(54a)를 형성하면 그러한 주름이나 파단 없이 프레스 성형을 수행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 스프링(5)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The
그리고 커넥터 스프링(5)의 탄성 접촉부(5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는 복수 개의 슬릿(5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56)을 형성하는 이유는 커넥터 스프링(5)를 용이하게 가공하여 제작하기 위해서이며, 역시 가공상의 용이성을 위하여 환형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스프링(5)은 간극(4)을 두고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커넥터 스프링(5)의 탄성 접촉부(52)에는 옆에서 보았을 때에 오목한 오목부(5a)가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숫단자와의 저접촉 저항을 실현하기 위해서이다.The plurality of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스프링(70)이 암단자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이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스프링(7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스프링(70)은 암단자(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숫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72)와, 환형부(74)와, 탄성 접촉부(72)와 환형부(74)를 연결하는 연결부(75)를 포함한다. 환형부(74)에는, 탄성 접촉부(72)가 암단자(1)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1 걸림턱(1)에 걸려서 커넥터 스프링(70)이 암단자(1)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54b)가 제공된다. 도 4와 도 5에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환형부(74)의 안쪽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크부(54b)가 제공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암단자(1)의 내측에 제2 걸림턱(2)이 제공되며, 탄성 접촉부(72)가 이 제2 걸림턱(2)에 걸려서 커넥터 스프링(70)이 암단자(1)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 접촉부(72)에는 길이 방향의 슬릿(7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환형인 커넥터 스프링(70)이 간극(4)을 두고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첨부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히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 or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it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that improvements, modifications and / or modification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스프링을 암단자에 장착하기 위해 필요했던 캡이 필요없게 되고, 단지 커넥터 스프링을 암단자의 일단부에 밀어 넣어서 장착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캡과 같은 추가적인 부품이 필요없게 되어서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조립 공정에 있어서도 캡 장착과 같은 공정을 제거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조립 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required for mounting the connector spring to the female terminal is eliminated, and only the connector spring needs to be pushed into one end of the female terminal for mount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eliminating the need for an additional component such as a cap, and furthermore, in the assembling process, a process such as cap mounting can be removed, thereby enabling an efficient assembly proces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0074A KR100770991B1 (en) | 2006-04-03 | 2006-04-03 | Connector Sp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0074A KR100770991B1 (en) | 2006-04-03 | 2006-04-03 | Connector Spr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9109A true KR20070099109A (en) | 2007-10-09 |
KR100770991B1 KR100770991B1 (en) | 2007-10-29 |
Family
ID=3880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0074A KR100770991B1 (en) | 2006-04-03 | 2006-04-03 | Connector Spr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099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8216A (en) * | 2017-12-08 | 2019-06-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0795B1 (en) * | 1985-03-25 | 1993-02-04 | 오토 둔켈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랭크터 하프퉁 파브릭 퓌어 엘렉트로테크니쉐 게레테 | Contact-spring sockets and process for making them |
JP3418466B2 (en) * | 1994-11-04 | 2003-06-23 | 矢崎総業株式会社 | Male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3498890B2 (en) | 1998-01-22 | 2004-02-23 | 矢崎総業株式会社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ing method |
EP1319262B1 (en) * | 2000-09-15 | 2009-02-25 | Alcoa Fujikura Ltd. | Electrical terminal socket assembly for vehicular component |
KR200495295Y1 (en) * | 2017-10-12 | 2022-04-19 | 김태연 | ball-chain with prevent separate part |
-
2006
- 2006-04-03 KR KR1020060030074A patent/KR100770991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8216A (en) * | 2017-12-08 | 2019-06-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70991B1 (en) | 2007-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64506B2 (en) | Terminal-movable connector | |
US8342880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elastically held terminals | |
EP2433338B1 (en) | Water seal plug and connector with the water seal plug | |
JP5965810B2 (en) | Terminal and terminal manufacturing method | |
JP6820291B2 (en) | Connector device | |
US9601862B2 (en) | Charge connector | |
US11646522B2 (en) |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
US8790137B2 (en) | Fitting structure for inner holder and shield shell | |
US20220052466A1 (en) | Terminal block | |
CN109768419B (en) |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 |
US10804639B2 (en) | Connector with reinforcing rib | |
CN113826283B (en) | Connectors and connectors | |
KR100799883B1 (en) | Female terminal assembly | |
US11710932B2 (en) | Shielding spring shell for high current plug-in connections | |
EP2768088B1 (en) | Shield connector | |
JP5947485B2 (en) | Relay connector | |
KR100733849B1 (en) | Female terminal | |
CN109038114B (en) | Shield case and shield connector | |
KR100770991B1 (en) | Connector Spring | |
JP2014060073A (en) | Connector | |
JP5825211B2 (en) | Liquid temperature detector | |
JP3947092B2 (en) | Connector for equipment | |
JP4129863B2 (en) | Current sensor | |
JPH11126657A (en) | Shielding structure of shielded connector for directly connecting to appliance | |
JP7181258B2 (en) | Wire harness and grommet detachment prevent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3 |